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893B1 -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893B1
KR102403893B1 KR1020207021528A KR20207021528A KR102403893B1 KR 102403893 B1 KR102403893 B1 KR 102403893B1 KR 1020207021528 A KR1020207021528 A KR 1020207021528A KR 20207021528 A KR20207021528 A KR 20207021528A KR 102403893 B1 KR102403893 B1 KR 10240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post
wooden post
plat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246A (ko
Inventor
신 타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2151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044679A1/ja
Publication of KR2021003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2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wood, e.g. units for rafte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과제] 제1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으로 강고하게 연결 가능한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나무기둥 연결 구조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제1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와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는 제1끝판을 갖고,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와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는 제2끝판을 갖는다.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는 대응하는 나무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길이방향 상대이동 불능으로 장착된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나무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본 발명은, 도리이나 주택의 대들보, 자립하는 2개 기둥 구조물 및 등롱 등에 이용되는 나무기둥에 적용 가능한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종전,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관계되는 발명의 출원을 행하고, 특허를 취득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이하, 특허발명이라고 한다)은, 지반에 타설 한 밑창 콘크리트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통부, 밑창 콘크리트에 대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자세를 조정하는 조정기구 및 상기 통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암을 갖는 복수의 나무기둥 지지 장치와, 상기 복수의 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둘러싸는 기단과, 상기 복수의 나무기둥 지지 장치의 암을 연결하는 철근과, 상기 통부의 상방 개구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암 및 상기 철근을 덮도록 상기 기단 내에 타설된 베이스 콘크리트와, 보호 시트로 둘러싸인 기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나무기둥 지지 장치의 통부 내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나무기둥과, 상기 보호 시트의 외주면 및 상기 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 중 상기 통부의 상방 개구에 인접하는 상방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충전된 입자상 충전재와, 상기 간극 중 상기 입자상 충전재의 상방에 충전된 고착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설치한 나무기둥의 뽑아내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설치 나무기둥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런데, 상기 특허발명의 구조, 또는, 다른 설치 구조를 이용해서 설치되는 나무기둥에는, 용도에 따른 직경 및 길이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도리이의 수직 나무기둥으로서 사용되는 나무기둥에는, 당해 도리이의 사양(크기·강도 등)에 따른 직경 및 길이가 요구되고, 주택의 대들보로서 사용되는 나무기둥에는, 당해 대들보의 사양(크기·강도 등)에 따른 직경 및 길이가 요구된다.
그러나, 난벌 등에 의해, 직경 및 길이의 쌍방을 충분하게 구비한 목재는 감소 경향에 있다.
즉, 직경에 대해서는 요구를 충족시키지만 길이가 불충분한 목재는 비교적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어도, 직경 및 길이의 쌍방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목재에 대해서는 입수 곤란하게 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42003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강고하게 연결 가능한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제공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기둥이 단독 설치될 경우 또는 설치되는 나무기둥이 저개수인 경우에도 기초 콘크리트 상에 설치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하면서 나무기둥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설치 나무기둥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제공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제1보호 커버가 감겨진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제2보호 커버가 감겨진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보호 커버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호 커버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보호 커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보호 커버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보호 커버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보호 커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보호 커버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보호 커버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한쪽에는 보호 커버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에는,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 중 상기 보호 커버가 감겨져 있지 않은 나무기둥을 둘러싸는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에는,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보호 커버의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체결 부재에 의해 대응하는 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는, 상기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제3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2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오목부에 맞물림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제3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끝판의 사이에 1 또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끝판, 상기 적층 플레이트 및 상기 제2끝판의 접촉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이것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끝판의 제2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제3양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끝판의 사이에 개재된 조인트 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제1끝판의 상기 제1중앙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하벽, 상기 제2끝판의 상기 제2중앙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벽, 및 상기 하벽과 상기 상벽의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둘레벽을 포함하는 중앙 연결 부재와, 축선방향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기단측이 상기 둘레벽에 연결된 수평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상기 조인트 철물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을 구비하는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기단부가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내삽된 수평 나무기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 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수평 나무기둥측 체결 부재가 상기 수평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나무기둥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을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1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벽에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철물에는 상기 상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2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2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을 통해서 상기 오목부에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는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제3양태의 여러 가지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끝판의 플랜지부와 대응하는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양태는,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강성의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이 상기 통형상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4양태의 하나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무기둥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제1나무기둥측 단차부를 따라서 확경되어서 상기 제2나무기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갖고, 상기 제2나무기둥은 상기 기단부로부터 제2나무기둥측 단차부를 따라서 확경되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갖는 것으로 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단차부에 결합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단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4양태의 타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내부공간을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한 적층 플레이트가 뽑아내기 가능한 크기로 된 측방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부착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 대응하는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층 플레이트 불사용시 부착구멍과,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을 때에, 대응하는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층 플레이트 사용시 부착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5양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통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와, 기단부가 상기 통형상 부재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세워서 설치되는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통형상 부재가 설치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것으로 되고,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 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 연결된 플랜지부용 앵커 볼트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고착된 홀다운 철물과, 상기 홀다운 철물에 삽입통과되는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홀다운 철물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된 중앙부용 앵커 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중앙부용 앵커 볼트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 돌출부 및 상기 상방 돌출부에 나사결합된 고정 너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5양태의 여러 가지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장치는 판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를 갖는 것으로 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제5양태의 여러 가지 구성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장치의 기단측을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후타설 콘크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양태의 여러 가지 구성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보다 상방으로 연장된 스터드용 앵커 볼트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통형상 부재에 고정된 스터드이며,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스터드를 갖는 것으로 된다. 상기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의 상방 연장부분은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입된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6양태의 제1형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나무기둥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나무기둥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통은 통형상의 지지통 본체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간극 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강성 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강성 링은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는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 중,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입자상 충전재가 충전된다.
상기 제6양태의 제1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성 링은 지름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 본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6양태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나무기둥에 대한 길이방향 위치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가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가 존재하지 않는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져 있는 공간에는, 상기 지지통 본체의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의해 구획되는 지름방향 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 록킹 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고착재는 상기 공간 중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충전된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6양태의 제2형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나무기둥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수직 나무기둥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통은, 상기 지지통 본체와, 상기 지지통 본체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존재시키면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나무기둥에 대한 길이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간극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공간에는, 상기 지지통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의해 구획되는 지름방향 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 록킹 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공간 중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이외의 부분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6양태의 제2형태의 일례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의 지름방향 내단부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의 지름방향 외단부 사이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지름방향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가 구성된다.
상기 제6양태의 제2형태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통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는 나무기둥측 간극을 통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방향 길이 및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는 한편,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둘레방향 길이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7양태는, 조인트 철물과,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제1나무기둥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의해 수직 자세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방에 세워서 설치되는 제2나무기둥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의해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제3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가 내삽되는 제2통형상부를 갖는 통형상 부재와,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 및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통형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통형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부재는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를 상하에서 끼우도록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로 상기 통형상 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협지판 및 하측 협지판과,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3나무기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을 갖고,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이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1밴드와,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협지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협지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밴드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밴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상측 협지판 및 상기 하측 협지판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7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판에는 보강판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에는 상기 슬릿에 상기 보강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에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3나무기둥을 끼우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보강판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판은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라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통형상 부재의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둘레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나무기둥 지지 부재의 각각에 상기 제3나무기둥이 지지된다.
이것 대신에, 상기 조인트 철물은 단일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통형상부에 내삽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상기 제1통형상부에 내삽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적재된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8양태는,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제1나무기둥과,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 부재를 갖는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와, 제2나무기둥과, 상기 제2나무기둥을 상기 제1나무기둥보다 상방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과 동축 상에 있어서 수직 자세로 지지하는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와, 제3나무기둥과, 상기 제3나무기둥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되는 하측 협지판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에 중합하는 하측 중앙부 및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과 중합하도록 상기 하측 중앙부로부터 연장되는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를 갖는 하측 협지판과,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하측 협지판의 상면에 연결되고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접촉되는 측판과,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측판의 상단면에 연결된 상측 협지판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앙부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 각각 중합하는 상측 중앙부 및 1 또는 복수의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를 갖는 상측 협지판과, 상기 측판으로부터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과, 일단측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타단측이 상기 하측 협지판의 하면에 연결된 댐퍼를 갖고, 상기 하측 중앙부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볼록형상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을 갖고,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이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1밴드와,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밴드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밴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상측 협지판 및 상기 하측 협지판에 의해 협지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상기 상측 협지판의 상면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와 동심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제2통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8양태에 따른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협지판 및 상기 상측 협지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통형상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통형상 부재의 둘레벽이 상기 측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9양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적재되는 초석과, 상기 초석의 상면에 형성된 제1볼록형상 부재와,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정부(頂部)에 형성된 제2볼록형상 부재와, 상기 초석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는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는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서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면적이 작아지는 상향의 만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은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볼록형상 부재를 덮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초석의 상면에 접촉되는 평탄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의 정부를 덮는 최상부로부터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의 외경에 상당하는 개구폭을 갖는 부위까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개구폭이 확경된 오목형상 영역을 갖고 있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에 나사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나무기둥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양에 따른 직경을 갖지만 길이가 사양에 충족되지 않는 나무기둥을 이용하여, 직경 및 길이의 쌍방을 상양에 적용시킨 나무기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나무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나무기둥만을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의하면, 나무기둥이 단독 설치될 경우 또는 설치되는 나무기둥이 저개수인 경우에도 기초 콘크리트 상에 설치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하면서 나무기둥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할 일 없이 설치 나무기둥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가 적용된 기둥 구조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른 제1나무기둥의 기단부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V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른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제1통형상 부재와 제1보호 커버의 연결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적층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적층 플레이트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적층 플레이트의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XVI-X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있어서의 XVII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4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1매의 적층 플레이트를 뽑아 낸 후의 상태의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5매의 적층 플레이트를 모두 뽑아 낸 후의 상태의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9에 있어서의 XXIV-XXIV선을 따른 횡단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4의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21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있어서의 XXVII부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있어서의 XXVIII--XXVIII선을 따른 제1나무기둥의 기단부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있어서의 XXIX-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있어서의 XX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실시형태 5의 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의 XXXII-X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있어서의 XXXIV-XX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에 있어서의 XXXV-XX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실시형태 6의 변형예의 횡단 평면도로서, 도 33의 XXXIV-XXXIV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 평면도이며, 제1나무기둥을 지지통 내에 설치시키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횡단 평면도이며,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기 지지통 내로의 설치 작업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상기 실시형태 7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제2통형상부 및 제2나무기둥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상기 실시형태 7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상기 실시형태 7의 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있어서의 XXXXIII-XXX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2에 있어서의 XXXXIV-XX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5는 상기 실시형태 8의 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가 적용된 건조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있어서의 XXXXVII-XXXX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있어서의 XXXXVIII부 확대도이다.
도 49는 상기 실시형태 9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있어서의 나무기둥의 오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0은 상기 실시형태 9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1의 (a)는 상기 실시형태 9의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1의 (b)는 도 51(a)에 있어서의 XXXXXI-XXX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1(c)는 상기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있어서의 제2볼록형상 부재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른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이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의 변형예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3은 도 52에 있어서의 XXXXXIII-XXXXXIII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나타내진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A)가 적용된 기둥 구조체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는 제1나무기둥(10) 및 제2나무기둥(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굴립(堀立) 구조(800)를 이용해서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20)이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를 통해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방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우선, 상기 굴립 구조(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굴립 구조(800)는 1개 또는 저개수의 나무기둥을 직립 상태에서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굴립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적합하게는, 도리이의 기둥, 가옥의 대들보, 2개 기둥 구조로 자립하는 구조체의 기둥, 목제 등롱 등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굴립 구조(800)는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고착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8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장치(810)는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83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83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840)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840)는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는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에는 상기 지지통(830)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연장부(8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깥쪽 연장부(822)에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타설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의 상방 연장부가 삽입통과되는 부착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는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상기 앵커 볼트의 상방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방 연장부에 나사 부착되는 고정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구멍의 내경을 상기 상방 연장부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해서, 상기 부착구멍에 상기 상방 연장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에 의한 고정 전의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를 평면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통(830)은,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에 고착된 지지통 본체(832)와, 상기 지지통 본체(832)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된 지지통측 플랜지부(835)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의 내경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830)은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통(830)은 용접이나 나사 체결 등의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에 고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외주는 보호 커버(850)로 덮여 있고,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의 내경은 상기 보호 커버(850)로 덮여진 상태의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는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840)가 맞물리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840)는 반구상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오목부(12)도 이것에 따른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850)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12)에 상기 볼록부(840)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 본체(832) 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면에는 상기 오목부(12)에의 액세스를 허용하면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면을 덮는 기단 플레이트(15)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12)에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기단 플레이트(15)에 형성되는 개구는, 상기 볼록부(840) 및 상기 오목부(12)의 외형 형상에 합치한 형상으로 된다.
상기 기단 플레이트(15)는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단 플레이트(15)를 설치함으로써, 제1나무기둥(10)에 횡방향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오목부(12)가 상기 볼록부(840)로부터의 응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850)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를 둘러싸는 통형상부(852)와,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를 갖고 있다.
상기 통형상부(852)는 하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하단에 대응한 위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단 플레이트(15)의 하단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상기 지지통 본체(832)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상기 보호 커버(850)의 통형상부(852)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기단부(11a)와, 상기 기단부(11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1b)를 갖고 있고, 상기 중간부(11b)는 상기 기단부(11a)에 대하여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850)의 통형상부(852)는 자유단면(상단면)이 상기 단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단부(11a)를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850)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에 대하여 상방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는 상기 통형상부(852) 중,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832)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에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기 제1나무기둥(10) 기단면과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850)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에 적재되도록 상기 통형상부(852)의 기단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7)를 더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7)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경계를 접착재(858)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850)는 여러가지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지만,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통형상부(852)를 구성하는 통형상부 시트체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를 구성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 시트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7)를 형성하는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 시트체를 준비하고,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 시트체 및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 시트체를 상기 통형상부 시트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시켜서 보호 커버 시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커버 시트체를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의 외주에 감음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가 상기 보호 커버(850)로 둘러싸여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10) 및 상기 보호 커버(850)의 연결은 강성 부재(860) 및 체결 부재(870)를 이용해서 행하여지고 있다.
도 2에 도 1에 있어서의 II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른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86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맞물림 홈(865)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맞물림 홈(865)은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 홈(865)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인 상태에서 상기 강성 부재(8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강성 부재(860)는 상기 맞물림 홈(865)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체결 부재(870)를 통해서 상기 보호 커버(850)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상기 보호 커버(85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한, 스테인리스나 철, 구리 등의 금속, 또는, 압축 목재 등의 여러가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축 목재는, 예를 들면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부재(870)는 선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내부에서 종언(終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체결 부재(870)를,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860)는 단면형상이 한쌍의 긴변(860a) 및 한쌍의 짧은변(860b)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상의 판상체로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긴변(860a)의 한쪽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865)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860)가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860) 중 상기 맞물림 홈(865)의 저면 및 일방측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코너부에 대응한 단부(869a), 및 상기 맞물림 홈(865)의 저면 및 타방측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코너부에 대응한 단부(869b)를, 상기 맞물림 홈(865)의 저면에 근접함에 따라 축경되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상 또는 끝이 가는 곡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강성 부재(860)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강성 부재(860)를 상기 맞물림 홈(865)에 끼워넣게 할 수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4개의 측면을 갖는 횡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강성 부재(86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4측면의 맞물림 홈(865)에 각각 맞물리는 4개의 직선상 분할체(861)를 갖고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강성 부재(860)가 2개의 L자상 분할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강성 부재(860)를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횡단면 형상을 따르는 단일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850)의 통형상부(852) 중,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맞물림 홈(865)에 맞물린 상기 강성 부재(86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통형상부(852)의 내외를 연통하는 부착구멍(87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 또는 볼트 등의 상기 체결 부재(870)가 상기 부착구멍(875)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강성 부재(860)에 체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852)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굴립 구조(800)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에 길이방향 이동 불능으로 장착된 상기 강성 부재(860)와 상기 보호 커버(850)가 상기 체결 부재(87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10) 및 상기 보호 커버(85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상기 보호 커버(85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850)의 통형상부(852)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 중,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보다 하방 영역에는 모래 등의 입자상 충전재(880)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간극 중 상기 입자상 충전재(880)의 상방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 등, 바람직하게는 시멘트계 무수축재의 고착재(882)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간극 내의 고착재(882)를 파괴하는 것만으로, 기초 콘크리트(900)를 파괴하지 않고 제1나무기둥(10)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맞물림 홈(865)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굴립 구조(800)는 또한,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에 의해 끼워지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체결 부재(885)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통 본체(832)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에 의해 끼워지는 위치에는,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에 상기 체결 부재(885)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885)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되는 나사가 있는 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의 선단부가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가 상기 지지통 본체(832)에 나사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착재(882)는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서 상기 지지통(830) 및 상기 보호 커버(850) 사이의 상기 간극의 치수에 엇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상기 지지통(830)과 상기 보호 커버(850) 사이를 상기 체결 부재(885)에 의해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착재(882)에 의해 고착할 수 있어, 양자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부재(885)는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의 지름방향 외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 본체(832)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두부를 갖는 볼트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 중 상기 지지통 본체(832)보다 지름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체결 부재(885)는 상기 두부 및 상기 너트가 상기 지지통 본체(832)를 협압함으로써 상기 지지통 본체(832)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가 나사삽입되는 나사가 있는 구멍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너트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상기 나사가 있는 축부 및 상기 나사가 있는 구멍의 나사결합 연결에 의해서, 상기 체결 부재(885)가 상기 지지통 본체(832)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 부재(885)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 및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을 지름방향에 관해 넓히도록 양자 사이에 개재된 버팀 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굴립 구조(800)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852)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 중 상기 맞물림 홈(865)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상방 맞물림 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방 맞물림 홈(892)에는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지름방향 바깥쪽 면이 상기 통형상부(852)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상측 압축 목재(890)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보호 커버(850)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방 압축 부재(890)의 상단과 상기 통형상부(852)의 상단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형상부(852)와 상기 수직 나무기둥(10)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불순물이 침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립 구조(800)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852)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 중 상기 맞물림 홈(865)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하방 맞물림 홈(89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방 맞물림 홈(897)에는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지름방향 바깥쪽 면이 상기 통형상부(852)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하측 압축 목재(895)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보호 커버(850)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 목재(890, 895)는, 예를 들면 상기 강성 부재(860)의 두께의 약 절반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된다. 즉, 상기 강성 부재(860)가 20㎜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압축 목재(890, 895)는 10㎜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890, 895)에의 습도의 첨가는 이것들에의 방부제의 함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의 분해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와,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 100(2))가 서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110(1))와,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에 연결된 제1끝판(130(1))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는 제1보호 커버(150(1))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는 상기 제1보호 커버(150(1))가 감겨진 상태의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를 둘러싸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보호 커버(150(1))는 상기 보호 커버(850)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는 상기 중간부(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축경되어 있고, 상기 제1보호 커버(150(1))는 일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과 동일위치로 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상단부(11c) 및 상기 중간부(11b) 사이의 상기 단차부에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도 1에 있어서의 V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른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보호 커버(150(1))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는 상기 보호 커버(850)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연결 구조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은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11c)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인 상태에서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1체결 부재(170(1))를 통해서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한, 스테인리스나 철, 구리 등의 금속, 또는, 압축 목재 등의 여러가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축 목재는, 예를 들면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체결 부재(170(1))는 선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내부에서 종언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제1체결 부재(170(1))를,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는 단면형상이 한쌍의 긴변(160a) 및 한쌍의 짧은변(160b)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상의 판상체로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긴변(160a)의 한쪽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165(1))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가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중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의 저면 및 일방측의 내측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코너부에 대응한 단부(169a), 및,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의 저면 및 타방측의 내측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코너부에 대응한 단부(169b)를,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의 저면에 근접함에 따라서 축경되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상 또는 끝이 가는 곡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를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에 끼워넣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4개의 측면을 갖는 횡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4측면의 맞물림 홈(165(1))에 각각 맞물리는 4개의 직선상 분할체(161)를 갖고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가 2개의 L자상 분할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를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횡단면 형상을 따른 단일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 중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에 맞물린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5(1))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부착구멍(17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 또는 볼트 등의 상기 제1체결 부재(170(1))가 상기 제1부착구멍(175(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에 체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가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끝판(130(1))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131(1))와, 상기 제1중앙부(131(1))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132(1))를 갖고 있다.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및 상기 제1끝판(130(1))을 포함하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는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는 용접이나 나사 체결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상기 제1끝판(130(1))에 고착된다.
도 1, 도 4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및 상기 제1보호 커버(130(1))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체결 구조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및 상기 제1보호 커버(130(1))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연결 상태가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 구조는 상기 제1보호 커버(130(1))에 형성된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과, 상기 제1통형상 부재 중 상기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통형상 부재측 부착구멍(125(1))과, 상기 제1통형상 부재측 부착구멍(125(1)) 및 상기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 돌입되는 제1체결 부재(120(1))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제1보호 커버(150(1))가 감겨진 상태의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를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내에 삽입시켰을 때에,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외주면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내주면 중 지름방향에 관해 상기 제1체결 부재(120(1))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를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내에 삽입시킬 때에 상기 제1체결 부재(170(1))의 두부가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내주면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길이방향 홈(17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구조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기 제1체결 부재(170(1))의 위치보다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개구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체결 구조는 상기 제1길이방향 홈(172(1))과는 둘레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도 7에 상기 체결 구조의 변형예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의 도 5에 대응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는 상기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 상기 제1통형상 부재측 부착구멍(125(1)) 및 상기 제1체결 부재(120(1))에 추가해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중 상기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과 대향하는 위치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나무기둥측 체결용 맞물림 홈(127(1))과, 상기 제1나무기둥측 체결용 맞물림 홈(127(1))에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인 상태에서맞물린 제1나무기둥측 체결용 강성 부재(128(1))를 갖고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측 체결용 강성 부재(128(1))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체결 부재(120(1))는 상기 제1보호 커버측 부착구멍(123(1))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측 부착구멍(125(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체결용 강성 부재(128(1))에 체결되어 있고, 또한, 선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내에 돌입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상기 제1보호 커버(150(1))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연결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는 상기 제1끝판(130(1))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제1보강 리브(140(1))를 더 갖고 있다.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는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110(2))와, 상기 제2통형상 부재(110(2))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110(2))에 연결된 제2끝판(130(2))을 갖고 있다.
또, 도면 중,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의 구성 부재 중,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와 공통되는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또는, 말미의 괄호를 (1)에서 (2)로 변경한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끝판(130(2))은 상기 제1끝판(130(1))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끝판(130(2))을 상기 제1끝판(130(1)) 상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끝판(130(2))의 제2플랜지부(132(2)) 및 상기 제1플랜지부(132(1))가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체결 부재(139)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에는 상기 제1끝판(130(1))의 제1중앙부(131(1))로부터 상방(즉, 상기 제1통형상 부재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강성의 볼록형상 부재(20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는 여러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구형상이나 4각뿔 형상 등으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끝판(130(2))의 제2중앙부(131(2))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가 삽입통과 가능한 개구(20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 100(2))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가 상기 개구(207)를 통해서 상기 오목부(205)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로 형성된 제2기단 플레이트(215)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제2기단 플레이트(215)에도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의 삽입통과를 허용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에 상기 제2끝판(130(2))의 상면과의 공동 작용 하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잭업용 맞물림 간극을 형성하는 걸림 클로(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 클로(22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에 연결된 상태의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잭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 클로(220)와 상기 제2끝판(130(2))의 상면 사이에 철판 등의 강성 판상체를 집어넣고, 상기 강성 판상체를 잭업 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 클로(220)는 지름방향 외단부가 상기 제2끝판(130(2))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중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보다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하단 개구에 근접하는 부위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 상단부 제1맞물림 홈(19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나무기둥 상단부 제1맞물림 홈(192(1))에는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지름방향 바깥쪽 면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압축 목재(190(1))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압축 부재(195)의 하단과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하단 개구가 동일 높이 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하단 개구와 상기 제1나무기둥(10)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불순물이 침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 중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보다 상기 제1끝판(130(1))에 근접하는 부위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 상단부 제2맞물림 홈(19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나무기둥 상단부 제2맞물림 홈(197(1))에는 팽창방향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지름방향 바깥쪽 면이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압축 목재(195(1))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제1보호 커버(150(1))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 목재(190(1), 195(1))는, 예를 들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의 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된다. 즉,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가 20㎜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압축 목재(190(1), 190(2))는 10㎜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190(1), 190(2))에의 습도의 첨가는 이것들에의 방부제의 함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도 8에, 본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B)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 1A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상기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B)는, 상기 제1 및 제2보호 커버(150(1), 150(2))가 삭제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와 상위하다.
즉,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B)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에서 상기 제1보호 커버(150(1))가 삭제된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와,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에서 상기 제2보호 커버(150(2))가 삭제된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변형예 1B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체결 부재(170(1), 170(2))가 각각 삽입통과되는 상기 제1 및 제2부착구멍(175(1), 175(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110(1), 110(2))에 형성된다.
도 9에 본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C)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 1A 및 상기 제1변형예 1B에 있어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상기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C)는, 상기 제1보호 커버(150(1))만이 삭제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와 상위하고 있다.
즉,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C)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와,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변형예 1C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는 대응하는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 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한편,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는 상기 제2보호 커버(150(2))가 감겨진 상태에서 대응하는 상기 제2통형상 부재(110(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당연히,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에 대하여 상기 제1보호 커버(150(1))를 남기고, 상기 제2보호 커버(150(2))만을 삭제하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은 단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당연히,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단면형상을 사각형상 이외의 직사각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원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2A)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2A)는 상기 제1 및 제2끝판(130(1), 130(2))의 사이에 1 또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250)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와 상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매의 적층 플레이트(250(1)∼250(4))가 개재되어 있다.
도 11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에는 상기 제1끝판(130(1))의 제1플랜지부(132(1)) 및 상기 제2끝판(130(2))의 제2플랜지부(132(2))에 형성된 체결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체결 개구(25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플랜지부(132(1)), 1 또는 복수의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 및 상기 제2플랜지부(132(2))가 상기 체결 부재(139)에 의해 공체결되게 되어 있다. 상기 체결 개구(257)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 대신에, 관통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하기 도 13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끝판(130(1)),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 및 상기 제2끝판(130(2))의 접촉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구조는 상기 제1끝판(130(1))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262) 또는 오목부(264)의 한쪽(예를 들면, 볼록부(262))과,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262) 또는 오목부(264)의 다른쪽(예를 들면, 오목부(264))과, 상기 적층 플레이트(250)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262) 또는 오목부(264)의 한쪽(예를 들면, 볼록부(262))과, 상기 제2끝판(130(2))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262) 또는 오목부(264)의 다른쪽(예를 들면, 오목부(264))을 갖고 있고, 상기 볼록부(262) 및 상기 오목부(264)는 요철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중심 상에 배치된 평면에서 볼 때에 비원형(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상기 제1끝판 및 상기 제2끝판에 대하여 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당연히, 상기 볼록부(262) 및 상기 오목부(264)의 배치 및 형상은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12에 상기 볼록부(262)(및 상기 오목부(264))의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에 십자형상으로 변경된 적층 플레이트의 변형예(25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상기 볼록부(262)(및 상기 오목부(264))가 중심이 아니라, 중심 주위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변형예(252)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중심 주위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4개)의 상기 볼록부(262)(및 상기 오목부(26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구조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와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는 상기 제2끝판(130(2))의 상기 제2중앙부(131(2))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3A)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 도 14에 있어서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16에 도 15에 있어서의 XVI-XVI선을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 및 2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A, 2A)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3A)는, 상기 제1 및 제2끝판(130(1), 130(2))의 사이에 개재된 조인트 철물(300)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1A)와 상위하고 있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철물(300)은 상기 제1끝판(130(1))의 상기 제1중앙부(131(1)) 및 상기 제2끝판(130(2))의 상기 제2중앙부(131(2))에 의해 끼워지는 중앙 연결 부재(310)와, 축선방향이 수평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중앙 연결 부재(310)에 연결되고, 나무기둥(30)을 수평 자세로 지지 가능한 수평 통형상 부재(3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앙 연결 부재(310)는 상기 제1끝판(130(1))의 상기 제1중앙부(131(1))의 상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하벽(320)과, 상기 제2끝판(130(2))의 상기 제2중앙부(131(2))의 하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벽(322)과, 상기 하벽(320) 및 상기 상벽(322)의 둘레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둘레벽(325)을 갖고 있다.
상기 상벽(322) 및 하벽(320)은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단면형상에 대응한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은 단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벽(322) 및 하벽(320)은 평면에서 볼 때에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325)은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4개의 측면의 각각과 동일 방향을 향하는 제1∼제4측벽(325(1)∼325(4))을 갖는 것으로 된다.
이것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이 단면 원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상벽(322) 및 하벽(320)은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상으로 되고, 상기 둘레벽(325)은 횡단면 원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벽(320)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의 외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3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벽(322)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의 상기 오목부(205)에 요철 결합 가능한 제2볼록형상 부재(3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인트 철물(300)은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로서 기단부가 상기 제1∼제4측벽(325(1)∼325(4))에 각각 고착된 제1∼제4수평 통형상 부재(350(1)∼350(4))를 갖고 있다.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과는 다른 나무기둥(30)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수량만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인트 철물(300)은 4개의 수평 통형상 부재(350(1)∼350(4))를 갖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4개 미만, 또는, 5개 이상의 수평 통형상 부재(350)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3A)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1)', 100(2))는 상기 조인트 철물(30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끝판(130(2))의 제2플랜지부(132(2))는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의 상면에 적재되는 제2적재 영역(134(2))과,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는 적재되지 않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끝판(130(1))의 상기 플랜지부(131(1))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영역과 중합하는 제2중합 영역(136(2))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끝판(130(1))의 제1플랜지부(132(1))는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의 하면이 적재되는 제1적재 영역(134(1))과,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상기 제2플랜지부(132(2))에 있어서의 상기 제2중합 영역(136(2))과 중합하는 제1중합 영역(136(1))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볼트(35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적재 영역(134(2))에는 상기 고정 볼트(355)가 삽입통과 가능한 부착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끝판(130(2))은 상기 부착구멍(135)에 삽입통과되는 상기 고정 볼트(355)에 의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중합 영역(136(1)) 및 상기 제2중합 영역(136(2))에는 턴 버클(270)을 장착시키기 위한 개구(1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끝판(130(1)) 및 제2끝판(130(2))은 상기 조인트 철물(300)을 협압하도록 턴 버클(2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 의한 수평 나무기둥(30)의 지지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110(1), 110(2))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지지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7에 도 14에 있어서의 XVII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즉,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나무기둥(30) 중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 내삽되는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3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365)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3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3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360)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160(2))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 나무기둥(30)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한, 스테인리스나 철, 구리 등의 금속, 또는, 압축 목재 등의 여러가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축 목재는, 예를 들면 팽창방향이 상기 수평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360)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37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375)에 삽입통과된 수평 나무기둥측 체결 부재(370)가 상기 수평측 강성 부재(36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나무기둥(30)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에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30)의 외주면과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35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압축 목재(190, 195)와 같은 압축 목재(390, 395)가 개재되어 있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나무 4A 기둥 연결 구조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4A)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이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를 둘러싸는 강성의 통형상 부재(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 부재(400)는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및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 16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 165(2))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160(2))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160(2))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부착구멍 및 제2부착구멍(411, 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4A)에 있어서는, 상기 제1부착구멍(411)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170(1))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부착구멍(412)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170(2))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이 상기 통형상 부재(400)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가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400)는 상단이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중간부(21b) 및 기단부(21a) 사이의 단차부에 결합되고 또한 하단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 및 중간부(11b) 사이의 단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도 19에 본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4B)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각각, 도 19에 있어서의 XX-XX선 및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 및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4B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의 사이에 개재된 1 또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의 구성에 있어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50e)의 5매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 부재(600)에 의해 둘러싸이는 한,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기 통형상 부재(600)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형상을 갖고 있다.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는 내부공간을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측방 개구(4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방 개구(405)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를 뽑아내기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측방 개구(405)는 1장의 적층 플레이트(450)만을 뽑아내기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측방 개구(405)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a∼450e) 중 최하방에 위치된 적층 플레이트(도 19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적층 플레이트(450a)를 뽑아내기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착구멍(412)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가 개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 대응하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적층 플레이트 불사용시 부착구멍(412x)과,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450e))의 전부가 개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가 1매 분리될 때마다, 대응하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적층 플레이트 사용시 부착구멍(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5단의 적층 플레이트 사용시 부착구멍(412a∼412e))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과 상기 제2나무기둥(510)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450e)의 전부가 개재되어 있는 상태(도 19)에 있어서는, 적층 플레이트 5매 사용시 부착구멍(412e)이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와 대향하고, 상기 제1적층 플레이트(450a)가 발취되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과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제2∼제5적층 플레이트(450b∼450e)의 4매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상태(도 22)에 있어서는, 적층 플레이트 4매 사용시 부착구멍(412d)이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와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450e)의 전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플레이트 불사용시 부착구멍(412x)이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와 대향한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의 분리에 따라서 상기 제2나무기둥(20)이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 대하여 아랫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중간부(21b)와 기단부(21a) 사이의 경계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즉,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a∼450e)의 전부가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 부재(400)의 상단부가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중간부(21b) 및 기단부(21a) 사이의 단차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통형상 부재(400)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중간부(21b)를 상기 21a와 동일 지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의 발취는,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 부재(170(2))가 적층 플레이트 5매 사용시 부착구멍(412e)을 통해서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도 19)로부터, 우선, 상기 제2체결 부재(170(2))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제2나무기둥(20)과 상기 통형상 부재(400)를 상대이동 가능 상태로 한다.
다음에, 상기 제2나무기둥(210)을 잭업 장치로 들어올려서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50)(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450e))에 대하여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하중이 부가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상기 측방 개구(405)을 통해서 상기 제1적층 플레이트(450a)를 꺼낸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는 나머지의 적층 플레이트(450b∼450e)가 적재되게 된다.
그리고, 잭업 장치에 의해 들어올려져 있던 상기 제2나무기둥(20)을 하방으로 내려서 최상방에게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450)(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제5적층 플레이트(450e))에 적재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 부재(170(2))를 적층 플레이트 4매 사용시 부착구멍(412d)에 삽입통과시켜서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시켜서, 도 22의 상태를 현출시킨다.
이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상단 위치는, 상기 제1∼제5적층 플레이트(450a∼450e)가 개재되어 있는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단 위치에 비하여, 상기 제1적층 플레이트(450a)의 분만큼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측방 개구(405)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를 상기 측방 개구(405)를 향해서 압박 가능한 압출 개구(40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 개구(40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측방 개구(405)를 통한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의 인출 작업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다.
도 24에 도 19에 있어서의 XXIV-XXIV선을 따른 횡단도를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의 외주면과 상기 통형상 부재(400)의 제1나무기둥측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압축 목재(190(1))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 있어서는, 상기 압축 목재(190(1))는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압축 부재를 갖고 있다.
도 25에, 본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 4C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21에 대응한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2변형예 4C는 상기 제1변형예 4B에 비하여 상기 적층 플레이트(450)대신에 적층 플레이트(460)를 갖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 플레이트(460)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편(461)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변형예 4C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과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 사이에,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60)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60)의 각각이, 각각의 길이방향이 플레이트 뽑아내기 방향(X)을 따른 상태에서 뽑아내기 방향(X)과는 직교하는 횡방향(Y)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편(46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460)는 제1∼제7플레이트편(461-1∼461-7)을 갖고 있다.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편(461) 중 소정 매수의 플레이트편(461)만의 뽑아내기 방향을 따른 뽑아내기를 허용하는 측방 개구(47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측방 개구(470)는 상기 플레이트편(461)을 1매씩 뽑아내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제2변형예 4C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460)의 발취는,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변형예 4B에서의 인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체결 부재(170(2))가 적층 플레이트 5매 사용시 부착구멍(412e)을 통해서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우선, 상기 제2체결 부재(170(2))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제2나무기둥(20)과 상기 통형상 부재(400)를 상대이동 가능 상태로 한다.
다음에, 상기 제2나무기둥(20)을 잭업 장치로 들어올려서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460)에 대하여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하중이 부가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최하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460)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제7플레이트편(461-1∼461-7) 중, 상기 측방 개구(470)를 향하는 인출 가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의 플레이트편(도 25에 있어서는 제4플레이트편(461-4))을 상기 측방 개구(470)로부터 꺼낸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편(46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측방 개구(470)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편(461)을 상기 측방 개구(470)를 향해서 압박 가능한 압출 개구(4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 개구(472)를 통해서 해당하는 플레이트편(461)(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제4플레이트편(461-4))을 상기 측방 개구(470)로 밀어 이동할 수 있다.
최하방에 위치하는 제1적층 플레이트(460)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레이트편(461)의 인출 작업시에는, 상기 최하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460)의 위에 적층되어 있는 다음의 적층 플레이트(460)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레이트편이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다음의 적층 플레이트의 복수의 플레이트편을 가고정해 둔다.
이 가고정은, 예를 들면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 형성된 가고정용 슬릿에 삽입통과되는 록킹 부재를 통해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400)에 형성된 횡방향 압동 개구(475)를 통해서 최하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460)에 있어서의 잔존하는 플레이트편(461)을 횡방향(Y)을 따라서 중앙측으로 밀어 이동하여, 조금 전에 인출한 플레이트편(제4플레이트편(616-4))에 인접하고 있던 플레이트편(제3플레이트편(461-3) 또는 제5플레이트편(461-5))을 상기 인출 가능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출 가능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플레이트편(461)을 상기 측방 개구(470)를 통해서 꺼낸다.
이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최하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460)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편(461)을 모두 꺼낸 후에, 상기 다음의 적층 플레이트(460)에 대한 가고정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나머지의 적층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는 적재된다.
그리고, 잭업 장치에 의해 들어올려져 있던 상기 제2나무기둥(20)을 하방으로 내려서 최상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에 적재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 부재(170(2))를 대응하는 부착구멍에 삽입통과시켜서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시킨다.
상기 제2변형예 4C에 의하면, 상기 측방 개구(470)의 개구폭을 가급적으로 좁힐 수 있으므로, 상기 측방 개구(47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기 통형상 부재(400)의 강성 저하를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5A)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5A)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1B)(도 8)에 있어서의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100(2)')와 유사한 지지 장치(500)를 사용하여,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서 세워서 설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5A)는 상기 지지 장치(500)와, 상기 지지 장치(500)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세워서 설치되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장치(500)는 상기 제2끝판(130(2))과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을 갖고,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통형상 부재(110(2))와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통형상 부재(5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10)은 기단부(11a)가 상기 통형상 부재(520)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통형상 부재(520)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외형상에 합치한 형상 및 치수의 축선 구멍을 갖고 있다.
도 27에, 도 26에 있어서의 XXVII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8에, 도 26에 있어서의 XXVIII--XXVIII선을 따른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나무기둥(10) 및 상기 통형상 부재(520) 사이의 연결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 및 상기 보호 커버(850) 사이의 연결 구조나, 상기 실시형태 1의 제1변형예에 있어서의 제2나무기둥(20) 및 제2통형상 부재(110(2)) 사이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부(11a)에는 상기 맞물림 홈(865)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865)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인 상태에서 상기 강성 부재(860)(상기 분할체(861))가 장착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 부재(520)에는 상기 강성 부재(860)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부착구멍(87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870)가 상기 부착구멍(875)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강성 부재(860)에 체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통형상 부재(520)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연결되어 있다.
도 29에, 도 26에 있어서의 XXIX-XXIX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0에, 도 29에 있어서의 XXX-XXX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상기 통형상 부재(520)이 설치되는 중앙부(512)와, 상기 중앙부(512)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14)를 갖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514)에는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514)에 연결된 플랜지부용 앵커 볼트(540)에 의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중앙부(512)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상기 플랜지부용 앵커 볼트(540)에 추가해서,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중앙부(512)에 연결된 중앙부용 앵커 볼트(542)에 의해서도,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기단면에는 상기 중앙부용 앵커 볼트(542)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상방 돌출부 및 상기 상방 돌출부에 나사결합된 고정 너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오목부(12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6,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장치(500)에는 판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면 및 상기 통형상 부재(520)의 외주면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5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50)에는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550)는 하나의 제1나무기둥(10)을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 장치(500)를, 예를 들면 인접하는 다른 제1나무기둥(10)을 지지하는 다른 지지 장치(500)나, 또는, 외부 구조물에, 연결봉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시킬 때의 연결부로서 사용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5A)는, 상기 지지 장치(500)의 기단측을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설치된 후타설 콘크리트(905)를 갖고 있다.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905)는 상면이 상기 통형상 부재(520)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5A)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5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보강 철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905)는 상기 보강 철근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 부재(520)에는 내단부가 상기 압축 부재(890)를 향하고 또한 외단부가 바깥쪽으로 개구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압축 목재(890)를 팽창시키기 위해서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압축 목재(890)를 향해서 액체를 주입할 때에 이용되고, 불사용시에는 볼트 등의 폐색 부재(522)에 의해 폐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890)를 향해서 주입되는 액체는 방부약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압축 목재(890)의 팽창 효과에 추가해서, 상기 압축 목재(890) 및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방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압축 목재(890)에 대해서만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압축 목재(895)용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당연히, 압축 목재에 대하여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나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6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장치(500)는 상기 통형상 부재(520)의 외주면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통형상 부재(520)에 고착된 스터드(570)를 더 갖고 있다.
상기 스터드(570)는 상기 지지 장치(500)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보다 상방으로 연장된 스터드용 앵커 볼트(575)의 상방 연장 부분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6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575)의 선단측에는 철근(577)이 감겨져 있고, 상기 스터드(570)는 상기 철근(577)을 통해서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575)의 상방 연장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570) 및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575)의 상방 연장 부분(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철근(577))은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905) 내에 매입되어 있다.
도 31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5B)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에, 도 31에 있어서의 XXXII-XXXII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 5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5A)에 비하여, 상기 통형상 부재(520)의 외주면에 고착된 홀다운 철물(560)과, 상기 홀다운 철물(560)에 삽입통과된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544)를 더 갖고 있다.
상기 홀다운 철물(560)은 중앙구멍이 수직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 부재(520)의 외주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54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삽입통과한 상태에서,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홀다운 철물(560)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 6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3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6A)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4에, 도 33에 있어서의 XXXIV-XXXI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6A)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상기 굴립 구조(800)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6A)는 상기 굴립 구조(800)에 비하여 상기 지지 장치(810) 대신에 지지 장치(81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6A)는 상기 지지 장치(810')와, 상기 제1나무기둥(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장치(810')는 상기 지지 장치(810)에 비하여 상기 지지통(830) 대신에 지지통(830')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지지 장치(8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와, 상기 지지통(830')과, 상기 볼록부(840)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통(830')은 상기 지지통 본체(832)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833)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835')를 갖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 1의 상기 굴립 구조(8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양자의 자유단부의 사이에 지름방향 간극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커버(850)의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에 의해 끼워지는 공간에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950)이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950)은 상기 지지통 본체(832)의 내주면 중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가 존재하지 않는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833)과 상기 통형상부(852)의 외주면 사이에 의해 구획되는 지름방향 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832), 상기 통형상부(852)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 록킹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중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950) 이외의 부분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 등, 바람직하게는, 시멘트계 무수축재의 상기 고착재(882)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6A)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950)에 의해 상기 지지 장치(810')에 대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수직설치 자세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35에, 도 33에 있어서의 XXXV-XXX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3 및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6A)는, 또한, 상기 간극 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에 설치된 강성 링(930)을 갖고 있다.
상기 강성 링(9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추가적인 수직설치 자세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링(930)은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강성 링(930)은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링체(93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3 및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850)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7)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성 링(950)은 지름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 본체(832) 및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7)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36 및 도 37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6B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3의 XXXIV-XXXIV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6은 제1나무기둥(10)을 지지통(830')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7은 상기 공간 내에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950)을 설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변형예 6B는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 및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 대신에,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6) 및 지지통측 플랜지부(836)를 갖고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6A에 있어서는,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의 자유단(지름방향 외단)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의 자유단(지름방향 내단)보다 지름방향 안쪽에 위치되어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5)의 자유단(지름방향 외단) 및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5')의 자유단(지름방향 내단) 사이에 지름방향에 관해 지름방향 간극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변형예 6B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836)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833)을 간직하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836a)를 갖고, 또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856)는 나무기둥측 간극(853)을 간직하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856a)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836a)의 지름방향 길이 및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856a)의 지름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는 한편,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856a)의 둘레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833)의 둘레방향 길이보다 작세 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 6B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커버(850)가 장착된 상태의 제1나무기둥(10)을 상기 지지통(830') 내에 삽입시킬 때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856a)가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833) 내에 위치하도록 제1나무기둥(10)의 중심 주위 둘레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보호 커버(850)가 장착된 상태의 제1나무기둥(10)이 상기 지지통(830')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856a)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836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도록, 제1나무기둥(10)을 중심 둘레로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공간 내에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950)을 둘레방향으로 배열시키며, 최후에, 상기 고착재(78)가 충전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90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905)는 상기 지지 장치(810')의 기단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900) 상에 설치된다.
실시형태 7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8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7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 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7A)는 상기 실시형태 3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3A)와 마찬가지로, 수직 상태로 세워서 설치된 제1나무기둥(10)의 바로 위쪽에 수직 상태로 제2나무기둥(20)을 연결시키고, 또한, 수평 상태에서 제3나무기둥(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7A)는, 조인트 철물(700)과,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조인트 철물(700)에 의해 수직 자세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방에 세워서 설치되는 제2나무기둥(20)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의해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제3나무기둥(30(1), 30(2))을 구비하고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철물(700)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부(711)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가 내삽되는 제2통형상부(715)를 갖는 통형상 부재(710)를 갖고 있다.
도 39에, 상기 제2통형상부(715) 및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확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는 외표면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에는 외표면으로 개방되는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 165(2))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무기둥(10, 2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160(2))가 장착되어 있고, 한편,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부(711, 712)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160(2))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175(1)) 및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17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175(1))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10)이 상기 제1통형상부(71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175(2))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20)이 상기 제2통형상부(715)에 연결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철물(700)은 상기 통형상 부재(710)에 연결된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720)를 더 갖고 있다.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720)는,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부를 상하에서 끼우도록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 부재(7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협지판(722) 및 하측 협지판(725)과,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710)로부터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730)을 갖고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판(730)은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통형상 부재(7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40에,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8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730)이 삽입 가능한 슬릿(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3))는 제1 및 제2밴드(163a, 163b)를 갖고 있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밴드(163a)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밴드(163a)에는 부착구멍(16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구멍(164a)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밴드(163a)가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구멍(164a)은 상기 제1밴드(163a) 중,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의 횡방향 일방측에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밴드(163b)는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밴드(163b)에는 부착구멍(16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구멍(164b)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밴드(163b)가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구멍(164b)은 상기 제2밴드(163b) 중,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의 횡방향 타방측에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협지판(722)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가 장착된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소정의 부착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a)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측 협지판(725)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가 장착된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소정의 부착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726a)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72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730)이 상기 슬릿(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a)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726a)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1밴드(163a) 및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b)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726b)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2밴드(163b) 및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상기 상측 협지판(722) 및 상기 하측 협지판(725)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판(730)에 보강판측 부착구멍(7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30)에는 상기 슬릿(35)에 상기 보강판(730)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3나무기둥(30)을 소정의 부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731)에 위치 맞춤되는 관통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36) 및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731)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3나무기둥(30)을 끼우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상기 보강판(73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철물(700)은 상기 통형상 부재(710)의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720)를 갖고 있지만, 당연히,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조인트 철물(700)은 상기 통형상 부재(710)의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둘레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710)에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720)의 각각에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지지될 수 있다.
이것 대신에, 단일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720)를 갖도록 상기 조인트 철물(700)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통형상부(715)에 내삽된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이 상기 제1통형상부(711)에 내삽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 적재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지지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도 41에, 본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7B)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 에 있어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변형예 7B에 있어서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18)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18) 및 상기 오목부(28)는, 예를 들면 구면상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3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의 외주면과 상기 제1통형상부(711)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압축 부재(190(1), 195(1))를 설치하고, 및/또는,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의 외주면과 상기 제2통형상부(715)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압축 부재(190(2), 195(2))를 설치하고, 및/또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상측 협지판(722) 및 상기 하측 협지판(725)의 내표면 사이에 상기 압축 부재(390, 395)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8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2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3 및 도 44에, 각각, 도 42에 있어서의 XXXXIII-XXXXIII선 및 XXXXIV-XXXI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8A)는, 상기 실시형태 3 및 7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3A, 7A)와 마찬가지로, 수직 상태로 세워서 설치된 제1나무기둥(10)의 바로 위쪽에 수직 상태에서 제2나무기둥(20)을 연결시키고, 또한,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 상태에서 제3나무기둥(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2∼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나무기둥 연결 구조(8A)는,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 부재(110(1))를 갖는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1100)와, 상기 제2나무기둥(20)과, 상기 제2나무기둥(20)을 상기 제1나무기둥(10)과 동축 상에 있어서 수직 자세로 지지하는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1200)와, 상기 제3나무기둥(30)과, 상기 제3나무기둥(30)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10, 20)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1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부(11c)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1))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 상대이동 불능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10)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가 연결되어 있다.
도 42∼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1300)는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되는 하측 협지판(1310)과,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하측 협지판(1310)의 상면에 연결되고,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면이 접촉되는 측판(1330)과,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측판(1330)의 상단면에 연결된 상측 협지판(1350)과, 상기 측판(1330)으로부터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730)과, 일단측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타단측이 상기 하측 협지판(1310)의 하면에 연결된 댐퍼(1370)를 갖고 있다.
도 42 및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협지판(1310)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10)에 중합하는 하측 중앙부(1312)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과 중합하도록 상기 하측 중앙부(1312)로부터 연장되는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14)를 갖고 있다.
상기 댐퍼(1370)의 타단측은 상기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14)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협지판(1310)은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둘레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2개의 상기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14)를 갖고 있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중앙부(1312)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된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가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는 구면 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는 상기 제1나무기둥(10)의 상단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연히,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5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연결 구조(8B)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변형예는, 본 실시형태에 비하여 상기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1100) 대신에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1100B)를 갖고 있다.
상기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1100B)는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의 상방 개구를 폐색하는 제1끝판(115(1))을 갖고 있고, 상기 볼록형상 부재(200)는 상기 제1끝판(115(1))에 형성되어 있다.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1300)는 상기 하측 협지판(1310) 및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통형상 부재(1340)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통형상 부재(1340)의 둘레벽이 상기 측판(1330)을 형성한다.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앙부(1312)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14)에 각각 중합하는 상측 중앙부(1352) 및 1 또는 복수의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54)를 갖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730)이 삽입 가능한 슬릿(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3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3))가 장착되어 있다.
도 42∼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3))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165(3))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1밴드(163a)와,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30)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2밴드(163b)를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54)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a, 723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14)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163a, 163b)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730)이 상기 슬릿(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a)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1밴드(163a)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723b)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제2밴드(163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30)이 상기 상측 협지판(1350) 및 상기 하측 협지판(1310)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상기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1200)는 상기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지지 장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12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상기 제1통형상 부재(110(1))와 동심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제2통형상 부재(520)를 갖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의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상기 제2통형상 부재(520)가 설치되는 중앙부(512)와, 상기 중앙부(512)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14)를 갖고 있다.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랜지부(514)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3나무기둥(30)과 중합하는 제3나무기둥 중합부(514a)와, 상기 제3나무기둥(30)과는 중합하지 않는 바깥쪽 연장부(514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은 상기 상측 중앙부(1352) 및 상기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54)에 추가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바깥쪽 연장부(514b)에 중합하는 바깥쪽 연장부(1356)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바깥쪽 연장부(514b)와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의 바깥쪽 연장부(1356)가 체결 부재(1360)에 의해 체결되는 것, 및/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제3나무기둥 중합부(514a)와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의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1354)가 체결 부재(1362)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상기 상측 협지판(1350)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중앙부(512) 및 상기 상측 협지판(1350)의 상측 중앙부(1352)가 중앙부용 체결 부재(1364)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면에는 상기 중앙부용 체결 부재(1364)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상방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오목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기단부(21a)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865)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865)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20)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8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통형상 부재(520)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860)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870)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86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20)이 상기 제2통형상 부재(520)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 9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6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9A)가 적용된 건조물의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7에, 도 46에 있어서의 XXXXVII-XXXXVII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9A)는 종을 설치하기 위한 종루 등의 나무기둥 건조물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상세하게는,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89)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적재되는 초석(760)과, 상기 초석(760)의 상면에 형성된 제1볼록형상 부재(770)와,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의 정부에 형성된 제2볼록형상 부재(780)와, 상기 초석(760)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는 나무기둥(92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6에 나타내진 건조물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9A)를 갖고 있다.
또, 도 46 중의 부호 930은, 하나의 나무기둥 설치 구조(9A)에 있어서의 나무기둥(920)과, 인접하는 다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9A)에 있어서의 나무기둥(9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도 48에, 도 47에 있어서의 XXXXVIII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볼록형상 부재(770, 780)는 모두,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서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 781)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 781)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 면적이 작아지는 상향의 만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볼록형상 부재(770, 78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의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에 있어서의 최대 외형면적이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의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에 있어서의 최대 외형면적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 중 상기 초석(760)의 상면에 접하는 위치가 최대 외형면적을 구획하는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 중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의 정부에 접하는 위치가 최대 외형면적을 구획하는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로 되어 있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무기둥(920)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볼록형상 부재(770, 780)를 덮는 오목부(922)와, 상기 오목부(922)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초석(760)의 상면에 접촉되는 평탄부(925)를 갖고 있다.
상기 오목부(922)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의 정부를 덮는 최상부(923a)로부터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의 상기 최대 외형면적의 외경에 상당하는 개구폭을 갖는 부위(923b)까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개구폭이 확경된 오목상 영역(923c)을 갖고 있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상 영역(923c)의 하단부가 상기 평탄부(925)에 연접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922)가 상기 오목상 영역(923c)에 추가해서, 상기 오목상 영역(923c)의 하단부에서 동일 개구폭으로 아랫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평탄부(925)에 도달하는 원기둥 영역(923d)을 갖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는 여러가지 고정 방법에 의해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에 고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에 대하여 나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에는 정부로 개방되는 나사가 있는 구멍(77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는 상기 나사가 있는 구멍(772)에 나사삽입되는 제2매입부(785)와, 상기 제2매입부(78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본체부(787)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본체부(787)는 상기 상향 만곡면 형상(즉,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서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된 외주면을 갖고 있다.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는 여러가지 고정 방법에 의해서 상기 초석(760)에 고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상기 초석(760)에 고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초석(760)에는 상면으로 개구되는 설치 구멍(76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770)는 상기 설치 구멍(762)에 맞물리는 제1매입부(775)과, 상기 제1매입부(77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본체부(777)를 갖고 있다.
상기 제1본체부(777)는, 상기 상향 만곡면 형상(즉,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서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71)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된 외주면과, 상기 초석(76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저면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매입부(775)와 상기 설치 구멍(762)의 사이, 및/또는, 상기 제1본체부(777)의 저면과 상기 초석(760)의 상면 사이에 접착제가 설치된다.
도 50에, 제1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9B)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 에 있어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9B)는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9A)에 비하여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 대신에 제2볼록형상 부재(780B)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B)는 상기 제2매입부(785)와, 상기 제2매입부(78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본체부(787B)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본체부(787B)는 상기 매입부(758)에 연접된 하방 부위(788B)와, 상기 하방 부위(788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부위(789B)를 갖고 있다.
상기 상방 부위(789B)는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면적이 작아지는 상향의 만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하방 부위(788B)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781)에서의 외경과 동일 외경을 갖고 있다.
도 51(a)에, 제2변형예에 따른 나무기둥 설치 구조(9C)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9C)는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9A)에 비하여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 대신에 제2볼록형상 부재(780C)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780C)는 상기 제2매입부(785)와, 상기 제2매입부(78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본체부(787C)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본체부(787C)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 외경을 갖고 있다.
도 51(b)에, 도 51(a)에 있어서의 XXXXXI-XXXXXI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변형예 9C에 있어서는, 상기 제2본체부(787C)는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것 대신에, 도 5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부(787C)가 다각형(예를 들면, 육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 1∼8에 있어서의 상기 강성 부재(128, 160, 165, 360, 860)가 복수의 분할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분할체와 인접하는 다른 분할체를 요철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요철 결합에 대해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대신에 요철 결합 구조를 구비한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를 사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2에,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 대신에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를 사용했을 경우의, 도 6에 대응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3에, 도 52에 있어서의 XXXXXIII-XXXXXIII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4에, 도 53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160'(1))는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분할체(161')(도시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1∼제4분할체(161'-1∼161'-4)를 갖고 있다.
도 52 및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분할체(161')는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안쪽을 각각 향하는 외면(161'a) 및 내면(161'b)과,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 일방측(상방) 및 타방측(하방)을 각각 향하는 상면(161'c) 및 하면(161'd)과,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둘레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을 각각 향하는 제1끝면(161'e) 및 제2끝면(161'f)을 갖고 있다.
하나의 분할체(161')(예를 들면, 제1분할체(161'-1))의 제1끝면(161'e)은,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분할체(예를 들면, 제2분할체(161'-2))의 제2끝면(161'f)에 접촉하고 있고, 접촉하는 양 끝면(161'e, 161'f)의 한쪽에는 볼록부(166)가 형성되고, 상기 양 끝면(161'e, 161'f)의 다른쪽에는 상기 볼록부(166)가 맞물리는 오목부(1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67)는 대응하는 분할체(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분할체(161'-2))의 끝면(161'f), 외면(161'a) 및 내면(161'b)에 개구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분할체(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분할체(161'-1) 및 상기 제2분할체(161'-2))를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지름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166) 및 상기 오목부(167)의 결합 해제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볼록부(166) 및 상기 오목부(167)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분할체(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분할체(161'-1) 및 상기 제2분할체(161'-2))는, 대응하는 나무기둥(10)의 길이방향으로는 상대이동 불능으로 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 결합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강성 부재(160'(1))에 의한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A∼1C, 2A, 3A, 4A∼4C, 7A∼7B, 8A∼8B : 나무기둥 연결 구조
5A∼5B, 6A∼6B, 9A∼9C : 나무기둥 설치 구조
10 : 제1나무기둥
11b : 제1나무기둥의 중간부
11c :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12, 12a : 오목부
18 : 볼록부
20 : 제2나무기둥
21a :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
21b : 제2나무기둥의 중간부
28 : 오목부
30 : 수평 나무기둥(제3나무기둥)
35 : 슬릿
36 : 관통구멍
100(1), 100(1)' :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
100(2), 100(2)' :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
110(1), 110(2) :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
130(1), 130(2) : 제1 및 제2끝판
131(1), 131(2) : 제1 및 제2중앙부
132(1), 132(2) : 제1 및 제2플랜지부
140 : 보강 리브
150(1), 150(2) : 제1 및 제2보호 커버
160(1)∼160(3): 제1∼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
163a, 163b : 제1 및 제2밴드
165(1)∼165(3) : 제1∼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
170(1), 170(2) : 제1 및 제2체결 부재
175(1), 175(2) : 제1 및 제2부착구멍
200 : 볼록형상 부재
205 : 오목부
207 : 개구
250 : 적층 플레이트
262, 264 : 요철구조
300 : 조인트 철물
310 : 중앙 연결 부재
350 : 수평 통형상 부재
400 : 통형상 부재
411, 412 : 제1 및 제2부착구멍
450 : 적층 플레이트
500 : 지지 장치
510 : 베이스 플레이트
512 : 중앙부
514 : 플랜지부
520 : 통형상 부재
540 : 플랜지부용 앵커 볼트
542 : 중앙부용 앵커 볼트
544 : 홀다운용 앵커 볼트
550 : 연결 플레이트
560 : 홀다운 철물
700 : 조인트 철물
710 : 통형상 부재
711 : 제1통형상부
715 : 제2통형상부
720 :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
722 : 상측 협지판
723a, 723b : 제1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
725 : 하측 협지판
726a, 726b : 제1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
730 : 보강판
731 : 보강판측 부착구멍
750 : 댐퍼
760 : 초석
770 : 제1볼록형상 부재
771 : 상하방향 소정 위치
780 : 제2볼록형상 부재
781 : 상하방향 소정 위치
810' : 지지 장치
820 : 베이스 플레이트
830' : 지지통
832 : 지지통 본체
833 :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
835', 836 : 지지통측 플랜지부
836a :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
840 : 볼록부
850 : 보호 커버
852 : 통형상부
855, 856 : 나무기둥측 플랜지부
856a :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
857 :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
860 : 강성 부재
865 : 맞물림 홈
870 : 체결 부재
875 : 부착구멍
882 : 고착재
920 : 나무기둥
922 : 오목부
923a : 최상부
923b : 최대 개구부
923c : 축경부
930 : 강성 링
932 : 분할 링체
950 : 콘크리트 블록

Claims (40)

  1.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제1보호 커버가 감겨진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제2보호 커버가 감겨진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보호 커버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호 커버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보호 커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보호 커버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보호 커버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보호 커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보호 커버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보호 커버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2.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제1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1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와,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제2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2끝판을 포함하는 강성의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끝판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상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중앙부와,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끝판은, 상기 제2통형상 부재의 하단측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중앙부와, 상기 제2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한쪽에는 보호 커버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에는,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 부재 중 상기 보호 커버가 감겨져 있지 않은 나무기둥을 둘러싸는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에는,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보호 커버의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체결 부재에 의해 대응하는 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는, 상기 보호 커버 없음측 통형상 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장착된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나무기둥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끝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2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오목부에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끝판의 사이에 1 또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끝판, 상기 적층 플레이트 및 상기 제2끝판의 접촉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끝판의 제2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끝판의 사이에 개재된 조인트 철물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제1끝판의 상기 제1중앙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하벽, 상기 제2끝판의 상기 제2중앙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벽, 및 상기 하벽과 상기 상벽의 둘레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둘레벽을 포함하는 중앙 연결 부재와, 축선방향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기단측이 상기 둘레벽에 연결된 수평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는 상기 조인트 철물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기단부가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내삽된 수평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수평 나무기둥측 체결 부재가 상기 수평 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나무기둥이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측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1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벽에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철물에는 상기 상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2볼록형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2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오목부에 맞물려 있고,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는 상기 수평 통형상 부재에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가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끝판의 플랜지부와 대응하는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2. 제1나무기둥 및 제2나무기둥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강성의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1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제2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이 상기 통형상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제1나무기둥측 단차부를 따라서 확경되어서 상기 제2나무기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갖고,
    상기 제2나무기둥은 상기 기단부로부터 제2나무기둥측 단차부를 따라서 확경되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단차부에 결합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단차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내부공간을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측방 개구로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의 사이에 개재 가능한 적층 플레이트가 뽑아내기 가능한 크기로 된 측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부착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 대응하는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층 플레이트 불사용시 부착구멍과,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 사이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을 때에, 대응하는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층 플레이트 사용시 부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16.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통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와,
    기단부가 상기 통형상 부재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세워서 설치되는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통형상 부재가 설치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나무기둥 설치 구조에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 연결된 플랜지부용 앵커 볼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고착된 홀다운 철물과,
    상기 홀다운 철물에 삽입통과되는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홀다운 철물용 앵커 볼트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홀다운 철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으로 연장 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된 중앙부용 앵커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중앙부용 앵커 볼트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상방 돌출부 및 상기 상방 돌출부에 나사결합된 고정 너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에는, 판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부착구멍 또는 부착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의 기단측을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후타설 콘크리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2. 제 21항에 있어서,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고착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보다 상방으로 연장된 스터드용 앵커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통형상 부재에 고착된 스터드로서,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스터드를 갖고 있고,
    상기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용 앵커 볼트의 상방 연장 부분은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3.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나무기둥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나무기둥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통은, 통형상의 지지통 본체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간극 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강성 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링은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링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는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간극 중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입자상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강성 링은 지름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 본체 및 상기 제2나무기둥측 플랜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7.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나무기둥에 대한 길이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통 본체는,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가 존재하지 않는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갖고,
    상기 간극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공간에는, 상기 지지통 본체의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의해서 구획되는 지름방향 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에 록킹 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고착재는 상기 공간 중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8.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나무기둥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를 둘러싸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나무기둥을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나무기둥의 수직설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통은, 통형상의 지지통 본체와, 상기 지지통 본체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존재시키면서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에는 상기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물림 홈의 상기 나무기둥에 대한 길이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간극 중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공간에는, 상기 지지통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의해서 구획되는 지름방향 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 본체,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에 록킹 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공간 중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 이외의 부분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의 지름방향 내단부와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의 지름방향 외단부 사이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지름방향 간극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을 통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상기 나무기둥측 플랜지부는 나무기둥측 간극을 통해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방향 길이 및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는 한편, 상기 나무기둥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비존재 영역의 둘레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31. 조인트 철물과,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제1나무기둥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의해 수직 자세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방에 세워서 설치되는 제2나무기둥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의해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제3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가 내삽되는 제2통형상부를 갖는 통형상 부재와,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통형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통형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통형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를 상하에서 끼우도록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로 상기 통형상 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협지판 및 하측 협지판과, 수평 자세로 지지되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3나무기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을 갖고,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이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1밴드와,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협지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협지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밴드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밴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상측 협지판 및 상기 하측 협지판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보강판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에는 상기 슬릿에 상기 보강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에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보강판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3나무기둥을 끼우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보강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4.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통형상 부재의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둘레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의 각각에 상기 제3나무기둥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5.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형상부에 내삽된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상기 제1통형상부에 내삽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7.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는 제1나무기둥과,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제1통형상 부재를 갖는 제1나무기둥 지지 장치와,
    제2나무기둥과,
    상기 제2나무기둥을 상기 제1나무기둥보다 상방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과 동축 상에 있어서 수직 자세로 지지하는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와,
    제3나무기둥과,
    상기 제3나무기둥을 상하방향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2나무기둥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무기둥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되는 하측 협지판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1나무기둥에 중합하는 하측 중앙부 및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과 중합하도록 상기 하측 중앙부로부터 연장되는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를 갖는 하측 협지판과, 판면이 수직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하측 협지판의 상면에 연결되고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이 접촉되는 측판과, 판면이 수평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기 측판의 상단면에 연결된 상측 협지판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앙부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 각각 중합하는 상측 중앙부 및 1 또는 복수의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를 갖는 상측 협지판과, 상기 측판으로부터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과, 일단측이 상기 제1통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타단측이 상기 하측 협지판의 하면에 연결된 댐퍼를 갖고,
    상기 하측 중앙부는 상기 제1나무기둥의 상단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된 볼록형상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을 갖고,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보강판이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3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3나무기둥측 강성 부재는, 상기 제3나무기둥측 맞물림 홈 중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 횡방향 일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1밴드와, 수평 자세의 상기 제3나무기둥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 횡방향 타방측을 향하는 부분 및 상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다른 일부에 걸쳐서 장착되는 ㄷ자 모양의 제2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제3나무기둥 중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제1 및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1밴드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밴드측 상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밴드측 하방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밴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나무기둥이 상기 상측 협지판 및 상기 하측 협지판에 의해 협지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상기 상측 협지판의 상면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통형상 부재와 동심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제2통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기단부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맞물림 홈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의 길이방향에 관해 상대이동 불능으로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나무기둥측 부착구멍에 삽입통과된 체결 부재가 상기 제2나무기둥측 강성 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무기둥이 상기 제2통형상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나무기둥 지지 장치는 상기 하측 협지판 및 상기 상측 협지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통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3통형상 부재의 둘레벽이 상기 측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연결 구조.
  39. 기초 콘크리트 상에 적재되는 초석과,
    상기 초석의 상면에 형성된 제1볼록형상 부재와,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정부에 형성된 제2볼록형상 부재와,
    상기 초석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는 나무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는, 횡단면의 외형선에 의해서 구획되는 외형면적이 상하방향 소정 위치에 있어서 최대로 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소정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외형면적이 작아지는 상향의 만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은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나무기둥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볼록형상 부재를 덮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초석의 상면에 접촉되는 평탄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의 정부를 덮는 최상부로부터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의 최대 외형면적의 외경에 상당하는 개구폭을 갖는 부위까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개구폭이 확경된 오목형상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록형상 부재는 상기 제1볼록형상 부재에 나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기둥 설치 구조.
KR1020207021528A 2019-09-04 2020-06-01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KR102403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0934 2019-09-04
JPJP-P-2019-160934 2019-09-04
JP2020027306 2020-02-20
JPJP-P-2020-027306 2020-02-20
JPJP-P-2020-094671 2020-05-29
JP2020094671 2020-05-29
PCT/JP2020/021512 WO2021044679A1 (ja) 2019-09-04 2020-06-01 木柱連結構造及び木柱設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46A KR20210030246A (ko) 2021-03-17
KR102403893B1 true KR102403893B1 (ko) 2022-05-31

Family

ID=7409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528A KR102403893B1 (ko) 2019-09-04 2020-06-01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10984B1 (ko)
KR (1) KR102403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8113B (zh) * 2022-04-25 2023-09-22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装配式木结构建筑的抗风锚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330B2 (ja) * 1991-06-19 2001-0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抵抗温度係数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31607A (ja) * 2012-08-01 2014-02-20 Takigawajisha Architects Co Ltd 木柱の設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216A (ko) * 1971-08-19 1973-04-18
JPS5420030B2 (ko) 1972-09-02 1979-07-19
JP2575549Y2 (ja) * 1989-04-24 1998-07-0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集成材の柱脚部接合構造
JPH11200511A (ja) * 1998-01-19 1999-07-27 Taiyo Jutaku:Kk 柱脚金物及びその柱脚金物を用いる木質通し柱の固定方法
JP2002013200A (ja) * 2000-06-29 2002-01-18 Uesuto:Kk 木造建築物の接合構造
JP3125330U (ja) * 2006-07-04 2006-09-14 大成建設株式会社 ホールダウン金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330B2 (ja) * 1991-06-19 2001-0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抵抗温度係数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31607A (ja) * 2012-08-01 2014-02-20 Takigawajisha Architects Co Ltd 木柱の設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0984B1 (ja) 2021-01-13
JPWO2021044679A1 (ja) 2021-09-27
KR20210030246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2293464B1 (ko) 목주의 굴립 구조
CN110446815B (zh) 木柱的埋桩构造
EP2907932A1 (en) Cast-in anchor channel having sub-anchor
KR102403893B1 (ko)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CN112771235B (zh) 木柱连结构造及木柱设置构造
HUE035371T2 (en) Building block for wall structure
AU2022287672A1 (en) Connection system
WO2015049362A1 (en) Concrete tower formed with precast pieces
US20190047139A1 (en) Support rail for a robot platform that is displaceable in a translatory manner, and displacement system and robot system having such a support rail
KR101734187B1 (ko)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JP5484288B2 (ja)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5844584B2 (ja) 塔状構造物
US20130037691A1 (en) Formwork Column
JP4374939B2 (ja) 仮締切構造体
WO2014053070A1 (de) Bausatz zur bildung einer tragkonstruktion
KR20120036614A (ko)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KR10146286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20210158372A (ko) 장경간 교량용 합성 거더
US8667764B2 (en) Embedded mesh in precast walls
DE19921741C2 (de) Hochwasser-Stausystem
JP6752006B2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3237490U (ja) 補強金具および補強構造
WO2009124092A2 (en) Interlocking bolted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CN211775105U (zh) 一种预制柱及包含该预制柱的梁柱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