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64B1 - 목주의 굴립 구조 - Google Patents

목주의 굴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64B1
KR102293464B1 KR1020197021155A KR20197021155A KR102293464B1 KR 102293464 B1 KR102293464 B1 KR 102293464B1 KR 1020197021155 A KR1020197021155 A KR 1020197021155A KR 20197021155 A KR20197021155 A KR 20197021155A KR 102293464 B1 KR102293464 B1 KR 10229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vertical
pole
vertical neck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030A (ko
Inventor
신 타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03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5316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키가와지샤켄치쿠
Publication of KR2019010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8Connection to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지지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지지통, 및 볼록부를 갖는다. 목주의 기단부에는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인게이징 홈에는 목주의 길이 방향 상대 이동 불능하게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목주의 기단부를 덮는 통형상부를 갖는 보호 커버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수직 목주에 연결되어 있다. 목주는 기단면의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가 인게이징되며, 또한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및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다. 보호 커버는 통형상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플랜지부를 갖고, 지지통은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는다.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 방향에 관하여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목주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된다.

Description

목주의 굴립 구조
본 발명은 도리이나 주택의 대흑주, 자립하는 2개 기둥 구조물, 및 등롱 등의 목주의 굴립(堀立)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종전 목주 설치 구조에 의한 발명의 출원을 행하여 특허를 취득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이하, 특허 발명이라고 한다)은 지반에 타설(打設)한 밑창 콘크리트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부, 밑창 콘크리트에 대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자세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 및 상기 통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암을 갖는 복수의 목주 지지 장치와, 상기 복수의 목주 지지 장치를 둘러싸는 기단(基壇)과, 상기 복수의 목주 지지 장치의 암을 연결하는 철근과, 상기 통부의 상방 개구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암 및 상기 철근을 덮도록 상기 기단 내에 타설된 베이스 콘크리트와, 보호 시트로 위요된 기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목주 지지 장치의 통부 내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목주와, 상기 보호 시트의 외주면 및 상기 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 중 상기 통부의 상방 개구에 인접하는 상방 부분을 제외하는 영역에 충전된 입상 충전재와, 상기 간극 중 상기 입상 충전재의 상방에 충전된 고착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허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설치한 목주의 발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설치 목주의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발명은 복수의 목주 지지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목주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암끼리를 연결하는 철근을 기초 콘크리트 중에 메워 넣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일의 목주 또는 적은 개수의 목주의 설치, 또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새로 장착하여 목주를 설치할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제542003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있어서 목주를 설치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로서, 목주가 단독 설치될 경우 또는 설치되는 목주가 적은 개수일 경우이어도 기초 콘크리트 상에 설치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하면서 목주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설치 목주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위요되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수직 목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를 위요하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수직 목주의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목주의 기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방 및 하방으로 개방하는 긴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에 연통하도록 상기 수직 목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된 막대형상 부재로서,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을 통해 상기 통형상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막대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보다 대경이 된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와, 상기 긴 홈에 충전된 접착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은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목주의 굴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의하면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상기 고착재를 파괴하는 것만으로 설치 목주를 교환 가능한 상태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수직 목주를 굴립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에 장착된 보호 커버의 목주측 플랜지부와 지지통의 지지통측 플랜지부가 고착재를 상하 방향으로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목주가 단독 또는 적은 개수이었다고 해도 목주의 설치 강도, 특히 설치 목주에 대한 인발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볼록부가 결합한 상태로 수직 목주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목주의 세워서 설치된 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수직 목주에 횡 방향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상기 수직 목주의 국소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방이 개구로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위요되는 영역의 중심부에 설치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수직 목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를 위요하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수직 목주의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하는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은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목주의 굴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의하면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일 없이 상기 고착재를 파괴하는 것만으로 설치 목주를 교환 가능한 상태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수직 목주를 굴립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에 장착된 보호 커버의 목주측 플랜지부와 지지통의 지지통측 플랜지부가 고착재를 상하 방향으로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목주가 단독 또는 적은 개수이었다고 해도 목주의 설치 강도, 특히 설치 목주에 대한 인발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에 길이 방향 상대 이동 불능하게 장착된 강성 부재와 상기 보호 커버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수직 목주 및 상기 보호 커버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직 목주가 상기 보호 커버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볼록부가 결합한 상태로 수직 목주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목주의 세워서 설치된 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수직 목주에 횡 방향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상기 수직 목주의 국소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는 상기 지지통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성 부재는 단면형상이 한 쌍의 긴 변 및 한 쌍의 짧은 변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상의 판상체가 되고, 상기 한 쌍의 긴 변의 일방이 상기 수직 목주의 지름 방향 외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게이징 홈에 장착된다.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수직 목주의 외주에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분할체를 갖는 것이 된다.
이것 대신에 상기 강성 부재를 상기 수직 목주의 외주를 위요하는 단일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에 연접되는 중간부로부터 단차부를 따라 소경이 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자유 단면이 상기 단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의 외주가 상기 보호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목주는 근주 상당 영역을 갖는 것이 되고, 상하 방향 위치에 관하여 상기 근주 상당 영역이 상기 지지통의 상단부를 걸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이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는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주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계는 접착재로 덮인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는 상기 수직 목주(1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간극 중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입상 충전재가 충전된다.
상기 다른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목주측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목주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계는 접착재로 덮인다.
상기 여러 가지의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상단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18) 중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45)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65)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는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62) 사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부재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고, 상기 고착재(78)는 상기 복수의 받침대 부재를 위요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상기 받침대 부재 대신에 또는 추가로 상기 지지통 본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서,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가 부착된 축부를 갖고,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의 선단부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통 본체에 고정 가능하게 되고, 상기 고착재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를 위요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의 지름 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 중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나사 결합된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가 상기 지지통 본체를 협압(挾壓)함으로써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통 본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 구멍은 나사가 부착된 구멍이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 중 상기 인게이징 홈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방 인게이징 홈에는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상측 압축 목재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 중 상기 인게이징 홈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하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방 인게이징 홈에는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하측 압축 목재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통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외방 연장부를 갖는 것이 되고, 상기 외방 연장부에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 볼트의 상단측이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는 지지통측 간극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또한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는 목주측 간극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목주측 분할 플랜지를 갖는 것이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 방향 길이 및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 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 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고,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목주측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고, 또한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된다.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둘레 방향 위치가 구획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장치에는 상기 지지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통에 고착된 스터드가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상기 지지 장치를 위요하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형성된 외곽선과, 상기 외곽선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를 갖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형성되고, 상기 상방 연장부가 상기 스터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 및 상기 스터드를 메워 넣도록 상기 외곽선 및 상기 지지통 사이에 충전된 보강 고착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추가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의 상면에 재치되는 조인트 철물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지지되는 수평 목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는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수평 목주의 기단부에는 상기 수평 목주의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목주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목주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평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천판에 재치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와, 상기 중앙 연결부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 목주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지지 구멍을 갖는 수평 목주용 지지통을 구비하는 것이 되고,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에는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 및 상기 수평 목주는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의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판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측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 중 상기 천판에 접하는 저면에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상기 천판, 상기 조인트 철물, 및 상기 수평 목주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또한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에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이며,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 2 볼록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가지며, 또한 기단면에 상기 제 2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제 2 오목부를 갖는 것이 된다.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 구멍을 갖는 것이 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볼록부가 상기 제 2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이며, 상기 제 2 볼록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 및 상기 수평 목주를 갖지 않는 형태의 제 1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에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로서,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목주는 상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을 갖게 된다.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을 갖는 것이 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천판에 형성된 상단측 볼록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갖고, 또한 기단면에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제 2 오목부를 갖게 된다.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을 갖는 것이 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상기 제 2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상단측 볼록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 및 상기 천판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 중 하나의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 가능한 인출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의 전체가 분리되는 상태까지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1장 분리될 때마다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단차의 상단측 부착 구멍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를 상기 인출 개구를 향해서 압압 가능한 압출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 및 상기 수평 목주를 갖지 않는 형태의 제 2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에 재치되는 제 2 수직 목주와,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이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 및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통형상 부재는 상기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가 대응하는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대응하는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제 2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 중 하나의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 가능한 인출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의 전체가 분리되는 상태까지 상기 적층 플레이트가 1장 분리될 때마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단차의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를 상기 인출 개구를 향해 압압 가능한 압출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 철물 및 상기 수평 목주를 갖지 않는 형태의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는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로서,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하는 것이 되고,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을 갖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판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하여 삽입된 상태로 연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는 하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을 갖고, 상면에 상기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이 요철 결합 가능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타방을 갖는 것이 된다.
상기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판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타방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의 오목부에 인게이징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지지 구멍에 목주를 길이 방향을 따른 상태로 지지시키는 목주의 굴립 구조로서, 상기 목주는 근주 상당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근주 상당 영역이 목주의 길이 방향 위치에 관하여 상기 지지 구멍의 개구 단부를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목주의 굴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에 의하면 상기 목주 중 설치 상태에 있어서 가장 부하가 가해지는 부위의 강도를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Ⅲ-Ⅲ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제 1 변형예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에 있어서의 목주가 벌채되기 전의 상태인 식립 수목의 모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제 2 변형예의 횡단 평면도이며, 상기 제 2 변형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를 도 1의 Ⅵ-Ⅵ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 평면도이며, 각각 목주를 지지통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 도중의 상태 및 목주를 지지통 내에 삽입 설치시켜서 고착재를 충전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제 3 변형예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제 4 변형예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XⅡ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수직 목주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있어서의 XⅣ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형태 2에 상기 제 4 변형예의 변형 구성을 적용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 2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XⅦ-XⅦ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XⅧ-XⅧ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실시형태 2의 변형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형태 2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다른 변형예의 상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의 XXⅡ-XX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실시형태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실시형태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변형예에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형 구성을 추가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XXⅥ-XXⅥ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있어서의 XXⅦ-XXⅦ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1장의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모든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19의 변형예에 다른 구성의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형 구성을 추가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24의 변형예에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형 구성을 추가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의 XXXⅡ-XXX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있어서의 XXXⅢ-XXX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1장의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모든 적층 플레이트를 발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24의 변형예에 다른 구성의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형 구성을 추가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3에 대응한 위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내는 목주의 굴립 구조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1에 있어서의 XXXⅦ-XXXⅦ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19의 변형예에 다른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형을 추가한 다른 변형 구성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39는 도 15에 나타내는 목주의 굴립 구조의 변형 구성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0(a) 및 도 40(b)는 각각 도 39에 있어서의 XXXXa-XXXXa선, 및 XXXXb-XXXX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15에 나타내는 목주의 굴립 구조의 다른 변형 구성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있어서의 XXXXⅡ-XXXX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을 따른 횡단면도를, 도 3에 도 2에 있어서의 Ⅲ-Ⅲ선을 따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1)는 1개 또는 적은 개수의 목주를 직립 상태로 기초 콘크리트(100) 상이면서 굴립상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적합하게는 도리이의 기둥, 가옥의 대흑주, 2개 기둥 구조로 자립하는 구조체의 기둥, 목제 등롱 등에 이용된다.
상세하게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1)는 기초 콘크리트(100) 상에 고정되는 지지 장치(20)와, 상기 지지 장치(20)에 지지되는 수직 목주(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장치(20)는 기초 콘크리트(100)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설치되며,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4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40)에 의해 위요되는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50)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는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에는 상단측이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연장부(111)를 형성하는 상태로 앵커 볼트(110)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상기 지지통(40)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외방 연장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방 연장부(32)에는 상기 앵커 볼트(110)의 상방 연장부(111)가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상방 연장부(111)가 상기 부착 구멍(34)에 삽입 통과된 상기 앵커 볼트(11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방 연장부(111)에 나사 부착되는 고정 너트(115)를 통해 기초 콘크리트(100)에 고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구멍(34)의 내경을 상기 상방 연장부(111)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하고, 상기 부착 구멍(34)에 상기 상방 연장부(111)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 너트(115)에 의한 고정 전의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를 평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시킬 수 있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1B)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변형예(1B)는 본 실시형태 1에 비해 상기 지지 장치(20)가 지지 장치(20B)로 변경되어 있다.
상기 지지 장치(20B)는 상기 지지 장치(20)에 비해 추가로 상기 앵커 볼트(110)의 상방 연장부(111)에 나사 부착되는 위치 조정 너트(117)로서, 상기 부착 구멍(34)에 상기 상방 연장부(111)가 삽입 통과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재치 가능한 위치 조정 너트(117)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기초 콘크리트(100)에 대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설치 높이 및 기울기를 사양 및/또는 요망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 및 제 1 변형예(1B)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4개의 상기 부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지만, 당연히 상기 부착 구멍(34)의 수량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의 외주는 보호 커버(60)로 덮여 있으며,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50)가 인게이징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50)는 반구상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오목부(12)도 이것에 따른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수직 목주(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60)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40)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18)이 존재하며, 또한 상기 오목부(12)에 상기 볼록부(50)가 인게이징된 상태로 상기 지지통(40) 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면에는 상기 오목부(12)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면서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면을 덮는 기단 플레이트(15)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12)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기단 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개구는 상기 볼록부(50) 및 상기 오목부(12)의 외형상에 합치한 형상이 된다.
상기 기단 플레이트(15)는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단 플레이트(15)를 설치함으로써 수직 목주(10)에 횡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오목부(12)가 상기 볼록부(50)로부터의 응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60)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를 위요하는 통형상부(62)와,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플랜지부(65)를 갖고 있다.
상기 통형상부(62)는 하단부가 상기 수직 목주(10)의 하단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단부가 상기 수직 목주(10)를 상기 지지통(40)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4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는 상기 통형상부(62) 중 상기 수직 목주(10)의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40)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는 상기 통형상부(62)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60)가 장착된 상태의 수직 목주(10)가 상기 지지통(40) 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62)에는 상기 지지통(4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62a, 6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목주(10)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62a, 62b)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 2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62)의 내주면과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방에 있어서 외방으로 개방되는 긴 홈(19)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오목부가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62) 및 상기 수직 목주(10)는 상기 제 1 부착 구멍(62a), 상기 관통 구멍(14), 및 제 2 부착 구멍(62b)에 삽입 통과되고,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62a, 62b)을 통해 상기 통형상부(62)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막대형상 부재(70)와, 상기 막대형상 부재(70)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형성되고,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62a, 62b)보다 대경으로 된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72a, 72b)와, 상기 긴 홈(19)에 충전된 접착재(7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72a, 72b)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막대형상 부재(70)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막대형상 부재(70)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72a, 72b)는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되어 있다.
상기 보호 커버(60)는 여러 가지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통형상부(62)를 구성하는 통형상부 시트체와,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를 구성하는 목주측 플랜지부 시트체를 준비하고, 상기 목주측 플랜지 시트체를 상기 통형상부 시트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시켜서 보호 커버 시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커버 시트체를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의 외주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상기 보호 커버(6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부(62)에는 상기 보호 커버(60)가 수직 목주(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긴 홈(19)을 외방으로 개방하는 개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63)를 통해 상기 긴 홈(19)에 접착재(75)가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63)는 상기 긴 홈(19)마다 상하에 복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63)는 상기 긴 홈(19)의 상단부를 외방으로 개방하는 상방 개구(63a)와, 상기 긴 홈(19)의 상하 중간부를 외방으로 개방하는 하방 개구(63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방 개구(63a)로부터 흘려 넣은 접착재(75)를 상기 하방 개구(63b)에서 시인함으로써 상기 긴 홈(19)의 상방 부분에 접착재(75)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방 개구(63a) 및/또는 상기 하방 개구(63b)로부터 흘려 넣은 접착재(75)가 상기 긴 홈(19)의 하단으로부터 외방으로 흘러 나온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긴 홈(19)의 하방 부분에 접착재(75)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긴 홈(19)에 접착재(75)를 충전시켰지만, 이것 대신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상기 긴 홈(19)에 압축 목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 우선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상기 긴 홈(19)에 압축 목재를 장착시키고, 그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를 상기 보호 커버(60)로 위요한다. 그리고 그 후에 습도의 첨가 등에 의해 상기 압축 목재를 팽창시키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압축 목재는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의 지름 방향을 따르도록 장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상기 긴 홈(19)의 위치에서 상기 압축 목재가 상기 보호 커버(60) 및 상기 수직 목주(10) 사이에서 지름 방향으로 팽창하고, 그 결과 상기 보호 커버(60)를 상기 수직 목주(10)에 강고하게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로의 습도의 첨가는 상기 압축 목재에 방부제를 함침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40)은 상기 간극(18)을 보존하면서 상기 통형상부(62)를 위요하는 지지통 본체(42)와,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45)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통(40)은 방청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통(40)은 용접이나 나사 체결 등의 여러 가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에 있어서는 기단부가 상기 보호 커버(60)에 의해 위요된 수직 목주(10)는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18) 중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 충전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의 고착재(78)에 의해 상기 지지통(40)에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착재(78)로서 시멘트계 무수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에 있어서는 상기 간극(18) 내의 고착재(78)를 파괴하는 것만으로 기초 콘크리트(100)를 파괴하는 일 없이 수직 목주(10)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1)에 의하면 수직 목주(10)가 상기 지지 장치(20)로부터 발출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하, 인발 외력이라고 한다)이 상기 수직 목주(10)에 작용했다고 해도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가 상기 간극(18) 내에 충전된 고착재(78)에 대하여 저항체로서 작용한다.
또한, 인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간극(18) 내에 충전된 고착재(78)가 상기 지지통(40)으로부터 상방으로 발출되는 것은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인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수직 목주(10)가 상기 보호 커버(60)로부터 발출되는 것은 상기 막대형상 부재(70), 상기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72a, 72b), 및 상기 긴 홈(19)에 충전되는 접착재(75)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 중 상기 지지통(40)에 의해 위요되는 영역의 중심부에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50)가 형성되고, 설치되는 수직 목주(10)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50)가 인게이징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수직 목주(10)에 대하여 횡 방향의 외력(이하, 횡 방향 외력이라고 한다)이 작용했다고 해도 상기 수직 목주(10)에 국소적인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하면서 수직 목주(10)의 설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단 플레이트(15)를 설치함으로써 횡 방향 외력의 작용 시에 상기 오목부(12)가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40)의 높이를 가급적으로 낮게 하면서 수직 목주(10)의 지지 강도를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극(18) 내에 고착재(78)가 충전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상기 목주측 플랜지(65)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경계를 접착재(79)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상기 접착재(79)를 부착함으로써 수직 목주(10)의 설치 후에 횡 방향 외력 등의 요인에 의해 상기 고착재(78)가 갈라지고, 수직 목주(10)가 기울었다고 해도 수직 목주(10)의 기단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 사이에 상기 고착재(78)의 쇄편이 들어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10)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기울었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경사는 상기 볼록부(50) 및 상기 오목부(12)의 결합에 의해 복원된다.
상기 접착재(79)로서는 적합하게는 코킹 등의 유연성을 갖는 접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7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접착재(79)에 의해 수직 목주(10)를 상기 지지통(40) 내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직립 자세로 가고정한 상태로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내주면 및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18)에 고착재(78)를 충전시킬 수 있고, 수직 목주(10)의 설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장치(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외방 연장부(32)와 상기 지지통(40)의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35)를 갖고 있다.
상기 보강 리브(3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 장치(20)의 강도를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리브(35)는 상기 지지통(40)의 중심 주위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 형상도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의 단면형상 및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수직 목주(10)가 단면 원형일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42)를 평면으로부터 볼 때 원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목주(10)는 근주 상당 영역(10a)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방향 위치에 관하여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이 상기 지지통(40)의 상단부를 걸치도록 상기 지지통(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수직 목주(10)로서 이용되는 목주가 벌채되기 전의 상태인 식립 수목(200)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이란 식립 수목(200)에 있어서의 지표면(GL)에 위치하는 지표면 부위(210)의 기준 직경을 D라고 했을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부위(210)로부터 1.5×D의 거리만큼 상방에 위치하는 근주 상당 영역 상단 위치(211)와, 상기 지표면 부위(210)로부터 0.5×D의 거리만큼 지중에 위치하는 근주 상당 영역 하단 위치(212)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을 말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립 수목(200)은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과,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의 하단으로부터 더 지중으로 연장되는 근부 영역(10c)과,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간부 영역(10b)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본원 발명자는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은 상기 간부 영역(10b)에 비해 연륜이 편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부 영역(10b)보다 고강도, 특히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고강도인 점에 착목했다.
즉, 상기 지지 장치(20)에 의해 직립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수직 목주(10)에 상기 횡 방향 외력이 작용하면 수직 목주(10)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통(40)의 상단부에 접하는 부위에 가장 큰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이 상기 지지통(40)의 상단부를 걸치도록 상기 수직 목주(10)를 상기 지지통(40) 내에 설치함으로써 수직 목주(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직 목주(10)가 상기 근주 상당 영역(10a)을 갖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설치 목주(1) 중 상기 지지통(40)의 상단부를 걸치는 영역에 탄소 강화 섬유 등의 보강 시트를 권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호 커버(60)는 상기 보강 시트를 덮도록 장착된다.
도 7(a) 및 도 7(b)에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1C)의 횡단 평면도로서, 상기 제 2 변형예(1C)를 도 1의 Ⅵ-Ⅵ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7(a)는 수직 목주(10)를 지지통(40) 내에 삽입시키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수직 목주(10)를 지지통(40) 내에 삽입 설치시켜 상기 간극(18)에 고착재(78)를 충전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2 변형예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C)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 및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대신에 목주측 플랜지부(65C) 및 지지통측 플랜지부(45C)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 및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는 모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의 자유단(지름 방향 외측단)이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의 자유단(지름 방향 내측단)보다 지름 방향 내방에 위치되고,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의 자유단(지름 방향 외측단) 및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의 자유단(지름 방향 내측단) 사이에 지름 방향에 관하여 간극이 간직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제 2 변형예(1C)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C)는 지지통측 간극(46b)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46a)를 갖고, 또한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C)는 목주측 간극(66b)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목주측 분할 플랜지(66a)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46a)의 지름 방향 길이 및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 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 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는 한편, 상기 지지통 분할측 플랜지(46a)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목주측 간극(66b)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고, 또한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66a)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간극(46b)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변형예(1C)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커버(60)가 장착된 상태의 수직 목주(10)를 상기 지지통(40) 내에 삽입시킬 시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66a)가 상기 지지통측 간극(46b)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46a)가 상기 목주측 간극(66b) 내에 위치하도록 수직 목주(10)의 중심 주위 둘레 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보호 커버(60)가 장착된 상태의 수직 목주(10)가 상기 지지통(40)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66a)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46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수직 목주(10)를 중심 둘레로 회전시키고(도 7(b)), 그 상태로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18)에 고착재(78)가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 2 변형예(1C)에 의하면 수직 목주(10)에 인발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저항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8에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1D)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3 변형예(1D)는 본 실시형태 1에 비해 상기 지지 장치(20)가 지지 장치(20D)로 변경되어 있다.
상기 지지 장치(20D)는 상기 지지 장치(20)에 비해 상기 보강 리브(35) 대신에 스터드(36)를 갖고 있다. 상기 스터드(36)는 상기 지지통 본체(42)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변형예(1D)는 본 실시형태 1에 비해 상기 지지 장치(20D)를 위요하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 상에 형성된 외곽선(130)과, 상기 외곽선(130)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통(40)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121)를 갖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에 설치된 앵커(120)와 상기 지지통(40)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통(40)에 고착되고, 상기 앵커(120)의 상방 연장부(1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스터드(36)와, 상기 앵커(120) 및 상기 스터드(36)를 메워 넣도록 상기 외곽선(130) 및 상기 지지통(40) 사이에 충전된 보강 고착재(140)를 더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장치(20D)를 위요하도록 복수의 상기 앵커(120)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앵커(120)에 철근(125)을 권취하여 연결시켜 상기 철근(125)에 상기 스터드(36)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고착재(140)로서, 예를 들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바람직하게는 시멘트계 무수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3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장치(20D)의 설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9에 본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1E)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4 변형예(1E)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가 상기 통형상부(62)의 상단 및 하단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상기 간극 중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입상 충전재(80)가 충전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 1과 상위하다.
상기 입상 충전재(80)로서는 상기 입상 충전재(80)의 상방에 배치되는 고착재(78)를 파괴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모래가 사용된다.
또한, 도 1, 도 3, 도 4, 도 8, 및 도 9 중의 부호 160은 상기 보호 커버(60) 및 상기 지지 장치(20, 20B, 20D) 중 외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위요하는 분할 구조의 초석이며, 도시하지 않은 모르타르에 의해 고착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2)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2)는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 구조에 관하여 상기 실시형태 1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와 상위하다.
즉,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는 상기 막대형상 부재(70), 상기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72a, 72b)에 의한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 대신에 강성 부재(310) 및 체결 부재(320)에 의해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 10에 있어서의 XⅡ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상기 수직 목주(10)의 확대 분해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60)의 상기 통형상부(62)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인게이징 홈(3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게이징 홈(305)은 상기 수직 목주(1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인게이징 홈(305)은 상기 수직 목주(10)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인게이징 홈(305)에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한 상태로 강성 부재(31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강성 부재(310)는 상기 인게이징 홈(305)에 인게이징된 상태로 상기 체결 부재(320)를 통해 상기 보호 커버(6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가 상기 보호 커버(60)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한 스테인리스나 철, 구리 등의 금속 또는 압축 목재 등의 여러 가지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축 목재는, 예를 들면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부재(320)는 선단부가 상기 수직 목주(10)의 내부에서 종언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체결 부재(320)가 상기 수직 목주(10)를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310)는 단면형상이 한 쌍의 긴 변(310a) 및 한 쌍의 짧은 변(310b)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상의 판상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긴 변(310a)의 일방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 외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게이징 홈(305)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310)가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310) 중 상기 인게이징 홈(305)의 저면 및 폭 방향 일방측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모서리부에 대응한 단부(319a) 및 상기 인게이징 홈(305)의 저면 및 폭 방향 타방측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모서리부에 대응한 단부(319b)를 상기 인게이징 홈(305)의 저면에 근접함에 따라 축경(縮俓)되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상 또는 끝이 가는 곡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강성 부재(310) 및 상기 수직 목주(1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강성 부재(310)를 상기 인게이징 홈(305)에 감입시킬 수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목주(10)는 4개의 측면을 갖는 횡단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강성 부재(31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4측면의 인게이징 홈(305)에 각각 인게이징되는 4개의 직선형상 분할체(311)를 갖고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강성 부재(310)가 2개의 L자상 분할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강성 부재(310)를 상기 수직 목주(10)의 횡단면형상을 따른 단일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재(310)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강성 부재(310)를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상단 근방에 배치, 즉 상기 강성 부재가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기 보호 커버의 통형상부의 개구 근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강성 부재를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복수 단차로 상기 강성 부재(310)를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는 상기 기단부(11a)에 연접되는 중간부(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60)의 통형상부(62)의 자유 단면(상단면)이 상기 단차부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기단부(11a)가 상기 통형상부(6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60)가 상기 수직 목주(10)에 대하여 상방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커버(6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를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 내방으로 압축 가공시키는 소위 「목재 압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의 강도를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4에 도 10에 있어서의 XⅣ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중간부(11b) 및 기단부(11a)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의 지름 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 상방으로 치폭을 형성하고, 상기 치폭 내에 방수 플레이트(330)가 꽂아 넣어져 있다.
상기 방수 플레이트(3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60)와 상기 수직 목주(10) 사이에 빗물 등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60)의 통형상부(62) 중 상기 수직 목주(10)의 인게이징 홈(305)에 인게이징된 상기 강성 부재(31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통형상부(62)의 내외를 연통하는 부착 구멍(3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 또는 볼트 등의 상기 체결 부재(320)가 상기 부착 구멍(325)을 통해 상기 강성 부재(310)에 체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62) 및 상기 수직 목주(10)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2)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목주(10)에 길이 방향 이동 불능하게 장착된 상기 강성 부재(310)와 상기 보호 커버(60)가 상기 체결 부재(3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 목주(10)를 상기 보호 커버(6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2)는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을 상기 강성 부재(310) 및 상기 체결 부재(320)에 의해서만 행해지고 있지만, 상기 수직 목주(10) 및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을 상기 강성 부재(310) 및 상기 체결 부재(320)에 추가하여 상기 접착재(75)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당연히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1~제 4 변형예를 본 실시형태 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에 본 실시형태 2에 상기 제 4 변형예(1E)의 구성을 적용한 목주의 굴립 구조(2')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 및 2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에 있어서는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는 상기 수직 목주(10)가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기 수직 목주(10) 기단면과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극(18) 중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상기 입상 충전재(80)가 충전되고,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와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사이에 상기 고착재(78)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커버(60)에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재치되도록 상기 통형상부(62)의 기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목주측 플랜지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목주측 플랜지(68)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경계를 접착재(79)에 의해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60)는 상기 통형상부(62)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목주측 플랜지부(69)를 갖고 있다.
상기 제 3 목주측 플랜지부(6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60)와 상기 수직 목주(10)의 경계 근방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부(6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목주측 플랜지부(69)는 상기 실시형태 1 및 2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여러 가지의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는,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부에 1개 또는 복수의 수평 목주(4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부에 수평 목주(450)를 지지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1)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6에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에 있어서의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 근방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에 도 16에 있어서의 XⅦ-XⅦ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18에 도 17에 있어서의 XⅧ-XⅧ선을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는, 또한 상기 수직 목주(10)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부(11b)에 연접하는 상단부(11c)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360)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370)과, 상기 천판(370)의 상면에 재치되는 조인트 철물(400)과, 상기 조인트 철물(400)에 지지되는 수평 목주(4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는 상기 보호 커버(60) 및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의 연결 구조와 마찬가지의 연결 구조에 의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에는 상기 기단부(11a)에 형성된 상기 인게이징 홈(305)과 마찬가지의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38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 중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단측 부착 구멍(3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 및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가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386)에 삽입 통과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385)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 및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는 선단부가 상기 수직 목주(10)의 내부에서 종언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가 상기 수직 목주(10)를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는 상기 기단부(1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부(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자유 단면(하단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에 대하여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 내방으로 압축 가공시키는 소위 「목재 압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천판(370)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중앙부(371)와, 상기 중앙부(371)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73)를 갖고 있다.
도 1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천판(370)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측 볼록부(39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390)는 상기 볼록부(50)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이것 대신에 상기 상단측 볼록부(390)를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6 등의 부호 375는 상기 천판(370)의 연장부(373) 및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이다.
상기 수평 목주(450) 중 상기 조인트 철물(400)에 지지되는 기단부(451a)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목주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강성 부재(310)와 마찬가지의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460)가 상기 수평 목주(45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철물(400)은 상기 천판(370)에 재치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410)와, 상기 중앙 연결부(410)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 목주(450)의 기단부(451a)가 삽입되는 지지 구멍을 갖는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앙 연결부(410) 중 상기 천판(370)에 접하는 저면에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390)의 외형상에 대응한 개구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볼록부(390)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인게이징됨으로써 상기 조인트 철물 및 상기 천판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인트 철물(400)은 상기 수직 목주(10)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을 갖고 있다.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는 지지해야 할 수평 목주(450)에 장착된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460)와 대향하는 위치에 내외를 연통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 및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460)가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비스 또는 볼트 등의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47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목주(450) 및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470)는 선단부가 상기 수평 목주(450)의 내부에서 종언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470)가 상기 수평 목주(450)를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평 목주(450)가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으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목주(450)는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 삽입되는 상기 기단부(451a) 및 상기 기단부(451a)에 연접하는 중간부(451b)를 갖고 있으며, 상기 기단부(451a)는 상기 중간부(45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평 목주(450)의 기단부(451a)는 상기 단차부가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의 자유 단면(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지름 방향 외측 단면)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평 목주(450)의 기단부(451a)에 대하여 상기 수평 목주(450)의 지름 방향 내방으로 압축 가공시키는 소위 「목재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2)는, 또한 상기 수평 목주(450)로부터 상방에 있어서 직립 상태로 세워서 설치된 제 2 수직 목주(510)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는 상기 조인트 철물(400)의 중앙 연결부(410)에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상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제 2 지지통(540)과,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560)에 의해 외주가 덮인 기단부(511a)가 상기 제 2 지지통(540)에 의해 지지된 제 2 수직 목주(5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에는 상기 조인트 철물(400)의 중앙 연결부(410)의 상면에 형성된 제 2 볼록부(415)의 외형상에 대응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는 기단부(511a)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며, 또한 기단면에 상기 제 2 볼록부(415)가 인게이징 가능한 제 2 오목부(5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볼록부(415)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390)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제 2 볼록부(415)를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강성 부재(310)와 마찬가지의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을 갖고 있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에 삽입 통과되는 비스 또는 볼트 등의 제 2 체결 부재(525)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는 선단부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내부에서 종언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횡단하는 관통 볼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는 중간부(5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자유 단면(상단면)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기단부(511a)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60)에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에 대하여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지름 방향 내방으로 압축 가공시키는 소위 「목재 압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통(540)은 내경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에 외삽된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외주면이 상기 제 2 지지통(540)의 내주면에 접하며, 또한 상기 제 2 볼록부(415)가 상기 제 2 오목부(515)에 인게이징되도록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로 덮인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가 상기 제 2 지지통(54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2 지지통(540) 및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가 양자를 관통하는 제 2 수직 목주용 체결 부재(5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볼록부(415)가 상기 제 2 오목부(515)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제 2 볼록부(415) 및 상기 제 2 오목부(515)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5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는 상기 제 2 볼록부(415)가 삽입 통과되는 상기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조인트 철물(400)의 중앙 연결부(410)에 재치되는 중앙부(531)와, 상기 중앙부(531)로부터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33)를 갖고 있다.
상기 연장부(533)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철물(400)의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의 상면에 재치되는 재치 영역(535)과,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는 재치되지 않고, 또한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상기 천판(370)의 상기 연장부(373)와 중합하는 중합 영역(537)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볼트(4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재치 영역(535)에는 상기 고정 볼트(425)가 삽입 통과 가능한 부착 구멍(535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는 상기 부착 구멍(525a)에 삽입 통과되는 상기 고정 볼트(425)에 의해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도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상면과의 공동(共動)하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하는 잭 업용 인게이징 간극을 형성하는 클로 훅(539)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로 훅(539)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 및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를 포함하는 제 2 수직 목주 유닛의 잭 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로 훅(539)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상면 사이에 철판 등의 강성판상체를 꽂아 넣고, 상기 강성판상체를 잭 업 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클로 훅(539)은 지름 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지름 방향 외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상기 중합 영역(537) 및 상기 천판(370)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부(373)의 대응하는 영역에는 턴버클(590)을 장착시키기 위한 개구(53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및 상기 천판(370)은 상기 조인트 철물(400)을 사이에 둔 상태로 턴버클(59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인트 철물(400)에 상기 턴버클(590)이 삽입 통과되는 볼트 연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도 18에 있어서의 부호 545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연장부(533) 및 상기 제 2 지지통(54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상기 제 2 지지통(540) 및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가 장착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포함하는 제 2 수직 목주 유닛은 상기 수평 목주(450) 및 상기 조인트 철물(400)을 포함하는 수평 목주 유닛을 통해 상기 수직 목주(10),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 및 상기 천판(370)을 포함하는 수직 목주 유닛에 지지되어 있지만 상기 제 2 수직 목주 유닛을 상기 목주 유닛에 직접 지지시키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에 이러한 변형예(2B)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 중의 부호 595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및 상기 천판(370)을 연결하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이다.
상기 수직 지주(10)의 상방에 상기 조인트 철물(400)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를 세워서 설치시키는 굴립 구조(2) 및 상기 수직 지주(10)의 상방에 상기 조인트 철물(400)을 개재하지 않고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를 세워서 설치시키는 굴립 구조(2B)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의 기단부는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 및 상기 제 2 지지통(540)에 의해 2중으로 지지되어 있지만, 상기 제 2 지지통(540)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 상기 굴립 구조(2)로부터 상기 제 2 지지통(540)을 삭제한 변형예 3의 도 16에 대응한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1에 도 20에 있어서의 XXI-XXI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22에 도 21에 있어서의 XXⅡ-XXⅡ선을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23에 상기 굴립 구조(2B)로부터 상기 제 2 지지통(540)을 삭제한 변형예(3B)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4에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에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세워서 설치시키는 다른 변형예(4)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상기 변형예(4)는 상기 수직 지주(10)의 상단부(11c) 및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의 기단부(511a)를 위요하면서 양자를 연결하는 통형상 부재(600)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 지주(10)의 상단부(11c)에는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가 상기 수직 목주(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수직 지주(510)의 기단부(511a)에는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부재(600)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면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에 재치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를 위요하고 있으며,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통형상 부재(600)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386)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을 갖고 있다.
상기 통형상 부재(600)는 상기 통형상 부재(600) 및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가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386)에 삽입 통과되는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통형상 부재(600)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가 대응하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에 삽입 통과되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에 연결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지주(10)의 상단부(11c)는 상기 중간부(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는 상기 중간부(511b)로부터 단차부를 따라서 소경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11c) 및 상기 기단부(511a)는 동일 외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형상 부재(600)는 하단면이 상기 상단부(11c) 및 상기 중간부(11c) 사이의 단차부에 결합되며, 또한 상단면이 상기 기단부(511a) 및 상기 중간부(511b) 사이의 단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단부(11c) 및 상기 기단부(511a)에 외삽되어 있다.
여기에서 추가적인 변형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에 상기 변형예(2B)의 변형 구성(2B')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각각 도 25에 있어서의 XXⅥ-XXⅥ선 및 XXⅦ-XXⅦ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변형예(2B)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변형 구성(2B')은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상단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B')은 상기 변형예(2B)에 비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 및 상기 천판(370)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를 갖고 있다.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 및 상기 천판(370)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 의해 위요되는 한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형성되고, 사양에 따라서 두께가 설정된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1)~610(5)) 중 하나의 적층 플레이트(610)의 발출을 가능하게 하는 인출 개구(36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개구(362)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1)~610(5)) 중 최상방에 위치된 적층 플레이트(도 25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를 발출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386)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의 전체가 분리되는 상태까지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가 1장 분리될 때마다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단차의 상단측 부착 구멍(386)(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6단차의 상단측 부착 구멍(386(5))~386(0))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과 상기 천판(370) 사이에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25)에 있어서는 5장 사용 시 상단측 부착 구멍(386(5))이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가 발출되며,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과 상기 천판(370) 사이에 상기 제 2~제 5 적층 플레이트(610(2)~610(5))의 4장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28)에 있어서는 4장 사용 시 상단측 부착 구멍(386(4))이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와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는 불사용 시 상단측 부착 구멍(386(0))이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와 대향한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분리에 따라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가 상기 수직 목주(10)에 대하여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11b)와 상기 상단부(11c) 사이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의 전체가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하단부가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 및 중간부(11b) 사이의 단차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단부(11c) 및 상기 중간부(11b)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중간부(11b)를 상기 상단부(11c)와 동일 지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발출은,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가 상기 5장 사용 시 상단측 부착 구멍(386(5))을 통해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도 25)로부터 우선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와 상기 수직 목주(10)를 상대 이동 가능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천판(370)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에 상기 체결 부재(595)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 및 상기 천판(370)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상기 제 2 보호 커버(360),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 유닛과 함께 상기 수직 목주(1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이동 가능해진다.
이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 유닛을 잭 업 장치로 들어 올리고,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에 대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로부터의 하중을 해제시킨 상태로 상기 인출 개구(362)를 통해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를 인출한다.
그리고 잭 업 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었던 상기 제 2 수직 목주 유닛(및 이것에 연결된 상기 천판(370) 및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을 하방으로 내려 상기 천판(370)을 상기 제 2 적층 플레이트(610(2))에 재치시키고, 그 상태로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385)를 상기 4장 사용 시 상단측 부착 구멍(386(4))에 삽입 통과시켜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에 체결시켜 도 27의 상태를 출현시킨다.
이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단 위치는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상단 위치에 비해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1장분만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개구(362)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를 상기 인출 개구(362)를 향해서 압압 가능한 압출 개구(3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 개구(36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출 개구(362)를 개재한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인출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0에 상기 변형예(2B)의 다른 변형 구성(2B'')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상기 변형예(2B), 및 상기 변형 구성(2B')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변형 구성(2B')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 대신에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가 구비되어 있는 점 및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면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기 변형 구성(2B')과 상위하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1(1)~611(5))를 갖고 있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지지통(540) 및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1)~611(5)) 중 하나의 적층 플레이트(611)의 발출을 가능하게 하는 인출 개구(542, 56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지지통(540)의 인출 개구(542) 및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인출 개구(562)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1)~611(5)) 중 최하방에 위치된 적층 플레이트(도 30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1(1)))를 발출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는 상면 및 하면의 일방에 두께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며, 또한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의 발출 방향을 따른 볼록상 레일(611a)을 갖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의 타방에 상기 볼록상 레일(611a)이 인게이징되는 오목상 레일(611b)을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기 볼록상 레일(611a) 및 상기 오목상 레일(6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최하단의 제 1 적층 플레이트(611(1))의 상면에 설치된 볼록상 레일(611a)이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 상에 적층된 제 2 적층 플레이트(611(2))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상 레일(611b)에 인게이징된다.
이러한 변형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의 발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발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면에 상기 볼록상 레일(611a)이 인게이징 가능한 오목상 레일(512)이 설치된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1(1)~610(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의 전체가 분리되는 상태까지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가 1장 분리될 때마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복수 단차의 상단측 부착 구멍(526)(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6단차의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526(0)))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기단 플레이트(580)) 사이에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1(1)~611(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30)에 있어서는 5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1(1))가 발출되며,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기단 플레이트(580)) 사이에 상기 제 2~제 5 적층 플레이트(611(2)~610(5))의 4장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4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4))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1(1)~611(5))의 전체가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는 불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0))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한다.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1)의 분리에 따라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에 대하여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511b)와 상기 기단부(511a) 사이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B'')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의 전체가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상단부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중간부(511b) 및 기단부(511a) 사이의 단차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중간부(511b) 및 상기 기단부(511a)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당연히 도 24에 나타내는 상기 변형예(4)에 대해서도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 또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1)를 구비하는 변형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1에 상기 변형예(4)의 변형 구성(4')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각각 도 31에 있어서의 XXXⅡ-XXXⅡ선 및 XXXⅢ-XXXⅢ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변형예(4)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은 상기 변형예(4)에 비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를 갖고 있다.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통형상 부재(600)에 의해 위요되는 한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는 상기 통형상 부재(600)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1 및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600)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1)~610(5)) 중 하나의 적층 플레이트(610)를 발출 가능한 인출 개구(60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개구(602)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1)~610(5)) 중 최하방에 위치된 적층 플레이트(도 31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를 발출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은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의 전체가 분리되는 상태까지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가 1장 분리될 때마다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 단차의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6단차의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526(0)))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과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 사이에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31)에 있어서는 5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가 발출되며,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과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하단면 사이에 상기 제 2~제 5 적층 플레이트(610(2)~610(5))의 4장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34)에 있어서는 4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4))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의 전체가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는 불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0))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와 대향한다.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분리에 따라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가 상기 통형상 부재(6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중간부(511b)와 기단부(511a) 사이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의 전체가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 부재(600)의 상단부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중간부(511b) 및 기단부(511a) 사이의 단차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중간부(511b) 및 상기 기단부(511a)의 경계 위치가 구획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중간부(511b)를 상기 기단부(511a)와 동일 지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발출은,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가 상기 5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을 통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도 31)로부터 우선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와 상기 통형상 부재(600)를 상대 이동 가능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잭 업 장치로 들어 올리고,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0)(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에 대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로부터의 하중을 해제시킨 상태로 상기 인출 개구(602)를 통해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0(1))를 인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에는 제 2 적층 플레이트(610(2))가 재치되게 된다.
그리고 잭 업 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었던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하방으로 내려서 최상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610)(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제 5 적층 플레이트(610(5)))에 재치시키고, 그 상태로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를 상기 4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4))에 삽입 통과시켜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에 체결시켜 도 34의 상태를 출현시킨다.
이 도 3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단 위치는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0(1)~610(5))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단 위치에 비해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1장분만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도 상기 수직 목주(1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600)에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개구(602)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를 상기 인출 개구(602)를 향해서 압압 가능한 압출 개구(6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 개구(60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출 개구(602)를 통한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의 인출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6에 상기 변형예(4)의 다른 변형 구성(4'')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3에 대응한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변형 구성(4'')은 상기 적층 플레이트(610) 대신에 적층 플레이트(615)를 갖고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 플레이트(615)는 1단차 마다 복수의 플레이트편(616)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편(616)은 각각의 길이 방향이 플레이트 발출 방향(X)을 따른 상태로 발출 방향(X)과는 직교하는 횡 방향(Y)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편(616)은 제 1~제 7 플레이트편(616(1)~616(7))을 갖고 있다.
상기 보호 커버(600)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편(616) 중 소정 매수의 플레이트편(616)만의 발출을 허용하는 인출 개구(60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개구(605)는 상기 플레이트편(616)을 1장씩 발출하는 것과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15)의 발출은,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변형 구성(4')에서의 인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가 상기 5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5))을 통해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우선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와 상기 통형상 부재(600)를 상대 이동 가능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잭 업 장치로 들어 올리고,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15)에 대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로부터의 하중을 해제시킨 상태로 최하방에 위치하는 제 1 적층 플레이트(615)에 있어서의 상기 제 1~제 7 플레이트편(616(1)~616(7)) 중 상기 인출 개구(605)에 면하는 인출 가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의 플레이트편(도 36에 있어서는 제 4 플레이트편(616(7)))을 상기 인출 개구(605)로부터 인출한다.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5(1))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레이트편(616)의 인출 작업 시에는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5(1)) 상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적층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레이트편이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제 2 적층 플레이트의 복수의 플레이트편을 가고정해 둔다.
이 가고정은, 예를 들면 상기 보호 커버(600)에 형성된 가고정용 슬릿에 삽입 통과되는 록킹 부재를 통해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호 커버(600)에 형성된 횡 방향 압동(押動) 개구(607)를 통해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5(1))에 있어서의 잔존하는 플레이트편(616)을 횡 방향(Y)을 따라 중앙측으로 압동하고, 앞서 인출한 플레이트편(제 4 플레이트편(616(4)))에 인접하고 있었던 플레이트편(제 3 플레이트편(616(3)) 또는 제 5 플레이트편(616(5)))을 상기 인출 가능 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출 가능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플레이트편(616)을 상기 인출 개구(605)를 통해 인출한다.
이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 1 적층 플레이트(615(1))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편(616)을 모두 인출한 후에 상기 제 2 적층 플레이트(615(2))에 대한 가고정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나머지의 적층 플레이트(상기 제 2 ~제 5 적층 플레이트)가 하강되어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 2 적층 플레이트(615(2))가 재치되게 된다.
그리고 잭 업 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었던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를 하방으로 내려 최상방에 위치하는 적층 플레이트(610)(제 5 적층 플레이트(615(5)))에 재치시키고, 그 상태로 상기 제 2 체결 부재(525)를 상기 4장 사용 시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526(4))에 삽입 통과시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에 체결시킨다.
이 상태에서의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단 위치는 상기 제 1~제 5 적층 플레이트(615(1)~610(5))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의 상단 위치에 비해 상기 적층 플레이트(615)의 1장분만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도 상기 수직 목주(1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구성(4'')에 의하면 상기 인출 개구(605)의 개구 폭을 가급적으로 좁힐 수 있으므로 상기 인출 개구(60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기 보호 커버(600)의 강성 저하를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7에 상기 변형 구성(4'')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1에 있어서의 XXXⅦ-XXXⅦ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횡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4'')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긴 홈(19')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긴 홈(19')에는 압축 목재(77)가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 우선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상기 긴 홈(19')에 압축 목재(77)를 삽입하고, 그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를 상기 통형상 부재(600)로 위요한다. 그리고 그 후에 습도의 첨가 등 상기 압축 목재(77)를 팽창시키는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압축 목재(77)는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상기 긴 홈(19')의 위치에서 상기 압축 목재(77)가 상기 통형상 부재(600) 및 상기 수직 목주(10) 사이에서 지름 방향으로 팽창하고, 그 결과 상기 통형상 부재(600)를 상기 수직 목주(10)에 강고하게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압축 목재(77)는, 예를 들면 상기 강성 부재(380)의 두께의 대략 반분의 두께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강성 부재(380)가 20㎜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압축 목재(77)는 10㎜의 두께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77)로의 습도의 첨가는 상기 압축 목재(77)에 방부제를 함침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상기 압축 목재(77)를 구비하는 구성은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를 포함시키고, 본 발명에 의한 목주의 굴립 구조의 여러 가지의 형태에 있어서 보호 커버로 위요되는 목주의 여러 가지의 부위에 적용 가능하다.
도 38에 상기 변형예(2B)의 또 다른 변형 구성(2C)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상기 변형예, 및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변형 구성(2C)은 상기 천판(370)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가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20)가 개재하여 삽입된 상태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주로 상기 변형예(2B)와 상위한다.
또한, 도 38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천판(380)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사이에는 4장의 적층 플레이트(620(1)~620(4))가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20)는 1장마다 착탈 가능한 상태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370), 상기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620), 및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6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변형 구성(2C)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상단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플레이트(620)는 하면에 볼록부(625) 또는 오목부(626)의 일방(도 38에 있어서는 오목부(626))을 갖고, 상면에 상기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625) 또는 오목부(626)의 일방이 요철 결합 가능한 볼록부(625) 또는 오목부(626)의 타방(도 38에 있어서는 볼록부(625))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 플레이트(620)가 적층 상태에 있어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천판(370)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325) 또는 오목부(626)의 타방(도 38에 있어서는 볼록부(62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의 하면에는 상기 볼록부(625) 또는 오목부(626)의 일방(도 38에 있어서는 오목부(6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천판(370)과 상기 적층 플레이트(620) 사이의 위치 어긋남, 및 상기 적층 플레이트(620)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천판(370)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를 직접 연결시킬 경우에는 양자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구성(2C)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볼록부(415)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53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구성(2C)에 있어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상단부(11c) 중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 및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각각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게이징 홈에는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을 따른 상태로 지름 방향 외측 표면이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압축 목재(395, 397)가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395, 397)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380)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압축 부재(395)의 하단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360)의 하단과 동일 높이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510)의 기단부(511a) 중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 및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각각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게이징 홈에는 지름 방향 외측 표면이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압축 목재(565, 567)가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565, 567)는 상기 수직 목주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520)로부터 상방에 설치되는 압축 부재(567)의 상단은 상기 제 2 보호 커버(560)의 상단과 동일 높이가 된다.
상기 압축 목재(395, 397, 565, 567)는, 예를 들면 상기 강성 부재(380, 520)의 두께의 대략 반분의 두께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강성 부재(380, 520)가 20㎜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압축 목재(395, 397, 565, 567)는 10㎜의 두께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395, 397, 565, 567)로의 습도의 첨가는 이들에 방부제를 함침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9에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의 변형 구성(2D)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0(a) 및 도 40(b)에 각각 도 39에 있어서의 XXXXa-XXXXa선 및 XXXXb-XXXX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상기 변형예, 및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9 및 도 4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D)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40)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18) 중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45)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65)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상기 지지통(40)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부재(650)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고착재(78)는 상기 복수의 받침대 부재(650)를 위요한 상태로 상기 영역에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통(40)과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1에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의 다른 변형 구성(2E)의 부분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2에 도 31에 있어서의 XXXXⅡ-XXXXⅡ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상기 변형예, 및 상기 변형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변형예(2E)는 상기 변형예(2D)에 비해 상기 받침대 부재(650) 대신에 체결 부재(660)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2E)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통 본체(42)에는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43)은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45)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65)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43)의 각각에는 체결 부재(66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660)는 상기 관통 구멍(43)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를 갖고 있으며,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의 선단부가 상기 통형상부(62)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통 본체(42)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2E)에 있어서는 상기 고착재(78)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를 위요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상기 지지통(40) 및 상기 보호 커버(60) 사이의 상기 간극(18)의 치수에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상기 지지통(40)과 상기 보호 커버(60) 사이를 상기 체결 부재(660)에 의해 연결시킨 상태로 상기 고착재(78)에 의해 고착할 수 있고, 양자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2E)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 부재(660)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의 지름 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 본체(42)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헤드부(663)를 갖는 볼트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 중 상기 지지통 본체(42)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너트(665)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부재(660)는 상기 두부(663) 및 상기 너트(665)가 상기 지지통 본체(42)를 협압함으로써 상기 지지통 본체(42)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 구멍(43)은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가 나사 삽입되는 나사가 부착된 구멍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너트(665)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661) 및 상기 나사가 부착된 구멍의 나사 결합 연결에 의해 상기 체결 부재(660)가 상기 지지통 본체(42)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2E)는 상기 변형예(2D)에 비해 상기 받침대 부재(650) 대신에 상기 체결 부재(660)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받침대 부재(650) 및 상기 체결 부재(660)의 쌍방을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동시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9, 도 40(a),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62)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 중 상기 인게이징 홈(305)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방 인게이징 홈에는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에 따른 상태로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62)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상측 압축 목재(655)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직 목주(10)와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변형 구성(2D 및 2E)에 있어서는 상기 상방 압축 부재(655)의 상단과 상기 통형상부(62)의 상단이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형상부(62)와 상기 수직 목주(10)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불순물이 침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9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구성(2D 및 2E)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부(62)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10)의 기단부(11a) 중 상기 인게이징 홈(305)으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하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방 인게이징 홈에는 팽창 방향이 상기 수직 목주(10)의 지름 방향에 따른 상태로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62)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하측 압축 목재(657)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직 목주(10)와 상기 보호 커버(60)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 목재(655, 657)는, 예를 들면 상기 강성 부재(310)의 두께의 대략 반분의 두께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강성 부재(310)가 20㎜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압축 목재(655, 657)는 10㎜의 두께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목재(655, 657)로의 습도의 첨가는 이들로의 방부제의 함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변형 구성(2D 및 2E)의 구성은 상기 목주의 굴립 구조(2')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 및 다른 변형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시키는 목주로서 근주 상당 영역(10a)을 갖는 목주를 사용하는 발명은 목주를 상기 지지통(40), 상기 제 2 지지통(540), 및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420)에 지지시키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목주를 단순한 지지 구멍에 지지시키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근주 상당 영역(10a)이 목주의 길이 방향 위치에 관하여 지지 구멍의 개구 단부를 걸치도록 상기 목주를 상기 지지 구멍 내에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목주를 지지함으로써 설치 상태의 목주가 가장 부하를 받는 부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1, 1B~1E, 2, 2', 2B~2EE, 3B, 4, 4': 목주의 굴립 구조
10: 수직 목주 10a: 근주 상당 영역
11a: 수직 목주의 기단부 11b: 수직 목주의 중간부
11c: 수직 목주의 상단부 12: 오목부
18: 간극 19: 긴 홈
20, 20B, 20D: 지지 장치 30: 베이스 플레이트
32: 외방 연장부 34: 부착 구멍
40: 지지통 42: 지지통 본체
43: 나사가 부착된 구멍 45: 지지통측 플랜지부
46a: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 46b: 지지통측 간극
50: 볼록부 60: 보호 커버
62: 통형상부 62a, 62b: 제 1 및 제 2 부착 구멍
65: 목주측 플랜지부 66a: 목주측 분할 플랜지
66b: 목주측 간극 70: 막대형상 부재
72a, 72b: 제 1 및 제 2 빠짐 방지 부재
75, 79: 접착재 78: 고착재
100: 기초 콘크리트 110: 앵커 볼트
305: 인게이징 홈 310: 강성 부재
310a: 긴 변 310b: 짧은 변
311: 직선형상 분할체 320: 체결 부재
360: 상단측 보호 커버 362: 인출 개구
364: 압출 개구 370: 천판
380: 상단측 강성 부재 385: 상단측 체결 부재
390: 상단측 볼록부 400: 조인트 철물
410: 중앙 연결부 415: 제 2 볼록부
420: 수평 목주용 지지통 450: 수평 목주
451a: 수평 목주의 기단부 460: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
470: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 510: 제 2 수직 목주
515: 제 2 오목부 520: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
525: 제 2 체결 부재 530: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540: 제 2 지지통 570: 제 2 수직 목주용 체결 부재
580: 제 2 기단 플레이트 600: 통형상 부재
602: 인출 개구 604: 압출 개구
610, 620: 적층 플레이트 625: 볼록부
626: 오목부 650: 받침대 부재
655: 상방 압축 부재 657: 하방 압축 부재
660: 체결 부재 661: 나사가 부착된 축부
663: 헤드부 665: 너트

Claims (34)

  1. 기초 콘크리트 상에 고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또한 상방이 개구로 된 지지통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통에 의해 위요되는 영역의 중심부에 설치된 상방을 향하는 볼록부를 갖는 지지 장치와,
    기단면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기단부의 외주가 보호 커버로 덮인 수직 목주로서, 상기 보호 커버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통 내에 있어서 세워서 설치된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를 위요하는 통형상부로서,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지지통 내에 세워서 설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 중 상기 수직 목주의 세워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은 통형상의 지지통 본체와,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측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통 본체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간극 중 적어도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에는 고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단면형상이 한 쌍의 긴 변 및 한 쌍의 짧은 변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상의 판상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긴 변의 일방이 상기 수직 목주의 지름 방향 외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게이징 홈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수직 목주의 외주에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분할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는 상기 기단부에 연접되는 중간부로부터 단차부를 따라 소경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의 자유 단면이 상기 단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의 외주가 상기 보호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는 근주 상당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방향 위치에 관하여 상기 근주 상당 영역이 상기 지지통 본체의 상단부를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는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계는 접착재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는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간극 중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보다 하방의 영역에는 입상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직 목주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형상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목주측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목주측 상단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중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에 의해 끼워져 있었던 영역에는 상기 지지통의 내주면과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부재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고착재는 복수의 상기 받침대 부재를 위요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 본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서, 상하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 및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나사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 체결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가 부착된 축부를 갖고,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의 선단부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통 본체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고착재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를 위요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 부재는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의 지름 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가 부착된 축부 중 상기 지지통 본체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나사 결합된 너트를 갖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너트가 상기 지지통 본체를 협압함으로써 상기 나사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통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 중 상기 인게이징 홈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방 인게이징 홈에는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상측 압축 목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위요되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기단부 중 상기 인게이징 홈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하방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방 인게이징 홈에는 지름 방향 외측 방면이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하측 압축 목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통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외방 연장부를 갖고,
    상기 외방 연장부에는 기단측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 볼트의 상단측이 삽입 통과되는 앵커 볼트용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플랜지부는 지지통측 간극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상기 목주측 플랜지부는 목주측 간극을 보존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목주측 분할 플랜지를 갖고,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 방향 길이 및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의 지름 방향 길이의 합은 상기 간극의 지름 방향 길이보다 크게 되고,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목주측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고, 또한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통측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목주는 상기 목주측 분할 플랜지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측 분할 플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둘레 방향 위치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통에 고착된 스터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를 위요하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형성된 외곽선과, 상기 외곽선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통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터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상방 연장부를 갖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앵커와, 상기 앵커 및 상기 스터드를 메워 넣도록 상기 외곽선 및 상기 지지통 사이에 충전된 보강 고착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의 상면에 재치되는 조인트 철물과, 상기 조인트 철물에 지지되는 수평 목주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는 상기 상단측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평 목주의 기단부에는 상기 수평 목주의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목주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목주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평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은 상기 천판에 재치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와, 상기 중앙 연결부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 목주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지지 구멍을 갖는 수평 목주용 지지통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에는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 및 상기 수평 목주는 상기 수평 목주용 지지통의 상기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수평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수평 목주용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측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 중 상기 천판에 접하는 저면에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에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로서,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인트 철물의 중앙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 2 볼록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갖고, 또한 기단면에 상기 제 2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제 2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을 갖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볼록부가 상기 제 2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제 2 볼록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에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로서,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천판에 형성된 상단측 볼록부가 삽입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갖고, 또한 기단면에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제 2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을 갖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상단측 볼록부가 상기 제 2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상단측 볼록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의 상단측 보호 커버와,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의 상방 개구를 폐쇄하는 천판과, 상기 천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재치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형상의 제 2 보호 커버로서, 하방 개구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착된 제 2 보호 커버와, 기단부가 상기 제 2 보호 커버 내에 삽입된 제 2 수직 목주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측 보호 커버 및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는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기단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을 갖고,
    상기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의 적층 플레이트가 개재하여 삽입된 상태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레이트는 하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을 갖고, 상면에 상기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이 요철 결합 가능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타방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타방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인게이징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에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의 오목부에 인게이징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로서,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외형상에 따른 형상의 개구를 갖는 제 2 기단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에 재치되는 제 2 수직 목주와,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면이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의 외주를 위요하는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상단측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측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상단측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인게이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게이징 홈에는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대 이동 불능하게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에는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상단측 부착 구멍 및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는 상기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상단측 강성 부재가 상기 상단측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상단측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목주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강성 부재가 상기 제 2 수직 목주용 부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제 2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수직 목주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주의 굴립 구조.
  34. 삭제
KR1020197021155A 2018-03-05 2019-02-27 목주의 굴립 구조 KR102293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8611 2018-03-05
JP2018038611 2018-03-05
JPJP-P-2018-100423 2018-05-25
JP2018100423 2018-05-25
JP2019003326A JP6585316B1 (ja) 2018-03-05 2019-01-11 木柱の堀立構造
JPJP-P-2019-003326 2019-01-11
PCT/JP2019/007623 WO2019172051A1 (ja) 2018-03-05 2019-02-27 木柱の堀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30A KR20190107030A (ko) 2019-09-18
KR102293464B1 true KR102293464B1 (ko) 2021-08-25

Family

ID=6784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155A KR102293464B1 (ko) 2018-03-05 2019-02-27 목주의 굴립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3464B1 (ko)
WO (1) WO20191720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9714B2 (en) * 2020-01-14 2022-10-04 Vandorf GR1 Inc. Guardrail pos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4662B1 (en) * 2020-08-05 2021-03-23 King Saud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quare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 to a reinforced concrete footing
CN114829715B (zh) * 2020-11-27 2024-04-05 株式会社泷川寺社建筑 木柱设置构造
WO2022113379A1 (ja) * 2020-11-27 2022-06-02 株式会社瀧川寺社建築 木柱設置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341A (ja) 2005-06-03 2006-12-14 Masaru Fujimatsu 木軸材の接手並びに同接手を用いた木軸材の接合方法
JP2008255627A (ja) 2007-04-04 2008-10-23 Meiken Kogyo Kk 木質部材の接合金具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030B2 (ko) 1972-09-02 1979-07-19
JP2575549Y2 (ja) * 1989-04-24 1998-07-0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集成材の柱脚部接合構造
JP3585605B2 (ja) * 1995-09-14 2004-11-04 株式会社平安コーポレーション 木材柱の支持構造
JPH09273213A (ja) * 1996-04-05 1997-10-21 Sekisui Chem Co Ltd 定着金物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柱脚基礎接合構造
JPH11100898A (ja) * 1997-09-26 1999-04-13 Yasuhide Watanabe 木造柱の取付け構造
JP2009091769A (ja) * 2007-10-05 2009-04-30 Nippon Light Metal Co Ltd 土台あるいは梁と柱との結合構造
KR20100031705A (ko) * 2010-02-11 2010-03-24 조용현 목재기둥 구조물
JP5420030B1 (ja) * 2012-08-01 2014-02-19 株式会社瀧川寺社建築 木柱の設置構造
JP2015048611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木質柱の柱脚部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341A (ja) 2005-06-03 2006-12-14 Masaru Fujimatsu 木軸材の接手並びに同接手を用いた木軸材の接合方法
JP2008255627A (ja) 2007-04-04 2008-10-23 Meiken Kogyo Kk 木質部材の接合金具アセンブリ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나무의 상하 구분은 왜 필요한가?'(2011.01.29.)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9714B2 (en) * 2020-01-14 2022-10-04 Vandorf GR1 Inc. Guardrail po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051A1 (ja) 2019-09-12
KR20190107030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464B1 (ko) 목주의 굴립 구조
JP6585316B1 (ja) 木柱の堀立構造
EP1262614B1 (de) Turmbauwerk aus Spannbeton
EP1849920B1 (en) Tower adapter, method of producing a tower foundation and tower foundation
EP2302146B1 (de) Turm aus Spannbeton-Fertigteilen
US20070125022A1 (en) Concrete post anchor
JP6178269B2 (ja) 壁高欄
WO2021044679A1 (ja) 木柱連結構造及び木柱設置構造
US6119413A (en) Concrete deck and beam seismic retrofit system
KR102403893B1 (ko) 나무기둥 연결 구조 및 나무기둥 설치 구조
WO2009021997A2 (de) Holzmastegründung
JP6805451B2 (ja) 露出型柱脚の定着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座金
EP0606557B1 (de) Geländer zur Befestigung an seitlichen Begrenzungswänden
CN113585701A (zh) 一种建筑用临边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EP3219879B1 (de) Verfahren zum aufstellen eines windenergieanlagen-turms sowie entsprechende windenergieanlage
DE3221860A1 (de) Abstuetzeinrichtung an einem druckbehaelter, insbesondere einem reaktordruckbehaelter, gegen horizontalkraefte
IT202000011074A1 (it) Plinto prefabbricato, stazione radio base comprendente tale plinto e metodo per assemblare un plinto
DE19724393A1 (de) Wandstützenbefestigung
JP6852912B2 (ja) 木柱の設置構造
WO2018108818A1 (de) Verfahren zum aufstellen eines windenergieanlagenturms aus spannbeton sowie entsprechender windenergieanlagenturm
KR102720024B1 (ko) 경사 거푸집바
EP0816587B1 (de) Auflager für eine Fertigtreppe aus Beton
EP2733285A1 (de) Funkstation
WO2009124092A2 (en) Interlocking bolted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CN211775105U (zh) 一种预制柱及包含该预制柱的梁柱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