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70B1 -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70B1
KR101982970B1 KR1020180044217A KR20180044217A KR101982970B1 KR 101982970 B1 KR101982970 B1 KR 101982970B1 KR 1020180044217 A KR1020180044217 A KR 1020180044217A KR 20180044217 A KR20180044217 A KR 20180044217A KR 101982970 B1 KR101982970 B1 KR 10198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lining
command
feather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임
Original Assignee
서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임 filed Critical 서영임
Priority to KR102018004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곧은 옷깃의 직령깃과, 상기 직령깃의 상부 내외측에 덧대어 부착되는 동정과, 둥근 옷깃의 단령깃을 포함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한복의 겉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안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상기 직령깃에 대응하는 직령겉깃 및 직령깃안단과, 상기 단령깃에 대응하는 단령겉깃 및 단령깃안단 각각에 대응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의 양면에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둥근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의 일측에 겉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겉감의 양면 상단에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이 굴곡진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단령겉깃과 직령깃안단 사이에 겉감을 두고 단령겉깃의 굴곡진 부분이 직령깃안단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단령겉깃의 하단선을 따라 겉감에 봉제하는 단계와, 단령깃안단을 겉감의 뒷면 및 안감 겉섶의 앞면에 배치하여 단령깃안단과 단령겉깃 사이에 겉감 및 안감 겉섶을 두고 단령깃안단을 단령겉깃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관상으로는 전통 방식인 직령중단을 안에 착용한 후 단령을 겉에 착용하는 겹옷 구조로 보이므로 전통적인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직령과 단령이 분리되는 겉감의 겉섶상에 안감이 채워져 미관상 완성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A CIRCULAR COLLAR AND A STRAIGHT COLLAR OF HANBOK}
본 발명은 전통적인 관혼상제례의 예식 행사 시 겹쳐서 착용하는 직령 한복과 단령 한복을 하나로 일체화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착용해온 곡선의 아름다움이 표출되는 의복 자체의 우아함과 전통미를 갖는 우리 민족의 고유 전통의복으로서, 현재는 주로 명절이나 경사, 상례, 제례, 모임, 결혼식 등의 아름답고 중요한 날에 많이 입고 있다.
전통 한복 중의 하나인 단령(團領)은 옷깃이 둥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서 일반적으로 조선 말기까지 모든 관원이 평소 집무복으로 착용한 상복(常服)을 말하며, 대개 상복은 단령, 사모, 띠, 화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복으로 착용하는 조선시대의 관복은 제복(祭服), 조복(朝服), 공복(公服), 상복(常服), 시복(時服), 융복(戎服) 등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공복, 상복, 시복이 단령에 속한다.
단령은 원래 중국 당나라에서 신라로 전래되어 진골대등에서 서민까지 모두 착용했으며, 계급에 따라 옷감과 띠에 차이가 있었다. 왕이 입은 용무늬가 있는 단령을 곤룡포(袞龍袍)라 하고, 조선시대에는 1품~9품의 관리 및 유생뿐만 아니라, 별감, 인로, 형조, 사헌부, 전옥서, 사간원사 및 조례(노예)의 경우에도 각각 계급에 따라 청단령, 흑단령, 홍단령 중 하나를 착용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홑옷으로 옷깃이 턱밑까지 패었고, 무도 뒤로 접히지 않고 옆선이 터졌으며, 옷고름과 매듭 단추가 있으며 소매가 좁았다. 착용 구성면에서는 겉옷인 단령과 직령중단을 겹쳐 입었으나 후기에 많은 변화를 거쳐 말기에는 단령과 직령을 배래에서 4겹 바느질로 일습이 되게 하였다. 단령에는 흉배(胸背)를 붙이는데, 계급에 따라 그 무늬가 달랐으며 가슴과 등에 똑같은 무늬를 수놓아 달았다.
현대에 들어오면서 과거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사용하고 있진 않으나, 방송 매체나 문화 예술 공연에서 과거 시대를 배경으로 할 때나, 전통 의식을 퍼레이드 형식으로 대중에게 보여주는 행사 등에서 겹단령 형태의 한복이 주로 사용되면서 이러한 한복의 수요는 꾸준한 실정이다.
이러한 겹단령 형태의 한복을 현대에 맞게 제작 공정을 간소화하려는 방안으로써, 종래에는 한복의 안감과 겉감을 연결한 후 단령깃을 달고 깃 안쪽에서 흰 동정을 달아 겉에서 봤을 땐 지령을 받친 것처럼 보이도록 제작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한 겹단령 형태의 한복의 경우, 안감과 겉감을 합쳐 일습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 방식인 직령중단과 단령을 겹쳐 착용하는 겹옷 구조와는 차이가 있고, 겹옷 구조보다는 품위가 다소 떨어진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KR 10-1358964 B1 KR 10-1812443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통 방식인 직령 한복을 안에 착용한 후 단령을 겉에 착용하는 겹옷 구조 형태를 하나로 일체화한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은, 곧은 옷깃의 직령깃과, 상기 직령깃의 상부 내외측에 덧대어 부착되는 동정과, 둥근 옷깃의 단령깃을 포함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한복의 겉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안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상기 직령깃에 대응하는 직령겉깃 및 직령깃안단과, 상기 단령깃에 대응하는 단령겉깃 및 단령깃안단 각각에 대응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의 양면에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둥근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의 일측에 겉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겉감의 양면 상단에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이 굴곡진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단령겉깃과 직령깃안단 사이에 겉감을 두고 단령겉깃의 굴곡진 부분이 직령깃안단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단령겉깃의 하단선을 따라 겉감에 봉제하는 단계와, 단령깃안단을 겉감의 뒷면 및 안감 겉섶의 앞면에 배치하여 단령깃안단과 단령겉깃 사이에 겉감 및 안감 겉섶을 두고 단령깃안단을 단령겉깃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안감 겉길의 밑도련선과 상기 안감 겉섶의 섶도련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섶달림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상기 직령겉깃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상기 안감 겉섶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직령겉깃의 하단선을 따라 상기 안감 겉길과 상기 안감 겉섶이 연결되도록 봉제하는 단계와, 상기 직령겉깃이 봉제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섶달림선을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섶달림선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겉감을 연결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직령깃안단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상기 직령겉깃의 둥근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안감 겉길의 뒷면에 상기 직령깃안단을 배치하여 상기 직령깃안단과 상기 직령겉깃 사이에 상기 안감 겉길을 두고 상기 직령겉깃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령겉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접합된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의 앞면 일측에 상기 안감 겉섶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직령겉깃의 하단선을 봉제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겹쳐서 착용해야 하는 직령중단과 단령을 하나로 일체화하여 착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상으로는 전통 방식인 직령중단을 안에 착용한 후 단령을 겉에 착용하는 겹옷 구조로 보이므로 전통적인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직령과 단령이 분리되는 겉감의 겉섶상에 안감이 채워져 외관상 전통적인 구성법과 봉재법을 수용한듯 미관상 완성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모든 공정이 완료된 한복의 일측 앞판을 여민 상태와 펼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 단계에서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모든 공정이 완료된 한복의 일측 앞판을 여민 상태와 펼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 단계에서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관혼상제례의 예식 행사 시 겹쳐서 착용하는 직령 한복과 단령 한복을 하나로 일체화한 형태로서, 곧은 옷깃의 직령깃(300)과, 직령깃(300)의 상부 내외측에 덧대어 부착되는 동정(미도시)과, 둥근 옷깃의 단령깃(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한복의 겉감(200) 및 안감(100) 각각에 대한 패턴을 형성한다(S120).
상기 S120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한복을 만들기 위한 부품 형상과 크기, 갯수, 패턴을 그리는 공정으로서, 상기 패턴은 겉감과 안감, 기타 부품으로 구분되며, 겉감과 안감의 합봉을 고려하여 안감의 패턴과 겉감의 패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S120 단계에서는, 한복의 앞판 및 등판을 구성하는 길, 섶, 무 및 소매에 대한 겉감(200) 및 안감(100) 각각의 패턴과, 한복의 목싸임 부분에 형성되는 직령깃(300) 및 단령깃(400)에 대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겉감(200)은 겉감 겉길(210), 겉감 겉섶(220), 겉감 안길, 겉감 안섶, 겉감무, 겉감 소매를 포함할 수 있고, 안감(100)은 안감 겉길(110), 안감 겉섶(120), 안감 안길, 안감 안섶, 안감무, 안감 소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섶'은 두루마기나 저고리 깃 아래에 달린 긴 조각으로서, 가령, 저고리를 여밀 경우 깃의 모양에 따라 앞을 여미게 될 때 가슴 가운데로 오는 천의 한 가운데에 해당하며, 안쪽으로 가는 부분을 '안섶', 겉으로 나오는 부분을 '겉섶'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서술할 모든 내용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겉감(200)에서 저고리를 여밀 때 겉으로 나오는 섶은 겉감 겉섶(220)이라 하고, 겉감(200)에서 저고리를 여밀 때 겉으로 나오는 길은 겉감 겉길(210)이라 하였다.
또한, 겉감(200) 및 안감(100)의 합봉 시 겉감 겉섶(220)과 마주보게 되는 안감 영역은 안감 겉섶(120)이라 하고, 겉감 겉길(210)과 마주보게 되는 안감 영역은 안감 겉길(110)이라 하였다.
여기서, '깃'은 목둘레선을 마감하기 위해 단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옷깃이 곧은 형태를 직령깃(300)이라 하고, 옷깃이 둥근 형태를 단령깃(400)이라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령깃(300)은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둥근 스트립 형상이고, 단령깃(400)은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이 굴곡진 스트립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직령깃(300)은 한복의 목 부분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성인의 평균 목 둘레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1 옷깃천으로 마련되며, 저고리를 여밀 경우 앞쪽으로 오는 상기 제1 옷깃천의 타측단은 상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옷깃천에서 상기 타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일측단이 직각단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령깃(400)은 직령깃(300)에 겹쳐지되 착용 시 직령깃(300)의 상면에 부착되는 동정이 보이도록 직령깃(300)의 길이보다 더 긴 제2 옷깃천으로 마련되며, 저고리를 여밀 경우 앞쪽으로 오는 상기 제2 옷깃천의 일측 영역은 원형 띠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2 옷깃천에서 상기 일측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일측단에 직각단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직령깃(300)은 안감의 앞뒷면에 각각 연결되는 직령겉깃(300a)과 직령깃안단(300b)을 포함하고, 단령깃(400)은 겉감의 앞뒷면에 각각 연결되는 단령겉깃(400a)과 단령깃안단(40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120 단계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따라 각각의 패턴 원단을 형성한다(S140).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원단(겉감 원단, 안감 원단 및 기타 원단)을 주름이 없게 평평하게 펼쳐놓은 후, 상기 S120 단계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따라 안감과 겉감 및 기타 부품 각각에 대응하는 원단을 가공 및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패턴원단을 만들 수 있다.
이때, 패턴원단은 재단 공정 시 시접하고 봉제하는 것의 크기를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약 1cm 내지 2cm의 시접 영역의 여유분을 두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안감(100)에 섶달림선(133)을 형성한다(S160).
상기 S160 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 겉길(110)의 밑도련선(131a)과 안감 겉섶(120)의 섶도련선(131b)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안감 겉길(110) 및 안감 겉섶(120)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도 5에 도시된 섶달림선(1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련'은 일반적으로 한복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에서 앞섶에 이르는 선으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안감 겉섶(120) 및 겉길(110)의 하단 끝선을 도련선(131)이라 하되, 안감 겉길(110)의 하단 끝선을 밑도련선(131a)이라 하고, 안감 겉섶(120)의 하단 끝선을 섶도련선(131b)이라 하였다.
여기서, 섶달림선(133)은 안감 겉길(110)과 안감 겉섶(120) 각각의 일측이 봉제에 의해 접합되면서 형성된 접합선, 즉, 안감 겉길(110)과 안감 겉섶(120)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선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한복의 안감(100)의 양면에 직령깃(300)을 봉제한다(S200).
구체적으로, 상기 S200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령겉깃(300a)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안감 겉섶(120)에 위치되도록 하고 직령겉깃(300a)의 하단선(301)을 따라 상기 S160 단계에 의해 접합된 안감 겉길(110)과 안감 겉섶(120)이 연결되도록 봉제하는 단계(S220)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령겉깃(300a)이 봉제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섶달림선(133)을 안감 겉길(110) 및 안감 겉섶(120)으로 분리하는 단계(S240)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령깃안단(300b)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직령겉깃(300a)의 둥근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안감 겉길(110)의 뒷면에 직령깃안단(300b)을 배치하여 직령깃안단(300b)과 직령겉깃(300a) 사이에 안감 겉길(110)을 두고 직령겉깃(300a)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상기 S160 단계에 의해 접합된 안감 겉길(110) 및 안감 겉섶(120)의 앞면 일측에 안감 겉섶(1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직령겉깃(300a)의 하단선(301)을 봉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령깃(300)은 한복의 목 부분에 인접한 양측 어깨고대 지점에서 각각 중앙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어 한복의 목 앞쪽 부분을 Y자 형태로 감싸게 된다.
삭제
다음으로, 안감(100)의 일측에 겉감(200)을 연결한다(S300).
상기 S300 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안감 겉길(110)이 접합된 안감 겉섶(120)의 타측에 겉감(200)의 겉감 겉섶(220)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접합하고, 상기 접합에 의해 안감 겉섶(120) 및 겉감 겉섶(220) 사이에 형성된 접합선을 기준으로 안감(100) 영역과 겉감(200) 영역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반으로 접은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200) 영역이 위에 오도록 놓여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대한 도면 및 이에 관한 설명 과정에서는 생략되었으나, 겉감(200)의 경우에도, 상기 S160 단계에서와 같이, 겉감(200)에 제2 섶달림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S300 단계에서의 겉감(200)은 겉감 겉길(210) 및 겉감 겉섶(220)이 접합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겉감 겉길(210)의 도련선과 겉감 겉섶(220)의 하단 끝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겉감 겉길(210) 및 겉감 겉섶(220)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제2 섶달림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섶달림선은 겉감 겉길(210)과 겉감 겉섶(220) 각각의 일측이 봉제에 의해 접합되면서 형성된 접합선, 즉, 겉감 겉길(210)과 겉감 겉섶(220)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선일 수 있다.
다음으로, 겉감(200)의 양면 상단에 단령깃(400)을 봉제한다(S400).
상기 S400 단계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령겉깃(400a)과 직령깃안단(300b) 사이에 겉감(200)을 두고 단령겉깃(400a)의 굴곡진 부분이 직령깃안단(300b)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단령겉깃(400a)의 하단선(401)을 따라 겉감(200)에 봉제하는 단계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령깃안단(400b)을 겉감(200)의 뒷면 및 안감 겉섶(120)의 앞면에 배치하며 단령깃안단(400b)과 단령겉깃(400a) 사이에 겉감(200) 및 안감 겉섶(120)을 두고 단령깃안단(400b)을 단령겉깃(400a)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령깃(400)은 소정 반경의 반원 형태로 마련되어 일측 어깨고대 지점에 형성된 매듭 단추에 의해 고정되되, 직령깃(300)의 상면에 부착된 동정은 보이고 직령깃(300)의 하부 영역은 가려지도록 한복의 쇄골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을 둥글게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겹쳐서 착용해야 하는 직령 한복과 단령 한복을 하나로 일체화하여 착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상으로는 전통 방식인 직령중단을 안에 착용한 후 단령을 겉에 착용하는 겹옷 구조로 보이므로 전통적인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직령과 단령이 분리되는 겉감의 겉섶상에 안감이 채워져 미관상 완성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감
110: 안감 겉길
120: 안감 겉섶
131: 도련선
132: 옆선
133: 섶달림선
200: 겉감
210: 겉감 겉길
220: 겉감 겉섶
300: 직령깃
400: 단령깃

Claims (5)

  1. 곧은 옷깃의 직령깃과, 상기 직령깃의 상부 내외측에 덧대어 부착되는 동정과, 둥근 옷깃의 단령깃을 포함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한복의 겉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안감에 대한 겉길 및 겉섶과, 상기 직령깃에 대응하는 직령겉깃 및 직령깃안단과, 상기 단령깃에 대응하는 단령겉깃 및 단령깃안단 각각에 대응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안감의 양면에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둥근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
    상기 안감의 일측에 겉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겉감의 양면 상단에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이 굴곡진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단령겉깃과 직령깃안단 사이에 겉감을 두고 단령겉깃의 굴곡진 부분이 직령깃안단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단령겉깃의 하단선을 따라 겉감에 봉제하는 단계; 및
    단령깃안단을 겉감의 뒷면 및 안감 겉섶의 앞면에 배치하여 단령깃안단과 단령겉깃 사이에 겉감 및 안감 겉섶을 두고 단령깃안단을 단령겉깃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안감 겉길의 밑도련선과 상기 안감 겉섶의 섶도련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을 나란하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섶달림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령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상기 직령겉깃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상기 안감 겉섶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직령겉깃의 하단선을 따라 상기 안감 겉길과 상기 안감 겉섶이 연결되도록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직령겉깃이 봉제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섶달림선을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으로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섶달림선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겉감을 연결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직령깃안단의 둥근 모서리 부분이 상기 직령겉깃의 둥근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안감 겉길의 뒷면에 상기 직령깃안단을 배치하여 상기 직령깃안단과 상기 직령겉깃 사이에 상기 안감 겉길을 두고 상기 직령겉깃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령겉깃을 봉제하는 단계는,
    접합된 상기 안감 겉길 및 상기 안감 겉섶의 앞면 일측에 상기 안감 겉섶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직령겉깃의 하단선을 봉제에 의해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1020180044217A 2018-04-17 2018-04-17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10198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217A KR101982970B1 (ko) 2018-04-17 2018-04-17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217A KR101982970B1 (ko) 2018-04-17 2018-04-17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970B1 true KR101982970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217A KR101982970B1 (ko) 2018-04-17 2018-04-17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Y1 (ko) * 2005-08-16 2005-11-09 이태옥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KR101358964B1 (ko) 2013-09-16 2014-02-06 안현주 단령 깃의 제도방법
KR101443338B1 (ko) * 2013-05-31 2014-09-29 양하나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1812443B1 (ko) 2017-01-20 2017-12-27 이남예 여성용 단령한복을 만드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여성용 단령한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Y1 (ko) * 2005-08-16 2005-11-09 이태옥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KR101443338B1 (ko) * 2013-05-31 2014-09-29 양하나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1358964B1 (ko) 2013-09-16 2014-02-06 안현주 단령 깃의 제도방법
KR101812443B1 (ko) 2017-01-20 2017-12-27 이남예 여성용 단령한복을 만드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여성용 단령한복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Jung Chang,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 19 No. 3 (2017) pp. 159-174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4778A (ja) 衣類及びその製造方法
US4674131A (en) Dress insert
KR101982970B1 (ko)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KR10144333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JP7287598B2 (ja) ジーンズなどの衣類のてんぐ
US3107357A (en) Garment and collar therefor
US1905685A (en) Robe construction
US10813395B1 (en) Reversible garment
CN208639645U (zh) 一种短袖polo衫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3189326U (ja) タキシードおよびそれに用いる襟型パーツ
US3224011A (en) Collar including garments
JP3194134U (ja) 装束
CN212994683U (zh) 一种外翻衣领结构
CN108851272A (zh) 一衣多穿的连衣裙
CN214759167U (zh) 一种袖口打佐固定的polo衫
KR101371283B1 (ko) 라운드 깃을 갖는 양복의 제조방법 및 그 양복
CN216165264U (zh) 一种双层结构的外套
CN219593753U (zh) 一种三片式拼接旗袍
US2537160A (en) Cuffed slee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11268706U (zh) 一种女式上衣
JP3177774U (ja) スカーフ
CN218960138U (zh) 一种带绣花的服装面料复合结构
KR102234167B1 (ko) 기러기 매듭을 이용한 한복 앞치마 및 그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