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412B1 -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 Google Patents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12B1
KR102034412B1 KR1020190064138A KR20190064138A KR102034412B1 KR 102034412 B1 KR102034412 B1 KR 102034412B1 KR 1020190064138 A KR1020190064138 A KR 1020190064138A KR 20190064138 A KR20190064138 A KR 20190064138A KR 102034412 B1 KR102034412 B1 KR 10203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curved portion
wearer
band
sew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102019006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12B1/ko
Priority to US17/615,486 priority patent/US11684101B2/en
Priority to PCT/KR2020/006468 priority patent/WO20202421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몸통부 및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윗 칼라 및 칼라 밴드를 포함하며, 윗 칼라 및 칼라 밴드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선부 및 곡선부가 상호 대응되는 결합을 통해 다양한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윗 칼라 및 칼라 밴드의 곡선부의 곡률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칼라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경우에도 칼라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우수한 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CLOTHES HAVING TRANSFORMABLE COLLAR}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의 칼라(collar) 구조를 개선하여 칼라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하면서 외관상 미려하고, 칼라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칼라는 목 주위에 둘려지는 옷깃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양복의 상의나 셔츠 등에 적용되는 옷깃 부분을 가리키며, 비교적 두터운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자켓, 코트 등 다양한 의류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칼라는 형태에 따라 그 종류도 다양하여 소비자가 의류를 구입할 때, 칼라의 형태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칼라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서 상체가 길어 보이기도 하고, 얼굴이 커 보이기도 하고, 목의 길이가 길거나, 짧아 보이는 등 착용시 옷 맵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의류 제작자는 소비자의 신체적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칼라의 형태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칼라 자체가 하나의 디자인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하지만, 소비자가 특정 형태의 칼라가 있는 의류를 한 번 구입하게 되면, 그 이후에는 다른 스타일을 원하는 경우, 다른 형태의 칼라가 있는 의류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고가의 의류일수록 소비자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무스탕, 밍크와 같이 고가의 원단을 활용하여 제작되는 모피의류가 더욱 그러하다.
모피의류는 제작 시 많은 양의 동물의 원피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완성된 상품의 가격이 상당한 고가에 이르고, 모피의류의 특성상 자동화 및 기계화가 불가능하여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작됨으로써, 작업방법 등에 따라서도 많은 가격 차이를 보인다.
또한, 칼라와 같이 섬세한 구조와 외형 표현이 필요한 부분은 더욱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모피의류의 가장 큰 장점인 방한기능을 최대한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피의류의 네크라인(neck line)과 칼라의 구조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모피의류는 목의 답답함을 줄이기 위해 네크라인을 “V자” 형태로 구성한다. 이로 인해 디자인 측면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는 있으나, 목 부분이 많이 노출되어 추위를 막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스탠드 칼라 형태의 모피의류는 네크라인을 착용자의 목둘레와 대응되도록 높게 형성하게 되면 칼라의 높이가 착용자의 목 높이보다 과도하게 올라가게 되어 착용자의 턱선을 침범하게 되고, 소재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라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모피의류의 외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네크라인을 쇄골보다 아래에 “V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모피의류는 칼라의 결속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세워진 칼라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스탕의 경우에는 띠와 같은 별도의 외부 결속 수단을 추가해야만 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류의 칼라 구조를 개선하여 칼라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하면서 외관상 미려하고, 칼라를 세우거나, 눕혔을 경우에도 칼라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2010-0840108 호 "모피 의류 및 그 제조 방법"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0-0167599 호 "방한의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칼라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하면서 외관상 미려하고, 칼라를 세우거나, 눕혔을 경우에도 칼라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목 치수에 대응되도록 칼라를 형성하여 우수한 방한효과를 갖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자의 몸을 감싸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목둘레 재봉선을 따라 결합되는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복수의 원단 조각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칼라의 외관을 형성하는 윗 칼라 및 상기 윗 칼라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칼라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윗 칼라는 상기 착용자의 목 뒤에 대응되는 제1직선부 및 상기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고, 상기 제1직선부와 연결된 제1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착용자의 목 뒤에 대응되는 제2직선부 및 상기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고, 상기 제2직선부와 연결된 제2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는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곡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는 곡률이 서로 상이하며,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제2곡선부 보다 큰 곡률을 갖는다.
상기 윗 칼라를 세웠을 경우, 상기 윗 칼라는 상기 제1곡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의 결합을 통해 세워진 형태가 유지된다.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를 따라 항상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곡선부의 시작 지점까지 폭이 일정하여, 차이니즈 칼라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칼라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목둘레 재봉선을 따라 상기 몸통부와 결합되고, 상기 윗 칼라는 제1직선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곡선부와 연결되는 제1칼라 재봉선을 포함하고,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제2직선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2곡선부와 연결되며, 상기 칼라 밴드의 밑변을 구성하는 제2칼라 재봉선을 포함하고, 상기 윗 칼라 및 상기 칼라 밴드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을 따라 상기 몸통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은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칼라는 상기 제2칼라 재봉선으로부터 상기 윗 칼라의 상단선까지의 높이가 상기 착용자의 목 높이에 대응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칼라 구조의 개선을 통해 칼라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시 외관상 미려하고, 칼라를 세우거나, 눕혔을 경우에도 칼라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자의 목 치수에 대응되도록 칼라를 형성하여, 우수한 방한효과를 갖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10)는 몸통부(100) 및 칼라(2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의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소재는 면(cotton), 양모(woo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데님(denim), 모피(fur), 가죽(leather), 인조모피(artificial fur) 및 인조가죽(artificial leather) 중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천연 소재와 화학섬유 소재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비교적 두터운 원단을 사용하고, 제작이 까다로운 의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밍크, 무스탕 등 모피(fur)나 가죽(leather)를 활용하여 제작되는 코트 또는 자켓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피 코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10)는 몸통부(100)와 칼라(200)를 포함한다. 또한, 칼라(200)는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를 포함한다. 몸통부(100)는 착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앞판과 뒷판을 결합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팔을 감싸도록 결합된 소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앞판은 착용자의 몸통 앞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착용자의 옆구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가슴, 배와 같은 착용자의 몸통 앞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뒷판은 착용자의 몸통 뒷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착용자의 옆구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등과 같은 착용자의 몸통 뒷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소매부는 몸통의 앞판 및 뒷판과 결합되며, 착용자의 옆구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구성된다.
몸통부(100)의 앞판, 뒷판, 소매부는 착용자의 성별, 신체 사이즈, 체형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부(100)는 착용자의 목둘레를 따라 형성된 목둘레 재봉선(110)을 포함한다. 목둘레 재봉선(110)은 칼라(2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목둘레 재봉선(110)을 통해서 의류(10)의 네크라인(neck line)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크라인이 “V자”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네크라인이 착용자의 목둘레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둘레 재봉선(110)이 착용자의 목둘레와 일치하도록 제작된 의류(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목둘레 재봉선(110)은 착용자의 경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덜미, 어깨 및 쇄골을 따라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200)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를 포함한다. 칼라(200)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칼라(200)는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되며, 윗 칼라(210)의 제1칼라 재봉선(201) 및 칼라 밴드(230)의 제2칼라 재봉선(202)이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칼라 재봉선(201) 및 제2칼라 재봉선(202)은 목둘레 재봉선(110)과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윗 칼라(210)는 칼라(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되는 제1칼라 재봉선(201) 및 칼라 밴드(230)와 결합되는 윗 칼라 재봉선(220)을 포함한다. 제1칼라 재봉선(201)은 윗 칼라(210)가 칼라 밴드(230)와 결합될 때, 칼라 밴드(230)의 제2칼라 재봉선(202)과 연결되어,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윗 칼라 재봉선(220)은 윗 칼라(210)가 칼라 밴드(230)와 결합되는 재봉선으로, 윗 칼라(210)의 하단선을 따라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칼라 재봉선(201) 및 윗 칼라 재봉선(22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칼라 밴드(230)는 몸통부(100)와 윗 칼라(210) 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부분으로,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되는 제2칼라 재봉선(202) 및 윗 칼라(210)와 결합되는 칼라 밴드 재봉선(240)을 포함한다. 제2칼라 재봉선(202)은 칼라 밴드(230)가 윗 칼라(210)와 결합될 때, 윗 칼라(210)의 제1칼라 재봉선(201)과 연결되어,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칼라 밴드 재봉선(240)은 칼라 밴드(230)가 윗 칼라(210)와 결합되는 재봉선으로, 칼라 밴드(230)의 상단선을 따라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칼라 재봉선(202) 및 칼라 밴드 재봉선(24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착용자가 의류를 착용했을 경우, 우측 칼라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a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2에서 윗 칼라 및 칼라 밴드는 착용자의 경추 중앙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윗 칼라 및 칼라 밴드의 우측 원단 조각의 펼쳐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d에는 윗 칼라 및 칼라 밴드 각각의 우측 원단의 결합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윗 칼라 및 칼라 밴드가 의류에서 어떻게 결합되는지 명확하게 이해되도록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200)의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는 원단 조각을 펼쳤을 때, 서로 미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윗 칼라(210)는 칼라 밴드(230)보다 폭이 넓고, 전체적인 길이도 길며, 윗 칼라(210)의 상단선과 하단선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다가 제2포인트(P2)를 기점으로 가파른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윗 칼라(210)의 전체적인 형상은 “L자” 형태로 굴곡될 수 있다.
윗 칼라(210)는 제1칼라 재봉선(201) 및 윗 칼라 재봉선(220)을 포함한다. 또한, 윗 칼라 재봉선(220)은 원단을 평면 상에 펼쳤을 때,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직선부(221)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1곡선부(222)를 포함한다.
제1칼라 재봉선(201)은 윗 칼라(2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1직선부(221)과 이격되고, 제1곡선부(222)와 연결되고, 제1칼라 재봉선(201)은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될 수 있다.
윗 칼라 재봉선(220)은 윗 칼라(210)가 칼라 밴드(230)와 결합되는 재봉선으로, 윗 칼라(210)의 하단선을 따라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직선부(221)는 착용자의 목 뒤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목 뒤 경추 중앙부터 착용자의 목을 따라 목의 측면 중앙 지점까지 연장된다. 제1직선부(221)의 연장 시작점과 연장 끝점이 도 1내지 도 3d에서 제3포인트(P3) 및 제2포인트(P2)로 표시되어 있다. 즉, 제1직선부(221)는 윗 칼라(210)의 제3포인트(P3)부터 제2포인트(P2)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직선부(221)는 칼라 밴드(230)의 제2칼라 재봉선(202)과 평행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1곡선부(222)는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목의 측면 중앙 지점부터 착용자의 쇄골 앞부분까지 목을 따라 연장된다. 제 1곡선부(222)의 연장 시작점과 연장 끝점이 도 1 내지 도 3d에서 제2포인트(P2) 및 제1포인트(P1)로 표시되어 있다. 즉, 제 1곡선부(222)는 윗 칼라(210)의 제2포인트(P2)부터 제1포인트(P1)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곡선부(222)는 제2포인트(P2)부터 제1 칼라 재봉선(201)과 연결되는 지점인 제 1포인트(P1)까지 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밴드(230)는 폭이 윗 칼라(210)보다 좁고, 전체적인 길이도 짧으며, 윗 칼라(210)와 같이 칼라 밴드(230)의 상단선과 하단선은 일정한 폭을 유지하지만, 제5포인트(P5)를 기점으로 윗 칼라(210)보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라 밴드(230)는 제2칼라 재봉선(202) 및 칼라 밴드 재봉선(240)을 포함한다. 또한, 칼라 밴드 재봉선(240)은 원단을 평면 상에 펼쳤을 때,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2직선부(241)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제2곡선부(242)를 포함한다.
제2칼라 재봉선(202)은 네크라인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칼라 밴드(230)의 하단선에 대응된다. 칼라 밴드(230)의 밑변을 구성하며, 제2직선부(241)와 평행하고, 제2곡선부(242)는 제2 칼라 재봉선(202)과 연결되고, 제2 칼라 재봉선(202) 은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결합될 수 있고,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밴드 재봉선(240)은 칼라 밴드(230)가 윗 칼라(210)와 결합되는 재봉선으로, 칼라 밴드(230)의 상단선에 대응되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직선부(241)는 착용자의 목 뒤 부분에 대응되며, 착용자의 목 뒤 경추 중앙부터 착용자의 목의 측면 중앙 지점까지 목을 따라 연장된다. 제2직선부(241)의 연장 시작점과 연장 끝점이 도 1내지 도 3d에서 제6포인트(P6) 및 제5포인트(P5)로 표시되어 있다. 즉, 제2직선부(241)는 칼라 밴드(230)의 제6포인트(P6)부터 제5포인트(P5)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직선부(241)는 제2칼라 재봉선(202)과 평행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2곡선부(242)는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목의 측면 중앙 지점부터 착용자의 쇄골 앞부분까지 목을 따라 연장된다. 제2곡선부(242)의 연장 시작점과 연장 끝점이 도 1내지 도 3d에서 제5포인트(P5) 및 제4포인트(P4)로 표시되어 있다. 즉, 제2곡선부(242)는 칼라 밴드(230)의 제5포인트(P5)부터 제4포인트(P4)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곡선부(242)는 제5포인트(P5)부터 제2칼라 재봉선(202)과 연결되는 지점인 제4포인트(P4)까지 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와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는 곡률이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곡선부(222)의 곡률이 제2곡선부(242)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곡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결합 과정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의 상하 폭은 1.5:1의 비율을 유지하고, 원단을 평면 상에 펼쳤을 때,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의 가로 길이는 칼라 밴드(230)가 윗 칼라(210)의 제1칼라 재봉선(201)의 중간 지점까지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즉, 칼라 밴드(230)의 제6포인트(P6)로부터 제4포인트(P4)까지의 길이가 윗 칼라(210)의 제3포인트(P3)로부터 제1칼라 재봉선(201)의 중간 지점까지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칼라 밴드(230)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는 착용자의 목둘레와 근사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및 우측 칼라 밴드(230)의 전체 길이는 칼라(200)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 칼라(210)는 칼라 밴드(230)와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윗 칼라(210)의 제1직선부(221)는 칼라 밴드(230)의 제2직선부(241)와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는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와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를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 및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는 서로 상이한 곡률을 갖는다. 즉, 제1포인트(P1)부터 제2포인트(P2)부분과 제4포인트(P4)와 제5포인트(P5)부분의 곡률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선부(222)의 곡률이 제2곡선부(242)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1곡선부(222)의 곡률이 제2곡선부(242)의 곡률과 상이하므로,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가 결합되는 경우, 윗 칼라(21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의 곡률은 착용자의 목 등 신체 치수나 체형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의 곡률은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가 결합되어 형성된 칼라(200)가 착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감싸고, 칼라(200)의 형태가 변화되더라도, 칼라(20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b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의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이다.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의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는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직선부(221)의 연장 시작점과 제2직선부(241)의 연장 시작점이 일치되며, 제1직선부(221)의 연장 끝점과 제2직선부(241)의 연장 끝점도 일치될 수 있다. 즉, 제3포인트(P3)와 제6포인트(P6)가 일치될 수 있으며, 제2포인트(P2)와 제5포인트(P5)가 일치될 수 있다.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가 서로 대응됨에 따라,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는 평면 상에서 구겨짐이나, 접힘 없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는 서로 곡률이 상이하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밴드(230)의 원단 일부분이 윗 칼라(210)의 원단 일부분과 포개지게 된다. 즉,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는 제3포인트(P3)(또는 제6포인트(P6))로부터 제2포인트(P2)(또는 제5포인트(P5))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제1곡선부(222)는 제2포인트(P2)로부터 제1포인트(P1)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2곡선부(242)는 제5포인트(P5)로부터 제4포인트(P4)를 향하여 연장되므로, 제2곡선부(242)의 연장 끝점과 제1곡선부(222)의 연장 끝점은 서로 만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칼라 재봉선(202)부터 윗 칼라(210)의 상단선까지의 높이는 칼라(200)를 세웠을 경우, 착용자의 목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c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의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는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는 곡률이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윗 칼라(210) 또는 칼라 밴드(230)의 접힘이나 구겨짐 없이는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 중 어느 하나가 지면과 떨어지거나, 세워진 상태에서 다른 하나에 대응되어 입체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윗 칼라(210) 원단이 지면상에 펼쳐진 상태에서 칼라 밴드(230) 원단이 지면으로부터 약간 들뜨면서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가 제1곡선부(222)와 결합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제 1곡선부(222)가 제2곡선부(242)에 맞추어 결합되는 경우, 칼라 밴드(2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칼라 밴드(230)가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42)를 칼라 밴드(230)가 휘어진 내측 방향으로 당겨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포인트(P1)가 제4포인트(P4)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d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의 제1직선부(221) 및 제2직선부(241)가 결합되고,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 및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는 곡률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제1곡선부(222)의 연장 시작점과 제2곡선부(242)의 연장 시작점은 일치되고, 제1곡선부(222)의 연장 끝점과 제2곡선부(242)의 연장 끝점도 일치될 수 있다. 즉, 제2포인트(P2)와 제5포인트(P5)가 일치될 수 있고, 제1포인트(P1)와 제4포인트(P4)도 일치될 수 있다.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가 서로 대응됨에 따라,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입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의 곡률이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의 곡률과 상이하지만,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는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와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는 서로 입체적인 구조로 결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 칼라(210)의 윗 칼라 재봉선(220) 및 칼라 밴드(230)의 칼라 밴드 재봉선(240)이 착용자의 목둘레와 대응되는 호 형태로 자연스럽게 굴곡될 수 있다.
이 때, 윗 칼라 재봉선(220) 및 칼라 밴드 재봉선(240)은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과 동일한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윗 칼라(210)의 상단선 중 목 앞에 대응되는 부분은 윗 칼라 재봉선(220)과 칼라 밴드 재봉선(240)의 목 앞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넓은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라 밴드(230)의 칼라 밴드 재봉선(240) 상에서 윗 칼라(210)의 윗 칼라 재봉선(220)이 결합됨에 따라, 윗 칼라(210)는 윗 칼라(21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외측 상향으로 점점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의 칼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칼라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칼라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10)는 칼라(200)의 형태가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칼라(200)를 세우게 되면, 스탠드 칼라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칼라(200)를 눕히게 되면, 다운 칼라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라(200)는 윗 칼라(210) 및 칼라 밴드(230)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 및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가 서로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상호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곡선부(222)가 제2곡선부(242)보다 큰 곡률을 가지며,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윗 칼라(210)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더라도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의 (a)에는, 칼라(200)가 세워진 상태의 의류(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칼라(200)를 접어 눕혀진 상태의 의류(10)가 도시되어 있다.
칼라 밴드(230)가 몸통부(100)의 목둘레 재봉선(110)에 결합되고, 폭이 일정하여 차이니즈 칼라(즉, 스탠드 칼라) 형태를 유지하면서, 항상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윗 칼라(210)는 칼라 밴드(230)에 지지되면서 결합되므로, 목둘레 재봉선(110), 제1칼라재봉선(201)과 제2칼라재봉선(202), 윗 칼라 재봉선(220), 칼라 밴드 재봉선(240)이 모두 동일한 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칼라(200)가 세워진 경우에는, 윗 칼라(210)의 상단선은 목둘레 재봉선(110), 제1칼라재봉선(201)과 제2칼라재봉선(202), 윗 칼라 재봉선(220), 칼라 밴드 재봉선(240) 보다 넓은 호 형태가 되며, 윗 칼라(210)가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함에도 불구하고, 칼라 밴드(230)가 윗 칼라(210)를 내측으로 끌어당겨 눕혀지지 않으며, 칼라(200)가 착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세워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결속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도 스탠드 칼라 형태로 변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 칼라(210)와 칼라 밴드(230)의 높이의 중간 지점을 가로로 접어서 칼라(200)를 눕힐 수 있다. 이 경우, 윗 칼라(210)의 상단선이 착용자의 목 아래 부분을 향하므로, 윗 칼라(210)가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려는 염려는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칼라(200)의 형태가 유지되고, 또한, 칼라(200)를 접어도 네크라인이 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둘레와 이격되지 않아, 칼라(200)의 형태가 다운 칼라 형태로 변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10)는 곡률이 서로 상이한 제1곡선부(222) 및 제2곡선부(242)를 포함하는 칼라(200)를 포함하므로, 칼라(200)의 형태를 변형시켜 세우거나 눕히는 경우에도, 칼라(20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착용자는 칼라(200)의 형태를 스탠드 칼라로 구성하거나, 다운 칼라 형태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10)에 디자인 변화를 줄 수 있어, 의류(10)의 외관이 화려해질 수 있다. 또한, 칼라(200)의 형태를 스탠드 칼라로 구성하더라도, 칼라(200)의 높이가 착용자의 목 높이에 대응되므로, 칼라(200)가 착용자의 턱선을 침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칼라 밴드(230)의 제2곡선부(242)가 곡률이 상이한 윗 칼라(210)의 제1곡선부(222)를 끌어당기면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칼라(200)의 형태에 상관없이 칼라(200)가 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칼라(200)의 형태에 상관없이 칼라(200)가 착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목의 노출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칼라(200)가 스탠드 칼라 형태나 다운 칼라 형태로 변형되어도 착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감싸 효율적이고 우수한 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모피의류의 경우, 전술한 방법을 통해 제작하면 목둘레 재봉선(110)의 전체 길이가 종래의 모피의류보다 짧을 수 있다. 칼라(200)가 목둘레 재봉선(110)을 따라 결합되어 칼라(200)의 형태 및 네크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감안할 때, 칼라(200)를 전술한 방법을 통해 제작하게 되면, 종래의 모피의류보다 소모되는 원단의 양이 줄어들어 제작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만약, 종래의 모피의류가 칼라(200)의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 목둘레 재봉선(110)을 착용자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더라도,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모두 제공할 수 없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류 100: 몸통부
110: 목둘레 재봉선 200: 칼라
201: 제1칼라 재봉선 202: 제2칼라 재봉선
210: 윗 칼라 220: 윗 칼라 재봉선
221: 제1직선부 222: 제1곡선부
230: 칼라 밴드 240: 칼라 밴드 재봉선
241: 제2직선부 242: 제2곡선부
P1~P6: 제1 ~ 제6포인트

Claims (7)

  1. 착용자의 몸을 감싸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목둘레 재봉선을 따라 결합되는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복수의 원단 조각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칼라의 외관을 형성하는 윗 칼라; 및 상기 윗 칼라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칼라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윗 칼라는,
    상기 착용자의 목 뒤에 대응되는 제1직선부; 및
    상기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고, 상기 제1직선부와 연결된 제1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착용자의 목 뒤에 대응되는 제2직선부; 및
    상기 착용자의 목 앞에 대응되고, 상기 제2직선부와 연결된 제2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는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곡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는 곡률이 서로 상이하며,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제2곡선부 보다 큰 곡률을 갖고,
    상기 윗 칼라를 세웠을 경우, 상기 윗 칼라는 상기 제1곡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의 결합을 통해 세워진 형태가 유지되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를 따라 항상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곡선부의 시작 지점까지 폭이 일정하여, 차이니즈 칼라 형태를 유지하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목둘레 재봉선을 따라 상기 몸통부와 결합되고,
    상기 윗 칼라는,
    제1직선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곡선부와 연결되는 제1칼라 재봉선을 포함하고,
    상기 칼라 밴드는,
    상기 제2직선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2곡선부와 연결되며, 상기 칼라 밴드의 밑변을 구성하는 제2칼라 재봉선을 포함하고,
    상기 윗 칼라 및 상기 칼라 밴드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을 따라 상기 몸통부와 결합되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 재봉선 및 상기 제2칼라 재봉선은 상기 착용자의 목둘레에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되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제2칼라 재봉선으로부터 상기 윗 칼라의 상단선까지의 높이가 상기 착용자의 목 높이에 대응되는,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1020190064138A 2019-05-30 2019-05-30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10203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138A KR102034412B1 (ko) 2019-05-30 2019-05-30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US17/615,486 US11684101B2 (en) 2019-05-30 2020-05-15 Garment having shape-transformable collar
PCT/KR2020/006468 WO2020242104A1 (ko) 2019-05-30 2020-05-15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138A KR102034412B1 (ko) 2019-05-30 2019-05-30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12B1 true KR102034412B1 (ko) 2019-10-18

Family

ID=6846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138A KR102034412B1 (ko) 2019-05-30 2019-05-30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4101B2 (ko)
KR (1) KR102034412B1 (ko)
WO (1) WO20202421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04A1 (ko) * 2019-05-30 2020-12-03 김민식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20210002472U (ko) 2020-04-29 2021-11-08 더인터맥스(주) 넥 라인 변형이 가능한 와이어 내장형 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4614B2 (en) * 2021-09-22 2024-05-07 5.11, Inc. Shirt with convertible coll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507A (ja) * 2007-06-29 2009-01-22 Osamu Takeuchi シャツ
KR20090050703A (ko) * 2007-11-16 2009-05-20 홍문규 의류용 칼라
KR101358964B1 (ko) * 2013-09-16 2014-02-06 안현주 단령 깃의 제도방법
KR101361974B1 (ko) * 2012-12-12 2014-02-11 구보연 의복용 칼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110A (en) * 1875-03-23 Improvement in shirts
US606859A (en) * 1898-07-05 Collar
US1513700A (en) * 1924-03-08 1924-10-28 Feigenbaum David Neckband
US2286510A (en) * 1939-09-29 1942-06-16 Edward Greensfelder Colla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289479A (en) * 1941-08-07 1942-07-14 Frederick W Bryant Collar construction
US2344204A (en) * 1943-06-18 1944-03-14 D Corp B V Shirt
US2418058A (en) * 1943-07-16 1947-03-25 Cluctt Peabody & Co Inc Convertible shirt collar
GB618004A (en) * 1946-10-11 1949-02-15 Robert Stanley Andain Holt Improvements in collars for shirts and like garments
GB734867A (en) * 1953-01-15 1955-08-10 Trubenised Gt Britai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lars for shirts and like garments
BE639740A (ko) * 1962-11-13
US3363263A (en) * 1965-09-29 1968-01-16 Sidney D. Blue Shirt collar construction
US3488775A (en) * 1968-06-20 1970-01-13 Palm Beach Co The Coat collar construction
US3629866A (en) * 1970-12-10 1971-12-28 Sidney D Blue Shirt collar construction
KR20190064138A (ko) 2017-11-30 201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4412B1 (ko) 2019-05-30 2019-10-18 김민식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507A (ja) * 2007-06-29 2009-01-22 Osamu Takeuchi シャツ
KR20090050703A (ko) * 2007-11-16 2009-05-20 홍문규 의류용 칼라
KR101361974B1 (ko) * 2012-12-12 2014-02-11 구보연 의복용 칼라
KR101358964B1 (ko) * 2013-09-16 2014-02-06 안현주 단령 깃의 제도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효숙. 여성복 디자인과 패턴구성. 도서출판 경춘사. 1997.01.10., 개정2판(183,185면)* *
인터넷 사이트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04A1 (ko) * 2019-05-30 2020-12-03 김민식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US11684101B2 (en) 2019-05-30 2023-06-27 Min Sik Kim Garment having shape-transformable collar
KR20210002472U (ko) 2020-04-29 2021-11-08 더인터맥스(주) 넥 라인 변형이 가능한 와이어 내장형 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2914A1 (en) 2022-07-28
WO2020242104A1 (ko) 2020-12-03
US11684101B2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412B1 (ko)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US11330850B2 (en) Multi-use garment
US20110269376A1 (en) Bra Essentials
JP5771003B2 (ja) 対丈着物
JPH0437161B2 (ko)
US20140298563A1 (en) 7 in 1 garment
KR20170131074A (ko) 한복 양장 겸용 슬리브리스 원피스
US20160227853A1 (en) Two piece butterfly bow tie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102438054B1 (ko) 의복
JP3200971U (ja) 二部式着物
KR101853921B1 (ko) 천연염색된 직물을 이용한 방한용 외투
CN208639645U (zh) 一种短袖polo衫
CN212877663U (zh) 一种睡裙
KR102409710B1 (ko) 머슬핏 남성의류
KR100830652B1 (ko) 디자인 변형이 가능한 의류
CN210382658U (zh) 拉链条纹衬衣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CN207784329U (zh) 一种钉珠套装
KR101686449B1 (ko) 기능성 한복
KR20170004226U (ko) 사이즈 호환이 가능한 여성용 한복 응용 원피스
JP2017137608A (ja) 二部式着物
JP3173378U (ja) 襟なし二部式着物
CN203152510U (zh) 一种内外两穿衣、外衣及三点式通配两件套服装
Ash The social and domestic scene in Rochester, 1840-186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