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264B1 -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264B1
KR102442264B1 KR1020197028539A KR20197028539A KR102442264B1 KR 102442264 B1 KR102442264 B1 KR 102442264B1 KR 1020197028539 A KR1020197028539 A KR 1020197028539A KR 20197028539 A KR20197028539 A KR 20197028539A KR 102442264 B1 KR102442264 B1 KR 10244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ase material
fiber base
suspension
dumm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048A (ko
Inventor
사토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03B37/0273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feeding the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to be drawn, e.g. fibre draw towers, preform alignment, butt-joining preforms or dummy parts during fee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molten glass in which the resultant product consists of different sorts of glass or is characterised by shape, e.g. hollow fibres, undulated fibres, fibres presenting a rough surface
    • C03B37/023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made by the double crucible technique
    • C03B37/0235Thermal treatment of the fibre during the drawing process, e.g.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9Furna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고 확실히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광섬유 모재(10)를 선인로로 반입하기 위한 현가 구조(100)이며, 선인로로 반입되는 광섬유 모재(10)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11)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더미봉부(1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30), 및 현가부(12)와 결합하여 광섬유 모재(10)를 보지하는 보지부(25)를 갖는 접합 기구(20)와, 아암부(30)가 결합되어 광섬유 모재(10)를 매다는 파지부(60)를 갖는 결합 기구(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특히, 광섬유 제조 시에 광섬유용 유리 모재를 선인로(線引爐)로 반입하는 현가 구조와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제조할 때에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이하 「광섬유 모재」라고 함)를 선인로 부근까지 옮겨서, 매달림 기구에 걸쳐놓고, 선인로의 노심관 내에 매달아 지지한다. 그리고, 선인로 내를 가열함으로써, 광섬유 모재를 용융시켜서, 광섬유의 선인을 실행하고 있다.
품질이 좋은 광섬유를 선인하기 위해서, 광섬유 모재는 기욺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정밀하게 선인로 내에 반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인로 부근에 있는 광섬유 모재를 세트하기 위한 스페이스는 좁고, 또한 연속적으로 선인하기 위해, 선인로가 고온으로 된 상태에서 작업할 필요가 있어서, 반입 작업이나 세팅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광섬유 모재를 지지하는 더미봉에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게다가 이 접속 부재와 광섬유 모재를 핀으로 고정하는 현가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히 청구항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평5-147967 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현가 구조는, 미리 접속통을 배치하고, 더미봉을 접속통 내에 삽입하여, 양자가 관통하도록 천공된 구멍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이며, 선인로 부근에 있어서, 접속통과 더미봉의 결합 및 핀의 삽입 등의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핀만으로 광섬유 모재를 매달아 지지하기 때문에, 핀이 변형하거나 파손한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을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용이하고 확실히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구조와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에 따른 일 실시 태양은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기 위한 현가 구조이며,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와,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가 방법에 따른 일 실시 태양은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방법이며,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와,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광섬유의 제조 방법에 따른 일 실시 태양은 상기한 현가 구조를 이용하여 광섬유 모재를 현가하고, 선인로 내에 상기 광섬유용 모재를 삽입하고, 해당 광섬유용 모재를 상기 선인로 내에서 가열 용융하여 광섬유를 선인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확실히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구조와 현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광섬유 선인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행거(결합 기구)와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부재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의 자세 조정에 대해서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하는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은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기 위한 현가 구조이며,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와,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미리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형성된 현가부를 사용하여 아암부를 구비한 결합 기구에 광섬유 모재를 보지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접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현가부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할 수 있어서, 평면일 필요는 없고,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나 곡면이어도 좋고, 이러한 면이나 접촉 개소에 대응하도록 보지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2) 상기 (1)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더미봉부의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볼록 형상의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이며, 상기 보지부에 상기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이 끼워넣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현가부와 보지부는 결합시에 동일 위치가 되어서 매달린 광섬유 모재가 안정하도록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최소로는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면 좋고, 전체 둘레를 걸치도록 마련해도 좋다. 또한, 더미봉부에 미리 단차 형상의 현가부를 남기도록 성형할 수 있어서,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의 현가부를 보지부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용이하게 광섬유 모재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안정하여 매달 수 있다. 또한, 볼록 형상의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볼록의 단면이 반원 형상이어도,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3) 상기 (1)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더미봉부의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 형상의 홈이며, 상기 보지부가 상기 홈에 끼워넣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현가부와 보지부는 결합시에 동일 위치가 되어서 매달린 광섬유 모재가 안정하도록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최소로는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면 좋고, 전체 둘레에 걸치도록 마련해도 좋다. 또한, 더미봉부에 간단한 가공을 함으로써 홈 형상의 현가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보지부를 이 현가부에 끼워넣음으로써, 용이하게 광섬유 모재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안정하여 매달 수 있다.
(4) 상기 (1)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관통 구멍이며, 해당 관통 구멍은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의 선인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하는 안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보지부가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안내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핀인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현가부를 관통 구멍에, 그리고 보지부를 관통 구멍에 관통 삽입하는 핀으로 함으로써, 미리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의 관통 구멍에 접합 기구를 핀에 의해서 결합시켜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결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상기 선인로 상에 미리 매달린 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모재가 결합된 상기 접합 기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해당 수용부의 양측 각각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열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된 상기 접합 기구를 로킹하는 로킹부 및 상기 아암부를 탑재하는 탑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위각이 되는 조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 모재를 적절하게 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안정하게 하는 동시에, 선인로의 측벽과 광섬유 모재의 간격을 미조정(黴調整)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에는, 상기 더미봉부의 측면을 향하는 측수면(側受面)이 형성되고, 상기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의 면을 구비한 요동 부재가, 해당 볼록 형상의 면과 상기 측수면이 접하도록 상기 결합 기구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더미봉부, 또는 상기 접합 기구의 측면을 향하는 측에는, 상기 더미봉부, 또는 상기 접합 기구의 측주면(側周面)의 곡률을 갖는 오목 형상의 모재 받이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결합 기구와 광섬유 모재 사이에 요동 부재를 사이에 두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요동 부재는 결합 기구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도록 장착되지만, 그 장착 방법은 결합 기구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요동 부재의 더미봉부, 또는 접합 기구측에는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의 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선인 방향에 대해서의 요동 범위를 크게 하고 있다. 게다가, 이 요동 부재의 광섬유 모재측은, 원통 형상의 모재의 곡률에 맞춘 오목면을 되어 있어서, 선인로 내에 광섬유 모재가 반입되면, 이 오목 형상의 모재 받이면에 의해서, 광섬유 모재와 요동 부재는 밀접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안정한 보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인로 내에 반입된 광섬유 모재는 밀접한 요동 부재가 상기한 바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서 요동하고, 경사진 상태 등의 무리한 자세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범위는 더미봉부에 큰 휨이 있거나, 요철이 있거나 하지 않으면, 엄밀하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요동 부재의 볼록 형상면은 결합 기구의 측수면의 둘레 방향 곡률에 맞춘 측주면으로 함으로써, 결합 기구와 요동 부재와의 접촉 상태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7) 상기 (6)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결합 기구에 헐거운 끼워맞춤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요동 부재의 광섬유 모재로부터 결합 기구의 요동 부재가 장착되는 측수면에의 두께 방향에, 측수면측의 직경이 작은 계단형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여기에 관통 구멍의 소경측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머리부를 구비한 나사로, 요동 부재를 결합 기구에 장착한다. 이러한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로 요동 부재를 결합 기구에 장착함으로써, 요동 부재에 밀접된 광섬유 모재는, 나사와 관통 구멍의 간극 분만큼 요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요동 부재 자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에 결합된 상기 접합 기구를 덮고, 상기 결합 기구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에 더하여, 추가로 결합 기구와 접합 기구를 덮는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 모재를 확실히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선인로 내의 열 변화나 진동 등에 의해서, 광섬유 모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8)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측면을 향하는 위요부(圍繞部)를 구비하고, 해당 위요부에는, 상기 선인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위각 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조정하는 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위각이 되는 조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 모재를 적절하게 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안정하게 하는 동시에, 선인로의 측벽과 광섬유 모재의 간격을 미조정할 수 있다.
(10) 상기 (9)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선인 방향에 대해서, 상기 아암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조정부가 3개인 경우에, 조정부가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아암부에 대해서, 상측 또는 하측에 2개, 하측 또는 상측에 1개로 분배함으로써, 광섬유 모재의 선인 방향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11) 상기 (9) 또는 (10)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조정부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조정부는 서로 대략 직각이 되는 방위각이 되도록 상기 아암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1개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2개의 조정부에 대해서 대략 중앙의 방위각이 되도록 상기 아암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3개의 상기 조정부가 있고, 아암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2개의 조정부를 서로 대략 직각이 되는 방위각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미묘한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조정부의 배치 관계를 대략 직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의 조정 작업의 하기 쉬움을 담보할 수 있다.
(12)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선회에 의해서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인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요동 부재의 광섬유 모재로부터 결합 기구의 요동 부재가 장착되는 측수면에의 두께 방향에, 측수면측의 직경이 작은 계단형의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여기에 관통 구멍의 소경측에서 빠지지 않는 머리부를 구비한 나사로, 요동 부재를 결합 기구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로 요동 부재를 결합 기구에 장착함으로써, 요동 부재에 밀접된 광섬유 모재는, 나사와 관통 구멍의 간극 분만큼 요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요동 부재 자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3) 상기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의 상기 접합 기구를 향하는 측 및 상기 커버의 상기 접합 기구를 향하는 측의 일방 또는 양방 모두에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할 때의 충격이나, 외부로부터의 진동이 광섬유 모재에 전해지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가 선인로 내에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은,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방법이며,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미리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형성된 현가부를 사용하여 아암부를 구비한 접합 기구에 광섬유 모재를 보지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결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현가부와 보지부는 결합시에 동일 위치가 되어서 매달린 광섬유 모재가 안정하도록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최소로는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면 좋고, 전체 둘레에 걸치도록 마련해도 좋다. 또한 현가부는 평면일 필요는 없고,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나 곡면이어도 좋고, 이러한 면이나 접촉 개소에 대응하도록 보지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현가 구조를 이용하여 광섬유 모재를 현가하고, 선인로 내에 상기 광섬유용 모재를 삽입하고, 해당 광섬유용 모재를 상기 선인로 내에서 가열 용융하여 광섬유를 선인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및 현가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행거(결합 기구)와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설명에 필요한 부호만을 기재하고 있고, 상세한 것은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현가 구조(100)는 광섬유 모재(10)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11)에 장착된 어댑터(접합 기구)(20)와, 어댑터(20)가 결합되는 행거(결합 기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더미봉부(11)가 행거(50)에 수용된 후에 어댑터(20)와 더미봉부(11)를 덮는 커버(커버부)(70)가 있어도 좋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섬유 모재(10)는 더미봉부(11)가 상부가 되는 자세로 선인로 내에 반입된다. 더미봉은 광섬유 모재(10)와 같은 유리제가 아니어도 좋고, 금속제로 할 수도 있어서 제조 과정에 적절한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더미봉부(11)에는, 도 1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환형상 블록부(12)(현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 형상의 고리는 단차가 생기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도 1과 같이 볼록의 단면이 반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상이어도 좋다. 게다가, 이 볼록 형상의 고리는, 전체 둘레에 걸쳐지는 것이 아니어도 좋고, 적어도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는 등,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2를 참조하면, 어댑터(20)는 더미봉부(1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30)와, 환형상 블록부(12)(현가부)와 결합하여 광섬유 모재(10)를 보지하는 보지부(25)를 갖고 있다. 어댑터(20)에는 더미봉부(11)를 수용한 후에, 광섬유 모재(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40)가 장착된다.
아암부(30)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어댑터(20)를 행거(50)에 수용할 때에 행거(50)의 파지부(60)와 결합된다. 또한, 아암부(30)의 위치는 도 2에서는, 보지부(25)에 대해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지부(25)와 같은 높이여도, 보지부(25)보다 하방이어도 좋다.
어댑터(20)는 광섬유 모재(10)의 더미봉부(11)를 측면으로부터 수용하는 더미봉 수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봉 수용부(21)에는 광섬유 모재(10)의 더미봉부(11)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 내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고, 이 곡면은 광섬유 모재(10)의 더미봉부(11)를 개구(23)로부터 더미봉 수용부(21)에 진입시켜서, 그 후 안정하여 수용하도록, 예를 들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더미봉 수용부(21)에는, 환형상 블록부(12)와 일치하는 형상의 오목 형상 홈인 보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0)는 더미봉부(11)를 수용한 후에, 광섬유 모재(10)의 낙하를 방지 하기 위해서 어댑터(20)에 장착된다. 덮개부(40)는 고정 나사(41, 42)에 의해서 어댑터(20)의 장착 구멍(26, 27)에 장착된다. 또한, 고정 나사에 의한 장착 방법은 일례이며, 수용된 광섬유 모재(10)가 진동 등에 의해서 낙하하지 않으면 어떠한 장착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보지부(25)가 더미봉 수용부(21)에의 진입 방향에 대해서, 개구(23)로부터 안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하강하는 오목 형상 홈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환형상 블록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면, 광섬유 모재(10)가 진동 등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서, 덮개부(40)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어댑터(20) 및 덮개부(40)는 선인로 상의 온도 환경에 견딜 만한 재료로 제작되고,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강이나 인코넬 등의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댑터(20)가 선인로 내로 배치되는 개소는, 유리를 용융시키는 고온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료는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석영이나 카본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30)는 금속으로 일체로 기계가공한 것이어도 좋고, 기계적으로 결합한 것이어도 좋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광섬유 모재(10)를 어댑터(20)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광섬유 모재(10)의 더미봉부(11)를 향해, 어댑터(20)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어댑터(20)의 보지부(25)에 더미봉부(11)에 형성된 환형상 블록부(12)를 끼워넣고, 더미봉부(11)를 더미봉 수용부(21)에 수용한다. 그 후, 덮개부(40)를 고정 나사(41, 42)에 의해서 어댑터(20)의 장착 구멍(26, 27)에 장착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광섬유 모재(10)가 어댑터(20)와 결합된다.
도 3과 같이 더미봉부(11)와 어댑터(20)를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어댑터(20)에 의해서 광섬유 모재(10)를 지지할 수 있어서, 선인로에의 반입시의 낙하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인로 내에서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핀(32)만으로 광섬유 모재(10)를 지지하는 것에 의한 강도적인 과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인로 상에는 지지봉(1)이 미리 매달려 있고, 이 지지봉(1)의 하단에 행거(50)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봉(1)과 행거(50)는, 예를 들면 기계적으로 결합해도 좋고, 용접 등으로 결합해도 좋다. 지지봉(1)과 행거(50)는 선인로 내의 열환경에 대응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강이나 인코넬 등의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봉(1)과 행거(50)가 선인로 내로 배치되는 개소는, 유리를 용융시키는 고온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행거(50)는 광섬유 모재(10)의 더미봉부(11)가 결합된 어댑터(20)의 아암부(30)가 결합함으로써 매다는 파지부(60)와, 어댑터(20)를 수용하는 수용부(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부(51)의 상방에는, 커버(7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53)이 천공되어 있다.
파지부(60)는 수용부(51)의 양측 각각으로 연장되고, 아암부(30)를 탑재하는 탑재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탑재부(62)의 선단을 열쇠 형상으로 형성하여 아암부(30)를 낙하시키지 않도록 로킹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수용부(51)의 광섬유 모재(10)가 수용되는 방향에는, 광섬유 모재(10)의 측면을 향하는 측수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섬유 모재(10) 반입시 등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펠트 등의 완충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커버(70)는 행거(50)에 결합된 어댑터(20)를 덮는 것이며, 고정 나사(71)에 의해서 행거(50)의 장착 구멍(53)에 장착된다. 커버(70)는 선인로 내의 열환경에 대응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강이나 인코넬 등의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70)가 선인로 내로 배치되는 개소는, 유리를 용융시키는 고온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료는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석영이나 카본을 적용할 수도 있다.
커버(70)가 어댑터(20)를 덮는 측에, 완충 부재(75)를 배치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광섬유 모재가 선인로 내에서의 진동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어댑터(20)가 결합된 광섬유 모재(10)를 선인로 내의 지지봉(1)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인로 내에 매달린 지지봉(1)에 행거(50)가 장착되어 있고, 아암부(30)를 구비한 어댑터(20)가 결합된 광섬유 모재(10)가 행거(50)의 수용부(51)를 향해 이동된다.
그 후, 어댑터(20)가 결합된 광섬유 모재(10)가 행거(50)의 수용부(51)에 수용되고, 아암부(30)가 탑재부(62)에 탑재된다.
그리고, 커버(70)가 행거(50)에 결합된 어댑터(20)를 덮기 위해 이동시키면 커버(70)가 장착되고, 고정 나사(71)에 의해서 행거(50)의 장착 구멍(5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어댑터(20)는 파지부(60)와 끼워맞춤되어서, 커버(70)에 의해서 덮개가 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제 1 실시 태양에 의하면, 미리 광섬유 모재(10)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상 블록부(12)(현가부)를 사용하여, 아암부(30)를 구비한 어댑터(20)(결합 기구)에 광섬유 모재(10)를 보지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결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행거(50)에 장착된 후에 어댑터(20)를 덮는, 커버(70)를 구비함으로써, 선인로 내의 열 변화나 진동 등에 의해서, 광섬유 모재(1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암부(30)를 행거(50)가 구비한 후크 구조(로킹부(61), 탑재부(62))에 탑재함으로써, 어댑터(20)가 결합된 광섬유 모재(10)를 수용부(51)에 반입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10)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10)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설명)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부재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의 자세 조정에 대해서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광섬유 모재(10)의 자세를 조정하는 구성인 조정부(91, 92, 93)를 구비한 커버(90)와, 자세 조정 때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 부재(80)를 부가한 것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90)는 광섬유 모재(10)에 장착된 어댑터(20)의 덮개부(4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위요부(9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위요부(98)에는, 상측에 제 1 조정부(91), 그 하측에 제 2 조정부(92)와 제 3 조정부(93)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조정부(92)와 제 3 조정부(93)는, 선인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서로 대략 직각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조정부(91)는 제 2 조정부(92)와 제 3 조정부(93)의 방위각을 대략 등분으로 2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위각이 되는 조정부(91, 92, 93)를 3개 구비함으로써 어댑터(20)가 장착된 광섬유 모재(10)를 3방향으로부터 적절하게 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1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모재(10)의 자중에 의한 자세를 안정하게 하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10)의 약간의 휨이나 굵기의 변화에 따라, 선인로의 측벽과 광섬유 모재(10)의 간격을 미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는 조정부의 수, 방위각, 배치 개소는 일례이며, 선인로와 광섬유 모재(10)의 스페이스나, 광섬유 모재(10)의 형상 등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에서는, 위요부(98)의 상측에 1개의 조정부, 하측에 2개의 조정부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상측에 2개, 하측에 1개의 조정부가 있어도 좋다.
조정부(91, 92, 93)는 선회에 의해서 각각의 방위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정 나사(94, 95, 9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방위각 방향으로 신축시켜서 어댑터(20)가 장착된 광섬유 모재(1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 나사(94, 95, 96)에는 예를 들면, 널링형의 볼트나 나비 볼트를 적용함으로써, 손가락에 의해서 용이하게 선회시켜서, 임의로 자세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20)가 장착된 광섬유 모재(10)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광섬유 모재(10)를 직접 조정 나사에 의해서 자세 조정해도 좋다. 다만, 광섬유 모재(10)를 직접 조정 나사에 의해서 압인하면, 유리 부재에 상처가 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금속 등을 이용한 어댑터(20)를 조정 나사에 의해서 압인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요동 부재(80)는 가상선으로 일부만을 나타내고 있는 측수면(52)(도 4도 참조)에 형성된 장착 구멍(55)에, 볼트(85)에 의해서 장착된다. 요동 부재(80)는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의 접면(8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요동 부재(80)의 더미봉부(11), 또는 접합 기구(어댑터(20))의 측면을 향하는 측에는, 더미봉부(11), 또는 접합 기구(어댑터(20))의 측주면의 곡률을 갖는 오목 형상의 모재 받이면(8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부재(80)는 선인로 내의 열환경에 대응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강이나 인코넬 등의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동 부재(80)가 선인로 내로 배치되는 개소는, 유리를 용융시키는 고온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료는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석영이나 카본을 적용할 수도 있다.
요동 부재(80)의 중앙 부근에는 볼트(85)를 관통 삽입시키기 위해서 관통된 계단형 구멍(84)이 천공되어 있다. 계단형 구멍(84)은 소경측이 접면(81)측에, 대경측이 모재 받이면(83)측에 배치되어 있는 계단형의 구멍이다. 소경의 직경은 볼트(85)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크고, 나사부에 대해서 상하 좌우로 간극을 마련하는 동시에, 볼트(85)의 머리부가 빠지지 않도록, 육각 볼트라면 이면폭(二面幅), 홈이나 구멍형 볼트라면 직경에 대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경의 직경은 육각 볼트라면 이면폭, 홈이나 구멍형 볼트라면 직경에 대해서, 상하 좌우에 간극을 마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동 부재(80)는, 볼트(85)와 장착 구멍(53) 및 계단형 구멍(84)에 의해서, 행거(50)에 헐거운 끼워맞춤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요동 부재(80)의 접면(81)은 결합 기구측에는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의 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와 서로 어울려서, 선인 방향에 대해서의 요동 범위를 크게 하고 있다.
요동 부재(80)의 모재 받이면(83)은 더미봉부(11), 또는 접합 기구(어댑터(20))의 곡률에 맞춘 오목면으로 되어 있고, 선인로 상에서 광섬유 모재(10)를 수용할 때, 이 오목 형상의 모재 받이면(83)에 의해서, 어댑터(20)가 장착된 더미봉부(11)와 요동 부재(80)는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광섬유 모재(10)의 자세를 조정부(91, 92, 93)로 조정함으로써, 광섬유 모재(10)를 주위에 접촉시키는 일 없이 미묘한 자세 조정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광섬유 모재(10)의 자세 조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7의 (A)는 커버(90)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시시(矢視)(S)에서 바라본 A-A 단면도의 일부이다. 또한, 도 7은 자세 조정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인 방향을 Z축, Z축과 직교하고, 아암부(30)의 기축 방향을 Y축으로 하고, Y축과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X축으로 한다.
도 7의 (A)을 참조하면, 광섬유 모재(10)가 행거(50)에 어댑터(20)의 아암부(30)를 거쳐서 장착되고, 커버(90)가 행거(50)에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조정부(91)의 조정 나사(94)를 선회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면,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미봉부(11)의 Z1 위치에 힘(F1)(시시 방향)이 부하된다. 그리고, Z0 위치에 있는 요동 부재(80)의 볼록 형상의 접면(81)과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에 의한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광섬유 모재(10)를 θy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A)도 아울러 참조하면, 제 2 조정부(92)의 조정 나사(95)를 선회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 3 조정부(93)의 조정 나사(96)를 선회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면, 각각 더미봉부(11)의 Z2 위치에 서로 직각의 방위각이 되는 힘(F2-1)과 힘(F2-2)이 부하된다. 그리고, Z0 위치에 있는 요동 부재(80)의 볼록 형상의 접면(81)과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에 의한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광섬유 모재(10)를 θy 또는 θx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요동 가능한 구성의 상하이며 방위각이 다른 위치에 조정부(91, 92, 93)를 배치하고, 조정부(91, 92, 93)에 의해서 힘(F1, F2-1, F2-2)을 조정함으로써, θx, θy의 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θx, θy를 미조정함으로써, 광섬유 모재(10)를 적정한 자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부가 3개소에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인로 부근의 스페이스나 조정 시의 액세시빌리티(accessibility), 즉, 수동으로의 조정의 경우에는 손가락이 조정부에 닿는지, 도구 등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경우에는 조정이 하기 쉬운지 등에 의해서, 조정부의 개소 수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설명)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와 어댑터(접합 기구)와의 접합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며, 행거(결합 기구)에의 결합(제 1 실시형태)이나, 광섬유 모재의 자세 조정(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110)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111)에 장착되는 어댑터(접합 기구)(120)와, 어댑터(120)가 결합되는 행거(결합 기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더미봉부(111)가 행거(50)에 수용된 후에 어댑터(120)가 더미봉부(111)를 덮는 커버(커버부)(70)가 있어도 좋다.
더미봉부(111)에는, 도 8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환상 오목부(112)(현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홈은 단차가 생기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도 8과 같은 단면시에서 직사각형 홈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시에서 반원 형상이어도 좋다. 게다가, 이 오목 형상의 홈은 전체 둘레에 걸쳐지는 것이 아니어도 좋고, 적어도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는 등,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9를 참조하면, 어댑터(120)는 더미봉부(11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130)와, 환상 오목부(112)(현가부)와 결합하여 광섬유 모재(110)를 보지하는 보지부(125)를 갖고 있다. 어댑터(120)에는, 더미봉부(111)를 수용한 후에, 광섬유 모재(1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140)가 장착된다.
아암부(130)는 원통 상태의 부재이며, 어댑터(120)를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거(50)에 수용할 때에 행거(50)의 파지부(60)와 결합된다. 또한, 아암부(130)의 위치는 도 9에서는 보지부(125)에 대해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지부(125)와 같은 높이여도, 보지부(125)보다 하방이어도 좋다.
어댑터(120)는 광섬유 모재(110)의 더미봉부(111)를 측면으로부터 수용하는 더미봉 수용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봉 수용부(121)에는 광섬유 모재(110)의 더미봉부(111)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 내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고, 이 곡면은 광섬유 모재(110)의 더미봉부(111)를 개구(123)로부터 더미봉 수용부(121)에 진입시켜서, 그 후 안정하여 수용하도록, 예를 들면 반원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더미봉 수용부(121)에는, 환상 오목부(112)와 일치하는 형상의 환상 돌기인 보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40)는 더미봉부(111)를 수용한 후에, 광섬유 모재(1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댑터(120)에 장착된다. 덮개부(140)는 고정 나사(141, 142)에 의해서 어댑터(120)의 장착 구멍(126, 127)에 장착된다.
어댑터(120) 및 덮개부(140)의 재료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광섬유 모재(110)를 어댑터(120)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광섬유 모재(110)의 더미봉부(111)를 향해, 어댑터(120)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어댑터(120)의 보지부(125)에 더미봉부(111)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112)가 끼워넣어져서, 더미봉부(111)를 더미봉 수용부(121)에 수용한다. 그 후, 덮개부(140)를 고정 나사(141, 142)에 의해서 어댑터(120)의 장착 구멍(126, 127)에 장착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광섬유 모재(110)가 어댑터(120)와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미리 광섬유 모재(110)의 상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현가부(112)를 사용하여, 아암부(130)를 구비한 어댑터(120)(결합 기구)에 광섬유 모재(110)를 보지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결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설명)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더미봉부)에 어댑터(접합 기구)를 장착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와 어댑터(접합 기구)의 접합이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며, 행거(결합 기구)에의 결합(제 1 실시형태)이나, 광섬유 모재의 자세 조정(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210)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211)에 장착되는 어댑터(접합 기구)(220)와, 어댑터(220)가 결합되는 행거(결합 기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더미봉부(211)가 행거(50)에 수용된 후에 어댑터(220)와 더미봉부(211)를 덮는 커버(커버부)(70)가 있어도 좋다. 더미봉부(211)에는, 도 11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구멍(212)(현가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어댑터(220)는 더미봉부(211)의 관통 구멍(21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관통 구멍(212)의 개구와 연통하는 안내 구멍(231)을 갖는 2개의 아암부(230)와, 더미봉부(1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양측에 있는 아암부(230)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연결 부재(240)는 양단에 있는 2개의 아암부(230)끼리를 연결하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210)의 더미봉부(211)를 측면으로부터 수용하는 더미봉 수용부(241)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봉 수용부(241)는 광섬유 모재(210)의 더미봉부(211)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 내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고, 이 곡면은 광섬유 모재(210)의 더미봉부(211)를 더미봉 수용부(241)에 진입시키기 위한 개구(242)가 되도록 반원부(243)로 되어 있다. 반원부(243)의 단부에서는 접선 형상으로 연장된 스트레이트부(244)가 형성되어 있고, 반원부(243)의 일부와 스트레이트부(244)에 아암부(230)가 연결되어 있다.
안내 구멍(231)은 더미봉부(211)의 관통 구멍(212)과 연통하도록 천공되고, 2개의 아암부(230)에 천공된 안내 구멍(231)의 중심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광섬유 모재(210)에 어댑터(220)를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3의 (A)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210)의 더미봉부(211)를 향해, 어댑터(220)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13이 (B)와 같이, 더미봉부(211)에 형성된 관통 구멍(212)과 어댑터(220)의 안내 구멍(231)이 연통하도록, 더미봉부(211)를 더미봉 수용부(241)에 수용한다. 그 후, 안내 구멍(231)으로부터 핀(232)(보지부)이 삽입되고, 핀(232)은 양측의 아암부(230)의 안내 구멍(231)과 관통 구멍(212)에 수용된다. 그리고, 도 13의 (C)와 같이, 광섬유 모재(210)와 어댑터(220)가 결합된다.
도 13의 (C)와 같이 더미봉부(211)와 어댑터(220)를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어댑터(220)에 의해서 광섬유 모재(210)를 지지할 수 있어서, 선인로에의 반입시의 낙하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인로 내에서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태양에 의하면, 현가부를 관통 구멍, 보지부를 관통 구멍에 관통 삽입하는 핀으로 함으로써, 미리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의 관통 구멍에 접합 기구를 핀에 의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아암부를 이용하여 결합 기구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모재의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 내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3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어댑터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설명)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모재 상부의 더미봉부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접합 기구)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와 어댑터(접합 기구)의 접합이 제 1, 제 3, 제 4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며, 행거(결합 기구)에의 결합(제 1 실시형태)이나, 광섬유 모재의 자세 조정(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할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광섬유 모재(310)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311)에 장착되는 어댑터(접합 기구)(320)와, 어댑터(320)가 결합되는 행거(결합 기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더미봉부(311)가 행거(50)에 수용된 후에 어댑터(320)와 더미봉부(311)를 덮는 커버(커버부)(70)가 있어도 좋다.
더미봉부(311)에는, 도 14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둘레 상의 대향하는 2개소에 외주 볼록부(312)(현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 형상은 단차가 생기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고, 도 14와 같은 직사각형 홈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시에서 반원 형상이어도 좋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댑터(320)는 더미봉부(31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330) 및 외주 볼록부(312)(현가부)와 결합하여 광섬유 모재(310)를 보지하는 보지부(325)를 갖고 있다.
어댑터(320)는 광섬유 모재(310)의 더미봉부(311)를 측면으로부터 수용하는 더미봉 수용부(321)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봉 수용부(321)에는 광섬유 모재(310)의 더미봉부(311)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 내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고, 이 곡면은 광섬유 모재(310)의 더미봉부(311)를 개구(323)로부터 더미봉 수용부(321)에 진입시켜서, 그 후 안정하여 수용하도록, 예를 들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더미봉 수용부(321)에는, 둘레 상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외주 볼록부(312)와 일치하는 형상의 환상 홈인 보지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보지부(325)에는, 더미봉 수용부(321)에의 진입 방향에 대해서 안쪽 측에, 단차로 된 스페이스(326)가 마련되어 있고, 이 스페이스(326)에 외주 볼록부(312)가 끼워넣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지부(325)에 단차가 있고, 이 단차의 하단측인 스페이스(326)에 외주 볼록부(312)가 수용됨으로써, 광섬유 모재(310)가 진동 등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부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광섬유 모재(310)를 보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1 : 지지봉
10, 110, 210, 310 : 광섬유 모재 11, 111, 211, 311 : 더미봉부
20, 120, 220, 320 : 어댑터 30, 130, 230, 330 : 아암부
40, 140 : 덮개부 50 : 행거
51 : 수용부 52 : 측수면
53, 55 : 장착 구멍 60 : 파지부
62 : 탑재부 70, 90 : 커버
71 : 고정 나사 75 : 완충 부재
80 : 요동 부재 81 : 접면
83 : 모재 받이면 84 : 계단형 구멍
85 : 볼트 91 : 제 1 조정부
92 : 제 2 조정부 93 : 제 3 조정부
94, 95, 96 : 조정 나사 98 : 위요부
100 : 현가 구조 212 : 관통 구멍
231 : 안내 구멍 232 : 핀
240 : 연결 부재 241 : 더미봉 수용부
242 : 개구 243 : 반원부
244 : 스트레이트부

Claims (15)

  1.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기 위한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와,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기구는 상기 선인로 상에 미리 매달린 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모재가 결합된 상기 접합 기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 각각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열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된 상기 접합 기구를 로킹하는 로킹부 및 상기 아암부를 탑재하는 탑재부를 구비하는
    현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더미봉부의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볼록 형상의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이며,
    상기 보지부에 상기 환 형상 또는 구 형상이 끼워넣어지는
    현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더미봉부의 둘레 상에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 형상의 홈이며,
    상기 보지부가 상기 홈에 끼워넣어지는
    현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관통 구멍이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의 선인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하는 안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지부가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안내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핀인
    현가 구조.
  5. 삭제
  6.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기 위한 현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인로로 반입되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상부에 접속된 더미봉부에는,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현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더미봉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 및 상기 현가부와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는 접합 기구와,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매다는 파지부를 갖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기구에는, 상기 더미봉부의 측면을 향하는 측수면이 형성되고,
    상기 선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의 면을 구비한 요동 부재가, 상기 볼록 형상의 면과 상기 측수면이 접하도록 상기 결합 기구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더미봉부, 또는 상기 접합 기구의 측면을 향하는 측에는, 상기 더미봉부, 또는 상기 접합 기구의 측주면의 곡률을 갖는 오목 형상의 모재 받이면이 형성되어 있는
    현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결합 기구에 헐거운 끼워맞춤되어 있는
    현가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에 결합된 상기 접합 기구를 덮고, 상기 결합 기구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현가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섬유 모재의 측면을 향하는 위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요부에는, 상기 선인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위각 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광섬유 모재의 자세를 조정하는 조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현가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선인 방향에 대해서, 상기 아암부의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현가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조정부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조정부는 서로 직각이 되는 방위각이 되도록 상기 아암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1개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2개의 조정부에 대해서 중앙의 방위각이 되도록 상기 아암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현가 구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선회에 의해서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인
    현가 구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의 상기 접합 기구를 향하는 측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접합 기구를 향하는 측의 일방 또는 양방 모두에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현가 구조.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가 구조를 이용하여 광섬유 모재를 선인로로 반입하는 현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 기구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보지하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결합 기구와 결합되는
    현가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가 구조를 이용하여 광섬유 모재를 현가하고, 선인로 내에 상기 광섬유용 모재를 삽입하고, 상기 광섬유 모재를 상기 선인로 내에서 가열 용융하여 광섬유를 선인하는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197028539A 2017-03-31 2018-03-29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KR102442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1516 2017-03-31
JPJP-P-2017-071516 2017-03-31
PCT/JP2018/013308 WO2018181739A1 (ja) 2017-03-31 2018-03-29 光ファイバ母材の懸架構造、懸架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懸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048A KR20190131048A (ko) 2019-11-25
KR102442264B1 true KR102442264B1 (ko) 2022-09-08

Family

ID=6367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539A KR102442264B1 (ko) 2017-03-31 2018-03-29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4506B2 (ko)
JP (1) JP6992804B2 (ko)
KR (1) KR102442264B1 (ko)
CN (1) CN110494399B (ko)
RU (1) RU2745394C1 (ko)
WO (1) WO2018181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1526B (zh) * 2021-08-02 2023-02-10 富通集团(嘉善)通信技术有限公司 芯棒的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361A (ja) * 2000-03-21 2001-09-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母材吊下げ支持装置
JP2001287916A (ja) 2000-04-04 2001-10-16 Shin Etsu Chem Co Ltd 多孔質ガラス母材の吊具
JP2004339024A (ja) 2003-05-16 2004-12-02 Shin Etsu Chem Co Ltd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及び垂下に用いる母材吊具
CN106477876A (zh) * 2016-09-23 2017-03-08 广州宏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拉丝挂棒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344A (en) * 1981-09-28 1983-10-18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Optical waveguide fiber draw guiding and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820322A (en) * 1986-04-28 1989-04-11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vercladding a glass rod
EP0542724B1 (en) * 1987-02-16 1996-06-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imited Furnace for heat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US5259856A (en) * 1989-09-06 1993-11-09 Sumitomo Electric Industrial, Ltd. Method of producing glass preform in furnace for heating glass
JP2503467Y2 (ja) * 1990-04-25 1996-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支持装置
US5152818A (en) * 1990-11-09 1992-10-0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polarization retaining fiber
JP3127531B2 (ja) * 1991-11-27 2001-01-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接続構造
US5417399A (en) * 1991-06-19 1995-05-2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supporting article in heating furnace
JPH05147964A (ja) * 1991-11-28 1993-06-1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母材接続構造
JPH06305764A (ja) * 1993-04-22 1994-11-0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母材の装着方法
ID26017A (id) * 1998-04-03 2000-11-1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Tanur dan metode untuk penarikan kabel serat optis
JP2000203862A (ja) * 1999-01-14 2000-07-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母材製造用加熱炉のタ―ゲット棒吊下げ保持部
US6543257B1 (en) * 1999-05-28 2003-04-0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Dehydration and sintering apparatus for porous optical fiber preform
JP2001158626A (ja) * 1999-12-01 2001-06-12 Shin Etsu Chem Co Ltd 多孔質ガラス母材を焼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792188B2 (en) * 2000-07-21 2004-09-14 Crystal Fibre A/S Dispersion manipulating fiber
JP4816845B2 (ja) * 2001-03-23 2011-11-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母材の支持方法と支持ピン
CN1275057C (zh) * 2001-04-11 2006-09-13 晶体纤维公司 具有特殊色散特性的双芯光子晶体光纤(pcf)
US20030000255A1 (en) * 2001-06-28 2003-01-0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ber preform and sintering apparatus
RU24462U1 (ru) * 2002-03-26 2002-08-10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ксти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Косыгин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птических стеклянных нитей
CN1652922A (zh) * 2002-05-17 2005-08-10 富士胶片株式会社 光传输介质以及制备光传输介质的方法和设备
US20050066689A1 (en) * 2003-09-25 2005-03-31 Wolfgang Eis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fibers
US20050092030A1 (en) * 2003-10-31 2005-05-05 Jitendra Balakrishna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glass soot
JP4025738B2 (ja) * 2004-03-05 2007-12-2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2次元フォトニック結晶
US7515790B2 (en) * 2006-11-09 2009-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wo-dimensional planar photonic crystal superprism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23016B2 (ja) * 2007-08-10 2012-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線引き炉のシール方法
JP5213116B2 (ja) * 2008-09-05 2013-06-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4817339B2 (ja) * 2009-02-17 2011-11-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加熱炉のシール部材
JP5674160B2 (ja) * 2012-05-02 2015-02-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母材の延伸方法
JP6059082B2 (ja) * 2012-06-08 2017-01-1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光ファイバ用ワーク加工装置
EP2938581B1 (en) * 2012-12-28 2018-05-02 Prysmian S.p.A. Method of manufacturing preforms for optical fibres having low water peak
PL2938579T3 (pl) * 2012-12-28 2020-01-31 Prysmian S.P.A. Sposób wytwarzania preform dla włókien optycznych mających niski pik wodny
JP6119299B2 (ja) * 2013-02-25 2017-04-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方法
JP5986540B2 (ja) * 2013-06-24 2016-09-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204675997U (zh) * 2015-06-04 2015-09-30 青海中利光纤技术有限公司 光纤预制棒悬挂装置
PL3307684T3 (pl) * 2015-06-12 2020-04-30 Prysmian S.P.A. Sposób wytwarzania preform dla światłowodów mających niską tłumienność falową
EP3359498B1 (en) * 2015-10-09 2020-12-23 Prysmian S.p.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core preform for optical fibres
EP3529216A1 (en) * 2016-10-24 2019-08-28 Prysmian S.p.A. Suspending device for optical fibre preforms
CN110546112B (zh) * 2017-03-29 2022-07-05 普睿司曼股份公司 用于干燥和固结光纤预制件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361A (ja) * 2000-03-21 2001-09-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母材吊下げ支持装置
JP2001287916A (ja) 2000-04-04 2001-10-16 Shin Etsu Chem Co Ltd 多孔質ガラス母材の吊具
JP2004339024A (ja) 2003-05-16 2004-12-02 Shin Etsu Chem Co Ltd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及び垂下に用いる母材吊具
CN106477876A (zh) * 2016-09-23 2017-03-08 广州宏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拉丝挂棒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14506B2 (en) 2022-01-04
RU2745394C1 (ru) 2021-03-24
WO2018181739A1 (ja) 2018-10-04
KR20190131048A (ko) 2019-11-25
JPWO2018181739A1 (ja) 2020-05-14
CN110494399A (zh) 2019-11-22
JP6992804B2 (ja) 2022-01-13
CN110494399B (zh) 2022-04-19
US20210053863A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13350B (zh) 型芯输送装置和型芯输送方法
KR102442264B1 (ko) 광섬유 모재의 현가 구조, 현가 방법, 및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현가 방법
US11135646B2 (en) Plate, and holding apparatus and holding method for the plate
US10835988B2 (en) Friction stir welding tool and machine tool
KR20090132218A (ko) 파이프 용접용 지그
EP3144096B1 (en) Collet assembly
KR20210124116A (ko) 기판 지지 장치
JP5556117B2 (ja) 光ファイバ線引き方法および線引き装置
JP5899127B2 (ja) 自動半田付けユニット及び調整治具
US6519977B2 (en) Optical fiber preform suspending and supporting apparatus and optical fiber preform processing apparatus
JP5854964B2 (ja) ガラス母材の吊下げ機構
CN109689583A (zh) 光纤拉丝方法及拉丝装置
JP6303747B2 (ja) 接続構造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US8590131B2 (en)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prefo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JP2019026524A (ja) 製造方法及びキャップ
JPH07164117A (ja) 溶融金属流出用耐火物の支持金物
ITTO970469A1 (it) Attrezzaggio a cassetta per macchine di forgiatura
JP4457975B2 (ja) 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JP2012093608A (ja) レンズ保持装置
EP4049810A1 (en) A robotic tool change system
JPH06305764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装着方法
KR20120038930A (ko) 행거 조립체 및 플로트 판유리 제조 장치
KR20230131119A (ko) 탭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조하는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JP2503467Y2 (ja) 光ファイバ母材支持装置
JP2019020185A (ja) ハンドル、燃料ホルダ、その組立体及び位置決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