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29Y1 -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 Google Patents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29Y1
KR200257729Y1 KR2020010028403U KR20010028403U KR200257729Y1 KR 200257729 Y1 KR200257729 Y1 KR 200257729Y1 KR 2020010028403 U KR2020010028403 U KR 2020010028403U KR 20010028403 U KR20010028403 U KR 20010028403U KR 200257729 Y1 KR200257729 Y1 KR 200257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sympathy
collar
hanbok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옥
Original Assignee
이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옥 filed Critical 이태옥
Priority to KR2020010028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29Y1/ko

Link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동정의 길이가 깃으로 부터 양면상에서 동일하게 돌출되어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1벌로 2벌의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한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우측 앞길과 소매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고, 옷깃부분에 동정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한복에서, 상기 동정은 내부에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을 삽입하여 그 외부를 천으로 감싸 박음질한 것이고, 상기 동정의 박음질한 부분을 감싸도록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를 공그르기 바느질로서 동정에 결합시키되, 상기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로 부터 돌출된 동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A KOREAN ROBE HAVING THE FUNCTION OF PUTTING ON ITS BOTH SIDES}
본 고안은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上衣)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동정의 길이가 깃으로 부터 양면상에서 동일하게 돌출되어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1벌로 2벌의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한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복(韓服)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의복으로서, 특히 조선시대에 입던 형식의 옷을 일컫는다. 현재에는 평상복으로 입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명절이나 경사, 상례, 제례등의 경우에 많이 입는다. 남자의 옷은 바지, 저고리, 조끼,마고자, 두루마기등이 있고, 여자의 옷은 저고리, 치마,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버선등이 있다.
이러한 한복은 한국이라는 특정한 지역안에서 한국인이 고대로 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착용해온 민속 복장으로서 우리민족의 오랜 역사속에서 이루어진 문화의 소산이며, 곡선의 아름다움이 표출되는 의복자체의 우아함과 전통미를 갖는 서양 의복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징을 갖는 전통복장이다.
이러한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고 있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특히, 여자의 옷은 저고리와 치마가 상박하후(上薄下厚)하여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한 장점이 있고, 또한 한복은 몸매를 감싸주므로 그 결점을 덮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한복에는 결혼등의 예복으로서 사용되는 원삼, 반두루마기, 장옷등이 있으며, 이러한 한복(10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옷깃(1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복(100)들은 보통 1벌의 경우, 한쪽면만을 겉으로 하여 입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색상을 맞추어 입으려면, 적어도 2벌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착용자는 2벌의 한복을 마련하고, 그 중에서 골라입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2벌의 의복은 착용하지 않은 상태의 다른 한벌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번거로운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2벌을 준비한다는 것은 비용적으로도 부담스럽다. 따라서, 1벌의 한복으로 이를 뒤집어 입음으로써 2벌의 효과를 낼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한 것이며, 특히 결혼행사와같이 바쁜 과정에서 옷을 신속하게 바꿔입어야 하는 원삼 저고리등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옷을 바꿔 입어가면서 사진을 여러장 촬영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신부의 입장에서 여러 벌의 한복을 입고 싶은 경우에도 그 필요성이 높은 것이다.
한편, 종래의 한복(100)은 1벌을 구비하여 양면으로 착용하는 데에는 커다란 장애가 있었다. 그것은 옷깃(110)부분으로, 옷깃(110)은 의복의 목둘레에 돌려 대어 앞으로 여미는 부분이며, 저고리나 두루마기등의 부위중에서 목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에 길(몸판)과 같은 천이나 다른 천을 돌려 대어 여미게 한 부분을 말한다. 그런데 목의 부위는 인체중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로 부터 목둘레를 어떻게 꾸미느냐 하는 것은 인체장식의 중요한 구실을 담당해 왔다.
이와 같이 한복의 목둘레를 장식하기 위하여 한복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정(120)을 한복(100)의 목 둘레 옷깃(110)에 부착하여 착용하여 왔다. 상기 동정(120)은 하얀 천(122)의 내측에 하얀 마분지(124)를 덧대어 접착제(126)로 부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천(122)을 보강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천(122)은 마분지(124)의 상단모서리(124a)를 일측 단부가 둘러 싸도록 겹쳐서 접착제(126)로 고정하고, 타측단부가 마분지(124)의 아래 쪽으로 펼쳐진 상태의 연장부(130)를 형성하며, 양측모서리들은 천(122)들이 마분지(124)를 감싸도록 예각으로 겹쳐져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동정(120)은 한복(100)의 깃(110)에 고정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는 동정(120)의 마분지(124)와 천(122)이 중첩된 부분중 마분지(124)부분을 내측으로 배치하고, 동정(120)의 펼쳐진 연장부(130)를 접어서 한복의 깃 안쪽천(110a)에 홈질이나 박음질로 바느질(135a)하고, 동정(120)의 마분지(124)와 천(122)이 중첩된 부분중 천(122)부분을 외측으로 하여 그 외측 하단에 깃 겉감부재(110b)를 공그르기 바느질(135b)하여 동정(120)을 깃(110)에 고정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한복(100)에서 깃(110)과 동정(120)의 결합구조는 옷깃(110)의 안측부분에서 동정(120)의 돌출길이(k1)와, 겉측에서 동정(120)의 돌출길이(k2)가 서로 다름으로써 이러한 한복 상의를 뒤집어 입는다면, 안밖면이 서로 다르게 되어 매우 우스운 모양새를 갖추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상의를 뒤집어 입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2벌의 한복 상의가 필요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정의 길이가 깃으로 부터 양면상에서 동일하게 돌출되어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1벌로 2벌의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면(一面)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도시한 구성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복 상의에 장착되는 동정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복 상의의 동정과 깃의 결합도로서, 동정의 노출부위가 안밖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음을 도시한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 4도의 a),b)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복 상의의 동정과 깃의 결합도로서, 동정의 노출부위가 안밖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음을 도시한 측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兩面)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도시한 구성도;
제 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한복 상의에 장착되는 동정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7도는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제 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한복 상의의 동정과 깃의 결합도로서, 동정의 노출부위가 안밖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도시한 도 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 9도의 a),b)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한복 상의의 동정과 깃의 결합도로서, 동정의 노출부위가 안밖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도시한 측면도;
제 10도는 본 고안에 따라서, 반 두루마기 또는 장옷등에 적용가능한 동정과 깃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앞길 7..... 소매
10,10'.... 동정 12.... 아사 싱
14.... 천 16.... 박음질 부분
20a,20b... 공그르기 바느질 22a... 깃 안쪽천
22b... 깃 겉감부재 24a... 안감 천
24b... 겉감 천 110... 옷깃
120... 동정 k1,k2... 돌출 길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좌우측 앞길과 소매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고, 옷깃부분에 동정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한복에 있어서, 상기 동정은 내부에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을 삽입하여 그 외부를 천으로 감싸 박음질한 것이고, 상기 동정의 박음질한 부분을 감싸도록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를 바느질로서 동정에 결합시키되, 상기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로 부터 돌출된 동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동정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서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여 그 결합부분을 공그르기 바느질로서 서로 결합시키되, 상기 깃 안쪽천와 깃 겉감부재로 부터 돌출된 동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앞길(5)과 소매(7)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여 뒤집어 입을 수 있도록 하고, 옷깃(110)부분에 동정(10)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1)에 갖춰진 동정(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을 삽입하여 그 외부를 천(14)으로 감싸 박음질한 것으로, 내부의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이 천(14)을 보강하는 보강재역활을 한다. 상기 동정(10)은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을 감싸도록 천(14)을 박음질(16) 한 다음, 이를 뒤집어서내부에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을 삽입한 것으로 여기서 사용된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은 한복의 안감 싱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정(10)은 세탁이 가능하고 세탁후에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접착 아사싱(천)은 아사싱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탄성을 유지하고, 구조적으로도 동정을 보강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동정(10)의 천(14) 보강재로서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12) 대신에 종래와 같이 마분지등의 종이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세탁후 재사용은 어렵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정(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정(10)의 박음질한 부분을 내부에 위치시켜 감싸도록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를 공그르기 바느질(20a)(20b)로서 동정의 하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의 하단에는 안감 천(A면 천)(22a)과 겉감 천(B 면천)(22b)및 각각의 싱부분(24a)(24b)들이 결합되며, 상기에서 싱부분(24a)(24b)들은 안감 천(A면 천)(22a)과 겉감 천(B 면천)(22b)사이에 홑겹 또는 복수의 겹으로 개재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로 부터 돌출된 동정(10)의 길이(k1)(k2)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내에는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미도시)이 삽입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복 상의는 깃(110)에 달려진 동정(10)의 노출길이(k1)(k2)가 깃(110)의 안밖으로 서로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한복 상의(1)를 뒤집어 입는 경우, 동정(10)과 깃(110)의 결합부분이 서로 동일한 대칭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안밖이 동일한 예쁜 모양새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깃 안쪽천(110a)의 색상이 좌우측 앞길(5)과 소매(7)등을 이루는 안감 천(A면 천)(22a)과 어울리도록 하고, 깃 겉감부재(110b)의 색상이 겉감 천(B 면천)(22b)과 어울리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이들을 뒤집어 입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조에서 동정(10)과 깃 겉감부재(110b)는 바느질로서 결합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깃 겉감부재(110b)는 바느질 되지 않은 상태로 단지 동정(10)상에 겹쳐 포개져서 위치되어도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반 두루마기, 장옷등의 옷깃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제시된 구조에서 동정의 구조는 6내지 7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구조는 동정(10')의 폭이 다소 큰 것으로, 그 길이방향 중앙부분(30)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서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여 그 하단부분을 공그르기 바느질(20a)(20b)로서 서로 결합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도 깃(110)으로 부터 노출되는 동정(10')의 길이(k1')(k2')는 서로 동일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좌우측 앞길(5)과 소매(7)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여 뒤집어 입을 수 있도록 하고, 옷깃(110)부분에 동정(10)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동정(10)의 길이가 깃(110)으로 부터 양면상에서 동일하게 돌출되어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1벌로 양면을 뒤집어 입을 수 있어 2벌의 효과를 낼수 있다.
따라서, 1벌만 준비하여도 필요에 따라서 뒤집어 양면을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2벌을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결혼행사와 같이 바쁜 과정에서 옷을 신속하게 바꿔입어야 하는 경우, 옷을 바꿔 입어가면서 사진을 여러장 촬영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신부의 입장에서 여러 벌의 한복을 입고 싶은 경우에 매우 그 효과가 높은 것이다.

Claims (6)

  1. 좌우측 앞길(5)과 소매(7)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고, 옷깃(110)부분에 동정(10)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한복에 있어서, 상기 동정(10)은 내부에 아사싱(천)(12)을 삽입하여 그 외부를 천(14)으로 감싸 박음질(16)한 것이고, 상기 동정(10)의 박음질(16)한 부분을 감싸도록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를 바느질(20a)(20b)로서 동정(10)에 결합시키되, 상기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로 부터 돌출된 동정(10)의 길이(k1)(k2)는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정(10)의 천(14) 보강재로서 아사싱(천)(12) 대신에 마분지등의 종이류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의 하단에는 안감 천(A면 천)(22a)과 겉감 천(B 면천)(22b)및 각각의 싱부분(24a)(24b)들이 결합되며, 상기에서 싱부분(24a)(24b)들은 안감 천(A면 천)(22a)과 겉감 천(B 면천)(22b)사이에 홑겹 또는 복수의 겹으로 개재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정(10)과 깃 겉감부재(110b)는 바느질 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깃 겉감부재(110b)가 단지 동정(10)상에 겹쳐 포개져서 위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정(10')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분(30)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서 깃 안쪽천(110a)와 깃 겉감부재(110b)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여 그 하단부분을 공그르기 바느질(20a)(20b)로서 서로 결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정(10)의 천(14) 보강재로서 아사싱(천) 대신에 접착 아사싱(천)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KR2020010028403U 2001-09-14 2001-09-14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KR200257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03U KR200257729Y1 (ko) 2001-09-14 2001-09-14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03U KR200257729Y1 (ko) 2001-09-14 2001-09-14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29Y1 true KR200257729Y1 (ko) 2001-12-28

Family

ID=7310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403U KR200257729Y1 (ko) 2001-09-14 2001-09-14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11B1 (ko) 2009-10-21 2011-12-13 조재백 일체형의 종이 관욕지의
KR20210109937A (ko) * 2020-02-28 2021-09-07 박순자 원삼깃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11B1 (ko) 2009-10-21 2011-12-13 조재백 일체형의 종이 관욕지의
KR20210109937A (ko) * 2020-02-28 2021-09-07 박순자 원삼깃의 제조방법
KR102360647B1 (ko) 2020-02-28 2022-02-08 박순자 원삼깃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4688A (en) Combination scarf
JP2017534778A (ja) 衣類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03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200164666Y1 (ko)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JP3200971U (ja) 二部式着物
JP3134529U (ja) 携帯前掛け
KR20210155902A (ko) 멜빵 탈부착 양면 랩 스커트 방식의 한복치마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JP5383165B2 (ja) アクセサリーの着脱自在な被服
KR200257731Y1 (ko) 한복의 동정
KR200257730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치마
JP3148409U (ja) 仏衣
US3486170A (en) Clerical garment and collar assembly therefor
CN211268706U (zh) 一种女式上衣
CN214759167U (zh) 一种袖口打佐固定的polo衫
CN210747335U (zh) 高腰拼接背心裙
JPS61266607A (ja) 和服地より得られる婦人服
KR101982970B1 (ko)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20080024500A (ko) 기능성 양 복상의
KR19990008870U (ko) 마고자, 조끼겸용 저고리
JP4160655B2 (ja) 肩紐付き前当布
KR200323438Y1 (ko) 개량한복
IES87422Y1 (en) Multiform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