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338B1 -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338B1
KR101443338B1 KR1020130062627A KR20130062627A KR101443338B1 KR 101443338 B1 KR101443338 B1 KR 101443338B1 KR 1020130062627 A KR1020130062627 A KR 1020130062627A KR 20130062627 A KR20130062627 A KR 20130062627A KR 101443338 B1 KR101443338 B1 KR 10144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line
hanbok
point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하나
Original Assignee
양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하나 filed Critical 양하나
Priority to KR102013006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이동시켜 옆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가장 바깥에 입는 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한복저고리 길 내측으로 이동하여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목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져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이 개선되고 활동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KOREAN TRADITIONAL JACKET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본 발명은 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어져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 내측으로 이동하여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목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져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의복은 디자인, 직물, 제도, 재단, 봉제의 과정을 거쳐 착용함으로써 미적인 면과 과학적인 면이 어우러져 완성된다. 복식은 시대에 따라 달리하는 기술문화로서 그 발전 단계가 종적인 시대를 상징하기도 하고, 동양복식의 평면구성과 서양복식의 입체구성처럼 구성 방식에 따라 횡적인 지역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한복은 평면구성의 대표적인 예로써 상고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착용되고 있다. 특히 저고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구성요소는 큰 변화가 없고 치수, 형태, 옷감 등의 세부적인 형태변화로 시대별 특징을 나타낸다.
한복 저고리(1)는 앞길(3), 뒷길(4), 소매(2), 깃(20), 고름(50)으로 구성되고, 소매와 앞길이 만나서 이루는 선이 진동(10)으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진동은 재단방식에 따라 분리하여 바느질을 하기도 하고 광폭 원단의 경우 분리하지 않고 앞길(3)과 소매(2)를 일체로 마름질되기도 한다. 앞길(3)의 하부에 완만한 곡선부로 도련(30)이 형성되고, 앞길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은 섶(40)이라고 하며 섶(40)은 색을 달리하거나 섶의 코를 뾰족하게 형성하는 등의 형태를 달리하여 시대나 착용자의 개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소매(2)의 하부 곡선을 배래(60)라고 하여 완만한 곡선을 형성한다. 소매의 끝단을 소맷부리(70)라고 하고 이 부분을 절개하여 색을 달리하여 끝동을 형성하여 변화를 주기도 한다. 목 부분은 고대(80)라고 하며 목을 감싸도록 앞길(3)과 뒷길(4)에 결쳐 깃(20)을 형성하는데 깃은 앞길(3)으로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저고리의 품은 길의 가로 폭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품이 넉넉하면 활동에 편리하나 지나치게 넉넉할 경우 몸과 겉돌게 되고, 품이 지나치게 좁게 형성되면 활동이 불편하다. 한편 깃(20)에는 동정(90)을 달아 깃에 힘을 부여하고 동정은 바꿔달 수 있도록 하여 목 부분에 땀으로 인해 오염되었을 때 동정(9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였다.
한편 한복 저고리의 형태는 시대별로 변화되어 왔는데, 근대화 초기에는 저고리의 단소화가 심해져 저고리가 몸에 꼭 끼는 형태에서 갑오개혁으로 서양복의 영향으로 저고리 길이가 길어졌고, 신교육과 함께 한복 개량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활동이 편한 긴 저고리가 유행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는 국민생활의 간소화 운동으로 한복이 실용화되었고 간편하고 실용적인 한복으로 서양복식을 접목시킨 개량한복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찾을 수 없다는 이유로 대중화되지 못했고 일상복으로는 양장을 입고 한복을 예복으로 입기 시작하였다.
90년대에는 세계화, 개방화와 함께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개성 중시와 함께 전통의 중요성도 느끼며, 한복 선택에 대한 개인적인 취향이 두드러져 각 착용자의 개성을 반영하는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고, 또한 한복에 서양복의 복식요소를 응용한 생활한복의 형태로 나타나면 일상생활에서 착용하기 위한 우리 옷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한복은 평면구성으로 입체구성인 양복과는 큰 차이가 있다. 저고리는 배래선을 제외하고 직선으로 제작되고, 양복은 어깨선과 암홀선 등을 체형에 맞도록 입체적으로 재단하여 만들어지므로 한복은 평면의 옷을 입어서 입체적인 미감으로 완성시키게 된다. 마름질에서도 한복은 겉감과 안감을 같은 치수와 형태로 재단하는데 이때 부분별로 시접을 두고 사각 재단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물이 잘려나가는 부분이 없이 옷으로 재단되고, 착용자의 체형이 변형되는 경우에는 바느질을 풀어서 다시 사각재단을 하여 다시 바느질하여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평면재단으로 넉넉한 품으로 저고리를 재단하여 활동이 편리하게 할 수 있으나, 착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잘 표현하기 어려워 착용자의 개성을 드러내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편 서양복의 특징이 가미되어 다트와 같은 입체적 재단이 도입되어 제작된 한복 저고리 및 개량한복의 경우 활동성과 편리성을 강조함으로 인해 전통의 아름다움이 잘 반영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자 한복 저고리에 덧입는 당의의 경우 진동하단으로 길을 길게 연장시켜 곡선에 의한 아름다움이 강조되나 직선의 진동 패턴으로 몸에 밀착되지 못하고 겉돌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복에서 길과 소매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진동은 인체가 곡선이고 팔의 동작에 의해 소매와 길이 겹쳐지거나 벌어지는 등의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한복은 평면재단에 의해 직선으로 진동이 형성되어 솔기가 부자연스럽게 뜨거나 겹쳐져 아름답지 못하게 되고 이를 손으로 인위적으로 겹쳐서 진동부분의 선을 정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현대와 같이 한복이 특별 복으로 입는 횟수가 적은 경우에는 한복에 익숙하지 않은 착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주고 착용감이 좋지 않다는 느낌으로 인해 한복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한복은 속저고리, 겉저고리, 마고자, 두루마기 등 여러 겹을 겹쳐서 착용하게 된다. 이 경우 한복의 깃이 2겹 이상 많게는 16겹을 겹쳐 입었는데, 저고리의 깃이 여러 겹 적층 되어 목을 감싸게 되어 목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복의 전통의 아름다움은 살리면서 활동성도 높이고 착용자의 신체적 아름다움과 개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한복 저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겹 겹쳐 입는 경우에도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활동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고,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 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절개선을 형성하여 앞길과 뒷길을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수직으로 1~2㎝ 길이를 연장하되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 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절개선을 형성하여 앞길과 뒷길을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수직으로 1~2㎝ 길이를 연장하되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고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깨솔기선은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2~8㎝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선은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직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하되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3~14㎝로 한다.
한편, 상기 옆길은 옆선 절개에 의한 두 패턴이 하나로 봉제 되거나 옆선이 절개되지 않고 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저고리는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은 그대로 살리면서 한복을 착용함에 있어 착용자 신체의 입체적인 특징이 반영되도록 재단함으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저고리는 여러 겹 겹쳐 입는 한복 저고리에 있어서 겉저고리와 속저고리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활동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옆길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복수 개 겹쳐진 한복 저고리의 깃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겉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옆길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속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복수개 겹쳐진 한복 저고리의 평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10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앞길(3), 뒷길(4), 소매(2), 깃(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11)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13)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30)까지 절개선(14)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12)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3, 4)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 아래로 앞길(3)과 뒷길(4) 사이에 옆길(35)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어깨솔기선(13)은 진동 상단(11)을 어깨점 내측으로 2~8㎝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의 어깨솔기선(13)을 형성하여 팔을 내렸을 때 종래의 한복의 진동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솔기가 부자연스럽게 뜨거나 겹쳐져 아름답지 못하게 되고 이를 손으로 인위적으로 겹쳐서 진동부분의 선을 정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팔의 동작이 자연스럽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선은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30)까지 직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어지는데 이 절개선은 전통적인 한복에서의 삼회장 저고리에 형성된 곁마기와는 전혀 다른 구성으로서 전통 한복에서의 직선 진동에 의한 미감을 살리면서 평면재단에 의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입체재단에서 진동은 어깨 부분에서는 한복과 유사하게 직선에 가까운 곡선이나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곡선이 강하게 형성되어 활동성을 주는데, 직선의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진동상단부터 진동의 하부 1/3 지점까지는 직선에 가까운 선으로 이 지점까지는 어깨솔기선을 살리고, 어깨솔기선(13)의 하부 1/3지점부터 그 아래까지는 곡선이므로 한복의 직선에 의한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해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30) 까지 절개선(14)을 줌으로써 진동 상단(11)과 절개선(14)이 이어진 선은 직선에 가까워 전통한복의 진동의 미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은 살리면서 활동성은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 하단(12)에서 시작하여 도련(30)과 만나는 부분은 길(3, 4) 내측으로 이동시켜 인체의 곡선에 대응되는 완만한 곡선의 옆선(15)을 형성하고,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 3~14㎝로 구성한다. 한복 저고리의 아랫단인 도련(30)은 완만한 곡선에 의한 부드러운 선이 특징이다. 앞길과 뒷길이 만나서 이루는 옆선도 전통 한복에서는 직선인데 몸에 맞게 구성하기 위하여 옆선과 도련이 만나는 지점을 길 내측으로 옮겨 재단함으로써 가슴 부분에서 한복 저고리가 뜨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한복 저고리는 도련과 소맷부리에서의 곡선이 단아한 아름다움이 있으나 그 외 실제 몸에 착용되는 부분은 평면재단에 의해 인체의 굴곡을 감안하지 않아 착용하였을 때 몸과 일체화하지 못하고 뜨게 된다. 그러나 착용감도 향상시키고 활동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한복 저고리의 옆선(15)은 앞길(3)과 뒷길(4)의 각각 길의 내측으로 진동 하단(12)을 이동시켜 도련(30)과 만나는 점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가슴 부분에서 한복저고리가 뜨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3~14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복 저고리는 여러 겹을 겹쳐 입게 되므로 안에 겹쳐 입게 되는 한복의 수와 원단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품을 구성하는데, 3cm미만의 경우 몸에 지나지게 붙게 되어 착용하였을 때 가슴이 답답하고 활동이 불편할 수 있고, 14cm 초과하는 경우 몸에서 지나치게 뜨게 되어 몸과 옷이 겉돌게 되어 아름답지 못하다.
상기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 아래로 앞길(3)과 뒷길(4) 사이에 옆길(35)을 형성하되 상기 옆길(35)은 옆선(15) 절개에 의한 두 패턴이 하나로 봉제 된다.
도3은 옆길(35)의 부분확대도로 상부의 소매(2) 아래에 형성되며, 어깨솔기선(13)과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와 앞길(3)과 뒷길(4)과 각각 분리되고, 이들 소매(2), 앞길(3)과 뒷길(4)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다. 이 옆길(35) 구성은 전통 한복에는 없는 구성으로 입체재단의 장점을 전통 한복에 접목시켜 활동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전통 한복의 진동의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옆길(35)은 그 중앙의 옆선(15)으로 인해 앞길(3)과 뒷길(4)으로 각각 분리되고 이 들 분리된 길이 옆선(15)의 봉제로 연결되거나, 또는 옆선(15)이 절개되지 않아 앞길(3)과 뒷길(4)을 한 패턴으로 하여 옆길(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느질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한편 옆길(35)은 오방색을 넣어 전통적인 한복의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으며 다양하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는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110)의 깃(20)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3, 4)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120)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겉저고리(110)의 깃(20)과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의 설명하기 위해 복수 개 겹쳐진 한복 저고리의 목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면이다.
전통 한복 저고리의 깃은 고대와 앞길에 이어지는 길이의 긴 사각형의 형상으로 재단되어 봉제 되는 것으로 목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러 겹의 저고리를 겹쳐 입는 경우에 깃이 겹쳐지게 되고 딱딱한 재질의 동정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더욱 목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불편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저고리는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110)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3, 4)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120)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목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겉저고리(110)의 깃은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대를 기준으로 목으로 돌출되지 않고, 길 내측으로 깃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목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안에 입는 속저고리(120)는 고대와 길에 이어지는 긴 선에 봉제되는 깃이 형성되어 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겉저고리(110)와 속저고리(120)를 겹쳐 입더라도 겉저고리(110)의 깃은 길의 평면에 형성되므로 속저고리(120)의 깃과는 겹쳐지지 않아 목 부분이 부담스럽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겉저고리(110)에는 딱딱한 재질의 동정보다는 한복 저고리 원단과 동일한 원단이나 레이스를 이용하여 목을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깃을 목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속저고리(120)의 깃과 겹쳐져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겉저고리(1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길(3), 뒷길(4), 소매(2), 깃(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11)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13)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절개선(14)을 형성하여 앞길(3)과 뒷길(4)을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하고, 진동 하단(12)에서 수직으로 1~2㎝ 길이를 연장하되 길(3, 4)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 아래로 앞길(3)과 뒷길(4) 사이에 옆길(35)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솔기선(13)은 진동 상단(11)을 어깨점 내측으로 2~8㎝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의 어깨솔기선(13)을 형성하여 팔을 내렸을 때 종래의 한복의 진동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솔기가 부자연스럽게 뜨거나 겹쳐져 아름답지 못하게 되고 이를 손으로 인위적으로 겹쳐서 진동부분의 선을 정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팔의 동작이 자연스럽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선은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시작하여 앞길(3)과 뒷길(4)의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선은 직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통 한복에서의 직선 진동에 의한 미감을 살릴 수 있다. 즉, 입체재단에서 진동은 어깨 부분에서는 한복과 유사하게 직선에 가까운 곡선이나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곡선이 강하게 형성되어 활동성을 주는데, 직선의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진동상단부터 진동의 하부 1/3 지점까지는 직선에 가까운 선으로 이 지점까지는 어깨솔기선을 살리고, 어깨솔기선(13)의 하부 1/3지점부터 그 아래까지는 곡선이므로 한복의 직선에 의한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해 어깨솔기선(13) 하부 1/3 지점에서 시작하여 당의 형상의 앞(3)과 뒷길(4)의 곡선과 연결되기 전까지 직선에 가까운 절개선(14)을 줌으로써 진동 상단(11)과 절개선(14)이 이어진 선은 전통한복의 진동의 미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은 살리면서 활동성은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진동 하단(12)에서 수직으로 1~2 ㎝ 길이를 연장하되 길(3, 4)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 아래로 앞길(3)과 뒷길(4) 사이에 옆길(35)이 형성되는데, 옆길(35)은 평면재단에 의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이다.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 3~14㎝로 구성한다. 한복 저고리의 아랫단인 도련(30)은 완만한 곡선에 의한 부드러운 선이 특징이다. 앞길과 뒷길이 만나서 이루는 옆선(15)도 전통 한복에서는 직선인데 몸에 맞게 구성하기 위하여 옆선(15)을 사선으로 재단함으로써 가슴 부분에서 한복 저고리가 뜨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한복 저고리는 도련과 소맷부리에서의 곡선이 단아한 아름다움이 있으나 그 외 실제 몸에 착용되는 부분은 평면재단에 의해 인체의 굴곡을 감안하지 않아 착용하였을 때 몸과 일체화하지 못하고 뜨게 된다. 그러나 착용감도 향상시키고 활동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한복 저고리의 옆선(15)은 앞길(3)과 뒷길(4)의 각각 길의 내측으로 사선으로 이동시켜 착용자의 가슴 부분에서 한복저고리가 뜨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3~14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 아래로 앞길(3)과 뒷길(4) 사이에 옆길(35)을 형성하되 상기 옆길(35)은 옆선(15) 절개에 의한 두 패턴이 하나로 봉제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옆길(35)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면으로, 상부의 소매(2) 아래에 형성되며, 어깨솔기선(13)과 절개선(14)에 의해 소매(2)와 앞길(3)과 뒷길(4)과 각각 분리되고, 이들 소매(2), 앞길(3)과 뒷길(4)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다. 이 옆길(35) 구성은 전통 한복에는 없는 구성으로 입체재단의 장점을 전통 한복에 접목시켜 활동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전통 한복의 진동의 미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옆길(35)은 그 중앙의 옆선(15)으로 인해 앞길(3)과 뒷길(4)으로 각각 분리되고 이 들 분리된 길이 옆선(15)의 봉제로 연결되거나, 또는 옆선(15)이 절개되지 않아 앞길(3)과 뒷길(4)을 한 패턴으로 하여 옆길(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느질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한편 옆길(35)은 오방색을 넣어 전통적인 한복의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으며 다양하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속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복수개 겹쳐진 한복 저고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는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110)의 깃(20)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3, 4)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120)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겉저고리(110)의 깃(20)과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겉저고리(110)에는 딱딱한 재질의 동정보다는 한복 저고리 원단과 동일한 원단이나 레이스를 이용하여 목을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깃을 목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속저고리(120)의 깃과 겹쳐져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1 : 한복 저고리
2 : 소매
3 : 앞길
4 : 뒷길
10 : 진동
11 : 진동상단
12 : 진동하단
13 : 어깨솔기선
14 : 절개선
15 : 옆선
20 : 깃
30 : 도련
35 : 옆길
40 : 섶
50 : 고름
60 : 배래
70 : 소맷부리
80 : 고대
90 : 동정
110 : 겉저고리
120 : 속저고리

Claims (9)

  1.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2.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절개선을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도련과 만나는 부분은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고,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3.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 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절개선을 형성하여 앞길과 뒷길을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수직으로 1~2㎝ 길이를 연장하되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4. 앞길, 뒷길, 소매, 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 개 겹쳐 입을 수 있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한복저고리의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형상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고, 상기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절개선을 형성하여 앞길과 뒷길을 당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하고, 진동 하단에서 수직으로 1~2㎝ 길이를 연장하되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선에 의해 소매 아래로 앞길과 뒷길 사이에 옆길이 구성되고
    가장 바깥에 입는 겉저고리의 깃은 고대를 기준으로 길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안에 입는 속저고리는 고대를 기준으로 목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깃의 겹쳐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솔기선은 진동 상단을 어깨점 내측으로 2~8㎝ 이동하여 완만한 곡선의 어깨솔기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어깨솔기선 하부 1/3 지점에서 도련까지 직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하단에서 시작하여 길 내측으로 사선 형상의 옆선을 형성하되 품은 착용자의 가슴둘레+3~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옆길은 옆선 절개에 의한 두 패턴이 하나로 봉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옆길은 옆선이 절개되지 않고 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20130062627A 2013-05-31 2013-05-31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144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627A KR101443338B1 (ko) 2013-05-31 2013-05-31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627A KR101443338B1 (ko) 2013-05-31 2013-05-31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338B1 true KR101443338B1 (ko) 2014-09-29

Family

ID=5176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627A KR101443338B1 (ko) 2013-05-31 2013-05-31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3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476A (ko) * 2016-12-28 2018-07-06 정인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KR101982970B1 (ko) * 2018-04-17 2019-08-28 서영임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CN113100511A (zh) * 2021-05-14 2021-07-13 丛剑 汉服无省立裁技艺
KR20240075977A (ko) 2022-11-23 2024-05-30 김지아 상체 편의 착용구조 한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70U (ko) * 1997-08-13 1999-03-05 양인효 마고자, 조끼겸용 저고리
KR200273066Y1 (ko) 2002-01-21 2002-04-20 김광순 겨드랑이 품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
KR200400803Y1 (ko) 2005-08-16 2005-11-09 이태옥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70U (ko) * 1997-08-13 1999-03-05 양인효 마고자, 조끼겸용 저고리
KR200273066Y1 (ko) 2002-01-21 2002-04-20 김광순 겨드랑이 품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
KR200400803Y1 (ko) 2005-08-16 2005-11-09 이태옥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476A (ko) * 2016-12-28 2018-07-06 정인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KR101881088B1 (ko) * 2016-12-28 2018-08-17 정인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KR101982970B1 (ko) * 2018-04-17 2019-08-28 서영임 한복의 단령과 직령의 연결 방법
CN113100511A (zh) * 2021-05-14 2021-07-13 丛剑 汉服无省立裁技艺
CN113100511B (zh) * 2021-05-14 2023-09-29 丛剑 汉服无省立裁技艺
KR20240075977A (ko) 2022-11-23 2024-05-30 김지아 상체 편의 착용구조 한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718B2 (en) Garment
JP4769956B2 (ja) ズボン
JP5771003B2 (ja) 対丈着物
KR10144333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US20140298563A1 (en) 7 in 1 garment
JP3214868U (ja) セパレート着物の下衣、およびセパレート着物
WO2019058411A1 (ja) 衣服
JP6177617B2 (ja) 上半身用衣類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KR101881088B1 (ko)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JP3213789U (ja) 二部式着物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JP3227117U (ja) 着物の下衣及び着物の上衣
JP6366919B2 (ja) 服飾用簡易インナーおよび服飾用簡易インナーの生産方法
CN220987729U (zh) 袖缝结构和衣服
CN207023279U (zh) 一种女式运动衣
CN209983533U (zh) 一种后腰节分开式连衣裙
JP4031186B2 (ja) アウターウエア兼用型インナーウエア
CN212994455U (zh) 一种调节开叉高度的西装式连衣裙
JP3743632B2 (ja) 対丈の着物
JP3124395U (ja) 成型編みインナー
JP3197944U (ja) 女袴
JP2018123463A (ja) 洋服様着物
JP6273630B1 (ja) サイズ融通性を有するショーツ
JP3210755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