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54B1 -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54B1
KR102438054B1 KR1020187033080A KR20187033080A KR102438054B1 KR 102438054 B1 KR102438054 B1 KR 102438054B1 KR 1020187033080 A KR1020187033080 A KR 1020187033080A KR 20187033080 A KR20187033080 A KR 20187033080A KR 102438054 B1 KR102438054 B1 KR 10243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i
collar
fabric
furisod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26A (ko
Inventor
베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베지 사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지 사사키 filed Critical 베지 사사키
Publication of KR2020004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0Pyjamas; Night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09Surgeon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63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bstract

의복은, 한 쌍의 옷깃부(10)와, 옷깃부(10)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부(40)를 가지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에 연결된 2개의 후리소데부(30)와, 상기 몸통 둘레부(40)에 감기는 오비부(100)를 가진다. 상기 옷깃부(10)의 일방은 타방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후리소데부(30)는, 상기 후리소데부(30)의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30a)으로부터 소맷부리(30b)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를 가진다.

Description

의복
본 발명은, 본체부와, 본체부에 연결된 후리소데부와, 본체부의 몸통 둘레부에 감기는 오비부를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일본 옷에 관해서, 옷단장을 아름답게 행하는 등의 관점에서 발명이 제안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일본 옷의 옷단장에서는, 오하쇼리를 접어 넣는 작업이 어려워, 그를 이유로 일본 옷을 입는 것을 주저하는 사람도 많은 것을 과제로서 들어, 오하쇼리로 보이는 유사 오하쇼리 오비를, 일본 옷 본체와는 별체로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특허문헌 1을 개량하는 것을 들어, 간단하게 오하쇼리를 만들(유사 오하쇼리 오비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간단하게 옷단을 좌우 내방으로 좁히면서, 또한, 간단하게 아래로 겹쳐지게 되는 우측 안자락의 옷단을 위로 겹쳐지게 되는 좌측 겉자락의 옷단보다도 높은 쪽에 세트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15900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53382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일본 옷 그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닌, 종래의 일본 옷과는 전혀 다른 개념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상 일본 옷에 가까운 의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은,
한 쌍의 옷깃부와, 상기 옷깃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2개의 후리소데부와,
상기 몸통 둘레부에 감기는 오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옷깃부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후리소데부가,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본체 요철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있어서,
상기 옷깃부는, 제 1 옷깃 옷감과, 상기 제 1 옷깃 옷감에 마련된 제 2 옷깃 옷감과, 상기 제 2 옷깃 옷감에 마련된 제 3 옷깃 옷감을 가지며,
상기 제 1 옷깃 옷감, 상기 제 2 옷깃 옷감 및 상기 제 3 옷깃 옷감에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있어서,
상기 오비부는, 제 1 오비끈부와, 상기 제 1 오비끈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를 포함하는 오비끈부와, 상기 오비끈부와는 별체로 되어, 상기 제 1 오비끈부를 덮을 수 있는 오비 매듭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비끈부에는, 제 2 오비끈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은,
상기 제 1 오비끈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두꺼운 종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두꺼운 종이부는, 상기 오비 매듭부에 의해 덮어지는 개소에 마련되는 제 1 두꺼운 종이부와, 상기 제 1 오비끈부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제 2 두꺼운 종이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리소데부 및 오비부를 가지면서도, 옷깃부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고정되는 양태를 채용하는 것으로부터, 외관 상 일본 옷에 가까운 의복으로 하면서도, 의복의 착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후리소데부가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후리소데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일본 옷에 가까운 인상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일례에 의한 의복의 상의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일례에 의한 의복 하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변형예 1에 의한 의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의복의 후리소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요철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보다도 폭(피치)이 좁은 요철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오비끈부의 전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오비 매듭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오비 매듭부를 나타낸 측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오비끈부에 오비 매듭부를 조합시킨 양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좌측의 제 2 오비끈부를 통과 구멍 내에 통과시켜서,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둘러 감은 양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우측의 제 2 오비끈부를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둘러 감은 양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변형예 2에 의한 의복의 상의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변형예 3에 의한 의복의 상의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다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고시마키부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의복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의와, 상의의 하방에 마련되는 하의를 가지는 투피스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와 같은 양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피스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의복은, 한 쌍의 옷깃부(10)와, 옷깃부(10)의 하방에 위치하는(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부(40)를 가지는 본체부(20)와, 본체부(20)에 연결된 2개의 후리소데부(30)를 가져도 된다. 의복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몸통 둘레, 즉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감기는 오비부(100)를 가져도 된다(도 13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40)란, 오비부(100)로 덮어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 본체부(20) 및 후리소데부(30)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가 주된 재료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주된 재료라고 하는 것은, 중량으로 50% 이상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20) 및 후리소데부(30)는 폴리에스테르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리소데부(30)의 본체부(20)측의 단부(端部)의 각각에는 후리소데 개구부(39)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20)의 후리소데부(30)측의 단부의 각각에는 본체 개구부(29)가 마련되어도 된다. 한 쌍의 후리소데부(30)의 본체부(20)측의 단부는, 후리소데부(30)를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펼쳤을 때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 연장부(31)를 가져도 된다.
도 3,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깃부(10)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일례로서는, 일방의 옷깃부(10a)가 타방의 옷깃부(10b)에 대하여 교차되는 위치에서, 일방의 옷깃부(10a)의 단부 및 타방의 옷깃부(10b)의 단부의 각각이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꿰매 붙여져도 된다. 또한, 일방의 옷깃부(10a)가 타방의 옷깃부(10b)에 대하여 교차되는 위치에서, 일방의 옷깃부(10a)의 단부가 타방의 옷깃부(10b)의 단부에 대하여 꿰매 붙여져도 된다. 이와 같이 꿰매 붙여진 개소가 연결부(60)가 된다. 또한, 일방의 옷깃부(10a)를 타방의 옷깃부(10b)에 대하여 교차하여 고정하는 수단(연결부(60))으로서는, 이와 같은 꿰맴이 아닌 버튼식으로 하여도 되지만, 입을 때의 간편함이나 취급의 용이함에서 보면, 꿰매 붙이는 양태쪽이 유익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깃부(10)의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고정하는 연결부(60)는 하나만 마련되어도 되지만, 이와 같은 양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60)가 2개 이상 마련되어, 연결부(60)가 제 1 연결부(61) 및 제 2 연결부(62)를 가져도 된다. 제 1 연결부(61)는 일방의 옷깃부(10a)를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타방측(도 3의 좌측)에 연결하고, 제 2 연결부(62)는 타방의 옷깃부(10b)를 제 1 연결부(61)보다도 일방측(도 3의 우측)에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연결하여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타방의 옷깃부(10b)가 일방의 옷깃부(10a)의 이면측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원피스로 이루어지는 양태에서는, 연결부(60)가 몸통 둘레부(40)에 마련되고, 이 연결부(60)의 하방에 슬릿(70)이 마련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피스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의가, 한 쌍의 옷깃부(10)를 가지는 상의 본체부(20a)와, 상의 본체부(20a)에 연결된 2개의 후리소데부(30)를 가져도 된다. 또한, 투피스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부(20)가 상의 본체부(20a)와, 하의에 포함되는 하의 본체부(20b)를 가지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리소데부(30)는,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30a)으로부터 소맷부리(30b)를 따른 방향(소매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를 가져도 된다.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는 서로 평행하게는 연장되어도 된다(도 11 및 도 12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리소데부(30)의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30a)으로부터 소맷부리(30b)를 따른 방향」이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리소데부(30)를 펼쳤을 경우에 있어서의, 후리소데부(30)의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30a)으로부터 소맷부리(30b)를 따른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후리소데부(30)의 연장 방향(도 1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다. 또한,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30a)으로부터 소맷부리(30b)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이란, 후리소데부(30)를 펼쳤을 경우에 있어서의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과 완전하게 직교하여 연장하는 양태뿐만 아니라,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는 양태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A방향으로 연장하는」이라고 하는 문언에는, 「A방향에 완전하게 일치하여 연장하는」 양태뿐만 아니라, 「A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하는」 양태도 포함되어 있다.
투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상의 본체부(20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상의 요철부(25a)를 가져도 된다(도 1, 도 11 및 도 12 참조). 하의 본체부(20b)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하의 요철부(25b)를 가져도 된다(도 2 참조). 원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에서는, 본체부(20)의 전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 요철부(25)가 마련되어도 된다(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상하 방향」이란, 착용자가 의복을 입고 일어섰을 때의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도 5(a)(b)에서는, 후리소데 요철부(35), 상의 요철부(25a), 하의 요철부(25b) 및 본체 요철부(25)의 형상의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후리소데 요철부(35), 상의 요철부(25a), 하의 요철부(25b) 및 본체 요철부(25)의 단면은, 도 5(a)(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파(波)형상을 가지는 플리츠로 되어도 된다. 또한, 도 5(b)는 도 5(a)보다도 폭(피치)이 좁은 양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와 같은 플리츠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용이한 제조방법으로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후리소데 요철부(35), 상의 요철부(25a), 하의 요철부(25b) 및 본체 요철부(25)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후리소데 요철부(35)에 관하여 말하면, 그 수를 조정함으로써,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1㎝당 3~8개의 후리소데 요철부(35)가 마련되어도 되며,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보면 1㎝당 4개 이상의 후리소데 요철부(35)가 마련되어 있는 양태가 유익하다.
후리소데 요철부(35), 상의 요철부(25a), 하의 요철부(25b) 및 본체 요철부(25)의 폭(피치)은 실질적으로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된다. 일례로서는, 후리소데 요철부(35)의 폭이 상의 요철부(25a)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지만, 후리소데 요철부(35) 및 상의 요철부(25a)의 폭은 하의 요철부(25b)의 폭과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이 「실질적으로 같다」란, 일방의 요철부의 폭의 평균값이 타방의 요철부의 폭의 평균값의 ±10% 이내인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후리소데 요철부(35)의 폭이 상의 요철부(25a)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다란, 후리소데 요철부(35)의 폭의 평균값(W1)과 상의 요철부(25a)의 폭의 평균값(W2)이, W2×0.9≤W1≤W2×1.1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후리소데 요철부(35) 및 상의 요철부(25a)의 폭(피치)이 실질적으로 같은 양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의복의 내표면에도 상의 요철부(25a)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양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복의 외표면에만 상의 요철부(25a)가 마련되고 의복의 내표면에 상의 요철부(25a)가 마련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후리소데 요철부(35), 하의 요철부(25b) 및 본체 요철부(25)에 관해서도, 의복의 외표면에만 후리소데 요철부(35), 하의 요철부(25b) 및/또는 본체 요철부(25)가 마련되고 의복의 내표면에 이들이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도 1,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깃부(10)는, 제 1 옷깃 옷감(11)과, 제 1 옷깃 옷감(11)에 마련된 제 2 옷깃 옷감(12)과, 제 2 옷깃 옷감(12)에 마련된 제 3 옷깃 옷감(13)을 가져도 된다.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에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깃부(10)에 옷깃 요철부(15)가 마련되어도 된다.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각각은 다른 색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옷깃 옷감(11)은 황색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옷깃 옷감(12)은 적색으로 이루어지고, 제 3 옷깃 옷감(13)은 녹색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각각은 다른 크기로 되어 있으며, 제 1 옷깃 옷감(11)의 면적>제 2 옷깃 옷감(12)의 면적>제 3 옷깃 옷감(13)의 면적이 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옷깃 옷감(12)이 제 3 옷깃 옷감(13)의 내주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고, 제 1 옷깃 옷감(11)이 제 2 옷깃 옷감(12)의 내주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옴으로써,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각각을 목시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외주연은 같은 재봉실로 꿰매져도 된다.
투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의의 하단에 하의 본체부(20b)에서의 비침을 방지하기 위한 하의 안쪽 옷감(80)이 마련되어도 된다. 하의 안쪽 옷감(80)에는 요철부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하의 안쪽 옷감(80)의 주된 재료도 폴리에스테르로 되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비부(100)는, 오비끈부(110)와, 오비끈부(110)와는 별체로 되어 있는 오비 매듭부(150)를 가져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비끈부(110)는, 제 1 오비끈부(111)와, 제 1 오비끈부(111)보다도 폭이 좁게 되며, 제 1 오비끈부(111)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112)를 가져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비 매듭부(150)는, 매듭 개구부(151)를 가져도 된다. 그리고, 이 매듭 개구부(151) 내에 제 1 오비끈부(111)를 위치 부여함으로써, 제 1 오비끈부(111)를 오비 매듭부(150)로 덮을 수 있게 되어도 된다(도 8 참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오비끈부(111)의 내부에는, 두꺼운 종이부(130)(예를 들어 골판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가 마련되어도 된다. 일례로서는, 오비 매듭부(150)로 덮어지는 개소에 제 1 두꺼운 종이부(131)가 마련되고, 제 1 오비끈부(111)의 양단부에 제 2 두꺼운 종이부(132)가 마련되어도 된다. 제 1 두꺼운 종이부(131)의 좌우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 2 두꺼운 종이부(132)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길게 되어도 된다. 제 1 두꺼운 종이부(13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오비 매듭부(150)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길게 되어도 되고, 제 1 두꺼운 종이부(13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오비 매듭부(150)의 좌우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가 되어도 된다. 단,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두꺼운 종이부(13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오비 매듭부(150)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되어도 된다.
제 1 오비끈부(111)에는,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112) 중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115)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제 1 두꺼운 종이부(131)가 마련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우측에 통과 구멍(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의 좌측의 제 2 오비끈부(112)가 통과 구멍(115)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9 참조). 통과 구멍(115)은, 제 1 오비끈부(111)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에 그 중심 위치가 위치 부여되도록 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오비끈부(111)를 몸통체의 주위에 둘러 감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1 오비끈부(111)의 매듭을, 오비 매듭부(150)의 매듭 개구부(151) 내에 위치 부여되게 할 수도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효과에 있어서, 아직 설명하지 않은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작용·효과」에서 말하는 모든 구성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리소데부(30) 및 오비부(100)를 가지면서도, 옷깃부(10)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고정되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외관 상 일본 옷에 가까운 의복으로 하면서도(도 13도 참조), 의복의 착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리소데부(30)가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일본 옷에 가까운 인상을 줄 수 있다. 즉, 후리소데부(30)에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리소데부(30)가 부드러운 것이 되어 형태가 무너지기 쉬워진다. 한편, 후리소데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큰 후리소데부(30)를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높은 디자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보면,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35)는 서로 평행하게는 연장되어 있는 것이 유익하다. 또한, 이와 같은 후리소데 요철부(35)를 마련함으로써, 신축성을 가지게 하면서, 구김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후리소데부(30)의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가 주된 재료로서 이용되었을 경우에는, 저렴하고 가볍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면서,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무너지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대단히 유익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주된 재료로서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달라 붙기 어렵다고 하는 특성도 실현되는 점에서 유익하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리소데부(30)의 본체부(20)측의 단부(내주단부)가 직선 연장부(31)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내주측의 단부에 있어서 긴 거리에 걸쳐 후리소데 요철부(35)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이 보다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일방의 옷깃부(10a)의 단부 및 타방의 옷깃부(10b)의 단부의 각각이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꿰매 붙여진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가슴을 크게 열 수 있어, 높은 디자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도 1, 도 11 및 도 12 참조).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리소데부(30)의 본체부(20)측의 단부의 각각에 후리소데 개구부(39)가 마련되는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체부(20)의 후리소데부(30)측의 단부의 각각에 본체 개구부(29)가 마련되는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피스로 이루어지는 양태에 있어서, 연결부(60)가 몸통 둘레부(40)에 마련되고, 몸통 둘레부(40)의 하방에서는 슬릿(70)이 마련되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기능성을 높이면서,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옷깃부(10a)를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61)와, 타방의 옷깃부(10b)를 제 1 연결부(61)보다도 일방측(도 3의 우측)에 본체부(20)의 몸통 둘레부(40)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62)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옷깃부(10)를 보다 입체적으로 교차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투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상의 요철부(25a) 및/또는 복수의 하의 요철부(25b)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의 및/또는 하의에 관하여 구김이 들어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원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본체 요철부(25)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체부(20)에 있어서 구김이 들어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후리소데 요철부(35)와, 상의 요철부(25a) 및/또는 하의 요철부(25b), 또는 본체 요철부(25)의 폭(피치)이 실질적으로 같은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같은 것 같은 외관 인상을 줄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도 11 및 도 12 참조).
한편, 후리소데 요철부(35)와, 상의 요철부(25a) 및/또는 하의 요철부(25b), 또는 본체 요철부(25)의 폭(피치)을 다르게 함으로써, 다른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후리소데 요철부(35)는,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의미가 강한 것으로부터, 후리소데 요철부(35)의 폭을 세세하게 하여, 본체부(20)(투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의 상의 본체부(20a) 및 하의 본체부(20b)도 포함한다.)에 마련되는 요철부의 폭보다도 작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1㎝당 4개 이상의 후리소데 요철부(35)가 마련되어도 된다. 단, 후리소데부(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요소로서는, 옷감의 두께나 재료 등도 들 수 있으므로, 이들을 고려하면서, 후리소데 요철부(35)의 폭을 적절히 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깃부(10)가, 제 1 옷깃 옷감(11)과, 제 1 옷깃 옷감(11)에 마련된 제 2 옷깃 옷감(12)과, 제 2 옷깃 옷감(12)에 마련된 제 3 옷깃 옷감(13)을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가슴을 크게 열면서, 또한, 가슴으로 시선을 가져갈 수 있는 것으로부터, 높은 디자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체부(20)(투피스로 되어 있는 양태의 상의 본체부(20a) 및 하의 본체부(20b)도 포함한다.)에 요철부가 마련되면서도,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에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본체부(20)와 옷깃부(10)에서 다른 인상을 줄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각각이 다른 색으로 구성되는 것은 유익하다. 또한, 도 1,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옷깃 옷감(12)이 제 3 옷깃 옷감(13)의 내주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고, 제 1 옷깃 옷감(11)이 제 2 옷깃 옷감(12)의 내주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옴으로써,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각각을 목시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유익하다. 또한, 제조의 용이함에서 보면, 제 1 옷깃 옷감(11), 제 2 옷깃 옷감(12) 및 제 3 옷깃 옷감(13)의 외주연이 같은 재봉실로 꿰매지는 것은 유익하다.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비부(100)가, 오비끈부(110)와, 오비끈부(110)와는 별체로 되어 있는 오비 매듭부(150)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의복을 용이하게 입을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비끈부(110)가, 제 1 오비끈부(111)와, 제 1 오비끈부(111)보다도 폭이 좁게 되며, 제 1 오비끈부(111)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112)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일본 옷의 오비와 같은 외관을 제 1 오비끈부(111)로 실현하면서,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112)를 묶음으로써 오비끈부(110)를 몸통체부 주위에 둘러 감아서 고정할 수 있어, 일본 옷과 같이 옷단장이 필요없어지는 점에서 유익하다. 본 양태에 의하면, 자신의 복부측에 있어서 매듭 개구부(151) 내에서 제 2 오비끈부(112)를 묶은 다음에, 매듭, 오비끈부(110) 및 오비 매듭부(150)를 회전시켜서 등측으로 가지고 감으로써, 용이하게 일본 옷과 같은 옷차림으로 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매듭 개구부(151) 내에 제 2 오비끈부(112)의 매듭도 위치 부여함으로써, 제 2 오비끈부(112)의 매듭을 눈에 뜨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오비끈부(111)의 내부 중 오비 매듭부(150)로 덮어지는 개소에 제 1 두꺼운 종이부(131)를 마련함으로써, 오비 매듭부(150)에 대응하는 개소의 강도를 저렴하게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제 1 오비끈부(111)의 내부 중 제 1 오비끈부(111)의 양단부에 제 2 두꺼운 종이부(132)를 마련함으로써, 제 1 두꺼운 종이부(131)와 함께, 제 1 오비끈부(111) 전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제 1 오비끈부(111)에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112) 중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115)이 마련되는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제 2 오비끈부(112)를 제 1 오비끈부(111)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특히 상하 방향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제 2 오비끈부(112)를 묶을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특히 통과 구멍(115)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가 제 1 오비끈부(111)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에 위치 부여되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제 2 오비끈부(112)를 제 1 오비끈부(111)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에 위치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이 관점에서 보면, 제 2 오비끈부(112)가 통과 구멍(115)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 상하 방향으로 실질적인 간극이 마련되지 않도록, 제 2 오비끈부(112) 및 통과 구멍(115)의 상하 방향의 폭이 설계되는 것이 유익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외방에서 감기는 고시마키부(160)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고시마키부(160)는, 감는 방향(도 15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고시마키 요철부(165)를 가져도 된다. 고시마키 요철부(165)도 파형상을 가지는 플리츠로 되어도 된다. 또한, 고시마키부(160)에서도, 폴리에스테르가 주된 재료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고시마키부(160)는, 허리 둘레측에 위치하는 단부(도 15의 상방측 단부)에 부착부(166)를 가져도 된다. 부착부(166)는 복수(도 15에서는 3개)의 버튼부(166a)를 가져도 되며, 복수의 훅부를 가져도 된다. 복수의 버튼부(166a)나 복수의 훅부를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위치에서 부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허리에 합치한 크기로 고시마키부(16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수(雄)형의 버튼부(166a)가 좌측에 3개 마련되고, 암(雌)형의 버튼부(166a)가 우측에 3개 마련되는 양태로 되어 있다.
복수의 고시마키 요철부(165)를 가지는 양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형상을 일정 정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웨이브 형상의 턱(tuck)을 유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이동하였을 경우에도, 웨이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중력에 져서 고시마키부(16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본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기재 및 도면의 개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기재 또는 도면의 개시에 의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한정되는 일은 없다. 출원 당초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는 본건 특허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으며, 그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다.
10 옷깃부
11 제 1 옷깃 옷감
12 제 2 옷깃 옷감
13 제 3 옷깃 옷감
20 본체부
25 본체 요철부
30 후리소데부
40 몸통 둘레부
100 오비부
110 오비끈부
115 통과 구멍
111 제 1 오비끈부
112 제 2 오비끈부
130 두꺼운 종이부
131 제 1 두꺼운 종이부
132 제 2 두꺼운 종이부
150 오비 매듭부

Claims (6)

  1. 한 쌍의 옷깃부와, 상기 옷깃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2개의 후리소데부와,
    상기 몸통 둘레부에 감기는 오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옷깃부의 일방은 타방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후리소데부는, 소매가 접합되는 시작 부분으로부터 소맷부리를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후리소데 요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본체 요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부는, 제 1 옷깃 옷감과, 상기 제 1 옷깃 옷감에 마련된 제 2 옷깃 옷감과, 상기 제 2 옷깃 옷감에 마련된 제 3 옷깃 옷감을 가지며,
    상기 제 1 옷깃 옷감, 상기 제 2 옷깃 옷감 및 상기 제 3 옷깃 옷감에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비부는, 제 1 오비끈부와, 상기 제 1 오비끈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오비끈부를 포함하는 오비끈부와, 상기 오비끈부와는 별체로 되어, 상기 제 1 오비끈부를 덮을 수 있는 오비 매듭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비끈부에는, 제 2 오비끈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비끈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두꺼운 종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두꺼운 종이부는, 상기 오비 매듭부에 의해 덮어지는 개소에 마련되는 제 1 두꺼운 종이부와, 상기 제 1 오비끈부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제 2 두꺼운 종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방에서 감기며, 감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고시마키 요철부를 가지는 고시마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KR1020187033080A 2017-09-19 2017-09-19 의복 KR102438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3634 WO2019058411A1 (ja) 2017-09-19 2017-09-19 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26A KR20200049426A (ko) 2020-05-08
KR102438054B1 true KR102438054B1 (ko) 2022-08-29

Family

ID=6426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80A KR102438054B1 (ko) 2017-09-19 2017-09-19 의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0290B2 (ko)
EP (1) EP3685693B1 (ko)
JP (1) JP6422602B1 (ko)
KR (1) KR102438054B1 (ko)
CN (1) CN109831906B (ko)
WO (1) WO2019058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7128S1 (en) * 2017-09-19 2021-04-27 Beji Sasaki Clothing with collar
USD975960S1 (en) 2022-06-28 2023-01-24 Victoria Wimer Contreras Garment with varying sleeve configur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69B2 (ja) 1992-02-04 2000-04-10 旭テック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と受枠とのはめ合い構造
JP3120734B2 (ja) 1996-04-02 2000-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センサの色再現評価方法及び装置、カラーセンサ感度の設計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ラー画像入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306809A (ja) 2002-04-16 2003-10-31 Yoshiko Yamamura 女性用簡易和服
JP2007016372A (ja) 2005-07-08 2007-01-25 Yoshie Kobayashi 伝統的な和服姿の美しさに重点を置きながら、誰でも簡単に着用できるほど単純でありながら、着崩れの心配もなく、からだを締め付ける圧迫感や動きの不自由さを解消して快適な着用感を実現した上下二部式の和服および長襦袢。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563Y2 (ko) 1972-06-26 1978-02-20
JPS62114008U (ko) 1985-12-29 1987-07-20
JPH0734887Y2 (ja) 1987-05-31 1995-08-09 桂子 山本 ワンピース風の着物
JP2604075Y2 (ja) 1991-01-28 2000-04-10 喜美枝 西田 和服上衣
JPH0719308U (ja) 1993-09-04 1995-04-07 アヤ子 押川 着 物
JP3032069U (ja) * 1996-06-05 1996-12-13 株式会社きくかわ 着 物
JP2001159006A (ja) 1999-11-29 2001-06-12 Kino Shoji Kk 和風着物
JP3120734U (ja) * 2006-01-20 2006-04-20 寿恵 田中 簡単かつ綺麗に着付けのできる着物
JP2013053382A (ja) 2011-09-01 2013-03-21 Miyoko Okouchi 和服
JP5630755B2 (ja) * 2012-08-27 2014-11-26 井上 智子 着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69B2 (ja) 1992-02-04 2000-04-10 旭テック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と受枠とのはめ合い構造
JP3120734B2 (ja) 1996-04-02 2000-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センサの色再現評価方法及び装置、カラーセンサ感度の設計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ラー画像入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306809A (ja) 2002-04-16 2003-10-31 Yoshiko Yamamura 女性用簡易和服
JP2007016372A (ja) 2005-07-08 2007-01-25 Yoshie Kobayashi 伝統的な和服姿の美しさに重点を置きながら、誰でも簡単に着用できるほど単純でありながら、着崩れの心配もなく、からだを締め付ける圧迫感や動きの不自由さを解消して快適な着用感を実現した上下二部式の和服および長襦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5693A4 (en) 2021-04-07
CN109831906B (zh) 2022-06-10
JP6422602B1 (ja) 2018-11-14
CN109831906A (zh) 2019-05-31
US10980290B2 (en) 2021-04-20
JPWO2019058411A1 (ja) 2019-11-07
KR20200049426A (ko) 2020-05-08
EP3685693B1 (en) 2023-03-01
US20200323282A1 (en) 2020-10-15
WO2019058411A1 (ja) 2019-03-28
EP3685693A1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1003B2 (ja) 対丈着物
KR102438054B1 (ko) 의복
KR102034412B1 (ko)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JP3185385U (ja) セパレート式着物の上衣、及びセパレート式着物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US1963659A (en) Garment
JP5383165B2 (ja) アクセサリーの着脱自在な被服
JP4077502B1 (ja) 着物
JP3206851U (ja) 仕立衿および該仕立衿付きの対丈着物
TWI735679B (zh) 衣服
JP3194134U (ja) 装束
JP7457976B1 (ja) セパレート式着物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173378U (ja) 襟なし二部式着物
JP3177774U (ja) スカーフ
CN214431927U (zh) 假两件式连衣裙
JP3211164U (ja) マチ付の和服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2006225789A (ja) 巻き衣類
JP3204305U (ja) 男性用着物の襦袢衿
JP3003060U (ja) 和装用襦袢の衿
JP6427725B2 (ja) 35通り以上の使い方が出来るストール
JP3192345U (ja) 襦袢型シャツ及び衿芯
US1057331A (en) Scarf-coat.
JP5079924B1 (ja) 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