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863B1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863B1
KR101462863B1 KR1020130103501A KR20130103501A KR101462863B1 KR 101462863 B1 KR101462863 B1 KR 101462863B1 KR 1020130103501 A KR1020130103501 A KR 1020130103501A KR 20130103501 A KR20130103501 A KR 20130103501A KR 101462863 B1 KR101462863 B1 KR 10146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nnection
precast segment
precast
segment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최은희
김병연
이지현
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삼원밀레니어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영산업
주식회사 성진풍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삼원밀레니어,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영산업, 주식회사 성진풍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0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양측면의 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셀연결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셀연결부를 연결하는 관통철근;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셀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주입되어, 상기 셀연결부를 일체화시키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PRECAST SEGMENT ASSEMBLY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단면을 가지는 교각기둥이나 프리캐스트 풍력타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고, 현장에서 용이하게 원주방향으로 일체화시키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 및 풍력발전기 등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크기도 이에 비례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압축하중 저항에 장점이 있는 콘크리트소재를 지지구조물에 사용함에 있어 단면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원형 중공구조물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원형 중공구조물을 활용한 방식의 경우는 운송중 제약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운반 가능한 최대높이는 저상 트레일러 사용시 4.2m이므로 통상적으로 8m 이상에 달하는 풍력타워 등의 대형구조물을 운송하는데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원형 중공구조물의 도로운송 편의성 및 현장에서의 공기절감을 위해 콘크리트 현장타설공법 대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현장조립공법의 검토가 활발해지고 있다.
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을 위해 기존에는 중공구조물 내부에서 볼트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 결합하는 방식이 검토되어 오고 있으나, 이와 같은 내부체결방식은 패널간 체결이후 중공구조물 외부 패널연결부에 벌어짐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중공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됨에 따른 유지관리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트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하여 패널을 결합하는 경우 연결부 주변 콘크리트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내부체결방식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외부체결을 병행하는 방식을 검토할 수 있으나, 이는 중공구조물 미관을 훼손할 뿐 아니라 노출된 철구의 부식발생 문제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체결방식을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고, 구조물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될 경우, 타워 외부 작업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운송이 용이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관리상의 편의성이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 자체가 거푸집을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원주방향의 연결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내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원주방향의 연결부에 발생하던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외부체결에 사용되던 노출된 체결구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 이로 인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체결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구조물이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양측면의 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셀연결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셀연결부를 연결하는 관통철근;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셀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주입되어, 상기 셀연결부를 일체화시키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셀연결부는,상기 셀연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고정스터드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셀연결부는, 접합되는 일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설치되는 제1 셀연결부와, 타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셀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제2 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셀연결부는, 다단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판과, 상기 접합단부이 최하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판 및 상기 제1 상부수평판과 제1 하부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중앙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셀연결부는, 상기 제2 셀연결부가 상기 제1 셀연결부와 결합시, 상기 제1 상부수평판, 상기 제1 중앙수평판 및 제1 하부수평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의 사이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앙수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셀연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셀연결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설치부는, 상기 설치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철근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형의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세그먼트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시공비용이 절감이 가능하고, 현장에서의 급속한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셀연결부의 공간부에 그라우트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셀연결부 자체가 거푸집을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통철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셀연결부에 사전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관통철근의 설치시 관통공이 관통철근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관통철근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설치된 관통철근에 의해 셀연결부가 일체화되어,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셀연결부는 다단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구획된 공간부와 공간부에 주입되는 그라우트부에 의해 셀연결부와 그라우트부가 보다 강하게 강합성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통철근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세그먼트 조립체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작업이 간이해져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원주방향의 연결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내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원주방향의 연결부에 발생하던 응력집중을 해소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외부체결에 사용되던 노출된 체결구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 이로 인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외부체결방식을 배제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체결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구조물이 높아지거나, 풍력타워 등의 구조물이 해상에서 시공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셀연결부, 제2 셀연결부, 관통공 및 연결설치부를 포함하는 셀연결부의 결합 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셀연결부의 측면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셀연결부이 결합 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셀연결부의 체결 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결합 전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연결부의 결합 후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A,B,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설치되는 관통철근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 셀연결부(200), 관통철근(300), 그라우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양측면의 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230)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셀연결부(200)와, 상기 관통공(23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셀연결부(200)를 연결하는 관통철근(300)과, 상기 관통공(230)을 통하여 상기 셀연결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J)에 주입되어, 상기 셀연결부(200)를 일체화시키는 그라우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개수는 운송상의 제약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요구직경과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연결부의 개수에 따른 시공상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연결부(20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양측면의 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230)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에는 복수의 관통공(230)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230)에는 관통철근(300)이 설치될 수 있고, 관통공(230)의 그키는 관통철근(3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통철근(300)이 설치된 이후 관통공(230)과 관통철근(300)의 사이의 공간으로 그라우트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수평판에는 관통철근(300)이 설치되는 관통공(230) 외에도 별도의 그라우트주입구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셀연결부(200)에 형성된 관통공(230)에 관통철근(300)을 배근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연결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한 쌍의 셀연결부(20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이 형성되는 경우, 최하단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최하측에 배치되는 관통공(230)에 주입된 그라우트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캡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의 최하측에 배치되는 관통공(230)에 주입된 그라우트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캡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연결부(200)는 상기 셀연결부(2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고정스터드(110)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는 셀연결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스터드(110)가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매립된 고정스터드(110)에 셀연결부(200)가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a에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매립되는 고정스터드(110)의 설치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스터드(110)에 설치되는 셀연결부(200) 또는 셀연결부(200)의 추가적 구성요소인 연결설치부(240)의 설치를 위해 고정스터드(110)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연결부(2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설치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 연결설치부(240)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설치된 고정스터드(11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설치부(240)에 제1 셀연결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 연결설치부(240)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설치된 고정스터드(11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설치부(240)에 제2 셀연결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셀연결부(200)에 연결설치부(24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설치된 후, 양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는 한 쌍의 셀연결부(200)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연결부(200)는 접합되는 일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설치되는 제1 셀연결부(210)와, 타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셀연결부(210)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J)를 밀폐하는 제2 셀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셀연결부(210)의 세부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1 셀연결부(210)는 제1 수평판과, 제1하부수평판, 제1 중앙수평판(213), 제1 배면판(214) 및 제1 측면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셀연결부(210)는 상기 접합단부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판(211)과, 상기 접합단부이 최하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판(212)과, 상기 제1 상부수평판(211)과 제1 하부수평판(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중앙수평판(213)과,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 접하는 제1 배면판(214) 및 상기 제1 상부수평판(211), 상기 제1 하부수평판(212), 제1 중앙수평판(213) 및 상기 제1 배면판(214)의 측면에 접하게 제공되는 제1 측면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셀연결부(220)의 세부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2 셀연결부(220)는 제2 중앙수평판(223)과, 제2 배면판(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셀연결부(220)는 상기 제2 셀연결부(220)가 상기 제1 셀연결부(210)와 결합시, 상기 제1 상부수평판(211), 상기 제1 중앙수평판(213) 및 제1 하부수평판(212)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의 사이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앙수평판(223)과, 상기 접합단부에 접하는 제2 배면판(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철근(300)은 제1 상부수평판(211), 제1 하부수평판(212), 제1 중앙수평판(213) 및 제2 중앙수평판(223)에 형성된 관통공(23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3,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연결부(200)는 다단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부(J)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셀연결부(210)는 상기 접합단부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판(211)과, 상기 접합단부이 최하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판(212) 및 상기 제1 상부수평판(211)과 제1 하부수평판(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중앙수평판(213)을 포함할 있다.
제2 셀연결부(220)는 상기 제2 셀연결부(220)가 상기 제1 셀연결부(210)와 결합시, 상기 제1 상부수평판(211), 상기 제1 중앙수평판(213) 및 제1 하부수평판(212)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의 사이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앙수평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부수평판(211), 제1 하부수평판(212), 제1 중앙수평판(213) 및 제2 중앙수평판(223)이 상호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셀연결부(200)는 다단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부(J)를 형성할 수 있다. 구획된 공간부(J)와 공간부(J)에 주입되는 그라우트부(400)에 의해 셀연결부(200)와 그라우트부(400)가 보다 강하게 강합성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셀연결부(200)의 측면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셀연결부(200)이 결합 후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공간부(J)는 제1 셀연결부(210)에 제2 셀연결부(220)가 삽입될 경우 밀폐될 수 있고, 밀폐된 제1 셀연결부(210)와 제2 셀연결부(220)에 형성된 관통공(230)을 통하여 그라우트재가 주입되어 그라우트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단부에는 상기 셀연결부(200)가 설치되는 설치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설치부(240)는 상기 설치홈(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치홈(120)에 상기 연결설치부(240)가 설치시, 상기 연결설치부(240)의 외면과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외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2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한 구조물의 높이 따라 3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가 적층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쉬스관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이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의 내면에 설치된 정착부에서 정착구(S)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강선(T)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에 사용되는 상기 관통철근(200)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의 높이가 3m이고, 필요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의 높이가 9m에 해당하는 경우, 관통철근(200)을 9m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철근(200)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연결작업이 간이해져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1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10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110: 고정스터드
120: 설치홈 200: 셀연결부
210: 제1 셀연결부 211: 제1 상부수평판
212: 제1 하부수평판 213: 제1 중앙수평판
214: 제1 배면판 215: 제1 측면판
220: 제2 셀연결부 223: 제2 중앙수평판
224: 제2 배면판 230: 관통공
240: 연결설치부 300: 관통철근
400: 그라우트부 J: 공간부
S: 정착구 T: 프리스트레스 강선

Claims (9)

  1.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양측면의 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셀연결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한쌍의 상기 셀연결부를 연결하는 관통철근;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셀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주입되어, 상기 셀연결부를 일체화시키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연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고정스터드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셀연결부는,
    접합되는 일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설치되는 제1 셀연결부와,
    타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셀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제2 셀연결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연결부는,
    다단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연결부는,
    상기 접합단부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판과, 상기 접합단부이 최하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판 및 상기 제1 상부수평판과 제1 하부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중앙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셀연결부는,
    상기 제2 셀연결부가 상기 제1 셀연결부와 결합시, 상기 제1 상부수평판, 상기 제1 중앙수평판 및 제1 하부수평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의 사이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중앙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연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셀연결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설치부는, 상기 설치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철근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조립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20130103501A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46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01A KR101462863B1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01A KR101462863B1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863B1 true KR101462863B1 (ko) 2014-12-04

Family

ID=5267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501A KR101462863B1 (ko) 2013-08-29 2013-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4824A (zh) * 2017-12-29 2018-06-29 北京天杉高科风电科技有限责任公司 塔筒构件制造方法、塔筒构件以及构建塔筒的方法
KR20180130540A (ko) * 2016-04-01 2018-12-07 이노지 에스이 풍력 터빈용의 지지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85A (ja) * 2002-10-24 2004-05-20 Nippon Hume Corp Pcウェル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60102785A (ko) * 2005-03-25 2006-09-28 유승룡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JP2009235850A (ja) * 2008-03-28 2009-10-15 Toda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85A (ja) * 2002-10-24 2004-05-20 Nippon Hume Corp Pcウェル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60102785A (ko) * 2005-03-25 2006-09-28 유승룡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JP2009235850A (ja) * 2008-03-28 2009-10-15 Toda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540A (ko) * 2016-04-01 2018-12-07 이노지 에스이 풍력 터빈용의 지지 구조체
KR102208284B1 (ko) * 2016-04-01 2021-01-26 이노지 에스이 풍력 터빈용의 지지 구조체
US11053703B2 (en) 2016-04-01 2021-07-06 Innogy Se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CN108214824A (zh) * 2017-12-29 2018-06-29 北京天杉高科风电科技有限责任公司 塔筒构件制造方法、塔筒构件以及构建塔筒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920B1 (en) Tower adapter, method of producing a tower foundation and tower foundation
CN108678167B (zh) 帽型梁柱连接件、梁柱组装结构及安装方法
US20130025229A1 (en) Wind power plant and wind power plant tower segment
JP4874152B2 (ja) プレキャスト工法による変断面塔状構造物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207516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20120054972A (ko) 조립식 중공 세그먼트 교각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JP2018096071A (ja) 複合建物
KR10146286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734187B1 (ko)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20150025643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JP6466196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4374939B2 (ja) 仮締切構造体
KR20150025644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52803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JP2008266902A (ja)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035430B1 (ko) 방음벽 지주의 연결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JP6567368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201500469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KR101674725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CN106088398A (zh) 一种复合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