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18A -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18A
KR20200028818A KR1020190038598A KR20190038598A KR20200028818A KR 20200028818 A KR20200028818 A KR 20200028818A KR 1020190038598 A KR1020190038598 A KR 1020190038598A KR 20190038598 A KR20190038598 A KR 20190038598A KR 20200028818 A KR20200028818 A KR 2020002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terminal
management
manager
managemen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시비디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비디코리아(주) filed Critical 시비디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3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818A/ko
Publication of KR2020002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관리자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가 소속된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을 출력하고, 지역 가맹점에 배속된 근로자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관리자가 관리하는 근로자로 저장하고, 저장된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을 포함하는 근태관리화면을 조회 및 출력하고, 저장된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조회하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월별 매출, 목표 및 달성률을 조회하는 관리자 단말, 및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 또는 지역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수집하여 근로자의 근태관리를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근로자가 저장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과 저장된 근로자가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활동관리모듈, 관리자와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저장하여 관리자의 등급에 따라 조회가능하도록 설정된 급여를 제공하는 급여관리모듈,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목표대비실적을 산출하는 경영분석모듈, 근로자의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근로자 단말에서 출력 또는 재생되도록 하는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을 포함하는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FLATFORM BETWEEN CUSTOMER, ACCOUNT, AND AGENCY WORKER}
본 발명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통업체에 파견된 판촉사원의 근태를 관리하고, 매장환경을 실시간 감시하여 경쟁업체보다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유통업체가 대형화 및 체인화를 통해 규모가 커지면서 구매력이 상승하면서, 제조유통관계에서 제조업체가 가지고 있던 거래관계상의 힘, 즉 협상력을 가져오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대형마트의 경우 신제품입점비나 제조업체의 직원을 대형마트 매장에 파견하는 판촉사원파견과 같은 새로운 유통관행이 시작되었다. 최근 공정위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대형마트 3사의 납품업체 파견판촉 사원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고, 새로운 유통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제조업체, 유통업체 및 파견판촉사원 간을 관리하는 플랫폼 개발의 요구가 점증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때, 기업 내부에서 업무 관리자가 모든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직원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60284호(2016년10월11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968487호(2010년07월07일 공고)에는, 메타데이터로 선택된 각 프로세스별로 병목을 유발하는 직원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비정형 업무관행을 대체하고 업무처리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구성과, 상위기업과 하위기업간의 가상기업 구축 시 필요한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하고, 가상기업 내 업무 실행 시 필요한 서비스가 운용되는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군에 대하여 표준 업무 템플릿을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의 판촉사원 파견요청을 거절할 경우, 납품가 인하나 제품철수와 같은 보복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미 대형마트로 소유권이 이전된 상품을 판촉하기 위한 판촉사원을 파견하고 있으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는 하나의 기업이 아니고, 그 위치가 전국에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의 전국 가맹점에 근무하는 판촉사원의 근태를 관리하기는 여전히 어렵고, 마찬가지로 전국적으로 산재한 매장을 감시하거나 경쟁업체의 시장선점을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행사나 프로모션 시기가 있음에도 이를 놓치거나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지 못하여 매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근로자 단말의 GPS를 수집하여 근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판촉사 단말로부터 매장에서 발생하는 행사 또는 프로모션 상황이나 매대의 점유시간, 위치, 및 점유사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매장 내에서 좋은 자리를 선점할 수 있는 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의 급여와 매장에서 발생한 실적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매장에 상주하고 있지 않아도 원격에서 근로자를 관리함과 동시에 정량적 및 정성적인 마케팅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자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가 소속된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을 조회하고, 상기 지역 가맹점에 배속된 근로자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는 근로자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을 포함하는 근태관리화면을 조회 및 출력하고, 상기 저장된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조회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월별 매출, 목표 및 달성률을 조회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 또는 상기 지역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관리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자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저장된 근로자가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활동관리모듈, 상기 관리자와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저장하여 관리자의 등급에 따라 조회가능하도록 설정된 급여를 제공하는 급여관리모듈;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목표대비실적을 산출하는 경영분석모듈; 상기 근로자의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근로자 단말에서 출력 또는 재생되도록 하는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물품을 전시하는데 요구되는 특설매대와, 상기 특설매대에 전시되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를,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구분되도록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좌표에 위치한 블록이 선택되면,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의 특설매대에 대한 사진, 매대유형, 및 판매품목을 입력 및 조회 기능을 갖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노출극대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지역 가맹점을 담당하는 판촉사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지역 가맹점에서 진행할 판촉행사의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판촉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거래처의 지역 가맹점별로 판촉행사 정보를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판촉행사 정보의 스케줄 중 널(Null) 값으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널 값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 및 시간을 상기 판촉사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서 조회가능하도록 메세지를 전송하는,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재고를 감소시키거나 판매액을 늘리는 정량적인 마케팅 효과성 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을 감시하거나 경쟁업체보다 먼저 시장을 선점하는 정량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매장 내에서 좋은 자리를 선점할 수 있는 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의 급여와 매장에서 발생한 실적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매장에 상주하고 있지 않아도 원격에서 근로자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중 활동관리모듈 및 급여관리모듈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중 경영분석모듈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중 기준정보 관리모듈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중 노출극대화 관리모듈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의 업무 체계도 및 접근권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관리자 단말에서 고객사 및 파견근로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1의 판촉사 단말에서 판촉행사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 업로드 및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이다.
도 12는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가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구동되는 일 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관리자 단말(100),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 가맹점 단말(500),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 가맹점 단말(500),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고객사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판촉사 단말(7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관리자 단말(100)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객사의 거래처, 거래처의 적어도 하나의 지역 가맹점의 매출을 관리하고, 지역 가맹점에 파견된 근로자의 근태 및 급여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100)은 관리자의 직급이나 종류별로 관리 통합 페이지에서 접근가능한 메뉴가 기 설정될 수 있고, 관리자 단말(100)의 관리자가 담당하는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관리자가 직접 등록을 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에서 GPS를 수집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여 관리자 단말(100)에서 조회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역 가맹점에 할당된 고객사의 목표매출과, 실제 달성된 실적을 비교하여 리스트화하며, 판촉사 단말(700)에서 판촉행사 등을 등록하거나, 경쟁사의 판촉행사가 보고되었을 경우, 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100)에서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로 메세지 전송을 용이하도록 메세지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에서 사이버 아카데미 콘텐츠를 공유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근 또는 퇴근에 대한 데이터를 GPS 및 시간정보와 함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500)도 근로자가 출근 또는 퇴근을 할 때에는 마감을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체크함으로써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근로자의 마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 및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 및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근로자 단말(400) 및 가맹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사 단말(600)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지역별 가맹점의 매출을 조회하고, 고객사의 물품 이외에도 경쟁사의 물품의 판촉행사 여부 등을 일괄적으로 조회하는 고객사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고객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객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사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판촉사 단말(700)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촉이나 홍보 등의 정보를 업로드하고,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판촉사 단말(7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촉사 단말(7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판촉사 단말(7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루는 모듈이 각각 구현된 일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도 2의 구성을 설명할 때, 도 3 내지 도 7 중 해당 모듈에 대한 설명을 부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활동관리모듈(310), 급여관리모듈(320), 경영분석모듈(330),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340), 노출극대화 관리모듈(350) 및 기준정보 관리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관리자 단말(100),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로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100),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은,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관리자 단말(100), 고객사 단말(600) 및 판촉사 단말(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활동관리모듈(310)은,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400) 또는 지역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500)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수집하여 근로자의 근태관리를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가 저장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100)과 저장된 근로자가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급여관리모듈(320)은, 관리자와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저장하여 관리자의 등급에 따라 조회가능하도록 설정된 급여를 제공한다. 이때,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은, 지역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단말(500) 또는 근로자 단말(40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체크되며, 근로자 단말(400)에서 출근 및 퇴근을 입력받는 경우, 근로자 단말(400)은, 근로자 단말(400)의 GPS 좌표 또는 근로자 단말(400)에서 엑세스한 와이파이의 위치를 시간에 동기화시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보면, 관리자 단말(100)에서 관리자가 관리하는 근로자와 가맹점을 지정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고객사는 제조업체이고, 거래처는 유통업체이며, 가맹점은 유통업체가 보유한 각 지역별 매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사는 캔커피를 제조하는 회사이고, 거래처는 캔커피를 유통시키기 위해 캔커피를 제조사로부터 구매하는 업체이며, 가맹점은 캔커피를 고객에게 판매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100)이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는 경우에 관리자가 소속된 고객사, 거래처 및 가맹점(스토어)이 나열된 표가 출력되고, 고객사-거래처-스토어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고객사에는 복수의 거래처가 존재하고, 거래처는 다시 복수의 지점인 가맹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활동관리모듈(310)은 각 거래처별로 다른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점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다르게 표기하게 된다. 여기서, 각 거래처별, 가맹점별로 근무하는 근로자는 다를 수 있는데, 근로자는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고유식별코드, 식별자 등으로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100)에서 해당 코드만 입력하면 세부 내역은 자동으로 기재될 수 있다.
도 3b는 관리자 단말(100)의 활동을 관리하는 캘린더 및 일정관리표를 도시한다. 이때, 관리자가 가맹점에 방문하는 일정을 등록, 수정 및 확인할 수 있는데, 관리자 단말(100)에서 조회조건을 입력하면, 조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캘린더 인터페이스 내에 삽입되어 출력되고, 신규로 일정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자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신규입력팝업이 출력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100)에서 캘린더 내의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텍스트에 대응하는 일정의 세부사항이 팝업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도 3c와 같다.
도 3d는 관리자 단말(100)에서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고객사와 조회조건을 관리자 단말(100)에서 설정하는 경우, 각 날짜별로 근로자가 근무인지, 휴가인지 등을 하나의 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인력을 배치하거나 조정할 때 직관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3e는 고정근태(행사)의 화면을 도시하는데, 각 지역 가맹점마다 어떠한 행사가 열리고, 이 행사에 어떠한 인력이 배치가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매장명, 고객명, 카테고리, 파견유형, 행사카테고리, 단가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f는 근태내역(고정)의 화면을 도시하는데, 도 3e의 경우에는 행사나 판촉이므로 일시적으로 고용된 인력을 관리하는 것이고, 도 3f는 상시 가맹점에 상주하는 인력이므로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행사나 판촉인력과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고용되고 일당이 정해진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근태를 체크할 필요가 없지만, 상시인력인 경우에는 근태를 체크해야만이 월급을 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파견근로는, 고용주가 근로자를 감시할 수 있는 상태의 고용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모바일, 모바일마감, 마감으로 나누어 근태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행사나 판촉인력 등도 상술한 바와 같이 근태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은 근로자 단말(400)의 GPS 좌표 및 시간을 추출하여 근로자가 지역 가맹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출근 및 퇴근을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이고, 모바일마감은, 가맹점 단말(500)과 근로자 단말(400) 모두에서 출근 또는 퇴근이 체크된 경우이며, 마감은, 가맹점 단말(500)을 통해서만 출근 또는 퇴근이 체크된 경우를 말한다. 이렇게 체크된 근태 데이터는 도 3g와 같이 근로자 식별코드, 근로자 이름, 출근정보(GPS 좌표에 기반한 주소 또는 가맹점 단말(500)의 위치정보), 퇴근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고, 이는 도 3h의 급여정산의 근거자료가 된다. 여기서 도 3h는 급여관리모듈(320)에서 관리한 결과 화면이지만, 근태관리와 연관되므로 도 3 카테고리에서 함께 설명하였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경영분석모듈(330)은,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목표대비실적을 산출할 수 있다. 경영분석모듈(33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보면, 매출실적과, 목표실적, 그리고 목표대비 달성률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매출은 매달 마감하여 계산할 수 있지만 그 주기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목표대비 달성률이 100%가 되지 않는 경우, 즉 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달성한 이유를 관리자 단말(100)에서 입력함으로써, 이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지 관리자, 고객사가 모두 매장별로 한 눈에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와 같이 관리자 단말(100)에서 미달성 이유를 각각 기재를 해두면, 이를 취합하여 관리자(팀장)별, 가맹점(매장)별, 카테고리별로 매출실적과 목표대비 달성률 및 성장률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340)은, 근로자의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근로자 단말(400)에서 출력 또는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NAS(Network Attached Storage) 기반으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 단말(400)은 직접 교육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지 않아도 콘텐츠를 공유하는 NAS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340)이 구현된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보면, 관리자 단말(100) 또는 별도의 단말(미도시)에서 교육자료를 등록하고 테스트자료를 등록하기 위한 환경설정을 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수정 버튼은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함이고, 교육자료나 테스트자료가 등록되어야 할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으며, 문제의 개수나 테스트 문제의 제한 개수가 이 화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4b를 보면, 교육자료를 등록하는 화면인데, 신규 교육자료를 등록하거나, 선택된 교육자료를 삭제하거나, 등록된 교육자료를 조회할 수 있으며, 검색할 항목을 설정하거나, 삭제할 자료를 선택하거나 작성된 내용의 상세보기를 하거나 등록된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신규 교육자료를 입력하거나 등록된 교육자료를 수정하는 화면이며, 도 4d를 참조하면,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d를 보면, 입력된 테스트 자료정보를 저장하거나, 테스트 자료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거나, 문제를 입력하거나 할 수 있는데, 문제와 보기를 각각의 포맷에 입력함으로써 문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노출극대화 관리모듈(350)은,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물품을 전시하는데 요구되는 특설매대와, 특설매대에 전시되는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를,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구분되도록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표시하고,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좌표에 위치한 블록이 선택되면, 블록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의 특설매대에 대한 사진, 매대유형, 및 판매품목을 입력 및 조회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를 보면, 노출극대화(카테고리) 화면을 도시하는데, 본 명세서에서 노출극대화란, 가맹점인 매장에서 행사나 프로모션 또는 잘 보이는 매대를 차지함으로써 고객사의 물품의 고객에 대한 노출빈도, 노출량 등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역 시장 내 경쟁이 계속 치열해지고 있고, 입지가 좋은 자리에 자신의 상품이 진열된다는 말은 곧 매출로 이어진다는 것이고, 이는 공식처럼 굳어져버렸다. 이에 따라, 현재 어느 매장에서 어떤 제조사의 제품이 어디에 진열되고 있는지, 또 고객사의 제품은 어디에 진열이 되고 있는지, 행사나 프로모션 가판대, 즉 좋은 입지를 선점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이에 따라, 어느 매장에서 어느 위치에 어떤 상품이 진열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7a의 경우는 모든 카테고리 및 모든 고객사의 물품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고, 도 7b는 매대별로 어떠한 물품이 매대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이를 검색하기 위하여, 관리자 단말(100)은, 검색조건에 맞는 자료를 조회하거나, 검색조건을 설정하고, 관리자명을 클릭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c는 노출극대화 팝업 및 수정화면인데, 매대를 촬영한 사진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매대유형, 품목의 종류, 등록일자, 등록자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사(고객사)가 유통업체(거래처)에 좋은 판매위치를 선점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진열되고 있는지를 관리자 단말(100)에서 해당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기준정보 관리모듈(360)은, 공통코드 및 카테코리코드를 등록하거나 관리하고, 근로자의 주소, 기본급여, 지급단가 및 재직정보를 입력 및 수정하고,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시 엑세스, 조회 및 수정을 포함한 사용권한을 설정하고, 고객사, 거래처 및 지역 가맹점을 식별코드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근로자의 근무조건 또는 급여내역이 변경될 때, 승인요청, 승인 및 반려로 나뉜 결재처리상태가 활성 또는 비활성시키고, 행사 및 실적의 마감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기준정보 관리모듈(360)을 위한 화면은 도 6a와 같을 수 있고, 도 6a는 공통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등록, 수정 및 확인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저장, 삭제 버튼을 이용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하부 코드의 모태가 되는 마스터 코드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코드는 노출되지 않고 하부 코드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고객사의 카테고리를 등록 및 관리하는 화면이다. 이때,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각 단계별로 신규, 저장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왼쪽으로부터 제품군, 1레벨, 2레벨, 3레벨 순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관리 CT, 가점을 체크하여 보고 및 집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 CT 및 가점 체크는 보고서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구분자이다.
도 6c는 사원정보, 즉 근로자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하는 화면이다. 이때, 조회버튼을 선택하면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근로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업로드 버튼을 선택하면 근로자 정보 업로드 화면으로 이동하며, 신규버튼 선택 시 근로자 정보 입력화면으로 이동하며, 검색조건을 설정하여 검색할 수도 있고, 해당 근로자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더블클릭하는 선택을 하는 경우 근로자 정보를 상세히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화면이 도 6d이고, 식별코드는 ID에 대응하므로, 근로자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대응하는 ID가 자동으로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기본급여 및 지급단가를 입력 및 수정할 수 있고, 담당 관리자를 등록할 수 있으며, 관리자를 선택하는 경우 관리자 찾기 화면이 활성화된다. 이때, 직무형태에 따라 기본급여의 입력칸이 활성 또는 비활성될 수도 있다.
도 6e는 고객사, 거래처 및 가맹점을 관리하는 화면인데, 조회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고객사, 거래처 및 가맹점별로 상위 노드-하위 노드와 같이 이진 트리의 구조를 가지면서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첫째 노드는 고객사, 두 번째 노드는 거래처, 세 번째인 가장 하위 노드가 가맹점이 된다. 도 6f는 사원의 신규 등록, 급여변동, 재직상태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고, 신규정규직, 급여변동, 퇴직자보고, 재직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신규정규직을 선택하게 되면 도 6g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고, 신규사원 정보를 입력하여 결재 프로세스를 따라가면서 승인, 반려 등의 피드백이 입력되면, 이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퇴직자, 급여변동 사항도 결재 프로세스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도 6g와 같은 포맷이나 그 데이터만 다를 수도 있다.
도 6h는 고정(상시인력), 행사(판촉인력), 실적마감 등을 업로드하는 화면인데, 각 근로자의 근로 매장명, 위치, 소속사, 등급, 파견주체, 날짜별 근태현황을 한 표에 정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6i를 참조하면, 실적 마감데이터를 엑셀 등의 포맷으로 업로드할 수 있어서, 관리자 단말(100)에서 정리한 마감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확정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 단말(100)에서 6i의 화면을 통하여 입력, 수정 및 확정할 수도 있다. 도 6j는 급여마감을 업로드하는 화면인데, 도 6i와 마찬가지로 급여마감 데이터를 엑셀 등의 포맷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7의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클라이언트 주체별로 사용하는 페이지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의 업무 체계도 및 접근권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 클라이언트별 및 접근채널별로 가용가능한 메뉴와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카이로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원인의 프로그램명이고, 여기서 입력(E), 조회(I), 리포트(R)의 접근권한이 각 접근채널(매체별)로 어떻게 배분되고 정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정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므로 도시된 내용에 따라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관리자 단말에서 고객사 및 파견근로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이다. 이때, 비밀번호를 통한 정보접근통제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메세지 뿐만 아니라 사진을 첨부할 수도 있고, 생성권한은 본부장이나 관리자 단말(100)의 관리자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파견처, 매대, 경쟁사 정보, 현황 및 주요 이슈 정보를 필요 시점에 맞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사의 영업이나 마케팅 활동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시 판매 기회를 분석, 이슈를 통제하는데 기여하며, 관리자의 정보 전파 및 취합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정보 분류 및 취합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고, 자동화를 통해 관리자의 업무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운전이나 활동 중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으로 매장이나 매대 정보를 장악하거나 판매 기회를 발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판촉사 단말에서 판촉행사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 업로드 및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판촉사 단말(700)은, 지역 가맹점을 담당하는 판촉사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역 가맹점에서 진행할 판촉행사의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판촉사 단말(700)에서 입력한 판촉행사의 정보는 관리자 단말(100)로 실시간 푸시알람될 수 있다. 즉, 마케팅 효과성 관점(Marketing Effectiveness Perspective)은 납품 제조업체의 대형마트 판촉사원 파견을 제조업체의 마케팅 효과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하고, 유통산업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관점인데, 기업경영에 있어 마케팅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마케팅 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시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가장 매력적인 시장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고객의 니즈와 원츠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시장감시(Market Sensing), 채널유대(Channel Bonding), 경쟁사의 기술 모니터링(Competitor's Technology Monitoring)과 고객 유대감(Customer Linking) 형성의 결과로 마케팅 효과성이 달성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자 단말(100)에서 매장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현재 매장에서 어떠한 행사가 발생하고 있는지, 어떠한 제조업체에서 좋은 매대를 선점했는지, 고객사가 주최하고 있는 행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촉사 단말(70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판촉사원을 파견함으로써 재고를 감소시키거나 판매액을 늘리는 등의 정량적인 마케팅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촉사 단말(700)을 통하여 외부환경을 감시하거나 경쟁업체보다 먼저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고객과의 유대감을 높이거나 유통업체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등의 정성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거래처의 지역 가맹점별로 판촉행사 정보를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하고, 판촉행사 정보의 스케줄 중 널(Null) 값으로 데이터가 없는 경우, 널 값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 및 시간을 판촉사 단말(700) 및 관리자 단말(100)에서 조회가능하도록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촉행사 정보 중 행사주체가 고객사의 기 저장된 경쟁사인 경우 판촉사 단말(700) 및 관리자 단말(100)로 경쟁사 및 판촉행사 정보를 푸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가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구동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모바일 웹페이지, 모바일 앱페이지, 및 메신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취합하고, 조회권한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가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8 내지 도 12의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관리자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가 소속된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을 조회하고, 상기 지역 가맹점에 배속된 근로자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는 근로자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을 포함하는 근태관리화면을 조회 및 출력하고, 상기 저장된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조회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월별 매출, 목표 및 달성률을 조회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로부터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태관리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자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저장된 근로자가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활동관리모듈, 상기 관리자와 근로자의 급여를 입력 및 저장하여 관리자의 등급에 따라 조회가능하도록 설정된 급여를 제공하는 급여관리모듈;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목표대비실적을 산출하는 경영분석모듈; 상기 근로자의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근로자 단말에서 출력 또는 재생되도록 하는 사이버 아카데미 모듈; 및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물품을 전시하는데 요구되는 특설매대와, 상기 특설매대에 전시되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를, 상기 고객사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가 보유한 지역 가맹점별로 구분되도록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좌표에 위치한 블록이 선택되면,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의 특설매대에 대한 사진, 매대유형, 및 판매품목을 입력 및 조회 기능을 갖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노출극대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지역 가맹점을 담당하는 판촉사 계정으로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지역 가맹점에서 진행할 판촉행사의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판촉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거래처의 지역 가맹점별로 판촉행사 정보를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판촉행사 정보의 스케줄 중 널(Null) 값으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널 값에 대응하는 지역 가맹점 및 시간을 상기 판촉사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서 조회가능하도록 메세지를 전송하며,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은, 상기 근로자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체크되고,
    상기 근로자 단말에서 상기 출근 및 퇴근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근로자 단말은, 상기 근로자 단말의 GPS 좌표를 시간에 동기화시켜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통코드 및 카테코리코드를 등록하거나 관리하고, 상기 근로자의 주소, 기본급여, 지급단가 및 재직정보를 입력 및 수정하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시 엑세스, 조회 및 수정을 포함한 사용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고객사, 거래처 및 지역 가맹점을 식별코드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근로자의 근무조건 또는 급여내역이 변경될 때, 승인요청, 승인 및 반려로 나뉜 결재처리상태가 활성 또는 비활성시키고, 행사 및 실적의 마감을 등록 및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촉사 단말에서 입력한 판촉행사의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실시간 푸시알람되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판촉행사 정보 중 행사주체가 상기 고객사의 기 저장된 경쟁사인 경우 상기 판촉사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 상기 경쟁사 및 판촉행사 정보를 푸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NAS(Network Attached Storage) 기반으로 자원을 공유하는 것인,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모바일 웹페이지, 모바일 앱페이지, 및 메신저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취합하고, 조회권한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가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인,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190038598A 2019-04-02 2019-04-02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00028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98A KR20200028818A (ko) 2019-04-02 2019-04-02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98A KR20200028818A (ko) 2019-04-02 2019-04-02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319 Division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18A true KR20200028818A (ko) 2020-03-17

Family

ID=7000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98A KR20200028818A (ko) 2019-04-02 2019-04-02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8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2476A (zh) * 2020-08-27 2020-12-08 安徽国戎科技有限公司 一种军事案例数据管理方法
CN112235282A (zh) * 2020-10-10 2021-01-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式应用权限变更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286028B1 (ko)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92056A (zh) * 2021-08-25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共享方法和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2476A (zh) * 2020-08-27 2020-12-08 安徽国戎科技有限公司 一种军事案例数据管理方法
CN112235282A (zh) * 2020-10-10 2021-01-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式应用权限变更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235282B (zh) * 2020-10-10 2023-08-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式应用权限变更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286028B1 (ko)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92056A (zh) * 2021-08-25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共享方法和装置
CN113692056B (zh) * 2021-08-25 2024-0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共享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yson et al. The e-supply chain portal: a core business model
KR20200028818A (ko)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US106921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dynamically updating customer-specific shipping information on an on-site server
US20160034474A1 (en) Enterprise Data Mining in a Multi-Tenant Database
WO2011050482A1 (en) Enterprise data mining in a hosted multi-tenant database
KR102249057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02447733A (zh) 业务网络管理
WO2008150489A1 (en) Enterprise application procurement system
JP2002163106A (ja) 基幹業務統合型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基幹業務支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971853B2 (en) Method and system to record and visualize type, time and duration of moving and idle segments
KR101987625B1 (ko) B2b 기반 각 브랜드별 가맹점으로부터 주문발주된 제품의 유통단계를 원스톱 통합 플랫폼으로 구현하는 유니폼 통합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03861A (ko) 통합 스마트 인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간 업무 성과 평가 방법
KR20170014336A (ko) 대화형 데이터 구조를 갖는 이알피 시스템
US20170193417A1 (en) Optimization of inventory and asset selection
CN115907439A (zh) 一种一体化营销管理系统
EP2182675B1 (en) Message sequence management of enterprise based correlated events
KR101963210B1 (ko)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Leimstoll et al. E-Busines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JP2002352044A (ja) 総務・人事・労務データ管理サーバーシステム
CN114493522A (zh) 工作流程配置的方法及相关装置
Buck-Emden et al. mySAP CRM
JP2003122885A (ja) 営業活動支援システム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801446A (zh) 上云服务站和上云服务方法
TWM510498U (zh) 專案進度控管裝置
KR20030033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원관리방법 및 그 자원을 관리하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