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734B1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734B1
KR102430734B1 KR1020150096150A KR20150096150A KR102430734B1 KR 102430734 B1 KR102430734 B1 KR 102430734B1 KR 1020150096150 A KR1020150096150 A KR 1020150096150A KR 20150096150 A KR20150096150 A KR 20150096150A KR 102430734 B1 KR102430734 B1 KR 10243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justment
braking
spoo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493A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요시오 우메자와
사토시 후지이
타케시 후지와라
타카노리 마루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6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896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610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214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6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721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6000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이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측판(5a, 5b)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保持)되는 스풀(12)과, 스풀(12)을 제동하는 제동 유닛(20)을 구비한다. 제동 유닛(20)은, 커버부(6)와, 제1 조정부(32)와, 제2 조정부(34)를 가진다. 커버부(6)는, 제1 주연부(周緣部)(6f) 및 제2 주연부(6g)를 가지고, 릴 본체(1)에 장착된다.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는, 커버부(6)로 커버된다. 제1 주연부(6f)는, 제1 조정부(3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6h)를 가지고, 제2 주연부(6g)는, 제2 조정부(34)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6i)를 가진다. 릴 본체(1)는, 제1 개구부(6h)를 덮는 제1 돌출부(9a)를 가진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축 둘레에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제동 유닛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양 베어링 릴, 특히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방출 가능한 베이트 캐스팅 릴(bait casting reel)에는, 스풀을 제동하는 제동 유닛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할 수 있다.
제동 유닛에 있어서, 제동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조정부와 제2 조정부의 2개의 조정부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35417호 참조).
종래의 제동 유닛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스풀을 제동한다. 제동 유닛은, 릴 본체에 고정된 축 지지부와, 축 지지부의 내측면(內側面)에 고정된 회로 기판과, 자석과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제동부와, 제동부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와, 제2 조정부를 가진다. 축 지지부에는, 스풀축의 일단(一端)이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자석은,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코일은 자석의 외주(外周) 측에 통상으로 배치되어,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는, 축 지지부의 외측면(外側面)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는, 원판상(圓板狀)으로 구성되고, 원형의 면에 직경을 따라 돌출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제1 조정부는, 제동 모드의 설정에 이용되고, 제2 조정부는, 설정된 제동 모드의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조정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부에 의하여 덮이고, 커버부를 닫고 있을 때에는 조작할 수 없다. 제2 조정부는, 커버부에 설치된 개구부(開口部)로부터 노출하고, 언제라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조정부를 오조작하는 것에 의한 제동 모드의 변화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가 원형의 면에서 조작되기 때문에,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조정부를 덮으면,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이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릴 본체와,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保持)되는 스풀과, 스풀축과, 릴 본체에 장착되고,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유닛을 구비한다. 스풀축은 스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동 유닛은, 제1 주연부(周緣部)와, 제1 주연부와는 다른 제2 주연부와, 제1 조정부와, 제2 조정부를 가진다. 제1 조정부는, 제1 주연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1 노출부를 가지고, 제동력을 제1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제2 조정부는, 제2 주연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2 노출부를 가지고, 제동력을 제1 조정부와 다른 제2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릴 본체는, 제1 노출부 및 제2 노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덮는 규제부를 가진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동 유닛의 제1 주연부로부터 제1 조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고, 제2 주연부로부터 제2 조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동 유닛이 릴 본체에 장착되면, 규제부에 의하여 덮인다. 여기에서는,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는, 제1 주연부 및 제2 주연부로부터 따로 따로 노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된다. 또한, 제동 유닛을 릴 본체에 장착하면, 노출한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규제부에 의하여 덮인다. 이 때문에,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이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동 유닛은, 제1 주연부에 설치되고, 제1 노출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 및 제2 주연부에 설치되고, 제2 노출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장착 가능한 커버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부의 제1 주연부에 설치되는 제1 개구부가 제1 노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고, 제2 주연부에 설치되는 제2 개구부가 제2 노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1 노출부는 제1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만, 커버부가 릴 본체에 장착되면, 규제부가 제1 개구부를 덮고, 제1 노출부는 규제부에 의하여 덮인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유닛의 필요 개소만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 유닛의 일체화가 가능하게 되고, 제1 조정부와 제2 조정부를 가지고 제1 조정부가 커버부에 의하여 덮이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를 가급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제동 유닛은,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스풀의 회전 속도로 제한되는 것 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조정부는, 적어도 1개의 제1 자석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주연부로부터 노출하는 제1 조정 조작부와, 제1 자석에 대향하여,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자석의 자속을 검출하여,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검출부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조정 조작부는, 적어도 1개의 제2 자석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2 주연부로부터 노출하는 제2 조정 조작부와, 제2 자석에 대향하여, 제2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자석의 자속을 검출하여, 제2 조정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검출부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제동 유닛은, 제동부와, 제1 자속 차폐 부재(部材)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제동부는, 릴 본체 및 스풀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 도전체(導電體), 및 릴 본체 및 스풀 중 어느 타방(他方)에, 도전체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동 자석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1 자속 차폐 부재는, 제1 검출부와 제동 자석과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제동 유닛에서는, 제1 조정부의 제1 검출부가, 제1 조정 조작부가 가지는 제1 자석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한다. 이 제1 검출부와 제동 자석과의 사이에는, 제동 자석의 자속을 차폐하는 제1 자속 차폐 부재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자석을 검출하여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여도, 제1 검출부가 제동 자석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정도(精度)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에, 제1 조정 조작부의 검출을 위한 구조(예를 들어 구멍)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제1 자속 차폐 부재에 의하여 제동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이 차폐된 제1 검출부가 제1 자석을 검출 가능한 위치이면 제1 조정 조작부를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하여 비접촉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동 유닛은, 릴 본체에 설치되고, 스풀에 대향하는 제1면을 가지는 회로 기판을 더 가져도 무방하다. 제동 자석은, 스풀에 설치된 원통형 자석이어도 무방하다. 도전체는, 원통형 자석의 외주 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로 기판의 제1면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한 제동 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정 조작부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하여 비접촉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1 자속 차폐 부재는, 회로 기판의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검출부를 회로 기판의 제1면과 반대 측의 제2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검출부를 향하는 자속을 효율 좋게 차폐할 수 있다.
제동 유닛은, 제동 자석의 자속의 변화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에 회전 검출용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스풀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제1 자속 차폐 부재는, 회전 검출부의 주위에 형성된 노치(notch)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의 자속이 회전 검출부에 노치부를 통하여 차폐되지 않고 도달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 등을 정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제1 자속 차폐 부재는, 제2 검출부와 제동 자석과의 사이에도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검출부가 제동 자석의 자속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제동 유닛은, 복수의 코일을 덮는 제1 커버부, 회로 기판의 적어도 제1면을 덮고, 제1 커버부와 일체 형성된 제2 커버부를 가지는 단붙이 통상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 부재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에 의하여,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제1 검출부, 제2 검출부, 및 회전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자속 차폐 부재는, 제2 커버부의 스풀과 대향하는 단차면에 배치된 제1 차폐부와, 회로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고, 제1 차폐부보다도 내주(內周) 측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자속 차폐 부재를 커버 부재와 회로 기판으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자속 차폐 부재로 제동 자석의 자속을 효율 좋게 차폐할 수 있다.
제동 유닛은, 회로 기판의 제1면과 반대 측의 제2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제1 자석과 제2 검출부와의 사이 및 제2 자석과 제1 검출부와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자속 차폐 부재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 검출용의 자석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출 정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제동 자석은, 극이방성(極異方性) 착자(着磁)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이 N극과 S극이 직경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레이디얼(radial) 이방성 착자가 아니라, N극과 S극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극이방성 착자되기 때문에, 정현파적인 표면 자속 밀도 분포가 얻어지고, 자속 밀도의 격차가 적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동 자석은, 스풀축에 접착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에 강한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무른 제동 자석을 손상시키는 것 없이, 스풀축에 제동 자석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동부는, 제동 자석의 단면(端面)에 접촉 가능한 탄성 링과, 스풀축에 고정되고, 탄성 링을 단면에서 협지하여 압축 가능한 압축 부재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탄성 링에 의하여 자석을 압박하기 때문에, 자석에 과도한 응력을 작용시키는 것 없이 자석을 스풀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을 접착하여도 무방하지만, 접착하지 않고 압박력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에 의하여 스풀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제동 자석은, 단면에 오목부를 가지고, 제동부는, 스풀축에 고정되어 오목부에 계합(係合)하는 회전 멈춤 볼록부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에 회전 멈춤 볼록부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동 자석에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제동 자석을 빠짐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풀축에 제동 자석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을 병용하면, 회전 방향의 덜걱거림도 저감할 수 있다.
오목부는, 단면에 직경 방향을 따라 단면으로부터 파여 형성되고, 회전 멈춤 볼록부는, 스풀축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 부재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핀 부재를, 압입(壓入) 또는 접착 등의 적의(適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자석을 스풀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는, 제1 주연부 및 제2 주연부로부터 따로 따로 노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는, 각각의 외주부를 손가락 끝으로 손대어 조작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조정부 및 제2 조정부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제동 유닛을 포함하는 양 베어링 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동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스풀 및 자석의 단면도.
도 5는 자석의 착자 상태를 도시하는, 도 4의 절단선 V-V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제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회로 기판 및 제1 자속 차폐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회로 기판의 제1면 측의 평면도.
도 9는 회로 기판의 제2면 측의 저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자석의 도 4에 상응하는 도면.
도 12는 제4 실시예의 자석의 도 4에 상응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릴이다.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12)과, 스풀축(16)과, 릴 본체(1)에 장착되고, 스풀(12)의 회전을 전기적으로 제동하는 제동 유닛(20, 도 2 참조)을 구비한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일체 형성된 프레임(5)과, 프레임(5)의 핸들(2) 측에 배치되는 측 커버(7)를 가진다.
프레임(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과 반대쪽에 배치된 제1 측판(5a)과, 제1 측판(5a)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c)와, 섬 레스트(thumb rest, 9)를 가진다.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은,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의 일례이다.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의 사이에,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게 보지된다. 제1 측판(5a)은, 스풀(12)이 통과 가능한 원형의 개구(5d)를 가진다. 복수의 연결부(5c) 중,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하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5c)에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대 취부 다리(5e)가 설치된다. 개구(5d)의 주위에서, 프레임(5)의 제1 측판(5a)에 제동 유닛(2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섬 레스트(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9a)와, 제2 돌출부(9b)와, 제3 돌출부(9c)를 가진다. 제1 돌출부(9a)는, 제1 측판(5a)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돌출부(9b)는, 제2 측판(5b)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3 돌출부(9c)는, 프레임(5)의 전부(前部)에서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여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2)은,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과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된다.
스풀(1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부(12a)와, 줄 감기부(1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풀축(16)에 고정되는 통상부(12b)를 가진다. 통상부(12b)의 내주면에 스풀축(1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16)은, 일단이 후술하는 축 지지부(8)에 베어링(1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6)의 타단(他端)은 측 커버(7)에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동 유닛>
제동 유닛(20)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지지부(8)를 가지는 커버부(6)와, 제동부(30)와, 회로 기판(31)과, 제1 조정부(32)와, 제2 조정부(34)와, 회전 검출부(36, 도 7 참조)와, 커버 부재(38)와, 제1 자속 차폐 부재(40)를 구비한다. 제동부(30)는,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한다. 제1 조정부(32)는, 제동부(30)의 제동력을 제1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제2 조정부(34)는, 제동부(30)의 제동력을 제2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회전 검출부(36)는, 스풀(12)의 회전을 검출한다.
<커버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6)는, 프레임(5)의 제1 측판(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부(6)는, 커버 본체(6a)와,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 장착되는 축 지지부(8)를 가진다.
<커버 본체>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는, 축 지지부(8)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3개)의 고정 보스부(6c)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면(6b)에는, 제동 유닛(20)의 후술하는 제1 조정 조작부(50) 및 제2 조정 조작부(54)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 보스부(6d) 및 제2 장착 보스부(6e)가 각각 별도로 형성된다. 제1 장착 보스부(6d)는, 제1 축(X1)을 중심으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제1 축(X1)은, 커버 본체(6a)가 제1 측판(5a)에 장착된 상태로, 후술하는 스풀축(16)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2 장착 보스부(6e)는, 제1 축(X1)과 평행한 제2 축(X2)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제2 축(X2)은, 제1 축(X1)보다도 전방 또한 장대 취부 다리(5e)의 근처에 배치된다.
커버 본체(6a)는, 섬 레스트(9)에 의하여 덮이는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주연부(6f)와, 제1 주연부(6f)와는 다른 제2 주연부(6g)를 가진다. 커버 본체(6a)의 제1 주연부(6f)는 섬 레스트(9)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섬 레스트(9)의 제1 돌출부(9a)에 의하여 덮인다. 제1 돌출부(9a)는, 규제부의 일례이다. 제2 주연부(6g)는 제1 주연부(6f)와 반대 측(장대 취부 다리(5e)에 가까운 하측에)에 배치된다. 제1 주연부(6f)는, 제1 조정부(32)의 제1 조정 조작부(50)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개구부(6h)를 가진다. 제2 주연부(6g)는, 제2 조정부(34)의 제2 조정 조작부(54)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2 개구부(6i)를 가진다. 제1 주연부(6f)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유닛(20)이 릴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돌출부(9a)에 의하여 덮인다. 제2 주연부(6g)는, 릴 본체(1)로 덮이지 않는다. 또한, 제1 주연부(6f)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유닛(20)이 릴 본체(1)로부터 떼어지면, 제1 조정부(32)의 제1 조정 조작부(50)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개구부(6h)로부터 노출시킨다. 제1 조정 조작부(50)는, 제1 개구부(6h)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배치된다.
<축 지지부>
축 지지부(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의 스풀축(16)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축(16)은 스풀(12)의 회전축의 일례이다. 축 지지부(8)는, 편평한 바닥을 가지는 원통상(圓筒狀)의 부재이다. 축 지지부(8)의 중심에는, 스풀축(16)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8)이 수납되는 통상의 베어링 수납부(8a)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축 지지부(8)의 외주면(8b)에는, 축 지지부(8)를 개구(5d)의 주위에서 제1 측판(5a)에 대하여 착탈하기 위한 착탈 링(2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착탈 링(22)은 공지의 베이어닛(bayonet) 구조에 의하여, 축 지지부(8)를 제1 측판(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착탈 링(22)은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멈춤쇠부(22a)와, 착탈 조작을 위한 조작 손잡이(22b)를 가진다. 복수의 멈춤쇠부(22a)는,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개구(5d)의 주위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계합 홈에 계합한다. 조작 손잡이(22b)를 손가락 끝으로 하방으로 조작하여, 착탈 링(22)을 일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부(22a)가 계합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축 지지부(8) 및 커버부(6)가 제1 측판(5a)으로부터 빠진다. 또한, 조작 손잡이(22b)를 손가락 끝으로 예를 들어 상방으로 조작하여, 착탈 링(2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쇠부(22a)가 계합 홈에 계합하여, 축 지지부(8) 및 커버부(6)가 제1 측판(5a)에 고정된다. 축 지지부(8)는, 복수 개(예를 들어 3개)의 볼트 부재(24)에 의하여, 제동 유닛(20)의 일부의 구성과 함께 커버부(6)에 고정된다. 축 지지부(8)가 커버부(6)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착탈 링(22)은,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축 지지부(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동부>
제동부(3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하다. 제동부(30)는,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 자석(44), 및 제동 자석(44)의 외주 측에 소정의 간극(G, 도 5 참조)을 두고 통상으로 배치되고,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46)을 가진다. 코일(46)은 도전체의 일례이다.
제동 자석(44)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46)과 소정의 간극(G)를 두고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44)은, 통상의 복수의 코일(46)과 전부가 대향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동 자석(44)은, 스풀축(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44)은, 접착에 의하여 스풀축(16)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자석(44)은, 제1 단면(44a)과, 제1 단면(44a)과 반대 측의 제2 단면(44b)을 가지는 원통형 자석이다. 제동 자석(44)은, 스풀축(16)에,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감합한다. 제동 자석(44)은, 제1 단면(44a)이 스풀(12)의 통상부(12b)의 단면에서 스풀축(16)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제동 자석(44)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자극(磁極)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자속이 원호상으로 만곡하는 극이방성 착자된다. 이것에 의하여, 정현파적인 표면 자속 밀도 분포가 얻어지고, 제동 자석(44)이 회전하여도, 균일 또한 고밀도의 자속 밀도 분포가 얻어져, 스풀(12)의 회전 밸런스가 향상한다.
복수의 코일(4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취부 부재(48)에 의하여 회로 기판(31)을 통하여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46)의 양단(兩端)은,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46)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4개 설치된다. 각 코일(46)은 각각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코일(46)은, 전체적으로 대체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코일(46)의 외주 측에는, 스풀(12)의 줄 감기부(12a)의 내주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자속 누설 방지 부재(58)가 설치된다. 자속 누설 방지 부재(58)는 코일(46)에 작용하는 제동 자석(44)의 자속이 스풀(12) 측으로 누설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자속이 코일(46)에 효율 좋게 모여, 스풀(12)의 회전 밸런스가 한층 더 향상한다. 코일(46)은, 후술하는 커버 부재(38)에 의하여 봉지(封止)된다.
<회로 기판>
회로 기판(31)은,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1c)을 가지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31)은, 축 지지부(8)의 베어링 수납부(8a)의 외주측에서 스풀(12)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31)은, 볼트 부재(24)에 의하여, 축 지지부(8), 커버 부재(38), 및 제1 자속 차폐 부재(40)와 함께, 커버부(6)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31)에 제동부(3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의 조정 위치나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가 설치된다.
<제1 조정부>
제1 조정부(32)는, 제동부(30)의, 제동력의 시간 변화가 다른 복수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낚싯줄의 종류(예를 들어, 나일론 라인, 플루오로 카본(fluorocarbon) 라인(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제의 줄), PE 라인(폴리에틸렌 섬유를 꼬은 줄))에 따른 3개의 제동 모드로 조정 가능하다.
제1 조정부(32)는, 적어도 1개(예를 들어 2개)의 제1 자석(50a)을 가지는 제1 조정 조작부(50), 및 2개의 제1 자석(50a)에 대향하여,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52, 도 6 및 9 참조)를 가진다.
제1 조정 조작부(50)는, 릴 본체(1)에 복수 단계의 제1 조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조정 조작부(50)는,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 예를 들어 3단계의 제1 조정 범위로 위치 결정 가능하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정 조작부(50)는, 예를 들어 2개의 제1 자석(50a)이 장착되는 레버 부재(50b)를 가진다. 레버 부재(50b)는, 선단에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표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0d)를 가지는 제1 노출부(50c)를 가진다. 레버 부재(50b)는, 제1 장착 보스부(6d)의 외주면에 제1 축(X1) 둘레에 제1 조정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제1 조정 범위는, 예를 들어 30도 이하의 범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장착 보스부(6d)가 스풀축(16)과 동심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50)는, 스풀축(16) 둘레에 회동한다. 제1 조정 조작부(50)의 제1 노출부(50c)는, 커버부(6)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주연부(6f)에 형성된 제1 개구부(6h)로부터 돌출하여 노출한다. 그러나, 커버부(6)가 제1 측판(5a)에 장착된 상태, 즉 제동 유닛(20)이 릴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주연부(6f)가 섬 레스트(9)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50)의 제1 노출부(50c)는, 릴 본체(1) 내에 가려진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조정된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제1 검출부(52)는,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자석(44)으로부터 멀어진 회로 기판(31)의 제2면(31b)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제1 검출부(52)는, 제2면(31b)에 2개의 제1 자석(50a)에 대향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2개의 홀 소자(52a, 52b)를 가진다. 2개의 홀 소자(52a, 52b)는, 제1 축(X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조정부>
제2 조정부(34)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부(30)의, 세기가 다른 복수의 제동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제동력의 세기를 8단계로 조정 가능하다. 제2 조정부(34)는, 적어도 1개(예를 들어 3개)의 제2 자석(54a)을 가지는 제2 조정 조작부(54), 및 3개의 제2 자석(54a)에 대향하여, 제2 조정 조작부(54)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56)을 가진다.
제2 조정 조작부(54)는, 릴 본체(1)에 복수 단계의 제2 조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조정 조작부(54)는,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 예를 들어 8단계의 제2 조정 범위로 위치 결정 가능하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조정 범위는, 예를 들어 120도 이하의 범위이다. 제2 조정 조작부(54)는, 예를 들어 3개의 제2 자석(54a)이 장착되는 조작부 본체(54b)와, 조작부 본체(54b)에, 예를 들어 탄성 계합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노출부(54c)를 가진다. 조작부 본체(54b)는, 제2 장착 보스부(6e)에 비틀어 박히는 나사 부재(55)에 의하여,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 제2 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제2 노출부(54c)는, 커버부(6)가 릴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주연부(6g)에 형성된 제2 개구부(6i)로부터 노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 양 베어링 릴(100)을 파밍(palming)하는 손가락의 선단으로 제2 조정 조작부(54)를 조정 가능하다.
제2 검출부(56)는,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자석(44)으로부터 멀어진 회로 기판(31)의 제2면(31b)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제2 검출부(56)는, 회로 기판(31)의 제2면(31b)에 제1 검출부(52)와 실질적으로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검출부(56)는, 회로 기판(31)의 제2면(31b)에 3개의 제2 자석(54a)에 대향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3개의 홀 소자(56a, 56b, 56c)를 가진다. 3개의 홀 소자(56a, 56b, 56c)는, 제2 축(X2)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회전 검출부>
회전 검출부(3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자석(44)의 자속의 변화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 속도 및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스풀(12)의 회전 속도의 시간 변화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도 검출 가능하다. 회전 검출부(36)는,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의 내주 측에, 제1 축(X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홀 소자(36a, 36b)를 가진다.
<커버 부재>
커버 부재(3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1), 코일(46), 및 회로 기판(31)에 탑재된 전장품(電裝品)을 절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합성 수지제의 단붙이 통상의 부재이다. 커버 부재(38)는, 복수의 코일(46)의 선단, 내주부 및 외주부를 덮는 제1 커버부(38a)와, 회로 기판(31)의 외주부, 내주부, 제1면(31a), 및 제2면(31b)를 덮고, 제1 커버부(38a)와 일체 형성된 제2 커버부(38b)를 가진다. 제1 커버부(38a)는, 제동 자석(44)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즉, 커버 부재(38)는, 코일(46) 및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이 장착된 회로 기판(31)의 전면을 덮어, 회로 기판(31)을 봉지한다. 제2 커버부(38b)는,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에서 제1 커버부(38a)와의 사이에 단차면(38c)을 가진다. 덧붙여, 도 6에서는, 커버 부재(3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자속 차폐 부재>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도 7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철판제의 부재이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에 설치된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를 향하는 제동 자석(44)의 자속을 차폐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가 제동 자석(44)의 자속의 영향을 받는 것 없이 제1 자석(50a) 및 제2 자석(54a)을 정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1 검출부(52)와 제동 자석(4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2 검출부(56)와 제동 자석(44)과의 사이에도 배치된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링상(狀)의 제1 차폐부(40a)와, 제2 차폐부(40b)를 가진다. 제1 차폐부(40a)는, 제2 커버부(38b)의 스풀(12)과 대향하는 단차면(38c)에 고정된다. 제2 차폐부(40b)는,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에, 예를 들어 접착 등의 적의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1 차폐부(40a)보다도 내주 측을 차폐한다. 제1 차폐부(40a)의 내주부에는, 회전 검출부(36)에 제동 자석(44)의 자속이 효율 좋게 통하도록 하기 위한 자속 통과용의 노치부(40c)가 형성된다. 노치부(40c)는, 제1 차폐부(40a)를 커버 부재(38)에 고정하였을 때에, 회전 검출부(36)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차폐부(40a)는, 축 지지부(8) 및 커버 부재(38)에 의하여 봉지된 회로 기판(31)과 함께, 볼트 부재(24)에 의하여 커버부(6)에 고정된다. 제2 차폐부(40b)는, 제1 차폐부(40a)보다도 내주 측에 배치되는 C자상(字狀)의 부재이다. 제2 차폐부(40b)는, 회로 기판(31)의 관통 구멍(31c)의 주위에, 예를 들어 접착 등의 적의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2 차폐부(40b)의 노치부(40c)에 면하는 위치에 C자의 열린 부분(40d)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의 자속이 한층 더 효율 좋게 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동 유닛(20)에서는,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동 자석(44)과 제1 검출부(52)의 사이 및, 제동 자석(44)과 제2 검출부(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동 자석(44)의 자속은, 제1 자속 차폐 부재(40)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에, 제동 자석(44)의 자속이 닿기 어렵게 되어,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가 제동 자석(44)의 자속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결과, 제1 조정 조작부(50) 또는 제2 조정 조작부(54)가 조작되고, 제1 자석(50a) 또는 제2 자석(54a)의 자속이 변화하면,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가 제1 조정 조작부(50) 또는 제2 조정 조작부(54)의 조정 위치를 정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50) 또는 제2 조정 조작부(54)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하여 비접촉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조정 조작부(50) 또는 제2 조정 조작부(54)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44)과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의 사이에 제1 자속 차폐 부재(40)를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31)의 제2면(31b)에 있어서, 제1 검출부(52)와 제2 자석(54a)의 사이 및 제2 검출부(56)와 제1 자석(50a)의 사이에 제2 자속 차폐 부재(140)가 배치된다. 제2 자속 차폐 부재(140)는, 예를 들어, 소정 폭(예를 들어 5mm 정도)을 가지는 철판을 만곡시켜 형성된다. 제2 자속 차폐 부재(140)는, 제2 자석(54a)의 제1 검출부(52)로의 자속을 차폐하는 제3 차폐부(140a)와, 제1 자석(50a)의 제2 검출부(56)로의 자속을 차폐하는 제4 차폐부(140b)를 가진다. 도 10에서는, 제3 차폐부(140a)는, 제1 축(X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제4 차폐부(140b)는, 제2 축(X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덧붙여, 제3 차폐부(140a) 및 제4 차폐부(140b)의 형상은 원호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자석(50a)로부터 제2 검출부(56)로의 자속 및 제2 자석(54a)으로부터 제1 검출부(52)로의 자속을 차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도 1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동부(230)는, 제2 단면(44b)에 접촉 가능한 O링(260)과, 스풀축(216)에 고정되고, O링(260)을 제2 단면(44b)에서 협지하여 압축 가능한 압축 부재(262)를 더 구비한다. O링(260)은, 탄성 링의 일례이다. 압축 부재(262)는, 환상의 부재이고, 외주 측에 O링(260)을 장착하기 위한 환상 오목부(262a)를 가진다. 또한 압축 부재(262)는, 내주 측에 접시 스프링의 기능을 가지는 테이퍼부(262b)를 가진다. 테이퍼부(262b)의 내경은, 스풀축(216)의 압축 부재(262)를 장착하는 부분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다. 스풀축(216)의 압축 부재(262)의 테이퍼부(262b)를 장착하는 부분에는, 작은 폭 및 깊이(예를 들어 모두 1mm 정도)를 가지는 환상 홈(216a)이 형성된다. 환상 홈(216a)은, 압축 부재(262)를 스풀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및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에 장착하는 경우,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의 외주면에 배치한다. 계속하여, O링(260)을 압축 부재(262)의 환상 오목부(262a)에 장착하고, O링(260)이 장착된 압축 부재(262)를 스풀축(216)에 장착한다. 그리고, 테이퍼부(262b)의 내주부가 환상 홈(216a)에 끼워질 때까지 압축 부재(262)를 적의의 지그(jig)에 의하여 압압(押壓)한다. 압축 부재(262)가 환상 홈(216a)에 끼워지면, O링(260)이 압축하여 제동 자석(44)의 제2 단면(44b)을 통상부(12b)의 단면을 향하여 압박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O링(260)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을 통상부(12b)를 향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동 자석(44)에 과도한 응력을 작용시키는 것 없이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에 접착하여도 무방하지만, 접착하지 않고 압박력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제4 실시예>
도 12에 도시하는 제4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344)은, 제1 단면(344a)과 반대 측의 제2 단면(344b)에 오목부(344c)를 가진다. 오목부(344c)는 제2 단면(344b)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제2 단면(344b)으로부터 파여 형성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오목부(344c)는, 도 12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면(344b)으로부터 원호상으로 파여 형성된다. 도 12의 이점쇄선에서는, 오목부(344c) 및 후술하는 핀 부재(364a)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덧붙여, 오목부(344c)의 파임 형상은 원호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상, 직사각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제동부(330)는, 스풀축(316)에 고정되어 오목부(344c)에 계합하는 회전 멈춤 볼록부(364)를 더 구비한다. 회전 멈춤 볼록부(364)는, 스풀축(316)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 부재(364a)를 가진다. 핀 부재(364a)는, 스풀축(316)에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구멍(316b)에 압입되어 스풀축(3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오목부(344c)에 회전 멈춤 볼록부(364)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비교적 취약한 제동 자석(344)에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제동 자석(344)을 빠짐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풀축(316)에 제동 자석(344)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을 병용하면, 회전 방향의 덜걱거림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부(6)가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부는,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릴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출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1 자석(50a) 및 제2 자석(54a)이 복수 설치되었지만, 이것들은 적어도 하나 설치되면 된다. 또한, 홀 소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설치되면 된다. 나아가 자석과 홀 소자의 수는 달라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검출부(52), 제2 검출부(56) 및 회전 검출부(36)에 각각 홀 소자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들은, 자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자기 센서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자속 차폐 부재(40)가, 커버 부재(38)와 회로 기판(31)에 나누어서 배치되었지만, 자속 차폐 부재를 회로 기판(31)에만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으로서 원통형 자석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자석을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자석 조립체를 극이방성 착자하여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12)과, 스풀축(16)과, 제동 유닛(20)을 구비한다. 릴 본체(1)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가진다. 스풀(12)은,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된다. 스풀축(16)은, 스풀(1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동 유닛(20)은, 릴 본체(1)에 장착되고, 스풀(12)의 회전을 제동한다. 제동 유닛(20)은, 제1 주연부(6f)와, 제1 주연부(6f)와는 다른 제2 주연부(6g)와, 제1 조정부(32)와, 제2 조정부(34)를 가진다. 제1 조정부(32)는, 제1 주연부(6f)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1 노출부(50c)를 가지고, 제동력을 제1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제2 조정부(34)는, 제2 주연부(6g)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2 노출부(54c)를 가지고, 제동력을 제1 조정 범위와 다른 제2 조정 범위에서 조정한다. 릴 본체(1)는, 제1 노출부(50c) 및 제2 노출부(54c)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제1 돌출부(9a)(규제부의 일례)를 가진다.
이 양 베어링 릴(100)에서는, 제동 유닛(20)의 제1 주연부(6f)로부터 제1 조정부(3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고, 제2 주연부(6g)로부터 제2 조정부(34)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동 유닛(20)이 릴 본체(1)에 장착되면, 제1 돌출부(9a)에 의하여 덮인다. 여기에서는,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는, 제1 주연부(6f) 및 제2 주연부(6g)로부터 따로 따로 노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의 스풀(12)의 스풀축(16)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된다. 또한, 제동 유닛(20)을 릴 본체(1)에 장착하면, 노출한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돌출부(9a)에 의하여 덮인다. 이 때문에, 제1 조정부(32) 및 제2 조정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이는 양 베어링 릴(100)의 스풀(12)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B) 제동 유닛(20)은, 제1 주연부(6f)에 설치되고, 제1 노출부(50c)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6h), 및 제2 주연부(6g)에 설치되고, 제2 노출부(54c)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6i)를 가지고, 릴 본체(1)에 장착 가능한 커버부(6)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1)로부터 커버부(6)를 떼어내면, 제1 조정부(32)의 제1 노출부(50c)가 제1 개구부(6h)로부터 노출하기 때문에, 제1 조정부(32)를 조작할 수 있다.
(C) 제동 유닛(20)은,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스풀(12)의 회전 속도로 제한되는 것 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D) 제1 조정부(32)는, 적어도 1개의 제1 자석(50a)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주연부(6f)로부터 노출하는 제1 조정 조작부(50)와, 제1 자석(50a)에 대향하여,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52)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자석(50a)의 자속을 검출하여,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검출부(52)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E) 제2 조정부(34)는, 적어도 1개의 제2 자석(54a)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2 주연부(6g)로부터 노출하는 제2 조정 조작부(54)와, 제2 자석(54a)에 대향하여, 제2 조정 조작부(54)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56)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자석(54a)의 자속을 검출하여, 제2 조정 조작부(54)의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검출부(56)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F) 제동 유닛(20)은, 제동부(30)와, 제1 자속 차폐 부재(40)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제동부(30)는, 릴 본체(1) 및 스풀(12)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도전체로서의 코일(46), 및 릴 본체(1) 및 스풀(12) 중 어느 타방에, 코일(46)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동 자석(44)을 가진다.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1 검출부(52)와 제동 자석(4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제동 유닛(20)에서는, 제1 조정부(32)의 제1 검출부(52)가, 제1 조정 조작부(50)가 가지는 제1 자석(50a)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한다. 제1 검출부(52)와 제동 자석(44)과의 사이에는, 제동 자석(44)의 자속을 차폐하는 제1 자속 차폐 부재(40)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자석(50a)을 검출하여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여도, 제1 검출부(52)가 제동 자석(44)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50)의 위치를 정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1)에, 제1 조정 조작부(50)의 검출을 위한 구조(예를 들어 구멍)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제1 자속 차폐 부재(40)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으로부터의 자속이 차폐된 제1 검출부(52)가 제1 자석(50a)을 검출 가능한 위치이면 제1 조정 조작부(50)를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조정 조작부(50)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하여 비접촉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G) 제동 유닛(20)은,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스풀(12)에 대향하는 제1면(31a)을 가지는 회로 기판(31)을 더 가져도 무방하다. 제동 자석(44)은, 스풀(12)에 설치된 원통형 자석이어도 무방하다. 도전체는, 원통형의 제동 자석(44)의 외주 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46)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한 제동 유닛(20)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정 조작부(50)의 배치의 제한을 완화하여 비접촉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조정 조작부(50)의 조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H)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검출부(52)를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과 반대 측의 제2면(31b)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검출부(52)를 향하는 자속을 효율 좋게 차폐할 수 있다.
(I) 제동 유닛(20)은, 제동 자석(44)의 자속의 변화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36)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44)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12)에 회전 검출용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스풀(12)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J)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회전 검출부(36)의 주위에 형성된 노치부(40c)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44)의 자속이 회전 검출부(36)에 노치부(40c)를 통하여 차폐되지 않고 도달하여, 스풀(12)의 회전 속도 등을 정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K)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2 검출부(56)와, 제동 자석(44)과의 사이에도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검출부(56)가 제동 자석(44)의 자속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L) 제동 유닛(20)은, 복수의 코일(46)을 덮는 제1 커버부(38a), 회로 기판(31)의 적어도 제1면(31a)을 덮고, 제1 커버부(38a)와 일체 형성된 제2 커버부(38b)를 가지는 단붙이 통상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 부재(38)을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38)에 의하여, 회로 기판(31) 및 회로 기판(31)에 탑재된 제1 검출부(52), 제2 검출부(56), 및 회전 검출부(36)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M) 제1 자속 차폐 부재(40)는, 제2 커버부(38b)의 스풀(12)과 대향하는 단차면(38c)에 배치된 제1 차폐부(40a)와,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에 배치되고, 제1 차폐부(40a)보다도 내주 측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40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자속 차폐 부재(40)를 커버 부재(38)와 회로 기판(31)으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자속 차폐 부재(40)로 제동 자석(44)의 자속을 효율 좋게 차폐할 수 있다.
(N) 제동 유닛(20)은, 회로 기판(31)의 제1면(31a)과 반대 측의 제2면(31b)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제1 자석(50a)과 제2 검출부(56)와의 사이 및 제2 자석(54a)과 제1 검출부(52)와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자속 차폐 부재(140)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 검출용의 자석(50a, 54a)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검출부(52) 및 제2 검출부(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출 정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O) 제동 자석(44)은, 극이방성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44)이 N극과 S극이 직경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레이디얼 이방성 착자가 아니라, N극과 S극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극이방성 착자되기 때문에, 정현파적인 표면 자속 밀도 분포가 얻어지고, 자속 밀도의 불균형이 적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P) 제동 자석(44)은, 스풀축(16)에 접착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 자석(44)에 강한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무른 제동 자석(44)을 손상시키는 것 없이, 스풀축(16)에 제동 자석(44)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Q) 제동부(30)는, 제동 자석(44)의 제1 단면(44a)과 반대 측의 제2 단면(44b)에 접촉 가능한 O링(260)과, 스풀축(216)에 고정되고, O링(260)을 제2 단면(44b)에서 협지하여 압축 가능한 압축 부재(262)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O링(260)에 의하여 제동 자석(44)을 통상부(12b)를 향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동 자석(44)에 과도한 응력을 작용시키는 것 없이 제동 자석(44)을 스풀축(2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동 자석(44)을 접착하여도 무방하지만, 접착하지 않고 압박력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에 의하여 스풀축(2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R) 제동 자석(344)은, 제2 단면(344b)에 오목부(344c)를 가지고, 제동부(330)는, 스풀축(316)에 고정되어 오목부(344c)에 계합하는 회전 멈춤 볼록부(364)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344c)에 회전 멈춤 볼록부(364)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동 자석(344)에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제동 자석(344)을 빠짐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풀축(316)에 제동 자석(344)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을 병용하면, 제동 자석(344)의 회전 방향의 덜걱거림도 저감할 수 있다.
(S) 오목부(344c)는, 제2 단면(344b)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제2 단면(344b)으로부터 파여 형성되고, 회전 멈춤 볼록부(364)는, 스풀축(316)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 부재(364a)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핀 부재(364a)를,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적의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제동 자석(344)을 스풀축(3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1: 릴 본체
5a: 제1 측판
5b: 제2 측판
6: 커버부
6f: 제1 주연부
6g: 제2 주연부
6h: 제1 개구부
6i: 제2 개구부
12: 스풀
16, 216, 316: 스풀축
20: 제동 유닛
30, 230, 330: 제동부
31: 회로 기판
31a: 제1면
31b: 제2면
32: 제1 조정부
34: 제2 조정부
36: 회전 검출부
38: 커버 부재
38a: 제1 커버부
38b: 제2 커버부
40: 제1 자속 차폐 부재
40c: 노치부
44: 제동 자석
46: 코일
50: 제1 조정 조작부
50a: 제1 자석
50c: 제1 노출부
52: 제1 검출부
54: 제2 조정 조작부
54a: 제2 자석
54c: 제2 노출부
56: 제2 검출부
100: 양 베어링 릴
140: 제2 자속 차폐 부재
260: O링
262: 압축 부재
344c: 오목부
364: 회전 멈춤 볼록부
364a: 핀 부재

Claims (19)

  1.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保持)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유닛
    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 유닛은,
    제1 주연부(周緣部)와,
    상기 제1 주연부와는 다른 제2 주연부와,
    상기 제1 주연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으로 개구(開口)하는 제1 개구부(開口部) 및 상기 제2 주연부에 설치되는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장착 가능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1 노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정 조작부를 가지고, 제동력을 제1 조정 범위에서 조정하는 제1 조정부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하는 제2 조정 조작부를 가지고, 제동력을 상기 제1 조정부 범위와 다른 제2 조정 범위에서 조정하는 제2 조정부
    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측판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동 유닛이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때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출부 및 상기 제2 노출부 중 적어도 상기 제1 노출부를 덮는 규제부
    를 가지고,
    상기 제1 노출부는, 상기 제동 유닛이 상기 릴 본체로부터 떼어진 때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노출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유닛은 상기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동 가능한, 양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조정 조작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1 자석과,
    상기 제1 자석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제2 조정 조작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조정 조작부의 조정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가 다른 복수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는 제동력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제동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96150A 2014-07-16 2015-07-06 양 베어링 릴 KR102430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6108 2014-07-16
JP2014146109A JP6389669B2 (ja) 2014-07-16 2014-07-16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の制動部
JPJP-P-2014-146107 2014-07-16
JPJP-P-2014-146109 2014-07-16
JP2014146108A JP6321479B2 (ja) 2014-07-16 2014-07-16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
JP2014146107A JP6457212B2 (ja) 2014-07-16 2014-07-16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93A KR20160009493A (ko) 2016-01-26
KR102430734B1 true KR102430734B1 (ko) 2022-08-09

Family

ID=5507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150A KR102430734B1 (ko) 2014-07-16 2015-07-06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2983B2 (ko)
KR (1) KR102430734B1 (ko)
CN (1) CN105309400B (ko)
TW (1) TWI661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679B2 (ja) * 2016-05-2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KR101980638B1 (ko) * 2017-07-12 2019-05-2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향 회전 잠금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 릴
JP7094690B2 (ja) * 2017-11-10 2022-07-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00979B2 (ja) * 2018-01-11 2022-07-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10622927A (zh) * 2018-06-25 2019-12-31 宁波海伯集团有限公司 一种摇轮自动刹车系统
JP2023068889A (ja) * 2021-11-04 2023-05-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838A (ja) 2004-10-08 2006-04-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135417A (ja) * 2005-11-15 2007-06-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1072266A (ja) 2009-09-30 2011-04-14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912Y2 (ko) * 1976-03-03 1979-10-18
JPS5850674U (ja) * 1981-10-02 1983-04-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58141383U (ja) * 1982-03-19 1983-09-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S6094048A (ja) * 1983-10-28 1985-05-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クラツチ着脱装置
JPS60144867U (ja) * 1984-03-07 1985-09-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6122474U (ja) * 1984-07-14 1986-02-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H058858Y2 (ko) * 1986-06-24 1993-03-04
US4779814A (en) * 1986-07-31 1988-10-25 Ryobi, Ltd. Backlash prevention device for fishing reel
JPH068695Y2 (ja) * 1987-04-20 1994-03-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RU2067392C1 (ru) * 1989-06-29 1996-10-10 Агапов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Фрикционна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катушки для лесы
JP2922790B2 (ja) * 1994-07-27 1999-07-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3474757B2 (ja) * 1997-10-28 2003-12-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磁気制動装置
JP3576385B2 (ja) * 1998-06-04 2004-10-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0316438A (ja) * 1999-05-13 2000-11-2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354442A (ja) * 1999-06-16 2000-1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4381733B2 (ja) * 2003-06-26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3776029B2 (ja) * 2001-11-07 2006-05-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3319742A (ja) *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JP2004141103A (ja) *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TWI298621B (en) *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US7150423B2 (en) * 2003-09-12 2006-12-19 Shimano Inc. Reel unit for a dual bearing reel
SG116585A1 (en) *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US7334749B2 (en) * 2004-04-14 2008-02-26 Daiwa Seiko, Inc. Electric-powered fishing reel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4926037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944742B2 (ja) * 2012-05-17 2016-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085447B2 (ja) * 2012-10-19 2017-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153714B2 (ja) * 2012-11-19 2017-06-2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6295033B2 (ja) * 2013-06-25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838A (ja) 2004-10-08 2006-04-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135417A (ja) * 2005-11-15 2007-06-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1072266A (ja) 2009-09-30 2011-04-14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1771B (zh) 2019-06-11
US20160015015A1 (en) 2016-01-21
CN105309400A (zh) 2016-02-10
TW201608971A (zh) 2016-03-16
CN105309400B (zh) 2020-10-16
US9832983B2 (en) 2017-12-05
KR20160009493A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734B1 (ko) 양 베어링 릴
KR20160018336A (ko) 스풀 제동 장치 및 물고기 낚시용 릴
KR20060112750A (ko) 베이트 캐스트 릴
US20050178872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TWI684403B (zh) 雙軸承捲線器
TWI709369B (zh) 雙軸承捲線器
JP2018503840A (ja) 磁石式角変位計測システム
KR20230019910A (ko) 낚시용 릴
US9999210B1 (en) Micro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JP2017167014A (ja) エンコーダおよび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JP2017209037A5 (ko)
KR20180085684A (ko) 현악기의 교체 가능한 픽업 지지구
JP6457212B2 (ja) 両軸受リール
JP6389669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の制動部
JP2016021875A5 (ko)
JP3217116U (ja) 磁気吸着装置
CN110710499B (zh) 双轴承绕线轮
JP6321479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
JP2010135149A (ja) 多方向入力装置
CN112178077A (zh) 一种封闭式电磁制动器
US11950583B2 (en) Fishing reel
JP2019199943A (ja) 電磁パウダブレーキ
JP6677947B1 (ja) ベイトリール、ベイトリールに用いられる電磁ブレーキおよびベイトリール用スプール
KR20180040392A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US3516038A (en) Converge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