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725B1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725B1
KR101674725B1 KR1020140114434A KR20140114434A KR101674725B1 KR 101674725 B1 KR101674725 B1 KR 101674725B1 KR 1020140114434 A KR1020140114434 A KR 1020140114434A KR 20140114434 A KR20140114434 A KR 20140114434A KR 101674725 B1 KR101674725 B1 KR 10167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segment
precast
reinforcing steel
segment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476A (ko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1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7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02D27/425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에 있어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보강철물을 구비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보강철물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로 노출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사이를 이격시켜 연결하되,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의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봉강과, 상기 연결봉강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너트 및, 상기 간격조절너트와 함께 상기 연결봉강을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철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철물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의 단부에 상기 접합플레이트가 접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 및,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PRECAST SEGMENT UNIT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단면을 가지는 교각기둥이나 프리캐스트 풍력타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고, 현장에서 용이하게 원주방향으로 일체화시키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 및 풍력발전기 등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크기도 이에 비례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압축하중 저항에 장점이 있는 콘크리트소재를 지지구조물에 사용함에 있어 단면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원형 중공구조물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원형 중공구조물을 활용한 방식의 경우는 운송중 제약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운반 가능한 최대높이는 저상 트레일러 사용시 4.2m이므로 통상적으로 단위 중공구조물의 높이가 이보다 높고 대구경의 단면을 가지는 풍력타워 등의 대형구조물을 운송하는데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원형 중공구조물의 도로운송 편의성 및 현장에서의 공기절감을 위해 콘크리트 현장타설공법 대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현장조립공법의 검토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대구경의 단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교각기둥이나 풍력타워구조물의 경우에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둘레방향으로 쪼개어 운반한 뒤,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종래에는 종래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원주방향 조립을 위해 세그먼트 단부에 노출되도록 배치한 'ㄷ'자 형상의 철근을 겹치도록 좌우측 한 쌍의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각각 고정시킨 후, 인접하는 세그먼트 사이에 그라우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움으로써 일체화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좌우측 한 쌍의 대형 콘크리트 패널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보조장치 및 설치장비의 추가를 필요로 하여 시공비용이 증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보조장치 및 설치장비의 추가를 통해 대형 콘크리트 세그먼트을 고정하더라도 바람 등에 의해 현장작업 중 콘크리트 세그먼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어, 세그먼트의 연결부에 시공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철물과 세그먼트의 연결부를 연계시켜 설치함으로써, 연결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인접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장치 및 설치장비의 추가가 필요없이 간이하게 연결부를 시공 가능하게 하여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보강철물과 연계된 접합플레이트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부를 강건하게 일체화하여 바람 등에 의해 현장작업 중 콘크리트 세그먼트 움직임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세그먼트의 연결부에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운송이 용이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에 있어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보강철물을 구비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보강철물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로 노출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사이를 이격시켜 연결하되,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의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봉강과, 상기 연결봉강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너트 및, 상기 간격조절너트와 함께 상기 연결봉강을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철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철물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의 단부에 상기 접합플레이트가 접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 및,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접합플레이트에는 상기 세그먼트의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전단보강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철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포켓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포켓덮개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포켓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쉬스관 내부에 설치된 긴장부재의 긴장에 의해 체결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철물을 세그먼트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접합플레이트 및, 연결부재를 연계시켜 설치함으로써, 연결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형의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세그먼트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의 현장에서의 급속한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장치 및 설치장비의 추가가 필요없이 보강철물, 접합플레이트, 연결부재를 통해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부를 시공하여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철물과 연계된 접합플레이트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부를 강건하게 일체화하여 연결된 후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해 현장작업 중 콘크리트 세그먼트 움직임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세그먼트의 연결부에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에 그라우트부를 주입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켓덮개부 자체가 그라우트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연결부의 그라우트부 타설 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이 적층되어 형성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그라우트부 타설 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연결부의 분해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연결부의 결합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연결부의 그라우트부 타설 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b)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 접합플레이트(300), 연결부재(400), 그라우트부(5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포켓덮개부(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보강철물(210)을 구비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와, 상기 보강철물(210)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연결부(C)로 노출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300)와,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의 사이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재(400) 및, 상기 연결부(C)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는 3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이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는 보강철물(210)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C)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연결부(C)는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공간으로, 좌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와 우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C)의 내부에는 그라우트 또는 큰크리트가 타설되어 그라우트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우트부(500)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가 연결부(C)에 채워진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진행하여 접합되는 양측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를 현장에서 일체화 시킨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연결부(C)에 그라우트부(500)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C)를 통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철물(210)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C)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에 상기 연결부재(40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부(D)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철물(210)의 일부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재(400)가 설치되는 보강철물(210)의 단부와 보강철물(210)에 접합되는 접합플레이트(300)가 연결부(C)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라우트부(500)의 타설 전의 공간인 연결부(C)를 통해 연결양측의 접합프레이트를 연결부재(40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400)는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C)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연결봉강(410), 간격조절너트(430) 및, 조임너트(4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양측의 상기 접합플레이트(3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봉강(410)과, 상기 연결봉강(410)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너트(430) 및, 상기 간격조절너트(430)와 함께 상기 연결봉강(410)을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에 고정하는 조임너트(450)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봉강(410)은 나사산에 형성된 볼트형의 봉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접합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거리의 조절은 연결봉강(410)에 필요한 이격거리를 형성한 상태로 간격조절너트(430)를 설치하고, 연결봉강(410)을 양측의 접합플레이트(30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450)를 체결함으로써, 간이한 방식에 의해 접합플레이트(300)의 이격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재(400)와 접합플레이트(300)의 고정은 볼트와 너트를 활용한 체결방식이기 때문에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미세한 간격조정이 그라우트 타설 전까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제1 연결재(470), 제 연결재(480) 및, 커플러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일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에서 상기 연결부(C)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1 나사산(471)이 형성된 제1 연결재(470)와, 타측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300)에서 상기 연결부(C)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471)과 반대방향의 제2 나사산(481)이 형성된 제 연결재(480) 및, 상기 제1 연결재(470)와 상기 제 연결재(480)를 연결하는 커플러부재(49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레이트(300)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측방향의 단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보강철물(210)의 설치면과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단부면이 일치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합플레이트(300)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단부면이 일치하도록 접합플레이트(300)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단부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부재(490)는 커플러본체와, 제1 연결재(470)에 형성된 제1 나사산(471)이 결합되는 제1 연결부(C)와 상기 제 연결재(480)에 형성된 제2 나사산(481)이 결합되는 제2 연결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부재(49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본체의 외주면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제1 연결재(470)와 제 연결재(480)를 연결시 커플러본체의 회전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커플러부재(490)의 회전함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제1 나사산(471)과 제2 나사산(481)의 이격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연결재(470)와 제 연결재(480)의 단부가 커플러부재(490)로 진퇴되는 길이에 따라 연결부재(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연결부(C)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철물(210)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고, H형강 또는 I형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강철물(210)을 하중성능이 우수한 H형강 또는 I형강의 단면을 가지는 형강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보강철근을 횡방향으로 배근하던 방식에 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보강철물(210)의 설치간격이 조밀해지지 않고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보강철물(210)이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철물(210)을 하중성능이 우수한 H형강 또는 I형강의 단면을 가지는 형강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내부에 매립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철물(210)을 세그먼트의 연결부(C)를 형성하는 접합플레이트(300) 및, 연결부재(400)를 연계시켜 설치함으로써, 연결부(C)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철물(210) 및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세그먼트의 연결부(C)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전단보강재(S)가 형성될 수 있고, 전단보강재(S)는 전단스터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연결부(C)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포켓덮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켓덮개부(600)는, 상기 연결부(C)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포켓덮개(610)와 상기 연결부(C)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포켓덮개(630)를 구비할 수 있다.
포켓덮개부(600)는, 상기 연결부(C)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단보강재(S)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는 상기 포켓덮개부(600)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상기 포켓덮개부(600)가 설치시, 상기 포켓덮개부(600)의 외면과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외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는 설치홈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00)의 간격조절에 따라 포켓덮개부(600)가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조절홈(250)이 구비될 수 있다.
포켓덮개부(600) 자체가 그라우트부(50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0)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0)은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쉬스관 내부에 설치된 긴장부재의 긴장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0)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3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10)의 높이 따라 그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이 적층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유닛(100)에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쉬스관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이 설치될 수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내면에 설치된 쉬스관의 단부와 연계되어 설치된 정착부에서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에 긴장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정착구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200)의 상하방향의 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10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20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210: 보강철물
250: 간격조절홈 300: 접합플레이트
400: 연결부재 410: 연결봉강
430: 간격조절너트 450: 조임너트
470: 제1 연결재 471: 제1 나사산
480: 제2 연결재 481: 제2 나사산
490: 커플러부재 500: 그라우트부
600: 포켓덮개부 610: 내측포켓덮개
630: 외측포켓덮개 C: 연결부
D: 설치공간부 S: 전단보강재

Claims (10)

  1.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에 있어서,
    분할된 환형의 단면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보강철물을 구비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상기 보강철물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연결부로 노출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사이를 이격시켜 연결하되,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의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봉강과,
    상기 연결봉강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인접한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너트 및,
    상기 간격조절너트와 함께 상기 연결봉강을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철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철물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의 단부에 상기 접합플레이트가 접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단부, 돌출된 상기 보강철물 및,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플레이트에는 상기 세그먼트의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전단보강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포켓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포켓덮개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포켓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10.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쉬스관 내부에 설치된 긴장부재의 긴장에 의해 체결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20140114434A 2014-08-29 2014-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67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34A KR101674725B1 (ko) 2014-08-29 2014-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34A KR101674725B1 (ko) 2014-08-29 2014-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76A KR20160027476A (ko) 2016-03-10
KR101674725B1 true KR101674725B1 (ko) 2016-11-10

Family

ID=5553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34A KR101674725B1 (ko) 2014-08-29 2014-08-29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645B (zh) * 2021-06-15 2024-04-02 中铁上海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采用螺栓u环连接的风电混塔预制塔筒及其施工方法
CN116290337A (zh) * 2023-04-13 2023-06-23 中建三局集团(深圳)有限公司 固定调节装置和环形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72A (ja) * 1999-05-18 2000-11-28 Katsuichiro Okura 鉄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JP2009235850A (ja) * 2008-03-28 2009-10-15 Toda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KR101293646B1 (ko) * 2012-07-13 2013-08-1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아치형 지점부 연결부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12Y2 (ja) * 1990-06-20 1995-11-01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72A (ja) * 1999-05-18 2000-11-28 Katsuichiro Okura 鉄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JP2009235850A (ja) * 2008-03-28 2009-10-15 Toda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KR101293646B1 (ko) * 2012-07-13 2013-08-1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아치형 지점부 연결부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76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11B1 (ko) 양단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속채움 비합성복합강관기둥의시공방법.
KR101198812B1 (ko)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312759B1 (ko) 강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스씨 곡선형 거더의 전도방지 시공 방법
KR101339946B1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1127923B1 (ko)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CN102277835A (zh) 单柱盖梁采用抱箍与三角支架组合体系施工方法
KR101674725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251118B1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200397213Y1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JP5716117B1 (ja) 既設桁橋のヒンジ部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429527B1 (ko) 복합보 접합부 구조
KR20150025643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415981B1 (ko)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01410A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20090055935A (ko) 분절형 복합 박스 거더 제작방법
KR20030094195A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7790A (ko) 3차원 시공오차보정 연결장치를 이용한 캔틸레버식 아치형 보도교
KR101453377B1 (ko) 코핑을 이용한 교량의 주거더 연결방법
KR10152803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046940B1 (ko) 피에스씨 거더와 강재 플레이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JP6829631B2 (ja) 柱脚の施工方法、既存柱脚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