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897B1 - 파워 레지스터 - Google Patents

파워 레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897B1
KR102414897B1 KR1020207001924A KR20207001924A KR102414897B1 KR 102414897 B1 KR102414897 B1 KR 102414897B1 KR 1020207001924 A KR1020207001924 A KR 1020207001924A KR 20207001924 A KR20207001924 A KR 20207001924A KR 102414897 B1 KR102414897 B1 KR 10241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edge
housing
cutout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509A (ko
Inventor
마티아스 드레스러
버트람 쇼트
Original Assignee
비쉐이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쉐이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쉐이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2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28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the resistive element being embedded in insulation with outer enclosing she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1Mounting; Suppor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3/00Non-adjustable metal resistors made of wire or ribbon, e.g. coiled, woven or formed as grids
    • H01C3/06Flexible or folding resistors, whereby such a resistor can be looped or collapsed upon itsel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8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3/00Non-adjustable metal resistors made of wire or ribbon, e.g. coiled, woven or formed as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파워 레지스터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관형 하우징 및 그 안에 수용된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두 단부 사이에서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벽을 가진다. 하우징은 두 단부의 적어도 하나에서 네 개의 측벽의 네 개의 에지를 포함한다. 네 개 중 두 개의 측벽은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하여 에지에서 각 절개부를 가지고, 다른 두 개의 측벽은 각 절개부 내로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향하여 배치된 절개부와 정렬된 각 간극을 가진다.

Description

파워 레지스터
본 발명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관형 하우징(tubular housing) 및 그 안에 수용된 레지스터 엘리먼트(resistor element)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의 두 단부 사이에서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하우징의 직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벽을 가지고, 제 1 측벽 및 제 3 측벽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측벽 및 제 4 측벽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인, 파워 레지스터(power resistor)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패스닝 엘리먼트(fastening element)를 도입하기 위하여 두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절개부(incision)를 갖는 에지(edge)를 가진다.
알려진 종류(the named kind)의 파워 레지스터는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철도 기관차의 브레이크 저항뿐 아니라, 주파수 인버터, 운전 제어 또는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파워 레지스터에 의해 생성된 손실 열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워 레지스터는, 특히 먼지 및 물 보호 방식으로 관형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고, 요구되는 전기 절연에 영향을 미치면서도 하우징의 표면으로 손실 열을 빠르게 전달하는 열 전도성의 절연 재료로 둘러싸일 수 있는,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의 표면의 치수는, 하우징으로부터 패스닝 환경(fastening environment) 및/또는 환경 공기(environmental air)로의 양호한 열 전달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분히 커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 하우징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야 하고, 따라서 하우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하우징은 패스닝 엘리먼트- 예를 들어 스크류 -가 절개부 내로 도입된 측벽의 에지에서의 절개부에 의하여 각 단부에서 기판에 패스닝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파워 레지스터는 특허문헌 DE 10023272 C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또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긴 알루미늄 튜브로부터 절단 손실(cutting loss) 없이 관형 하우징을 절단하고, 따라서 간단히 설치될 수 있는 파워 레지스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하지만, 여기서 알루미늄 튜브의 종류 및 절단 방향에 의해 파워 레지스터의 단일의 설치 정렬이 미리 정해진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하나의 또는 두 개의 다른 절단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하우징이 긴 직사각형 단면 형태의 더 긴 에지가 절개부를 가지고 기판 상에 놓이는 정렬(“수평 정렬”)로 패스닝되거나, 긴 직사각형 단면 형태의 더 짧은 에지가 절개부를 가지고 기판 상에 놓이는 정렬(“수직 정렬”)로 패스닝될 수 있다. 기판 상에 놓인 측벽과 반대 편에 배치된 측벽은, 기판 상에 놓인 측벽의 절개부 내로 도입되는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tool)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 오프셋(cutting offset)으로 인하여 셋백(set back)된다. 그러나, 수평 정렬로 패스닝하기 위한 하우징은 수직 정렬로 설치될 수 없고, 또한 반대의 경우도 있으므로, 전술한 두 정렬 중 각각 하나로만 패스닝될 수 있는 두 개의 상이한 실시 변형예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전술한 수직 정렬 및 수평 정렬의 모두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기판에 패스닝될 수 있는 초기에 기술된 종류(the initially described kind)의 파워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파워 레지스터에 의해 달성되며, 특히 두 개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특히 양 단부에: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절개부를 갖는 제 1 측벽의 제 1 에지;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2 절개부를 갖는 제 2 측벽의 제 2 에지; 제 3 측벽의 제 3 에지; 및 제 4 측벽의 제 4 에지를 포함하고, 제 1 절개부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3 측벽은 제 1 절개부와 적어도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정렬된 제 1 간극을 가지고, 제 4 측벽은 제 2 절개부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2 간극을 갖는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파워 레지스터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간단한 참조의 목적으로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으로 불리는 하우징의 서로 인접하는 두 측벽의 에지에서 두 개의 절개부를 가진다. 파워 레지스터는 선택적으로 제 1 측벽이 기판에 접촉하는 제 1 정렬 또는 제 2 측벽이 기판에 접촉하는 제 2 정렬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제 1 정렬 및 제 2 정렬은 서로에 대하여 90°로 오프셋(offset)되고, 특히 하우징의 긴 직사각형 단면의 수직 정렬 및 수평 정렬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레지스터의 기판에의 패스닝(fastening)은, 제 1 측벽의 에지의 절개부 내로 또는 제 2 측벽의 에지의 절개부 내로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예를 들어, 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측벽에 대향하여 배치된 하우징의 제 3 측벽 및 제 2 측벽에 대향하여 배치된 하우징의 제 4 측벽은, 대향하여 배치된 절개부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각각의 간극을 가진다. 각 절개부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예를 들어, 스크류드라이버)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두 개의 선택 가능한 정렬에 충분한 간극이 제공된다. 제 1 간극은 특히 제 1 측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제 1 절개부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고,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2 간극은 특히 제 2 측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제 2 절개부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각 간극이 관련된 절개부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야 한다고 언급된 경우, 이는 관련된 절개부의 아웃라인, 크기 및/또는 위치에 간극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음을 의미하고, 소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각 절개부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효과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 또한 이 문구에 의해 커버된다. 간극과 절개부가 오버랩되는 것만으로 특히 전형적으로 충분하다(투영도로 보았을 때(viewed in projec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절개부는 여전히 예를 들어, 긴 형태(elongate form)를 가질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관련된 간극의 경우일 필요는 없다.
기하학적으로 고려할 때, 파워 레지스터는 제 1 절개부를 통해 제 1 측벽의 범위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하우징, 특히 (대향하여 배치된) 제 3 측벽과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제 2 절개부를 통해 제 2 측벽의 범위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하우징, 특히 (대향하여 배치된) 제 4 측벽과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양 단부에 제공된다.
패스닝 엘리먼트는 제 1 간극 및 제 2 간극의 형성과 동시에 제 1 절개부 내로 또는 제 2 절개부 내로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고, 파워 레지스터를 기판에 패스닝하기 위해 직선 방향으로 툴에 의해 체결(engaged) 및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레지스터는 유리하게는 두 개의 선택 가능한 정렬, 즉 예를 들어, 더 긴 에지가 기판 상에 놓이는 전술한 제 1 정렬 및 예를 들어, 더 짧은 에지가 기판 상에 높이는 전술한 제 2 정렬 중 하나로 패스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두 정렬 중 하나로만 각각 패스닝될 수 있는 파워 레지스터의 두 개의 상이한 실시 변형예를 제공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 발명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에지(즉, 제 3 측벽의 에지)는 제 1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제 1 에지(즉, 제 1 측벽의 에지)에 대하여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셋백되고, 제 4 에지(즉, 제 4 측벽의 에지)는 제 2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제 2 에지(즉, 제 2 측벽의 에지)에 대하여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셋백된다. 이는 각(제 3 또는 제 4) 에지 또는 각 에지 부분이 파워 레지스터의 센터 방향에서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전술한 다른 에지(제 1 또는 제 2 에지)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절개부 또는 제 2 절개부는 이러한 오프셋으로 인해 파워 레지스터의 기판에의 패스닝을 위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패스닝 엘리먼트는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다루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파워 레지스터를 패스닝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을 두고 툴에 의해 그립될 수 있다. 하우징의 각 단부에서 하우징의 제 3 및 제 4 측벽 각각의 제 3 및 제 4 에지의 이러한 셋백 배열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튜브로부터 하우징의 크기로 절단할 때 절단 평면의 대응하는 선택에 의하여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에지 및 제 2 에지는 유리하게는 직교 평면 내에서 하우징의 종축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패스닝 환경에 상대적으로 또는 기판에의 파워 레지스터의 정렬을 위한 유리한 기준선(reference line)이 도출된다. 그러나 제 3 에지는 제 1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직교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고(즉,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 4 에지는 제 2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직교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비스듬히 연장되는 각각의 제 3 및 제 4 에지를 갖는 하우징의 제조를 위하여, 직사각형 튜브로부터 하우징의 크기로 절단할 때 각 절단 평면만이 상응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의하여 소정의 절단 손실이 허용된다(동일한 직사각형 튜브로부터 복수의 유사한 하우징의 제조와 관련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파워 레지스터의 플렉서블한 정렬을 위하여 툴의 변경 없이 상이한 절단만을 요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간단한 제조가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 3 에지 및 제 4 에지가 하우징의 각 단부에서 전술한 직교 평면에 비스듬히 연장된 공통의 절단 평면 내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단부에서 하우징의 크기로의 절단은, 단 두 번의 절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번의 절단은 직사각형 튜브의 종축에 직교 평면을 따라 직사각형 튜브를 통해 이루어지고 다른 절단은 여기에 비스듬히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특히 신속하고,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체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제 3 측벽은 전술한 제 1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프닝(opening)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의 제 4 측벽은 전술한 제 2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오프닝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오프닝은 지엽적으로 폐쇄된 통로(peripherally closed passage)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 1 간극 및 제 2 간극은,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이 제 1 에지의 또는 제 2 에지의 각 절개부에 정렬된 오프닝을 갖기 때문에 형성된다. 오프닝은 예를 들어, 둥글 수 있고, 특히 보어(bore)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가 얻어진다. 파워 레지스터의 패스닝과, 특히 오프닝을 통한 툴의 가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오프닝은 관련된(즉, 대향하여 배치된) 절개부의 너비보다 긴 지름을 가져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통의 직교 평면 내에서 하우징의 종축으로 연장되도록 제 1 에지, 제 2 에지, 제 3 에지 및 제 4 에지가 특히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파워 레지스터의 하우징은 특히 간단하고, 특히 어떤 절단 손실도 없이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의 각 단부에서 제 1 에지 및 제 2 에지의 각 절개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 모두에서 제 1 절개부 및 제 2 절개부가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절개부는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에지의 인덴테이션(indentation)을 형성한다.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패스닝 엘리먼트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개부는 길이에 걸쳐 일정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는 각 에지에서 개방되고, 이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각지거나 또는 둥글 수 있다(예를 들어 반원형). 예를 들어, 각 절개부에 의해 먼저 제공된 포지션에 패스닝 엘리먼트를 정렬하고, 이를 기판에 임시로 고정한 다음, 패스닝 엘리먼트에 의해 파워 레지스터를 제공된 포지션에 최종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파워 레지스터를 누르기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절개부는 하우징의 각(제 1 또는 제 2) 측벽의 중앙에 일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절개부는 제 1 측벽의 중앙을 벗어나 배치되고, 및/또는 제 2 절개부는 제 2 측벽의 중앙을 벗어나 배치된다. 이로써, 보통 하우징의 중앙에 돌출되는 레지스터 엘리먼트의 커넥터 엘리먼트(connector element)들은 절개부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의 툴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절개부의 중앙을 벗어난 배치에 따르면, 각(제 1 또는 제 2) 간극은 각(제 3 또는 제 4) 측벽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전기 회로 내에 간단히 통합할 수 있도록,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유리하게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엘리먼트들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하우징 내부의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캐리어 바디(carrier body) 내에 유지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캐리어 바디를 형성하고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둘러싸는 재료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에 의하여 레지스터 엘리먼트와 전기적 전도성의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된다. 하우징의 단면은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둘러싼 캐리어 바디에 의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하우징은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수분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에서 밀폐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순전히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동일하거나 동일한 종류의 엘리먼트들은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수평 정렬된 파워 레지스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정렬된 파워 레지스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수평 정렬된 파워 레지스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정렬된 파워 레지스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수직(도 5의 (a)) 및 수평(도 5의 (b)) 정렬된 공지된 구조의 파워 레지스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레지스터(10)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파워 레지스터(10)는 도 1에서 수평 정렬된 것으로, 도 2에서 수직 정렬된 것으로 도시된다. 파워 레지스터(10)는 내부에 레지스터 엘리먼트(미도시)가 배치된 알루미늄의 관형의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종축(L)을 따라 연장된다.
하우징(12) 내부의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종축(L)을 따라 스트랜드과 같이(strand-like) 연장되고, 예를 들어, 저항 와이어에 감겨있는 유리 섬유 코드(glass fiber cord)로 구성될 수 있다. 레지스터 엘리먼트의 전기적 절연 및 방산(dissipation)을 위해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열 전도성의 절연 재료의 캐리어 바디(미도시)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12)은 축의 전면에서 종단벽(termination walls)(14)에 의해 폐쇄된다.
하우징(12)의 양 단부에서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케이블(connector cable)(도 5에 도시된 커넥터 케이블(60) 참조)의 연결을 제공하는 코어 엔드 슬리브(core end sleeves)(미도시)가 레지스터 엘리먼트의 양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종단벽(14)은 리드스루(leadthroughs)(미도시)를 가진다.
하우징(12)은 긴 직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벽을 가지고, 제 1 측벽(20) 및 제 3 측벽(4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측벽(30) 및 제 4 측벽(5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측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그들의 단부에 직선의 에지를 형성하고, 제 1 에지(22)는 제 1 측벽(20)을 종단하고, 제 2 에지(32)는 제 2 측벽(30)을 종단하고, 제 3 에지(42)는 제 1 측벽(40)을 종단하고, 제 4 에지(52)는 제 4 측벽(50)을 종단한다.
네 개의 에지는 각각 네 개의 코너 포인트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수렴하고, 제 1 에지(22)와 제 2 에지(32)의 수렴에 의해 제 1 코너 포인트(26)가 형성되고, 제 2 에지(32)와 제 3 에지(42)의 수렴에 의해 제 2 코너 포인트(36)가 형성되고, 제 3 에지(42)와 제 4 에지(52)의 수렴에 의해 제 3 코너 포인트(46)가 형성되고, 제 4 에지(52)와 제 1 에지(42)의 수렴에 의해 제 4 코너 포인트(56)가 형성된다.
제 1 측벽(20)의 제 1 에지(22)는, 패스닝 엘리먼트- 예를 들어 스크류 -를 도입하기 위하여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의하여 제 1 에지(22)를 중단하는 제 1 절개부(24)를 가진다. 제 2 측벽(30)의 제 2 에지(32)는 동일하게,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하여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에지(32)를 중단하는 제 2 절개부(34)를 가진다. 절개부(24 및 34)는 각 에지(22 및 32)를 향해 개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단부에서 둥글거나 또는 각질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절개부(24 및 34)는 예를 들어, 밀링(mill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4 및 34)는 대응하는 에지(22 및 32)의 각각에 대하여 중앙에 배치되거나 또는 중앙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절개부(중앙에 부착되거나 또는 중앙으로부터 오프셋됨)가 각 에지(22 및 32)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닝 엘리먼트를 위치시키는 다른 가능성은 파워 레지스터의 공간적 배치의 요구에 의존하게 된다.
파워 레지스터(10)는 기판의 제공된 포지션 내로 먼저 제공될 수 있고, 이후에 절개부(24 또는 34) 중 하나의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 1 스텝에서 먼저 패스닝 엘리먼트를 정렬하고 제공된 포지션에 기판 내에 가볍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스텝에서, 패스닝 엘리먼트에 의해 기판에 제공된 포지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파워 레지스터(10)는 각 에지(22 또는 32)에 적용된 절개부(24 또는 34) 중 하나의 오프닝을 통하여 패스닝 엘리먼트로 푸시될 수 있다.
제 1 간극(47)은 여기서 제 3 에지(42)가 하우징(12)의 종축(L)에 직교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코너 포인트(36)로부터 시작하여 제 1 에지(22)에 대하여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셋백된다. 제 2 간극(57)은 제 4 에지(52)가 하우징(12)의 종축(L)에 전술한 직교 평면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제 4 코너 포인트(56)로부터 시작하여 제 2 에지(32)에 대하여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셋백된다.
이 실시예는 직사각형 튜브에 단 두 번의 절단을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 1 절단은 하우징(12)의 종축(L)에 전술한 직교 평면에 대응하는 제 1 절단 평면을 따라 직사각형을 튜브를 절단함에 따라 제 1 에지(22) 및 제 2 에지(32)를 정의하고 형성한다. 하우징(12)의 제 2 코너 포인트(36) 및 제 4 코너 포인트(56)에서 시작하고, 하우징(12)의 연장 방향으로 셋백되고 전술한 직교 평면에 비스듬히 연장되는 절단 평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제 2 절단에 의해 제 1 간극(47) 및 제 2 간극(57)이 형성된다. 제 2 절단 평면은 제 3 측벽(40) 또는 제 4 측벽(50)을 각각 절단하여 제 3 에지(42) 및 제 4 에지(52)를 각각 형성하고, 전술한 제 3 및 제 4 에지는 그들의 경사진 정도 및 제 1 에지 또는 제 2 에지의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셋백에 의하여 제 1 간극(47) 및 제 2 간극(57)을 각각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절단 절차는 절단 소실이 거의 없이 하우징(12)의 네 개의 에지(22, 32, 42 및 52)를 형성하고, 각 두 에지(22 및 32, 42 및 52)는 각각 서로 각도를 포함하는(include an angle with one another) 공통의 평면에서 연장된다. 제 1 절개부(24) 및 제 2 절개부(34)는, 서로에 대한 두 평면의 기울어짐 및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간극(47, 57)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각각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측벽(40 또는 50)으로부터 직선의 액세스를 위한 방해 없이 도달할 수 있다. 제 1 절개부(24)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34)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을 배치하기 위하여 가능한 액세스들이 도 1 및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축 A1 및 A2에 의하여 나타난다.
파워 레지스터(10)는 제 1 절개부(24) 및 제 2 절개부(34)로 자유로운 액세스와 함께, 제 1 절개부(24) 내로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할 때의 수평 정렬 또는 제 2 절개부(34) 내로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할 때의 수직 정렬로 기판에 선택적으로 패스닝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지된 구성의 파워 레지스터는, 하나의 정렬 - 수직 또는 수평 - 로만 설치될 수 있는 두 개의 상이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는 제 1 절개부(34)에 대한 - 수평 정렬을 위한 또는 제 2 절개부(34)에 대한 - 수직 정렬을 위한 단 하나의 간극의 형성만 가능하도록 하는 절단 프로세스에 기인한다. 도 5에 따른 공지된 파워 레지스터의 하우징(12)의 제조 프로세스는 단 한번의 비스듬한 절단에 기초하고, 도 5의 (a)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긴 직사각형 단면의 긴 에지는 하우징(12)의 종축(L)에 대하여 직교 평면에 비스듬히 연장되고, 도 5의 (b)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긴 직사각형 단면의 짧은 에지는 하우징(12)의 종축(L)에 대하여 직교 평면에 비스듬히 연장된다. 하우징(12)은 절단 공정을 단일한 절단으로 제한함으로써 절단 손실 없이 공지된 구성의 파워 레지스터를 위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파워 레지스터는 기능적으로, 특히 배치 사이트(deployment site)에 패스닝과 관련하여,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레지스터(10)의 제 2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고, 파워 레지스터(10)는 도 3에서 수평 정렬된 것으로, 도 4에서 수직 정렬된 것으로 도시된다. 제 2 실시예의 파워 레지스터(10)는 제 1 실시예의 파워 레지스터(10)와 간극의 형태만 차이가 있으므로, 내부 디자인의 기술을 위하여 상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2)의 네 개의 에지(22, 32, 42 및 52)는 종축(L)에 대하여 하우징(12)의 직교 평면에 대응하는 공통의 평면에서 연장된다. 여기서 에지(22, 32, 42 및 52)의 형성은 직사각형 튜브의 측벽(20, 30, 40 및 50)에 수직한 단일의 절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절개부(24)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34)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툴이 놓일 수 있는 각 오프닝(48 및 50)을 갖는 제 3 측벽(40) 및 제 4 측벽(50)에 제 1 간극 및 제 2 간극이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 1 측벽(20) 내의 절개부(24)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제 1 오프닝(48)이 제 3 측벽(40) 내에 배치된다. 제 2 오프닝(58)이 마찬가지로 제 2 측벽(30) 내의 절개부(34)에 대향하여 제 4 측벽(50) 내에 배치된다. 측벽마다 복수의 절개부가 제공된 경우에(중앙에 또는 에지의 중앙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따라서 각 절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 또는 충분히 큰 오프닝이 형성된다.
오프닝(48 및 58)은 예를 들어, 둥글 수 있고, 특히 보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 저비용의 제조가 얻어진다. 파워 레지스터의 패스닝과, 특히 오프닝(48 및 58)의 각각을 통하여 툴의 가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서 오프닝(48 및 58)은 각 절개부(24 및 34)의 너비보다 긴 지름을 가져야 한다(종축(L)을 가로로 본 경우).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하우징(12)은 종래의 파워 레지스터의 하우징(12)과 같이(도 5 참조) 절단 손실 없이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제조는 이 목적을 위한 측벽(40 및 50) 내의 오프닝(48 및 58)을 적용하기 위하여 툴의 변경을 요한다.
오프닝(48 및 58)은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 측벽(40 및 50)에 의한 제 1 절개부(24) 및 제 2 절개부(34)의 방해를 방지하고, 양 절개부(24, 34)로 동시에 직선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절개부(24)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34)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직선의 배치를 위하여 가능한 액세스들이 도 3 및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축 A1 및 A2에 의하여 나타난다.
파워 레지스터(10)는 제 1 절개부(24) 내로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할 때의 수평 정렬 또는 제 2 절개부(34) 내로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할 때의 수직 정렬로 간단하게 선택적으로 패스닝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우징(12)의 종단부(longitudinal end)의 실시예는, 동일한 측벽(20 또는 30)에 제공되는 각 절개부(24, 34)와 함께 하우징(12)의 다른 종단부에도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10: 파워 레지스터(power resistor)
12: 하우징(housing)
14: 종단벽(termination wall)
20: 제 1 측벽(first side wall)
22: 제 1 에지(first edge)
24: 제 1 절개부(first incision)
26: 제 1 코너 포인트(first corner point)
30: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32: 제 2 에지(second edge)
34: 제 2 절개부(second incision)
36: 제 2 코너 포인트(second corner point)
40: 제 3 측벽(third side wall)
42: 제 3 에지(third edge)
46: 제 3 코너 포인트(third corner point)
47: 제 1 간극(first clearance)
48: 제 1 오프닝(first opening)
50: 제 4 측벽(fourth side wall)
52: 제 4 에지(fourth edge)
56: 제 4 코너 포인트(fourth corner point)
57: 제 2 간극(second clearance)
58: 제 2 오프닝(second opening)
60: 커넥터 케이블(connector cable)
A1: 24를 통과하는 축
A2: 34를 통과하는 축
L: 종축

Claims (12)

  1. 금속으로 구성되는 관형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 안에 수용된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파워 레지스터(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두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벽(20, 30, 40, 50)을 가지고, 제 1 측벽(20) 및 제 3 측벽(4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측벽(30) 및 제 4 측벽(5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은 두 단부의 적어도 하나에서:
    패스닝(fastening)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절개부(24)를 갖는 제 1 측벽(20)의 제 1 에지(22, edge);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2 절개부(34)를 갖는 제 2 측벽(30)의 제 2 에지(32);
    제 3 측벽(40)의 제 3 에지(42); 및
    제 4 측벽(50)의 제 4 에지(52);
    를 포함하고,
    제 1 절개부(24)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34)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측벽(40)은 상기 제 1 절개부(24)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1 간극(47, clearance)을 가지고, 상기 제 4 측벽(50)은 상기 제 2 절개부(34)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2 간극(57)을 가지고,
    상기 제 1 에지(22) 및 상기 제 2 에지(32)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종축(L)의 직교 평면(orthogonal plane)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3 에지(42)는 상기 직교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제 1 간극(47)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에지(52)는 상기 직교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제 2 간극(57)을 형성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에지(42)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종축(L)을 따라 상기 제 1 에지(22)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셋백(set back)되어 제 1 간극(47)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에지(52)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종축(L)을 따라 상기 제 2 에지(32)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셋백되어 제 2 간극(57)을 형성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에지(42) 및 상기 제 4 에지(52)는 상기 직교 평면에 비스듬히 연장되는 공통의 절단 평면(cutting plane) 내에서 연장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5. 삭제
  6. 금속으로 구성되는 관형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 안에 수용된 레지스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파워 레지스터(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두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종축(L)을 따라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벽(20, 30, 40, 50)을 가지고, 제 1 측벽(20) 및 제 3 측벽(4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측벽(30) 및 제 4 측벽(5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은 두 단부의 적어도 하나에서:
    패스닝(fastening)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절개부(24)를 갖는 제 1 측벽(20)의 제 1 에지(22, edge);
    패스닝 엘리먼트를 도입하기 위한 제 2 절개부(34)를 갖는 제 2 측벽(30)의 제 2 에지(32);
    제 3 측벽(40)의 제 3 에지(42); 및
    제 4 측벽(50)의 제 4 에지(52);
    를 포함하고,
    제 1 절개부(24) 내에 또는 제 2 절개부(34) 내에 도입된 패스닝 엘리먼트에 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측벽(40)은 상기 제 1 절개부(24)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1 간극(47, clearance)을 가지고, 상기 제 4 측벽(50)은 상기 제 2 절개부(34)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2 간극(57)을 가지고,
    상기 제 3 측벽(40)은 상기 제 1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오프닝(48)을 가지고,
    상기 제 4 측벽(50)은 상기 제 2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오프닝(58)을 가지고,
    상기 제 1 에지(22), 제 2 에지(32), 제 3 에지(42) 및 제 4 에지(52)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종축(L)에 공통의 직교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벽(40)의 상기 오프닝(48)은 지엽적으로 폐쇄된 통로(peripherally closed passage)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측벽(50)의 상기 오프닝(58)은 지엽적으로 폐쇄된 통로로 형성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개부(24) 및 상기 제 2 절개부(34)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종축(L)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개부(24)는 제 1 측벽(20)의 중앙을 벗어나 배치되거나,
    상기 제 2 절개부(34)는 제 2 측벽(30)의 중앙을 벗어나 배치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엘리먼트(60)를 가지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엘리먼트는 상기 하우징(12) 내부의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캐리어 바디 내에 위치하는 것인, 파워 레지스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인, 파워 레지스터.
KR1020207001924A 2017-06-20 2018-06-15 파워 레지스터 KR102414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3600.2A DE102017113600A1 (de) 2017-06-20 2017-06-20 Leistungswiderstand
DE102017113600.2 2017-06-20
PCT/EP2018/065963 WO2018234181A1 (de) 2017-06-20 2018-06-15 Leistungswider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509A KR20200021509A (ko) 2020-02-28
KR102414897B1 true KR102414897B1 (ko) 2022-06-30

Family

ID=6263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924A KR102414897B1 (ko) 2017-06-20 2018-06-15 파워 레지스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54360B2 (ko)
EP (1) EP3622542A1 (ko)
JP (1) JP7096273B2 (ko)
KR (1) KR102414897B1 (ko)
CN (1) CN110770857B (ko)
CA (1) CA3067402A1 (ko)
DE (1) DE102017113600A1 (ko)
MX (1) MX2019014878A (ko)
RU (1) RU2020101710A (ko)
TW (1) TWI785063B (ko)
WO (1) WO20182341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3272C1 (de) 2000-05-12 2001-08-09 Heine Spezialwiderstaende Gmbh Kompaktwiderstand
JP2014093395A (ja) * 2012-11-02 2014-05-19 Micron Electric Co Ltd 電力型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39374B2 (de) 1964-05-08 1971-04-01 Siemens AG, 1000 Berlin u 8000 München Verfahren zur umhuellung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es
DE3111948A1 (de) * 1981-03-26 1982-10-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neller temperatursensor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JPH0539603Y2 (ko) * 1985-10-30 1993-10-07
US4716396A (en) * 1986-07-10 1987-12-29 Dale Electronics, Inc. High power density, low corona resistor
JP4612141B2 (ja) * 2000-02-24 2011-01-12 ミクロン電気株式会社 車載用電力型固定抵抗器
JPWO2004049356A1 (ja) * 2002-11-25 2006-03-30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パッケージ及びチップ抵抗器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DE20308901U1 (de) 2003-06-06 2003-08-14 Tuerk & Hillinger Gmbh Bremswiderstand für Elektromotoren
JP4733357B2 (ja) 2004-03-12 2011-07-27 ミクロン電気株式会社 電力用抵抗器の外筐の製造方法
EP1711035A1 (de) 2005-04-08 2006-10-11 DBK David + Baader GmbH Elektrischer Bremswiderstand und Herstellungsverfahren
WO2007040207A1 (ja) * 2005-10-03 2007-04-12 Alpha Electronics Corporation 金属箔抵抗器
US8657031B2 (en) * 2005-10-12 2014-02-25 Black & Decker Inc. Universal control module
TWM308472U (en) * 2006-06-05 2007-03-21 Powertech Ind Co Ltd Protection cover for rheostat and the rheostat device
EP1852878B2 (de) * 2007-04-02 2016-06-01 DBK David + Baader GmbH Leistungswiderstandsmodul
DE202008014586U1 (de) 2008-11-03 2009-01-29 Türk & Hillinger GmbH Aluminium-Lastwiderstand
KR200454290Y1 (ko) * 2009-10-07 2011-06-27 임규열 제동저항기
DE102010053389A1 (de) * 2010-12-03 2012-06-06 Vishay Electronic Gmbh Elektrischer Leistungswiderstand
US20120307467A1 (en) * 2011-06-03 2012-12-06 Navarro Luis A Oxygen-Barrier Packaged Surface Mount Device
ES2640640T3 (es) * 2011-11-14 2017-11-03 Cressall Resistors Limited Dispositivo de resistencia refrigerado por líquido
US8692647B2 (en) * 2011-12-15 2014-04-08 Caterpillar Inc. Resistor grid assembly
DE102013114326A1 (de) * 2013-12-18 2015-06-1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Gießkokille zum Vergießen von Stahlschmelze
CN203746595U (zh) * 2014-02-27 2014-07-30 上海克拉电子有限公司 一种多路引出铝外壳电阻器
CN203931690U (zh) 2014-06-23 2014-11-05 上海鹰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壳电阻器
CN106299820A (zh) * 2015-05-22 2017-01-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网络连接器
CN205451950U (zh) * 2016-02-25 2016-08-10 上海克拉电子有限公司 新结构端子引出铝外壳绕线电阻器
CN206059059U (zh) * 2016-09-07 2017-03-29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平面电阻器的外壳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3272C1 (de) 2000-05-12 2001-08-09 Heine Spezialwiderstaende Gmbh Kompaktwiderstand
JP2014093395A (ja) * 2012-11-02 2014-05-19 Micron Electric Co Ltd 電力型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4916A (ja) 2020-08-20
RU2020101710A3 (ko) 2021-12-21
TW201905939A (zh) 2019-02-01
US10854360B2 (en) 2020-12-01
US20200152360A1 (en) 2020-05-14
RU2020101710A (ru) 2021-07-20
CN110770857A (zh) 2020-02-07
CN110770857B (zh) 2022-04-01
CA3067402A1 (en) 2018-12-27
EP3622542A1 (de) 2020-03-18
JP7096273B2 (ja) 2022-07-05
TWI785063B (zh) 2022-12-01
WO2018234181A1 (de) 2018-12-27
KR20200021509A (ko) 2020-02-28
MX2019014878A (es) 2020-08-06
DE102017113600A1 (de)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9326B2 (ja) 端子ブロック
JP6177272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30023146A1 (en) Cab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able connection system
JP6630194B2 (ja) プロテクタ、及び、固定構造
JPS5827627B2 (ja) ワイヤ端子台
KR102414897B1 (ko) 파워 레지스터
US20130316600A1 (en) Electrical-conductive assembly for signal cable
US9929496B1 (en) Rectilinear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electable cable outlet positions for confined spaces
JP2018098207A (ja) プラグコネクタヘッド用ユニバーサルアダプタ及び当該プラグコネクタヘッドをもったプラグコネクタ部
JPH09293570A (ja) 情報ネットワーク用ソケット
JP6463314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カバー、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7078417A (zh) 接线盒
JP6742854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182849A (ja) プロテク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固定構造
US10032585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4851492B2 (ja) プラグインボックス
ES2267920T3 (es) Conector electrico para la tecnologia de transferencia de datos.
JP2017050932A (ja) 電気接続箱、ワイヤハーネス、及び、外装部材
JP2020043666A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3008002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プロテクタ
JP730159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9990083286A (ko) 긴홈이형성되는접촉라인용전류공급장치
JP2001327036A (ja) ケーブルの接続器具
JP2020149809A (ja) 端子台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H08306238A (ja) 単相3線式屋内配線用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