KR102254344B1 - 보냉상자 - Google Patents
보냉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4344B1 KR102254344B1 KR1020190148539A KR20190148539A KR102254344B1 KR 102254344 B1 KR102254344 B1 KR 102254344B1 KR 1020190148539 A KR1020190148539 A KR 1020190148539A KR 20190148539 A KR20190148539 A KR 20190148539A KR 102254344 B1 KR102254344 B1 KR 102254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inge
- shell
- protrusion
- fastening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냉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 및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바디 내피 사이 및 상기 커버 외피와 상기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바디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바디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보다 슬림한 형태의 측벽을 지닌 보냉상자를 제시하여 외부 규격대비 최대한의 물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서로 포개짐이 가능함에 따라 물류효율과 보관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어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재활용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보냉상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다 슬림한 형태의 측벽을 지닌 보냉상자를 제시하여 외부 규격대비 최대한의 물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서로 포개짐이 가능함에 따라 물류효율과 보관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어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재활용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보냉상자를 제공할 수 있는 보냉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상자는 저온의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스박스와 일회용 EPS 보냉상자 등을 말한다.
종래 '제과제빵용 운반 및 보관용 보냉상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05호(2007.11.09)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냉상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단열성능을 고려하여 단열재가 포함된 각 측벽을 두껍게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단열재가 포함된 각 측벽의 두께는 20~30mm 수준으로서, 큰 외형에 비해 보냉상자에 수용되는 물품 수용량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꺼운 각 측벽 두께로 인해 포개지는 형태의 제작이 어려우며, 제작한다 하더라도 측벽의 경사 각도를 매우 크게 설정하여야 하므로 유효 내부면적이 매주 작아지므로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어 있는 보냉상자를 회수할 때에도 배송할 때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피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어 있는 상태로 포개지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보관에 필요한 면적은 보냉상자의 크기와 동일하므로 보관이 매우 불편하고, 보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낮은 물류효율과 보관효율로 인하여 보냉상자를 활용하는 BtoC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업체들은 일회용 EPS 보냉상자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재활용에 대한 부담과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악영향 등으로 인해 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슬림한 형태의 측벽을 지닌 보냉상자를 제시하여 외부 규격대비 최대한의 물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서로 포개짐이 가능함에 따라 물류효율과 보관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어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재활용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보냉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 및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바디 내피 사이 및 상기 커버 외피와 상기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바디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바디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어, 여러 개의 상기 바디부재를 포개는 경우 상기 경사진 측벽에 의해 상기 측벽의 일부분만 서로 겹치며, 상기 바디 외피의 서로 겹치지 않는 상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피의 서로 겹치지 않는 하측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 내피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에 상기 단열재의 흡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 외피의 상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피의 하측부에 디바이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융착면은, 상기 바디 외피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1바디 연장부의 상면과, 상기 바디 내피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2바디 연장부의 하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바디 연장부 하면에는, 상기 단열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상기 바디 융착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가이드하는 바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융착면은, 상기 커버 외피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제1커버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제2커버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에는,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를 상기 커버 융착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단열재를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의 하면에 상기 제1커버 돌출부와 이격하도록 상단가이드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에 상기 제2커버 돌출부와 이격하도록 하단가이드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상단가이드와 상기 하단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각 커버 외피는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 외피에는 힌지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바디 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축부가 삽입되는 힌지축부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각 커버 외피는 상기 바디 내피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 커버 외피에는, 서로 접하는 부분의 어느 일측에 고정형 체결핀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형 체결핀은 직선 이동하여 끝단이 상기 커버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바디 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형 체결핀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속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각 커버 외피가 서로 맞물리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체결핀의 끝단이 상기 체결핀 결속부에 삽입되면, 상기 각 커버 외피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양측면을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고리와,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누름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분리형 체결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탄성고리 측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고리가 상기 누름부와 가까워지면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바디 연장부로부터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 해제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탄성고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 체결 가능한 방향으로 상기 누름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체결핀은, 상기 누름부 및 상기 탄성고리의 하측에 상기 누름부 및 상기 탄성고리와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고리 보호면과, 상기 탄성고리 보호면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탄성축과, 상기 탄성축에 마련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외피에는, 상기 커버 외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연장부와, 상기 외측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로 이루어진 커버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방연장부, 상기 외측연장부, 상기 하방연방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가 수용되는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방연장부 및 상기 외측연장부를 잇는 홀 형상의 체결핀 누름부와, 상기 하방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고리와 맞닿아 상기 탄성고리의 탄성 변형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탄성고리 눌림부와, 상기 외측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누름부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아 상기 누름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면 가이드와, 상기 외측연장부의 내면의 상기 슬라이딩면 가이드 외측에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도록 마련된 결합돌기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는 체결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체결돌기 수용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돌기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에는, 어느 일측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탈착형 힌지부와, 상기 탈착형 힌지부가 장착된 반대측의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탈착형 체결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바디 외피에는, 상기 탈착형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립된 상기 탈착형 힌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힌지부 조립부와, 상기 탈착형 체결핀이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핀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힌지부와 상기 탈착형 체결핀은 상기 커버 외피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힌지부는, 힌지몸체부와, 상기 힌지몸체부 어느 일측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 외피에 장착되는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과, 상기 힌지몸체부 반대측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탈착형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 조립부는, 하방으로 개방되되, 개방된 폭이 상기 탈착형 힌지축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몸체부는, 상기 힌지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한 쌍의 상기 커버용 힌지축 사이에 배치된 회전반경 제한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힌지몸체부 외측면이 상기 커버 외피에 부딪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각도에서부터, 상기 회전반경 제한돌기가 상기 커버 외피에 부딪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도까지 상기 커버 외피에 대해 90도의 회전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도에서, 상기 탈착형 힌지축을 상기 힌지부 조립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의 상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이 발생하면서 상기 탈착형 힌지축이 상기 힌지부 조립부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의 상면으로부터 90도 이상이 되도록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탈착형 힌지축이 상기 힌지부 조립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체결핀은, 체결핀몸체부와, 상기 체결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체결핀몸체부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체결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마련되며,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 체결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냉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번째, 보다 슬림한 형태의 측벽을 지닌 보냉상자를 제시하여, 외부 규격대비 최대한의 물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두번째, 서로 포개짐이 가능함에 따라, 물류효율과 보관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어, 이에 따른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세번째, 재활용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보냉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네번째, 바디 외피 가장자리와 바디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이 마련되어 있고, 커버 외피 가장자리와 커버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이 마련되어 있어, 각 외피와 내피에 상하로 굴곡지지 않고 평평한 융착면가 마련됨에 따라, 융착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밀 및 보냉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섯번째, 단열재는 바디 융착면 및 커버 융착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도피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단열재를 보호하는 열 차폐구조가 가능하고, 단열재의 안정적인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여섯번째, 바디 내피가 포개어 지는 경우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제1공간(B) 및 제2공간(C)이 형성됨으로써, 이 제1,2공간(A, B) 내에 진공단열재의 흡습제 수용이 가능하고, 진공단열재의 흡습제로 인해 측벽의 두꺼워질 수 있는데, 두꺼워지는 부분을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보냉상자의 설계가 가능하다.
일곱번째,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 외피의 상측부에 의해 넓어진 단면공간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덟번째, 내측으로 돌출된 바디 내피의 하측부에 의해 넓어진 단면공간을 이용하여 디바이더 삽입홈을 형성하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홉번째, 커버부재의 커버 융착면 근처에 냉기 손질방지용 패킹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융착에 의한 덧살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고, 패킹 삽입 구조를 위해 금형을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 축소와 생산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보냉상자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바디 내피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다수의 보냉상자가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냉상자 내에 디바이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버 내피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보냉상자의 세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바디 외피의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커버부재의 커버 외피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고정형 체결핀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고정형 체결핀이 체결핀 결속부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고정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분리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커버 외피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분리형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분리형 체결핀이 커버 외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분리형 체결핀이 체결돌기 삽입홀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탈착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서 탈착형 힌지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바디 외피의 힌지부 조립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4 및 도 25는 탈착형 힌지부가 바디 외피에 조립되는 과정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보냉상자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바디 내피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다수의 보냉상자가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냉상자 내에 디바이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버 내피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보냉상자의 세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바디 외피의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커버부재의 커버 외피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고정형 체결핀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고정형 체결핀이 체결핀 결속부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고정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분리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커버 외피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분리형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분리형 체결핀이 커버 외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분리형 체결핀이 체결돌기 삽입홀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탈착형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서 탈착형 힌지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바디 외피의 힌지부 조립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4 및 도 25는 탈착형 힌지부가 바디 외피에 조립되는 과정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를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200)를 포함한다.
바디부재(10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재(100)는,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닥면의 길이가 긴 한 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한 쌍의 장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닥면의 길이가 짧은 한 쌍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한 쌍의 단측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바디부재(100)는 내부에 단열재(300) 내장을 위하여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110)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150)로 이루어져 있고, 도 2와 같이 바디 외피(110) 내에 바디 내피(150)가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되며, 바디 외피(110) 내면과 바디 내피(150) 외면 사이에는 단열재(300)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 외피(110)와 바디 내피(150)는 일반적인 사출성형으로 제조 가능하고, 단열재(300)는 경제성 및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단열성능의 단열재(300)부터 진공단열재와 같은 높은 단열성능의 단열재까지 내장 가능하다.
바디 외피(110)와 바디 내피(150) 사이에 단열재(300)가 내장된 상태에서 바디 외피(110)와 바디 내피(150)를 초음파융착, 열융착과 같은 방법으로 융착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바디 외피(110) 가장자리와 바디 내피(150)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 융착면(a)은, 바디 외피(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1바디 연장부(111)의 상면과, 바디 내피(15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2바디 연장부(151)의 하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 연장부(111) 상면 전체가 바디 융착면(a)이 된다. 그러나 제2바디 연장부(151) 하면은 바깥쪽 일부분만 바디 융착면(a)이 되는데, 이는 제2바디 연장부(151)의 하면에 단열재(300)를 바디 융착면(a)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한 바디 가이드리브(152)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바디 가이드리브(152)는 제2바디 연장부(151)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3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바디 융착면(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단열재(3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바디 가이드리브(152)와 바디 내피(150) 외면 사이에 단열재(300)의 상단 가장자리가 위치함으로써, 단열재(300)는 바디 융착면(a)으로부터 일정거리 도피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단열재(300)를 보호하는 열 차폐구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바디 가이드리브(152)와 바디 내피(150) 외면 사이에 단열재(300)를 삽입하여 안정적인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바디 가이드리브(152)는 제2바디 연장부(151)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바디 가이드리브(152)는, 도 4와 같이 제2바디 연장부(151) 하면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153)가 바디 가이드리브(152)와 제2바디 연장부(151)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디부재(100)의 각 측벽은, 도 1과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경우 도 5와 같이 보냉상자의 바디부재(100) 내부에 다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100)가 놓이게 된다. 이렇게 여러 개의 바디부재(100)를 포개는 경우 경사진 측벽에 의해 측벽의 일부분만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는 측벽의 경사각을 조절하면, 여러 개의 바디부재(100)를 포개는 경우 바디부재(1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보관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면, 측벽의 1/2 이상이 서로 겹치도록 포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외피(110)의 서로 겹치지 않는 상측부(115)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바디 외피(110) 내면과 단열재(300) 사이에는 제1공간(B)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 내피(150)의 서로 겹치지 않는 하측부(155)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바디 내피(150) 외면과 단열재(300) 사이에는 제2공간(C)이 형성된다. 이렇게, 바디 내피(150)가 포개어 지는 경우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제1공간(B) 및 제2공간(C)이 형성됨으로써, 이 제1,2공간(A, B) 내에 진공단열재의 흡습제 수용이 가능하고, 진공단열재의 흡습제로 인해 측벽의 두꺼워질 수 있는데, 두꺼워지는 부분을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보냉상자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 외피(110)의 상측부(115)에는, 도 1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 외피(110)의 단측벽 상측부(115)의 일부분만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단측벽 상측부(115)의 양측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측부(115)의 중간은 상부 일부만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인데, 이렇게 일부분만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부(115) 중간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도 1과 같은 손가락 걸림편(116)을 형성하여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만, 손잡이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 외피(110)의 상측부(115)에 의해 넓어진 단면공간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으로 돌출된 바디 내피(150)의 하측부(155)에는, 도 2와 같이 디바이더 삽입홈(15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더 삽입홈(155a)은 하측부(155)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하측부(155)의 상단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도 6과 같이 바디부재(100) 내에 디바이더(4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더 삽입홈(155a)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양측 폭이 좁도록 형성되어 있어, 디바이더(400)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디 내피(150)의 양측벽에 한 쌍의 디바이더 삽입홈(155a)이 형성되어 있어, 디바이더(400)의 양측이 지지되며, 이러한 한 쌍의 디바이더 삽입홈(155a)을 여러 개 형성하면, 필요에 따라 디바이더(400)를 바디부재(100)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거나, 여러 개의 디바이더(400)를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냉상자를 회수할 때와 같이 디바이더(4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바이더(400)를 보냉상자의 바닥면에 놓으면, 디바이더(400)가 보냉상자에 들어간 상태로 다수의 보냉상자를 포개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냉상자를 포개더라도 경사진 측벽에 의해 보냉상자의 바닥면과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 내에 디바이더(400)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바디 내피(150)의 하측부(155)에 의해 넓어진 단면공간을 이용하여 디바이더 삽입홈(155a)을 형성하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재(100) 내에 디바이더(400)를 조립하면, 저온물품의 냉기로 인해 상온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바이더(400)는 EPP와 같이 연질, 단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커버부재(200)는 바디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부재(200)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단열재(300) 내장을 위하여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210)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250)로 이루어져 있고, 커버 외피(210)와 커버 내피(250) 사이에는 단열재(300)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외피(210)와 커버 내피(250)는 일반적인 사출성형으로 제조 가능하고, 단열재(300)는 경제성 및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단열성능의 단열재(300)부터 진공단열재와 같은 높은 단열성능의 단열재까지 내장 가능하다.
커버 외피(210)와 커버 내피(250) 사이에 단열재(300)가 내장된 상태에서 커버 외피(210)와 커버 내피(250)를 초음파융착, 열융착과 같은 방법으로 융착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커버 외피(210) 가장자리와 커버 내피(250)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융착면(b)은, 커버 외피(21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제1커버 돌출부(211)의 하면과, 커버 내피(25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제2커버 돌출부(251)의 상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 돌출부(211) 하면 전체가 커버 융착면(b)이 되고, 제2커버 돌출부(251) 상면 전체가 커버 융착면(b)이 된다.
단열재(300)의 가장자리를 커버 융착면(b)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단열재(300)를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리브(252)는 커버 내피(2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가이드리브(252)는, 도 3과 같이 커버 내피(25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제2커버 돌출부(251)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열재(300)의 가장자리를 커버 융착면(b)으로부터 일정거리 도피시킴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단열재(300)를 보호하는 열 차폐구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커버 내피(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제2커버 돌출부(251) 내에 단열재(300)를 삽입하여 안정적인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가이드리브(252)는, 도 7과 같이 제2커버 돌출부(251) 내측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디부재(100)와 커버부재(200)에 관한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할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100A, 100B, 100C)와 커버부재(200A, 200B, 200C)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편의상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A)와 이에 적용되는 바디부재(100A)를 예시로 도시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이므로 바디부재를 100번으로 표기하고, 커버부재를 200번으로 표기하였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커버부재(200)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A, 200B, 200C)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커버부재(200A)는 고정형 커버부재이고, 도 8의 (b)에 도시한 커버부재(200B)는 분리형 커버부재이며, 도 8의 (c)에 도시한 커버부재(200C)는 탈착형 커버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A, 200B, 200C)를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두 종류의 바디 외피(110-1, 110-2)와, 도 10에 도시한 두 종류의 바디 내피(150-1, 150-2)를 제안한다.
도 8의 (a)의 고정형 커버부재(200A)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9의 (a)에 도시한 바디 외피(110-1)와, 도 10의 (a)에 도시한 바디 내피(150-1)를 조합한 바디부재(100A)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의 (b)의 분리형 커버부재(200B)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9의 (a)에 도시한 바디 외피(110-1)와, 도 10의 (b)에 도시한 바디 내피(150-2)를 조합한 바디부재(100B)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의 (c)의 탈착형 커버부재(200C)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9의 (b)에 도시한 바디 외피(110-2)와, 도 10의 (b)에 도시한 바디 내피(150-2)를 조합한 바디부재(100C)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종류의 바디 외피(110-1, 110-2)와, 두 종류의 바디 내피(150-1, 150-2)를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세 가지 바디부재(100A, 100B, 100C)를 제조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A, 200B, 200C)를 사용할 수 있다. 두 종류의 바디 외피(110-1, 110-2)와, 두 종류의 바디 내피(150-1, 150-2)에 관한 설명은 하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A, 200B, 200C)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커버부재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커버부재(200A)를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였다. 고정형 커버부재(200A)는 바디부재(100A)에 항상 고정되어 있다.
도 11은 고정형 커버부재(200A)의 커버 외피(210)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 외피(210)는 두 부분(210a, 210a')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커버 외피(210a, 210a')는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커버 외피(210a, 210a')가 서로 접하는 부분은 요부(212a, 212a')와 철부(214a, 214a')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어느 일측 커버(210a)의 철부(214a)가 타측 커버(210a')의 요부(212a')에 형성된 안착리브(213a') 위에 놓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 개의 커버 외피(210a, 210a')는 요부(212a, 212a')와 철부(214a, 214a')가 서로 맞물리면서 닫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각 커버 외피(210a, 210a')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커버 외피(210a, 210a')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 11과 같이 바디부재(100A)의 장측벽 측에 배치되는 커버 외피(210a, 210a')의 가장자리에 힌지축부(21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내피(150-1)의 제2바디 연장부(151)의 상면에는 힌지축부(215)가 삽입되는 힌지축부 삽입부(15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축부 삽입부(153)는 장측벽 상단에 배치된 제2바디 연장부(151)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각 커버 외피(210a, 210a')는 바디 내피(150-1)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도 8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나아가, 도 11과 같이 각 커버 외피(210a, 210a')에는, 서로 접하는 부분의 어느 일측에 고정형 체결핀(220)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고정형 체결핀(220)의 일부분은 커버 외피(210a, 210a')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고정형 체결핀(220)을 이동시키기 편리하며, 이러한 고정형 체결핀(220)은 직선 이동하여 도 12의 (b)와 같이 끝단이 커버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도 13과 같이 고정형 체결핀(220)의 하면에는 돌기(221)가 마련되어 있고, 커버 외피(210a)의 고정형 체결핀(220)이 수용된 내측에는 돌기(221)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수용홈은(211)은, 고정형 체결핀(220) 전체가 커버 외피(210a)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와, 고정형 체결핀(220) 끝단이 커버 외피(210a)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돌기(221)가 돌기수용홈(222)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형 체결핀(2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형 체결핀(220)은, 도 11과 같이 어느 하나의 커버 외피(210a)의 접하는 부분 가장자리 일측에 마련되면, 나머지 하나의 커버 외피(210a')의 접하는 부분 가장자리 타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커버 외피(210a, 210a')의 각 고정형 체결핀(220)은 반대로 배치된다.
커버 외피(210a)의 접하는 부분 가장자리에 고정형 체결핀(220)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에는, 반대측의 커버 외피(210a')에 마련된 고정형 체결핀(220) 상부를 덮는 덮개부(230)가 마련되는 것이 미관상 보기 좋다.
이와 같이, 각 커버 외피(210a, 210a')의 접하는 부분 가장자리 일측에는 고정형 체결핀(220)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덮개부(23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외피(210a, 2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형 체결핀(22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0의 (a)와 같이 제2바디 연장부(151)의 상면에는 체결핀 결속부(15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핀 결속부(154)는 단측벽 상단에 배치된 제2바디 연장부(151)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각 커버 외피(210a, 210a')의 서로 접하는 부분이 맞물리도록 닫힌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커버 외피(2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형 체결핀(220)의 끝단이 바디 내피(150-1)의 체결핀 결속부(154)에 삽입됨으로써, 각 커버 외피(210a, 210a')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커버 외피(210a)의 고정형 체결핀(220)을 바디 내피(150-1)에 체결하면, 커버 외피(210a)와 반대측 커버 외피(210a')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커버 외피(210a, 210a')를 서로 맞물리도록 닫은 상태에서, 고정형 체결핀(220)을 체결핀 결속부(154)에 삽입하면, 커버 외피(210a, 210a')가 바디 내피(150-1)에 결합되므로 배송시 흔들림이나 전도와 같은 사고 발생시에도 커버부재(200A)가 열리지 않으므로 안전한 물품 배송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 외피(210a)와 커버 내피(250a)가 융착되어 결합된 상태인 커버부재(200A)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4에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의 커버부재(200A)만을 도시하였으며, 하기에서 설명할 패킹(230)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커버부재에 모두 적용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외피(210a)의 하면에 제1커버 돌출부(211)와 이격하도록 상단가이드(216)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1커버 돌출부(211)가 형성된 외측으로 상단가이드(2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내피(250a)의 상면에 제2커버 돌출부(251)와 이격하도록 하단가이드(256)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2커버 돌출부(251)가 형성된 외측으로 하단가이드(25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커버 돌출부(211)와 제2커버 돌출부(251)는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는 반면, 상단가이드(216)와 하단가이드(256)는 서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 상단가이드(216)와 하단가이드(256) 사이에 패킹(230)이 고정된다.
이렇게, 커버부재(200A)의 커버 융착면(b) 근처에 냉기 손질방지용 패킹(230)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융착에 의한 덧살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고, 패킹 삽입 구조를 위해 금형을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 축소와 생산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커버부재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커버부재(200B)를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하였다. 분리형 커버부재(200B)는 바디부재(100B)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커버부재(200B)의 커버 외피(2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 연장부(216)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연장부(216)는, 도 16과 같이 상방연장부(216a)와 외측연장부(216b)와 하방연장부(216c)로 이루어진다.
상방연장부(216a)는 커버 외피(210b)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연장부(216b)는 상방연장부(216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방연장부(216c)는 외측연장부(216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방연장부(216a), 외측연장부(216b), 하방연방부(216c)에 의해 도 16과 같이 하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일부가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와 같이 커버 외피(21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간 중 단측벽 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가 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217f)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에는, 도 16과 같이 체결핀 누름부(217a)와 탄성고리 눌림부(217b)와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와 결합돌기 수용부(217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체결핀 누름부(217a)는 누름부(51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방연장부(216a) 및 외측연장부(216b)를 잇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고리 눌림부(217b)는 하방연장부(216c)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탄성고리(520)와 맞닿아 탄성고리(520)의 탄성 변형이 잘 일어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는 외측연장부(216b)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특히, 체결핀 누름부(217a)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는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에 수용되는 누름부(510)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아 누름부(51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결합돌기 수용부(217d)는 외측연장부(216b)의 내면의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 외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하기에서 설명할 결합돌기(550)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돌기 수용부는 외측연장부(216b)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내에 수용되는 분리형 체결핀(500)을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 체결핀(500)은 누름부(510)와 탄성고리(520)와 탄성고리 보호면(530)과 탄성축(540)과 결합돌기(550)와 체결돌기(560)를 포함한다.
누름부(510)는 외측연장부(216b), 하방연방부(216c), 양측의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에 의해 형성되는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 내에 수용되며, 체결핀 누름부(217a)에 의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고리(520)는 누름부(510)의 양측면을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홀(520a)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탄성고리 보호면(530)은 누름부(510) 및 탄성고리(520)의 하측에 마련되는데, 누름부(510)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누름부(510) 및 탄성고리(520)와 평행하도록 마련된다.
탄성축(540)은 탄성고리 보호면(530)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결합돌기(550)는 탄성축(540)에 마련되는데, 탄성축(540)의 끝단으로부터 누름부(510)와 평행하도록 기립되어 있고, 끝단에는 결합돌기 수용부(217d) 내에 걸릴 수 있도록 돌기(5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 수용부(217d) 내에는, 도 19와 같이 결합돌기(550) 끝단에 형성된 돌기(551)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7e)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560)는 누름부(510)의 하측에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고리 보호면(53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560)의 끝단에는 제2바디 연장부(151)의 체결돌기 삽입홀(157)에 걸릴 수 있도록 돌기(56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56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형 체결핀(500)의 체결돌기(5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도 10의 (b)와 같이 바디 내피(150-2)에는 체결돌기 수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돌기 수용부(156)는 바디 내피(150-2)의 제2바디 연장부(151)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내피(150-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2바디 연장부(151)의 바디 융착면(a)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체결돌기 수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 수용부(156)의 상측은 체결돌기(5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체결돌기(560)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5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 삽입홀(157)이 바디 내피(150-2)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형 체결핀(500)이 커버 외피(210b)의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에 수용된 상태를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였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510)와 탄성고리(520)는 외측연장부(216b), 하방연방부(216c), 양측의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에 의해 형성되는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 내에 수용된다. 이때, 체결핀 누름부(510)에 의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탄성고리(520)의 중간부분은 탄성고리 눌림부(217b)와 맞닿는 상태이다.
그리고 결합돌기(550)는 결합돌기 수용부(217d)내에 수용되고, 결합돌기(550) 끝단에 형성된 돌기(551)는 걸림턱(217e)에 걸림으로써, 분리형 체결핀(500)이 커버 외피(210b)의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결합돌기(550)는 결합돌기 수용부(217d)내에 수용될 때, 탄성축(54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돌기(550)가 슬라이딩면 가이드(217c)를 넘어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217)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형 체결핀(500)이 결합된 커버부재(200B)를 바디부재(100B)에 닫은 상태는 도 8의 (b)와 같다.
이렇게 커버부재(200B)를 바디부재(100B)에 닫으면, 특별한 외력이 없는 경우 도 20의 (a)와 같이 탄성고리(52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510)가 체결핀 누름부(217a)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체결돌기(560)가 체결돌기 수용부(156) 내에 수용되고, 체결돌기(560) 끝단의 돌기(561)는 체결돌기 삽입홀(157)에 걸림으로써, 커버부재(200B)가 바디부재(100B)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부재(200B)를 바디부재(100B)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도 18의 (a)와 같이 체결핀 누름부(217a)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누름부(510)를 도 18의 (b)와 같이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누르면, 도 20의 (b)와 같이 탄성고리(520)가 탄성고리 눌림부(217b)와 맞닿아 있어 탄성고리 눌림부(217b)에 의해 탄성고리(520)가 누름부(510)와 가까워지면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체결돌기 삽입홀(157)로부터 체결돌기(560) 끝단의 돌기(561)가 삽입 해제된다. 이로써, 커버부재(200B)를 상부로 들어올리기만 하면 바디부재(100B)가 열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200B)를 바디부재(100B)에 닫을 경우 분리형 체결핀(500)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되어 닫힘 상태가 유지되며, 누름부(217a)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누름부(510)를 누르면서 들면, 분리형 체결핀(500)이 체결 해제되면서 동시에 바디부재(100B)로부터 커버부재(200B)를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한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외피(210b)의 하면에 제1커버 돌출부(211)와 이격하도록 상단가이드(216)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1커버 돌출부(211)가 형성된 외측으로 상단가이드(2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내피(250a)의 상면에 제2커버 돌출부(251)와 이격하도록 하단가이드(256)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2커버 돌출부(251)가 형성된 외측으로 하단가이드(25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커버 돌출부(211)와 제2커버 돌출부(251)는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는 반면, 상단가이드(216)와 하단가이드(256)는 서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 상단가이드(216)와 하단가이드(256) 사이에 패킹(230)이 고정된다.
이렇게, 커버부재(200B)의 커버 융착면(b) 근처에 냉기 손질방지용 패킹(230)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융착에 의한 덧살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고, 패킹 삽입 구조를 위해 금형을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 축소와 생산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커버부재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커버부재(200C)를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하였다.
탈착형 커버부재(200C)는 바디부재(100C)에 고정시키거나 바디부재(100C)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커버부재(200C)에는 탈착형 힌지부(240)와 탈착형 체결핀(600)이 마련되어 있다. 즉, 바디부재(300C)의 장측벽 측에 배치되는 탈착형 커버부재(200C)의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탈착형 힌지부(240)가 마련되고, 반대측 가장자리에는 탈착형 체결핀(600)이 마련된다.
이러한 탈착형 힌지부(240)와 탈착형 체결핀(600)은, 도 21과 같이 커버 외피(210c)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적재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탈착형 힌지부(240)와 탈착형 체결핀(60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다.
커버 외피(210c)의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탈착형 힌지부(240)는, 도 22와 같이 힌지몸체부(241)와 커버용 힌지축(242)과 탈착형 힌지축(243)을 포함한다.
힌지몸체부(241)의 어느 일측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242)이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242)은 커버 외피(210c)에 형성된 힌지삽입부(218)에 삽입된다.
힌지몸체부(241)의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242)이 마련된 반대측 양측면에는 한 쌍의 탈착형 힌지축(243)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몸체부(241)에는 회전반경 제한돌기(24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반경 제한돌기(244)는 힌지몸체부(2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2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회전반경 제한돌기(244)가 마련되면, 힌지몸체부(241)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22의 (a)와 같이 회전반경 제한돌기(244)가 커버 외피(210c)에 부딪혀 더 이상 상방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힌지몸체부(241)가 커버 외피(210c)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위치까지만 회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힌지몸체부(241)를 하방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22의 (b)와 같이 힌지몸체부(241)의 외측면이 커버 외피(210c)에 부딪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힌지몸체부(241)가 커버 외피(210c)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위치까지만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탈착형 힌지부(240)는 커버 외피(210c)에 대해 회전반경을 90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형 힌지부(240)가 조립되도록 바디 외피(110-2)에는 도 9의 (b)와 같이 힌지부 조립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 조립부(117)는 바디 외피(110-2)의 장측벽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부 조립부(117)는 탈착형 힌지부(24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립된 탈착형 힌지부(117)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 조립부(117)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개방부(117a)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방부(117a)의 개방된 폭이 탈착형 힌지축(243)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탈착형 힌지축(243)이 수용되는 개방부(117a)의 개방된 폭이 탈착형 힌지축(243)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의도치 않게 탈착형 힌지축(243)이 힌지부 조립부(1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형 힌지부(240)가 바디 외피(110-2)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몸체부(241)가 커버 외피(210c)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도에서, 탈착형 힌지축(243)을 힌지부 조립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도 25와 같이 커버부재(200C)를 바디부재(100C)의 상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이 발생하면서 탈착형 힌지축(243)이 힌지부 조립부(117)에 체결된다.
탈착형 힌지축(243)을 바디부재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커버부재(200C)를 바디부재(100C)의 상면으로부터 90도 이상이 되도록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방으로 누르면, 탈착형 힌지축(243)이 힌지부 조립부(117)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커버 외피(210c)의 탈착형 힌지부(240)가 마련된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탈착형 체결핀(600)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외피(210c)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탈착형 체결핀(600)은 체결핀몸체부(610)와 가이드부(620)와 걸림부(630)를 포함한다.
체결핀몸체부(610)는 커버 외피(210c)에 형성된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에 안착된다. 도 26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 내에는 가이드부 삽입홀(미도시)과 걸림부 삽입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620)는 체결핀몸체부(610)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고,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 내에 형성된 가이드부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체결핀몸체부(6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걸림부(630)는 체결핀몸체부(610)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되, 가이드부(620)와 평행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620)의 양측에 각각 걸림부(630)가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각 걸림부(630)의 끝단에는 걸림돌기(6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630)는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 내에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에 삽입되고, 걸림돌기(631)에 의해 탈착형 체결핀(600)이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형 체결핀(600)이 조립되도록 바디 외피(110-2)에는 도 9의 (b)와 같이 체결핀 체결부(11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핀 체결부(118)는 바디 외피(110-2)의 장측벽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탈착형 힌지부(240)와 탈착형 체결핀(600)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힌지부 조립부(117)와 체결핀 체결부(118)도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핀 체결부(118)는 탈착형 체결핀(600)이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핀 체결부(118)는 탈착형 체결핀(600)의 가이드부(620)와 걸림부(630)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이고, 체결핀 체결부(118)의 양측에는 걸림부(630)의 걸림돌기(631)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걸려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 체결홀(11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탈착형 체결핀 안착부(219)와 체결핀 체결부(118)가 서로 맞닿도록 한 다음 체결핀몸체부(610)를 하방으로 누르면, 걸림부(630)의 걸림돌기(631)가 걸림돌기 체결홀(118a)에 걸려 체결됨으로써, 도 8의 (c)와 같이 바디부재(100C)에 커버부재(100C)가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바디부재(100C)로부터 커버부재(100C)를 열고자 할 때에는, 걸림돌기 체결홀(118a)에 노출되어 있는 양측의 걸림돌기(631)를 내측으로 동시에 누르면, 걸림돌기(631)가 걸림돌기 체결홀(118a)로부터 체결해제됨으로써, 커버부재(100C)의 개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냉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번째, 보다 슬림한 형태의 측벽을 지닌 보냉상자를 제시하여, 외부 규격대비 최대한의 물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두번째, 서로 포개짐이 가능함에 따라, 물류효율과 보관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어, 이에 따른 보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세번째, 재활용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보냉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바디 외피(110) 가장자리와 바디 내피(150)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a)이 마련되어 있고, 커버 외피(210) 가장자리와 커버 내피(250)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b)이 마련되어 있어, 각 외피와 내피에 상하로 굴곡지지 않고 평평한 융착면(a,b)가 마련됨에 따라, 융착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밀 및 보냉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100A, 100B, 100C : 바디부재 110, 100-1, 100-2 : 바디 외피
111 : 제1바디 연장부 115 : 상측부
150, 150-1, 150-2 : 바디 내피 151 : 제2바디 연장부
152 : 바디 가이드리브 155 : 하측부
200, 200A, 200B, 200C : 커버부재 210, 210a, 210b : 커버 외피
211 : 제1커버 돌출부 240 : 탈착형 힌지부
250, 250a, 250b : 커버 내피 251 : 제2커버 돌출부
252 : 커버 가이드리브 300 : 단열재
400 : 디바이더 500 : 분리형 체결핀
510 : 누름부 520 : 탄성고리
530 : 탄성고리 보호면 540 : 탄성축
550 : 결합돌기 560 : 체결돌기
600 : 탈착형 체결핀
111 : 제1바디 연장부 115 : 상측부
150, 150-1, 150-2 : 바디 내피 151 : 제2바디 연장부
152 : 바디 가이드리브 155 : 하측부
200, 200A, 200B, 200C : 커버부재 210, 210a, 210b : 커버 외피
211 : 제1커버 돌출부 240 : 탈착형 힌지부
250, 250a, 250b : 커버 내피 251 : 제2커버 돌출부
252 : 커버 가이드리브 300 : 단열재
400 : 디바이더 500 : 분리형 체결핀
510 : 누름부 520 : 탄성고리
530 : 탄성고리 보호면 540 : 탄성축
550 : 결합돌기 560 : 체결돌기
600 : 탈착형 체결핀
Claims (16)
-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 및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바디 내피 사이 및 상기 커버 외피와 상기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바디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바디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재의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어, 여러 개의 상기 바디부재를 포개는 경우 상기 경사진 측벽에 의해 상기 측벽의 일부분만 서로 겹치며,
상기 바디 외피의 서로 겹치지 않는 상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피의 서로 겹치지 않는 하측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 내피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에 상기 단열재의 흡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외피의 상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피의 하측부에 디바이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융착면은,
상기 바디 외피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1바디 연장부의 상면과,
상기 바디 내피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2바디 연장부의 하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바디 연장부 하면에는,
상기 단열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상기 바디 융착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가이드하는 바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 및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외피와 상기 바디 내피 사이 및 상기 커버 외피와 상기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바디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바디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바디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외피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내피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서로 맞닿는 커버 융착면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커버 융착면은,
상기 커버 외피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제1커버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제2커버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에는,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를 상기 커버 융착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단열재를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의 하면에 상기 제1커버 돌출부와 이격하도록 상단가이드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커버 내피의 상면에 상기 제2커버 돌출부와 이격하도록 하단가이드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상단가이드와 상기 하단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각 커버 외피는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 외피에는 힌지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바디 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축부가 삽입되는 힌지축부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각 커버 외피는 상기 바디 내피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 커버 외피에는, 서로 접하는 부분의 어느 일측에 고정형 체결핀이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형 체결핀은 직선 이동하여 끝단이 상기 커버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바디 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형 체결핀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속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각 커버 외피가 서로 맞물리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체결핀의 끝단이 상기 체결핀 결속부에 삽입되면, 상기 각 커버 외피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5항에 있어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양측면을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고리와,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누름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분리형 체결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탄성고리 측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고리가 상기 누름부와 가까워지면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바디 연장부로부터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 해제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탄성고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 체결 가능한 방향으로 상기 누름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체결핀은,
상기 누름부 및 상기 탄성고리의 하측에 상기 누름부 및 상기 탄성고리와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고리 보호면과,
상기 탄성고리 보호면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탄성축과,
상기 탄성축에 마련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외피에는,
상기 커버 외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연장부와,
상기 외측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로 이루어진 커버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방연장부, 상기 외측연장부, 상기 하방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가 수용되는 분리형 체결핀 수용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방연장부 및 상기 외측연장부를 잇는 홀 형상의 체결핀 누름부와,
상기 하방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고리와 맞닿아 상기 탄성고리의 탄성 변형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탄성고리 눌림부와,
상기 외측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누름부의 양측면과 각각 맞닿아 상기 누름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면 가이드와,
상기 외측연장부의 내면의 상기 슬라이딩면 가이드 외측에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도록 마련된 결합돌기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 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는 체결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체결돌기 수용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돌기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피에는,
어느 일측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탈착형 힌지부와,
상기 탈착형 힌지부가 장착된 반대측의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탈착형 체결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바디 외피에는,
상기 탈착형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립된 상기 탈착형 힌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힌지부 조립부와,
상기 탈착형 체결핀이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핀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힌지부와 상기 탈착형 체결핀은 상기 커버 외피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힌지부는,
힌지몸체부와,
상기 힌지몸체부 어느 일측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 외피에 장착되는 한 쌍의 커버용 힌지축과,
상기 힌지몸체부 반대측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탈착형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 조립부는,
하방으로 개방되되, 개방된 폭이 상기 탈착형 힌지축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몸체부는,
상기 힌지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한 쌍의 상기 커버용 힌지축 사이에 배치된 회전반경 제한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힌지몸체부 외측면이 상기 커버 외피에 부딪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각도에서부터,
상기 회전반경 제한돌기가 상기 커버 외피에 부딪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도까지 상기 커버 외피에 대해 90도의 회전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힌지몸체부가 상기 커버 외피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도에서, 상기 탈착형 힌지축을 상기 힌지부 조립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의 상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이 발생하면서 상기 탈착형 힌지축이 상기 힌지부 조립부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의 상면으로부터 90도 이상이 되도록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탈착형 힌지축이 상기 힌지부 조립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체결핀은,
체결핀몸체부와,
상기 체결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체결핀몸체부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체결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마련되며,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 체결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8539A KR102254344B1 (ko) | 2019-11-19 | 2019-11-19 | 보냉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8539A KR102254344B1 (ko) | 2019-11-19 | 2019-11-19 | 보냉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4344B1 true KR102254344B1 (ko) | 2021-05-21 |
Family
ID=7615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8539A KR102254344B1 (ko) | 2019-11-19 | 2019-11-19 | 보냉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434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5794B1 (ko) * | 2021-12-14 | 2022-08-24 |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 단열 용기 |
KR102586872B1 (ko) | 2022-08-23 | 2023-10-10 | 엔피씨(주)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KR102605028B1 (ko) | 2022-11-29 | 2023-11-23 | 엔피씨(주) |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71A (ja) * | 1989-05-30 | 1991-01-08 | Gunze Ltd | 加水分解性医用材料の包装方法 |
JPH0656668U (ja) * | 1993-01-14 | 1994-08-05 | リョービ株式会社 | 保冷箱 |
JP2002154544A (ja) * | 2000-11-20 | 2002-05-28 | Seikatsu Club Consumers'co-Operative Union | 積み重ね容器 |
JP2013090907A (ja) * | 2011-10-06 | 2013-05-16 | Canon Marketing Japan Inc | カートリッジ |
KR20140008281A (ko) * | 2011-09-08 | 2014-01-21 | 기요히로 와케 | 항균제 파우치 |
KR101961945B1 (ko) * | 2017-03-07 | 2019-03-25 | 주식회사 플라즈맵 | 멸균제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멸균 포장 용기 |
KR20190057036A (ko) * | 2019-05-17 | 2019-05-2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과농 | 친환경 고농도 액상 살균소독제의 저장용기 및 이의 사용방법 |
-
2019
- 2019-11-19 KR KR1020190148539A patent/KR102254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71A (ja) * | 1989-05-30 | 1991-01-08 | Gunze Ltd | 加水分解性医用材料の包装方法 |
JPH0656668U (ja) * | 1993-01-14 | 1994-08-05 | リョービ株式会社 | 保冷箱 |
JP2002154544A (ja) * | 2000-11-20 | 2002-05-28 | Seikatsu Club Consumers'co-Operative Union | 積み重ね容器 |
KR20140008281A (ko) * | 2011-09-08 | 2014-01-21 | 기요히로 와케 | 항균제 파우치 |
JP2013090907A (ja) * | 2011-10-06 | 2013-05-16 | Canon Marketing Japan Inc | カートリッジ |
KR101961945B1 (ko) * | 2017-03-07 | 2019-03-25 | 주식회사 플라즈맵 | 멸균제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멸균 포장 용기 |
KR20190057036A (ko) * | 2019-05-17 | 2019-05-2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과농 | 친환경 고농도 액상 살균소독제의 저장용기 및 이의 사용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5794B1 (ko) * | 2021-12-14 | 2022-08-24 |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 단열 용기 |
KR102586872B1 (ko) | 2022-08-23 | 2023-10-10 | 엔피씨(주) | 경량화 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KR102605028B1 (ko) | 2022-11-29 | 2023-11-23 | 엔피씨(주) |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4344B1 (ko) | 보냉상자 | |
US5746314A (en) | Disc case | |
JP4049274B2 (ja) | 中間蓋を有する多段積層式容器 | |
US20030192888A1 (en) | Fastening mechanism for package device | |
US9868569B2 (en) | Waterproof storage box | |
KR20210055991A (ko) | 보냉상자 | |
US20220400824A1 (en) | Three-proof earbuds box protective case | |
KR960007233B1 (ko) | 카세트 테이프 격납용 박스 | |
CN112810966A (zh) | 保温容器 | |
US20110120906A1 (en) | Drawer storage with magnetic connectors | |
RU2302361C2 (ru) | Коробка для сверл | |
KR20240012481A (ko) | 저장 용기 | |
CN112854932A (zh) | 铰链组件、铰链组件的安装方法和容器 | |
CN210832487U (zh) | 移动空调器 | |
US20130312218A1 (en) |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 |
CN104270994A (zh) | 化妆品盒子 | |
US6109707A (en) | Storage case for recording media | |
KR102605028B1 (ko) |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
CN216157405U (zh) | 铰链组件和容器 | |
GB1602694A (en) | Nestable containers | |
JP7289010B2 (ja) | 可動プレート付きのヒンジ部品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 |
KR100992046B1 (ko) | 식품용기 | |
JP6057324B2 (ja) | コンテナセット | |
KR20140139868A (ko) | 다중 결합 및 변형이 가능한 단열상자 | |
KR20140001905U (ko) | 치아 보관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