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92B1 -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 Google Patents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92B1
KR102000392B1 KR1020180032594A KR20180032594A KR102000392B1 KR 102000392 B1 KR102000392 B1 KR 102000392B1 KR 1020180032594 A KR1020180032594 A KR 1020180032594A KR 20180032594 A KR20180032594 A KR 20180032594A KR 102000392 B1 KR102000392 B1 KR 10200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cuffs
sleeve
neck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김태경
최웅
김찬형
김영철
홍승화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8Shirt-fronts
    • A41B1/22False shirt-fronts, e.g. dickeys, with or without attached collars; Means for attaching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2Neck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18Protectors for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7/00Cuffs
    • A41B7/12Protectors f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70Remov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정확하게는 셔츠(shirt)와 같은 상의 소맷부리(cuff) 및 옷깃(coller)의 교체는 물론 구성의 생략을 통해 디자인적으로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의 길원형 좌,우 옷소매의 각 소매단부에 연결된 소맷부리 및 상기 길원형의 목둘레단부에 연결된 옷깃; 상기 소매단부로부터의 상기 소맷부리 착탈 및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의 상기 옷깃 착탈을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위치한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안팎을 가려막는 마감깃; 및,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상기 마감깃이 들뜨지 않게 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SHIRT CAPABLE REPLACING PARTS}
본 발명은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정확하게는 셔츠(shirt)와 같은 상의 소맷부리(cuff) 및 옷깃(coller)의 교체는 물론 구성의 생략을 통해 디자인적으로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관한 것이다.
피복·의류·의장(衣裝)·복장이라고도 하는 의복(衣服, clothes)은, 인간생활에 있어 식량 및 주거와 함께 생활의 기본이 되는 의식주(衣食住)의 한 요소로써, 착용자의 체형과 동작에 따른 변화를 바탕으로 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조화시켜 일상생활 중 다양한 동작을 행할 때에도 편안하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사회가 산업화되고 기능화됨에 따라 인간의 운동영역이 커지면서, 의복의 적합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능률적인 의복설계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관련하여, 소비자 자신의 다리길이에 맞춰 밑단의 수선이 편리토록 마무리 봉제(裁縫)를 생략한 채로 판매되는 것들이 많은 하의(下衣, 아래옷)에 비해, 두 팔을 꿰는 부분인 옷소매(foresleeve)와 목에 둘러대어 여미는 부분인 옷깃(coller)의 형성으로 길이수선 등이 어려운 상의(上衣, 윗옷)는, 아무리 맘에 드는 사이즈(size)와 디자인(design)의 것이라 하더라도 구매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컨대, 성장기(成長期)에 있는 소아청소년(child young people)의 경우, 옷을 구입할 당시 자신의 폼(form)과 신체사이즈에 맞으면 그 옷은 한철 밖에 못 입게 되어 나중에는 손아래 동생에게 물려주어야 하거나 그도 어려우면 어쩔 수 없이 폐기처분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809호를 통해, 분리가 가능한 지퍼(이하 "슬라이드파스너"라 함)를 깃(이하 "옷깃"이라 함)과 몸판(이하 "길원형"이라 함)의 목선(이하 "목둘레단부"라 함)에 각각 부착하여 분리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의류의 깃이 개시된바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둘레단부에 부착된 슬라이드파스너를 이용하여 옷깃의 착탈(분리, 부착)을 가능케 하는 기능적인 부분에만 치중한 것일 뿐, 슬라이드파스너 구비 및 이의 외부노출로 인해 일반적인 셔츠와 동떨어진 심미감과 이질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결국, 전술한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상기 옷깃(coller)과 더불어 소맷부리(cuff)의 교체를 통해 디자인적 형태(pattern)를 다변화할 수 있고, 또한 단정함과 깔끔함을 중시하는 셔츠(shirt) 본연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809호(공개일자 : 2012. 06. 01.) 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8629호(등록일자 : 2000. 10. 1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를 이용한 소맷부리 및 옷깃의 착탈구조 달성에 더해 상기 소맷부리와 옷소매의 소매단부 각각 및 상기 옷깃과 목둘레단부 각각으로부터 이어지는 마감깃을 구비하여, 상기 마감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안팎이 가려지도록 하고 그로써 연결부재의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동시에 피부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의 길원형 좌,우 옷소매의 각 소매단부에 연결된 소맷부리 및 상기 길원형의 목둘레단부에 연결된 옷깃; 상기 소매단부로부터의 상기 소맷부리 착탈 및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의 상기 옷깃 착탈을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위치한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안팎을 가려막는 마감깃; 및,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상기 마감깃이 들뜨지 않게 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연결을 위해 서로 마주하는 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마다 다수 부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각부 테두리의 상호 밀착시 서로 나란한 상태가 되는 복수의 체인부와, 상기 체인부들을 엮어서 상호 구속하거나 상호 분리시키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슬라이드파스너이다.
더하여, 상기 마감깃은,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 각각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덧달아,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노출 차단 및 피부접촉을 방지하는 여유겉감과 여유안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는, 꺼끌꺼끌하게 만든 한 쪽의 후크면과 부드럽게 만든 다른 한쪽의 루프면으로 조합되며, 상기 후크면과 루프면을 맞붙여 서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벨크로파스너로써, 상기 소매단부로부터 이어진 상기 여유겉감의 연장선단 내면 및 상기 여유겉감에 대응하는 상기 소맷부리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크면과 루프면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겉감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1파스너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이어진 다른 여유겉감의 연장선단 내면 및 상기 다른 여유겉감에 대응하는 상기 옷깃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크면과 루프면의 조합으로 상기 다른 여유겉감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2파스너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상기 소맷부리와 상기 옷깃의 교체시 착용자 취향에 맞는 색상 또는/및 패턴이나 문양이 적용된 다른 소맷부리와 옷깃의 채용 또는 상기 소맷부리와 상기 옷깃 생략에 따른 디자인 다양화와 다변화가 달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옷소매의 소매단부와 길원형 상측의 목둘레단부 각각에 소맷부리와 옷깃를 연결/분리 가능한바, 이를 위한 상기 연결부재의 안팎을 마감깃의 여유겉감과 여유안감으로 가려막아 연결부재 외부노출에 따른 상의의 심미감과 이질감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의 해소와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 피부접촉에 의한 상처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매 당시는 물론 그 이후로도 착용자 자신의 팔길이 변화에 맞추어 옷소매의 길이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음에 따라, 성장기에 있는 소아청소년을 포함하여 성인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 해당 의복의 착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별도의 천을 덧대어 소매길이를 늘여왔던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일반적인 의복의 디자인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단정함과 깔끔함을 중시하는 셔츠나 재킷 등에도 무리없는 적용이 가능함에 따른 제품의 활용성 증대는 물론이거니와 전술한 바와 같이 옷소매의 길이를 다변화할 수 있어 해당 사이즈의 상의를 제각기 다른 체형의 소비자들도 구매할 수 있는 의류구매 선택의 폭을 다양화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상기 소맷부리와 옷깃의 교체시 착용자 취향에 맞는 색상 또는/및 패턴 혹은 문양이 적용된 다른 소맷부리와 옷깃을 채용하거나, 아니면 소맷부리와 옷깃을 생략하는 것으로 상의의 디자인 다양화 및 다변화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적 접촉이 잦은 소맷부리와 옷깃의 교체를 통한 상의 사용수명 연장의 효과 등 의류제작 기술의 발달과 관련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의 정면도.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있어서, 소맷부리의 착탈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있어서, 소매단부와 소맷부리에 봉제된 마감깃의 구성관계 및 그 마감깃 중 여유겉감의 활용예를 나타낸 도 2(a) C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의 정면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있어서 소맷부리의 착탈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에 있어서 소매단부와 소맷부리에 봉제된 마감깃의 구성관계 및 그 마감깃 중 여유겉감의 활용예를 나타낸 도 2(a) C부분의 확대도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A)는, 셔츠(혹은 재킷) 등 상의 길원형(B) 좌,우 옷소매(S)의 각 소매단부(1-1)에 연결된 소맷부리(2) 및 상기 길원형(B)의 목둘레단부(1-2)에 연결된 옷깃(3)과, 상기 소매단부(1-1)로부터의 소맷부리(2) 착탈 및 상기 목둘레단부(1-2)로부터의 옷깃(3) 착탈을 위한 연결부재(4)(4')와, 상기 연결부재(4)(4')가 위치한 소매단부(1-1)와 목둘레단부(1-2)로부터 이어져 연결부재(4)(4')의 안팎을 가려막는 마감깃(5)과, 상기 소매단부(1-1)와 목둘레단부(1-2)로부터 상기 마감깃(5)이 들뜨지 않게 하는 접합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매단부(1-1)는, 옷소매(sleeve, S)에서 착용자의 손이 나올 수 있도록 뚫려있는 소맷부리(2)의 끝부분이고, 상기 목둘레단부(1-2)는, 길원형(B)에서 보호·장식(넥타이 착용 등)의 목적으로 착용자 목 주위에 둘려지는 상기 옷깃(3)이 연결되는 끝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소맷부리(cuff, 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이 나올 수 있도록 뚫려있는 부분이고, 상기 옷깃(coller, 3),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장식의 목적으로 착용자 목 주위에 둘려지는 부분으로써, 이들 소맷부리(2)와 옷깃(3)은, 다양한 색상 또는/및 각종 패턴이나 문양 등이 인쇄될 수 있다(도 4a 참조).
연결부재(4)(4')는, 상기 소매단부(1-1)와 소맷부리(2)의 연결부위 그리고 상기 목둘레단부(1-2)와 옷깃(3)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상태로 상호 부착·분리에 필요한 착탈수단인 것으로, 도 2(a)(b)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을 위해 서로 마주하는 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마다 다수 부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각부 테두리의 상호 밀착시 서로 나란한 상태가 되는 복수의 체인부(41)(41')와, 상기 체인부(41)(41')들을 엮어서 상호 구속하거나 상호 분리시키는 슬라이더(42)로 구성된 슬라이드파스너(slide fasten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깃(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4')의 안팎을 가려막는 보호수단인 것으로, 상기 소매단부(1-1)와 목둘레단부(1-2) 각각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덧달아 상기 연결부재(4)(4')의 외부노출을 차단함에 더해 피부손상(피부 긁힘 등)의 원인이 되는 피부접촉을 방지하는 여유겉감(51)(51')과 여유안감(52)(52')으로 구성된다.
접합부재(6)는, 상기 소매단부(1-1)와 목둘레단부(1-2) 외면으로 각각에 덧단 상기 마감깃(5)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착수단인 것으로, 꺼끌꺼끌하게 만든 한 쪽의 후크면(6-1)과, 부드럽게 만든 다른 한쪽의 루프면(6-2)으로 조합되며, 상기 후크면(6-1)과 루프면(6-2)을 맞붙여 서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소매단부(1-1)외면으로부터 이어진 여유겉감(51)의 연장선단 내면에 설치되는 후크면(6-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소맷부리(2)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루프면(6-2)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겉감(51)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1파스너(61)와, 상기 소맷부리(2)로부터 이어진 여유안감(52)의 연장선단 외면에 설치되는 후크면(6-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소매단부(1-1)의 내면에 부착되는 루프면(6-2)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안감(52)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2파스너(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둘레단부(1-2)외면으로부터 이어진 여유겉감(51')의 연장선단 내면에 설치되는 후크면(6-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옷깃(3)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루프면(6-2)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겉감(51')의 들뜸이 방지토록 된 제1파스너(61)와, 상기 옷깃(3)내면으로부터 이어진 여유안감(52')의 연장선단 외면에 설치되는 후크면(6-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목둘레단(1-2)의 내면에 부착되는 루프면(6-2)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안감(52')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2파스너(62)로 구성된다.
상기 소맷부리(2)로부터 이어진 상기 여유안감(52)으로는 상기 연결부재(4)의 내측을 가려막아 피부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이 가능하고, 상기 옷깃(3)으로부터 이어진 상기 여유안감(52')으로는 상기 다른 연결부재(4')의 내측을 가려막아 피부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길원형(B) 좌,우 옷소매(S)의 소매단부(1-1)와 상기 소맷부리(2)에 연계된 상기 연결부재(4)를 이용하여, 도 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매단부(1-1)에 소맷부리(2)를 연결하여 상호 일체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소매단부(1-1)로부터 상기 소맷부리(2)를 분리해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소매단부(1-1)의 끝단 테두리에 구비된 체인부(41)와 상기 소맷부리(2)의 끝단 테두리에 구비된 체인부(42)를 서로 나란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42)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체인부(41)와 체인부(42)가 상호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상기한 소매단부(1-1)의 끝단에 소맷부리(2)가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길원형(B) 상측 목둘레단부(1-2)와 상기 옷깃(3)에 연계된 상기 연결부재(4')를 이용하여, 상기 목둘레단부(1-2)에 옷깃(3)을 연결하여 상호 일체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목둘레단부(1-2)로부터 상기 옷깃(3)을 분리해낼 수 있는바, 상기 연결부재(4)를 이용하여 상기 소맷부리(2)를 소매단부(1-1)에 연결하거나 분리해내는 방법과 동일한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소매단부(1-1)와 소맷부리(2), 목둘레단부(1-2)와 옷깃(3)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4)(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4)(4')들 외부노출에 따라 일반적인 셔츠와 동떨어진 심미감과 이질감이 야기되는 문제는, 상기 마감깃(5)을 이용하여 연결부재(4)(4')의 안팎을 가려막는 것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깃(5) 중 상기 소매단부(1-1)로부터 이어진 여유겉감(51)으로 소매단부(1-1)와 소맷부리(2) 사이 연결부재(4)의 외측을 가려막아 외부노출을 차단하고, 상기 소맷부리(2)로부터 이어진 여유안감(52)으로는 상기 연결부재(4)의 내측을 가려막아 피부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목둘레단부(1-2)로부터 이어진 다른 여유겉감(51')으로 목둘레단부(1-2)와 옷깃(3) 사이 상기 다른 연결부재(4')의 외측을 가려막아 외부노출을 차단하며, 상기 옷깃(3)으로부터 이어진 다른 여유안감(52')으로는 상기 다른 연결부재(4')의 내측을 가려막아 피부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소맷부리(2)와 옷깃(3)의 연결 및 분리에 따라, 상기한 소맷부리(2)와 옷깃(3)을 다른 것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인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채색 및 무패턴 혹은 무문양의 소맷부리(2)와 옷깃(3)이거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착용자의 취향에 따른 특정색상 및 특정패턴 혹은 특정문양이 적용된 다른 소맷부리(2)와 옷깃(3)의 적용을 통해 상의 디자인을 보다 다변화할 수 있다. 아니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소맷부리(2)와 옷깃(3)이 생략된 라운드티의 형태로도 상의 디자인을 달리할 수 있음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소매단부(1-1)로부터 이어진 여유겉감(51)의 연장선단을 안으로 접어 해당 연장선단이 상기 소매단부(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소매단부(1-1)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파스너(62)의 루프면(6-2)과 상기 여유겉감(51)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후크면(6-1)이 서로 맞붙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소매단부(1-1)의 끝단 테두리부위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4)의 체인부(41)를 둘러 감싸 마감하는 것으로 외부노출을 차단하고 피부접촉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둘레단부(1-2)의 끝단 테두리부위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연결부재(4')의 체인부(41') 역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과정으로 마감하는 것을 통해 외부노출을 차단하고 피부접촉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A)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4)(4')를 이용하여 소매단부(1-1)와 목둘레단부(1-2) 각각에 상기 소맷부리(2)와 옷깃(3)를 연결/분리 가능한바, 이를 위한 상기 연결부재(4)(4')의 안팎을 상기 마감깃(5)의 여유겉감(51)(51')과 여유안감(52)(52')으로 가려막아, 상기 연결부재(4)(4') 외부노출에 의한 상의의 심미감과 이질감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의 해소 및 연결부재(4)(4') 피부접촉에 의한 상처발생을 더불어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소맷부리(2)와 옷깃(3)의 교체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 취향에 맞는 색상 또는/및 패턴 혹은 문양이 적용된 다른 소맷부리와 옷깃을 상의에 채용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맷부리(2)와 옷깃(3)을 생략하는 것으로 상의의 디자인 다양화 및 다변화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적 접촉이 잦은 소맷부리와 옷깃의 교체를 통한 상의 사용수명 연장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상의, S : 옷소매
1-1 : 소매단부, 1-2 : 목둘레단부,
2 : 소맷부리 3 : 옷깃,
4, 4' : 연결부재 5 : 마감깃,
51, 51' : 여유겉감 52, 52' : 여유안감,
6 : 접합부재 61 : 제1파스너,
62 : 제2파스너

Claims (5)

  1. 상의 길원형 좌,우 옷소매의 각 소매단부에 연결된 소맷부리 및 상기 길원형의 목둘레단부에 연결된 옷깃;
    상기 소매단부로부터의 상기 소맷부리 착탈 및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의 상기 옷깃 착탈을 위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위치한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안팎을 가려막는 마감깃; 및,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상기 마감깃이 들뜨지 않게 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마감깃은, 상기 소매단부와 상기 목둘레단부 각각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덧달아,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노출 차단 및 피부접촉을 방지하는 여유겉감과 여유안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의는,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상기 소맷부리와 상기 옷깃의 교체시 착용자 취향에 맞는 색상 또는/및 패턴이나 문양이 적용된 다른 소맷부리와 옷깃으로 선택적 채용되고,
    상기 접합부재는, 꺼끌꺼끌하게 만든 한 쪽의 후크면과 부드럽게 만든 다른 한쪽의 루프면으로 조합되며, 상기 후크면과 루프면을 맞붙여 서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벨크로파스너로써, 상기 소매단부로부터 이어진 상기 여유겉감의 연장선단 내면 및 상기 여유겉감에 대응하는 상기 소맷부리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크면과 루프면의 조합으로 상기 여유겉감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1파스너와, 상기 목둘레단부로부터 이어진 다른 여유겉감의 연장선단 내면 및 상기 다른 여유겉감에 대응하는 상기 옷깃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크면과 루프면의 조합으로 상기 다른 여유겉감의 들뜸을 방지토록 된 제2파스너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연결을 위해 서로 마주하는 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마다 다수 부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각부 테두리의 상호 밀착시 서로 나란한 상태가 되는 복수의 체인부와, 상기 체인부들을 엮어서 상호 구속하거나 상호 분리시키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슬라이드파스너로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교체가 가능한 상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2594A 2018-03-21 2018-03-21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KR10200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94A KR102000392B1 (ko) 2018-03-21 2018-03-21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94A KR102000392B1 (ko) 2018-03-21 2018-03-21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392B1 true KR102000392B1 (ko) 2019-07-15

Family

ID=6725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94A KR102000392B1 (ko) 2018-03-21 2018-03-21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515Y1 (ko) * 1987-07-21 1990-10-13 재단법인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복동식 연탄 자동 상차장치
KR20000001589U (ko) * 1998-06-29 2000-01-25 권오상 탈착가능한 옷깃을 갖는 상의
KR200208629Y1 (ko) 2000-06-21 2001-01-15 이응주 옷깃 및 소매 끝 손목부분이 분리되는 기능성 셔츠
US20030110553A1 (en) * 2001-12-13 2003-06-19 Donald Aldridge Hazardous duty garment with separable moisture barrier and thermal barrier
KR20120055809A (ko) 2010-11-23 2012-06-01 김병종 분리형 의류의 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515Y1 (ko) * 1987-07-21 1990-10-13 재단법인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복동식 연탄 자동 상차장치
KR20000001589U (ko) * 1998-06-29 2000-01-25 권오상 탈착가능한 옷깃을 갖는 상의
KR200208629Y1 (ko) 2000-06-21 2001-01-15 이응주 옷깃 및 소매 끝 손목부분이 분리되는 기능성 셔츠
US20030110553A1 (en) * 2001-12-13 2003-06-19 Donald Aldridge Hazardous duty garment with separable moisture barrier and thermal barrier
KR20120055809A (ko) 2010-11-23 2012-06-01 김병종 분리형 의류의 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058B2 (en) Clothing system having pants and interchangeable cuffs
US20050198724A1 (en) Interchangeable hemline for the hem of a garment
US20100199404A1 (en) Jacket and coat construction with interchangable components
US20060162040A1 (en) Garment having a fixed cuff
JP3216787U (ja) モジュラー衣服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ための主コンポーネント
KR200400803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US9060552B2 (en) Garment construction
KR102000392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상의
JP3174287U (ja) タックアップカフス
JP3060216B1 (ja) 防寒用ズボン
CN212545599U (zh) 三穿毛衫
JP2003171812A (ja) 重ね着カジュアル
JP3164649U (ja) 替えカラー
JP3126948B2 (ja) 和洋服
KR101944215B1 (ko) 지퍼형 와이셔츠
KR102346909B1 (ko) 일체형 예복
JP3161078U (ja) 介護用ズボン
KR102401789B1 (ko)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US20230134607A1 (en) Garment with dual closure configuration
JP3220062U (ja) 複数の身頃と袖部を組合わせた衣服
WO2007083400A1 (ja) インナーウェア
KR20080000070U (ko) 1회용 셔츠 칼라와 소매
JP3085965U (ja) 重ね衿付和服
JP3013621U (ja) ウエア
JP3154257U (ja) フード付き和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