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740B1 -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740B1
KR102422740B1 KR1020220058067A KR20220058067A KR102422740B1 KR 102422740 B1 KR102422740 B1 KR 102422740B1 KR 1020220058067 A KR1020220058067 A KR 1020220058067A KR 20220058067 A KR20220058067 A KR 20220058067A KR 102422740 B1 KR102422740 B1 KR 102422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parts
weight
red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옥희
Original Assignee
농수산푸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수산푸드(주) filed Critical 농수산푸드(주)
Priority to KR102022005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Squid marinated in red ginseng sau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squid)는 몸체가 머리,몸통,다리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머리는 다리와 몸통 사이에 있고 좌우 양쪽에 큰 눈이 있다. 2개의 촉완(觸腕)과 8개의 다리가 있고 끝이 가늘어져 안쪽에 짧은 자루가 있는 흡반이 있다. 제3, 제4다리 사이에 촉완이 있는데 다른 다리보다 길며 끝쪽이 약간 넓어져 있고 거기에 흡반이 있다. 보통 때는 주머니 속에 들어 있다가 먹이를 잡을 때에 뻗친다. 오징어류는 모두 바다에서 살며 연안에서 심해까지 살고 있는데, 오징어류는 식용하며 갑오징어, 무늬오징어, 반디오징어, 쇠오징어, 화살오징어, 창오징어, 흰오징어 등은 특히 수산업에서 중요한 종류이다. 날것으로도 먹지만 마른 오징어 등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가장 작은 오징어는 꼬마오징어로 몸길이 겨우 2.5 cm이고, 가장 큰 오징어는 대왕오징어의 일종인 대양대왕오징어(Architheutis harveyi)로 대서양에 살며 촉완을 포함하여 15.2 m에 이르는 것이 있다. 오징어류는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새우,게 등을 먹으며, 한편 대형 어류,바다거북류,해수류 등의 먹이가 된다. 생식시기는 대부분이 4-6월로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대량으로 포획되는 어종으로 생으로 또는 말려서 애용되는 자원이다.
오징어 내장 또는 오징어 육을 이용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001786(오징어의 가공방법)은 박피한 오징어를 온염수에 침지하여 훈연 처리한 후, 식염, 글리세린등의 조미료와 향신료등의 수용액을 분무하여 건조시킨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130178(오징어의 가공방법)은 오징어육에 산류, 알콜류, 염류 혼합액을 섞은 다음 침지하여 건조한 후 구워서 압연한다. 지금까지 발표된 종래기술은 오징어 육을 이용한 연구보고는 많이 있으나, 더욱 특별한 풍미와 맛을 나타내는 기술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001786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10-013017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한 풍미와 맛 뿐만 아니라 향과 식감이 우수하고 건강지향적인 기능성 오징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를 손질하고, 손질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식초물에 1-3분 동안 침지시킨 후,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손질 및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1차 건조된 오징어를 인삼추출물, 마늘추출물, 백과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산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도포하는 단계;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2차 건조된 오징어를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물을 포함하는 찜솥에 넣어 98-10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찌는 단계;
찐 오징어를 홍삼소스에 담가 90-150분 동안 절이는 단계; 및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30-9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분말을 준비하고, 홍삼분말을 180-200℃의 온도로 볶아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홍삼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5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58-60℃의 온도에서 12-18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포도 100 중량부를 정제수 35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88-90℃의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혼합물에 효소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68-70℃의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효소분해하는 단계; 효소분해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헛개나무 열매 100 중량부, 감잎 10 중량부 및 감초 10 중량부를 물 6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0-8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오미자 열매 80 중량부, 구기자 열매 60 중량부 및 복분자 열매 20 중량부를 물 8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0-8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인삼 95-100 중량부, 마늘 95-100 중량부, 백과 190-200 중량부, 오미자 48-50 중량부 및 산초 48-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물질을 34-36℃의 온도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시킨 원료물질을 50-60℃의 온도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시킨 원료물질을 에탄올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75-80℃의 온도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시킨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증발하는 증기를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이 다시 혼합물에 혼합되도록 하여 90-150분 동안 순환시키는 단계; 및 순환이 완료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180-300분 동안 증발하는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상기 제조된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상기 제조된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상기 제조된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1-5℃의 온도에서 24-48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오징어를 손질하고, 손질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식초물에 1-3분 동안 침지시킨 후,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손질 및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1차 건조된 오징어에 상기 제조된 살균제를 도포하는 단계;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2차 건조된 오징어를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물을 포함하는 찜솥에 넣어 98-10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찌는 단계;
찐 오징어를 상기 제조된 홍삼소스에 담가 90-150분 동안 절이는 단계; 및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30-9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는 특별한 풍미와 맛 뿐만 아니라 향과 식감이 우수하고 건강지향적인 기능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는 특별한 풍미와 맛 뿐만 아니라 향과 식감이 우수하고 건강지향적인 기능성을 나타낸다.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홍삼 농축액 64-66 중량부, 포도 농축액 14-16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9-11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홍삼 농축액 65 중량부, 포도 농축액 15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10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말하며, 현행법에는 홍삼은 '인삼을 증숙 또는 팽숙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와 복용사례를 통하여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홍삼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건강 기능성식품이라할 수 있다.
포도는 갈대나무목(Rhamnale) 포도과(Vitaceae) 작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중의 하나이다. 포도 원산지는 북반구의 온대나 아열대지방이고 품종은 8,500여 종이며 그 중 양조용으로 인기 있고 널리 알려진 것은 50여 종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도 품종들은 용도에 따라서 생식용, 건포도용, 포도주 및 기타 가공품용으로 크게 구분되며, 전체 생산량의 70% 이상이 생식으로 소비되고 그 외 와인, 음료, 쨈, 식초 등 가공식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포도는 알칼리성 과일로 미네랄, 전화당, 주석산, 구연산, 칼륨, 철분, 비타민 A, B1, B2, D 등과 다양한 phytochemical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피로회복, 피부미용, 소화개선, 식욕증진과 같은 생리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French paradox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심혈관질환이나 항암활성이 우수하고 면역 조절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포도를 활용하여 오징어의 향과 맛을 증진시키기 위한 홍삼소스로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지구자나무라고도 칭하며, 한국(강원과 황해이남지역에 주로 분포), 일본, 중국 등에 분포되어 있다. 수피는 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갈자색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8∼15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으로,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헛개나무는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果莖)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 맛을 한결 돋운다. 약학서 본초강목에는 헛개나무가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헛개나무는 본초강목에 맛이 달고 평온하며 독성이 없으며, 오장을 부드럽게 하고 윤활하게 하며 대변, 소변을 잘 보게 하며 가슴에 번열을 없애주고 갈증을 풀어주며 술독을 풀고, 구토증을 제거하며, 충독을 없애고 다섯 종류의 치질을 치유한다고 되어있다.
감잎에는 탄닌을 포함한 훼놀성 화합물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이 여러 경로를 거쳐 생리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감잎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고혈압 원인 효소를 저해하거나 탄닌 성분중 갈라이트(gallate)가 혈압상승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비타민 C를 과량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응용하고자 한다.
감초는 인체의 비위(脾胃)를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장육부의 한열사기 (寒熱邪氣)를 치료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종기와 부스럼등을 치료하고 온갖 약초의 독을 해독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폐의 활동을 돕고 청열해독 (淸熱解毒)의 효과가 큰 약초이다. 또한, 각종 약품의 중독 및 식물의 중독을 해독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과 맛을 갖기 때문에 감초는 고래로 한방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본적인 유용한 약제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감초의 주요 성분으로는 감미질인 글리시리진,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리키리틴, 서당, 포도당, 만니톨, 아스파라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글리시리진은 감초에 독특한 단맛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이와 같은 감초를 적용하여 제1 혼합물 추출액의 단맛을 끌어 올린다.
오미자는 각피로 둘러싸인 과육내에 견고한 종자가 들어있는 과실로서 과육에는 리그난류의 일군인 고미신계 물질(고미신 A-Q), 모노테르펜류, 시트랄, 사과산, 주석산, 단당류, 레신류등과 정유성분인 β2-비사볼렌, 세스키칼렌, α-이란겐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종자에는 쉬산드린, 디옥시쉬산드린, α-쉬산드린 및 고미질 물질등이 함유되어 있다. 오미자를 약용 또는 건강 식품용으로 이용할때는 통상적인 한약재와 같이 오미자 과실을 물 또는 알콜같은 용매에 침지하여 오미자에 함유된 약효성분 및 향미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건강식품용 다류나 주정음료에 사용하여 왔다.
구기자는 구기자 나무의 과실로서, 한의학적 주치 효능으로는 간신(肝腎)의 음(陰)이 이그러져 있는 것을 치료하여, 자보간신(滋補肝腎)한다고 알려져 있다. 논문 "구지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강경일 외 3인,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6)에는 구기자 생과즙의 섭취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야생 나무딸기의 생약명으로, 복분자딸기는 주로 계곡과 산기슭의 햇빛이 잘 들고 토양이 좋은 곳에서 자라는 낙엽성의 작은키나무로 5-6월에 흰색 꽃이 피며 7-8월에 검은색 열매가 익는다. 복분자는 동의보감, 당본본초 및 본초종신록 등 여러 고문헌에 그 효능이 언급되어 있으며, 현대의학의 약리작용 분석에서도 열매 안에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 항암효과, 노화억제, 동맥경화예방, 혈전예방 및 살균 효과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를 손질하고, 손질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식초물에 1-3분 동안 침지시킨 후,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손질 및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1차 건조된 오징어를 인삼추출물, 마늘추출물, 백과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산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도포하는 단계;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2차 건조된 오징어를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물을 포함하는 찜솥에 넣어 98-10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찌는 단계;
찐 오징어를 홍삼소스에 담가 90-150분 동안 절이는 단계; 및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30-9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도 1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오징어를 손질하고, 손질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식초물에 1-3분 동안 침지시킨 후,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오징어를 손질하고, 세척한다. 특히, 식초물에 침지시켜 처리함으로써 1차적으로 살균처리하여 오징어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손질 및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단계에서는 1차 살균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오징어에 자체 염분이 있어 전혀 가미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시킨다. 1차 건조를 통해 오징어는 약 수분함량 30-40%를 포함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1차 건조된 오징어를 인삼추출물, 마늘추출물, 백과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산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1차 건조된 오징어에 살균제를 도포한다.
1차 건조된 오징어의 외부 표면에 천연살균제를 도포함으로써 오징어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잔존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고, 유통과정에서 외부환경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이 오징어의 외부에 침착되더라도 살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에 2차 건조시킨다.
오징어 자체에 염분이 있으나, 1차 건조를 통해 일부 제거되며 건조되었다. 이후, 2차 건조 시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 수분함량 10-30%, 바람직하게 수분함량 10-20%를 포함하는 오징어를 준비한다.
상기 살균제는,
인삼 95-100 중량부, 마늘 95-100 중량부, 백과 190-200 중량부, 오미자 48-50 중량부 및 산초 48-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물질을 34-36℃의 온도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시킨 원료물질을 50-60℃의 온도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시킨 원료물질을 에탄올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75-80℃의 온도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시킨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증발하는 증기를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이 다시 혼합물에 혼합되도록 하여 90-150분 동안 순환시키는 단계; 및
순환이 완료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180-300분 동안 증발하는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2차 건조된 오징어를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물을 포함하는 찜솥에 넣어 98-10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찌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2차 건조된 오징어를 찐다.
건조된 오징어를 찜으로써 추가 살균이 이루어지고, 오징어의 맛이 더욱 담백하고 고소해지도록 한다. 또한, 진공포장 후 추가 살균이 이루어져 유통기한이 늘어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찐 오징어를 홍삼소스에 담가 90-150분 동안 절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찐 오징어를 홍삼소스에 절인다.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홍삼 농축액 64-66 중량부, 포도 농축액 14-16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9-11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홍삼 농축액 65 중량부, 포도 농축액 15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10 중량부,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분말을 준비하고, 홍삼분말을 180-200℃의 온도로 볶아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홍삼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5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58-60℃의 온도에서 12-18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포도 농축액은,
포도 100 중량부를 정제수 35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88-90℃의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혼합물에 효소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68-70℃의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효소분해하는 단계; 효소분해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1 혼합물 추출액은,
헛개나무 열매 100 중량부, 감잎 10 중량부 및 감초 10 중량부를 물 6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0-8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2 혼합물 추출액은,
오미자 열매 80 중량부, 구기자 열매 60 중량부 및 복분자 열매 20 중량부를 물 8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0-8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된 혼합물을 98-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60-12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홍삼소스는,
상기 제조된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상기 제조된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상기 제조된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상기 제조된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1-5℃의 온도에서 24-48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은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30-9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홍삼소스로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시켜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를 제조한다.

Claims (3)

  1. 오징어를 손질하고, 손질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식초물에 1-3분 동안 침지시킨 후,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손질 및 세척된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1차 건조된 오징어를 인삼추출물, 마늘추출물, 백과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산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도포하는 단계;
    살균제가 도포된 오징어를 해풍으로 4-6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2차 건조된 오징어를 비닐팩에 진공포장한 후, 물을 포함하는 찜솥에 넣어 98-10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찌는 단계;
    찐 오징어를 홍삼소스에 담가 90-150분 동안 절이는 단계; 및
    절여진 오징어를 건조기에서 30-9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소스는 홍삼 농축액 60-70 중량부, 포도 농축액 10-20 중량부, 헛개나무, 감잎 및 감초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 및 오미자, 구기자 및 복분자의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추출액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8067A 2022-05-11 2022-05-11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067A KR102422740B1 (ko) 2022-05-11 2022-05-11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067A KR102422740B1 (ko) 2022-05-11 2022-05-11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740B1 true KR102422740B1 (ko) 2022-07-20

Family

ID=8260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067A KR102422740B1 (ko) 2022-05-11 2022-05-11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7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78B1 (ko) 1994-05-04 1998-04-02 오일순 오징어의 가공방법
US20100001786A1 (en) 2006-12-20 2010-01-07 Nxp, B.V. Clock generation for memory access without a local oscillator
KR20100043349A (ko) * 2008-10-20 2010-04-29 최명희 오징어·등갈비·삼겹살을 이용한 볶음요리의 조리방법
KR20100102897A (ko) * 2009-03-12 2010-09-27 오재근 홍삼혼합액 함유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7103A (ko) * 2010-01-25 2011-08-02 이민춘 생선용 절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선의 절임 방법
KR20170055194A (ko) * 2015-11-11 2017-05-19 이상국 오미자가 함유된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젓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78B1 (ko) 1994-05-04 1998-04-02 오일순 오징어의 가공방법
US20100001786A1 (en) 2006-12-20 2010-01-07 Nxp, B.V. Clock generation for memory access without a local oscillator
KR20100043349A (ko) * 2008-10-20 2010-04-29 최명희 오징어·등갈비·삼겹살을 이용한 볶음요리의 조리방법
KR20100102897A (ko) * 2009-03-12 2010-09-27 오재근 홍삼혼합액 함유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7103A (ko) * 2010-01-25 2011-08-02 이민춘 생선용 절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선의 절임 방법
KR20170055194A (ko) * 2015-11-11 2017-05-19 이상국 오미자가 함유된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젓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kar et al. Pandanus odoratissimus (Kewda):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nutritional aspects
KR101037749B1 (ko) 황기, 오가피, 감초, 엄나무, 대추 및 황률로 이루어진 황기백숙용 한방 조성물
KR101389800B1 (ko) 절임 반건조 생선의 제조방법
CN103518911A (zh) 一种桃金娘叶绿茶的制备方法
KR101912391B1 (ko) 춘천옥 유래의 미네랄 수(水)와 한방추출액으로 숙성시킨 고품질 코다리의 제조방법
CN105176757A (zh) 一种桃金娘果酒及其制作方法
CN106260331A (zh) 一种萱草花蕾茶的制作方法
KR102132334B1 (ko)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 제거를 위한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1782879B1 (ko)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육류의 제조방법
KR102422740B1 (ko) 홍삼소스로 절인 오징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00447A (ko) 인삼성분이 함유된 콩나물 재배방법
KR101537199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23799B1 (ko) 강황을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101961349B1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18002321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1654511B1 (ko) 솔잎과 산야초 추출물을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KR101810510B1 (ko)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KR10248828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37880B1 (ko) 연줄기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102624622B1 (ko) 황칠성분이 첨가된 김치 제조방법
Bussmann et al. Syzygium cordatum Hochst. Syzygium guineense (Willd.) DC. Myrtace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