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71B1 -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71B1
KR102459271B1 KR1020200038252A KR20200038252A KR102459271B1 KR 102459271 B1 KR102459271 B1 KR 102459271B1 KR 1020200038252 A KR1020200038252 A KR 1020200038252A KR 20200038252 A KR20200038252 A KR 20200038252A KR 102459271 B1 KR102459271 B1 KR 10245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ncer
extract
composition
metastasis
whit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495A (ko
Inventor
최영현
황보현
김민영
지선영
이혜숙
홍수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여,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피부암의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F SKIN CANCER OF INHIBITION OF SKIN CANCER METASTASIS CONTAINING ANGELICA DAHURICA RADIX EXTRACT}
본 발명은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백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피부암의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암은 피부에서 발생되는 모든 암을 말하며, 비교적 흔한 암이지만 생명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위암, 간암, 폐암 등과 같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다른 부위의 암에 비해 복잡한 검사나 고가의 의료장비 등이 필요치 않고, 쉽게 육안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많은 피부암 환자들이 처음 피부에 암이 발생했을 때 단순히 피부염 또는 점이나 종기로 간과하기 때문에 병원을 늦게 방문하여 조기 발견이 어려우므로 병의 완치가 어렵게 되고 가끔 생명을 잃는 경우가 있다.
피부암 중 흔하고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피부암으로는 기저(基底)세포 암종(Basal cell carcinoma, BCC)으로 약 80%에 달하며 그 밖에도, 약 16%에 달하는 피부 편평 세포 암종(CSCC: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그리고 약 4% 해당하는 흑색종(melanoma)이 있다.
피부편평세포암종(CSCC: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의 위험 인자로는 UV 노출, 고령 및 면역 억압이 포함된다. CSCC 또는 BCC의 진단을 받은 대다수의 개체가 매우 유리한 예후를 보였지만, CSCC는 BCC보다 공격적인 재발에 대한 보다 큰 성향을 갖는다. CSCC로 진단된 개체들은 BCC로 진단된 이들과는 달리, 연령-매칭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사망률을 갖는다(Rees et al 2015, Int. J. Cancer 137: 878-84).
기저세포암종(BCC)과 피부 편평 세포 암종(CSCC)를 합쳐서 비흑색종성 암종(nonmelanoma skin cancer, NMSC)라 일컫는다. 흑색종은 표피 내에 있는 멜라노사이트로부터 발생하는데 대부분이 전이암이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암 종이며, 2000년에는 47,000명이 새로운 흑색종으로 판명되었으며 이 중 7,700명이 사망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R. T. Greenlee et al. Cancer J. Clin., 50: 7-33, 2000).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흑색종은 자외선의 만성적인 노출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극심한 선탠 등의 간헐적인 노출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B. A. Gilchrest et al. New Engl. J Med., 340: 1341-1348, 1999).
흑색종(melanoma)은 다른 피부암보다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되더라도 재발이 흔하며 생명을 단축할 수 있다. 피부병변은 황갈색이나 검은색을 띄는 반점이나 결절로 나타나며, 보통 중년 이후에 태양 노출부에 의해 잘 발생한다. 때로는 손, 발가락 특히 엄지손, 발가락의 말단에서도 생기며 손발톱에 검은 색의 세로줄이 보일 수 있는데 이때에는 흑색종을 의심하여 철저한 조사를 하여야 한다.
현재 암은 주로 통제되지 않는 세포의 증식에서 시작되어 주위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으로 침윤하여 이들을 파괴시키고 새로운 성장 장소를 만들 수 있어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군을 총칭한다. 그 중 흑색종은 피부에 발생하는 암으로서 피부에 발생하는 암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암이다. 림프절, 뼈, 폐, 간, 비장, 중추신경계 등 어느 장기들로도 전이될 수 있으며 주위 피부로 전이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병이다.
따라서 피부암을 정복하기 위해 세포주기 또는 세포사멸의 조절과 발암 유전자 또는 암 억제 유전자들을 포함한 새로운 표적을 모색함에 있어서 눈에 띄는 발전을 거듭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률은 문명이 발달됨에 따라 증가되고 있다.
이는 NK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비특이적 자연살상 세포반응에 의한 암세포의 치료 효과와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전이 억제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포 사멸(apoptosis)은 1972년에 케어 등[Kerr JF, Wyllie AH, Currie AR,. Br J. Cancer, 1972, 26, 239~257]에 의해 처음 언급 되었는데 세포의 괴사와는 다른 세포의 능동적인 세포사, 즉 세포 자살이라고 할 수 있다. 발암유전자의 발현으로 정상적인 세포 주기에 필요한 여러 신호 전달체계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억제 유전자의 이상으로 암유전자가 억제되지 못하고 활동하는 경우에 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암유전자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정상적으로 우리 몸에 존재하고 있는 유전자들이 없어지거나 돌연변이를 일으켜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라 때 그것을 암유전자라고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피부암의 치료 약물들이 단지 피부암의 증상만을 완화하는 것이고, 근본적인 치료약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현재까지는 피부암의 치료, 특히 피부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치료제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KR 10-1673988 B1
본 발명의 목적은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피부암의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피부암은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 카포시육종, 파젯병, 유방외파젯병 및 균상식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이다.
상기 전이는 폐(lung)로의 전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백지(Angelica dahurica)는 대활(大活), 흥안, 독활, 구리대, 굼배지라고도 한다. 미나리과의 다년생 식물의 뿌리로 달고 매우며 따뜻한 성질이 있고 독이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산골짜기 냇가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는 매우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내린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1∼2 m이다. 잎은 3개씩 2∼3회 깃꼴겹잎으로 많이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6∼8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20~40개의 산형꽃차례가 모여 겹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총포는 없고 작은 총포는 가늘며 작다. 화관은 작고 꽃잎 5개, 수술 5개 그리고 1개의 씨방은 꽃받침 아래 위치한다. 열매는 분과로서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려 만든 생약을 백지라 하여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백지의 주요성분은 앵게리코톡신(angelicotoxin), 벡-앵게리산(byakangelicin), 옥시퓨시다린(oxypeucedanin), 벡-앵게리콜(byak-angelicol), 임페라토린(imperatorin),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으로 구성된다. 알려진 약리효과로는 항균작용, 미주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작용과 동맥 혈류량 증가 등이 있으며 두통에 효과가 있고 특히 미백 및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
상기 백지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백지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에 의해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의 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피부암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피부암 예방 효과는 흑색종 세포라고도 불리는 B16F10 세포의 생존력을 억제 시키며, 세포 사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이는 B16F10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MMP-2,MMP-9 발현의 정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디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류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여러 가지 성분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MP류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으로는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MMP-매개 골감소증, 중추신경계의 염증질환, 피부노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혈증성 관절염, 각막궤양, 이상 창상 유합, 골질환,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 질환, 노화와 관련된 황반변성, 당뇨성 망막변성,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안구건조증, 백내장, 비만, 염증, 각막이식 거부, 혈관신생, 암의 침윤과 전이 등이 있다.
이러한 MMP류 중에서 특히 MMP-2와 MMP-9는 타입 IV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염증, 졸증, 종양생장 및 전이와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MMP-9은 암의 침윤과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MMP-2 및 MMP-9의 발현 정도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피부암의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부암은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 카포시육종, 파젯병, 유방외파젯병 및 균상식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이다.
피부암(skin cancer)은 일반적으로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피부암이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B와 UV-C로 구분되는데, UV-B는 기저세포암과 편평세포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두 종류는 전체 피부암의 80%를 차지한다. 보다 치명적인 UV-C는 대개 오존층에서 여과되어 지표까지 도달하는 일이 드물지만, 최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UV-C가 여과되지 못하고 지표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UV-C는 흑색종을 유발한다. 흑색종은 발생한 세포마다 멜라닌을 침착시키면서 확산되며 예후가 좋지 않다. 흑색종은 유럽계 백인 집단에서 발병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한편, 할로겐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도 UV-C를 방출하여 장기간 노출되면 흑색종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은 표피의 최하층인 기저층이나 모낭 등을 구성하는 세포가 악성화한 종양으로 편평세포암과 함께 가장 흔한 비흑색종 피부암이며 국소적으로 침윤하고 전이가 드문 악성종양이다.
상기 편평상피세포암(squamos cell carcinoma)은 표피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종양이다. 종양의 크기 및 깊이, 원인, 해부학적 위치,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전이 등의 생물학적 양상이 기저세포암보다 복잡한 비흑색종 피부암으로 우리나라에서 기저세포암과 함께 가장 많은 피부암의 하나이다.
상기 흑색종(Melanoma)은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유래된 암종으로,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에서 유래된 멜라닌 세포는 피부와 모공 뿐만 아니라 몸 안의 다양한 조직에 퍼져 있으며 흑색종 역시 대부분의 경우 피부에서 발생하나 안구, 점막, 중추신경계 등에서도 발견된다. 흑색종은 현재 지속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암이며 특히 멜라닌 색소가 부족한 백인에서 높은 발병율이 보인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이(metastasis)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상기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은 바이러스에 의해 피부 및 기타 장기에 발생하는 내피세포 기원의 드문 악성종양으로 초기에는 대부분 피부에 붉은색 또는 자주색의 부드러운 구진, 반점, 결절이 여러 개 나타난다. 대개 통증이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은 없다. 고전적 카포시육종의 주된 침범 부위는 하지이며, 무증상 자주색 구진 형태로 나타난다. 에이즈 연관 카포시육종은 얼굴을 비롯한 상체와 점막을 중심으로 전신에 발생할 수 있다. 대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자라며, 진행되면 딱딱하게 변하는 과각질 현상(hyperkeratosis)이나 궤양(ulcer) 형성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파젯병(Paget dise)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며, 피부만 주로 침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증치료를 시행한다. 질환이 자발적으로 소실되는 경우에는 대증적 치료 이외에 다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하지의 상승, 휴식과 적절한 식사, 동통해소를 위해 진통제 사용, 외부 손상과 한냉으로부터 병변 보호 등이 일차적인 처치이다.
상기 균상식육종(mycosis fungoide)은 피부 림프종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말초 T 림프구에서 기원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모양의 반이 발생해 수년간 지속되다가 악성세포가 증식하면서 병변이 단단해지고 여러 모양의 판, 결절, 홍색피부증이나 종양으로 진행한다.
상기 전이는 폐(lung)로의 전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의 전이는 0.01~0.1%로 매우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림프행성 및 혈행성 전파로 림프선, 폐, 뼈로 전이되고 이어서 간 등 다른 장기와 피부, 피하지방층으로도 전이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의 전이율은 0.5~6% 정도이며, 병변이 크고 재발하거나, 심부조직 및 피부신경을 포함한 종양에서 전이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발생 부위 및 발생 원인에 따라서도 전이율은 큰 차이를 보이는데 태양에 손상 받은 피부에서 발생한 암에서의 전이율은 0.5%로 비교적 낮은데 반하여, 아랫입술에 발생한 경우에는 16%의 높은 전이율을 보인다. 염증이나 변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들이 태양에 손상 받은 피부에서 발생한 암보다 전이율이 높아 평균 20~30%의 높은 전이율을 보인다.
특히, 상피세포암의 전이는 85%에서 국소 임파절을 침범하고 폐, 피부, 뼈, 이하선 등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폐(lung)로의 전이 억제를 통해 피부에 발생한 암의 전이율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Sieb.) 추출물, 개새비나무(Callicarpa shiraswana Makino) 추출물, 꽝꽝나무 (Ilex crenat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는 녹나무과(Lauraceae)의 상록성 교목으로 우리나라 남부 다도해 지역에 주로 자란다. 수고 15m에 이르도록 높게 자라며 성숙한 줄기의 수피는 흑색을 띄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은 없다.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 나비 2~5cm의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뒷면이 분백색을 나타낸다. 6월경에 연한 황색의 취산화서로 개화하는데 양성화이다. 타원형의 열매는 지름이 12mm 정도이며, 12월경에 자흑색으로 성숙한다.
개새비나무(Callicarpa shiraswana Makino)는 우리나라 남해안 도서지방 산록의 수림에서 자라며, 내한성은 약하나 내음력이 강해 바닷가에서 잘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2cm, 폭 2.5~5cm로서 양면에 잔 선점이 있으며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성모가 밀생한다. 꽃은 8월에 피며 취산꽃차례는 액생하고 성모가 밀생하며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성모 또는 우상의 털이 밀생한다. 꽃부리는 길이 4~5m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판통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고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다.
꽝꽝나무 (Ilex crenata)는 우리나라 전라북도의 변산반도 이남에 자생하며, 강릉, 원주, 태안, 예산, 대전 이남에서도 식재가 가능하다. 현재 알려진 꽝꽝나무의 변종은 40분류군에 이르며, 상록성의 작은 잎과 조밀하면서도 섬세한 잔가지를 가지고 있다.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가지와 잎은 무성하며, 높이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새운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양쪽이 뽀족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1.5~3cm, 폭은 16~20mm이고, 앞면은 윤이 나고 짙은 녹색이다.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백지 추출물에 더하여, 생달나무 추출물, 개새비나무 추출물, 꽝꽝나무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백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생달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개새비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꽝꽝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국소적용에 적합한 제형으로,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및 액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의하면 백지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피부암의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 생존율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 사멸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ROS 생성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단백질 발현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MMP-2 및 MMP-9 발현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전이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지 추출물에 따른 피부암 세포의 폐 전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1: 추출물의 제조]
1. 백지 추출물의 제조
구릿대(Angelica dahurica Radix)의 말린 뿌리 100g을 미세 분말로 분쇄한 다음 24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1L의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환류시켰다. 그 후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유리 필터 깔때기로 여과(filter)한 후. 추출물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농축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이를 -80℃에 보관하였으며,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에 용해시켜 백지 추출물(EEAD)로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백지 추출물(EEAD)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달나무 추출물(EECJ), 개새비나무 추출물(EECS) 및 꽝꽝나무 추출물(EEIC)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백지 추출물(EEAD), 생달나무 추출물(EECJ), 개새비나무 추출물(EECS) 및 꽝꽝나무 추출물(EEIC)은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내로 혼합하여,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AX1 AX2 AX3 AX4 AX5
EEAD 100 100 100 100 100
EECJ - 30 40 60 80
EECS - 30 40 60 80
EEIC - 30 40 60 80
(단위: 중량부)
[실험예1: 백지 추출물(EEAD) 투여에 따른 피부 암세포의 생존력 평가]
세포배양 및 시료
C57BL/6 (H-2b) 마우스의 B16F10 세포(Manassas, MD, USA)를 10% feta bovine serum (FBS), 100 U/㎖ 페니실린(penicillin), 100 ㎍/㎖ 스트랩토 마이신(streptomycin, WelGENE Inc., Daegu, Republic of Korea)을 첨가한 DMEM 배지로 배양하였다.
MTT 분석
세포 생존력은 MTT(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1x104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으며, 백지 추출물(EEAD)를 처리하였다. B16F10 세포를 MTT 용액 50μg/ml의 농도로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여 DMSO를 각 well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반응물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 Co., Sunnyvale, CA, USA)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위상차 현미경(phase-contrast microscope)으로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세포에 대한 생존율은 평균 ± SD 로 표시되며, 대조군에 대한 차(** p <0.001 및 *** p <0.0001)를 표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 A에 나타내었으며, 백지 추출물 (EEAD)을 처리한 경우, B16F10 세포 생존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 B는 백지 추출물 (EEAD)로 24시간 처리된 B16F10 세포의 변화는 40x 배율(상단) 400x(하단)에서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으로, EEAD 처리 세포 세포 밀도 감소 및 분리된 세포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2: 백지 추출물(EEAD) 투여에 따른 피부 암세포의 세포사멸 유도]
백지 추출물(EEAD) 투여에 따른 세포 사멸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DAPI 염색을 진행한 것으로, 백지 추출물(EEAD)로 24 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수확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시켰다. 고정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차광 조건 하에서 10분 동안 1 μg/mL DAPI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이를 또 PBS 세척하여 annexin-V와 propidium iodide (PI)로 20분 동안 이중 염색을 한 후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안산염(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및 세포 사멸 검출 키드 (BD Biosciences,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유세포분석을 진행하였다.
세포의 형광 강도는 유세포분석기 (BD Bioscienc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nnexin V+/PI- 와 annexin V+/PI+ 세포 집단은 세포 사멸 지표로 간주된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 A,B에 나타내었으며, 백지 추출물(EEAD)이 처리된 세포에서 핵 분역 및 세포막을 파괴시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멸 세포의 백분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희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3: 백지 추출물(EEAD) 투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ROS 생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백지 추출물 (EEAD) 처리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경로가 활성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 (Δψm)를 측정하고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분획을 분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JC-1(5,5',6,6' tetrachloro 1,1',3,3'- tetraethyl imidacarbocyanine iodide) 염색을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를 백지 추출물(EEAD)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10 μM JC-1을 37 ℃에서 30 분 동안 세포에 첨가하였다. 그 후 B16F10 세포를 PBS로 세척하여 남은 염료를 제거하고, 각 샘플에 대해 10,000 개 이상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MMP(Δψm)의 양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488/575 nm에서 검출되었다. 정량 데이터는 평균 ± SD 로 표시되며, 대조군에 대한 차(*** p <0.0001)를 표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3 A,B에 나타내었으며, 도 3 A는 백지 추출물(EEAD)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경로를 확인한 것으로, JC-1 응집체가 백지 추출물(EEAD)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 B를 통해 백지 추출물 (EEAD)에 의한 B16F10 세포의 세포 사멸은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내인성 경로와 세포 사멸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외인성 경로를 통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다.
ROS 생성 증가
ROS의 생성에 미치는 백지 추출물 (EEAD)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DCF-DA (5,6-carboxy-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를 사용하여 염색을 진행하고, 유세포분석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를 백지 추출물(EEAD)로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20분 동안, 10 μM DCF-DA를 암실에서 배양된 세포에 첨가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80nm/530nm에서 유세포분석기(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DCF 형광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량 데이터는 평균 ± SD 로 표시되며, 대조군에 대한 차(*** p <0.0001)를 표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세포 포 내 ROS 생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ROS 생성은 백지 추출물(EEAD)의 농도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분석
세포의 단백질은 Bradford 단백질 분석 키트 (Bio-Rad Laboratories, 미국 캘리포니아 주 허큘리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단백질 농도는 Bio-Rad 단백질 분석 키트 (Bio-Rad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샘플로부터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전기 영동으로 분리한 다음, 폴리 비닐 리덴 디 플루오 라이드 막 (Schleicher & Schuell, NH, USA, NH)으로 옮겼다. 막을 1시간 동안 0.1 % Triton X-100 (TBST)을 함유하는 Trisbuffered 식염수에서 5% 탈지유로 차단한 후, 특정 1차 항체 (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크루즈)로 4 ℃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그 후 TBST로 세척한 후, 단백질의 발현을 ECL 키트에 의해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5에 나타내었으며, apoptotic Bax mRNA의 수준은 증가하는 반면, 항- apoptotic Bcl-2의 수준은 백지 추출물 (EEAD) 자극 세포에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백지 추출물 (EEAD) 자극 세포에서 caspase-3을 활성화시켰으며, 활성된 caspase-3은 caspase-3의 주요기질 단백질 중 하나인 PARP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4: 백지 추출물(EEAD) 투여에 따른 전이 억제 효과]
MMP-2 및 MMP-9의 발현 억제
B16F10 세포를 백지 추출물 (EEAD)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상기 세포를 배양시킨 실험의 상층액을 수집하여 MMP-2 및 MMP-9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6에 나타내었으며, MMP-2 및 MMP-9 모두 백지 추출물 (EEAD) 투여 시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조적으로, 백지 추출물 (EEAD)은 TIMP-1 및 TIMP-2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백지 추출물 (EEAD)이 MMP의 하향 조절 및 TIMP의 상향 조절을 통해 흑색종 세포의 이동성을 억제하였고, 이는 전이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한다.
세포 이동, 침입 및 코로니(Colony) 형성 분석
백지 추출물 (EEAD)에 의한 B16F10 세포의 항 전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세포 이동 및 침입 분석을 조사하였다. 먼저, B16F10 세포에서 200μL 피펫 팁(pipette tip)으로 긁어내어 제거 라인을 만들었습니다. 제거 후, 부유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백지 추출물 (EEAD)를 첨가하지 않은 1 % FBS 함유 배지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제거의 폭을 역 현미경 (Carl Zeiss)으로 촬영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를 무 혈청 배지에 24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동시에 백지 추출물 (EEAD)가 첨가된 10 % FBS 함유 배지에 첨가하고, 세포를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침입 한 세포를 4 % 파라 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하고 헤마톡 실린 및 에오신 (H & E; Sigma-Aldrich Chemical Co.)으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계수하고 역 현미경 (Carl Zeiss)으로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니 형성 분석을 위해, 24시간 동안 백지 추출물 (EEAD)로 처리한 후, B16F10 세포의 단일-세포 현탁액을 6- 웰 플레이트에 놓았다. 코로니가 형성될 때까지 세포를 2 주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3.7 %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후, 코로니를 0.1 %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 (Sigma-Aldrich Chemical Co.)으로 10 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계수하고 역 현미경 (Carl Zeiss)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백지 추출물 (EEAD)은 대조군 B16F10 세포와 비교하여 의존적으로 B16F10 세포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암과 밀접한 관련이있는 코로니 형성에 대한 백지 추출물 (EEAD)의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백지 추출물 (EEAD)의 치료가 흑색종 세포의 이동성 및 코로니 형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는 것이다.
폐 전이 분석
폐 전이에 대한 백지 추출물(EEAD)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B16-F10 세포를 C57BL/6 마우스의 꼬리정맥에 주사하여 폐로 암세포가 전이된 모델 쥐를 만들었다. 총 44마리의 마우스가 본 실험에 투여되었으며, 28 마리 마우스에는 B16-F10 세포를 주사하였고, 16 마리의 마우스에 PBS를 주사하였다.
하루 후부터 EEAD 100 mg / kg, EEAD 200 mg / kg 또는 증류수를 21동안 아침에 하루 한번 투여한 후, 폐를 적출하여 폐로 전이된 암세포의 수를 카운트하였다.
종양 세포 접종 1일 후, 한 마리의 동물은 대조군(증류수 투여 군)에서, 다른 한 마리는 백지 추출물(EEAD) 200mg/kg 투여군에서 사망하였으며, 이들 2 마리는 종양 접종 14일 후 사망한 것으로, 21일 생존율은 83.33%로 확인하였다. 21 일째, B16F10 세포 접종이 없는 정상 마우스 및 백지 추출물(EEAD) 200 mg/kg 처리된 마우스의 100 %가 여전히 살아 있었다. 또한, 초기 체중과 최종 체중은 모든 그룹에서 다르지 않았다. 21일 후의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폐를 제거하여 고정시킨 후 폐 전이를 관찰하였다.
최종적인 결과를 하기 도 8에 나타내엇으며, 도 8 A는 B16-F10 세포를 C57BL/6 마우스의 꼬리정맥에 주사한 폐 표면의 전이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백지 추출물(EEAD) 투여 시 폐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8 B는 그룹 간의 폐 전이성을 나타낸 것으로, 백지 추출물(EEAD) 200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8 C의 파란색 화살표는 갈색으로 표시된 TNF-α 발현 영역의 전이 결절을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백지 추출물(EEAD)은 폐 전이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5: 복합 추출물의 효과]
상기와 같이 백지 추출물(EEAD)에 대한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 실험과 동일하게 이에 복합 추출물 AX2 내지 AX5에 대한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 시험을 진행하였고,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백지 추출물(EEAD)의 효과 정도를 지수 5로 놓고, 다른 복합 추출물에 대한 효과 정도를 5 내지 10의 지수로 기재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의 생존력, 세포 사멸,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ROS 생성 및 MMP-2, MMP-9 발현의 정도를 피부암 예방 효과로 종합하여 평가하였으며,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EEAD, AX1 AX2 AX3 AX4 AX5
피부암 예방 효과 5 7 9 8 6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 5 6 8 7 5
(단위: 지수)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암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B16F10 세포의 생존력, 세포 사멸,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ROS 생성 및 MMP-2,MMP-9 발현의 정도에 대해, 백지 추출물(EEAD)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 결과, AX2 내지 4에서 동등 이상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피부암 전이 억제 효과에서도 백지 추출물(EEAD)에 비해 AX2 내지 4에서 동등 이상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6: 관능성 평가]
상기 AX1 내지 AX5에 대해 관능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AX1 내지 AX5를 차로 제조한 이후, 성인남녀 20명에게 제공한 이후, 맛 및 향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였다.
평가 점수는 각 항목 당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EEAD, AX1 AX2 AX3 AX4 AX5
4.5 5.5 6 6 4.5
4 4.5 5 6 5
종합기호도(평균) 4 5 5.5 6 5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AX1에서는 백지 추출물(EEAD)의 고유한 맛과 향으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AX2 및 AX5의 다른 천연 추출물들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백지 추출물(EEAD)의 고유한 맛과 향이 중화되어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AX3 내지 AX4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맛과 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호도가 높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생달나무 추출물, 개새비나무 추출물 및 꽝꽝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백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생달나무 추출물을 40 내지 60 중량부, 상기 개새비나무 추출물을 4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꽝꽝나무 추출물을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암은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흑색종, 카포시육종, 파젯병, 유방외파젯병 및 균상식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피부암 예방 또는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는 폐(lung)로의 전이를 포함하는 것인
    피부암 예방 또는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KR1020200038252A 2020-03-30 2020-03-30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45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52A KR102459271B1 (ko) 2020-03-30 2020-03-30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52A KR102459271B1 (ko) 2020-03-30 2020-03-30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95A KR20210121495A (ko) 2021-10-08
KR102459271B1 true KR102459271B1 (ko) 2022-10-25

Family

ID=7811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52A KR102459271B1 (ko) 2020-03-30 2020-03-30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88B1 (ko) 2015-06-08 2016-11-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피부암의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therapy Research, 2007, Vol.21, pp.288-2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95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8403B2 (ja) アシュワガンダの葉抽出物による腫瘍細胞選択的増殖阻害
KR10240060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20118188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20110114346A (ko)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459271B1 (ko)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903732B1 (ko) 배향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32990B1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00141300A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KR20170025800A (ko) 여우콩 추출물 또는 쥐눈이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342437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07605B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102285164B1 (ko) 레드클로버 추출물 및 호프 추출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271471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KR102556835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93679A (ko) 남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17560B1 (ko) 켈락톤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0620A (ko) 대추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5961B1 (ko) 머루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
KR20230120911A (ko)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140131303A (ko)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3869A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건강 이상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