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028A -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028A
KR20170130028A KR1020160060508A KR20160060508A KR20170130028A KR 20170130028 A KR20170130028 A KR 20170130028A KR 1020160060508 A KR1020160060508 A KR 1020160060508A KR 20160060508 A KR20160060508 A KR 20160060508A KR 20170130028 A KR20170130028 A KR 2017013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terminal
job seeker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주
Original Assignee
오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주 filed Critical 오은주
Priority to KR102016006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028A/ko
Publication of KR2017013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급(시간 급여) 구직자를 원하는 구인 업체와 시급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에 대해 구인 업체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되, 구인 업체로 구직자의 이전 근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간 급여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 급여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직 정보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구인업체 위치와 시급정보를 포함하는 구인 요구정보가 수신되면,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로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구인 선택 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구인자 단말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이전 근무 상태에 대응되는 활동지수 및 블랙지수가 포함된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대상 구직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 단말로 면접 대기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 또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완료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5 단계 및,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구직자에 대한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Job matching service method for hourly wage arbeit}
본 발명은 시급(시간 급여) 구직자를 원하는 구인 업체와 시급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에 대해 구인 업체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되, 구인 업체로 구직자의 이전 근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간 급여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인 업체 및 구직자는 구인 및 구직을 위하여 중개업체를 경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개업체는 구인을 원하는 업체로부터 구인정보를 제공받고 구직자로부터 구직정보를 제공받아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시켜 중개해준다.
종래 구인 및 구직의 중개는 오프라인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지만, 현재 IT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즉 유무선통신망의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등을 통해 더욱 많은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송수신 및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구인 및 구직을 위한 근로는 정규직뿐만 아니라 임시직이나 일용직 또는 아르바이트와 같은 시간단위의 근로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상기한 인터넷을 통해 구인 및 구직정보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가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이를 일일이 확인하여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현재 인터넷을 활용한 방법은 정규직 취업에는 어느 정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정보를 구해야 하는 일용직 또는 아르바이트와 같은 시간 단위 근로를 위한 시급 구직자에 있어서는 온라인 컴퓨터에 접속하는 것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 정보제공 및 활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0876339호에는 모바일과 인터넷을 융합한 일용직 구인 또는 구직 정보등록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되었다. 위에 제시된 기술은 인터넷이나 휴대폰의 단문 메세지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일용직에 대한 구직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하고 매칭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인업체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직자가 요구하는 구직정보에 매칭되는 기 등록된 구인 업체 목록을 제공함과 더불어, 구인 업체에서 요구하는 구인정보에 매칭되는 기 등록된 구직자 목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시간 급여 근로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통상 근무기간이 1년 미만으로 해당 업체에 단기간 동안 근무하게 되는 바, 구직자는 자신이 거처하는 곳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업체를 선호하게 된다.
즉, 시간 급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있어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의 구인 업체 및 구직자 정보는 서로에게 의미가 없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시간 급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의 등록 위치를 고려하여 구인업체 및 구직자에 대한 매칭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직자 및 구인 업체간의 보다 안정적인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를 위해서는 구인 업체 및 구직자에 의해 등록된 단편적인 정보 뿐 아니라 근무 환경에 대응되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0876339호 (발명의 명칭 : 모바일과 인터넷을 융합한 일용직 구인 또는 구직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시급(시간 급여) 구직자를 원하는 구인 업체와 시급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에 대해 구인 업체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간 급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대해 표면적인 정보 이외에 이전 근무 상태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근무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직 정보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구인업체 위치와 시급정보를 포함하는 구인 요구정보가 수신되면,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로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구직 선택 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구인자 단말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이전 근무 상태에 대응되는 활동지수 및 블랙지수가 포함된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대상 구직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 단말로 면접 대기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 또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완료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5 단계 및,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구직자에 대한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제2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의 업무 난이도 및 업무 전문성에 대응되는 업무 가중치와, 구인 업체와 구인자 위치간 거리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인 업체의 시간 급여에 적용하여 실효 시급을 산출하고,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각 구직자 단말로 실효 시급을 포함하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업무 가중치와 거리 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여 실효시급을 산출하는 경우, 업무 가중치와 거리 가중치 적용 비율은 구직자 단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에 대한 업체 활동 지수를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구인 업체에 대한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업체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로 구인 업체에 대한 이전 근무 환경에 대응되는 업체 활동 지수와 업체 블랙 지수가 포함된 구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도록 구성되고, 서비스제공장치는 제2 단계에서 해당 구직자 단말로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지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 단계에서 해당 구인자 단말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칭찬지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구인 업체 협상요구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인자 단말과의 근무 조건 협상정보 중계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에 대응하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대한 포인트를 차감처리함과 더불어, 구직자 단말 또는 구인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포인트 충전, 포인트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및, 포인트 선물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기반의 구직자 정보를 구인 업체로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매칭시켜 줌으로써,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구인 및 구직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인업체로 구직자에 대한 이전 근무 이력에 대응되는 직업 지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인업체가 매칭 정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인자에게 구인업체에서 제시한 시급에 업무특성 및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 시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 실제 시급을 고려한 최선의 구인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서비스제공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급여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도3에서 구직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메인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된 각 서비스 항목(41)에 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구직자"는 일정한 기술직 또는 단순 노무 일용직 등의 시간 급여(시급)을 지급받는 직업을 구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구인 업체"는 시급 구직자를 채용하려는 기업 또는 개인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직 구인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서비스제공장치(100)가 구직자 단말(200) 및 구인자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포인트 충전을 위해 금융사(미도시)와 통신 결합됨과 더불어, 구인자 및 구인업체 인증을 위해 인증관리서버(미도시)와 통신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직자 단말(200)은 시급 구직을 위한 자신의 구직 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에 등록하고,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시급 구인정보를 구직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직 정보는 구직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직자 단말(200)은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와 모바일로 접속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구직 매칭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인자 단말(300)은 시급 구직을 제공하는 업체의 구인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에 등록하고, 서비스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시급 구직자 정보를 구인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인 정보는 구인 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인자 단말(300)은 구인 업체의 대표자 또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구인 매칭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구직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구인 업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구인 업체 위치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200)로 해당 구인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대해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구직 선택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구직자 정보를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구인 선택정보 즉, 면접 대상 구직자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구직자 단말(200)로 면접 대기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포인트 운영을 통해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대해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의 댓가로서 해당 구직자 및 구인 업체가 보유한 포인트를 차감함과 더불어, 보유 포인트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물품을 구매하거나 타 구직자에게 선물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포인트 충전은 금융사를 통해 일정 금액을 입금하여 충전하거나 또는 제휴 업체 서비스 이용 등을 통해 무료 충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 업체로부터 근무 계약된 구직자에 대한 불만 평가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작자에 대해 블랙 지수를 누적 저장함과 더불어, 누적된 구직자의 블랙 지수정보를 이후 서비스 요구하는 구인 업체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업무 특성 및 구인 업체와 구직자 위치간 거리정보를 근거로 실효 시급을 재산정하여 구직자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업무 특성별 가중치와 시간 가중치를 구인 업소에서 제시한 시급에 적용하여 실효 시급을 산출하고, 이 실효 시급정보를 구직자에게 구인 정보로써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인 업체와의 업무 조건 협상에 대한 중계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서비스제공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장치(100)는 통신 접속부(110)와, 서비스제어부(120), 매칭 처리부(130), 포인트 관리부(140), 데이터 메모리(150) 및, 운용자 단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요소는 별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LAN(1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소는 하나의 서버내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 접속부(110)는 상기 구직자 단말(200) 및 구인자 단말(300)과 본 발명에 따른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관련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120)는 구직자 단말(200)과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구직 및 구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 등록함과 더불어, 이를 이용하여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서비스 제어부(120)는 등록된 구직자 단말(200) 및 구인자 단말(300)로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구직자 단말(200)에 대해 일자리 정보와 포인트 및 개인정보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제공하고, 타 구직자 단말 및 구인자 단말과의 메세지 또는 톡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120)는 구직자 단말(200)에 대해 구직 매칭에 따른 활동 지수를 누적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함과 더불어, 구직 활동이 완료된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접수된 구직자에 대한 불만정보를 근거로 블랙지수는 누적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이는 구인 업체에 구직자에 대해 타 구인 업체로부터 판단된 실제 업무 상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120)는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구인 업체의 구인 광고를 기 등록된 구직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구인 광고는 구인 업체로부터 등록된 시간대에 등록된 시간 및 날짜 수 만큼 제공된다. 또한, 구인 광고는 구인 업체로부터 등록된 구인 내역, 예컨대 구인 나이, 구인 직종, 구인 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구직자 단말(200)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기본적으로 구인자 단말(300)로부터의 구인 요구 접수시,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해당 구인 업체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직자 단말(200)로 해당 구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이에 대해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구직 요구 접수시, 해당 구직자 정보를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하며,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면접 요구 접수된 구직자 단말(200)로 면접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검색된 구직자에 대해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업무 난이도 또는 업문 전문성을 고려한 업무 특성과 구직자 위치와의 거리정보를 근거로 실효시급을 산출하고, 이를 검색된 구직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실효 시급은 구인 업체 시급과 업무 특성 가중치 및, 거리 가중치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업무 특성 가중치는 0.1 ~ 1 사이의 값으로, 문서 작업 등의 쉬운 업무일수록 가중치가 높게 설정되고, 특정 기능을 요구하거나 육체적으로 힘든 업무일수록 가중치가 낮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거리 가중치는 0.1 ~ 1 사이의 값으로, 구인 업체 위치와 구직자 등록 위치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록 낮게 설정된다. 이는 구직자가 구인 업체에서 일하게 되는 경우, 그 소요 시간과 교통비를 고려하여 실제 시급을 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직자가 보다 효율적인 구직 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구인 정보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협상요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협상 요구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협상 응답정보를 구직자 단말(300)로 중계처리 한다. 이때, 상기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200)을 통해 구인 업체에 대해 업무 시간 또는 시급에 대한 협상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구직 요구된 구직자 정보를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50)에 등록된 현재 구직자의 직업 지수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자 정보를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매칭 처리부(130)는 구직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위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함께 직업지수 정보를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직업 지수는 활동지수와 블랙지수로 이루어지고, 활동지수는 해당 구직자의 구직활동 누적 횟수이고, 블랙지수는 해당 구직자에 대해 불만정보가 접수된 구인 업체 누적 횟수 이다. 예컨대, 활동지수가 "100"이고, 블랙지수가 "10"인 경우, 해당 구직자는 10 번의 구직 활동에 대해 1 회의 불만정보가 접수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포인트 관리부(140)는 구직자 단말(200) 및 구인자 단말(300)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포인트로서 관리한다. 상기 포인트 관리부(140)는 구인 또는 구직 서비스의 댓가로서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해 충전된 포인트를 차감한다. 즉, 구직자에 대해서는 구인 업체로부터 면접 대상이 확정되는 때에 일정 포인트를 차감하고, 구인 업체에 대해서는 면접 대상 선택시 포인트를 차감하되, 구인 업체에서 선택한 면접 대상 구직자 수에 대응하여 차감 포인트를 산출한다. 이때, 구인 업체에 대해서는 구직자의 취업이 확정되는 때에 일정 포인트를 차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인 업체에 대해서는 구인 광고 제공에 대한 댓가로 해당 광고에 대응되는 구직자를 구한 경우, 보유 포인트를 차감한다. 이때, 광고에 대한 차감 포인트는 구인 광고 시간에 대응하여 차등적으로 산출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50)는 구직자의 이름과 연락처, 주소, 나이, 성별, 희망직종, 특기 사항 등을 포함하는 구직자 등록정보와, 구직자의 포인트 정보, 구직자의 직업 지수를 포함하는 구직 이력정보, 구인 업체의 업체 상호와 연락처, 주소, 시급, 구인 인원, 구인 나이, 업무 시간, 업무 내용, 구인 광고 시간, 광고 기간, 구인 광고 내용 등을 포함하는 구인자 등록정보, 구인자의 포인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매칭 서비스 관련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운용자 단말(160)은 운용자가 구인자 단말 및 구직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전체적인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방법을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제공장치(100)에는 실효 시급을 산출하기 위한 업무 특성별 업무 가중치정보와, 구인 업체와의 거리별 거리 가중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구직자 정보를 등록한다(ST10). 이때, 구직자 정보는 구직자의 주소 즉,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구직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금융사와 연동하여 포인트 충전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구인 요구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근거로 해당 구인 업체 위치에 기반하여 구직자 정보를 검색한다(ST20). 이때, 상기 구인 요구정보는 구인 업체 명과 시급, 근무시간, 근무기간 및, 업무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 업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기 등록된 반경 이내에 등록된 구직자가 일정 수 미만인 경우, 등록 반경을 보다 넓게 추가하여 일정 수 이상의 검색 구직자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기 등록된 반경 이내에 등록된 구직자가 일정 수를 초과하는 경우, 직종 또는 나이를 고려하여 일정 수 범위의 검색 구직자 정보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구직자의 검색 조건(예컨대 직종, 나이, 검색 구직자 범위)은 구인 업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검색된 모든 구직자에 대해 업무 내용 및 거리에 따른 실효시급을 산출한다(ST30). 즉,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 업체에서 제시한 시급에 대해 업무 내용에 대응되는 업무 가중치 및 거리에 따른 거리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시급을 산출한다. 여기서, 업무 가중치 및 거리 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여 실효시급을 산출하는 경우, 업무 가중치 및 거리 가중치의 적용비율을 구직자가 구직자 단말(200)을 통해 직접 설정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구직자의 성향에 따른 업무 내용 또는 거리에 따른 직업 선택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구직자는 업무 가중치 비율 40%, 거리 가중치 비율 60%로 가중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ST20 단계에서 검색된 구직자 단말(200)로 상기 ST30 단계에서 산출된 실효 시급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제공한다(ST40). 즉, 구인 정보는 업체명과, 근무시간, 근무기간, 시급 및 실효 시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ST40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 정보의 일측에 해당 구인 업체와 근무조건을 협상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협상요구항목을 추가로 표시출력할 수 있다.
이는 구직자가 구인 업체에 대해 협상요구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자신의 구직자 단말(200)에 표시출력되는 협상요구항목을 선택하고, 이에 대해 구직자 단말(200)은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협상요구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의 협상요구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인자 단말(300)과의 협상정보 중계처리를 수행한다(ST50).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상기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근무시간이나 근무기간 또는 시급 관련 각종 근무조건 변경요구정보를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함과 더불어, 구인자 단말(300)로부터의 근무조건에 대한 협상응답정보를 해당 구직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한편,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구인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구인 업체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경우, 해당 구인 업체를 선택함으로써, 구직자 단말(200)을 통해 선택된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구직 요구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구직 요구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인자 단말(300)로 이전 근무 상태에 대응되는 직업 지수를 포함하는 구직자 정보를 제공한다(ST60). 즉, 서비스제공장치(100)는 등록된 구직자에 대하여 이전 구인 업체에서의 불만정보 접수에 따른 블랙지수 및, 구직 활동을 수행한 총 구인 업체에 해당하는 활동지수를 누적 저장하는 바, 이 활동지수와 블랙지수를 포함하는 직업 지수정보를 구인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한편, 구인자는 자신의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표시출력되는 구직자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업체에 적합한 구직자를 선택하고, 구인자 단말(300)은 구인자에 의해 선택된 면접 대상 구직자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면접 대상정보는 면접 일시정보를 포함하고, 구인자 단말(300)은 해당 구인 업체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구직자 나이순 또는 거리순으로 정렬하여 구직자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대상 구직자 수를 근거로 차감 포인트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구인자단말(300)에 대하여 포인트 차감처리를 수행한다.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대상 구직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 단말(200)로 구인 업체 및 면접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면접 대기정보를 제공한다(ST70).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00)는 해당 구직자에 대해 충전된 포인트에서 일정 포인트를 차감처리한다. 여기서, 해당 구직자에 대해 현재 충전된 포인트가 차감 포인트 미만인 경우에는 면접 대기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 내에 포인트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면접 대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면접 대기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구인 업체에서 면접을 수행한다. 또한, 구직자 또는 구인자는 자신의 구직자 단말(200) 또는 구인자 단말(300)을 통해 면접 결과정보, 예컨대 취업 구직자에 대한 취업 완료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인자 단말(300) 또는 구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완료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활동지수를 업데이트한다(ST80). 즉, 서비스제공장치(100)는 1회의 취업에 대하여 활동지수를 "10" 증가시킨다.
또한, 구인자는 취업 완료된 구직자에 대한 근퇴상황 또는 업무 능력을 근거로 근무 활동에 대한 불만이 있는 경우, 해당 구직자에 대한 불만정보를 구인자단말(300)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불만정보는 구직자 개인정보와 불만 내용 또는 불만 평가점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만정보의 제공은 계약된 취업기간내 1회만 가능하도록 한다.
서비스제공장치(100)는 구직자를 고용한 구인 업체의 구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불만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한다(ST90). 즉, 서비스제공장치(100)는 취업 기간내 해당 구인 업소로부터의 불만정보 수신에 대하여 블랙 지수를 "10" 증가시킨다.
한편,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에서 구직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4는 구직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메인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리 정보와 메세지, 포인트 및 개인 정보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항목정보(41)와, 구직자가 현재 구직 대기중인 업체정보(42), 최근 수신 메세지 정보(43), 직업 지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44), 포유 포인트 정보(45), 위치 기반 주변 검색 항목정보(46) 및, 업종별 검색 항목정보(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메세지 정보는 구인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요청된 면접 대기정보로서, 구직자는 이를 통해 면접 대기 요청한 총 구인 업체 수 및, 이 중 자신이 선택한 구인 업체에 대한 구인 광고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5a 는 도4에 도시된 서비스 항목(41) 중 "일자리 정보" 항목에 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가 등록된 위치 주변의 구인 업체 위치를 지도 이미지 형태로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특정 구인 업체 선택시 해당 구인 업체의 이름과 근무시간, 시급 및 근무 시작 일시 정보가 표시추력된다. 상기 일자리 정보는 구인자의 선택에 따라 업종별 지역별 구인 업체 검색 결과가 지도 이미지 형태로 표시출력될 수 있다. 이때, 구직자는 검색된 구인 업체에 대해 "수락하기"항목을 선택하여 도3의 실효 시급 정보 산출(도3의 ST 30단계) 이후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5b는 도4에 도시된 서비스 항목(41) 중 "메세지" 항목에 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는 구인 업체와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메세지 항목 표시화면에는 구인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메세지, 예컨대 면접 대기 메세지가 표시출력될 수 있으며, 구직자의 선택에 따라 메세지 창을 통해 해당 구인 업체로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5c는 도4에 도시된 서비스 항목(41) 중 "포인트" 항목에 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는 금융사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상점을 통해 등록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제휴사 회원가입 등을 통해 무료로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전 포인트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5d는 도4에 도시된 서비스 항목(41) 중 "개인정보" 항목에 대한 서비스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는 자신의 현재 활동지수와 블랙지수 등의 등록 상태 및 지수 등록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직자가 자신의 포인트를 타 구직자에 선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도5c에 도시된 "포인트" 항목 서비스화면으로부터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직자 자신이 수신한 면접 대기정보를 타 구직자에게 양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면접 대기정보를 양수한 구직자의 포인트는 면접 대기정보 양도 구직자에게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는 양수 구직자 정보를 구인 업체로 제공하고, 구인 업체로부터 면접 대상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포인트 이관 및 면접 대상 구직자의 승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인 업체에 대해 구직자에 대한 블랙지수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서비스제공장치에서 해당 구인 업체에서 근무한 구직자로부터의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구인 업체에 대한 블랙지수를 누적 저장하고, 해당 구인 업체에서 근거로 총 구직자의 활동 지수와 블랙지수를 포함하는 업체 고용지수정보를 구직자에게 제공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활동 지수와 블랙지수를 직업 지수로서 상호간 제공하도록 실시하였으나, 칭찬에 따른 칭찬지수를 추가적으로 직업 지수에 포함하여 구직자 단말 및 구인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칭찬지수는 취업 완료시 구직자 단말 또는 구인자 단말로부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에 대한 칭찬 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누적 산출된다. 즉, 상기 칭찬지수는 블랙지수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되어 구직자 단말 및 구인자 단말로 제공된다.
100 : 서비스제공장치, 200 : 구직자 단말,
300 : 구인자 단말, 110 : 통신 접속부,
120 : 서비스 제어부, 130 : 매칭 처리부,
140 : 포인트 관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160 : 운용자 단말.

Claims (7)

  1.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직 정보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구인업체 위치와 시급정보를 포함하는 구인 요구정보가 수신되면,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로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직자 단말로 제공되는 구직 선택 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구인자 단말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이전 근무 상태에 대응되는 활동지수 및 블랙지수가 포함된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면접 대상 구직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구직자 단말로 면접 대기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 또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완료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5 단계 및,
    서비스제공장치에서 구인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구직자에 대한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의 업무 난이도 및 업무 전문성에 대응되는 업무 가중치와, 구인 업체와 구인자 위치간 거리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인 업체의 시간 급여에 적용하여 실효 시급을 산출하고,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각 구직자 단말로 실효 시급을 포함하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가중치와 거리 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여 실효시급을 산출하는 경우, 업무 가중치와 거리 가중치 적용 비율은 구직자 단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에 대한 업체 활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고,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취업 구인 업체에 대한 불만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업체 블랙 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업체 위치 주변에 위치 등록된 구직자 단말로 구인 업체에 대한 이전 근무 환경에 대응되는 업체 활동 지수와 업체 블랙 지수가 포함된 구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 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직자 또는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지수를 업데이트 시키도록 구성되고,
    서비스제공장치는 제2 단계에서 해당 구직자 단말로 해당 구인 업체에 대한 칭찬지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 단계에서 해당 구인자 단말로 해당 구직자에 대한 칭찬지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구인 업체 협상요구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해당 구인자 단말과의 근무 조건 협상정보 중계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는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에 대응하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대한 포인트를 차감처리함과 더불어, 구직자 단말 또는 구인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포인트 충전, 포인트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및, 포인트 선물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60060508A 2016-05-18 2016-05-18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30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08A KR20170130028A (ko) 2016-05-18 2016-05-18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08A KR20170130028A (ko) 2016-05-18 2016-05-18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28A true KR20170130028A (ko) 2017-11-28

Family

ID=6081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08A KR20170130028A (ko) 2016-05-18 2016-05-18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02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50B1 (ko)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드론 업무 매칭 및 홍보 시스템
KR20220079247A (ko) * 2020-12-04 2022-06-13 이봉순 근로자를 위한 유료직업소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83235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오즈아이앤씨 위치기반 온라인 구인구직 매칭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인구직 매칭방법
KR20220086918A (ko) * 2020-12-17 2022-06-24 (주)위솝 Ai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신속 채용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49226B1 (ko) * 2022-03-10 2022-09-29 (주)한국이엠에스 구인 구직 중개에 대한 업무 난이도 기반의 차등 페이백 제공 시스템
KR102464701B1 (ko) * 2021-12-20 2022-11-09 김대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50B1 (ko)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드론 업무 매칭 및 홍보 시스템
KR20220079247A (ko) * 2020-12-04 2022-06-13 이봉순 근로자를 위한 유료직업소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83235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오즈아이앤씨 위치기반 온라인 구인구직 매칭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인구직 매칭방법
KR20220086918A (ko) * 2020-12-17 2022-06-24 (주)위솝 Ai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신속 채용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64701B1 (ko) * 2021-12-20 2022-11-09 김대호 인력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9226B1 (ko) * 2022-03-10 2022-09-29 (주)한국이엠에스 구인 구직 중개에 대한 업무 난이도 기반의 차등 페이백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52B1 (ko)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20170130028A (ko)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387886A1 (en) Appointment and payment handling
US11087412B1 (en) Intelligent compensation management
CN109493234B (zh) 适用于金融中介行业的客户管理系统
KR101913229B1 (ko) 구인기업을 직접 연결하는 헤드헌팅 플랫폼 시스템
US20050216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curity and transaction exchange in aviation
KR20190025249A (ko)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KR102528645B1 (ko) 구인구직 인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1131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everse auctioning recruiting exchange
KR20210147763A (ko) 확장된 범위를 가진 인재 채용 중개 서비스 방법
KR101737500B1 (ko) 공동체 구성원 간의 자산과 재능의 상호 기부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6749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KR1015374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복리 후생 포인트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9315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 기술 인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47690B1 (ko) 아웃소싱 입찰 중계 플랫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097298A (ko) 여행상품 중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3920A (ko)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KR20210110531A (ko) 투명한 거래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거래 방법
KR102287365B1 (ko) 사내 근로자에 대한 복지 포인트 지급 및 관리 시스템
KR20150063971A (ko) 업체 유휴 인력을 활용한 아웃소싱 시스템 및 방법
WO2015128937A1 (ja) 仲介システム、仲介方法及び仲介プログラム
KR102470691B1 (ko) 장애인 연계 고용 제도를 활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0596A (ko) 신뢰도에 따른 건설정보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416A (ko) 신혼 재무 설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