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59B1 -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 Google Patents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59B1
KR102461159B1 KR1020190155842A KR20190155842A KR102461159B1 KR 102461159 B1 KR102461159 B1 KR 102461159B1 KR 1020190155842 A KR1020190155842 A KR 1020190155842A KR 20190155842 A KR20190155842 A KR 20190155842A KR 102461159 B1 KR102461159 B1 KR 10246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oat
pepper paste
oats
ko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022A (ko
Inventor
김세진
이명수
전희원
임은정
조성호
정도연
Original Assignee
토박이순창식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박이순창식품(주) filed Critical 토박이순창식품(주)
Publication of KR2020006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5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9Aspergillus oryz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주창의 제조방법은, 귀리를 침지하고 증자한 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귀리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SRCM100678 균주를 접종 후 발효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귀리코지에 소금물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추장 숙성죽과 부재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METHOD FOR PRODUCING OAT RED PEPPER PASTE USING FUNCTIONAL STRAIN AND OAT RED PEPPER PASTE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은 간장, 된장과 함께 예전부터 널리 애용되어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탄수화물에서 생기는 당류의 단맛, 단백질에서 생성된 아미노산의 구수한 맛, 고춧가루의 매운맛, 그리고 소금의 짠맛 등이 잘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맛을 형성하는 복합 향신 조미료이다. 또한, 된장과 간장에 비해 비타민 B1, B2, C 및 엽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미생물의 대사 및 발효작용으로 생성되는 유기산, 핵산, 알코올 및 색소 등의 미량 성분이 맛, 향 및 색 등의 조화를 이루는 식품이다.
귀리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변비치료와 담즙산 제거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귀리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할 경우 훌륭한 관능적인 품질뿐만 아니라 기능성의 상승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고추장의 색, 맛(taste), 향미(flavor) 및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기능성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주창의 제조방법은, 귀리를 침지하고 증자한 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귀리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SRCM100678 균주를 접종 후 발효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귀리코지에 소금물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추장 숙성죽과 부재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고추장의 색, 맛, 향미 및 기능성 등의 품질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기호도면에서 적합하여 상품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귀리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6종의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귀지코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pH를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기능성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특정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의 한 가지 예시일 뿐 본 명세서를 통해 보고받고자 하는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수치범위 또는 수치값은 하나의 예시일 뿐 청구항에 의해 보호받는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고추장의 색, 맛(taste), 향미(flavor) 및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균주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과, 그에 따라 선택된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총 6종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한 후 특성 비교를 통해 2가지 균주를 1차적으로 선택하고,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각각 고추장을 제조한 후 특성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 한 가지 균주를 선택하였다.
1. 귀리 고추장 제조에 사용된 재료 및 균주에 대한 설명
전북 정읍에서 생산된 귀리, 순창군에서 생산된 고춧가루, 신안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사용하였다.
장류용 발효 균주로서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으로부터 분양받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 5종을 사용하였고, 이들 균주와의 비교를 위해 하경발효㈜로부터 구매한 장류용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를 사용하였다. 즉, 총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고,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고추장 제조에 사용할 하나의 균주를 선택하였다.
고추장 제조에 사용할 균주를 선택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균주들 각각을 이용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귀리코지의 제조 및 특성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2. 균주 선택 과정에 대한 설명 (1차 선택)
위에서 설명한 균주들 각각을 이용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귀리코지들의 수분 함량,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활성도 및 베타글루칸(β-glucan) 함량을 측정하였다.
(1) 균주별 귀리코지의 제조
원료 귀리를 수세한 다음 귀리를 1시간 동안 물(이때, 귀리와 물의 비율은 1:1로 함)에 침지한 후 물을 빼내고 121℃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자한 다음 40℃의 온도로 냉각하였다. 냉각된 귀리에 귀리 무게의 0.5%에 해당하는 균주를 위에서 설명한 6가지 균주별로 접종하고 30~38℃의 온도, 80%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4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조된 균주별 귀리코지의 사진은 도 2에 도시하였다.
(2) 귀리코지의 수분 함량 측정
적외선 수분측정기(FD-720, kett, Japan)를 사용하여 0.1% 이하의 유의차를 항량으로 하여 균주별 귀리코지 각각에 대한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균주별 귀리코지의 수분함량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19123100618-pat00001
6개 실험군의 전체적인 수분함량은 22.53~29.30%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이들 측정값의 평균은 25.04%이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0 및 SRCM100280을 이용하여 제조한 귀리코지의 수분함량은 평균값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5, SRCM100678, SRCM100685 및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귀리코지의 수분함량은 평균값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참고로, 코지의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경우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가 높게 나온다.
(3) 귀리코지의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 측정
조효소액 추출은 시료 10g에 증류수 90mL를 가하여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30℃, 150rpm로 1시간 동안 셰이킹(shaking)하여 효소액을 추출하였다.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는 효소액 1mL에 pH5.2 Buffer(0.2M Na2HPO4·12H2O+0.1M citric acid) 2mL와 1% 전분 용액 2mL를 첨가하여 40℃ 항온수조에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여과한 후 여액 1mL를 취해 1N 초산 10mL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0.005% 요오드 용액 10mL를 넣어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을 (Blank-시료)*1000*80/(100-수분)으로 계산하여 unit으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균주별 귀리코지의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는 표2와 같다.
Figure 112019123100618-pat00002
6개 실험군의 전체적인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는 433.17~2,593.51unit/g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및 SRCM100685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코지의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코지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 귀리코지의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
베타글루칸 함량은 Megazyme β-glucan assay kit(K-BGLU, Megazyme Internationa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100 mesh 체로 거른 분쇄 시료 100mg을 튜브에 넣어 0.2mL 50% 에탄올을 넣고 20mM sodium phosphate buffer 4mL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100℃에서 60초 동안 전배양하고 혼합한 다음 100℃에서 2분간 배양하였다. 다시 혼합한 다음 50℃에서 5분간 안정시킨 후 lichenase(10U) 0.2mL를 넣고 5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200mM sodium acetate buffer 5mL를 넣어 혼합하고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1mL를 세 개의 튜브에 각각 넣고 두 개의 튜브에는 0.1mL의 β-glucosidase(0.2U, in 50mM sodium acetate buffer)를 넣고 세 번째 튜브에는 50mM sodium acetate buffer 0.1mL를 넣고 5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GOPOD Reagent 3.0mL를 각각 첨가한 후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1시간 이내에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균주별 귀리코지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 3과 같다.
Figure 112019123100618-pat00003
6개 실험군의 전체적인 베타글루칸 함량은 7.11~11.31%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코지가 비교적 높은 베타글루칸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코지보다는 조금 낮았다.
(5) 귀리코지 제조에 사용할 균주의 선택 (1차 선택)
이상 살펴본 균주별 귀리코지의 수분 함량, 알파아밀라아제 활성도, 및 베타글루칸 함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85 균주, 이렇게 2가지 균주를 1차적으로 선택하였다.
이하에서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 그리고 비교를 위해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각각 귀리 고추장을 제조하고, 제조된 고추장의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한 가지 균주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3. 1차적으로 선택된 균주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 및 균주의 최종 선택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선택된 2가지 균주, 그리고 비교를 위해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코지를 각각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고추장을 제조하는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01 단계에서 귀리를 침지하고 증자한 후 냉각한다. 자세하게는, 원료 귀리를 수세한 다음 귀리를 1시간 동안 물(이때, 귀리와 물의 비율은 1:1로 함)에 침지한 후 물을 빼내고 121℃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자한 다음 40℃의 온도로 냉각한다.
102 단계에서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종류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냉각된 귀리에 각각 접종한 후 발효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한다. 자세하게는, 냉각된 귀리에 귀리 무게의 0.5%에 해당하는 균주를 3가지 균주별로 접종하고 30~38℃의 온도, 80%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48시간 동안 발효한다.
103 단계에서는 귀리코지에 소금물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한다. 자세하게는, 고추장의 최종 염도가 6.5~6.9%가 되도록 소금물을 제조하여 귀리코지와 혼합한 후 27~33℃에서 20일간 숙성한다. 균주의 최종 선택을 위해 본 단계의 숙성기간 동안 5일 간격으로 숙성죽을 샘플링하여 수분 함량, pH, 염도 및 아미노산성 질소(amino acid nitrogen, AN)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의 비교 내용은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고추장 숙성죽의 수분 함량은 적외선 수분기(Ket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은 초기에는 46.8~47.3%의 수분 함량을 가지다가 점점 증가하여 숙성 20일 째에는 51.3~52.1%의 수분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 자체의 수분함량과 숙성 기간 중 상대습도의 변화, 고형분의 분해 정도에 의해 수분 함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실험 결과 수분 함량은 3 가지 시료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도 4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pH를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고추장 숙성죽의 pH는 시료 5g을 10배 희석하여 pH meter(istek pH-200L)로 측정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pH는 초기에는 5.27~5.43의 값을 보이다가 점점 감소하여 숙성 20일 째에는 4.57~4.89의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고추장 숙성죽의 염도는 시료 10g을 90mL의 증류수에 넣어 균질화 한 후, 염도계(TM-30D, Takemura,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염도는 초기에는 8.15~8.21%의 값을 보이다가, 숙성 20일 째에는 8.18~8.29%의 값을 보여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성 20일 째에 염도가 조금 증가한 것은 숙성기간 중 일부 수분이 증발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도 6은 1차적으로 선택된 2가지 균주와 하경발효㈜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고추장의 단백질은 미생물이 발효하면서 분비하는 효소에 의하여 유리아미노산으로 변하면서 구수한 맛을 나타낸다. 단백질이 유리아미노산 형태로 어느 정도까지 분해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통상 장류공장에서는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추장 숙성죽의 숙성 종료 시점을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 160mg% 이상이 되는 시점으로 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은 초기에는 112.5~126.7mg%의 값을 보이다가, 점점 증가하여 숙성 20일 째에는 195.2~230.5mg%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이 20일 째 239.30mg%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2 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104 단계에서는 숙성이 끝난 고추장 숙성죽과 부재료를 배합하여 고추장을 제조한다. 자세하게는, 물엿, 고춧가루, 귀리분말 및 효모 등의 부재료를 고추장 숙성죽과 배합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된 고추장의 배합비는 다음의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9123100618-pat00004
균주의 최종 선택을 위해, 이와 같이 제조된 고추장 완제품에 대해서 기호도를 판단하기 위한 관능평가(sensory evaluation)를 실시하였다.관능평가 훈련을 받고, 다른 관능평가 실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토박이순창식품㈜ 업체 직원 10명과 발효산업진흥원 직원 10명을 대상으로 색(color), 향미(flavor), 맛(tast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를 9점 채점법으로 평가하도록 했다. 색, 향미 및 맛의 특성은 강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평가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평가하였다. 위 항목들에 대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9123100618-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귀리 고추장이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다른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숙성죽의 성분 측정, 그리고 3가지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 완제품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하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이용하여 귀리 고추장 제조 시 품질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기호도면에서 적합하여 상품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해당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귀리를 침지하고 증자한 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귀리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SRCM100678 균주를 접종 후 발효하여 귀리코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귀리코지에 소금물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추장 숙성죽과 부재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를 침지하고 증자한 후 냉각하는 단계는,
    귀리와 물을 1:1의 비율로 섞어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물을 빼내고 121℃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자한 다음 40℃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코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된 귀리에 귀리 무게의 0.5%에 해당하는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SRCM100678 균주를 접종하고 30~38℃의 온도 및 80%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48시간 동안 발효함으로써 상기 귀리코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추장의 최종 염도가 6.5~6.9%가 되도록 소금물을 제조하여 상기 귀리코지와 혼합한 후 27~33℃에서 20일간 숙성함으로써 상기 고추장 숙성죽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하는 단계는,
    물엿, 고춧가루, 귀리분말 및 효모를 포함하는 부재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고추장 숙성죽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KR1020190155842A 2018-11-28 2019-11-28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KR102461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04 2018-11-28
KR20180150204 201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022A KR20200064022A (ko) 2020-06-05
KR102461159B1 true KR102461159B1 (ko) 2022-11-01

Family

ID=7108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842A KR102461159B1 (ko) 2018-11-28 2019-11-28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74A (ko) 2022-07-07 2024-01-16 강진된장영농조합법인 발아귀리를 이용한 속성 고추장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832B1 (ko) * 2002-12-31 2005-08-10 주식회사 해찬들 매운맛이 감소된 고추장용 코지의 제조방법, 동 방법에의해 제조된 코지 및 상기 코지로부터 제조되는 고추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022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55554A (zh) 黑米醋及其制备方法
KR100908034B1 (ko) 상황버섯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청 및 고추장
KR102461159B1 (ko) 기능성 균주를 이용한 귀리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고추장
KR20190012405A (ko) 고추장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양념 소스
KR101911320B1 (ko) 막걸리 및 막걸리 식초 제조방법
KR101197878B1 (ko) 팥탁주 및 그 제조방법
JP5974254B2 (ja) 味噌用麹の製造方法及び味噌の製造方法
KR102251849B1 (ko) 기능성이 증진된 기정떡의 제조방법
KR100713663B1 (ko) 향신료를 함유하는 조미주의 제조방법
KR20140045790A (ko) 마-홍국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마-홍국 막걸리
KR101500809B1 (ko) 메주를 이용한 즙장의 제조방법
JP5273857B2 (ja) みりん類、みりん類の製造方法
KR20170098429A (ko) 홍국 쌀누룩 제조방법
KR20140102530A (ko) 자색 고구마 및 무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JP7018158B1 (ja) 味噌の製造方法及び味噌製造キット
KR100363616B1 (ko) 발효 향미액
KR102265810B1 (ko) 표고버섯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표고버섯식초
KR102481019B1 (ko) 생강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114998B1 (ko) 메탄올 함량이 저감된 복분자주의 제조 방법
KR102007294B1 (ko) 흑삼 및 현미를 이용한 양조 식초의 제조방법
KR102125721B1 (ko) 쇠고기 함유 볶음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쇠고기 함유 볶음고추장
CN106616833A (zh) 一种本味淋的配方及生产工艺
JPH0279965A (ja) 酒類、甘味食品の製造法
KR20230047234A (ko) 새싹인삼 약주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32082A (ko) 매실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