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598B1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598B1
KR102425598B1 KR1020217017314A KR20217017314A KR102425598B1 KR 102425598 B1 KR102425598 B1 KR 102425598B1 KR 1020217017314 A KR1020217017314 A KR 1020217017314A KR 20217017314 A KR20217017314 A KR 20217017314A KR 102425598 B1 KR102425598 B1 KR 10242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weight
monomer
preferabl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375A (ko
Inventor
히나 야스다
야스시 이시도
사토시 도이
다츠야 니시가키
마코토 후쿠야마
아키후미 호리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2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한편, 내열성도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하드 블록과 1 개의 소프트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소프트 블록은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조립을 위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또, 차재용 패널 등의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을 차량 본체에 고정시키는 용도에도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8274호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에는, 높은 점착력이 요구됨과 함께 충격에 의해서도 박리되지 않는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 차재용 전자 기기 등은,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형상이 보다 복잡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차, 모서리, 비평면부 등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점착 테이프에는 피착체의 형상에 추종할 수 있는 우수한 유연성이 요구된다.
상기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 차재용 전자 기기 등은, 고성능화나 고집적화에 수반하여 가동시의 온도가 고온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장기간 고온이 되는 기기에 상기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 열에 완전히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어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한편, 내열성도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하드 블록과 1 개의 소프트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소프트 블록은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연속 기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독립 기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는데, 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은 양면 모두 동일한 점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하드 블록과 1 개의 소프트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하드 블록이란, 고응집력을 갖고 의사 (疑似) 가교점의 역할을 갖는 블록이며, 소프트 블록이란,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유연한 블록을 가리킨다. 하드 블록과 소프트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블록과 소프트 블록이 상용되기 어려워, 소프트 블록의 해 (海) 중에 하드 블록이 응집되어 생긴 도 (島) 가 점재하는 불균일한 상 분리 구조를 취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하드 블록의 도가 의사 가교점이 됨으로써, 공중합체에 고무성이 부여되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높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하드 블록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추가적인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블록-소프트 블록이 모두 주사슬에 존재하는 디블록 구조를 취하고 있어도 되고, 하드 블록-소프트 블록-하드 블록의 트리블록 구조를 취하고 있어도 되는데,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트리블록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드 블록과 소프트 블록이 주사슬과 측사슬에 나뉘어져 존재하고 있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매크로머-(메트)아크릴 모노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드 블록은, 강직한 구조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일의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중합체여도 되고,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비닐 방향족 화합물,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 측사슬 치환기가 짧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하드 블록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1
식 (1), (2) 중 R1 은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 R1 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블록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은, 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4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9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6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하드 블록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블록이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면, 가교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의 고무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가교되어 있어도 되고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가교되어 있지 않은 구조인 채였다고 하더라도, 관능기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블록 내의 응집력이 향상되어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지만, 가교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3),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2
여기서, R2 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 R2 는, 그 구성 요소로서 알킬기나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아미드기, 우레탄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데, 카르복실기, 수산기, 에폭시기, 이중 결합, 삼중 결합, 아미노기, 아미드기, 니트릴기 등 중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니트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프로파르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점착 테이프에 보다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이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와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하드 블록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이다.
상기 소프트 블록은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된다.
상기 소프트 블록이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 구성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고, 장기간 고온에 노출된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의 변형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단일의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소프트 블록의 원료가 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유연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키기 쉬운 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 블록의 원료가 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측사슬 탄소수가 2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사슬 탄소수가 2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중합체 사슬끼리의 얽힘이 증가하여, 응집력이 향상되는 점에서,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측사슬 탄소수가 2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특히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소프트 블록 중의 상기 측사슬 탄소수가 2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 이다. 본 하한량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재된 응집력 향상 효과가 발현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 이다. 소프트 블록 중의 상기 측사슬 탄소수가 2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90 중량% 이다. 본 상한을 초과하면,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유연성이 낮아져, 점착 테이프로서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버린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5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0 중량% 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하드 블록을 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6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7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평균 분자량은, 50000 ∼ 8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5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000 이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기기로서 Water 사 제조의「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의「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분,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하드 블록 및 소프트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각각 라디칼 반응시켜 하드 블록 및 소프트 블록을 얻은 후, 양자를 반응시키거나 또는 공중합시키거나, 상기 방법으로 하드 블록을 얻은 후, 계속해서 소프트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면 된다. 상기 라디칼 반응을 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대전 방지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결정 핵제 등의 첨가제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개질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간주 밀도가 0.3 g/㎤ 이상 0.7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간주 밀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의 강도,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3 g/㎤,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73 g/㎤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35 g/㎤,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71 g/㎤ 이다.
여기서, 간주 밀도란,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의 밀도를 1.0 g/㎤ 로 간주하였을 때의 점착 테이프의 중량으로부터 구해지는 발포체 기재 밀도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겉보기 밀도는, JIS K 6767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예를 들어, 미라쥬사 제조,「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겔분율이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겔분율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다. 상기 겔분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 이상, 특히 20 % 이상, 특히 35 % 이상이다. 상기 겔분율은, 상기 하드 블록과 상기 소프트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가교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분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발포체 기재만을 0.1 g 취출하여, 아세트산에틸 50 ㎖ 중에 침지시키고, 진탕기로 온도 23 도, 120 rpm 의 조건에서 24 시간 진탕한다. 진탕 후, 금속 메시 (망목 크기 #200 메시) 를 사용하여, 아세트산에틸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하여 팽윤된 발포체 기재를 분리한다. 분리 후의 발포체 기재를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을 산출한다.
겔분율 (중량%) = 100 × (W1 - W2)/W0
(W0 : 초기 발포체 기재 중량, W1 :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 중량, W2 : 금속 메시의 초기 중량)
상기 발포체 기재는,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점착 테이프의 내열성,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가 갖는 관능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코올성 수산기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나 카르복실기와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사이를 가교시킨다. 또,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와 가교제의 에폭시기 사이를 가교시킨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7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이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평균 셀 직경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강도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의 밸런스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 직경은, 6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 직경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테이프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기포 직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발포체 기재를 50 ㎜ 사방으로 커팅하고, 액체 질소에 1 분간 담근 후, 면도날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절단한다. 이어서,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예를 들어, 키엔스사 제조,「VHX-900」등) 를 사용하여, 200 배의 배율로 절단면의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두께 × 2 ㎜ 의 범위에 존재하는 모든 셀에 대해 가장 긴 셀 직경 (기포의 직경) 을 측정한다. 이 조작을 5 회 반복하고, 얻어진 모든 셀 직경을 평균냄으로써 평균 기포 직경을 산출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40 ㎛, 바람직한 상한은 29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900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4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00 ㎛,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구조를 갖고 있으면 되고,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발포체 기재는, 발포 가스의 작용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나, 원재료 매트릭스 중에 중공구 (中空球) 를 배합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후자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포체는 신택틱 폼이라고 칭해지며, 보다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신택틱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를 신택틱 폼으로 함으로써, 발포 기포의 균일한 사이즈 분포를 갖는 독립 기포형의 발포체가 얻어지기 때문에, 발포체 기재 전체의 밀도가 보다 일정해져, 보다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신택틱 폼은, 그 밖의 발포체와 비교하여, 고온 및 고압하에서의 불가역적인 붕괴를 일으키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높은 내열성을 나타낸다. 신택틱 폼으로는, 중공 무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것과, 중공 유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것이 있는데, 유연성의 관점에서 중공 유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신택틱 폼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유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엑스판셀 DU 시리즈 (니혼 필라이트사 제조), 아드반셀 EM 시리즈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 후의 셀 직경을 보다 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설계하기 쉬운 점에서, 엑스판셀 461-2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20 ㎛), 엑스판셀 461-4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40 ㎛), 엑스판셀 043-8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80 ㎛), 아드반셀 EML101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50 ㎛) 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가 상기 신택틱 폼 이외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발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분해형 발포제 등의 종래 공지된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제층, 고무계 점착제층, 우레탄 점착제층, 실리콘계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폭넓은 종류의 피착체에 접착이 가능한 점에서, 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는, 초기의 택크가 향상되기 때문에 저온시의 첩부 용이성이 양호해지는 관점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이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과 택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 이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3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3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 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시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한 하한이 40 만, 바람직한 상한이 150 만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점착력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만,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40 만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바람직한 상한이 10.0 이다. Mw/Mn 이 10.0 이하이면, 저분자 성분의 비율이 억제되고, 상기 점착제층이 고온하에서 연화되고, 벌크 강도가 낮아져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Mw/Mn 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이고,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 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부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60 중량부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이 단단해지는 것에 의한 점착력 또는 택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가 반응하여, 상기 점착제층이 가교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점착제층은,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7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실란류, 아크릴실란류, 메타크릴실란류, 아미노실란류, 이소시아네이트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차광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착색재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착색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도전 미립자, 산화 방지제, 발포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등의 종래 공지된 미립자 및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 ㎜, 바람직한 상한은 0.1 ㎜ 이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9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특히 반복하여 충격을 주었을 때의 내구성 (텀블성) 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상기 발포체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발포체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성을 갖는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카본 블랙, 산화티탄 등의 입자 또는 미세한 기포를 혼련하는 방법,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도전 미립자, 가소제,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발포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등의 종래 공지된 미립자 및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취급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취급성과 내충격성을 더욱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발포체 기재, 상기 점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 이외의 다른 층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두께와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 (점착제층 두께/발포체 기재 두께) 가 0.1 이상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과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 전체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와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는 0.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양면의 점착제층의 두께의 합계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4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 ㎜, 바람직한 상한은 2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취급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이형 필름에 점착제 용액을 도공,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 개째의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방법으로 미발포체 기재를 제조하고, 상기 미발포체 기재에 상기 수지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한다. 그 후, 얻어진 적층체의 양면에 얻어진 점착제층을 첩합하고, 가열함으로써 미발포 기재를 발포시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방형, 액자상,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로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상기 발포체 기재가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에도 우수한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것은, 나노 레벨이나 분자 레벨과 같은 극히 작은 스케일에 있어서 상기 상 분리 구조와 동일한 상호 작용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5),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3
여기서 R3 은 측사슬을 나타낸다. 측사슬 R3 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라우릴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프트 블록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 과 하드 블록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 이 불균일한 상 분리 구조를 취하고, 하드 블록이 의사 가교점이 됨으로써, 공중합체에 고무성이 부여되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높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상분리 형성의 관점에서 디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가 블록 공중합체인 경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하드 블록을 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6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7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공중합체가 블록 공중합체인 경우,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평균 분자량은, 50000 ∼ 8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5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000 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하드 블록 및 소프트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각각 라디칼 반응시켜 하드 블록 및 소프트 블록을 얻은 후, 양자를 반응시키거나 또는 공중합시키거나, 상기 방법으로 하드 블록을 얻은 후, 계속해서 소프트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면 된다. 상기 라디칼 반응을 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은, 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4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9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6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니트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프로파르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점착 테이프에 보다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은,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키기 쉬운 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단일의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 중량% 이상 99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상 97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중공 유기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신택틱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택틱 폼을 구성하는 중공 유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엑스판셀 DU 시리즈 (니혼 필라이트사 제조), 아드반셀 EM 시리즈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 후의 셀 직경을 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설계하기 쉬운 점에서, 엑스판셀 461-2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20 ㎛), 엑스판셀 461-4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40 ㎛), 엑스판셀 043-80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80 ㎛), 아드반셀 EML101 (최적 조건에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50 ㎛) 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과 동일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간주 밀도가 0.3 g/㎤ 이상 0.7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3 g/㎤ 이상 0.73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5 g/㎤ 이상 0.71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겔분율이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겔분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 이상, 특히 20 % 이상, 특히 35 % 이상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이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40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바람직한 상한은 29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90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400 ㎛,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다.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및 필요에 따라 다른 모노머를 혼합한 용액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먼저 상기 공중합체의 용액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도공, 건조시켜 미발포 기재를 형성하고, 그 후에 얻어진 미발포 기재를 가열하여 발포제를 발포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발포체 기재가 신택틱 폼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용액에 상기 중공 유기 미립자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도공,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전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내충격성 점착 테이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부품의 고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한편, 내열성도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점착 테이프의 유지력 시험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미발포체 기재의 제조
1,6-헥산디티올 0.902 g 과, 이황화탄소 1.83 g 과, 디메틸포름아미드 11 ㎖ 를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25 ℃ 에서 교반하였다.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2.49 g 을 15 분에 걸쳐서 적하하고, 25 ℃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틸-α-브로모페닐아세트산 2.75 g 을 15 분에 걸쳐서 적하하고, 25 ℃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액에 추출 용매 (n-헥산 : 아세트산에틸 = 50 : 50) 100 ㎖ 와 물 50 ㎖ 를 첨가하여 분액 추출하였다. 1 회째와 2 회째의 분액 추출로 얻어진 유기층을 혼합하고, 1 M 염산 50 ㎖, 물 50 ㎖, 포화 식염수 50 ㎖ 로 순서대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건조시킨 후, 황산나트륨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이배퍼레이터로 농축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RAFT 제를 얻었다.
스티렌 (St) 91.3 g 과, 아크릴산 (AA) 8.7 g 과, RAFT 제 1.9 g 과,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ABN-E) 0.2 g 을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면서 85 ℃ 로 승온시켰다. 그 후, 85 ℃ 에서 6 시간 교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제 1 단계 반응).
반응 종료 후, 플라스크 내에 n-헥산 4000 g 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물을 침전시킨 후, 미반응의 모노머 (St, AA), 및 RAFT 제를 여과시키고, 반응물을 70 ℃ 에서 감압 건조시켜 공중합체 (하드 블록) 를 얻었다.
아크릴산부틸 (BA) 100 g, ABN-E 0.058 g, 및 아세트산에틸 50 g 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상기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하드 블록) 를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면서 85 ℃ 로 승온시켰다. 그 후, 85 ℃ 에서 6 시간 교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제 2 단계 반응), 하드 블록과 소프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또한, 혼합물 (소프트 블록) 과 하드 블록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하드 블록의 함유량이 17 중량% 가 되는 양으로 하였다.
반응액의 일부를 채취하여, 이것에 n-헥산 4000 g 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물을 침전시킨 후, 미반응의 모노머 (BA), 및 용매를 여과시키고, 반응물을 70 ℃ 에서 감압 건조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반응액으로부터 취출하였다.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25 만이었다. 측정 기기로서 Water 사 제조의「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의「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분,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고형분율이 35 %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블록 공중합체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니혼 필라이트사 제조, 표 중에서는 DU40 으로 표기) 0.5 중량부, 가교제로서 테트라드 C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0.2 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용액을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90 ℃ 7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미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미발포체 기재를 130 ℃ 1 분간 가열하였을 때에 100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점착제 용액의 조제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어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 (沸騰) 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7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7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서, 균등하게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면서 냉각시킴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칼럼으로서 Water 사 제조의「2690 Separations Model」을 사용하여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1 만이었다.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5.5 였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화점 150 ℃ 의 중합 로진 에스테르 15 중량부, 연화점 145 ℃ 의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연화점 70 ℃ 의 로진 에스테르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3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토소사 제조의 콜로네이트 L45)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테이프의 제조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건조 피막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닥터 나이프로 도공하고, 110 ℃, 5 분간 가열하여 도공 용액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어서, 동일한 조작으로 점착제층을 1 개 더 제조하여 2 개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그 후, 상기에서 얻어진 미발포체 기재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미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얻어진 2 개의 점착제층을 각각 첩합하고, 40 ℃ 의 환경하에 48 시간 정치 (靜置) 하였다. 48 시간 후에 40 ℃ 환경으로부터 꺼내고, 130 ℃ 1 분 가열함으로써 기재를 발포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4) 테이프 밀도의 측정
전자 비중계 (미라쥬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착 테이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5) 발포체 기재의 간주 밀도의 측정
얻어진 발포체 기재의 밀도를, JISK-6767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미라쥬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점착제의 밀도를 1.0 g/㎤ 로 간주하여 발포체 기재의 간주 밀도를 계산하였다.
(6)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의 측정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발포체 기재만을 0.1 g 취출하여, 아세트산에틸 50 ㎖ 중에 침지시키고, 진탕기로 온도 23 도, 120 rpm 의 조건에서 24 시간 진탕하였다. 진탕 후, 금속 메시 (망목 크기 #200 메시) 를 사용하여, 아세트산에틸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하여 팽윤된 발포체 기재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의 발포체 기재를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을 산출하였다.
겔분율 (중량%) = 100 × (W1 - W2)/W0
(W0 : 초기 발포체 기재 중량, W1 :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 중량, W2 : 금속 메시의 초기 중량)
(실시예 2 ∼ 24, 27 ∼ 29)
발포체 기재의 조성 및 두께,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1,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20 에서는 150 ℃ 1 분 가열함으로써 기재를 발포시켰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중의 원료는 이하와 같다.
MA : 아크릴산메틸
AA : 아크릴산
HEA :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EML101 : 아드반셀 EML101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실시예 25)
발포체 기재의 조성 및 두께,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하고, 기재 용액을 수지층인 두께 2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 (토요보사 제조, E5007) 상에 도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30 ∼ 34)
발포체 기재의 조성 및 두께,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1) 미발포 기재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어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3.888 중량부, 스티렌 매크로머 (표 중에서는 AS-6S 로 기재, 토아 합성사 제조) 4 중량부, 아크릴산 1.92 중량부,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0.19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서, 균등하게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면서 냉각시킴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아크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60 만이었다. 측정 기기로서 Water 사 제조의「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의「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분,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고형분율이 35 %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을 2.12 중량부, 가교제로서 테트라드 C 를 0.3 중량부 첨가하고 추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용액을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90 ℃ 7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미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미발포체 기재를 130 ℃ 1 분간 가열하였을 때에 100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하드 블록 성분과 소프트 블록 성분의 함유량을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5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발포체 기재의 조성 및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5 와 동일하게 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 기재를 얻었다. 이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1) 미발포 기재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어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4.8 중량부, 스티렌 3 중량부, 아크릴산 2 중량부,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0.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서, 균등하게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면서 냉각시킴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랜덤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37 만이었다. 측정 기기로서 Water 사 제조의「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의「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분,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를 고형분율이 35 %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을 2.12 중량부, 가교제로서 테트라드 C 를 0.25 중량부 첨가하고 추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용액을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90 ℃ 7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미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미발포체 기재를 130 ℃ 1 분간 가열하였을 때에 100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발포체 기재의 조성을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8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발포체 기재의 조성 및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8 과 동일하게 하여,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 기재를 얻었다. 이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점착 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발포제를 첨가하지 않고, 130 ℃ 1 분의 가열을 실시하지 않고, 발포체 기재로 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1) 발포체 기재의 준비
발포체 기재로서 볼라라 H03001 (폴리에틸렌계 수지,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두께 100 ㎛) 을 사용하였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1) 발포체 기재의 준비
발포체 기재로서 볼라라 H0250012 (폴리에틸렌계 수지,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두께 120 ㎛) 를 사용하였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1) 기재의 제조
셉톤 2063 (탄화수소계 수지, 쿠라레사 제조) 의 톨루엔 30 % 용액을 제조하고,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니혼 필라이트사 제조) 0.5 중량부를 사용하고,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미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5)
(1) 미발포 기재의 제조
아크릴 공중합체 A 대신에, 실시예 1 의 점착제 용액의 조제에서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하고,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1 중량부, 발포제를 0.5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미발포 기재를 얻었다. 또한, 가교제와 발포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가교제 : L-45E, 토소사 제조
발포제 : 엑스판셀 461-40, 니혼 필라이트사 제조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미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 3 에 나타냈다.
(내충격성의 평가)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외형 45 ㎜ × 60 ㎜, 폭 1 ㎜ 의 ロ 자형으로 타발하였다. 타발한 점착 테이프의 편면을, 중앙부에 40 ㎜ × 40 ㎜ 의 구멍을 갖는 80 ㎜ × 115 ㎜, 두께 2 ㎜ 의 ロ 자형의 스테인리스판의 중앙에 첩부하였다. 이어서, 점착 테이프의 다른 편방의 면에 50 ㎜ × 70 ㎜, 두께 4 ㎜ 의 강화 유리판을 첩부하고, 5 ㎏ 의 추로 10 초간 압착하고, 24 시간 23 ℃ 하에서 정치함으로써 시험용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스테인리스제의 프레임상체 (내경 60 ㎜ × 90 ㎜) 에 강화 유리판이 하면이 되도록 고정시켰다. 그 후 150 g 의 철구 (鐵球) 를 강화 유리판의 중앙을 향하여 낙하시켰다. 철구를 낙하시키는 높이를 높여 가며, 강화 유리판이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의 철구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강화 유리판이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의 철구의 높이가 60 ㎝ 이상이었던 경우를「◎」, 40 ㎝ 이상 60 ㎝ 미만이었던 경우를「○」, 20 ㎝ 이상 40 ㎝ 미만이었던 경우를「△」, 20 ㎝ 미만이었던 경우를「×」로 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유지력의 평가)
도 1 에 점착 테이프의 유지력 시험을 설명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먼저,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25 ㎜ × 25 ㎜ 의 시험편 (1) 의 일방의 면 (표면) 을 SUS 판 (2) 에 첩합하고, 시험편 (1) 의 타방의 면 (이면) 측으로부터 2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일 왕복시켰다. 이어서, 시험편 (1) 의 이면에 알루미늄판 (3) 을 첩합하고, 알루미늄판 (3) 측으로부터 0.5 ㎏ 의 추로 10 초간 가압하여 압착시킨 후,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 24 시간 방치하여, 유지력 시험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유지력 시험용 샘플을 100 ℃ 에 있어서, 알루미늄판 (3) 의 일단에 시험편 (1) 및 알루미늄판 (3) 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도록 0.5 ㎏ 또는 1.0 ㎏ 의 추 (4) 를 장착하고, 1 시간 후의 추의 어긋남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 1.0 ㎏ 의 추 (4) 를 장착하고 2 시간 후의 어긋남 길이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대해, 어긋남 길이가 0 (어긋남이 없다) 인 경우를「◎」, 어긋남 길이가 0 보다 크고 1 ㎜ 미만이었던 경우를「△」, 어긋남 길이가 1 ㎜ 이상 또는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어 낙하되어 버린 경우를「×」로 하여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텀블성의 평가)
1 ㎜ × 70 ㎜ 로 잘라낸 점착 테이프를 2 개 준비하였다. 이어서, 세로 72 ㎜, 가로 135 ㎜, 두께 1 ㎜ 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의 각 단변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였다.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판의 점착 테이프가 첩부된 면과 세로 77 ㎜, 가로 150 ㎜, 두께 4 ㎜ 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을, 2 장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의 단변끼리 장변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0.7 ㎫, 15 초 가압함으로써 2 장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접착시켰다. 그 후, 23 ℃, 24 시간 정치함으로써, 시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 샘플을 TD-1000A 드럼식 회전 낙하 시험기 (신에이 전자 계측기사 제조) 에 넣고, 23 ℃ 하의 실온 환경을 유지한 상태에서 12 회전/분의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측정 샘플을 1 m 의 높이로부터 반복하여 낙하시켰다. 폴리카보네이트판이 박리되었을 때의 낙하 횟수가 1500 회보다 많은 경우를「◎」, 1000 회보다 많고 1500 회 이하인 경우를「○」, 1000 회 이하인 경우를「×」로 하여 텀블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4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5
Figure 112021065059046-pct00006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한편, 내열성도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 :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25 ㎜ × 25 ㎜ 의 시험편
2 : SUS 판
3 : 알루미늄판
4 : 추 (0.5 ㎏ 또는 1.0 ㎏)

Claims (13)

  1.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6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30 중량% 이상 94 중량% 미만인, 점착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겔분율이 90 % 이하인, 점착 테이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간주 밀도가 0.3 g/㎤ 이상 0.75 g/㎤ 이하인, 점착 테이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지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이 80 ㎛ 이하인, 점착 테이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하드 블록과,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소프트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인, 점착 테이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블록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점착 테이프.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하드 블록을 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12. 삭제
  13. 삭제
KR1020217017314A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KR10242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4172A KR102559150B1 (ko)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2813 2019-04-24
JPJP-P-2019-082813 2019-04-24
PCT/JP2020/017519 WO2020218430A1 (ja) 2019-04-24 2020-04-23 粘着テープ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172A Division KR102559150B1 (ko)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375A KR20210079375A (ko) 2021-06-29
KR102425598B1 true KR102425598B1 (ko) 2022-07-27

Family

ID=729427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314A KR102425598B1 (ko)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KR1020227024172A KR102559150B1 (ko)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172A KR102559150B1 (ko) 2019-04-24 2020-04-23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966650B2 (ko)
KR (2) KR102425598B1 (ko)
CN (1) CN113302250B (ko)
MY (1) MY190233A (ko)
WO (1) WO2020218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92201A1 (ko) * 2020-10-28 2022-05-05
CN115803404A (zh) * 2020-10-28 2023-03-1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粘合带
JPWO2022092199A1 (ko) * 2020-10-28 2022-05-05
TW202311466A (zh) * 2021-05-17 2023-03-16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黏著帶
TW202328329A (zh) * 2021-10-28 2023-07-16 日商Inoac股份有限公司 發泡片材及使用其之電子電氣機器
WO2023139826A1 (ja) * 2022-01-18 2023-07-27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3124A1 (en) * 2005-02-01 2006-08-0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Solu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acrylic block copolymers
CN101454394A (zh) * 2006-05-26 2009-06-10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带基材和粘胶带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5249625B2 (ja) 2008-04-15 2013-07-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WO2013154137A1 (ja) * 2012-04-13 2013-10-17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DE102013209827A1 (de) * 2012-06-21 2013-12-24 Tesa Se Hitzebeständiges Klebeband
WO2015041313A1 (ja) * 2013-09-20 2015-03-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用両面粘着テープ
JP6367599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6314341B2 (ja) * 2014-06-26 2018-04-25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CN106062113A (zh) * 2014-09-02 2016-10-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便携电子设备用双面粘合带
WO2016075753A1 (ja) * 2014-11-11 2016-05-19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発泡樹脂基材を有する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1167A (ko) * 2016-01-26 2018-09-12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EP3336153B1 (en) * 2016-12-19 2020-1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ubber-based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having low voc characteristics
KR102168746B1 (ko) * 2017-03-13 2020-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폼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폼 점착 테이프
JP6878098B2 (ja) * 2017-03-31 2021-05-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体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7460315B2 (ja) * 2017-03-31 2024-04-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989614B1 (ko) * 2017-09-27 2019-09-30 주식회사 애니원 고온/고습 환경에서 내구성이 개선된 충격 흡수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150B1 (ko) 2023-07-24
MY190233A (en) 2022-04-06
JP2021191877A (ja) 2021-12-16
CN113302250B (zh) 2023-02-17
TW202104490A (zh) 2021-02-01
JPWO2020218430A1 (ja) 2021-09-13
WO2020218430A1 (ja) 2020-10-29
JP6966650B2 (ja) 2021-11-17
CN113302250A (zh) 2021-08-24
KR20210079375A (ko) 2021-06-29
KR20220103829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598B1 (ko) 점착 테이프
JP6140491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6632379B2 (ja) 衝撃吸収粘着シート
CN103097483B (zh) 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丙烯酸类粘合剂层以及丙烯酸类粘合带
CN104130726B (zh) 再剥离粘合剂组合物、粘合片及电子部件的切断加工方法
TWI639674B (zh) Adhesive sheet for electronic equipment
TWI391463B (zh) 防水用雙面膠帶
JP2017149980A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KR20150031194A (ko) 점착 시트
TW201840771A (zh) 雙面黏著膠帶
CN108699285A (zh) 特别地用于弯曲表面的胶粘剂物质
KR20170052525A (ko)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6523725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20210063316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6511314B2 (ja) 粘着テープ
KR102659187B1 (ko) 점착 시트
TWI833947B (zh) 黏著帶
KR20230093413A (ko) 점착 테이프
KR20230096916A (ko) 점착 테이프
KR20230092862A (ko) 점착 테이프
JP2022071845A (ja) 粘着テープ
JP2022071864A (ja) 粘着テープ
JP2022071862A (ja) 粘着テープ
JP2022071863A (ja) 粘着テープ
JP201910494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