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007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007B1
KR102420007B1 KR1020217036143A KR20217036143A KR102420007B1 KR 102420007 B1 KR102420007 B1 KR 102420007B1 KR 1020217036143 A KR1020217036143 A KR 1020217036143A KR 20217036143 A KR20217036143 A KR 20217036143A KR 102420007 B1 KR102420007 B1 KR 10242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leg mounting
container
rib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씨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씨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30Groups of containers joined together end-to-end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용 용기는, 각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천장면부(41)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한 다리 탑재면부(42)를 가지고 용기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덮개체(4)를 구비하고, 각부를 다리 탑재면부(42)에 탑재시켜 다단으로 포개어 쌓는 것이 가능하다. 천장면부(41)와 다리 탑재면부(42)가 단차부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다. 포장용 용기는, 다리 탑재면부(42)로부터 단차부(42a)과 교차하면서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제1 홈 리브(51)와, 제1 홈 리브(51)와 연속하는 상태로, 단차부(42a)과 다리 탑재면부(42)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리브(5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
본 발명은,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식품 등의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데에, 용기 본체와 그것에 끼워맞추어지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 용기의 대부분은, 열가소성 수지의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포장용 용기 중에는, 용기 본체에 각부(脚部)를 설치하고, 덮개체에 천장면부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한 다리 탑재면부를 형성하고, 각부를 다리 탑재면부에 탑재시켜 다단으로 포개어 쌓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단쌓기 가능한 포장용 용기의 일례가, 일본공개특허 제2008-260584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포장용 용기를 단쌓기하는 경우, 해당 포장용 용기는, 포개어 쌓는 것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1의 포장용 용기에서는, 덮개체의 천장면부와 측벽부의 경계부에 전체 주위에 걸치는 실굽형 볼록부를 형성하고 또한, 측벽부에 리브(rib)를 설치함으로써, 덮개체의 내압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단면(斷面) 헤어핀형의 실굽형 볼록부를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하고 있고, 또한, 해당 실굽형 볼록부의 두께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한 것이 되고 있었다. 또한, 실굽형 볼록부가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해당 실굽형 볼록부에 의해 일부 차단되어, 피수용물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60584호 공보
간이한 구조이며, 피수용물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포개어 쌓기에 견딜 수 있는 만큼의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포장용 용기의 실현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각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천장면부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한 다리 탑재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각부를 다리 탑재면부에 탑재시켜 다단으로 포개어 쌓을 수 있는 포장용 용기로서,
상기 천장면부와 상기 다리 탑재면부가 단차부(段差部)를 통하여 연설(連設)되어 있고,
상기 다리 탑재면부로부터 상기 단차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천장면부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제1 홈 리브와,
상기 제1 홈 리브와 연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다리 탑재면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리브
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리 탑재면부로부터 단차부와 교차하면서 천장면부까지 연장되는 제1 홈 리브와, 단차부와 다리 탑재면부의 경계선을 따른 제2 홈 리브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연속하여 형성되므로, 다리 탑재면부 및 그 근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 다리 탑재면부 및 단차부에 작은 홈형의 리브를 세우는 것뿐의 간이한 구조로, 다리 탑재면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1 홈 리브 및 제2 홈 리브는,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리 탑재면부 및 그것에 연설되는 단차부의 위치만큼 형성되므로, 피수용물을 가로막는 일도 적고, 피수용물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간이한 구조이며, 피수용물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포개어 쌓기에 견딜 수 있는 만큼의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포장용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態樣)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기재하는 바람직한 태양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천장면부 및 상기 다리 탑재면부를 둘러싸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덮개체 측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홈 리브가, 상기 덮개체 측벽부의 하단(下端)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리 탑재면부 및 그 근방의, 덮개체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천장면부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다리 탑재면부 및 그 근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 용기 전체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천장면부와 상기 단차부의 경계선에 대략 평행하게 상기 천장면부에 형성된 제3 홈 리브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장면부에서의 다리 탑재면부의 근방의 강도를, 작은 홈형의 리브를 세우는 것뿐의 간이한 구조로 더욱 높일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제1 홈 리브에 대략 평행하게 상기 다리 탑재면부에 형성된 제4 홈 리브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리 탑재면부의 강도를, 작은 홈형의 리브를 세우는 것뿐의 간이한 구조로 더욱 높일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부가 상기 천장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포개어 쌓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리 탑재면부에 다른 포장용 용기의 각부가 탑재되는 것에 더하여, 천장면부에 다른 포장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바닥면부가 맞닿는 상태로, 복수의 포장용 용기를 안정적으로 다단으로 포개어 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포장용 용기의 분해 정면도
[도 3] 포장용 용기의 분해 측면도
[도 4] 포장용 용기의 평면도
[도 5] 용기 본체의 평면도
[도 6] 도 4에서의 VI-VI 단면도(斷面圖)
[도 7] 도 4에서의 VII-VII 단면도
[도 8] 덮개체의 다리 탑재면부 부근의 사시도
[도 9] 다른 태양의 포장용 용기의 확대 평면도
포장용 용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시나 반찬 등의 식품을 피수용물로서 그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용 용기(식품 포장용 용기)(1)를 예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포장용 용기(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외측 에지 측으로부터 중앙 측을 향하는 방향)을 「안쪽」이라고 하고, 포장용 용기(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중앙 측으로부터 외측 에지 측을 향하는 방향)을 「바깥쪽」이라고 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덮개체(4)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용 용기(1)는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포장용 용기(1)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 및 덮개체(4)가 각각,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 및 덮개체(4)는, 열가소성 수지 비발포 시트의 열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열가소성 수지 비발포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체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비발포층을 구비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 비발포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및 아크릴 수지 등의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 중합체,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다른 수지와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면 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2)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 또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비발포 시트의 적층 시트의 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2)는 유색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무색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덮개체(4)는, 피수용물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는 무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1)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포장용 용기(1)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 및 덮개체(4)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란,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 또는 전체로서 대략 직사각형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기 본체(2) 및 덮개체(4)는,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형상이 전체로서 대략 직사각형인 한, 4변 중 적어도 1개가 굴곡 내지 만곡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2) 및 덮개체(4)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바닥면부(21)와, 본체 측벽부(23)와, 본체 플랜지부(24)와, 본체 스커트부(25)를 가지고 있다.
바닥면부(21)는 용기 본체(2)의 바닥부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면부(21)는 지지면부(21A)와, 주위홈부(21B)와, 코너 오목부(21C)를 가지고 있다. 지지면부(21A)는, 피수용물인 식품을 지지하는 부위이며, 바닥면부(21)에서의 주위 에지부(주위홈부(21B) 및 코너 오목부(21C))를 제외한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주위홈부(21B)는, 지지면부(21A)의 주위를 둘러싸고 해당 지지면부(21A)보다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너 오목부(21C)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주위홈부(21B) 및 지지면부(21A)의 네 코너에, 주위홈부(21B)보다 더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너 오목부(21C)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2)의 네 코너에는 각각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각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각부(22)는, 용기 본체(2)를 진열 테이블이나 테이블 등에 놓을 때, 용기 본체(2)를 유지하는 부위로 된다. 또한, 각부(22)는, 복수의 포장용 용기(1)가 다단으로 포개어 쌓일 때, 하측의 포장용 용기(1)의 덮개체(4)의 천장면부(41)에 형성된 다리 탑재면부(42)에 탑재되어 위치 유지된다.
본체 측벽부(23)는, 바닥면부(2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측벽부(23)는,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측벽부(23)는, 바닥면부(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측벽부(23)는 바닥면부(21)와 함께, 피수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측벽부(23)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 리브(23A)가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플랜지부(24)는, 본체 측벽부(2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 플랜지부(24)는, 본체 측벽부(23)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 플랜지부(24)에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덮개체(4)의 덮개체 플랜지부(44)가 중첩된다.
본체 스커트부(25)는, 본체 플랜지부(24)보다 주위 에지 측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스커트부(25)는, 본체 플랜지부(24)의 외측 단부(端部)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 스커트부(25)는 용기 본체(2)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체 스커트부(25)는,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 스커트부(25)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덮개체(4)의 덮개체 스커트부(45)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본체 스커트부(25)의 하단부로부터는, 연출(延出) 에지부(27)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출 에지부(27)에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덮개체(4)의 덮개체 스커트부(45)에 형성된 선형 돌기(46)가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진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4)는 천장면부(41)와, 다리 탑재면부(42)와, 덮개체 측벽부(43)와, 덮개체 플랜지부(44)와, 덮개체 스커트부(45)를 가지고 있다.
천장면부(41)는 덮개체(4)의 천장부를 구성하고 있다. 천장면부(41)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면부(41)를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피수용물의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리 탑재면부(42)는, 천장면부(41)의 네 코너에 있어서, 해당 천장면부(41)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리 탑재면부(42)는, 천장면부(41)로부터 아래쪽을 향하는 단차부(42a)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천장면부(41)와 다리 탑재면부(42)가 단차부(42a)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다. 다리 탑재면부(42)는,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 탑재면부(42)에는, 복수의 포장용 용기(1)가 다단으로 포개어 쌓일 때, 상측의 포장용 용기(1)의 용기 본체(2)의 각부(22)가 탑재된다. 상측의 포장용 용기(1)의 복수의 각부(22)에 대하여, 각각 안쪽 측에 단차부(42a)가 형성되므로, 복수의 포장용 용기(1)를 포개어 쌓을 때 옆으로 어긋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때, 각각의 단차부(42a)가 대응하는 각부(22)와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옆으로 어긋남의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포장용 용기(1)가 다단으로 포개어 쌓일 때, 천장면부(41)에는, 상측의 포장용 용기(1)의 용기 본체(2)의 바닥면부(21)가 맞닿은 상태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포장용 용기(1)의 용기 본체(2)의 바닥면부(21) 중, 주위홈부(21B)의 부분이 천장면부(41)와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로써, 복수의 포장용 용기(1)를 안정적으로 다단으로 포개어 쌓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다리 탑재면부(42)에 대하여 그 양측에, 스텝부(step portion)(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텝부(56)는, 천장면부(41)와 덮개체 측벽부(43)의 경계를 따라, 천장면부(41)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변의 중앙 부분에는 스텝부(56)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천장면부(41)와 덮개체 측벽부(43)는 능선부를 통하여 연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변의 양측에 스텝부(56)를 나누어서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능선부를 보강할 수 있고,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능선부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면부(41)와 바닥면부(21)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고, 복수의 포장용 용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포개어 쌓을 수 있다.
덮개체 측벽부(43)는, 천장면부(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측벽부(43)는,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측벽부(43)는, 천장면부(41) 및 다리 탑재면부(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측벽부(43) 중, 네 코너에 위치하는 부분은, 코너 절단형으로 형성된 코너 절단형 면부(43A)로 되어 있다. 코너 절단형 면부(43A)는,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협폭(狹幅)이 되는 세로로 긴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측벽부(43) 중, 각 변에 위치하는 부분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오목한 요설부(凹設部)(5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설부(57)를 형성함으로써, 천장면부(41)와 덮개체 측벽부(43)의 경계의 능선부를 더욱 보강할 수 있고, 더욱 안정된 포개어 쌓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덮개체 플랜지부(44)는 덮개체 측벽부(4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체 플랜지부(44)는 덮개체 측벽부(43)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체 플랜지부(44)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본체 플랜지부(24)에 중첩된다.
덮개체 스커트부(45)는, 덮개체 플랜지부(44)보다 주위 에지 측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덮개체 스커트부(45)는, 덮개체 플랜지부(44)의 외측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체 스커트부(45)는 덮개체(4)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스커트부(45)는,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진 후, 수하(垂下)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스커트부(45)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본체 스커트부(25)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덮개체 스커트부(45)는, 용기 본체(2)의 본체 스커트부(25)보다 더 아래쪽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 스커트부(45)의 아래쪽 측의 위치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직선형의 선형 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 돌기(46)는, 주위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형 돌기(46)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본체 스커트부(25)의 각 변의 중앙부와 양 단부에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형 돌기(46)는, 덮개 폐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연출 에지부(27)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다(도 7을 참조). 이로써, 약간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덮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8에 잘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덮개체(4)에는, 다리 탑재면부(42) 및 그 근방에, 제1 홈 리브(51), 제2 홈 리브(52), 및 제3 홈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아래쪽 또는 안쪽을 향하여 작은 홈형으로 오목한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홈 리브(51)는, 적어도 다리 탑재면부(42)로부터 단차부(42a)와 교차하면서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 리브(51)는, 다리 탑재면부(42)로부터 덮개체 측벽부(43) 중 네 코너에 위치하는 코너 절단형 면부(43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홈 리브(51)는, 덮개체 측벽부(43)(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하단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홈 리브(51)는, 덮개체(4)의 네 코너의 위치에 있어서, 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하단으로부터, 코너 절단형 면부(43A), 다리 탑재면부(42), 및 단차부(42a)의 전체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고, 더욱 천장면부(41)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홈 리브(52)는, 다리 탑재면부(42)와 단차부(42a)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홈 리브(52)는 제1 홈 리브(51)와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 리브(51)와 제2 홈 리브(52)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제1 홈 리브(51)와 제2 홈 리브(52)는, 이들의 교점 부분에서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홈 리브(53)는 천장면부(41)에 형성되어 있다. 제3 홈 리브(53)는, 천장면부(41)와 단차부(42a)의 경계선으로부터 약간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해당 경계선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홈 리브(53)는, 제1 홈 리브(51)와는 독립적으로(바꿔 말하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홈 리브(53)는, 제1 홈 리브(51)의 가상 연장선과 교차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 리브(51)의 가상 연장선과 제3 홈 리브(53)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제3 홈 리브(53)는, 제2 홈 리브(52)와도 독립적으로(바꿔 말하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홈 리브(53)는 제2 홈 리브(52)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홈 리브(53)는, 그 양 단부가 각각 스텝부(56)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1 홈 리브(51), 제2 홈 리브(52), 및 제3 홈 리브(53)에 의하여, 다리 탑재면부(42) 및 그 근방이 넓은 범위에서, 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리 탑재면부(42) 및 그 근방에 작은 홈형의 리브를 세우는 것 뿐의 간이한 구조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리 탑재면부(42)에 다른 포장용 용기(1)의 용기 본체(2)의 각부(22)를 탑재하여 복수의 포장용 용기(1)를 다단으로 적층해도, 덮개체(4)가 찌그러져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 리브(51)가, 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하단으로부터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홈 리브(51)는, 예를 들면 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도중부터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홈 리브(51)는, 예를 들면 다리 탑재면부(42)와 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경계로부터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제1 홈 리브(51)는, 예를 들면 다리 탑재면부(42)의 도중부터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3 홈 리브(53)가 제1 홈 리브(51)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3 홈 리브(53)와 제1 홈 리브(51)가 교차하여, 이들의 교점 부분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천장면부(41)에 제3 홈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천장면부(41)에 제3 홈 리브(53)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4)에, 제1 홈 리브(51), 제2 홈 리브(52), 및 제3 홈 리브(53)만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홈 리브(51), 제2 홈 리브(52), 및 제3 홈 리브(53)에 더하여, 제4 홈 리브(54)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시한 예의 제4 홈 리브(54)는, 다리 탑재면부(42)에, 제1 홈 리브(51)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4 홈 리브(54)가, 사이에 제1 홈 리브(51)를 두고 그 양측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 홈 리브(54)는, 다리 탑재면부(42)와 코너 절단형 면부(43A)의 경계로부터 천장면부(4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다리 탑재면부(42)에 대하여 그 양측에 스텝부(56)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다리 탑재면부(42)끼리의 사이에, 이들에 걸쳐 연속하는 1개의 스텝부(56)가 각각 형성되어도 된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포장용 용기(1)(용기 본체(2) 및 덮개체(4))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포장용 용기(1)는, 예를 들면 정사각형상이나 평행사변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기타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포장용 용기(1)는, 예를 들면 오각형상이나 육각형상, 팔각형상 등의 기타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포장용 용기(1)는, 예를 들면 원형상이나 타원형상 등의 기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7) 전술한 각 실시형태(상기의 실시형태 및 기타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다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포장용 용기
2 : 용기 본체
4 : 덮개체
21 : 바닥면부
22 : 각부
41 : 천장면부
42 : 다리 탑재면부
42a : 단차부
43 : 덮개체 측벽부
51 : 제1 홈 리브
52 : 제2 홈 리브
53 : 제3 홈 리브
54 : 제4 홈 리브

Claims (8)

  1. 각부(脚部)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천장면부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한 다리 탑재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각부를 다리 탑재면부에 탑재시켜 다단으로 포개어 쌓는 것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로서,
    상기 천장면부와 상기 다리 탑재면부가 단차부(段差部)를 통하여 연설(連設)되어 있고,
    상기 다리 탑재면부로부터 상기 단차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천장면부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제1 홈 리브(rib)와,
    상기 제1 홈 리브와 연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다리 탑재면부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리브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홈 리브는 상기 제1 홈 리브와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홈 리브와 상기 제2 홈 리브는, 교점 부분에서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다리 탑재면부 및 상기 다리 탑재면부에 연설되는 단차부의 위치만큼 형성되는,
    포장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천장면부 및 상기 다리 탑재면부를 둘러싸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덮개체 측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홈 리브가, 상기 덮개체 측벽부의 하단(下端)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부와 상기 단차부의 경계선에 평행하게 상기 천장면부에 형성된 제3 홈 리브를 더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리브에 평행하게 상기 다리 탑재면부에 형성된 제4 홈 리브를 더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리브에 평행하게 상기 다리 탑재면부에 형성된 제4 홈 리브를 더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부가 상기 천장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포개어 쌓기 가능한, 포장용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부가 상기 천장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포개어 쌓기 가능한, 포장용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부가 상기 천장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포개어 쌓기 가능한, 포장용 용기.
KR1020217036143A 2021-07-30 2021-07-30 포장용 용기 KR102420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8396 WO2023007711A1 (ja) 2021-07-30 2021-07-30 包装用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007B1 true KR102420007B1 (ko) 2022-07-11

Family

ID=8239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143A KR102420007B1 (ko) 2021-07-30 2021-07-30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38393B1 (ko)
KR (1) KR102420007B1 (ko)
CN (1) CN116529170B (ko)
WO (1) WO202300771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0584A (ja) 2008-06-23 2008-10-30 Fp Corp 容器蓋及び包装用容器
JP2009018866A (ja) * 2007-06-15 2009-01-29 Fp Corp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JP2014141270A (ja) * 2013-01-23 2014-08-07 Fp Corp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2016145053A (ja) * 2015-02-06 2016-08-12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2019131195A (ja) * 2018-01-29 2019-08-08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多角形の蓋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865B2 (ja) * 1996-04-24 1999-10-25 中国パール化成株式会社 透明蓋の食品容器
JP2003276735A (ja) * 2002-03-19 2003-10-02 Akuta:Kk 果物類収納用蓋付き容器
US7726483B2 (en) * 2005-02-23 2010-06-01 The Glad Products Company Stacked containers
JP4871538B2 (ja) * 2005-07-07 2012-02-08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US8205749B2 (en) * 2008-07-22 2012-06-2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tackable flexible container assembly
JP5802055B2 (ja) * 2011-05-24 2015-10-28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容器本体、ならびに包装用容器
JP5328862B2 (ja) * 2011-09-21 2013-10-30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US20150101955A1 (en) * 2013-10-14 2015-04-16 Multisteps Pty Ltd Produce Container
JP5922198B2 (ja) * 2014-08-18 2016-05-24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及びその蓋体
TWM526995U (zh) * 2016-05-10 2016-08-11 Ponipack Co Ltd 改良式塑膠包裝容器
JP6713625B2 (ja) * 2017-08-30 2020-06-24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6966109B2 (ja) * 2017-08-30 2021-11-10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7144029B2 (ja) * 2018-05-30 2022-09-29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866A (ja) * 2007-06-15 2009-01-29 Fp Corp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JP2008260584A (ja) 2008-06-23 2008-10-30 Fp Corp 容器蓋及び包装用容器
JP2014141270A (ja) * 2013-01-23 2014-08-07 Fp Corp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2016145053A (ja) * 2015-02-06 2016-08-12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2019131195A (ja) * 2018-01-29 2019-08-08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多角形の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29170B (zh) 2023-11-24
JP7138393B1 (ja) 2022-09-16
CN116529170A (zh) 2023-08-01
JPWO2023007711A1 (ko) 2023-02-02
WO2023007711A1 (ja)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978B2 (ja) 収納トレー
JP4953986B2 (ja) 包装用容器、蓋、蓋付き包装用容器、および食品包装体
JP2009018866A (ja)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US20210130060A1 (en) Thermoformed bakery package
KR102420007B1 (ko) 포장용 용기
JP6713625B2 (ja) 包装用容器
JP5922198B2 (ja) 包装用容器及びその蓋体
JP7097592B2 (ja) 包装用容器
JP5496724B2 (ja) 鮨用包装容器
JP7162854B2 (ja) 包装用容器
JP7306677B2 (ja) 包装用容器
JP2018140787A (ja) 樹脂成形品
JP7137177B2 (ja) 包装用容器
JP7379771B2 (ja) 包装用容器
JP2006321539A (ja) 包装用容器とその蓋及び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用容器
JP7479716B2 (ja) 食品包装用容器
JP2008254755A (ja) 容器本体の側壁にポッチを設けた包装用容器
JP7489100B2 (ja) 包装用容器の蓋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7237332B2 (ja) 包装用容器
JP7137178B2 (ja) 包装用容器
JP3140941U (ja) 食品容器
JP7390737B2 (ja) 包装用容器
JP6560810B1 (ja) 包装用容器
JP6598181B1 (ja) 包装用容器
JP6598180B1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