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3Y1 -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 Google Patents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3Y1
KR200400803Y1 KR20-2005-0023591U KR20050023591U KR200400803Y1 KR 200400803 Y1 KR200400803 Y1 KR 200400803Y1 KR 20050023591 U KR20050023591 U KR 20050023591U KR 200400803 Y1 KR200400803 Y1 KR 200400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bok
sleeve
worn
r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옥
조우현
Original Assignee
이태옥
조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옥, 조우현 filed Critical 이태옥
Priority to KR20-2005-0023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5Convertible garments revers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한복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한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좌 우측 앞길의 어깨선 높이가 일측의 동정을 갖는 깃 측보다 타단의 진동측이 낮게 형성되고 소매의 높이는 일측의 어깨선보다 더 낮게 형성하며, 좌 우측 앞길과 양측 소매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진동은 소매의 하단 배래와 연장된 호(弧)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 앞길에 형성된 섶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하며, 전면에 설치되는 옷고름은 매듭 내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저고리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모델들이 화보촬영시 또는 일반인들이 결혼 앨범 촬영시, 행사장 한복착용시 등에서 한벌의 한복으로 2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진동을 곡선처리하고, 어깨선을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한복 저고리를 착용시 주름이 발생 되지 않고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Description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Traditional korean Costumes-Geogori rever sible}
본 고안은 전통한복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복 저고리의 앞길과 소매가 연결되는 진동을 곡선으로 형성하고, 어깨선보다 소매의 선이 하향으로 점차 내려가도록 형성함으로써, 한복 저고리를 착용시 어깨와 전면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전면부의 옷고름이 탈 부착되도록 형성하고 섶이 서로 대칭 되도록 형성하여 한복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통 한복은 도1과 같이 동정(130)이 설치되는 깃(120)의 양측 어깨선과 소매(150)의 상단 선이 수평으로 이루어지고 저고리 전면의 앞길(110)과 소매(150)가 연결되는 진동(140)이 수직선으로 형성된 관계로 한복 저고리를 입으면 주름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한복 저고리(100)는 어깨선과 소매(150)가 수평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연결되는 진동(140)은 "l"자로 연결된 상태인데 반하여 사람의 어깨와 가슴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착용시 한복 저고리의 어깨선과 겨드랑 및 전면의 앞길(110)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한복 저고리는 동정을 갖는 깃과 연결되는 양측 섶(저고리의 앞부분라인)이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저고리를 한쪽 면으로만 착용해야 함으로써 사진을 촬영하거나 여행시에는 여러 복의 한복을 준비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0257729호의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원삼)를 개발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0257729호는 도 2와 같이 좌 우측 앞길(110)과 소매(150) 등을 양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들과 그사이의 싱으로 구성하고, 옷깃 부분에 동정을 달아서 양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한복에서, 상기 동정은 내부에 아사싱(천) 또는 접착 아사싱(천)을 삽입하여 그 외부를 천으로 감싸 박음질한 것이고, 상기 동정의 박음질한 부분을 감싸도록 깃 안쪽 천과 깃 겉감 부재를 공그르기 바느질로서 동정에 결합시키되, 상기 깃 안쪽 천과 깃 겉감 부재로부터 돌출된 동정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양면착용이 가능한 한복 원삼를 개발하였다.
참고로 원삼은 혼례시 폐백드릴 때 입는 전통 한복으로써, 도2는 원삼을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0257729호는 양면으로 사용하기 위해 저고리의 고름을 브로치 형태로 변경하고 전면에 깃과 동일 라인으로 내려오는 섶을 생략함과 동시에 양측 앞길의 섶 부분 라인이 대칭되도록 하여 맞닿도록 원삼이 형성됨으로써 우리의 전통 한복 저고리와는 상이한 것으로 원삼은 일반 행사, 추석, 설, 결혼식, 회갑 또는 평상시에는 입지 못하고 결혼식 폐백 드릴때 만이 한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한복 저고리와 차별화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원삼은 양면으로 착용하기 위해 옷고름 대신에 매듭으로 이루어진 단추를 적용하여 원삼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원삼을 한복 저고리에 적용할 경우 겉천과 내측천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천을 사용해야함으로써 사용시 저고리의 도련 부분과 소매의 부리부분으로 내측 천이 밀려 밖으로 보이게 되는 문제점과 어깨와 소매가 수평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한복을 착용시 어깨의 곡선에 따라서 구김이 발생 됨으로써 한복의 단아한 기품과 고풍스런 맛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복(韓服)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의복으로서, 특히 조선시대에 입던 형식의 옷을 일컫는다. 현재에는 평상복으로 입는 사람들도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는 주로 명절이나 경사, 상례, 제례, 모임, 결혼식 등의 경우에 많이 입는다. 남자의 옷은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등이 있고, 여자의 옷은 저고리, 치마,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버선등이 있다. 이러한 한복은 한국이라는 특정한 지역안에서 한국인이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착용해온 민속 복장으로서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문화의 소산이며, 곡선의 아름다움이 표출되는 의복 자체의 우아함과 전통미를 갖는 서양 의복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징을 갖는 전통복장이다.
이러한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고 있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특히, 여자의 옷은 저고리와 치마가 상박하후(上薄下厚)하여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한 장점이 있고, 또한 한복은 몸매를 감싸주므로 그 결점을 덮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한복은 몸매를 감싸주므로 그 결점을 덮어준다. 그러므로 작은 사람도 크게 보이게 입을 수 있으며, 마른 사람도 풍신하게 보이게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선조들이 한복을 신체에 따라서 활용한 예를 살펴보면, 키가 작은 사람은 치마길이를 다소 기름하게 입고 치마폭을 기준 이상으로 넓게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또 소매통 치수를 표준보다 약간 작게 하여 착용하였으며, 키가 큰 사람은 치마폭을 넓게 하고 속옷도 폭을 넓게 하여 착용하였다. 뚱뚱한 사람은 치마폭을 다소 넉넉하게 하고, 저고리 길이를 표준보다 약간 길게 하여 착용하였으며, 소매통을 조붓하게 하여 착용하였다. 또한 마른 사람은 치마폭을 다소 넉넉하게 하고, 저고리를 너그럽게 하여 착용하였으며, 목이 짧은 사람은 뒷고대 치수를 넉넉하게 하고 깃 나비를 좁은 듯하게 착용하였으며, 목이 긴 사람은 깃 나비를 넉넉하게 하고, 깃 길이를 짧은 듯하게 하여 착용하여 한복은 입는 사람의 신체에 적절하게 조절하여 신체의 단점을 막아주고 장점을 표출시킬 수 있도록 된 의상이다.
이러한 한복은 보통 1벌의 경우, 한쪽 면만을 겉으로 하여 입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색상을 맞추어 입으려면, 적어도 2벌 이상이 필요하며, 이 경우 착용자는 2벌의 한복을 마련하고, 그 중에서 골라 입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2벌의 의복은 착용하지 않은 상태의 다른 한 벌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복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 역시 부담스럽다.
따라서, 1벌의 한복으로 이를 뒤집어 입더라도 고유의 한복 형상에 변화없이 동일하게 입을 수만 있다면 1벌로 2벌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동시에 연극, 행사장, 사진촬영시, 여행시 신속하게 옷을 바꿔 입을 수 있음으로써 2벌의 효과를 낼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한복 저고리의 앞길과 소매가 연결되는 진동을 곡선으로 형성하고, 어깨선보다 소매의 선이 하향으로 점차 내려가도록 형성함으로써 저고리를 착용시 어깨와 전면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더불어 전면부의 옷고름이 탈 부착되도록 형성하여 앞길의 좌 우측 섶라인이 서로 대칭 되도록 형성하여 한복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좌 우측길의 어깨선 높이가 깃 측보다 타단의 진동측이 낮게 형성되고 소매의 높이는 일측의 어깨선보다 더 낮게 형성하며, 좌우측 앞길과 양측 소매가 연결되는 진동은 소매의 하단 배래와 연장된 호(弧)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 앞길에 형성된 섶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여 한복을 착용시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여행, 축하행사, 사진촬영시 뒤집어 입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벌의 한복으로 2벌의 한복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측 앞길과 소매가 겉천과 내측 천으로 이루어져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한복에 있어서,
좌 우측 앞길(11)의 어깨선 높이가, 내외로 절첩되도록 동정(13)이 설치된 깃(12) 측보다 타단의 진동(14)측이 낮게 형성되고, 소매(15)의 높이는 일측의 어깨선보다 더 낮게 형성하며, 좌 우측 앞길과 양측 소매(15)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진동(14)은 소매(15)의 하단 배래(16)와 연장된 호(弧)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하고, 저고리의 앞길의 섶(17)라인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하며, 전면에 설치되는 옷고름(18)은 매듭 내측에 고정고리(19)을 형성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복 저고리(10)를 구성한다.
상기 저고리(10)의 좌우측 앞길(11)은 하단 도련(20)과 섶(17)의 일측 변에 겉천(21)과 내측천(22) 끝단이 연결되도록 별도의 천으로 파이핑[piping]부(23)를 구성한다.
상기 저고리의 앞길 외면 섶과 대응되는 타측 내면 섶의 상부 깃에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를 형성하되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의 매듭에는 작은고리(24', 25')를 형성하여 옷고름의 매듭 내측에 형성된 고정고리(19)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동정은 일측 변이 깃(12)과 연결되고 다른측 변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깃 내 외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소매(15)는 부리에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소매단(26)이 외측과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고리의 깃(12)은 일측 단부 외면에는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다른 쪽 깃 단부 외면에는 똑딱단추(스냅:snap)(27)가 설치되며 내측 깃(12) 말단에는 외면과 반대로 걸고리(24) 및 지지고리(25)와 똑딱단추(2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한복 저고리(10)를 제작시 좌 우측 앞길(11) 섶(17) 라인과 하단의 도련(20) 라인이 대칭이 되도록 재단한다. 이때 뒷길의 하단라인 보다 앞길(11)의 도련(20) 라인을 더 길게 형성한다.
이때 도련 라인은 한복 저고리의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곡선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양측 어깨선과 소매(15)의 상단 선은 기존의 한복 어깨선보다 소정의 각으로 하향 되도록 형성한다.
즉, 사람의 어깨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하여 한복 저고리 어깨선과 소매의 상단 선이 수평으로 이루어질 경우 저고리를 착용시 착용자의 어깨선에 의하여 주름이 생기게 되나 본 고안의 저고리는 어깨선을 착용자의 어깨 선과 같이 동정(13)을 갖는 깃(12)과의 연결된 봉재선부터 진동(14)까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소매(15)는 진동(14)에서 부터 소매의 부리가 어깨선보다 더 하향되게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어깨와 진동(14)주변에 구겨지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맵시 있는 한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는 겉천(21)과 내측천(22)으로 구성하되 좌 우측의 앞길(11)과 뒷길 끝단과 양측 섶(17) 일측변에 별도의 천으로 파이핑[piping]부(23)를 형성하여 안단 또는 바깥 단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저고리를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저고리의 깃(12)에 동정(13)을 부착하게 되는데 동정(13)의 일측변만 깃(12)에 연결되도록 실로 꿰메고 동정(13)의 다른측 변은 꿰메지 않은 상태로 둔다. 이렇게 깃(12)에 일측변만 연결된 동정(13)은 한복 저고리의 착용에 따라서 깃 외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동정을 한쪽 방향으로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면 저고리를 뒤집어 입을 경우 동정이 깃 속에 위치하여 외부로 표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본 고안에서는 저고리를 내면 또는 외면으로 착용시 이에 대응되도록 동정이 내 외면으로 접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 외면으로 절첩되는 동정은 저고리를 착용시 다리미로 다린 상태이고 동정의 일측 변과 깃이 연결된 부분은 심이 없는 천으로만 이루어져 원활하게 절첩되며 깃(12)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변의 동정(13)은 내부에 심이 있는 상태이므로 들뜨지 않고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한복 저고리 외면 섶과 내면 섶의 동정과 깃이 연결된 끝단부에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를 형성하되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는 옷고름(18)에 가려지는 위치에 형성한다. 즉, 한복을 입고 행사장에 참석시 일측의 걸고리(24)에는 노리개를 걸고, 지지고리(25)에는 꽃을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를 형성시 2개의 매듭이 생기는데 이의 매듭에는 작은고리(24', 25')가 형성되어 옷고름(18) 내측에 형성된 고정고리(19)가 끼워져 외부에서 볼때 저고리에 옷고름이 통상의 전통한복과 동일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복저고리를 양면으로 착용하기 위해 옷고름이 저고리 앞섶에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한복 저고리를 착용할 때는 좌측의 앞길과 우측의 앞길 위로 겹쳐지도록 착용함으로서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는 좌측의 앞길(11)의 동정 끝단부의 섶(17)에 위치하고, 우측의 앞길(11)에는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가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물론 저고리를 뒤집어 입을 경우에는 우측 앞길(11) 내측에 위치하였던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가 좌측 앞길(11) 외면에 위치하여 노리개와 꽃을 동시에 걸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노리개와 꽃을 선택적으로 꽂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저고리를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옷고름(18)의 매듭부 내측에는 복수의 고정고리(19)가 형성되어 옷고름(18)을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저고리 양측 소매(15) 끝 부리에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소매단(26)이 일측단만 봉재되어 구비됨으로써, 소매단(26)을 외면으로 접으면 한복 저고리의 소매 끝단에 소매와 다른 색상을 갖는 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매단은 부리와 연결된 부분의 직경보다 연결되지 않은 타단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것으로 타단의 직경은 접히는 소매의 외면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접었을 때 구겨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상기 소매단(26)은 직경이 작은 측 단이 소매의 부리와 연결되고 직경이 큰 다른 쪽단은 봉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저고리를 뒤집어 입을 경우 소매단 역시 뒤집어 외면으로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 소매의 소매단(26)은 필요에 따라서 형성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소매에 소매단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매 부리에 파이핑[piping]부를 형성하여(도8참조) 소매의 맵시를 표출시킬 수 있다. 파이핑부는 저고리를 앞뒤로 뒤집어 입더라도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는 앞뒤 교대로 착용시 동정과 소매단을 항상 외부로 표출되게 할 수 있으며, 옷고름(18)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앞뒤 교대로 착용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 전면 구성도로서, 동정을 갖는 깃에서부터 소매단까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어깨 라인이 사람의 신체 어깨 라인과 동일하게 디자인하고, 전면의 앞길과 소매가 연결되는 진동(14)을 소매의 하단 배래(16)라인과 연장되도록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한복 저고리를 착용시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4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서 옷고름을 이탈시킨 상태의 구성도로서, 저고리의 깃하단에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를 형성하되 걸고리와 지지고리 형성시 발생되는 매듭부위에 작은고리(24', 25')를 형성하여 옷고름의 매듭 내측에 형성된 고정고리(19)가 걸려 옷고름을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 형성된 앞길 도련과 섶이 대칭으로 구성된 예시도로서, 앞길의 섶(17)이 형성된 깃(12)하단에는 걸고리와 지지고리를 형성하고 대칭되는 다른 일측의 깃(12) 하단에는 다수의 똑딱단추(27)를 설치하여 일측의 섶(17)부분이 위로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똑딱단추(27)가 설치된 앞길 측에는 섶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6는 본 고안의 저고리가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섶이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앞길(11) 외면에 똑딱단추(27)가 설치된 내측에는 섶이 설치되고 깃(12) 말단부에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가 형성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앞길을 벌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외면에 걸고리와 지지고리가 설치된 앞길 내측에는 섶이 형성되지 않고 깃 하단부에 똑딱단추가 설치된 상태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저고리 소매에 별도의 색상을 갖는 소매단을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예시도로서, 소매단(26)을 형성시 일측단부만 소매부리와 봉재하고 타측단은 봉재하지 않은 상태로 소매단의 외부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저고리를 뒤집어 입을 때도 소매단은 뒤집어 외부로 표출되도록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소매에 말단부에 파이핑부를 형성한 예시도로서, 저고리의 소매에 형성되는 소매단을 설치하지 않고 말단부에 파이핑부를 형성하여 소매가 간결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9는 본 고안의 저고리 동정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발췌도로서, 동정(13)을 깃에 봉재하되 일측변만 실로 꿰매고 다른 일측은 궤매지 않은 상태이므로 동정이 깃과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저고리의 하단 도련에 파이핑부가 형성된 상태의 발취 단면도로서, 저고리를 겉천(21)과 내측천(22)으로 구성시 겉천과 내측천 중 어느 하나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핑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저고리 도련과 소매 부리와 섶에 라인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한복과 종래의 한복을 겹친상태로 도시하여 어깨선의 차이를 나타낸 상태의 예시도로서, 기존의 한복 저고리와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를 겹쳐 어깨선의 차이점을 비교한 것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 설치되는 옷고름 구성도로서, 옷고름의 매듭 내측에 고정고리(19)를 형성함으로서 깃 하단에 형성된 걸고리와 지지고리 형성시 생긴 매듭부의 작은 고리(24',25')에 걸어서 옷고름을 설치하고 뒤집어서 입을 경우에는 이탈시켰다가 다시 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고리를 필요에 따라서 1벌로 2벌의 효과를 낼 수 있는데 옷 고름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복 저고리를 양면으로 입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한복을 준비하지 않고 한벌의 한복 저고리로 두벌의 한복 저고리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한복 저고리를 양면으로 착용하더라도 고유의 전통한복 저고리 맵시를 유지하고 단아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복의 저고리를 제작시 전면의 좌우측 섶이 대칭되도록 하고 내측 천과 겉 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겉 천과 내측 천이 만나는 하단 도련부를 파이핑부로 처리하여 저고리를 필요에 따라서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사장, 카탈로그 제작 촬영시, 결혼앨범 사진촬영시 등에서 한 벌의 옷으로 두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양측 길(전면부) 과 소매가 결합되는 진동을 소매의 하단 배래와 연장되어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저고리 착용시 주름이 생기지 않고 단아하고 기품있게 착용할 수 있는 전통한복 저고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한복 저고리 구성도.
도2는 종래의 한복 원삼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한복 저고리 전면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서 옷고름을 이탈시킨 상태의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 형성된 앞길 도련과 섶이 대칭으로 구성된 예시도.
도6는 본 고안의 저고리가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섶이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저고리 소매에 별도의 색상을 갖는 소매단을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예시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소매에 말단부에 파이핑부를 형성한 예시도.
고9는 본 고안의 저고리 동정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발췌도.
도10은 본 고안의 저고리의 하단 도련에 파이핑부가 형성된 상태의 발취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한복과 종래의 한복을 겹친 상태로 도시하여 어깨선의 차이를 나타낸 상태의 예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저고리에 설치되는 옷고름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저고리, 11:앞길
12:깃 13:동정
14:진동 15:소매
16:배래 17:섶
18:옷고름 19:고정핀
20:도련 21:겉천
22:내측천 23:파이핑부
24:걸고리 25:지지고리
26:소매단 27:똑딱단추(스냅)

Claims (6)

  1. 좌우측 앞길과 소매가 겉천과 내측천으로 이루어져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한복 저고리에 있어서,
    좌 우측 앞길(11)의 어깨선 높이가, 내외로 절첩되도록 동정(13)이 설치된 깃(12) 측보다 타단의 진동(14)측이 낮게 형성되고, 소매(15)의 높이는 일측의 어깨선보다 더 낮게 형성하며, 좌 우측 앞길과 양측 소매(15)가 연결되는 진동(14)은 소매(15)의 하단 배래(16)와 연장된 호(弧)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좌우측 앞길의 섶(17)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하며, 전면에 설치되는 옷고름(18)은 매듭 내측에 고정고리(19)을 형성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복 저고리(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저고리(10)는 뒷길과 앞길(11)의 하단 도련(20)과 소매단 및 섶(17)의 일측 변에 겉천(21)과 내측천(22) 끝단이 연결되도록 별도의 천으로 파이핑[piping]부(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3. 제1항에 있어서,
    저고리의 좌우 앞길은 외면 섶과 내면 섶의 동정과 깃이 연결된 끝단부에 걸고리(24)와 지지고리(25)를 형성하되 걸고리와 지지고리의 매듭에 형성된 작은고리(24', 25')에는 옷고름(18)의 고정고리(19)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4. 제1항에 있어서,
    소매(15)는 끝 부리에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소매단(26)이 외측과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5. 제1항에 있어서,
    동정은 일측 변이 깃과 연결되고 다른측 변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깃의 내 외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6. 제1항에 있어서
    저고리의 좌우측 깃은 일측 외면에 똑딱단추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타측의 깃 내측에 똑딱단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KR20-2005-0023591U 2005-08-16 2005-08-16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KR200400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91U KR200400803Y1 (ko) 2005-08-16 2005-08-16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91U KR200400803Y1 (ko) 2005-08-16 2005-08-16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3Y1 true KR200400803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591U KR200400803Y1 (ko) 2005-08-16 2005-08-16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0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11B1 (ko) 2009-10-21 2011-12-13 조재백 일체형의 종이 관욕지의
KR101443338B1 (ko) 2013-05-31 2014-09-29 양하나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20160009262A (ko) * 2014-07-16 2016-01-26 이병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KR101982970B1 (ko) * 2018-04-17 2019-08-28 서영임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20200001955U (ko)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KR102458530B1 (ko) * 2022-07-25 2022-10-24 김명희 한복 깃의 제도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11B1 (ko) 2009-10-21 2011-12-13 조재백 일체형의 종이 관욕지의
KR101443338B1 (ko) 2013-05-31 2014-09-29 양하나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20160009262A (ko) * 2014-07-16 2016-01-26 이병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KR101602204B1 (ko) 2014-07-16 2016-03-10 이병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KR101982970B1 (ko) * 2018-04-17 2019-08-28 서영임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20200001955U (ko)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KR102458530B1 (ko) * 2022-07-25 2022-10-24 김명희 한복 깃의 제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058B2 (en) Clothing system having pants and interchangeable cuffs
KR200400803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JP3200971U (ja) 二部式着物
IL202984A (en) Tassel outfit
KR20150004505U (ko) 소매길이 연장부재가 구비된 한복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TWI444148B (zh) shirt
CN205682437U (zh) 一种穿着舒适的立领衬衫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3086531U (ja) 授乳用ベスト付ドレス
JP3148409U (ja) 仏衣
Lindholm Invisible no more: the embellished abaya in Qatar
JP3194134U (ja) 装束
CN211185903U (zh) 一种上衣
CN215775635U (zh) 一种衣服
JP6366919B2 (ja) 服飾用簡易インナーおよび服飾用簡易インナーの生産方法
KR102000392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JPS5837921Y2 (ja) 和洋折衷服
JP5023008B2 (ja) インナーウェア
KR200400776Y1 (ko) 다양한 스타일 구현이 가능한 의류
JP6427725B2 (ja) 35通り以上の使い方が出来るストール
KR200323438Y1 (ko) 개량한복
CN203735511U (zh) 一种背心式礼服裙
CN204907948U (zh) 一种透视女衬衣
US2516607A (en) Double collar for appa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