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701B1 -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701B1
KR102464701B1 KR1020210182312A KR20210182312A KR102464701B1 KR 102464701 B1 KR102464701 B1 KR 102464701B1 KR 1020210182312 A KR1020210182312 A KR 1020210182312A KR 20210182312 A KR20210182312 A KR 20210182312A KR 102464701 B1 KR102464701 B1 KR 10246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work
terminal
manpower
manag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호 filed Critical 김대호
Priority to KR102021018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업무의 종류,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업무의 종류, 인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구축부,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관리자 단말에서 시급 및 업무난이도를 설정하여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추출된 사용자 단말로 업무요청을 전달하는 전달부,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 후 확정을 하도록 하는 확정요청부, 관리자 단말에서 확정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의 스케줄 확인창(Window)에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도록 설정하는 스케줄링부를 포함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ANPOWER BROKERAGE SERVICE}
본 발명은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업무의 종류, 날짜 및 시간을 기준으로 상호 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인력을 중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경제불황 및 실업률 증가로 2030 세대는 아르바이트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프리터족이 증가하고 있다. 프리터족이란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일컫는데, 최저시급 인상 후 업주들은 인원 감축을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아르바이트생의 업무량은 더욱 늘어났기에, 그만큼 아르바이트 구인자리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다. 구인구직 애플리케이션은 맞춤형 중개에서 스마트 맞춤형 중개로 발전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구직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고, 소비자 일각에선 정보의 신속성이 관건인 아르바이트 구인 구직 시장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맞춤 조건의 아르바이트 채용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고, 곧바로 지원해 신속하고 편리하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인구직 애플리케이션은 알바몬 및 알바천국으로 아르바이트 구인 특성상 위치 데이터를 활용한 입력 형식이 차이점이다.
이때, 구인구직 매칭을 진행하거나 중개를 진행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1504호(2010년06월29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102110호(2020년08월31일 공개)에는, 인터넷 상 구인구직시 상대방에 대한 검증정보를 제공하여 구인구직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호 간 평가정보를 저장하고 비교 및 검증하는 구성과, 인력 및 장비를 매칭하기 위하여 구직자 및 구인자 간 서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장비 수요자가 제시하는 대여조건에 적합한 장비를 대여할 수 있도록 인력까지 매칭해주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단기 구인구직의 기간개념이 더 세밀화 및 초단기화되면서 몇 시간 동안만 일을 하는 시간 단위 구인구직의 중개가 요구되고 있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검증정보만을 제공할 뿐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수요자, 장비 및 인력을 모두 매칭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초단기 아르바이트에서 시간단위 매칭을 제공하는 구성이 아니다. 이에, 업무가 가능한 날짜, 시간 및 업무종류만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이와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구인구직자를 상호 간 검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은 업무가 가능한 날짜, 시간 및 업무 종류를 업로드하여 인력풀에 등록하고, 관리자 단말은 업무 종류, 날짜 및 시간을 기입하여 구직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에서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고용횟수, 성별 및 업무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을 하는 경우, 승낙을 조건으로 관리자 단말로 컨펌을 요청하며, 승낙 및 컨펌으로 계약이 체결되면 업무가 완료되는 경우 업무평가를 업데이트받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업무의 종류,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업무의 종류, 인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저장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 및 조회가 실행되는 경우에 검색 및 조회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 간 의사표시를 전달함으로써 계약을 체결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구축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시급 및 업무난이도를 설정하여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추출된 사용자 단말로 업무요청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 후 확정을 하도록 하는 확정요청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확정을 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의 스케줄 확인창(Window)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도록 설정하는 스케줄링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업무요청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상기 시급을 취소설정하는 취소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업무평가를 업로드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평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업무평가,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확인하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부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등록할 때, 달력 형태의 포맷에서 상기 업무가 가능한 날짜를 선택하고, 타임테이블 내 시간 슬롯(Slot)을 선택하여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입력이 가능하고, 입력된 거주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역별 분류자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의 종류를 입력할 때, 신입 또는 경력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업무의 종류가 건설기능직일 경우에 건설 현장에 제공되는 자료와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에게 수집되는 자료를 토대로 업무능력 활용 데이터를 마련하여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의 능력과 작업정보를 제공 및 관리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업무가 가능한 날짜, 시간 및 업무 종류를 업로드하여 인력풀에 등록하고, 관리자 단말은 업무 종류, 날짜 및 시간을 기입하여 구직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에서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고용횟수, 성별 및 업무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을 하는 경우, 승낙을 조건으로 관리자 단말로 컨펌을 요청하며, 승낙 및 컨펌으로 계약이 체결되면 업무가 완료되는 경우 업무평가를 업데이트받을 수 있으므로 시간 단위 초단기 아르바이트의 중개 및 매칭이 가능해지고, 계약체결과정이 증거로 저장됨으로써 상호 간 채무가 불이행되었을 시 다툼의 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인력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력을 중개받는 구직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력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저장하며 관리자 단말(400)에서 검색 및 조회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 간 의사표시를 전달함으로써 계약을 체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인력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인력을 검색하고 원하는 인력을 선택하여 업무요청을 전달하며 이에 따른 수락 및 컨펌이 존재하는 경우 스케줄표에 해당 인력을 할당하여 업데이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의 관리자는 기업의 채용담당이나 인력관리담당 또는 소상공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축부(310), 추출부(320), 전달부(330), 확정요청부(340), 스케줄링부(350), 취소부(360), 평가부(370), 업데이트부(380) 및 부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로 인력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인력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축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업무의 종류,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하여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등록할 때, 달력 형태의 포맷에서 업무가 가능한 날짜를 선택하고, 타임테이블 내 시간 슬롯(Slot)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무의 종류를 입력할 때, 신입 또는 경력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기타박스 내 텍스트로 직접 수행 프로젝트나 경력 등을 기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는 지역(거주지) 및 동네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이후에 관리자 단말(400)에서 검색을 할 때 지역 또는 동네 등의 검색자나 분류자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인구직 직종이 건설기능인력이라고 가정하면 기능인력의 전문성과 프로세스의 관리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할 수 규정이 명확해야 한다. 건설공사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자재, 노동력, 장비를 투입하여 생산하는 업무이며, 건설기능인력의 숙련도에 대한 의존이 높기때문에 공기지연, 품질저하, 생산성에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건설기능인력의 세부별 업무능력은 기능인력의 전문성과 숙련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체력, 숙련도, 정신력, 기술력, 성실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업무능력을 등급별로 구분할 수 있다. 건설기능인력의 세부별 업무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제공되는 자료와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에게 수집되는 자료를 토대로 업무능력 활용 데이터를 마련함으로써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 능력과 작업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건설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표 1과 같을 수 있다.
구분 내용
체력 건설근로자의 나이와 건강상태, 신체적 조건을 기준으로 능력
숙련도 건설근로자의 업무이해와 작업경력
정신력 건설업무 수행시 스트레스나 정신적 검정
생산성 1일 기준으로 1시간동안 생산량
성실도 평균근무 일수
추출부(32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추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업무의 종류, 인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전달부(33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시급 및 업무난이도를 설정하여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추출된 사용자 단말(100)로 업무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업무난이도의 경우 주관적인 평가기준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량적인 평가 기준이 요구된다. 일을 시키는 입장에서는 그냥 쉬운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일을 하는 입장에서는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커피전문점에서 바리스타로 일을 하는데 100 잔을 기준으로 시간 당 10 잔을 뽑는 것을 보통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이때, [업무난이도-보통-10잔 기준]으로 설정하고, 억지부리거나 되지 않는 서비스나 음료를 막무가내로 요구하는 손님이나 마스크를 써달라고 했더니 난동을 부리는 손님이 왔다고 가정하면, 막무가내로 요구하는 손님에 대해 커피 5 잔의 업무와 동일하다고 설정하고, 난동을 피우는 손님은 커피 30 잔에 대응하는 스트레스나 시간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난이도를 증감시킬 수도 있다. 이때, 아메리카노를 기준으로 10 잔이고, 만약 프라푸치노, 카페라테 등 추가적인 동작이나 업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만들기 난이도에 따라 0.2 잔 또는 1 잔 등을 더 추가하는 방법으로 난이도를 체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시간 당 뽑아야 하는 커피의 수도 많고, 커피의 품질은 최고로 유지해야 하는데, 진상이나 갑질 고객도 많으며, 상사나 관리자로부터 독촉까지 받아 모든 커피를 빨리 내려달라고 재촉을 당하는데, 청소나 화장실이나 변기가 막혔다는 것까지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업무 난이도를 최상으로 올려 시급을 더 요구할 수도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시급은 관리자가 정하는 것이지만, 업무 난이도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각 업무 난이도는 CCTV를 기준으로 바리스타가 뽑은 커피의 잔 수, 종류, 상사의 독촉이나 재촉의 횟수와 주기, 진상이나 갑질 고객의 수 등을 정량 데이터로 산정하여 시급을 증감시킬 수 있다.
확정요청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무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로 전달한 후 확정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자의 컨펌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링부(35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확정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의 스케줄 확인창(Window)에 사용자 단말(100)이 등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몇 일에 몇 명의 인력이 배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인력이 배치가 되지 않은 타임슬롯(Time Slot)이 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빈 칸, 즉 인력이 할당되지 않은 시간 대에는 달력 내 스케줄표 내 셀(Cell)에 가능한 인력의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삽입하는 방식으로 추천을 해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달력형태의 포맷이 존재하고, 달력 내 날짜에 대응하는 셀을 클릭하면 시간순으로 각 타임슬롯이 배치되어 있는데, 배치가 되지 않은 시간대에, 해당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 직무가 가능한 인력 리스트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삽입해주면 관리자는 굳이 검색을 하지 않아도 그 시간대의 칸(Cell)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인력충원 및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달력은 이하 표 2와 같을 수 있고, 날짜에 대응하는 스케줄은 표 3과 같을 수 있다. 이미 B,C,D,.. 등으로 기재된 것들은 스케줄이 할당된 것이고, 추천리스트로 뜨는 것들은 인력이 할당되지 않아 인력을 채워야 하는데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해당 날짜 및 시간에 해당 직무가 가능한 이들을 뽑아서 추천을 하여 나열해둔 것이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일일이 검색을 해보지 않아도 어떤 날짜 또 어떤 시간에 누가 가능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별점을 통하여 어느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고 어느 부분에서 나쁜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스케줄표 내에서도 바로 관리자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100) 간 연락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도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오전 인력 오후 인력
10 B 12 C,D
11 B 1 E
12 C,D 2 E
3 F
4 추천리스트-G,H,Z
5 추천리스트-H
6 추천리스트-Z,X
취소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무요청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시급을 취소설정할 수 있다. 상대방의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 이를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에 빠른 계약 체결 및 프로세스 완료를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다음 사람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컨택(자동)이 될 수도 있으며 관리자가 다시 추천 리스트로부터 사람을 골라 컨택(수동)할 수도 있다.평가부(37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업무평가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구인자와 구직자들 간의 계약이 끝난 상태에서 서로의 근무 태도, 상황 등을 평가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가 다수 축적되어 빅데이터가 되면 또 하나의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고, 어떠한 스펙보다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한다고 가정하면, ① Android Studio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제작한다. 이때, Xml 코드와 Java코드를 사용하여 각 화면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생성된 화면을 Bracket에 저장하고 php코드를 작성한다. ② php 코드를 이용하여 firebase에 저장되어있는 DB와 연동시킨다. Firebase에 안드로이드 제작에 연동되는 DB를 생성할 수 있다 구직자 정보와 구직자 검색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정보를 입력하였을 시 바로 Firebase DB에 저장되게끔 설정할 수 있다. 구직자 정보를 등록하면 구직자 DB가 생성이 되고 별점을 선택하였을 시 그 구직자의 별점이 자동 설정되도록 PHP코드와 DB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별점은 뭉뚱그려 5 점 등과 같은 시스템이 아니고 상술한 각 평가항목별로 별점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400)에서 로그인 했을 때 메인 화면으로 구직자들과 모범구직자를 정렬해놓을 수 있다. 구직자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정보는, 구직자의 정보와 구직자가 전에 받았던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 키를 이용하여 구인자와 연락을 주고 받을 수도 있다. 구직자를 조건별로 검색할 수도 있는데 각 항목을 클릭하면 그 조건에 맞는 구인자들을 클릭 즉시 업데이트하고 구인자는 별점 높은 순서대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인자가 구직자와 연결해제(Disconnect)를 했을 때, 뜨는 창으로 구직의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게 몇 가지 항목과 개인적으로 하고 싶은 말을 기재할 수 있는 윈도우를 더 제공해줄 수 있고, 이는 다른 구직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이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로 별점을 부여한 경우는 계약을 한 것을 전제로 하므로 별점이 부여된 경우 고용된 횟수를 + 1 시킬 수 있다.
부여부(39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업무평가,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확인하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날짜, 시간, 업무종류 및 경력 등을 입력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하고, (b) 관리자 단말(400)에서 날짜, 시간 및 업무종류로 검색하는 경우 리스트를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c) 관리자 단말(400)은, 하나의 셀에 대응하는 구직자를 클릭하면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와 같이 시급과 업무 난이도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업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무를 수락하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확정을 요청하고, (b) 스케줄을 확인하여 시간슬롯을 할당(빈 칸(□)을 인력할당(▨)으로 변경)한 후, (c)와 같이 관리자 화면에서 각 시간슬롯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몇 일 몇 시에 인력이 몇 명이 배치되었고 빠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 업무가 끝나면 상호 간 업무평가를 실시한 후 이는 누적 및 업데이트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한다(S5100).
그리고,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고(S5200), 관리자 단말에서 시급 및 업무난이도를 설정하여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추출된 사용자 단말로 업무요청을 전달한다(S5300).
또,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 후 확정하고(S5400), 관리자 단말에서 확정을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의 스케줄 확인창(Window)에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도록 설정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업무의 종류,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업무의 종류, 인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저장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 및 조회가 실행되는 경우에 검색 및 조회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 간 의사표시를 전달함으로써 계약을 체결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구축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시급 및 업무난이도를 설정하여 업무요청을 하는 경우, 추출된 사용자 단말로 업무요청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 후 확정을 하도록 하는 확정요청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확정을 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의 스케줄 확인창(Window)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도록 설정하는 스케줄링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업무요청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상기 시급을 취소설정하는 취소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업무평가를 업로드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평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업무평가, 고용된 횟수 및 스케줄을 확인하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부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업무가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을 등록할 때, 달력 형태의 포맷에서 상기 업무가 가능한 날짜를 선택하고, 타임테이블 내 시간 슬롯(Slot)을 선택하여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 입력이 가능하고, 입력된 거주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역별 분류자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업무의 종류를 입력할 때, 신입 또는 경력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업무의 종류가 건설기능직일 경우에 건설 현장에 제공되는 자료와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에게 수집되는 자료를 토대로 업무능력 활용 데이터를 마련하여 건설기능인력의 개개인의 능력과 작업정보를 제공 및 관리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82312A 2021-12-20 2021-12-20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12A KR102464701B1 (ko) 2021-12-20 2021-12-20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12A KR102464701B1 (ko) 2021-12-20 2021-12-20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01B1 true KR102464701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312A KR102464701B1 (ko) 2021-12-20 2021-12-20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563A (ja) * 2004-03-09 2005-09-22 Toshiba Tec Corp 勤務管理装置
KR20160049133A (ko) * 2014-10-24 2016-05-09 기민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KR20170130028A (ko) * 2016-05-18 2017-11-28 오은주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0236A (ko) * 2018-11-01 2020-05-11 이창기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JP2021166027A (ja) * 2020-04-04 2021-10-14 フードゲート株式会社 シフトマッチン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563A (ja) * 2004-03-09 2005-09-22 Toshiba Tec Corp 勤務管理装置
KR20160049133A (ko) * 2014-10-24 2016-05-09 기민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KR20170130028A (ko) * 2016-05-18 2017-11-28 오은주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0236A (ko) * 2018-11-01 2020-05-11 이창기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JP2021166027A (ja) * 2020-04-04 2021-10-14 フードゲート株式会社 シフトマッチング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3623A1 (en) Unified Workforce Platform
US10664775B2 (en)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temporary workers
TWI536288B (zh) Project schedule control method and its system
KR102197286B1 (ko)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5700B1 (ko)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20212B1 (ko)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8818A (ko)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60032433A (ko) 온라인을 이용한 구인 구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9548A (ko) 업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104079A (ja) 人材紹介管理システム
JP2019194860A (ja) 求人情報提供サーバ及び/又は求職情報提供サーバ並びに求人情報受領プログラム
KR101793053B1 (ko) 인턴 육성 통합관리시스템
KR102464701B1 (ko)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26896B1 (ko) 복수 프랜차이즈를 위한 슈퍼바이저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3089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sites
KR20160015415A (ko) 전자 전달사항 통합 운영 시스템
JP2002352044A (ja) 総務・人事・労務データ管理サーバーシステム
JP2006268722A (ja) シフト表作成システム
CN105955718A (zh) 一种软件定制方法及系统
JP201807772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80150A (ja) 人材派遣紹介サービス総合支援システム及び人材派遣紹介サービス総合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サーバ装置
KR102644464B1 (ko) 출장 및 외근신청시 자동으로 근무지를 설정해주는 인사근태관리 시스템
KR20200100953A (ko) B2b 협업 및 협력을 위한 비즈미팅 전문 플랫폼 시스템
TWM510498U (zh) 專案進度控管裝置
KR102597643B1 (ko) 디자인 작업에 대한 erp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