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733B1 -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 Google Patents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733B1
KR102428733B1 KR1020200140909A KR20200140909A KR102428733B1 KR 102428733 B1 KR102428733 B1 KR 102428733B1 KR 1020200140909 A KR1020200140909 A KR 1020200140909A KR 20200140909 A KR20200140909 A KR 20200140909A KR 102428733 B1 KR102428733 B1 KR 10242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mixture
fermented
vinegar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900A (ko
Inventor
김청한
Original Assignee
김청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한 filed Critical 김청한
Priority to KR102020014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7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4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from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8Addition of flavour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2Gingko Bilob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산야초추출물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이 담긴 용기에 은행과 인삼을 포함하는 종초를 넣고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제조하여 발효식초을 만드는 것으로써,
산야초를 통해 혈액순환 및 은은한 담백한 맛과 냄새를 부가하고 적정기간 의 숙성을 통해 유기산, 비타민, 항산화 및 아미노산의 성분을 더욱 활발하게 하며, 그 동시에 알칼리식품으로 변환시켜 독성을 완전제거하여 인체에 완전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how to make vinegar using a gingko}
본 발명은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산야초추출물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이 담긴 용기에 은행과 인삼을 포함하는 종초를 넣고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제조하여 발효식초을 만드는 것으로써,
산야초를 통해 혈액순환 및 은은한 담백한 맛과 냄새를 부가하고 적정기간 의 숙성을 통해 유기산, 비타민, 항산화 및 아미노산의 성분을 더욱 활발하게 하며, 그 동시에 알칼리식품으로 변환시켜 독성을 완전제거하여 인체에 완전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은 기침, 가래, 기관지 천식 및 해소등 호흡기질환에 특효라고 전해내려왔다.
현대에 와서 혈액순환에 좋다고 알려진 후 여러 가지 순환기 질환에도 아주 효과가 좋은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그로인해, 은행에 대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은행 외피에는 초산균과 과일과 비슷한 적당한 당도로 식초가 될 수 있는 좋은 조건들을 가지고 있어 은행을 이용한 식초가 제조되고 있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10-1432214(등록일자:2014년08월13일) 은행의 외과피를 이용한 식초제조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단지 은행만을 사용하여 제조하여 본 발명자는 은행 이외에 산야초추출물 및 인삼를 첨가하여 더욱 업그레이된 은행식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432214(등록일자:2014년08월13일)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산야초추출물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이 담긴 용기에 은행과 인삼을 포함하는 종초를 넣고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제조하여 발효식초을 만들고,
산야초를 통해 혈액순환 및 은은한 담백한 맛과 냄새를 부가하고 적정기간 의 숙성을 통해 유기산, 비타민, 항산화 및 아미노산의 성분을 더욱 활발하게 하며,
그 동시에 알칼리식품으로 변환시켜 독성을 완전제거하여 인체에 완전무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용기에 담는 단계(S2)와,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wt%, 실쇄채나물 0.1 ~ 1wt%, 처녀백지 잎 0.1 ~ 1.0wt% 및 은행열매 1.0 ~ 2.0wt% 를 1 ~ 5시간 동안 70 ~ 80 ℃에서 열수추출하여 산야초추출물을 만드는 단계(S3)와,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와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4)와,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가 담긴 용기에 종초 35.0 ~ 60.0 wt%를 넣고 25 ~ 30 ℃ 에서 6 ~ 10 개월 동안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및 은행열매 1. 0 ~ 2.0 wt% 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야초추출물과,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과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 은행산야초혼합물과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와 종초 35.0 ~ 60.0 wt%를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은행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및 은행열매 1.0 ~ 2.0 wt% 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야초추출물과,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과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 은행산야초혼합물과,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와 종초 35.0 ~ 60.0 wt%를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은행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식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은행, 산야초 및 인삼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하면서 혈액순환 및 은은한 담백한 맛과 냄새를 부가하는 동시에 면역력을 증진 효과를 증폭시키고,
또한, 적정기간의 숙성을 통해 유기산, 비타민 항산화 및 아미노산의 성분을 더욱 활발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용기에 담는 단계(S2)와,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및 은행열매 1.0 ~ 2.0 wt% 를 1 ~ 5시간 동안 70 ~ 80 ℃에서 열수추출하여 산야초추출물을 만드는 단계(S3)와,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와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4)와,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가 담긴 용기에 종초 35.0 ~ 60.0 wt%를 넣고 25 ~ 30 ℃ 에서 6 ~ 10 개월 동안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5)를 포함한다.
또한,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및 은행열매 1.0 ~ 2.0 wt% 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야초추출물과,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과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 은행산야초혼합물과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와 종초 35.0 ~ 60.0 wt%를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은행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성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처녀백지는 미나리과 식물로써, 높이 50 ~ 80 cm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굵은 뿌리를 가졌으며 털이 없다.줄기는 곧게 서고 약간의 가지를 친다.
상기 뿌리로부터 자라나는 잎과 밑동에 달리는 잎은 길이 10~25 cm로 9개 안팎의 잎 조각이 모여 깃털 모양을 이룬다. 잎 조각은 길쭉한 타원 꼴이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자루는 홈통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린다.
실쇄채나물은 국화과 식물로써, 두해살이풀이며 줄기는 한 자리에서 하나만 곧게 서고 50~100 cm 높이로 자란다.겨울을 지내고 난 잎은 길이 14~30 cm로 땅거죽에 여러 개가 뭉치며 줄 꼴에 가까운 피침 꼴로 생겼다.줄기에 나는 잎은 피침 꼴로 잎자루가 없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잎은 모두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끝에서 갈라져 나간 가지 끝에 각기 1송이씩의 꽃을 피우는데 전체적으로 술과 같은 외모를 가진다. 8장의 꽃잎으로 구성되는 꽃은 지름이 3 cm 안팎이고 노랗게 피어난다. 꽃받침의 끝부분은 붉은빛을 띤 보랏빛으로 물든다.
나리난초는 여러해살이풀로 이름에서 나타나듯 난초의 한 종류이다.땅속에 계란 모양의 푸른 가덩이줄기가 자리한다.가덩이줄기에서 봄이 되면 넓고 부드러운 2장의 잎이 자라나온다. 잎은 넓은 타원 꼴로 울릉도에서 나는 산마늘과 비슷한 외모를 가졌으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여 톱니를 가지지 않는다. 잎 사이로부터 하나의 꽃대가 자라나 그 끝부분에 10여 송이의 꽃이 이삭 모양으로 뭉쳐 피며 지름은 2.5 cm 안팎이다. 아래쪽 꽃잎이 두드러지게 커서 특이한 외모를 보이며 빛깔은 검은 자갈빛이다.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는 단계(S1)]
은행 열매를 반으로 자르면 바깥에 외과피가 있고, 안쪽에 단단한 껍질에 싸인 종실이 있다.
상기 외과피는 당도가 20 ~ 22 Brix 이고, 상기 종실은 5 ~ 6 Brix로 상기 외과피와 종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전체적인 당도가 감소되어 외과피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행과즙을 용기에 담는 단계(S2)]
상기 S1단계에서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용기에 담는다.
상기 용기는 소독하고 사용하는 것이 은행과즙이 부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용기는 항아리, 유리병등 소독하기 쉬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야초추출물을 만드는 단계(S3)]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은행열매 1.0 ~ 2.0 wt% 를 1 ~ 5시간 동안 70 ~ 80 ℃에서 열수추출하여 산야초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정제수가 95.0 wt% 미만일 경우, 성분들의 특유냄새로 인해 냄새가 역해지거나 꾸덕해질 수 있고, 98.0 wt% 초과일 경우 오히려 너무 연해져 상기 제시된 한정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행잎 0.2 wt%이 미만이면 여러 종류의 후라보노이드를 통한 모세헐관의 흐름을 원활히 해주고 혈관을 강하게 해주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wt% 초과이면 사람의 체질의 따라 두통 및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한정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리난초 잎 0.1 wt% 미만이면 은은한 단백한 냄새와 맛을 낼 수 있는 효과를 상실할 수 있고, 1.0 wt% 초과이면 초과범위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불필요하다.
상기 실쇄채나물 0.1 wt % 미만이면 진정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wt% 초과이면 초과범위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불필요하다.
처녀백지 잎 0.1 wt% 미만이면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wt% 초과이면 사람의 체질의 따라 두통 및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한정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행열매는 외과피와 종실을 포함하여 열매 통째로 넣고, 1.0 wt% 미만이면 종실에 다량 포함하고 있는 비타민B를 통한 체네 에너지 생성으로 인한 피로회복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 wt% 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적 손실이다.
또한, 정제수 97.5 wt%, 은행잎 0.2 wt%, 나리난초 잎 0.1 wt%, 실쇄채나물 0.1 wt%, 처녀백지 잎 0.1wt% 및 은행열매 2.0% wt%를 5시간 동안 75 ℃에서 열수추출하여 산야초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은행산야초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4)]
상기 용기에 미리 담겨있는 은행과즙 98.0 wt% ~ 99.0 wt%와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제조한다.
[발효은행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5)]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가 담긴 용기에 종초 35.0 ~ 60.0 wt%를 넣고 상기 용기를 밀봉한 후 25 ~ 30 ℃에서 6 ~ 10개월 동안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보관하는 장소는 빛이 최대한 들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 보관하고, 온도는 25 ℃미만이면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30 ℃ 초과이면 말라버릴 수 있어 한정온도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65.0 wt% 가 담긴 용기에 종초 35.0 wt%를 넣는다.
상기 발효은행혼합물은 옻, 탄닌이 다량 들어 있어 발효가 잘 되지 않아 옻이나 타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 6개월 이상의 숙성을 거쳐야한다.
또한, 숙성기간이 오래될수록 유기산, 비타민 및 아미노산의 성분이 더욱 활발해지고, 그 과정에서 알칼리식품으로 변환되어 은행자체의 독성이 없어지고, 유기산, 항산화물 항암물질 등이 다량 조성되어 인체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고,
발효은행혼합물의 함유되는 장코플라톤을 통해 혈관 내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줘 몸속의 독소를 배출시킨다.
또한, 식초제조 과정에 핵심요소인 초산균은 증식을 위해 산소가 필수적인 절대호기성(obligate aerobe)균인 알파프로테오 박테리아에 속하는 균으로써,
6 ~ 10개월 동안 발효은행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발효숙성하는 과정동안 1달에 1 ~ 2회 밀봉된 용기를 열어 상기 용기에서 발효숙성중인 발효은행혼합물을 10 ~ 20분 저어주어 초산균이 산소 공급을 받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초는 발효은행혼합물 즉 식초를 제조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로써, 식초 제조과정에 쓰이는 새로운 식초를 담글때 종(種)이 되는 초를 의미하고 어떤 종초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상기 식초 즉 발효은행혼합물의 맛과 질이 달라진다.
이하, 종초 제조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발효숙성하는 단계(S1')]
막걸리를 용기에 담고 입구를 밀봉하여 5 ~ 8일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고, 상기 제시되는 말걸리는 시중에 판매하거나 또는 직접 담근 막걸리로써, 따로 한정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침전물을 여과하여 여과액만 용기에 남기는 단계(S2') ]
상기 용기를 개방한 후 아래로 침전된 침전물은 걸러 여과하고 상부에 맑게 뜬 여과액만 용기에 담는다.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용기에 입구를 공기가 통하는 천으로 밀봉하여 상기 여과액을 2 ~ 3일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여 초산발효액을 제조한다.
[ 여과하여 초산발효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S4')]
상기 초산발효액의 침전물을 다시 걸러 여과하여 초산발효여과액을 제조한다.
[제2초산발효액을 만드는 단계(S5')]
상기 제조된 초산발효여과액 80.0 wt%에 은행과즙 15.0 wt% 및 인삼 5.0 wt% 를 혼합하여 과즙발효혼합액을 제조하고 3 ~ 6개월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여 제2초산발효액을 제조한다.
상기 은행과즙에는 본래 초산균이 서식하여 은행과즙은 초산발효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인삼 및 은행과즙을 추가로 첨가하면서 혈액순환,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3 ~ 6개월 동안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용기를 개방하여 저어주고 이는 1달에 1 ~ 2회 하는 것이 초사균활성화에 제일 바람직하다.
[종초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제2초산발효액의 인삼 즉 인삼건더기는 걸러내고 침전물을 걸러 여과하여 종초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정제수 97.5 wt%, 은행잎 0.2 wt%, 나리난초 잎 0.1 wt%, 실쇄채나물 0.1 wt%, 처녀백지 잎 0.1 wt% 및 은행열매 2.0 wt%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야초추출물과,
은행과즙 99.0 wt%과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 은행산야초혼합물과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65.0 wt%와 종초 35.0 wt%를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은행 혼합물인 은행식초를 제조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은행, 산야초 및 인삼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하면서 혈액순환 및 은은한 담백한 맛과 냄새를 부가하고 적정기간의 숙성을 통해 유기산, 비타민 항산화 및 아미노산의 성분을 더욱 활발하게 하며, 면역력을 증진시켜 산업상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Claims (4)

  1. 은행열매의 외과피와 종실을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분리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압착하여 은행과즙;을 만든 후 상기 은행과즙을 용기에 담는 단계(S2)와,
    정제수 95.0 ~ 98.0 wt%, 은행잎 0.2 ~ 1.0 wt%, 나리난초 잎 0.1 ~ 1.0 wt%, 실쇄채나물 0.1 ~ 1.0 wt%, 처녀백지 잎 0.1 ~ 1.0 wt% 및 은행열매 1.0 ~ 2.0 wt% 를 1 ~ 5시간 동안 70 ~ 80 ℃에서 열수추출하여 산야초추출물을 만드는 단계(S3)와,
    상기 은행과즙 98.0 ~ 99.0 wt%와 상기 산야초추출물 1.0 ~ 2.0 wt%를 혼합하여 은행산야초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4)와,
    상기 은행산야초혼합물 40.0 ~ 65.0 wt%가 담긴 용기에 종초 35.0 ~ 60.0 wt%를 넣고 25 ~ 30 ℃ 에서 6 ~ 10 개월 동안 발효숙성하여 발효은행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초는, 막걸리를 용기에 담고 입구를 밀봉하여 5 ~ 8일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고,
    상기 용기를 개방한 후 침전물을 여과하여 여과액만 용기에 남기고,
    상기 용기에 입구를 천으로 밀봉하여 상기 여과액을 2 ~ 3일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여 초산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초산발효액의 침전물을 다시 걸러 여과하여 초산발효여과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초산발효여과액에 은행과즙 및 인삼을 혼합하여 과즙발효혼합액을 제조하고 3 ~ 6개월 동안 25 ~ 30 ℃에서 발효숙성하여 제2초산발효액을 만들고,
    상기 제2초산발효액에 담긴 인삼 건더기를 제거하고 침전물을 걸러 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0909A 2020-10-28 2020-10-28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KR10242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09A KR102428733B1 (ko) 2020-10-28 2020-10-28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09A KR102428733B1 (ko) 2020-10-28 2020-10-28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00A KR20220056900A (ko) 2022-05-09
KR102428733B1 true KR102428733B1 (ko) 2022-08-03

Family

ID=8158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09A KR102428733B1 (ko) 2020-10-28 2020-10-28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82A (ko) 2022-10-20 2024-04-29 장감용 블루베리와 은행 과즙을 혼합한 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14B1 (ko) 2013-08-30 2014-08-21 한애가(주) 은행외과피를 이용하는 식초 제조방법
KR20150025860A (ko) * 2013-08-30 2015-03-11 한애가(주)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39625A (ko) * 2013-10-02 2015-04-13 김청한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82A (ko) 2022-10-20 2024-04-29 장감용 블루베리와 은행 과즙을 혼합한 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00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8595B2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JP5120616B2 (ja) オリーブ薬膳酒の製造方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428733B1 (ko) 은행을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은행식초
CN107114515A (zh) 一种桂花茶的制作方法
KR20070038481A (ko) 쑥식초와 그의 제조방법.
KR20090001234A (ko) 머루와인의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CN107319071A (zh) 一种桑叶茶的制备方法
KR102091783B1 (ko) 버섯 가공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4159B1 (ko) 솔잎과 매실을 이용한 곶감 제조방법
KR100421586B1 (ko) 미나리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20170089195A (ko) 버섯차 제조방법
KR102009427B1 (ko) 황칠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200005797A (ko) 감을 이용한 스파클링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0831B1 (ko)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KR102495533B1 (ko) 맛과 향이 개선된 은행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382950B1 (ko) 혼합 벌꿀의 제조방법
KR102181883B1 (ko) 청국장을 이용한 곤드레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110073003A (ko) 댕댕이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55323A (ko) 갈변을 이용한 제1모수, 제2모수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12219926B (zh) 一种桦树茸明日叶茶及其制备方法
KR101700861B1 (ko) 황칠 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발효 숙성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