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74B1 - 치간 브러시 - Google Patents

치간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74B1
KR102402174B1 KR1020207006448A KR20207006448A KR102402174B1 KR 102402174 B1 KR102402174 B1 KR 102402174B1 KR 1020207006448 A KR1020207006448 A KR 1020207006448A KR 20207006448 A KR20207006448 A KR 20207006448A KR 102402174 B1 KR102402174 B1 KR 10240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holder
shaft
interdental brush
transition
br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495A (ko
Inventor
마르코 자발로니
Original Assignee
쿠라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덴 아게 filed Critical 쿠라덴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4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n or between bel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부분(2), 및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3)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1)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브러시 부분(2)은 칫솔모 홀더(4) 및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한다. 여기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 홀더(4)가 샤프트(3)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7)를 가지며, 샤프트(3)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간 브러시(1)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 및 치간 브러시(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간 브러시
본 발명은 브러시 부분 및 손잡이 부분에 치간 브러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브러시 부분은 칫솔모 홀더 및 칫솔모 홀더에 고정된 칫솔모를 포함하고,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간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괄적인 치아 관리에는 치아 자체의 청소뿐만 아니라 치아 사이 공간의 청소도 포함된다. 박테리아가 이들에 형성되어, 충치, 플라크 및 구내염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치아 사이 공간은 칫솔로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사이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 소위 치간 브러시가 사용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칫솔에 비해 훨씬 작은 미세한 칫솔모를 갖는 브러시 헤드를 가지므로, 브러시 헤드가 치아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미세한 칫솔모는 이 경우 칫솔모 홀더에 고정되며, 이러한 칫솔모 홀더는 종종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형태로 설계된다. 칫솔모 홀더는 일 단부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 내에 주조되거나 또는 삽입된다. 다시 샤프트는 손잡이 부분에 공지된 방식으로 수용된다. 손잡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치간 브러시의 양호한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는 동안, 브러시 헤드는 강하게 응력을 받고, 종종 탄성적으로 또는 가소성으로 구부러진다. 브러시 부분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로부터 찢어져 나오지 않고 또는 브러시 부분이 샤프트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 내에 주조된 브러시 부분의 단부는 종종 형상부를 가지므로, 앵커링된 단부는 보다 양호하게 샤프트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JP 2008 154901 A[라이온 코포레이션(Lion Corp.)]는 치간 브러시를 개시하고, 여기서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된 브러시 홀더의 앵커링된 단부 부분은 치간 브러시의 플라스틱 샤프트에 단부 부분을 확실하게 앵커링할 수 있도록 아치형, 직사각형, 반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부를 갖는다.
DE 103 54 774 A1[자호란스키(Zahoransky)]은 브러시 부분이 손잡이 그립에 분리 불가능하게 앵커링되어 있는 치간 브러시를 개시하고 있다. 손잡이 그립은 리세스를 갖는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 및 이러한 리세스 내에 주입 성형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한다. 먼저,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는 샤프트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의 중앙 부분이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에 주조되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제 2 사출 성형에 의해, 샤프트의 각진 단부는 손잡이 부분으로 주조된다. 손잡이 부분은 베이스 본체와 비교하여 약간 더 연성이고 고무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보다 양호한 그립력이 생성된다.
손잡이 그립이 통합되어 있는 이러한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이 제 2 제조 단계에서 베이스 본체에 주입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기에 복잡하다. 또한, 브러시 부분의 칫솔모가 마모되면, 손잡이 그립을 갖는 치간 브러시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이는 비싸고 많은 폐기물이 발생된다.
그러나,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도 또한 알려져 있다. 치간 브러시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부분 및 교환 가능한 치간 브러시를 갖는 이러한 시스템이 예를 들어 DE 10 2005 047 340 A1[브라운 게엠베하(Braun GmbH)]에 개시되어 있다. 치간 브러시는 그 샤프트에서 브러시로부터 멀리 향하는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들을 포함한다.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의 개구에 삽입될 때, 홈들 사이의 벽 섹션은 손잡이 부분의 개구의 내벽과 클램프를 형성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에 유지되고, 필요하다면, 교환을 위해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가 WO 1986/02532[쿠라덴(Curaden)]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간 브러시는 트위스팅된 와이어 루프로 형성되고 칫솔모를 갖는 칫솔모 캐리어 및 칫솔모가 없는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을 포함한다. 단부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원통형 샤프트에 주조된다.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는, 정지부를 형성하고 2 개의 아암을 갖는 크로스 부재가 형성된다. 크로스 부재가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나사산 슬리브가 크로스 부재의 아암에 닿고 아암이 나사산 슬리브 사이와 손잡이 부분의 홈의 바닥 사이에 클램핑될 때까지, 크로스 부재를 향해 손잡이 부분의 나사산 슬리브가 조여짐으로써,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형상부를 통해,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치간 브러시의 경우에도,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치간 브러시는 칫솔모 홀더와 샤프트 사이의 연결과 관련하여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칫솔모 홀더는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는 동안 종종 탄성적으로 또는 심지어 가소성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칫솔모 홀더의 재료는 위치별로 매우 강하게 응력을 받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칫솔모 홀더의 이러한 구부러짐은 주로 한 위치에서 발생하는데, 즉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이를 통해 이러한 출구 위치에서는 종종 재료 피로가 유발되어, 칫솔모 홀더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칫솔모 홀더의 굽힘 또는 파손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WO 1986/02532[쿠라덴(Curaden)]는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특수한 형상의 보어를 갖는 샤프트를 개시하고 있다.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샤프트는 출구를 향해 확장되는 전방의, 원추형 또는 쌍곡선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후방 섹션은 보어의 후방 섹션에 단단히 앵커링되어 있다.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전방 섹션은 보어의 점차 확장되는 섹션에서 칫솔모의 방향으로 점점 증가하는 유격을 가지고 휨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단부 부분의 전방 섹션은 보어 섹션에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여기서 보어 섹션의 벽은 칫솔모 홀더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샤프트 내의 이러한 최적화된 형상의 보어에도 불구하고, 칫솔모 홀더는 출구 위치에서 강하게 응력을 받고, 칫솔모 홀더는 손상을 입거나 또는 심지어 파손될 수도 있다. 또한, 원추형 출구를 갖는 위에서 설명한 보어는 제조하기에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에 칫솔모 홀더를 수용하는 것이 개선되고 이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프트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기술 분야에 속하는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대한 해결 방안은 본원의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를 일부 영역에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상이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개별 영역에 대한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이 더 양호하게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샤프트의 영역은 매우 정밀하게 형성되어 칫솔모 홀더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칫솔모 홀더는 사용 중에 파손되지 않고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샤프트의 하부 단부 영역은 정밀하게 제조될 필요는 없고 단지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견고하게 앵커링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은 보다 간단한 공구에 의해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2 부분은 스탬핑을 통해 또는 간단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각 부분에 대해 가장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제조 공정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간 브러시"는 인간 또는 동물 치아의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는데 적합한 브러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클램핑 또는 스크류 고정에 의해 치간 브러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이 필요하다. 손잡이 부분은 치간 브러시가 취급하기에 양호하고 이에 따라 치아들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은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라는 용어와 구별되어야 한다. 샤프트는 칫솔모 홀더를 앵커링하고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앵커링"이라는 용어는 분리될 수 없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샤프트에 접착되거나, 주조되거나, 또는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플러그 또는 나사 연결 또는 베이어닛 결합(bayonet joint)과 같은 분리 가능한 연결은 "앵커링"이라는 용어에 해당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통해, 샤프트는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각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후 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 또는 스크류 연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예를 들어 접착 또는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 1 부분 상에 스프레이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부분은 초음파 용접, 진동 용접(VIB 용접), 오비탈 용접, 거울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제 1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샤프트의 부분들이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샤프트의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의 개별 영역 또는 요소가 종 방향으로 각각 다른 부분으로 돌출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종 방향으로 샤프트의 제 2 부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탭 또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의 종 방향으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샤프트의 제 2 부분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부분 사이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개별 영역이 각각의 요구 사항에 특히 잘 맞을 수 있다.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재료로 제조되고, 샤프트의 제 2 부분은 제 2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상이한 기계적 성질 및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재료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부분들은 다른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샤프트의 해당 부분은 손잡이 부분에 수용되도록 설계되는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의 제 2 부분보다 더 유연한 또는 더 탄성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부분은 이 경우 예를 들어 경질의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영역에서의 제 1 부분의 유연한 또는 탄성 재료로 인해, 칫솔모 홀더가 구부러질 때,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휘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칫솔모 홀더는 잘 지지되어, 출구 영역에서 칫솔모 홀더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구부러짐이 회피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칫솔모 홀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의 제 2 부분은 경질 재료로 인해 내마모성이어서, 이에 따라 손상되지 않고 손잡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경질 재료를 통해, 샤프트와 손잡이 부분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재료의 선택은 또한 그 반대도 이루어질 수도 있고, 치간 브러시와 손잡이 부분 사이의 탄성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 제 2 부분에 연성 또는 탄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재료들을 통해,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 칫솔모 홀더를 앵커링하기 위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각각의 형상에 특히 양호하게 적합할 수 있는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샤프트에 앵커링되기 위한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예를 들어 반원형, V 자형, 톱니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재료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특히 양호하게 요구 사항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다양한 재료를 통해, 샤프트의 영역의 각각의 형상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영역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샤프트의 상부 영역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출구 개구의 특히 정밀한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샤프트의 하부 영역은 예를 들어, 여기에는 덜 정밀한 성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샤프트는 또한 3 개, 4 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이한"이라는 용어는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재료의 일반적인 명칭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 1 경도를 갖는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경도를 갖는 제 2 플라스틱이 본 명세서에서 "2 개의 상이한 재료"로 간주되지만, 둘 다 "플라스틱"이라는 용어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샤프트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색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2 개의 상이한 재료로 간주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파란색 플라스틱은 빨간색 플라스틱과 상이한 재료이다.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앵커링 부분에 앵커링된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들은 각각 원통형, 구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에 대응되고, 앵커링 부분은 샤프트의 제 2 부분에 대응된다. 샤프트가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샤프트의 기능은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나뉜다. 이는 간단한 구조 및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앵커링 부분은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최적의 앵커링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전이 부분은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의 최적의 지지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함께 주조되므로, 이들은 견고하고 분리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안정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샤프트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갖지 않고,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가 샤프트의 두 부분에 앵커링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부분의 종 방향으로 전이 부분을 향해 돌출하는 2 개의 날개부를 포함한다.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부분의 날개부를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날개부를 통해,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이는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에 특히 강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앵커링 부분이 전이 부분에 스프레이 성형되면, 확대된 접촉 영역을 통해,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의 특히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칫솔모 영역을 가지며, 여기서 전이 부분은 앵커링된 제 1 단부와 칫솔모 홀더의 칫솔모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그 칫솔모 영역과 제 1 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전이 부분에 의해 최적으로 안내되고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치아를 청소할 때 칫솔모 홀더가 구부러지면,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가 앵커링 부분에 진입하는 전이 위치에서 칫솔모 홀더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모 홀더의 하중이 감소될 수 있고, 칫솔모 홀더의 파손 또는 좌굴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전이 부분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 옆에 측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칫솔모 홀더를 둘러쌀 수도 있다.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재료 중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앵커링 부분은 2 개의 재료 중 제 2 재료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를 안내하기에 최적인 재료가 전이 부분에 대해 선택될 수 있고,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특히 안정적인 앵커링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가 앵커링 부분에 대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는 특히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이 부분은 변형될 때에도 칫솔모 홀더를 안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이 가능하게는 치아 청소 중에 치아 및/또는 잇몸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전이 부분은 더 연성인 재료로 구성되어, 치아 또는 잇몸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앵커링 부분에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앵커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앵커링 부분에 대해서는 강성 또는 경질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제 1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샤프트를 손잡이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부분,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은 제 2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2 재료는 유리하게는 제 1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앵커링 부분이 전이 부분의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재료를 갖는 경우,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강성 재료에 의해 앵커링 부분에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앵커링될 수 있고, 한편 덜 강성인 전이 부분에 의해 칫솔모 홀더의 특히 양호한 안내 및 지지가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이 부분은 칫솔모 홀더와 함께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2 개의 상이한 재료는 또한 동일한 굽힘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제 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플라스틱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전이 부분 및/또는 앵커링 부분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이를 통해,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이 비용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생체 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칫솔모 홀더의 영역이 개구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전이부의 영역에서 전이 부분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전이 부분을 통해 칫솔모 홀더의 최적의 안내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보어로서 설계되고, 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는 또한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이 칫솔모 홀더의 일 측면 상에만 배치되고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개구는 유리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를 갖는다. 이는 개구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개구에 위치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움직이고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굽힘 응력이 달성되고, 그에 따라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의 개구의 출구에서 그렇지 않다면 존재하는 칫솔모 홀더의 굽힘 및 파손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모따기부는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종 방향 축과 모따기부의 표면 사이에서 측정된 30° 미만의 각도를 갖는다. 이를 통해, 특히 칫솔모 홀더의 양호한 안내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개구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 개구의 둘레에 원주 방향 모따기부를 갖는다. 개구가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경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 개구의 각 모서리에 모따기부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이 모따기부를 갖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개구의 내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개구 내에 위치되는 칫솔모 홀더의 영역의 외부 치수보다 크므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치수는 칫솔모 홀더의 단면과 관련이 있다. 이는 칫솔모 홀더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경우, 외부 치수는 칫솔모 홀더의 외부 직경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치수는 개구의 2 개의 내벽 사이의 최소 거리에 대응한다. 개구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내부 치수는 개구의 내부 직경에 대응한다.
개구의 내부 치수가 칫솔모 홀더의 외부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칫솔모 홀더가 약간의 유격으로 전이 부분의 개구 내에서 안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좌굴 및 파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는 유격 없이 전이 부분의 개구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이 하나의 부재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되는 2 개의 개별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에 의해, 샤프트는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손잡이 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치간 브러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샤프트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2 개의 아암을 갖는 크로스 부재 형태로 설계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과 치간 브러시의 베이어닛 결합에 의해, 간단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앵커링 부분이 잠금 요소를 갖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샤프트는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의 개구 내로 간단히 삽입될 수 있다.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는,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턴들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칫솔모 홀더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모 홀더를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바아(bar)로 제조될 수 있다.
칫솔모 홀더는 유리하게는 제 1 단부에서 아치형 형상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특히 확실하게 앵커링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의 축 방향으로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간단하게 찢어져 나올 수 없고, 또는 칫솔모 홀더는 원하지 않게 앵커링 부분 내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치형 형상부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으로 설계되고, 제 1 단부의 최후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다시 직선형으로 설계되므로, 이러한 형상부는 칫솔모 홀더의 함몰부 또는 벌지의 유형으로 설계된다.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와 제 1 단부 사이에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가지므로, 칫솔모와 전이 부분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
칫솔모가 없는 섹션에서 칫솔모 홀더는 특히 양호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섹션에는 칫솔모 홀더가 움직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칫솔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용 중에 요구되는 칫솔모 홀더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에 앵커링되지 않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칫솔모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갖지 않게 되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assortment)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의 각각은 샤프트 상에서 개별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를 통해, 하나의 치간 브러시는 다른 치간 브러시와 구별될 수 있다. "조합 물품"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치간 브러시는 예를 들어 다음 특성들이 상이할 수 있다:
· 칫솔모의 길이,
· 칫솔모의 두께,
· 칫솔모의 탄성,
· 칫솔모의 형상,
· 칫솔모 홀더의 탄성, 또는
· 예를 들어 클릭 플라스틱 홀더, 알루미늄 홀더 또는 앵글 피스와 같은 특정 손잡이 부분에 대한 사용 가능성.
개별 특징부를 통해, 조합 물품 내의 치간 브러시는 사용자에게 양호하게 명확하게 특징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복수의 치간 브러시의 취급을 단순화시킨다.
개별 특징부는 예를 들어 샤프트의 형상, 샤프트의 부분의 표면 구조, 칫솔모의 외부 윤곽, 칫솔모의 색상 또는 샤프트의 부분의 색상,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에 대한 재료 선택 또는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샤프트는 치간 브러시를 특징짓기 위해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인코딩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간단한 개별적인 특징부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 1 부분은 예를 들어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인코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조각, 탐폰 인쇄, 엠보싱 또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또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의 제 2 부분은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분당 몇 개의 요소를 사용하면, 두 부분 인코딩을 조합함으로써 더 다양한 정보가 인코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샤프트의 개별 부분이 인코딩을 갖지 않고 이에 따라 서로 구별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칫솔모 홀더 및 이러한 칫솔모 홀더에 고정된 칫솔모를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b) 전이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 전이 부분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함 - ;
c) 제 1 단부의 영역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서 돌출될 때까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개구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d)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 앵커링 부분을 부착하여,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돌출된 영역은 앵커링 부분에 앵커링되고, 앵커링 부분은 전이 부분 상에 고정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간 브러시는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앵커링 부분은 예를 들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 상에의 초음파 용접, 진동 용접, 오비탈 용접, 거울 용접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앵커링 부분이 사출 성형에 의한 스프레잉에 의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 부착되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앵커링 부분을 전이 부분에 용접하거나, 두 부분을 접착하거나, 또는 앵커링 부분을 전이 부분 상에 스프레잉함으로써, 앵커링 부분과 전이 부분은 서로 견고하고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는 샤프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 상에 스프레이 성형된다. 사출 성형을 위한 플라스틱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상이한 특성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요구 사항에 대해 최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앵커링 부분을 스프레이 성형함으로써, 칫솔모 홀더는 그 제 1 단부가 앵커링 부분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후에, 제 1 단부는 변형된다.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제 1 단부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사각형 굽힘, 지그재그 형상 또는 만곡에 의해 변형될 수도 있다. 변형에 의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앵커링 부분에 특히 양호하게 앵커링될 수 있으므로, 칫솔모 홀더는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찢어져 나오지 않고 또는 칫솔모 홀더는 앵커링 부분에서 그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칫솔모 홀더가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와이어를 구부림으로써 용이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단부가 변형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전체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 및 특징의 조합이 얻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단면도는 치간 브러시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치간 브러시의 전이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전이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전이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전이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의 샤프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면도는 여기서 치간 브러시(1)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치간 브러시(1)는 브러시 부분(2) 및 샤프트(3)를 포함한다. 브러시 부분(2)은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칫솔모 영역(6)을 포함한다. 샤프트(3)는 브러시 부분(2)과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손잡이 부분 사이의 연결부를 나타낸다.
브러시 부분(2)은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이루어진 칫솔모 홀더(4) 및 트위스팅된 와이어 사이에 유지되는 미세 칫솔모(5)를 포함한다.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제 1 단부(7)의 영역에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5)를 포함하지 않는다.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는 칫솔모 영역(6)은 제 2 단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치간 브러시(1)의 샤프트(3)는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에 의해 형성된다. 전이 부분(8)은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속 개구(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은 칫솔모 영역(8)과 대면하고,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은 앵커링 부분(9)에 연결된다.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전이 부분(8)의 이러한 개구(10)를 통과하여,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된다. 이는, 전이 부분(8)이 칫솔모 영역(6)과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앵커링 부분(9)은 샤프트(3)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를 형성하여 이에 따라 치간 브러시(1)의 폐쇄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유 단부에서, 앵커링 부분(9)은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잠금시키기 위해, 2 개의 아암(12.1, 12.2)을 갖는 크로스 부재(11) 형태의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잡이 부분에 의해 치간 브러시(1)를 치아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다.
크로스 부재(18)는 앵커링 부분(9)에서 샤프트(3)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 위치되는데, 즉 모따기부(14)를 갖는 개구(10)의 입구가 존재하는 곳과 다른 샤프트의 단부에 위치된다. 크로스 부재(11)의 아암(12.1, 12.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샤프트(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샤프트(3)로부터 돌출된다. 아암(12.1, 12.2)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손잡이 부분은 상부로 개방된 2 개의 홈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홈은 크로스 부재(11)의 하나의 아암(12.1, 12.2)을 수용할 수 있다.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아암(12.1, 12.2)은 손잡이 부분의 홈에 배치되고, 그 후 치간 브러시(1)는 그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아암(12.1, 12.2)은 홈 내로 더 삽입되어, 치간 브러시(1)는 더 이상 그 종 방향 축의 방향으로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1)는 그의 크로스 부재(11)에 의해 베이어닛 결합 방식으로 손잡이 부분과 잠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200)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치간 브러시(200)는 앵커링 부분(209)의 자유 단부에 원주 방향 홈(215)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200)의 이러한 실시예는 치간 브러시(200)가 손잡이 부분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치간 브러시(200)가 손잡이 부분으로 삽입될 때 홈(2158) 내로 맞물리는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분을 필요로 한다.
이하에서는 치간 브러시(1)의 개별 요소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칫솔모(5)는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 영역(6)에 배치되므로, 갭 없이 칫솔모(5)는 트위스팅된 와이어 또는 칫솔모 홀더(4)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칫솔모(5)는 칫솔모 홀더(4)의 종 방향 축에 대해 60° 내지 80°의 각도로 트위스팅된 와이어로부터 돌출된다. 칫솔모 홀더의 칫솔모 영역(6)과 칫솔모가 없는 단부(7) 사이에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가 없는 영역(13)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5)와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9) 및 전이 부분(8)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들은 또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전이 부분(8)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과 비교하여 연성 플라스틱보다 굽힘 강성이 더 큰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8) 상으로 스프레이 성형되어,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여기서 앵커링 부분(9)에서 주조된다. 칫솔모 홀더(4)가 앵커링 부분(9)으로부터 찢어져 나올 수 없도록, 칫솔모 홀더(4)의 주조된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반원형 형상부(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부를 통해, 칫솔모가 없는 단부(7)가 칫솔모 홀더(4)의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고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도록 보장된다.
앵커링 부분(9)은 2 개의 서로 대향하는 날개부(19.1, 19.2)를 가지며, 이들은 칫솔모(5)의 방향으로 샤프트(3)의 종 방향으로 앵커링 부분(9)으로부터 돌출된다. 날개부(19.1, 19.2)는 반원형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날개부(19.1, 19.2)는 그러나 또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8)은 반대 형상을 갖고 하나의 날개부(19.1, 19.2)가 각각 수용되는 2 개의 절개부를 포함하여, 샤프트(3)의 외부 윤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원통형 형상을 유지한다. 앵커링 부분(9)의 날개부(19.1, 19.2)를 통해, 앵커링 부분(9)과 전이 부분(8)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이를 통해,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8) 상에 스프레이 성형될 때, 앵커링 부분(9)에 특히 양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증가된 접촉 면적은 앵커링 부분(9)이 초음파, 진동, 오비탈 또는 거울 용접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전이 부분(8)에 연결되는 실시예에서 유리하다.
앵커링 부분(9)은 여기서 착색된 플라스틱(예를 들어 보라색)으로 제조되고, 전이 부분(8)은 다르게 착색된 플라스틱(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의 탄성 및 칫솔모의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하는 인코딩이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인코딩은 또한 레이저 조각, 탐폰 인쇄, 엠보싱 또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전이 부분(8)은 브러시 부분(2) 없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전이 부분(8)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에는 전이 부분(8)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이 부분(8)이 도 3과 비교하여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앵커링 부분(9)의 날개부(19.1, 19.2)가 수용되는 절개부(18.1, 18.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또한 전이 부분(8)에서 개구(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구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개구(10)의 내경은 여기서 칫솔모 홀더(4)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므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전이 부분(8)에서, 개구(10)는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14)를 포함한다. 모따기부(14)는 여기서 개구(10)의 입구를 향해 또는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을 향해 더 커진다. 이를 통해, 모따기부(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쌍곡선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모따기부(14)를 통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칫솔모 홀더(4)는 개구(10) 내에서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 상의 개구(10)의 입구를 향해 움직이고 구부러진다. 이를 통해, 앵커링 부분(9)에서 움직일 수 없게 그리고 견고하게 주조된 칫솔모 홀더(4)의 제 1 단부(7)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칫솔모 영역(6)으로의 연속적인 전이부가 생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브러시 부분(2)이 없는 전이 부분(108)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전이 부분(8)과 대조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삼각형 절개부(118.1, 118.2)를 포함하며, 이러한 삼각형 절개부에는 앵커링 부분(9)의 대응하게 삼각형으로 형성된 날개부(19.1, 19.2)가 수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브러시 부분(2)이 없는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303)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샤프트(303)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샤프트(303)의 상부 영역은 여기서 단면도로 도시되며, 여기서 이 영역에서의 섹션은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이를 통해,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가 더 잘 보일 수 있다. 또한, 공간 때문에 샤프트(303)는 그 전체 길이가 도시되지는 않았다. 도 8은 도 7의 샤프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샤프트(303)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다. 이것은 제조의 측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실시예에서, 제조 시에 앵커링 부분(309)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후에 스프레이 성형되지 않고, 전이 부분(308)과 함께 이전에 개별적으로 제조되었다. 그 후, 칫솔모 홀더(4)는 그 칫솔모가 없는 단부(7)가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 내로 삽입되고, 샤프트(303)에 접착된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도 7 및 도 8에서는 칫솔모 홀더(4) 없이 샤프트(303)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는 전이 부분(308)을 통해 이어지고, 앵커링 부분(309)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개구(310)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에 의해 형성되고,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삼각형 단면의 모든 측면은 동일한 길이이다. 개구(310)의 이러한 형상은 도 8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310)는 연속적이지 않고, 샤프트(303)의 중심에서 대략 종 방향으로 폐쇄부를 가지며, 이 폐쇄부는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는 폐쇄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310)의 단부 영역(311)에서, 이는 또한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이는 내벽(313.1, 313.2, 313.3)이 이러한 단부 영역(311)에서 서로에 대해 테이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이 부분(308)에서, 개구(310)는 칫솔모 부분을 향하는 전이 부분(308)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314)를 포함한다. 모따기부(314)는 여기서 제 1 모따기부 표면(315.1, 315.2, 315.3)을 포함하며, 이는 통상적인 원형 및 원추형 모따기부 커터에 의해 모따기함으로써 생성된다. 모따기부(314)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을 모따기함으로써 생성된 제 2 모따기부 표면(316.1, 316.2 316.3)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이 각각 전이 부분(308)의 제 1 측면의 방향으로 제 2 모따기 표면(316.1, 316.2, 316.3) 중 하나로 전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모따기부 표면(315.1, 315.2, 315.3)은 여기서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20° 내지 30°의 각도를 가지며, 제 2 모따기부 표면(316.1, 316.2, 316.3)은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정렬된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링 부분(309)은 그 자유 단부에서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갖는 단부 영역을 가지므로, 앵커링 부분(309)에 숄더(316)가 형성된다. 또한, 앵커링 부분(309)은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이 단부 영역에서 원주 방향 홈(319)을 포함한다. 또한, 이 단부 영역에서 앵커링 부분(309)은 앵커링 부분(309)의 종 방향으로 절단되어, 앵커링 부분(309)은 앵커링 부분(309)의 종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표면(318)을 갖는다. 앵커링 부분(309)의 단부에서, 앵커링 부분(309)도 또한 모따기되어, 앵커링 부분(309)은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 부분 내의 개구 내로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303)가 삽입되는 손잡이 부분은 대응하는 카운터 형상을 가지므로, 샤프트(303)가 손잡이 부분에 연결될 때, 표면(318)은 손잡이 부분 내의 카운터 표면 상에 지지된다. 또한, 손잡이 부분은 샤프트(303)가 손잡이 부분에 삽입될 때, 샤프트(303)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링 부분(309)의 홈(319)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도 9에는 개략적으로 그리고 단순화된 형태로 치간 브러시(100.1-100.5)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이 도시되어 있다. 조합 물품은 예를 들어 5 개의 치간 브러시(100.1-100.5)를 포함하며, 이들 치간 브러시들은 각각은 상이한 경도 및 형상을 갖는 칫솔모를 포함한다. 치간 브러시(100.1-100.5)가 사용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샤프트는 상이한 인코딩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전이 부분(108.1-108.5)은 각각 앵커링 부분(109.1-109.5)과 다르게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109.1-109.5)의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의 탄성을 나타내고, 전이 부분(108.1-108.5)의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의 형상 또는 길이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코딩은 또한 샤프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각의 앵커링 부분(109.1-109.5) 또는 각각의 전이 부분(108.1-108.5)은 상이한 단면,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앵커링 부분(109.1 내지 109.5) 및 전이 부분(108.1 내지 108.5)의 단면의 특정 조합에 의해, 마찬가지로 치간 브러시(100.1 내지 100.5)의 개별 특징화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도 10은 치간 브러시(500.1-500.5)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조합 물품과 대조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치간 브러시(500.1-500.5)는 샤프트 내에 각각 홈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에는, 치간 브러시(500.1-500.5)가 각각 손잡이 부분 내에 유지될 때, 손잡이 부분의 돌출부가 맞물린다.
도 11에는 치간 브러시(600.1-600.6)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간 브러시(600.1-600.6)는 구형, 평행 사변형 또는 삼각형 외부 윤곽을 갖는 칫솔모 헤드를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배치는 여기서 도시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또한 도 11의 치간 브러시(600.1-600.6) 또는 도 10의 치간 브러시(500.1-500.5)는 또한 치간 브러시(400.1-400.5)와 같이 손잡이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크로스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시된 모든 치간 브러시(400.1-400.5, 500.1-500.5 및 600.1-600.6)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의 조합 물품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치간 브러시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또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이 부분의 모따기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이 부분 및/또는 앵커링 부분이 원통형 단면을 갖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또한, 치간 브러시는 반드시 잠금 요소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를 포함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로서 또는 홈의 형태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또한, 브러시 부분은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샤프트 내에 칫솔모 홀더를 개선된 방식으로 수용하고, 제조하기에 용이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가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Claims (18)

  1. 브러시 부분(2) 및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3)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1)로서, 상기 브러시 부분(2)은 칫솔모 홀더(4) 및 상기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칫솔모 홀더(4)가 상기 샤프트(3)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7)를 포함하는, 상기 치간 브러시(1)에 있어서,
    a) 상기 샤프트(3)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상기 샤프트(3)는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는 상기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되고,
    b)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치간 브러시(1)를 상기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요소(11)를 포함하고,
    c)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 영역(6)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앵커링된 제 1 단부(7)와 상기 칫솔모 영역(6) 사이에 배치되고,
    d)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10)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10)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는 2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2 개의 재료 중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2 개의 재료 중 제 2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료는 상기 제 1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는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1 측면 상에서 모따기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의 내부 치수는 상기 개구(10) 내에 위치되는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영역의 외부 치수보다 크므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개구(1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8) 및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제 1 단부(7)에 아치형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칫솔모(5)와 상기 제 1 단부(7) 사이에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포함하여, 상기 칫솔모(5)와 상기 전이 부분(8) 사이에 거리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1)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assortment)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1)의 각각은 상기 샤프트(3) 상에서 개별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상기 2 개의 부분의 각각은 인코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물품.
  13. 치간 브러시(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칫솔모 홀더(4) 및 상기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2)을 제공하는 단계;
    b) 제 1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전이 부분(8)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10)를 포함함 - ;
    c) 제 1 단부(7)의 일 영역이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2 측면에서 돌출될 때까지,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10)를 통해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를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요소(11)를 포함하는 앵커링 부분(9)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2 측면에 앵커링 부분(9)을 부착하여,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의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되고,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전이 부분(8) 상에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를 통해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를 삽입하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 1 단부(7)는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07006448A 2017-08-25 2017-08-25 치간 브러시 KR102402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71472 WO2019037879A1 (de) 2017-08-25 2017-08-25 Interdentalbür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495A KR20200045495A (ko) 2020-05-04
KR102402174B1 true KR102402174B1 (ko) 2022-05-25

Family

ID=5969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48A KR102402174B1 (ko) 2017-08-25 2017-08-25 치간 브러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72446B1 (ko)
JP (1) JP7330947B2 (ko)
KR (1) KR102402174B1 (ko)
CN (1) CN111225585B (ko)
WO (1) WO2019037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9989A (ja) * 2020-10-02 2022-04-14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歯間ブラ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532A1 (en) * 1984-10-25 1986-05-09 Curaden Ag Devic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ings
DE10354774A1 (de) 2003-11-21 2005-06-23 Zahoransk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ürsten sowie danach hergestellte Bürste
WO2009081783A1 (ja) * 2007-12-26 2009-07-02 Lion Corporation 歯間ブラシ
WO2009108470A1 (en) 2008-02-27 2009-09-03 Swain Ryan B Orthodontic kit and methods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54Y2 (ja) * 1987-06-11 1996-03-13 鐘紡株式会社 歯ブラシ
JPH0446576Y2 (ko) * 1988-03-23 1992-11-02
EP0550818B1 (de) * 1992-01-09 1998-03-18 Breitschmid AG Griff mit einem Halteorgan und Interdentalbürste zum auswechselbaren Befestigen an solchen Halteorgan
JPH06154030A (ja) * 1993-07-06 1994-06-03 Dentaru Kagaku Kk 抗菌性アパタイト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抗菌性樹脂
JPH1033262A (ja) * 1996-07-26 1998-02-10 Heraeus Dentaru Material Kk 歯間ブラシ
JPH10248639A (ja) * 1997-03-13 1998-09-22 Taihei Kogyo Kk 歯間ブラシ
ITMI20012245A1 (it) * 2001-10-25 2003-04-25 Ponzini Spa Dispositivo di supporti per scovolino interdentale e simili utensili per igiene orale
JP3886050B2 (ja) * 2003-05-20 2007-02-28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歯間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47340B4 (de) 2005-09-30 2008-02-07 Braun Gmbh Dentalreinigungsgerät
BRPI0712190B1 (pt) * 2006-05-30 2018-02-14 Tepe Munhygienprodukter Ab Escova interdental
JP2008154901A (ja) 2006-12-26 2008-07-10 Lion Corp 歯間ブラシ
KR200438714Y1 (ko) * 2007-05-15 2008-03-03 장강식 탄력 체결 구조의 리필용 치간칫솔
JP2009005740A (ja) * 2007-06-26 2009-01-15 Lion Corp 歯間ブラシ
JP4942794B2 (ja) * 2009-07-02 2012-05-30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歯間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532A1 (en) * 1984-10-25 1986-05-09 Curaden Ag Devic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ings
DE10354774A1 (de) 2003-11-21 2005-06-23 Zahoransk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ürsten sowie danach hergestellte Bürste
WO2009081783A1 (ja) * 2007-12-26 2009-07-02 Lion Corporation 歯間ブラシ
WO2009108470A1 (en) 2008-02-27 2009-09-03 Swain Ryan B Orthodontic kit and methods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25585A (zh) 2020-06-02
JP2020531154A (ja) 2020-11-05
BR112020003641A2 (pt) 2020-09-01
WO2019037879A1 (de) 2019-02-28
JP7330947B2 (ja) 2023-08-22
EP3672446C0 (de) 2023-10-04
CN111225585B (zh) 2023-07-14
EP3672446A1 (de) 2020-07-01
KR20200045495A (ko) 2020-05-04
EP3672446B1 (de)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908B1 (ko) 전동 칫솔용 리필품
US11672633B2 (en)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US20190246778A1 (en) Method for producing brushes, in particular interdental brushes, and brush, in particular interdental brush, and product group comprising a plurality of brushes
KR102443391B1 (ko) 전동 칫솔용 결합 기구
CN108024619B (zh) 牙刷
KR20130121931A (ko) 구강관리기구
KR20120082471A (ko) 구강 세정 장치의 구강 세정 섹션 및 구강 세정 장치
CN111493506B (zh) 牙刷
CA2684648A1 (en) Toothbrush_having cleaning elements with indentation(s)
KR102627142B1 (ko) 칫솔 및 칫솔 제조 방법
TW201735830A (zh) 新穎裝置
KR20180054616A (ko) 브러시헤드
EP2873343B1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02174B1 (ko) 치간 브러시
US5694658A (en) Flexible toothbrush
JP2019202136A (ja) 歯ブラシ毛および毛束
US20040117930A1 (en) Toothbrush
JP2019054829A (ja) 動物用櫛ブラシ
US20130185882A1 (en) Head For An Oral Hygiene Device
JP3221071U (ja) 歯ブラシ
JP2000033010A (ja) 歯ブラシ
CN109497693A (zh) 用于口腔护理器具的刚毛
US20230225492A1 (en) An electrically operated assembly and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US20230225841A1 (en)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and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BR112020003641B1 (pt) Escova interdental, sortimento com pelo menos duas escovas interdentais 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escova interden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