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286B1 -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286B1
KR102197286B1 KR1020200049767A KR20200049767A KR102197286B1 KR 102197286 B1 KR102197286 B1 KR 102197286B1 KR 1020200049767 A KR1020200049767 A KR 1020200049767A KR 20200049767 A KR20200049767 A KR 20200049767A KR 102197286 B1 KR102197286 B1 KR 10219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act
manpower
company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삼
Original Assignee
조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삼 filed Critical 조용삼
Priority to KR102020004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을 배치하고, 작업 시간 및 휴게 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시간 및 수당 지급 체계에 대응하도록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하는 비용산출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치된 인력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SERVICE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ALARY TRANSACTION PER STAKEHOLDER}
본 발명은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근로형태 및 거래업체별 인력배치 및 임금정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근로형태의 다양화로 파악되는 현상은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내에서 근로자와 관련하여 업무가 구체적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노무제공의 수단이나 방법, 근로시간이나 장소 등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지휘명령의 구속을 받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 기업들은 탈중심화, 수평적 계층화 등 다양한 경영기법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산업구조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한 구조개편이 이루어진지 오래되었다. 현행 근로기준법도 근로계약을 명시적으로 규정하여 근로자의 근로제공에 대한 사용자의 임금지급이라는 쌍무계약의 특성을 밝히고 있고, 근로의 대가로서 지급되는 임금은 원칙적으로 근로시간의 양에 비례하여 입금액을 산정하는 방식이 입법화되어 있다. 다만, 기업에서는 정보화, 기술혁신 등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근로제공방식에 대한 재량의 여지가 커지고 있어서 일률적인 근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때,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임용에서 퇴직까지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35573호(2016년07월01일 공고)에는,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이력 관리, 전입 및 전출 관리, 휴직 및 근태 관리, 증명서 발급관리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인사관리모듈, 사회 보험 대상자 관리, 자격 취득 및 상실 신고 관리, 보험료 납부 및 정산관리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보험관리모듈과, 급여 운영, 급여 대상, 급여명세서 관리, 급여 계산 및 조정 관리, 급여 지급 관리,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관리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급여관리모듈, 퇴직 대상자 관리, 평균 임금 산출 관리, 퇴직금 정산 관리, 퇴직금 영수증 발급 관리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퇴직관리모듈을 포함하고, 모든 수기 문서와 실무자에게 과중한 업무 부담을 주던 회계업무 처리를 모두 전산화해 자료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하나의 근무지에서 근로를 하는 노무자를 대상으로 비용관리를 수행한 것일 뿐, 복수의 근무지에 복수의 인력을 배치 및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를 고려한 플랫폼이 아니다. 그리고, 기간제 또는 단시간 근로자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근로형태, 예를 들어, 근로계약의 도급화로 인한 근로계약관계의 변화나, 도급계약이나 위임계약의 형식 또는 파견근로계약을 통한 근로계약의 성립에 대한 고려는 되어 있지 않다. 근로계약의 도급화와 같은 근로형태의 다양화가 발생하고 있는 현 시점에 다양한 형태의 근로형태를 포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급계약, 위임계약 및 파견근로계약과 같은 특수고용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에 배치할 인력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로 다른 수당 지급 체계에 따라 각 인력을 제공하는 노무자에게 비용이 정산될 수 있도록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비용을 정산하며, 자동으로 정산된 비용이 자동으로 각 노무자의 계좌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담당자에 의해 근태 관리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정산된 비용은 로그로 저장하여 정산 내역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을 배치하고, 작업 시간 및 휴게 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시간 및 수당 지급 체계에 대응하도록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하는 비용산출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치된 인력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도급계약, 위임계약 및 파견근로계약과 같은 특수고용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에 배치할 인력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로 다른 수당 지급 체계에 따라 각 인력을 제공하는 노무자에게 비용이 정산될 수 있도록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비용을 정산하며, 자동으로 정산된 비용이 자동으로 각 노무자의 계좌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담당자에 의해 근태 관리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정산된 비용은 로그로 저장하여 정산 내역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을 등록하여 거래업체를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을 등록하여 인력풀을 생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에서 요구하는 인력의 종류, 수, 시간 등에 대응하여 인력을 배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근로관계에서 사용자(Employer)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서비스를 사용하여 인력배치를 수행하는 사용자(User)의 의미로 정의한다. 물론, 파견근로계약에서 실제 사용자(Employer)일 수도 있겠지만, 인력을 배치하고 비용을 정산하기 위해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정의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의 위치, 수당 지급 체계, 필요한 인력의 종류 등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가 모두 구축이 된 후에는 인력배치를 위하여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미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거래업체, 작업장 등을 선택한 후, 매 번 달라지는 정보는 인력을 배치할 때마다 입력하는 방식으로 인력배치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거래업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거래업체별로 요구하는 인력의 수, 종류, 시간, 날짜, 위치, 수당 및 수당 지급 체계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일일이 거래업체, 위치 등을 입력하지 않고 선택만 하면 되도록 페이지를 구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력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배치 및 입력하면, 배치된 거래업체에서 제시하는 수당, 시간, 수당 지급 체계 등에 따라 정산을 실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정산 후 급여이체는 자동화 지급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시 한번 검토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직원의 근태를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기 계약된 파견근로금액을 지급 및 정산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필요한 인력의 종류, 시간, 위치, 수당, 수당 지급 체계 등을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력 배치 현황, 근로 현황 및 비용 정산 현황을 조회하거나 알림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비용산출부(320), 관리부(330) 및 이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로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은,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업체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초기 데이터 구축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등을 모두 입력해야 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을 배치하고, 작업 시간 및 휴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성명, 업체명, 사업장 및 사업장별 작업위치를 기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업체가 A이고, B 내지 Z의 사업장을 가지고 있다면, A-[B,....,Z]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수당 지급 체계는, "가" 직군에는 시간 당 3만원 등과 같이 설정된 금액에 대한 체계와, 지급일(정산일)이 언제인지, 야근 수당이나 초과 근무 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수당 지급 체계는, 정산 일자, 시간 당 임금, 출장 지원 여부, 숙소 지원 여부, 휴게 시간 및 작업 시간에 따른 초과 근무 수당 여부, 교통비 지급 여부, 야간 또는 휴일 수당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견근로의 경우, 이하의 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당 지급 체계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로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근로기준법 및 관련법령이 개정되는 경우, 개정된 법률 및 법령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근로자 유무 및 근로자의 수
2. 임금 및 임금의 구성항목
3. 업무 시작 및 종료의 시각과 휴게시간에 관한 사항
4. 휴일·휴가에 관한 사항
5. 연장·야간·휴일근로에 관한 사항
6.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7. 복리후생시설의 이용에 관한 사항
또한,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의 작업일, 작업위치, 업체 담당자, 장비명, 작업내용, 위험포인트, 조치사항, 특이사항, 관리자패트롤, 특별수당,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의 성명, 업체명, 사업장 및 사업장별 작업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비용산출부(320)는, 시간 및 수당 지급 체계에 대응하도록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당 3만원이고, 4시간을 일했다고 가정하면 12만원의 비용이 정산될 수 있다. 이때, 비용산출부(320)는, 사용자(Employer)와 노무자(근로자, Employee) 간의 근로계약서를 기반으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실물로 보관할 경우 5가지 문제 - 계약서 작성 사실 부인, 계약서 전체 위조, 계약서 내용 변조, 계약서의 법적 보관 기간 준수 여부 확인의 어려움, 계약서 관리 미흡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계약 체결 과정을 보면, 체결된 전자문서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전체 위조, 일부분 변조가 불가능하다. 서명의 과정에서 신원 검증을 거치기 때문에 계약 작성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전자 계약은 암호학적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만 체결된 계약서를 확인할 수 있고, 계약서 법적 보관 기간을 알려주어 보관과 폐기에 대한 문제도 해결된다. 이런 이점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사용에 따른 절차적 복잡성과 비용문제, 기존 서면 계약의 익숙함 때문에 전자 계약 방식은 종이 계약 방식보다 이용률이 낮다.
특히, 비정규 시간제 근로의 경우는 계약서의 형식이 다양하고, 한 사람이 여러 사람과 계약을 체결할 수 있고, 근로계약 기간이 짧아서 계약 체결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계약 체결 방식은 근로의 특수성에 의해 비교적 간편한 서면 계약 방식을 많이 따른다. 그 결과 비정규 시간제 근로자에게 서면 계약 방식의 문제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임금체불 경험 설문조사에 따르면 비정규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68%가 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후술할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비정규 시간제 근로 계약에 대해 위조, 변조, 부정이 불가능하며, 전자상으로 간편하게 비용부담 없이 계약서를 작성하고 열람할 수 있는 안전한 시간제 근로계약 체결 및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비정규 시간제 근로 상황에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표준근로계약서 양식에 대해 전자 상으로 근로계약을 작성 및 체결, 열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근로 계약서, P2P 네트워크, 계약서 보관용 스토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업체 단말(400) 및 노무자 단말(500)은, 근로 계약 상황에 따라 각각 근로자, 사업주가 될 수 있고, 여러 개의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체결된 계약은 두 명의 클라이언트(서버-클라이언트 관계에서의 클라이언트)가 근로자, 사업주 및 업체로 나뉘어 쌍으로 존재할 수 있고, 키 생성, 전자 근로계약서 작성, 작업증명, 계약서 검증, 저장, 열람의 6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근로계약서는 표 2에 제시된 표준 근로계약서 양식을 따르지만, 각 계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업주 이름
근로 계약 기간
근무 장소
업무 내용
소정 근로 시간
휴게 시간
근무일(요일)
휴일(요일)
임금(금액/ 상여금 여부 및 금액 / 기타 급여
여부 및 금액/ 지급날짜/ 지급 방법)
사회보험 적용 여부
날짜
서명(사업체 이름/ 전화번호/ 주소/ 대표자)
근로자 이름
서명(주소/ 연락처/ 성명)
우선, 근로계약서 작성 및 체결 단계는 키 생성 단계부터 시작한다. 클라이언트는 최초 1회에 한하여 계약 체결 과정 중 사용할 공개키, 개인키 쌍을 생성한다. 타원 곡선 암호를 기반으로 랜덤하게 생성된 한 쌍의 키가 부여된다. 생성된 키는 Base64로 인코딩 되어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전자 근로계약서 작성이다. 계약서 작성은 사업주가 시작한다. 계약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을 취소할 수 있고, 디지털서명을 검증하는 단계에서 검증에 실패하면 계약은 자동으로 취소된다. 계약서 내용 작성 세부 프로토콜은 이하와 같다.① 사업주(사용자 단말(100))는 신규 계약서를 생성하고, Employer-Data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자상으로 작성하여 추가하고, 근로자(노무자 단말(500))에게 전송한다. ② 근로자는 Worker-Data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자상으로 작성하여 추가하고, ③ 근로자는 계약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한 후 사업주에게 전송하고, ④ 사업주는 근로자의 서명이 유효하면 자신의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계약서를 근로자에게 전송한다. ⑤ 근로자는 최종적으로 서명을 검증한다. 근로자가 마지막 검증에 성공하면, 완성된 전자 계약서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작성한 계약서가 된다. 최종적으로 블록체인 내에 전자 계약서가 등록된다.
그 다음은 작업증명을 실시한다. 모든 클라이언트들은 가장 정확한 블록체인 내 노드를 업데이트한다. 그 후 근로자는 최종 검증한 계약서를 설정된 시스템의 작업난이도에 맞는 논스(Nonce) 값을 구하여 유효한 블록을 생성해 낸다. 블록헤더의 해쉬값은 기 설정될 수 있으며, 논스(Nonce)는 블록체인 내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브로드캐스팅된다. 그 다음은 계약서 검증인데, 모든 클라이언트들은 전송받은 블록이 유효한지 검증 후, 블록체인에 계약서를 올리게 된다. 만약 유효하다고 판단한 클라이언트(노드) 수가 과반수 이상이면, 검증에 성공하고, 근로자는 전자 계약서를 블록체인 내 각 노드로 브로드캐스트하게 된다. 모든 클라이언트는 "추가" 작업을 수행하여 체인을 갱신하게 되며, 이로써 전자 계약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렇게 체결된 계약서는 각 클라이언트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로컬 스토리지와 시스템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근로 계약서(전자 계약서)를 로컬 스토리지에서 열람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개인키로 계약서 파일을 복호화하여 열람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계약서를 열람하는 경우, 검색하여 반환받은 파일을 클라이언트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열람할 수 있다.
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배치된 인력의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노무자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배치되는 경우 이에 대한 통보를 메세지로 수신할 수 있다. 업체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업체 담당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업체 단말(400)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의 근태를 입력할 수 있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사용자 및 총기 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체부(340)는, 비용산출부에서 산출된 임금을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의 계좌로 수당 지급 체계에 포함된 정산 일자에 대응하여 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체부(340)에서 실행한 이체 결과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체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의 승인을 얻는 과정을 더 부가함으로써 이체에 신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의 개입없이 자동화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을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구성되고, 이체부(34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비용산출부에서 산출된 임금을 정산 일자의 도래를 정지조건으로 하는 정지조건부 계약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임금을 지급할 수 있다. 기한의 도래로 임금을 지불하는 것은 확정기한부 채무이지만, 정지조건부 계약으로 설정한 이유는 근태에 따라 또는 계약에 따라 임금 지급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3일 동안 도급계약을 하고 4일째 되는 날에 도급의 결과물을 제공하기로 했는데 지연되었다고 가정하면, 지연된 날짜만큼 패널티가 가해질 수도 있으므로 정지조건 내에 업체 단말(400)의 승인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승인 여부는 불확실한 조건이기 때문에 불확실한 사실에 근거하여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그 효력을 발하는 정지조건부 계약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신뢰관계가 쌓이지 않은 계약당사자의 경우 서로 위험, 즉 리스크를 안고 시작할 수 있다. 위임계약이나 도급계약과 같은 형태로 고용계약이 이루어진 경우, 업체 단말(400) 측에서는 납기, 품질, 정밀도 등의 위험, 수주하는 사용자 단말(100) 측에서는 정산불이행 리스크, 하자담보책임 및 발주인인 수요자나 업체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발주취소, 발주변경 또는 설계변경 등에 따른 비용부담의 리스크를 안고 시작한다. 여기서, 하자담보책임이나 사정변경으로 인한 비용부담은 해당 법률에 근거하여 처리하고, 이체부(340)에서는, 위험이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계약당사자의 조건을 관리하고, 이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자동으로 정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체부(340)는, 승인을 업체 단말(400)에서 진행하지만, 각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승인 간주처리하여 정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각 조건이 만족되었음에도 업체 단말(400)의 자금부족 등의 사정으로 인하여 제 때 사용자 단말(100) 및 노무자 단말(500)로 정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 즉 인력을 관리하는 업체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업체 단말(400)에서 설정하거나, 채권자인 사용자 단말(100)과 합의로 설정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응형 ERP 플랫폼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공급망 적응형 ERP는, 기업의 기본정보와 이 기업의 공급망에 연결되어 있는 타 기업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기업기본정보는 해당 기업의 현재 상태를 정량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되며, 매출, 직원 수, 업종, 업무 부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기본정보와 가치사슬(Value Chain)정보를 분석 후, 기업간 ECDL(Enterprise Capability Description Language)와 ERDL(Enterprise Requirement Description Capability)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된 ECDL과 ERDL의 온톨로지는 미들웨어(Middle ware)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ECDL은 기업이 생산자(공급자)로서 필요한 제조 공급망 내의 생산능력을 기술하는 온톨로지이고, ERDL은 기업이 소비자(수요자)로서 필요한 제조 공급망 내의 생산요구조건을 나타내는 온톨로지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자동차부품기업 A 고객사와 B 협력사 사이에는 제조 공급망 내에서 제조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ERP 시스템이 필요하다. A 기업에서 자동차부품 A에 대한 생산계획이 나오면, 부품 A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 B에 대한 발주정보가 생성되고 A 기업에서 B 기업으로 전달된다. B 기업은 부품 B에 대한 자재 재고관리와 생산계획을 조정하고 납품전표를 발행한다. A 기업은 부품 B의 품질을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하면 B 기업에 클레임(Claim)을 한다. 이러한 상황과 같이, 중소 자동차 부품 업체는 기업간 정보 교환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적응형 ERP 모듈 설계를 위해 입력한 기업의 공급망 정보는 ECDL/ERDL로 변환되고 SCXML(State Chart XML)로 표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기업 기본정보, 공급망 정보, 생산능력(Capability), 생산요구조건(Requirem-ent)은, ECDL과 ERDL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를 분석하여 기업에 적합한 ERP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ECDL과 ERDL은 기업간 이종 정보를 체계화하여 호환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온톨로지로 구축된 언어는 하나의 논리 이론으로 표현되어 있고, 사용된 용어(Term)간 공리(Axiom)로 표현 되어 있으므로 SCXML로 표현이 가능하다.
데이터 구조는, 적응형 ERP의 기준자료가 되는, 기업기본정보 설정기준은 ERP 구축기업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기업의 운영 및 전략과 관련된 정보, 그리고 다양한 정량적 지표를 참고하여 결정할 수 있다. 기업 기본정보에는 기업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매출과 직원 수, 모듈 설계를 위한 기업의 업종과 업무부서 설정이 있다. 또한, 기업간 정보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관련 정보와 협력사-고객사 관계도가 포함되어 있다. 기업 기본정보 기준을 설정한 후,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기업 내, 외부의 업무 연관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업정보는 기업하부구조, 인적자원관리, 기술개발, 조달, 내부 로지스틱스, 생산활동, 외부로지스틱스, 마케팅 및 판매, 그리고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ERP 시스템에서는 기업 내부 자원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SCM(Supply Chain Management)상에서 다른 기업과 거래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른 기업과 공유가 필요한 정보는 온톨로지 기반의 ECDL/ERDL을 만들고, SCXML 코드를 생성한다. 즉, ERDL을 생성하면, 자사의 생산요구조건이 미들웨어를 통해 다른 기업에게 공유된다. 그리고 미들웨어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기업의 ECDL을 참고하여 거래요청을 할 수 있다. 두 기업간 이해관계가 맞을 경우 신규 거래가 발생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적응형 ERP 시스템은 기업기본정보 입력, 기본 모듈 설계, 상세 모듈 설계로 크게 구분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본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기업기본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세부적으로는 네 단계로 구분 한다. 첫 단계에서는 기업 기본정보 중, 기업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기업의 매출액과 직원 수를 입력한다. 두 번째에는, 특화 모듈 설계를 위해 업종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표적 자동차 부품 기업의 업종을 선택한다면, 내장, 차체금형, 금속, 전장 4가지 중 하나를 선택 할 수 있다. 세 번째에서는 고객사와 협력사 정보를 입력한다.
상세 모듈 설계를 위해, 기업의 생산 능력(Capability) 및 고객사의 생산 요구조건(Requirement)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기업기본정보 중, 적응형 ERP 시스템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서와 업무를 입력한다. 해외 기업이 공급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출 통관, 선적, 비용 등 수출입에 관련된 모듈을 선택 할 수 있다. 무역관련 업무가 없다면 선택 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자재/구매 모듈을 분리하거나 통합할 수 있으며, 완성된 ERP는, 필요에 따라 재선택하여 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응형 ERP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의 정보 교환은 온톨로지 기반으로 작성된 ERDL과 ECDL을 사용하기에 추가적인 정보 구축 없이 가능하다. 공급기업과 고객사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 요구조건과 생산능력이 맞으면 미들웨어 역할을 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에 의해 양사에 필요한 ERP 기능들이 추출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를 등록하고 작업장을 등록하며 각종 수당 지급 체계를 등록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b)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력을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로부터 등록받으며 인력풀을 구성하여 스케줄이 겹치지 않게 인력 배치가 될 수 있도록 각각의 스케줄을 등록받는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화 및 인력풀 구축이 완료되었으면,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력 및 시간 등을 입력받고, 인력배치 알림을 노무자 단말(500) 및 업체 단말(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d)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 수당 및 기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임금을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본 발명의 서비스 화면이다. 각 메뉴 및 이에 따른 정보를 볼 수 있는데, 우선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로그인을 한 후 기본정보 메뉴의 하위메뉴인 파트너를 선택하는 경우, 각 파트너, 즉 업체 단말(400)의 업체 정보를 정리할 수 있고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그리고, 도 3c를 참조하면, 기본정보 메뉴의 하위 메뉴인 작업장, 도 3d는 기본정보 메뉴의 하위 메뉴인 휴일관리가 각각 도시된다. 작업장 메뉴에서는 작업장을 구분할 수 있는 명칭, 근무시간, 점심시간, 저녁시간, 교통비 지급 여부 등을 입력,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고, 휴일관리 메뉴에서도 임의의 기간 중 휴일은 언제인지, 몇 요일인지 등을 입력, 편집 및 조회할 수 있다.
도 3e는 인원관리 메뉴의 하위 메뉴인 계정관리 메뉴인데,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이나 사용자 단말(100)의 아이디, 사원번호, 입사일, 출장비, 숙소지원, 작업수당 등을 입력, 편집 및 조회할 수 있다. 도 3f는 인원관리 메뉴의 하위 메뉴인 권한관리 메뉴인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느 페이지에 엑세스를 할 수 있고, 어느 것을 수정하고 입력할 수 있는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g 내지 도 3i는 근무관리 메뉴의 하위메뉴를 각각 설명하는데, 이는 개인근무현황, 파트너별현황 및 기간별현황으로 구분된다. 이때, 도 3g는 노무자 단말(500)의 노무자가 어디에서 언제 몇 시간 근무하는지를 조회할 수 있고, 도 3h는 파트너, 즉 노무자 단말(500)이 업체 단말(400)의 업체에 투입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는 어디인지 장비는 어떠한 것들이 투입되었는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i는 기간별로 몇 일에 주간 야간으로 나뉘어서 누가 몇 시간 동안을 근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메뉴가 추가, 삭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 거래업체에 인력을 배치하는 화면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각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이름이 성명란에 기재되고, 사용자 단말(100)은 그 다음에 인력을 배치할 거래업체 명을 선택한 후, 거래업체의 지사나 사업장이 여러 군데인 경우 배치할 사업장의 이름을 선택하며, 반도체 플랜트와 같이 작업장의 위치까지 결정해야 하는 경우 도 4b와 같이 작업장의 위치도 함께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각종 특이사항이나 별도 기재사항을 입력받고, 해당 회사에서 해당 인력에게 숙소나 출장지원을 하는지 등을 체크한 후 도 4d로 넘어가서 시간을 기재한다. 법정 8시간 근로인 경우 1 시간의 휴게시간을 주어야 하고, 근무시간에 따라 야근으로 처리되는 등의 법정 또는 계약상 내용들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몇 시간 근로계약이 되어 있는지, 그 시간은 몇 시부터 몇 시까지인지를 기입하기만 하면 인력배치는 끝이 난다. 그 이후 정산과정은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진행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이체 전에 한 단계, 즉 검수 과정이 더 부가되는 경우 자동으로 결산된 금액을 확인하는 역할만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고(S5100), 시간 및 수당 지급 체계에 대응하도록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한다(S5200). 또,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치된 인력의 스케줄을 관리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을 배치하고, 작업 시간 및 휴게 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요구되는 인력의 종류, 인원 수, 수당 지급 체계, 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상기 시간 및 수당 지급 체계에 대응하도록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하는 비용산출부(32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배치된 인력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관리부(330)를 포함하는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성명, 업체명, 사업장 및 사업장별 작업위치를 기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의 작업일, 작업위치, 업체 담당자, 장비명, 작업내용, 위험포인트, 조치사항, 특이사항, 관리자패트롤, 특별수당,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의 성명, 업체명, 사업장 및 사업장별 작업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매핑하여 저장하며,
    상기 수당 지급 체계는, 정산 일자, 시간 당 임금, 출장 지원 여부, 숙소 지원 여부, 휴게 시간 및 작업 시간에 따른 초과 근무 수당 여부, 교통비 지급 여부, 야간 또는 휴일 수당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력의 노무자 단말(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업체 담당자의 업체 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체 단말(400)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상기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업체별 인력의 근태를 입력하며,
    상기 비용산출부(320)는, 상기 노무자 단말(500)을 운영하는 근로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운영하는 사업주 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등록하되, 그 등록은, 사업주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신규 계약서를 생성하고, Employer-Data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자상으로 작성하여 추가하고, 근로자가 소지한 노무자 단말(500)에게 전송하며, 근로자는 노무자 단말(500)을 통해 Worker-Data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자상으로 작성하여 추가하고, 근로자는 노무자 단말(500)을 통해 계약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한 후 사업주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업주는 근로자의 서명이 유효하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계약서를 근로자의 노무자 단말(500)에게 전송하며, 근로자는 노무자 단말(500)을 통해 최종적으로 서명을 검증하여, 완성된 전자 계약서인 사업주와 근로자가 작성한 계약서는 블록체인 내에 전자 계약서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비용산출부(320)에서 산출된 임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의 계좌로 상기 수당 지급 체계에 포함된 정산 일자에 대응하여 이체하는 이체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체부(340)에서 실행한 이체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무자 단말(500)을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구성되고,
    상기 이체부(34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상기 비용산출부(320)에서 산출된 임금을 상기 정산 일자의 도래를 정지조건으로 하는 정지조건부 계약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49767A 2020-04-24 2020-04-24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9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67A KR102197286B1 (ko) 2020-04-24 2020-04-24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67A KR102197286B1 (ko) 2020-04-24 2020-04-24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286B1 true KR102197286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67A KR102197286B1 (ko) 2020-04-24 2020-04-24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2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5233A (zh) * 2021-01-28 2021-05-11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汽车零部件分配中心选址方法
CN113472543A (zh) * 2021-07-20 2021-10-0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就业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220111056A (ko) * 2021-02-01 2022-08-09 박우진 인력공유 및 구인업체 임금체불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510664B1 (ko) * 2021-11-19 2023-03-16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블록체인 기반 p2p 근로자 임금 지불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86315A1 (en) * 2021-11-08 2023-06-15 Super Hom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including adjudication
KR102547887B1 (ko) * 2022-10-14 2023-06-27 주식회사 엑셀시오르콘텐츠랩 영상산업 회계 및 인사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CN117236778A (zh) * 2023-10-08 2023-12-15 广州网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灵活用工的智能结算管理系统
CN117236778B (zh) * 2023-10-08 2024-05-31 广州网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灵活用工的智能结算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430A (ko) * 2007-11-06 2009-05-11 허문행 온라인 기반의 인력 관리 에이전트 시스템
KR20200006514A (ko)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99234B1 (ko) * 2019-07-24 2020-04-09 최상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랜덤추첨으로 원금을 선지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430A (ko) * 2007-11-06 2009-05-11 허문행 온라인 기반의 인력 관리 에이전트 시스템
KR102099234B1 (ko) * 2019-07-24 2020-04-09 최상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랜덤추첨으로 원금을 선지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06514A (ko)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5233A (zh) * 2021-01-28 2021-05-11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汽车零部件分配中心选址方法
CN112785233B (zh) * 2021-01-28 2023-08-22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汽车零部件分配中心选址方法
KR20220111056A (ko) * 2021-02-01 2022-08-09 박우진 인력공유 및 구인업체 임금체불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529B1 (ko) * 2021-02-01 2023-03-08 박우진 인력공유 및 구인업체 임금체불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3472543A (zh) * 2021-07-20 2021-10-0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就业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230186315A1 (en) * 2021-11-08 2023-06-15 Super Hom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including adjudication
KR102510664B1 (ko) * 2021-11-19 2023-03-16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블록체인 기반 p2p 근로자 임금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102547887B1 (ko) * 2022-10-14 2023-06-27 주식회사 엑셀시오르콘텐츠랩 영상산업 회계 및 인사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CN117236778A (zh) * 2023-10-08 2023-12-15 广州网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灵活用工的智能结算管理系统
CN117236778B (zh) * 2023-10-08 2024-05-31 广州网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灵活用工的智能结算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6B1 (ko) 거래업체별 인력 배치, 급여 정산 및 비용 정산을 위한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110347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Zhai et al. Production lead-time hedging and coordination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US20190220936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US20170053244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AU2023202144A1 (en) Improved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KR102105700B1 (ko)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1934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contract management
US20220405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of of insurance and insurance compliance
KR20200006514A (ko)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01235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US20210141924A1 (en) System to facilitate proprietary data restriction compliance for an enterprise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5049269A (zh) 一种应用于建材行业的客户信用管理系统
Mezquita et al. Blockchain-based land registry platforms: a survey on their implementation and potential challenges
CN112053126A (zh) 用于装企运营的管理系统和计算机设备
Elmorshidy The other side of the e-government coin: monitor from the people: building a new double-sided e-government conceptual model
AU2022252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Contract Management
US20220035946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identifying and modifying processes that are subject to data subject access requests
CN109377155A (zh) 借贷信息审批方法以及装置
Brinkema et al. E-filing case management services in the US federal courts: The next generation: A Case Study
KR20220075875A (ko)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US2012021571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alyz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tirement Plans
WO2017049385A1 (en) Interactive approval system for industrial crossings
EP33981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contrac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