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10B1 -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10B1
KR101810510B1 KR1020177001817A KR20177001817A KR101810510B1 KR 101810510 B1 KR101810510 B1 KR 101810510B1 KR 1020177001817 A KR1020177001817 A KR 1020177001817A KR 20177001817 A KR20177001817 A KR 20177001817A KR 101810510 B1 KR101810510 B1 KR 10181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frying
d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권
Original Assignee
정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권 filed Critical 정희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튀김옷을 입히기 전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튀김옷이 요리 후 식용시에도 어물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잡내 없이 어물 튀김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으며, 한방 염지제에 의한 코팅막으로 눅눅해짐이 없이 오랫동안 튀김으로서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한방 염지제의 유효성분이 배어있는 어물 튀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S OF FRIED FISHES}
본 발명은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 염지제의 사용으로 어물의 비린내 등 잡내를 제거하고 튀김옷의 부착력을 높이며 한방 재료의 유효성분이 배어있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어물은 민물은 물론 바다에서 나는 장어, 고등어, 참치, 대구, 명태 등 어류, 오징어, 문어, 낙지 등 연체동물, 굴, 전복 등 조개류 및 새우, 대하 등 갑각류 일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물은 인류에게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어서 예로부터 다양한 식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 어물 튀김 관련해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47760호에 참치 강정의 제조방법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11493호에 고등어 까스의 제조방법이 각각 게시되어 있다.
전자의 선행기술에서는 튀김옷이 참치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녹말가루와 소맥분가루를 혼합한 분말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을 9000~12000중량부로 많이 첨가하여 묽게 튀김옷 재료를 만들어 얇게 튀김옷을 부착하는 것이어서, 튀김 어물의 맛을 제대로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는 고등어 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믹서에 갈아 양념한 후 성형한 다음 튀김옷을 입혀 튀긴 것이어서, 고등어 자체의 튀김으로 볼 수 없다.
종래 어물 튀김에서는 장어나 고등어 등 어물 자체, 바닷물에서 나는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 후추 등 향신료를 사용하나, 완전한 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오징어, 문어, 낙지 등 연체동물에 튀김옷을 입혀 튀길 경우, 튀긴 후 곧 눅눅해지고 튀김옷과 어물이 잘 분리되어 튀김의 식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 어물 튀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방 염지제를 어물의 코팅막으로 사용하여 어물의 비린내는 물론 튀김 후 눅눅해지는 것을 막고 튀김옷의 부착력을 높이며 한방 재료의 유효성분이 배어있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은 어물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된 어물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제 2 단계; 상기 한방 염지제를 입힌 어물에 튀김옷을 입히는 제 3 단계; 및 상기 튀김옷을 입힌 어물을 기름에 튀기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세척된 어물을 상기 한방 염지제가 5℃인 상태에서 1시간 반 내지 2시간 반 동안 잠겨두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염지제는 소정의 물에 꾸찌뽕, 사철쑥 및 연잎이 포함된 한방 재료를 넣고 다린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염지제는 상기 물에 상기 한방 재료 및 소금을 넣고 상기 물의 양이 15~20% 줄어들도록 다린 것이고, 상기 한방 재료는 상기 꾸찌뽕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철쑥 180~200중량부, 황기 130~150중량부, 엄나무 80~100중량부, 울금 60~80중량부, 마가목 40~60중량부, 황칠나무 40~60중량부, 연잎 40~60중량부, 헛개나무 40~60중량부, 가시오가피 20~40중량부, 느릅나무 20~40중량부, 당귀 10~30중량부, 두충 10~30중량부, 감초 10~30중량부, 오미자 10~30중량부, 황금 5~15중량부 및 도라지 5~15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염지제는 다린 후 80~90℃를 유지하며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0~5℃로 보관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튀김옷은 찹쌀가루 300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가루 140~160중량부, 빵가루 240~260중량부, 쌀가루 260~280중량부 및 계란 25~35중량부가 포함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물 튀김에 있어서, 튀김옷을 입히기 전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튀김옷이 요리 후 식용시에도 어물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잡내 없이 어물 튀김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으며, 한방 염지제에 의한 코팅막으로 눅눅해짐이 없이 오랫동안 튀김으로서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한방 염지제의 유효성분이 배어있는 어물 튀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어물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된 어물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제 2 단계; 상기 한방 염지제를 입힌 어물에 튀김옷을 입히는 제 3 단계; 및 상기 튀김옷을 입힌 어물을 기름에 튀기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술한다.
먼저, 어물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필요한 경우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다(제 1 단계).
상기 어물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민물은 물론 바다에서 나는 장어, 고등어, 참치, 대구, 명태 등 어류, 오징어, 문어, 낙지 등 연체동물, 굴, 전복 등 조개류 및 새우, 대하 등 갑각류 중 하나에 속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문어, 가문어, 오징어, 연어, 장어, 고등어, 참치, 대구, 명태, 굴, 전복 및 대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오징어 등 연체동물이나 장어 등 껍질을 벗길 수 있으면 껍질을 벗기고, 고등어, 참치, 대구, 명태 등 어류는 살을 발려서 준비하고, 굴, 전복 등 조개류는 껍질에서 속을 분리하여 준비하며, 새우나 대하 등 갑각류는 껍질을 까거나 그대로 껍질째 준비한다.
상기 어물은 작은 것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일정 크기, 예컨대 한입으로 먹을 수 있는 크기나, 직사각형의 스틱 형상(예: 1.5cm 폭, 5cm 길이)으로 절단하여 준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세척하여 준비된 어물은 물기를 뺀 후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힌다(제 2 단계). 물기를 뺄 때에는 세척된 어물을 바구니 등 통풍과 물 빠짐이 가능한 용기에 넣고 1시간 정도 기다리거나 면포(광목)나 키친타월로 싸서 물기를 강제 흡수시켜 뺄 수도 있다.
상기 한방 염지제는 소정의 물에 꾸찌뽕, 사철쑥 및 연잎이 포함된 한방 재료를 넣고 다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정의 물에 꾸찌뽕, 사철쑥 및 연잎이 포함된 한방 재료를 넣고 다린 열수 추출물을 상기 한방 염지제로 하여 코팅막을 형성할 경우, 어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기름이 튀지 않아 화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한방 재료의 조합보다도 튀긴 후 튀김옷과 어물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고, 튀김이 눅눅해지지 않아 오랫동안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한방 염지제의 코팅막이 튀김옷과 어물의 결착력을 높이는 원인은 후술하는 꾸찌뽕의 특성에서 암시되는 바와 같이, 꾸찌뽕 등이 포함된 한방 재료를 다리는 과정에서 꾸찌뽕의 잎과 줄기에서 튀김옷 재료와 잘 결착되는 난분쇄성 섬유질 원료가 나오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얻기 위해 다리는 정도는, 상기 물의 양이 15~20% 줄어들도록 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너무 많이 졸이면, 사용할 한방 염지제의 수율이 떨어지고, 너무 적게 졸이면 한방 재료가 충분히 섞이며 유효성분의 열수 추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예로, 물 100리터에 한방 재료 1kg을 넣고 2시간 반 정도 끓인 후 한방 재료를 건져낸 물의 양이 80~85리터가 되도록 다릴 수 있다.
상기 한방 재료는 꾸찌뽕, 사철쑥 및 연잎 외에 다양하게 더 첨가될 수 있으나, 꾸찌뽕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철쑥 180~200중량부, 황기 130~150중량부, 엄나무 80~100중량부, 울금 60~80중량부, 마가목 40~60중량부, 황칠나무 40~60중량부, 연잎 40~60중량부, 헛개나무 40~60중량부, 가시오가피 20~40중량부, 느릅나무 20~40중량부, 당귀 10~30중량부, 두충 10~30중량부, 감초 10~30중량부, 오미자 10~30중량부, 황금 5~15중량부 및 도라지 5~15중량부가 첨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재료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적절히 달성하기 위해 많은 실험 끝에 선정된 것이어서,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한방 염지제는 상기 한방 재료를 다리기 전 또는 후에 꾸찌뽕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0.5~20중량부로 첨가되도록 하여, 어물의 간을 맞출 수 있다.
상기 꾸찌뽕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과 줄기를 말하는데, 꾸찌뽕의 잎은 일반 뽕잎 및 녹차에 비해 많게는 50배 정도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예로부터 동의보감, 식물본초 등에 따르면 자양, 강장의 효능이 있고 신체허약증, 정력감퇴, 음위, 불면증,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크다고 한다.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항암효과를 가지며, 연육작용을 하여 식감을 좋게 해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06863호에 의하면, 건조된 꾸찌뽕 나무를 50mm이하로 절단하여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얻을 경우, 난분쇄성 섬유질 원료로, 밀가루 등 소맥분에 점결제(결착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예로부터 간염, 황달, 및 지방간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이담효과를 나타내는 스코파론(scoparone), 캐필라리신(capillarisin), 클로로제닌산(chlorogenic acid) 및 p-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p-hydroxyacetophenone)이 있으며, 발기부전에 효과가 있다는 에스쿨레틴(esculetin)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과 같은 쿠마린(coumarin)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unge.)는 뿌리를 사용하는데, 그 뿌리의 추출액은 진정작용, 동맥압을 지속적으로 내리는 작용을 하며, 혈관벽에 작용하여 혈관을 넓히고 낮추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엄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는 오갈피나무과로 넓은 잎을 지니는 다년성 낙엽교목으로, 여기서는 줄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해동 피를 삶은 물로 단술이나 술을 빚어 마시면 신경통과 요통에 효과를 보고 타박상이나 삔 데,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울금(Curcuma longa Linne)은 강황이라고 불리는 외떡잎식물 생각목 생강과의 한해살이풀의 덩이 뿌리를 말하는데, 간질환 및 항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은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으로 마이목으로도 불리며, 여기서는 줄기를 사용하는데, 마가목의 수피는 마아피(馬牙皮)또는 정공피라고 하여 신장을 보호하는 약재로 귀하게 쓰여 왔고, 기관지염, 류마티스 관절염, 중풍, 위염 및 골통에 사용되었다.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노란옻나무, 황금나무라고도 불린다. 황칠의 주성분은 세쓰키테르펜(Sesquiterpene)으로서 물, 검(gum), 알콜, 에스테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여기서는 줄기를 사용하는데, 황칠나무 수피에서 추출한 수액인 황칠은 놀라운 약리작용과 은은한 안식향을 풍기기 때문에 귀중한 물질로 왕실에서만 사용했다고 전해지고, 이는 혈행 개선(콜레스테롤, 혈압), 항산화(노화방지), 간기능 개선(숙취, 피로회복, 해독), 면역력 증진, 재생, 항균항미생물 효능,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등 많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연잎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인 연(Nelumbo nucifera)의 잎으로, 주로 건조된 형태로 하엽(荷葉)이라 하여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설사, 두통,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인다. 성분으로는 진통작용, 진정작용이 있는 로메린(roemerine), 누시페린(nuciferin), 아르메파빈(armepavine), n-노르누시페린(n-nornuciferin), 프로누시페린(pronuciferine), d-n-메틸코클라우린(d-nmethylcoclaurine), 리리오데닌(liriodenine), 주석산,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연잎에는 항산화물질이 있으며, 지질저하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일부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효과도 알려졌고, 혈청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함량을 조절하고 지질 대사를 촉진하고, 지방세포증식 억제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호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 등으로도 불린다. 여기서 사용되는 헛개나무의 잎, 줄기에는 주독(酒毒) 제거 및 간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는 Acanthopanax senticosus 등 다수의 이명으로 분류되는, 두릅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가시오갈피라고 하기도 한다. 나무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빽빽하게 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생긴 겹잎이 어긋나게 달린다. 여기서 사용되는 줄기에는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신경쇠약, 당뇨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느릅나무는 예로부터 종기나 종창에 효과가 있는 나무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능과 치과 카리에스에 대한 항세균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베르갑텐, 이소핌피넬리, 정유, 니코틴산, 비타민B 등이 있다. 혈압내림작용, 이뇨작용, 대뇌의 진정작용, 연수의 흥분과 마비작용이 있다. 또한, 단백질의 합성과 자궁조직의 신생을 도우며, 포도당의 흡수를 늘리는 등 물질대사를 활성화시키고, 골수를 재생시켜서 조혈 작용을 돕는다.
상기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은 두충나무과의 두충나무로 낙엽교목이다. 여기서는 나무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으로, 껍질에 있는 고무질은 굿타페르카이며, 유기산, 클로로겐산, 비타민 C, 알칼로이드 등이 풍부하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甘草)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캐서 줄기를 다듬어 씻고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주성분은 글리시리진,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등이다. 상기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쿠론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성분이며, 사포닌, 글리시리진 등은 해독 작용을 한다. 또한, 감초의 글리시레틴산 성분은 부신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글리시리진은 항염증 작용을 갖는다. 감초의 물 추출액은 위장에 대해 향근육성 진정작용이 있는데, 이는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기 오미자는 다년생 나무인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로, 따서 햇볕에 말린 다음 다시 그늘에 말려 사용한다. 주성분으로는 유기산(레몬산 10~13%, 사과산 7~10%, 포도주산 0.8%), 당분 1.5%, 탄닌질, 안토시안색소, 팩틴, 정유가 있으며, 리그난화합물 역시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음식에 사용시 노린내를 제거하고 느끼함을 없애준다. 중추신경에 대해 오래 지속되는 흥분작용이 있으며, 반사 흥분성을 높여주며, 심장 혈관계통에 좋은 영향을 준다. 또한, 건강한 사람 역시 노동운동성이 좋아져 근육에서 힘이 늘고 육체적 피로를 덜 느끼게 된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속썩은풀이라고도 하며, 여기서는 생약명 황금(Scutellariae Radix)으로 그 뿌리를 말한다. 황금의 주요 효능은 염증, 호흡기 감염, 소화기 감염에 항균, 항염, 항암작용, 항히스타민, 간기능 보호 효과, 항고지혈증, 항불안 효과가 있다. 황금의 주요 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린(baicalin), 우고닌(wogonin), 노르우고닌(norwogonin), 오록실린(oroxylin) A, -시토스테롤(sitosterol), 모슬로플라본(mosloflavone) 등이 알려져 있다. 오록실린(oroxylin) A는 항암효과, 항미생물 효과, 인식강화 등 많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한의학에서는 길경(桔梗)이라고 하며, 굵은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는 초롱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배농, 거담, 기관지염, 천식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사용되어온 약재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도라지 뿌리줄기에는 사포닌(Saponin)의 일종인 플라티코딘(Platycodin)과 플라티코디게닌(Platycodigenin)이 있어 거담작용과 진해작용을 한다. 또한, 급만성염증에 대한 항염증 작용, 항궤양 및 위액분비 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한방 재료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건조 조건 즉, 줄기, 뿌리, 수피, 근피, 껍질 등은 수분 함량이 11~15%이고, 잎은 12~13%, 오미자 등 과실은 10~25% 되도록 하는 조건 등을 따를 수 있다.
상기 한방 재료의 구체적 실시 예는 상기 건조 조건에서 선택되되, 꾸찌뽕 100g, 사철쑥 190g, 황기 140g, 엄나무 90g, 울금 70g, 마가목 50g, 황칠나무 50g, 연잎 50g, 헛개나무 50g, 가시오가피 30g, 느릅나무 30, 당귀 20g, 두충 20g, 감초 20g, 오미자 20g, 황금 10g, 도라지 10g이 포함되도록 하고, 여기에 정제수 50g를 가하여 1kg으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한방 재료 1kg을 상술한 바와 같이 물 100리터에 넣고 2시간 반 정도 끓이며 졸인 후 한방 재료를 건져냄으로써, 한방 염지제를 80~85리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소금은 꾸찌뽕 100g이 한방 재료로 들어갈 때 0.5~20g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한방 염지제는 기계 숙성장치 등을 통해 80~90℃를 유지하며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0~5℃로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준비된 한방 염지제에 상기 잠김(침전) 방식 대신 소정의 장비를 이용하여 뿌리는 방식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어물에 한방 염지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 어물 1kg에 한방 염지제를 40~70g 도포할 수 있는데, 한방 염지제를 70g 정도로 많이 사용하면 튀김옷의 부착효과 및 어물의 비린내 등 잡내를 잡기에 바람직하나, 40g 정도로 낮으면 그 효과가 저조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물기를 뺀 세척된 어물을 한방 염지제가 5℃인 상태에서 1시간 반 내지 2시간 반 동안 잠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시간 반을 초과하여 잠겨두면, 한방 염지제가 어물에 충분히 스며들어 코팅막 형성에 별 차이가 없게 되고, 그렇다고 1시간 반 미만으로 잠겨두면 어물의 비린내 등 잡내를 잡기 어렵고 한방 염지제의 유효성분이 어물에 충분히 배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잠겨두는 시간은 한방 염지제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인 상태에서는 2시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힌 어물은 준비된 재료로 튀김옷을 입힌다(제 3 단계).
이때, 상기 튀김옷의 재료는 통상의 튀김용 파우더일 수 있으나, 튀김옷의 부착과 맛, 바삭한 식감 등을 고려하여 찹쌀가루, 옥수수가루, 빵가루 및 쌀가루를 섞어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상기 튀김옷은 찹쌀가루 300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가루 140~160중량부, 빵가루 240~260중량부, 쌀가루 260~280중량부 및 계란 25~35중량부가 포함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재료의 함량 범위는 튀김옷으로 잘 부착되고, 튀김 후 맛과 바삭한 식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조건에서 결정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튀김옷은 찹쌀가루 300g, 옥수수가루 150g, 빵가루 250g, 쌀가루 270g 및 계란 30g을 혼합한 1kg의 파우더(반죽)로 만들어,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힌 어물 1kg에 손으로 직접 부착하는 방식, 굴리는 방식 등으로 튀김옷을 입힐 수 있다.
상기 튀김옷을 입힐 때, 어물의 한방 염지제의 코팅막과 튀김옷이 빈틈없이 만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튀긴 후에 튀김옷이 어물에서 더욱 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튀김옷을 입힌 어물을 170~190℃의 기름에 6~7분간 튀겨 튀김어물을 완성한다(제 4 단계).
이때, 상기 기름은 일반 식용유일 수 있고, 콩유, 옥수수씨유 또는 해바라기씨유일 수도 있다.
이후에는 준비된 각종 소스에 묻히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기타 미설명된 부분은 일반적인 튀김 방식을 따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튀김옷을 입히기 전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튀김옷이 요리 후 식용시에도 어물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잡내 없이 어물 튀김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으며, 한방 염지제에 의한 코팅막으로 눅눅해짐이 없이 오랫동안 튀김으로서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한방 염지제의 유효성분이 배어있는 어물 튀김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어물 튀김시 한방 염지제를 사용함으로써, 튀김옷의 부착력을 높여 식용시에도 어물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고, 코팅막으로 눅눅해짐이 없이 오랫동안 튀김으로서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어물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된 어물에 한방 염지제를 코팅막으로 입히는 제 2 단계;
    상기 한방 염지제를 입힌 어물에 튀김옷을 입히는 제 3 단계; 및
    상기 튀김옷을 입힌 어물을 기름에 튀기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방 염지제는 소정의 물에 소금과 꾸찌뽕, 사철쑥 및 연잎이 포함된 한방 재료를 넣고 상기 물의 양이 15~20% 만큼 줄도록 다린 후 80~90℃를 유지하며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0~5℃로 보관된 것이고,
    상기 꾸찌뽕은 꾸찌뽕 나무의 잎과 줄기이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세척된 어물을 상기 한방 염지제가 5℃인 상태에서 1시간 반 내지 2시간 반 동안 잠겨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재료는 꾸찌뽕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철쑥 180~200중량부, 황기 130~150중량부, 엄나무 80~100중량부, 울금 60~80중량부, 마가목 40~60중량부, 황칠나무 40~60중량부, 연잎 40~60중량부, 헛개나무 40~60중량부, 가시오가피 20~40중량부, 느릅나무 20~40중량부, 당귀 10~30중량부, 두충 10~30중량부, 감초 10~30중량부, 오미자 10~30중량부, 황금 5~15중량부 및 도라지 5~15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옷은 찹쌀가루 300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가루 140~160중량부, 빵가루 240~260중량부, 쌀가루 260~280중량부 및 계란 25~35중량부가 포함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KR1020177001817A 2016-12-01 2016-12-01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KR101810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071 WO2018101516A1 (ko) 2016-12-01 2016-12-01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510B1 true KR101810510B1 (ko) 2017-12-20

Family

ID=609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17A KR101810510B1 (ko) 2016-12-01 2016-12-01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0510B1 (ko)
WO (1) WO20181015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03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엠알시스 황칠 성분이 포함된 어묵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52B1 (ko) 2014-06-12 2014-09-23 주)선자령푸드 오리 강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73B1 (ko) * 2004-05-19 2006-04-12 김용호 해산물 스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9098B1 (ko) * 2005-02-24 2006-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향신료추출물과 식초를 이용한 어류뼈튀김의 비린내 제거방법
KR101074150B1 (ko) * 2009-06-30 2011-10-17 (주) 굿맨프리미어파트너스 코코넛 맛 튀김용 새우 제조 방법
KR101219282B1 (ko) * 2010-12-17 2013-01-08 홍성길 참치 후라이드 제조방법
KR101544155B1 (ko) * 2015-04-01 2015-08-12 주식회사 전주단지네 백년초 함유 문어를 이용한 탕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년초 함유 문어를 이용한 탕수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52B1 (ko) 2014-06-12 2014-09-23 주)선자령푸드 오리 강정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03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엠알시스 황칠 성분이 포함된 어묵의 제조방법
KR102347341B1 (ko) * 2019-09-18 2022-01-07 추지원 황칠 성분이 포함된 어묵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16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3298A (zh) 一种茉莉花美容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815375B1 (ko) 닭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대보중탕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5B1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3863B1 (ko) 육즙이 풍부한 백숙통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숙통닭
KR102358986B1 (ko) 황칠을 이용한 해조류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황칠을 이용한 해조류 기능성 국수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KR101810509B1 (ko) 버섯튀김의 제조방법
KR101810510B1 (ko) 어물 튀김의 제조방법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1537199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CN108013285A (zh) 一种朝鲜蓟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20873B1 (ko) 싸리나무를 주재료로 한 기능성 음료,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0094A (ko) 오리 튀김의 제조방법
KR20190014326A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78869B1 (ko) 지구자나무를 포함한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제조방법
KR100971360B1 (ko) 당삼과 쥐눈이콩을 이용한 장어죽 및 그 제조방법
CN104273295A (zh) 一种栀子花清热凉血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80090098A (ko) 표고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KR101450722B1 (ko) 검은콩 엑기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0237A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6851B1 (ko) 방풍 피고막 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풍 피고막 죽
KR102279035B1 (ko) 한방 명태 양념구이의 제조방법
KR102735922B1 (ko) 탈모를 억제하는 효과를 유발하는 식재료를 첨가한 즉석 연포탕 및 제조방법
KR102469047B1 (ko) 삼계탕 밀키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