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11A -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11A
KR20230120911A KR1020220017748A KR20220017748A KR20230120911A KR 20230120911 A KR20230120911 A KR 20230120911A KR 1020220017748 A KR1020220017748 A KR 1020220017748A KR 20220017748 A KR20220017748 A KR 20220017748A KR 20230120911 A KR20230120911 A KR 2023012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inhibiting
extract
meta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형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911A/ko
Publication of KR2023012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기능성 및 기호도 높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CANCER GROWTH OR CANCER METASTASIS COMPRISING ISATIS INDIGOTICA FORTU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암세포로의 이동, 암 세포의 대식세포 유인인자 분비, M2 대식세포 마커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암의 성장 또는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장기간 복용하여도 그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암의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인구의 노령화, 흡연인구의 증가 및 대기오염으로 인한 폐암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지방식 섭취, 가공육 섭취, 체중 증가, 환경오염물질의 증가, 흡연, 음주량의 증가 등으로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관련하여,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를 세포(cell)이라 부르는데 정상적인 세포는 세포 내 조절기능에 의해 분열하며 성장하고 죽어 없어지기도 하며 세포수의 균형을 유지한다. 어떤 원인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은 경 우, 치료를 받아 정상 세포로 역할을 하거나 회복이 안 된 경우 스스로 사멸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세포의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나면 비정상적으로 세포가 변하여 불완전하게 성숙하고, 세포주기가 조절되지 않아 세포분열을 계속하는데 이를 암(cancer)이라 정의한다. 또한, 암은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고 이들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로 펴져 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암에 의한 사망률은 국내에서 사망원인 1 위로,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정 암의 의학적 치료에는 상당한 진보가 있어 왔지만, 모든 암에 대한 전반적인 5년 생존율은 과거 20년간 약 10% 정도만 개선되었다. 암, 또는 악성종양은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신속하게 전이 및 성장하기 때문에, 제시간에 이를 검출하고 치료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다.
악성 종양은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장기 (폐, 간, 신장, 위, 대장, 직장 등)에서 발생한 후 처음 발생한 원발부위인 장기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데, 이렇게 원발 부위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전이 (metastasis)라 한다. 전이는 악성 종양의 진행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악성 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전이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후 혈관과 림프선으로 침윤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한 후 증식하게 된다.
현재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초기에 발견되는 암일 경우 수술,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부작용 또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부분 1차 종양이 관찰된 시점에서는 이미 암의 전이가 발견된다. 또한, 말기 암이나 전이된 암의 경우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시한부 인생으로 삶을 마감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독성이 비교적 낮은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암종의 침윤 및 전이를 억제 하거나 감소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발암 억제제 및 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치료법은 암세포의 사멸 또는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암 환자의 생존율에 직접적 원인인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약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암치료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항암 활성과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 억제 효과를 함께 가지는 신개념의 약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편, 종양연관 대식세포(tumor-associated macrophage, TAM)는 종양미세환경을 구성하는 대표적 기질세포로서 종양침윤 면역세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종양연관 대식세포는 혈액을 순환하던 단핵구나 조직에 존재하던 대식세포가 암세포가 분비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인되어 분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식세포는 암 발생초기에는 돌연변이를 일으킨 암세포를 탐식함으로써 항암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의 진행단계에서는 오히려 면역억제 및 혈관신생을 촉진하여 암의 성장과 전이를 돕는 방면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종양연관 대식세포를 조절하여 암을 치료하려는 전략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한편, 청대(靑黛)는 숭람(, Isatis indigotica Fortune), 쪽(Persicaria tinctoria H. Gross) 또는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의 잎과 줄기 부분을 가공하여 얻은 짙은 청색의 가루로서 한의학적으로 청열해독(淸熱解毒), 량혈산종(凉血散腫)하여 습진(濕疹), 구창(口瘡), 창옹(瘡癰) 등 다양한 염증성 병변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청대는 다양한 알칼로이드(alkaloids)와 유기산(organic ac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 indirubin, indigo 및 tryptanthrin 등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암의 증식 및 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KR 10-2019-0094765 A KR 10-120964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청대(Isatis indigotica Fortu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암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대식세포 유인인자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암은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 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폐암 및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천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청대(Isatis indigotica Fortu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청대(Isatis indigotica Fortune)는 숭람(, Isatis indigotica Fortune), 쪽(Persicaria tinctoria H. Gross) 또는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의 잎과 줄기 부분을 가공하여 얻은 짙은 청색의 가루로서 한의학적으로 청열해독(淸熱解毒), 량혈산종(凉血散腫)하여 습진(濕疹), 구창(口瘡), 창옹(瘡癰) 등 다양한 염증성 병변 치료 효과가 있다.
상기 청대는 다양한 알칼로이드(alkaloids)와 유기산(organic ac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 indirubin, indigo 및 tryptanthrin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청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청대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에 의해 암 전이 또는 암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인체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는 자극원과 이에 따라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발현 양상에 따라 크게 M1과 M2로 나뉜다. 상기 M1 대식세포는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γ; IFNγ)에 의해 활성화되는 고전(classical) 대식세포로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를 주로 분비한다. 이에, M1 대식세포는 종양을 공격하여 면역작용을 촉진한다.
반면, M2는 사이토카인 인터루킨4(IL-4)에 의해 활성화되는 대체(alternative) 대식세포로서, 종양 미세환경에서 분비되는 IL-4, IL-13 등은 종양 침윤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며, 이러한 M2 대식세포는 면역작용을 억제하고 혈관신생을 촉진하여 암을 악화시킨다. 이에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 암 진행을 막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원발명의 청대 추출물의 경우,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암 전이 또는 암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암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대식세포 유인인자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암세포는 C─C motif chemokine ligand 2 (CCL2)나 colony-stimulating factor-1 (CSF-1)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을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종양 내로 유인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대식세포 유인인자가 암세포로부터 분비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암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어 암 진행이 저해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청대 추출물은 상기 대식세포 유인인자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암 증식 또는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암은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 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폐암 및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청대 추출물에 흰털냉초 추출물, 졸방제비꽃 추출물 및 산비장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보다 더 우수한 암 전이 또는 암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흰털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f. albiflora Yamazaki)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윤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3~8개씩 여러 층으로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7cm, 나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줄기는 높이 50~90cm이고 총생하고, 꽃은 7~8월에 피며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밑에서부터 꽃이 백색으로 피어 올라간다. 꽃받침은 5개로 ƒˆ게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화관은 통형이며 길이 7~8mm로서 끝이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백색이며 화통 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2개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수술대는 자주색이며 밑부분에 털이 있고 자방은 2실로서 중축태좌(中軸胎座)에 많은 배주(胚珠)가 달리며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고 밖으로 길게 나오며 백색이고 털이 없다. 열매로 삭과는 끝이 뾰족한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다.
졸방제비꽃(Viola acuminata Ledeb.)은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하며, 산록 양지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5-4cm, 폭 3-5mm로서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경 윗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리고 백색꽃의 입술모양꽃부리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짧고 반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오그라들며 톱니가 있다.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측판 안쪽에 수염털이 있으며 거는 길이 3-4mm이다. 열매는 길이 3-4mm이고 삭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8-10mm이며 털이 없다. 줄기는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몇 대가 뭉쳐나며 털은 없거나 윗부분에 있으며, 뿌리는 근경은 짧고 굵으며 황백색 또는 갈색의 뿌리가 난다. 상기 졸방제비꽃의 어린순은 나물로 하며, 잎은 주변강이라 하여 약용하여 사용한다.
산비장이(Serratula coronata L. subsp. insularis Kitamur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 30∼140cm로 세로줄이 있고 뿌리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깃처럼 완전히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1∼30cm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뿌리에 달린 잎과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7∼10월에 연한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두화(頭花)는 지름 3∼4cm이며 가지 끝과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총포는 종 모양이고 노란빛을 띠는 녹색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원통형이며 길이 약 6mm이고, 관모는 길이 11∼14mm로서 갈색이고 깃 같은 털이 없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상기 암 전이 또는 암 증식 억제용 조성물은 청대 추출물에 더하여, 흰털냉초 추출물, 졸방제비꽃 추출물 및 산비장이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암 전이 또는 암 증식 억제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청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흰털냉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졸방제비꽃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암 전이 또는 암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36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 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암 증식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의하면 청대 추출물을 포함하여, 암 증식 또는 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 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암 증식 또는 암 전이 억제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대 추출물의 대식세포 및 폐암 세포의 세포 생존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대 추출물의 암세포를 향한 대식세포의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대 추출물의 암세포의 대식세포 유인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대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M2 대식세포로의 마커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청대 추출물(EBC)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청대는 ㈜본초마루(Seoul, Korea)에서 구입한 것이다. 청대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 EBC)을 얻기 위해 청대 50 g에 80% 에탄올 800 ㎖을 첨가하여 40℃에서 150 rpm으로 교반시키며 7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은 후 다시 80% 에탄올 300 ㎖를 청대에 첨가하여 같은 방식으로 24시간 동안 2차 추출하였다.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고, 3000 rpm에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1.09 g의 최종 분말을 얻었으며(수율 2.18%), 이를 dimethylsulfoxide (DMSO; Amresco, Solon, OH, USA)에 100 ㎎/㎖ 농도로 용해시켜 -80℃에 보관 및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청대 추출물(EBC) 투여에 따른 암 전이 또는 억제 효과]
1. 실험방법
세포 배양
H1299 인체 폐암세포주 및 THP-1 인체 단핵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H1975 인체 폐암세포주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호영 교수님으로부터 제공받았으며,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는 동의대학교 최영현 교수님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H1299, H1975 세포 및 THP-1 세포는 RPMI-1640 (WelGENE, Seoul, Korea) 배지 90%에 fatal bovine serum (FBS; WelGENE) 10%와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1%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RAW 264.7 세포는 DMEM (WelGENE) 배지 90%에 FBS 10%와 penicillin-streptomycin 1%를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THP-1 세포를 대식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100 ng/ml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였으며, dish 바닥에 붙은 세포만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를 THP-1 대식세포라 명명하였다.
MTT assay
H1299(5×103개), H1975(5×103개), RAW 264.7(1×104개) 세포 및 THP-1 대식세포 (3×104개)를 각각 96 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다음 날 EBC를 농도별(0, 10, 25, 50, 100 ㎍/㎖)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배양액에 MTT 시약(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을 0.4 ㎎/㎖ 농도로 분주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포배양액을 모두 제거하였다. 각 well에 DMSO를 100 ㎕씩 넣어 formazin을 완전히 녹인 후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ranswell migration assay
24 well transwell (8.0 ㎛ pore size; Corning, NY, USA)의 upper chamber의 outer membrane 부분을 0.1% gelatin (Sciencell, Carlsbad, CA, USA)으로 코팅하였다. Gelatin이 굳은 후 upper chamber에 RAW 264.7 세포(3×104개)와 THP-1 대식세포(5×105개)를 각각 분주하면서 EBC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Lower chamber에는 H1299 혹은 H1975 세포로부터 모은 conditioned media (CM)를 500 ㎕씩 분주하여 chemoattractant로 사용하였다. 24시간 후 outer membrane으로 이동한 대식세포를 methanol로 5분간 고정하고, hematoxylin (Sigma-Aldrich)으로 30분간 염색하여 현미경(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H1299 및 H1975 세포의 CM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모았다. H1299 혹은 H1975 세포를 100 π dish에 분주하여 EBC를 농도별(0, 5, 10, 20 ㎍/㎖)로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serum이 포함되지 않은 RPMI-1640 배지 4 ㎖을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모은 것을 CM으로 사용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RAW 264.7 세포를 6 well plate에 분주하여 하루 안정화시킨 후 M2 대식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interleukin (IL)-4를 100 ng/ml로 처리하면서 동시에 EBC를 농도별(50, 100 ㎍/㎖)로 함께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를 모아 TRIzol reagent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1 μg total RNA를 PrimeScript RT reagent kit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nuclease-free water에 50배 희석한 후 사용하였으며, primer와 CYBR green (enzynomics, Daejeon, Korea)을 각각 혼합하여 CFX Connect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으로 quantitative real-time 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primer 서열과 annealing temperature는 하기 표 1과 같다.
Gene Sequence (5’→3’) AT(℃)
arginase-1 F: AACCAGCTCTGGGAATCTGC
R: TCCATCACCTTGCCAATCCC
55
Mannose receptor C type 1 (MRC-1) F: CTCTGTTCAGCTATTGGACG
R: CGGAATTTCTGGGATTCAG
CTTC
53
ACTB (β-actin) F: ACTACCTCATGAAGATCR: GATCCACATCTGCTGGAA 55
통계 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D)로 표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P < 0.05인 것을 유의성 있다고 판단하였다.
2. 실험 결과
폐암세포주 및 대식세포주에서 EBC의 적정농도 설정
먼저 EBC가 폐암세포와 대식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정농도 조건을 설정하였다. EBC가 이들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대식세포의 이동능 및 폐암세포의 대식세포 유인능에 순수하게 미치는 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H1299, H1975 인체 폐암세포주,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주 및 대식세포로 분화시킨 THP-1 인체 단핵세포주(THP-1 대식세포)에 각각 EBC를 24시간 처리한 후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THP-1 대식세포는 최고농도인 EBC 100 ㎍/㎖에서 각각 96.81±3.99%, 116.1±4.09%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세포주인 H1975 세포와 H1299 세포는 EBC에 보다 높은 감수성을 보여 25 ㎍/㎖에서 각각 100.69±4.74%, 94.04±3.38%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50 ㎍/㎖ 처리 시 두 세포 모두 90% 미만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이에 RAW 264.7 세포와 THP-1 대식세포에 대해서는 EBC 100 ㎍/㎖을, H1975 세포와 H1299 세포에 대해서는 EBC 20 ㎍/㎖을 각각 최고농도로 정하여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도 1A-D).
EBC가 폐암세포를 향한 대식세포주의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
암세포가 대식세포를 암의 성장과 전이에 유리한 종양연관 대식세포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혈중을 순환하거나 조직 내에 존재하던 대식세포를 종양이 위치한 곳으로 유인해야 하며, 종양으로 침윤한 대식세포들은 암의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대식세포가 폐암세포로 이동하는 것을 EBC가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ranswell migra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먼저 transwell의 upper chamber에는 RAW 264.7 세포 혹은 THP-1 대식세포를 분주하고, lower chamber에는 유인물질로서 H1299 혹은 H1975 세포의 CM을 넣어준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이동한 대식세포의 숫자를 조사하였다(도 2A 및 2D). 그 결과 RAW 264.7 세포와 THP-1 대식세포 모두 폐암세포주의 CM이 담긴 lower chamber를 향해 활발히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대식세포의 이동능은 EBC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RAW 264.7 세포는 EBC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EBC 25 ㎍/㎖, 50 ㎍/㎖, 100 ㎍/㎖ 처리군에서 각각 13.6±1.53%, 3.55±0.48%, 1.18±0.48%의 이동능을 보여 EBC 25 ㎍/㎖ 처리만으로도 현저하게 이동능이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2B 및 2C). THP-1 대식세포 역시 EBC 25 ㎍/㎖, 50 ㎍/㎖, 100 ㎍/㎖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43.28±4.6%, 34.89±3.52%, 20.55±2.67%의 이동능을 보여 농도의존적으로 이동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E 및 2F). 이러한 결과는 암세포를 향해 적극적으로 이동하는 대식세포를 EBC가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와 대식세포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EBC가 폐암세포의 대식세포주 유인능에 미치는 영향
암세포는 C-C motif chemokine ligand 2 (CCL2)나 colony-stimulating factor-1 (CSF-1)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을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종양 내로 유인한다. 이에 EBC가 폐암세포의 대식세포 유인능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transwell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transwell의 upper chamber에는 RAW 264.7 세포 혹은 THP-1 대식세포를 분주하고, lower chamber에는 EBC를 24시간 전처리한 H1299 세포 혹은 H1975 세포의 CM을 넣어주었다. 24시간 배양 후 lower chamber 방향으로 이동한 대식세포의 숫자를 계수함으로써 폐암세포주의 대식세포 유인능을 파악하였다(도 3A 및 3D).
그 결과 EBC를 전처리 하지 않은 H1299 세포로부터 모은 CM에 비해 EBC를 전처리한 H1299 CM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유인능이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EBC 5 ㎍/㎖, 10 ㎍/㎖, 20 ㎍/㎖가 각각 전처리된 H1299 세포로부터 모은 CM은 대조군에 비해 69.06±2.09%, 53.68±1.92%, 45.25±3.12%의 대식세포 유인능을 보였다(도 3B 및 3C). H1975 세포로부터 모은 CM으로 THP-1 대식세포에 대한 유인능을 조사한 결과 역시 동일한 패턴을 보여 EBC 5 ㎍/㎖, 10 ㎍/㎖, 20 ㎍/㎖가 전처리된 H1975 세포로부터 모은 CM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34.46±4.59%, 23.01±1.79%, 23.4±3.09%의 대식세포 유인능을 보였다(도 3E 및 3F).
이러한 결과는 EBC가 폐암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대식세포 유인인자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EBC가 M2 대식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종양미세환경에서 분비되는 IL-4, IL-10, IL-13 등이 종양침윤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며, 이러한 M2 대식세포는 면역작용을 억제하고 혈관신생을 촉진하여 암을 악화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BC가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IL-4를 처리하여 M2 대식세포로 분화시키면서 동시에 EBC를 처리하여 M2 대식세포 마커 유전자의 발현이 변화하는지 관찰하였다.
먼저 IL-4 처리에 의해 M2 대식세포 마커인 arginase-1MRC-1 유전자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여 M2 대식세포로의 분화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arginase-1MRC-1 유전자의 발현은 EBC 처리에 의해 다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A 및 4B). 이러한 결과는 EBC가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암의 성장과 전이를 저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조예 2 : 혼합 추출물의 제조]
기타 추출물의 제조
A 를 세척 후 건조한 뒤, 상기 건조된 A를 분쇄한 분쇄물의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흰털냉초 추출물(VE)을 제조하였다.
상기 흰털냉초 추출물(VE)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건조 및 열수추출한 뒤 여과 및 분말화하여 졸방제비꽃 추출물(WE) 및 산비장이 추출물(XE)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혼합 추출물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각 추출물을 혼합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EBC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VE - 20 - - 1 10 20 30 40
WE - - 20 - 1 10 20 30 40
XE - - - 20 1 10 20 30 4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2: 복합 추출물(MX1 내지 MX9) 투여에 따른 암 전이 또는 억제 효과]
본원발명의 상기 청대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 의해 암 세포에 대한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 효과가 증가되는지 실험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 나타낸 청대 추출물의 실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 2의 혼합 추출물 M1 내지 M9의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객관적인 실험 결과 비교를 위하여 MX1(청대 추출물, EBC)의 효과를 지수 5로 하여 나타내었으며,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하기 평가 지수는 실험결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변환하여 나타내었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폐암세포를 향한 대식세포주의 이동능 억제 5 5 5 6 4 8 8 9 4
폐암세포의 대식세포주 유인능 억제 5 5 6 5 4 8 8 9 4
M2 대식세포로의 분화 억제 5 6 6 6 4 8 9 9 5
(단위 : 지수)
상기 표 3에 따르면, 청대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MX1에 비해 흰털냉초 추출물, 졸방제비꽃 추출물 및 산비장이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MX2 내지 MX4의 경우 폐암세포를 향한 대식세포주의 이동능 및 폐암세포의 대식세포주 유인능이 보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청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흰털냉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졸방제비꽃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MX6 내지 MX8의 경우 상기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M5 및 M9에 비해 지수 값이 보다 향상됨에 따라, 바람직한 중량범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더 우수한 암 성장 또는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기호도 평가]
관능성 평가
MX1 내지 MX9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위해, 조성물은 차로 제조하여 20 내지 60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맛, 향 및 종합기호도 평가를 요청하였다.
상기 관능성 평가는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그 점수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 집계된 맛 및 향에 대한 평가 결과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종합기호도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3 5 4 4 6 8 9 9 7
3 4 4 5 6 9 9 9 6
종합기호도 3 5 4 5 6 9 9 9 7
(단위 : 지수)
상기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MX1 내지 MX9)에 대한 관능성 평가 결과, 청대 추출물(EBC)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MX1에 비해 추가적인 천연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MX2 내지 MX4의 경우 기호도가 소폭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흰털냉초 추출물(VE), 졸방제비꽃 추출물(WE) 및 산비장이 추출물(XE)를 바람직한 중량부로 혼합한 MX6 내지 MX8의 경우 종합기호도가 모두 9로 평가되어, 상기 세 천연 추출물을 청대 추출물(EBC)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기호도 평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천연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에 따른 것으로, 청대 추출물(E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흰털냉초 추출물(VE) 10 내지 30 중량부, 졸방제비꽃 추출물(WE) 10 내지 3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XE) 10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암 세포의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 활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기호도 또한 향상되어 기능성 및 기호도 모두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청대(Isatis indigotica Fortu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대식세포 유인인자를 억제함으로써 암 진행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 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폐암 및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17748A 2022-02-10 2022-02-10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30120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48A KR20230120911A (ko) 2022-02-10 2022-02-10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48A KR20230120911A (ko) 2022-02-10 2022-02-10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11A true KR20230120911A (ko) 2023-08-17

Family

ID=8780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48A KR20230120911A (ko) 2022-02-10 2022-02-10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9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46B1 (ko) 2011-09-29 2012-12-07 김현호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94765A (ko)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온코크로스 암의 전이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46B1 (ko) 2011-09-29 2012-12-07 김현호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94765A (ko)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온코크로스 암의 전이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327636A (zh) 包含混合的草藥萃取物的用於預防或治療癌症的藥物組合物和保健機能性食品
KR20160115896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10134742A (ko) 진귤 과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메톡시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0883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70025800A (ko) 여우콩 추출물 또는 쥐눈이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230120911A (ko) 청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269816B1 (ko)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항암 부작용 저하 및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649047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카지놀 c의 용도
KR20190048794A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50060653A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2990B1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794080B1 (ko) 삼백초, 황금 등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폐암에 대한 항암제 조성물
KR102556835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59271B1 (ko)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4939A (ko) 전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71017B1 (ko) 청괴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21579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9915A (ko) 사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7171A (ko)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증식 및 전이 억제용 조성물
WO2021210673A1 (ja) 更年期症状改善剤
KR102154743B1 (ko)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652888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0602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치료 및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