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57B1 -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 Google Patents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57B1
KR102429057B1 KR1020170129389A KR20170129389A KR102429057B1 KR 102429057 B1 KR102429057 B1 KR 102429057B1 KR 1020170129389 A KR1020170129389 A KR 1020170129389A KR 20170129389 A KR20170129389 A KR 20170129389A KR 102429057 B1 KR102429057 B1 KR 10242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inforcing
load distribution
pilla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533A (ko
Inventor
이해훈
주용배
위성개
박대명
김원건
이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57B1/ko
Priority to US15/838,985 priority patent/US10549785B2/en
Priority to DE102018203545.8A priority patent/DE102018203545A1/de
Priority to CN201810251385.7A priority patent/CN109649497B/zh
Publication of KR2019004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58Passive coupling of the reinforcement elements to the door or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00)에 적용된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를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 및 상단 보강부(13C)로 구분하고,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Finput)을 상기 중간 보강부(13B)를 지나는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Fa)와 상기 하단 보강부(13A)를 지나는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Fb)의 2가지 방향으로 분산시켜주거나 또는 상기 상단 보강부(13C)를 지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Fc)와 함께 3가지 방향으로 분산시켜주도록 상기 A 필라(13)에 결합된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포함됨으로써 서로 덧대어진 브래킷간 중첩 면적(overlap area)의 확장으로 운전석과 동승석에 요구되는 신경사 충돌 규정 충족을 위한 차체 구조 강건성이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Collision Load Multi Decentralization type Side Body Frame and Vehicle thereby}
본 발명은 사이드 차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 시 입력 하중 집중부에 의한 국부적인 하중 집중화가 방지되는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을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정면충돌/옵셋(Offset Test)충돌/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Test) 충돌/신경사(Oblique Test)충돌 규정을 충족시켜야 한다.
일례로 상기 옵셋 충돌은 정면충돌 대비 차량정면 좌측부위 충돌 규정이고, 상기 스몰 오버랩 충돌은 정면충돌 대비 운전석 앞부분 부위 충돌 규정이며, 상기 신경사 충돌은 정면충돌 대비 사선 방향으로 빗겨 충돌시키는 대각선 방향 충돌 규정이다.
따라서 차량의 차체 구조는 정면/옵셋/스몰오버랩/신경사 충돌 규정을 충족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차량에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에 전방차체 강성강화구조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은 차량의 측면 뼈대로서, 승용차량의 경우 통상 중간 구간의 B 필라(pillar)를 기준으로 B 필라의 앞쪽을 A 필라로 그 뒤쪽을 C 필라로 하여 A 필라와 B 필라 사이를 전방도어 장착 공간으로 하는 반면 B 필라와 C 필라 사이를 후방도어 장착 공간으로 하며, 상기 A,B,C 필라의 아래쪽 프레임을 차체 바닥과 연결하고 반면 위쪽 프레임을 루프 패널과 연결한다.
일례로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A 필라 구간이 사이드 실 부재(side sill member)와 함께 별물 강성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전방강성부재를 통해 보강되고, 상기 전방강성부재가 A 필라 구간 변형을 줄여주는 전방차체 강성강화구조로 작용된다.
그 결과 상기 전방차체 강성강화구조는 실제적인 차량 충돌이 가져오는 A 필라 구간 변형에 대한 안전을 담보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부상을 방지한다.
일본특개 2014-080182(2014.5.8)
하지만 최근 들어 더욱 강화된 스몰오버랩 충돌 법규는 운전석과 동일하게 동승석에 대한 스몰오버랩 충돌 평가를 추가함으로써 운전석 스몰오버랩 충돌 평가에 만 맞춰진 전방차체 강성강화구조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 적용 차량은 전방강성부재로 전방차체 강성강화구조를 구현하더라도 구조 보강재 부품(structure reinforcement member)을 하나로 성형한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 구조 특성으로 인하여 스몰오버랩 충돌 평가 시 타이어 타격부의 차체 구조가 강건하지 못함으로써 동승석 스몰오버랩 충돌 평가를 충족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구나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 적용 차량의 타이어 타격부에 대한 차체 구조 강건성 부족은 타이어 인자(평가차량의 타이어 장착 사이즈)에 의한 A 필라 구간의 차체 변형량 증대로 스몰오버랩 차체 등급 편차도 발생됨으로써 운전석보다 가혹한 동승석 충돌 조건에 대하여 강건한 차체 구조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서로 덧댄 부품간 중첩 면적(overlap area)의 확장으로 충돌에 따른 타이어 타격 하중이 국부적인 하중 집중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차체 구조 강건성을 유지하고, 특히 타이어 사이즈에 따른 충돌 편차를 최소화하는 힘 분산 경로로 운전석과 동승석 스몰오버랩 충돌 평가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차체 프레임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A 필라를 하단 보강부와 중간 보강부 및 상단 보강부로 구분하고,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을 상기 중간 보강부를 지나는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상기 하단 보강부를 지나는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로 분산시켜주도록 상기 A 필라에 결합된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일체형 핫스템핑 구조이다.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용접과 볼트의 고정력으로 상기 A 필라에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사이즈(size)가 다른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으로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하고, 상기 A 필라에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에서,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 및 상기 상단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에 덧대어지고,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에 덧대어지며,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에 덧대어진다. 상기 하단 보강부는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과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의 포갠 구조로 용접 고정된 하단 중첩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의 포갠 구조로 용접 고정과 볼트 체결된 중간 중첩구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사이즈(size)가 다른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 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으로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하고, 상기 A 필라에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 및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함께 상기 타격하중을 상기 상단 보강부를 지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로 분산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에서,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 및 상기 상단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와 상기 상단 보강부에 덧대어지고,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에 덧대어지며,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에 덧대어지고,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은 상기 상단 보강부에 덧대어진다. 상기 하단 보강부는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과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의 포갠 구조로 용접 고정된 하단 중첩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의 포갠 구조로 용접 고정과 볼트 체결된 중간 중첩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의 “ㄷ" 단면과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의 감싼 구조로 용접 고정과 볼트 체결된 상단 중첩구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A 필라에는 도어 빔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 빔은 상기 중간 보강부에서 예각의 빔 경사각으로 상방향 경사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을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로 떨어진 위치에서 분산시켜주는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결합된 사이드 차체 프레임;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면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결합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A 필라로 장착되고,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이어주는 도어;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사이드 실 프레임으로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이어주는 사이드 실(side sill);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상기 타격하중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루프 프레임으로 분산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 및 상기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3가지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다른 사이즈(size)로 서로 중첩된 다수의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은 일체형 핫스템핑 구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은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A 필라 부위로 덧대어져 타이어 타격 하중을 받는 부품간 겹침 면적이 확장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정면/옵셋/신경사 충돌 규정 충족은 물론 운전석과 동승석에 대한 스몰오버랩 충돌 규정도 충족되는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을 포함한 사이드 차체 프레임이 제조된다. 둘째, 스몰오버랩 충돌 시 타이어 타격하중 멀티 분산을 극대화시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셋째, 충돌시 타격하중이 들어오는 A 필라 하단부를 결합강성증대구조의 하중집중부로 형성함으로써 도어빔과 사이드실쪽으로 하중흐름이 형성되는 효율적인 하중분산효과가 이루어진다. 넷째, 초기 충돌 시 A 필라 하단부의 무너짐 없는 충격흡수 후 도어 빔/사이드실쪽에 대한 하중을 전달 및 분산으로 차체 변형 최소화와 충격흡수 효율성 극대화가 가능하다. 다섯째,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결합강성증대구조가 A 필라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확장됨으로써 충격 하중의 상하 이중분산구조가 용이하게 구현된다. 여섯째,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스크랩부위(scrap part)가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결합강성증대구조에 적용됨으로써 별도 부품 적용대비 비용절감도 가능하다. 일곱째, 결합강성증대구조를 위한 부품을 사이드 차체 프레임과 상이한 두께와 재질로 선정함으로써 일체형 핫스템핑 사이드 차체 프레임 적용시 설계 자유도가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하중 멀티 분산 효율을 높여주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확장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하중 멀티 분산을 위한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시 타이어 타격 하중이 집중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하부부위 조립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이 적용된 차량의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을 신경사 충돌 규정으로 충돌 시험하는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차체 프레임에서 구현되는 타격하중 멀티 분산 상태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차체 프레임의 하부부위에서 구현되는 힘 분산 경로이며, 도 10은 도 9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 타격하중 멀티 분산 구조를 제공하는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예를 각각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일체형 핫스템핑(Hot-Stamping) 구조로 제조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고,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은 도시되지 않은 기타 사이드 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일체형 핫스템핑 구조는 사이드 스트럭처 보강재 부품을 하나로 성형하는 차체 경량화 방식을 의미한다.
일례로 도 1의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로서, 이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과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로 구성된다. 반면 도 2의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로서, 이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과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을 공통 구성요소로 하여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과 도어 빔(60)을 더 포함해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 하단부쪽 도어 로워 힌지부와 사이드실부에 대한 결합강성 증대로 타격하중의 하중흐름을 도어 임펙트바 쪽과 사이드실 쪽으로 분산시켜준다. 반면 상기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효과에 더하여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에 의한 A 필라 상단부 결합 강성 증대와 도어 빔(60)에 의한 하중흐름으로 차량 특성에 맞춘 하중흐름경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 결과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 또는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적용함으로써 차체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충돌흡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은 B 필라(11)를 중간 위치로 하여 앞쪽으로 A 필라(13)를 형성하면서 뒤쪽으로 C 필라(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 측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은 사이드 실 프레임(15)으로 하단 연결부를 형성하여 사이드 실(도시되지 않음)과 연계되고, 루프 프레임(17)으로 상단 연결부를 형성하여 루프 패널(도시되지 않음)과 연계된다.
특히 상기 A 필라(13)는 전체 수직구간을 사이드 실 프레임(15)에 이어져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이 덧대어지는 하단 보강부(13A), 루프 프레임(17)에 이어져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이 덧대어지는 상단 보강부(13C), 하단 보강부(13A)와 상단 보강부(13C)의 사이에서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이 덧대어지는 중간 보강부(13B)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중간 보강부(13B)에는 로어 볼팅면(13-1)이 뚫려져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을 볼팅 체결하고, 상기 상단 보강부(13C)에는 어퍼 볼팅면(13-2)이 뚫려져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을 볼팅 체결한다.
그러므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은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와 중단 보강부(13B)에 대한 강성 강화 구조로 상기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하는 반면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 및 상단 보강부(13C)에 대한 강성 강화 구조로 상기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은 도 1과 같이 좌면 바디(21)와 좌면 바디(21)에 단차지도록 좌면 바디(21)의 한쪽으로 절곡된 측면 바디(23)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한다. 또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은 도 2와 같이 좌면 바디(21)와 좌면 바디(21)의 한쪽 전체 측면으로 절곡되어 좌면 바디(21)와 단차진 측면 바디(23) 및 좌면 바디(21)의 다른쪽 일부 측면으로 연장되어 좌면 바디(21)에서 돌출된 연장 바디(25)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좌면 바디(21)는 A 필라(13)의 전체 수직구간의 측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측면 바디(23)는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에 덧대어지며, 상기 연장 바디(25)는 A 필라(13)의 상단 보강부(13C)에 덧대어진다. 상기 좌면 바디(21)에는 안착면(21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1A)은 좌면 바디(21)에 덧대어진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의 볼팅 체결 부위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 바디(25)는 “ㄷ" 단면 구조로 연장됨으로써 “ㄷ" 단면 구조로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을 감싸 덧대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은 중첩 좌면 바디(31)와 중첩 좌면 바디(31)에 단차지도록 중첩 좌면 바디(31)의 한쪽으로 절곡된 중첩 측면 바디(3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중첩 좌면 바디(31)에는 밀착면(35)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35)은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좌면 바디(21)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이 A 필라(13)의 중간 보강부(13B)와 볼팅 체결되는 부위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은 사이드 실 바디(41)와 사이드 실 바디(41)에 단차지도록 사이드 실 바디(41)의 위쪽으로 절곡된 중첩 연장 바디(4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사이드 실 바디(41)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사이드 실 프레임(15)으로 덧대어지고, 상기 중첩 연장 바디(43)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쪽에서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의 중첩 좌면 바디(31)의 일부부위로 덧대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은 연결 바디(51)와 연결 바디(51)에서 절곡되어 단차진 안착 플랜지(5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결 바디(51)에는 볼팅 좌면(55)이 형성되고, 상기 볼팅 좌면(55)은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연장 바디(25)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이 A 필라(13)의 상단 보강부(13C)와 볼팅 체결되는 부위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 플랜지(53)는 연결 바디(51)의 폭에 대해 위쪽으로 절곡된 상측 안착 플랜지(53a)와 아래쪽으로 절곡된 하측 안착 플랜지(53b)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빔(60)은 A 필라(13)와 B 필라(11)에 용접 고정되고, A 필라(13)에서 B 필라(11)를 향해 예각의 빔 경사각을 형성한다.
한편 도 3은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 대한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 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은 A 필라(13)를 이용하여 사이드 아우터 패널(10)과 함께 일체화되고, 도어 빔(60)은 예각의 빔 경사각으로 A 필라(13)에서 B 필라(11)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 상기 도어 빔(60)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이하 브래킷(20,30,40,50)간 중첩구간(overlap area)은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에서 형성된 하단 중첩구간과 중간 보강부(13B)에서 형성된 중간 중첩구간 및 상단 보강부(13C)에서 형성된 상단 중첩구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은 필라(13)의 측면부위와 함께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 및 상단 보강부(13C)로 덧대어짐으로써 충돌시 에너지 흡수와 함께 충돌 하중을 분산하는 충돌 보강부재로 작용하고, 특히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과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에 대한 1개소 이상의 볼팅 힌지부 연결 구조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상하부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줌과 더불어 장착된 도어의 도어 처짐을 방지하는 내구성도 제공한다.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은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에서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좌면 바디(21)로 덧대어짐으로써 충돌 보강부재로 작용하여 충돌시 에너지 흡수와 함께 충돌 하중 분산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은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에서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의 중첩 좌면 바디(31)로 덧대어짐으로써 충돌 보강부재로 작용하여 충돌시 에너지 흡수와 함께 충돌 하중을 사이드실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은 A 필라(13)의 상단 보강부(13C)에서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연장 바디(25)로 덧대어짐으로써 충돌시 에너지 흡수와 함께 충돌 하중을 분산하는 충돌 보강부재로 작용하고, 특히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과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에 대한 1개소 이상의 볼팅 힌지부 연결 구조로 추가적인 강건성을 확보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도어 빔(60)은 예각의 빔 경사각으로 하중흐름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차량 특성에 맞춘 타격하중의 하중흐름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한편 도 4와 도 5는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의 고정 구조와 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구조는 용접 구조와 볼팅 구조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용접과 볼트의 체결력 시너지 효과로 A 필라(13)의 필라 하단부 결합 강성을 크게 증대시켜 준다. 그 결과 초기 충돌시 A 필라(13)에서 필라 하단부의 무너짐(예, 부품간 터짐 발생 및 패널 크랙 등) 없는 충돌 흡수가 가능하고, 특히 도어 빔(60)과 사이드실쪽으로 하중의 전달 및 분산율을 높여 줌으로써 차체 변형 최소화와 함께 충돌 흡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도 4 및 도 5의 용접 구조를 참조하면, 상기 용접 구조는 용접 포인트(70)로 형성된다.
상기 용접 포인트(70)는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이 서로 중첩(overlap)되어 A 필라(13)의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로 덧대어진 상태에서 서로의 중첩 부위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 포인트(70)는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이 서로 중첩(overlap)되어 A 필라(13)의 상단 보강부(13C)로 덧대어진 상태에서 서로의 중첩 부위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의 볼팅 구조를 참조하면, 상기 볼팅 구조는 볼트 축(81)과 너트(82) 및 부시(83)를 이용하여 도어 패널(90)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에 대한 볼팅 포인트(80)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볼트 축(81)은 도어 패널(90)에서 A 필라(13)의 중간 보강부(13B)(및 상단 보강부(13C))와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안착면(21A)(및 연장바디(25)) 및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의 밀착면(35)(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의 볼팅 좌면(55))을 관통하고, 상기 너트(82)는 도어 패널(90)쪽에서 볼트 축(81)과 결합되며, 상기 부시(83)는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쪽에서 볼트 축(81)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볼팅 포인트(80)는 A 필라(13)의 중간 보강부(13B)와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안착면(21A) 및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의 밀착면(35)을 이용해 소정 간격으로 떨어진 2개소 위치에 형성되고, A 필라(13)의 상단 보강부(13C)와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연장 바디(25) 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의 볼팅 좌면(55)을 이용해 소정 간격으로 떨어진 2개소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도 6은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이 적용된 차량(100)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의 위쪽부위로 루프(100-1)를 형성하면서 아래쪽부위로 사이드 실(side sill)(100-2)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는 A 필라(13)와 B 필라(11)(및 C 필라(도시되지 않음)와 B 필라(11)의 공간으로 도어(11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도 1의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인 사이드 아우터 패널(10)과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2의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인 사이드 아우터 패널(10)과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을 공통 구성요소로 하여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과 도어 빔(60)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110)는 도 5의 볼팅 포인트(80)를 적용함으로써 도어 이너 패널(91)과 도어 아우터 패널(92)로 이루어진 도어 패널(90)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쪽에서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차량(100)의 신경사 충돌 시험시 도 6과 같이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 적용된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타격하중 멀티 분산 작용을 나타낸다. 이 경우 운전석과 동승석은 동일한 구조의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이 적용되므로 운전석에 대한 신경사 충돌 시험 결과는 동승석에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난다.
도 7을 참조하면, 충돌 배리어(collision barrier)(200)에 의한 차량(100)의 신경사 충돌 시험은 앞바퀴쪽을 통해 전달된 타격하중(Finput)이 A 필라(13)쪽을 하중 입력점으로 하여 사이드 차체 프레임(1)과 도어(110)를 변형시켜 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하중의 흐름 경로는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1)에 구비된 타격하중 분산멤버를 통해 분산된다. 즉, 타이어를 통해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으로 전달되는 타격하중(Finput)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를 하중 입력점으로 하여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Fa)와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Fb) 및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Fc)의 3가지 방향으로 분산되는 흐름 경로를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Fa)는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과 도어 빔(60)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Fb)는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과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Fc)는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을 통한 루프 프레임(17)을 통해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의 용접 포인트(70)와 함께 프론트 필라 브래킷(20)과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의 볼팅 포인트(80)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에 대한 필라 하단부의 결합 강성을 증대한다.
그 결과 하중 입력점을 형성하는 A 필라(13)는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Fb)로 타격하중(Finput)을 도어 빔(60)쪽으로 전달 및 분산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Fa)로 타격하중(Finput)을 사이드실(100-2)쪽으로 전달 및 분산함으로써 신경사 충돌시에도 부품간 터짐 발생 및 패널 크랙 등으로 무너지지 않는 내구성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충돌을 일부 흡수하면서 사이드 실(100-2)과 도어(110)쪽으로 전달 및 분산되는 하중으로 차체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충돌 흡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구성 요소중 프론트 필라 브래킷(20),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30),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40) 및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50)의 재질과 사이즈(size)(예, 두께 및 형상)를 튜닝 항목으로 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프론트 필라 브래킷(20)의 사이즈 튜닝은 타격하중 분산멤버의 전체 중량 감소와 함께 A 필라(13)의 변형율을 낮추어 보다 효과적인 차체 변형 최소화와 충돌 흡수 효율 극대화를 실험결과로 확인하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에 적용된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1)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0)의 A 필라(13)를 하단 보강부(13A)와 중간 보강부(13B) 및 상단 보강부(13C)로 구분하고,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Finput)을 상기 중간 보강부(13B)를 지나는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Fa)와 상기 하단 보강부(13A)를 지나는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Fb)의 2가지 방향으로 분산시켜주거나 또는 상기 상단 보강부(13C)를 지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Fc)와 함께 3가지 방향으로 분산시켜주도록 상기 A 필라(13)에 결합된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포함됨으로써 서로 덧대어진 브래킷간 중첩 면적(overlap area)의 확장으로 운전석과 동승석에 요구되는 신경사 충돌 규정 충족을 위한 차체 구조 강건성이 유지된다.
1 : 사이드 차체 프레임
10 : 사이드 아우터 패널 11 : B 필라
13 : A 필라 13A : 하단 보강부
13B : 중간 보강부 13C : 상단 보강부
13-1 : 로어 볼팅면 13-2 : 어퍼 볼팅면
15 : 사이드 실 프레임 17 : 루프 프레임
20 : 프론트 필라 브래킷 21 : 좌면 바디
21A : 안착면 23 : 측면 바디
25 : 연장 바디 30 :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
31 : 중첩 좌면 바디 33 : 중첩 측면 바디
35 : 밀착면 40 :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
41 : 사이드 실 바디 43 : 중첩 연장 바디
50 :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
51 : 연결 바디 53 : 안착 플랜지
53a,53b : 상,하측 안착 플랜지
55 : 볼팅 좌면 60 : 도어빔
70 : 용접 포인트 80 : 볼팅 포인트
81 : 볼트 축 82 : 용접 너트
83 : 부시 90 : 도어 패널
91 : 도어 이너 패널 92 : 도어 아우터 패널
100 : 차량 100-1 : 루프
100-2 : 사이드 실(side sill)
110 : 도어 200 : 충돌 배리어(collision barrier)

Claims (16)

  1.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A 필라를 하단 보강부와 중간 보강부 및 상단 보강부로 구분하고,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을 상기 중간 보강부를 지나는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상기 하단 보강부를 지나는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 및 상기 상단 보강부를 지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로 분산시켜주도록 상기 A 필라에 결합된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포함되며,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프론트 필라 브래킷,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 및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으로 구성된 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 또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 및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과 함께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으로 구성된 상하단 집중형 타격하중 분산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 및 상기 상단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 또는 상기 중간 보강부와 상기 상단 보강부에 덧대어지고,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와 상기 중간 보강부의 측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중간 보강부에 덧대어지며,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은 상기 하단 보강부에 덧대어지고,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은 상기 상단 보강부에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일체형 핫스템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 보강부는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과 상기 사이드 실 보강 브래킷의 하단 중첩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상기 로어 힌지 보강 브래킷의 중간 중첩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과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의 상단 중첩구간은 상기 상단 보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단 중첩구간과 상기 중간 중첩구간의 각각은 포갠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 중첩구간은 감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싼 구조는 상기 프론트 필라 브래킷의 “ㄷ" 단면이 상기 어퍼 힌지 보강 브래킷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단 중첩구간은 용접되고, 상기 중간 중첩구간과 상기 상단 중첩구간의 각각은 용접되고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필라에는 도어 빔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 빔은 상기 중간 보강부에서 예각의 빔 경사각으로 상방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차체 프레임.
  14. 청구항 1,2,5 및 청구항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이드 차체 프레임이 적용된 차량에 있어서,
    충돌에 따른 변형으로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타격하중을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로 떨어진 위치에서 분산시켜주는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결합된 사이드 차체 프레임;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면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가 결합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A 필라로 장착되고,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이어주는 도어;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사이드 실 프레임으로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이어주는 사이드 실(side sill);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타격하중 분산멤버는 상기 타격하중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루프 프레임으로 분산되는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도어 하중분산 흐름 경로와 상기 사이드 실 하중분산 흐름 경로 및 상기 루프 하중분산 흐름 경로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3가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차체 프레임은 일체형 핫스템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70129389A 2017-10-11 2017-10-11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KR10242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89A KR102429057B1 (ko) 2017-10-11 2017-10-11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US15/838,985 US10549785B2 (en) 2017-10-11 2017-12-12 Collision load multi-decentralization type side body fr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E102018203545.8A DE102018203545A1 (de) 2017-10-11 2018-03-08 Seitenwandrahmen des Kollisionslast-Multi-Dezentralisierungstyps und Fahrzeug mit diesem
CN201810251385.7A CN109649497B (zh) 2017-10-11 2018-03-26 碰撞载荷多向分散型侧车身框架和包括其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89A KR102429057B1 (ko) 2017-10-11 2017-10-11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33A KR20190040533A (ko) 2019-04-19
KR102429057B1 true KR102429057B1 (ko) 2022-08-04

Family

ID=6581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389A KR102429057B1 (ko) 2017-10-11 2017-10-11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49785B2 (ko)
KR (1) KR102429057B1 (ko)
CN (1) CN109649497B (ko)
DE (1) DE102018203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245A1 (ja) * 2017-01-20 2018-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11155303B2 (en) * 2019-12-18 2021-10-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ad deflection system for small overlap impact
KR20220019533A (ko) * 2020-08-10 2022-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터 필러 구조
CN113771952A (zh) * 2021-09-15 2021-12-10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a柱抗撞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14B1 (ko) * 2009-11-25 2012-03-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차량의 프런트 도어와 로어 프런트 필러 보강구조
JP5920527B2 (ja) * 2013-03-26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955A (ja) * 2000-05-29 2001-12-04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ドアの補強構造
JP3969054B2 (ja) * 2001-10-25 2007-08-2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ピラー下部構造
JP4853101B2 (ja) * 2006-05-12 2012-01-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7731272B2 (en) * 2007-12-26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pillar force transfer structure
WO2010073303A1 (ja) * 2008-12-22 2010-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5526644B2 (ja) * 2009-08-06 2014-06-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JP4996707B2 (ja) * 2010-03-17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DE102011082526A1 (de) * 2011-09-12 2013-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 mit Schiebetürsystem
JP5879938B2 (ja) * 2011-11-04 2016-03-0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後部の側部パネルの補強構造
KR101371838B1 (ko) * 2012-08-21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충돌 에너지 분산 구조
JP6172848B2 (ja) 2012-09-26 2017-08-02 株式会社Subaru 車両
JP5755258B2 (ja) * 2013-01-07 2015-07-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側部構造
KR101575320B1 (ko) * 2013-12-16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체 보강구조
JP6357886B2 (ja) * 2014-06-03 2018-07-1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US20150352929A1 (en) * 2014-06-06 2015-12-10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Vehicle door reinforcement insert
JP6185437B2 (ja) * 2014-07-18 2017-08-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102869B2 (ja) * 2014-09-19 2017-03-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ドア取付部構造及びドア取付部製造方法
JP6252617B2 (ja) * 2016-04-28 2017-12-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6555303B2 (ja) * 2017-07-28 2019-08-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6834859B2 (ja) * 2017-09-05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部材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14B1 (ko) * 2009-11-25 2012-03-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차량의 프런트 도어와 로어 프런트 필러 보강구조
JP5920527B2 (ja) * 2013-03-26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9497B (zh) 2022-10-11
US10549785B2 (en) 2020-02-04
US20190106154A1 (en) 2019-04-11
CN109649497A (zh) 2019-04-19
DE102018203545A1 (de) 2019-04-11
KR20190040533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057B1 (ko) 타격하중 멀티 분산형 사이드 차체 프레임 및 차량
DE102017011779B4 (de) Seiten-Fahrzeugkarosseriestruktur für ein Fahrzeug
EP2105372B1 (en) Frame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automotive vehicle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providing a frame structure
US7316446B2 (en) Supporting part of a vehicle door
US8814248B2 (en) Motor vehicle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US7581781B2 (en) Device for absorbing lateral forces during a side impact of a motor vehicle
JP2007038839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11088596A (ja) 車両の車体構成部材
JPH0872740A (ja) 車両のセンタピラー部全周閉断面構造
JP2008284936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02371245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구조
JP2008137483A (ja) 車体前部構造
JP6172211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N109664945B (zh) 车辆侧部结构
JP4872624B2 (ja) 車体前部構造
CN108367789B (zh) 在纵梁与下边梁部分之间包括加强元件的车辆底部结构
JP5054467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H11310036A (ja) 車両用側部ドア構造
CN114056435B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CN113302072B (zh) 汽车的侧部构造及汽车
JP2008143194A (ja) 車体前部構造
JP4592399B2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13112305A (ja) 車体側部構造
JP2006224806A (ja) フェンダ支持構造
US10427723B2 (en)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