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72B1 -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472B1
KR102400472B1 KR1020170107324A KR20170107324A KR102400472B1 KR 102400472 B1 KR102400472 B1 KR 102400472B1 KR 1020170107324 A KR1020170107324 A KR 1020170107324A KR 20170107324 A KR20170107324 A KR 20170107324A KR 102400472 B1 KR102400472 B1 KR 10240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fluid
orifice
insulator
engin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02A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472B1/ko
Priority to US15/819,222 priority patent/US10406904B2/en
Priority to CN201711296694.8A priority patent/CN109424693B/zh
Publication of KR2019002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27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lexible walls of equilibration chambers; decoupling or self-tu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75Plastically deformabl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262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hanging geometry of passages between working and equilibration chambers, e.g. cross-sectional area or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63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ssages between work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16F13/107Passage design between working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엔진 마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에 설치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코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유체가 체워진 공간을 상부액실과 하부액실로 구획하며 상,하부액실 간의 유체 흐름 유도를 위한 오리피스를 갖는 오리피스조립체를 구비하는 엔진 마운트로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조립체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막;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조립체는 유체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유체이송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작동하며 유체를 선택적으로 상부액실 또는 하부액실로 이동시켜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의 액량을 조절하는 엔진 마운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마운트{Engine mount}
본 발명은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 엔진은 엔진 마운트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다. 이 엔진 마운트는 러버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을 절연 및 감쇠시키는 러버 마운트와 하이드로액이 봉입되도록 구성된 유체 마운트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조건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세미 액티브 마운트나 액티브 마운트, 또는 자기유변(magnetorheological fluids : MRF) 마운트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세미 액티브 마운트나 액티브 마운트는 한국공개특허 10-2013-000374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세미 액티브 마운트와 액티브 마운트는 동특성을 낮춰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MRF 마운트는 동특성을 높여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미 액티브 마운트나 액티브 마운트는 동특성을 ON/OFF 방식으로 제어만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자석의 관성 저항이 작용하여 제어가 어려우며,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MRF 마운트는 MR유체의 가격이 비싸며, 장시간 방치된 경우 내부 금속(steel) 분자가 가라앉아 동특성이 가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는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동특성을 가변시켜 NVH 및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에 설치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코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유체가 체워진 공간을 상부액실과 하부액실로 구획하며 상,하부액실 간의 유체 흐름 유도를 위한 오리피스를 갖는 오리피스조립체를 구비하는 엔진 마운트로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조립체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막;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조립체는 유체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유체이송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작동하며 유체를 선택적으로 상부액실 또는 하부액실로 이동시켜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의 액량을 조절하는 엔진 마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를 상부액실에서 하부액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고무막은 상기 인슐레이터로부터 이격되며 상부액실과 인슐레이터 사이의 특성이 유체 특성에서 고무 특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를 하부액실에서 상부액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액실의 압력이 증가하며 진동에 의해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고무막 사이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대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조립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오리피스가 형성된 하측 플레이트;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오리피스가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상측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이송부; 및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이송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소정 각도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중심에 유체이송부가 배치되도록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오리피스와 상부 오리피스는 상기 유체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의 둘레를 따라 환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체가 상부액실에서 하부액실로 유동하거나 상기 하부액실에서 상부액실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홈과, 상기 유로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홈과 상기 하부액실을 연통하는 제1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플레이트는 상기 유로홈과 상부액실을 연통하는 제2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상기 모터가 압입 결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중심이 중공된 링 형상을 갖추고,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설치되고 중심부는 수용부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유체이송부를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유체이송부 및 상측 플레이트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측 플레이트 상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고정핀이 설치되어 상측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는 일반운행, 엔진의 공회전, 급발진이나 급회전 등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동특성을 가변시켜 NVH 및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존 액티브 마운트 및 MRF 마운트의 성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비용 및 부가적인 소요품 비용 등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에 구비된 오리피스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가 NVH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가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엔진 마운트에 구비된 오리피스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 마운트(1)는 엔진(미도시)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20)와, 코어(20)에 설치되어 코어(20)로 전달되는 하중 및 진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인슐레이터(30) 및 상기 인슐레이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오리피스조립체(60)가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1)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12)는 중공된 상태로서일단이 인슐레이터(30)와 결합되어 상부케이스(11)에 설치되고, 타단이 오리피스조립체(60)와 결합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12)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서 다이어프램(40)이 하부 케이스(12) 및 오리피스조립체(60)에 결합되며 하부액실(1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어(20)와 인슐레이터(30)는 엔진 마운트(1)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슐레이터(30)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고무막(50)이 설치된다. 이 고무막(50)은 후술할 오리피스조립체(60)에 의하여 인슐레이터(30)와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상부액실(15)의 액량을 가변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무막(50)의 작동에 따른 기능 및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0)와 다이어프램(40) 사이 즉, 고무막(50)과 다이어프램(40) 사이에는 오리피스조립체(60)가 설치된다. 또한, 고무막(50)과 다이어프램(40) 사이에는 유체가 채워진다. 오리피스조립체(60)는 유체가 체워진 공간을 상부액실(15)과 하부액실(16)로 구획하며, 상부액실(15)과 하부액실(16) 간의 유체 흐름 유도를 위한 오리피스(161, 261)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리피스조립체(60)는 하측 플레이트(160)와, 하측 플레이트(16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측 플레이트(260)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160)와 상측 플레이트(260)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이송부(360) 및 하측 플레이트(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체이송부(360)를 회전시키는 모터(460)를 포함한다.
하측 플레이트(160)는 하부액실(16)과 연통되는 하부 오리피스(161)를 포함한다. 이 하부 오리피스(161)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 오리피스(161)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하측 플레이트(160)는 하부 오리피스(161)의 둘레를 따라 환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로홈(162)과, 하부액실(16)과 유로홈(162)이 연통되도록 유로홈(162)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연통홀(163)과, 유체이송부(360)가 수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64) 및 모터(460)가 설치되는 수용부(165)를 포함한다.
유로홈(162)은 하부 오리피스(161)의 둘레를 따라 환 형상으로 마련되며, 유체가 상부액실(15)에서 하부액실(16)로 유동하거나, 하부액실(16)에서 상부액실(15)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연통홀(163)은 하부액실(16)과 연통되도록 하부액실(16)을 향하는 방향측의 유로홈(162) 일단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연통홀(163)의 개수 및 크기는 하부 오리피스(161)의 개수 및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단차부(164)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중심에 유체이송부(360)가 배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하측 플레이트(160)의 중앙부분이 단차져 유체이송부(36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체이송부(360)가 안착되는 단차진 단차면에는 하부 오리피스(161)가 형성된다.
수용부(165)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하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수용부(165)는 모터(460)가 압입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을 갖는다. 또한, 모터(460)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65)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하부 중심부에 마련된다.
상측 플레이트(260)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하측 플레이트(16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이 상측 플레이트(260)는 상부액실(15)과 연통되는 상부 오리피스(261)와, 유로홈(162)과 상부액실(15)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연통홀(263)을 포함한다.
상부 오리피스(261)는 상측 플레이트(26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 오리피스(261)는 상측 플레이트(2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이 상부 오리피스(261)는 하부 오리피스(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연통홀(263)은 유로홈(162)과 상부액실(15)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연통홀(163)이 하부액실(16) 및 유로홈(162)과 연통되고, 제2 연통홀(263)이 상부액실(15) 및 유로홈(162)과 연통됨에 따라 상부액실(15)과 하부액실(16)은 유로홈(162)을 통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전술된 상부 오리피스(261)와 하부 오리피스(161)에 의하여 상부액실(15)과 하부액실(16)이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액실(15) 및 하부액실(16)이 연통된 구조(오리피스와 홀의 형성 위치 및 그 개수와 크기)는 유체의 흐름과 유량 등을 제어하여 동특성을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이송부(360)는 하측 플레이트(160)와 상측 플레이트(260)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체이송부(360)는 하측 플레이트(160)의 단차부(164) 내에 수용되며 모터(460)에 의해 회전된다. 이 유체이송부(360)는 회전하며 유체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체이송부(360)는 모터(460)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소정 각도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361)를 구비한다. 예컨대, 유체이송부(360)는 프로펠러 또는 팬(fan)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유체이송부(360)는 모터(460)의 회전방향 즉,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유체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유체이송부(360)는 하부 오리피스(161)와 상부 오리피스(26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유체 이송시 하부액실(16)에서 상부액실(15) 또는 상부액실(15)에서 하부액실(16)로 유체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모터(460)는 정역회전하며 유체이송부(36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모터(460)는 수용부(165)에 압입 결합되어 유체이송부(36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모터(460)의 회전축(462)이 하측 플레이트(160)를 관통하여 유체이송부(36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축(462)은 하측 플레이트(160), 유체이송부(360) 및 상측 플레이트(26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상측 플레이트(260) 상으로 돌출된 회전축(462)에 고정핀(464)이 설치되어 상측 플레이트(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오리피스조립체(60)는 하나의 일체형 서브 조립체로 마련될 수 있어, 엔진 마운트(1)의 제작 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이어프램(40)은 중심이 중공괸 링 형상을 갖는다. 이에 다이어프램(40)의 가장자리가 케이스(10)에 설치되고 중심부는 수용부(165)에 압입 결합된다.
한편, 케이스(10)와 인슐레이터(30)에는 상기 인슐레이터(30)와 고무막(50) 사이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대기홀(13, 33)이 형성된다. 대기홀(13, 33)은 고무막(50)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대기와 연통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엔진 마운트(1)가 주행 조건에 따라 작동하며 진동 및 소음을 감쇠하거나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반 주행 조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송부(36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시 상부액실(15)의 유체가 제2 연통홀(263)을 통해 유로홈(162)을 통과하면서 감쇠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 거동에 의한 주행진동(Secondary ride shake)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NVH 개선 조건에서의 엔진 마운트(1) 작동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엔진의 공회전 시(고주파대역의 진동이 발생할 시) 운전자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진동만 느낌에 따라 엔진에서 입력되는 진동의 최소화가 중요하다, 즉, 엔진과 차체의 전달계인 엔진 마운트(1)의 절연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유체 마운트에 비하여 고무 마운트가 유리하다. 이는 유체 마운트의 동특성이 높고, 고무 마운트의 동특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460)를 통하여 유체이송부(3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액실(15)의 유체를 하부액실(16) 측으로 강제 이송시킨다. 이에, 고무막(50)이 인슐레이터(30)와 분리됨에 따라 상부액실(15)의 체적이 감소되며 유체 마운트가 고무 마운트로 변경된다. 또한, 하부액실(16)로 강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하여 다이어프램(40)은 팽창되며 증가된 체적에 따른 유체를 수용하게 된다. 즉, 동특성 하향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특성 가변 즉, NVH 개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체이송부(36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유체의 흐름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체이송부(360)의 작동에 따라 중앙부에 위치한 상부 오리피스(261) 및 하부 오리피스(161)를 통하여 유체가 상부액실(15)에서 하부액실(16)로 이송된다.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유체가 송출된다. 하부액실(16)로 송출된 유체는 제1 연통홀(163)과 유로홈(162) 및 제2 연통홀(263)을 통하여 상부액실(15)로 원복된다.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유체가 원복된다. 이때, 제1 연통홀(163)과 유로홈(162) 및 제2 연통홀(263)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로는 상부 오리피스(261)와 하부 오리피스(161)를 통해 이송되는 경로에 비해 길이가 길어 유체 저항으로 원복이 느리게 된다. 또한, 상,하부 오리피스(261, 161)의 크기 및 개수에 비하여 연통홀(263, 163)의 크기 및 개수가 작아 송출되는 유량보다 원복되는 유량이 적게 된다.
한편, 케이스(10)와 인슐레이터(30)에 형성된 대기홀(13, 33)에 의하여 고무막(50)의 유동이 용이하여 유체 마운트에서 고무 마운트로의 변환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승차감 및 핸들링 개선 조건에서의 엔진 마운트(1) 작동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의 운행 중 코너링 또는 급발진 시 동특성이 낮게되면 차체와 상대운동이 커져 일체감이 떨어짐으로 운전성이 저하된다. 이에, 동특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모터(460)를 통하여 유체이송부(3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액실(16)의 유체를 상부액실(15) 측으로 강제 이송시킨다. 이에, 상부액실(15)의 액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액실(15)은 진동(누르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커져 정특성 및 동특성이 향상됨으로써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특성 가변 즉, 승차감과 핸들링 개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체이송부(36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유체의 흐름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체이송부(360)의 작동에 따라 중앙부에 위치한 하부 오리피스(161) 및 상부 오리피스(261)를 통하여 유체가 하부액실(16)에서 상부액실(15)로 이송된다.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유체가 송출된다. 상부액실(15)로 송출된 유체는 제2 연통홀(263)과 유로홈(162) 및 제1 연통홀(163)을 통하여 하부액실(16)로 원복된다.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유체가 원복된다. 이때, 제2 연통홀(263)과 유로홈(162) 및 제1 연통홀(163)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로는 하부 오리피스(161)와 상부 오리피스(261)를 통해 이송되는 경로에 비해 길이가 길어 유체 저항으로 원복이 느리게 된다. 또한, 상,하부 오리피스(261, 161)의 크기 및 개수에 비하여 연통홀(263, 163)의 크기 및 개수가 작아 송출되는 유량보다 원복되는 유량이 적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이송부(360)를 통해 유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특성은 선형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동특성을 가변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체이송부(36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NVH 개선 시 고무막(50)이 인슐레이터(30)로부터 분리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로홈(162)을 통해 원복되는 액량 대비 유체이송부(360)에 의해 강제 송출되는 액량이 크기만 하면된다. 하지만, 승차감과 핸들링의 개선 시 차량의 선회속도가 크거나 급발진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유체이송부(36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즉, 유체의 강제 송출량을 증가시켜 동특성을 더욱 증가시켜야 한다. 이러한 제어는 모터(4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 개선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엔진 마운트 10 : 케이스
13 : 대기홀 15 : 상부액실
16 : 하부액실 20 : 코어
30 : 인슐레이터 33 : 대기홀
40 : 다이어프램 50 : 고무막
60 : 오리피스조립체 160 : 하측 플레이트
161 : 하부 오리피스 162 : 유로홈
163 : 제1 연통홀 165 : 수용부
260 : 상측 플레이트 261 : 상부 오리피스
263 : 제2 연통홀 360 : 유체이송부
361 : 블레이드 460 : 모터

Claims (12)

  1. 케이스에 설치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코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유체가 체워진 공간을 상부액실과 하부액실로 구획하며 상,하부액실 간의 유체 흐름 유도를 위한 오리피스를 갖는 오리피스조립체를 구비하는 엔진 마운트로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조립체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막;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조립체는 유체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유체이송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작동하며 유체를 선택적으로 상부액실 또는 하부액실로 이동시켜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의 액량을 조절하고,
    상기 오리피스조립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오리피스가 형성된 하측 플레이트;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오리피스가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상측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이송부; 및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이송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소정 각도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의 둘레를 따라 환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체가 상부액실에서 하부액실로 유동하거나 상기 하부액실에서 상부액실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홈과, 상기 유로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홈과 상기 하부액실을 연통하는 제1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는 상기 유로홈과 상부액실을 연통하는 제2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이송부를 통해 유체를 상기 상부액실 또는 하부액실로 이동 시 상기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오리피스를 통해 송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 연통홀, 유로홈, 제2 연통홀을 통해 원복되는 유체의 유량보다 크고,
    상기 송출되는 유체와 원복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엔진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상부액실에서 하부액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고무막은 상기 인슐레이터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유체의 동특성이 고무의 동특성으로 가변되며 동특성이 낮아지는 엔진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하부액실에서 상부액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액실의 압력이 증가하며 진동에 의해 저항력이 증대되는 엔진 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고무막 사이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대기홀이 형성되는 엔진 마운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중심에 유체이송부가 배치되도록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하는 엔진 마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리피스와 상부 오리피스는 상기 유체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엔진 마운트.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상기 모터가 압입 결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엔진 마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중심이 중공된 링 형상을 갖추고,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설치되고 중심부는 수용부에 압입 결합되는 엔진 마운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유체이송부를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유체이송부 및 상측 플레이트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측 플레이트 상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고정핀이 설치되어 상측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진 마운트.
KR1020170107324A 2017-08-24 2017-08-24 엔진 마운트 KR10240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4A KR102400472B1 (ko) 2017-08-24 2017-08-24 엔진 마운트
US15/819,222 US10406904B2 (en) 2017-08-24 2017-11-21 Engine mount
CN201711296694.8A CN109424693B (zh) 2017-08-24 2017-12-08 发动机支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4A KR102400472B1 (ko) 2017-08-24 2017-08-24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02A KR20190021902A (ko) 2019-03-06
KR102400472B1 true KR102400472B1 (ko) 2022-05-20

Family

ID=6543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24A KR102400472B1 (ko) 2017-08-24 2017-08-24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6904B2 (ko)
KR (1) KR102400472B1 (ko)
CN (1) CN109424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9303B2 (ja) * 2018-05-10 2022-10-24 株式会社プロスパイラ 防振装置
USD897374S1 (en) * 2018-11-03 2020-09-29 North American Aerospace Corporation Engine mount
KR20200142181A (ko) * 2019-06-12 2020-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KR20210027754A (ko) * 2019-09-03 2021-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체 마운트
KR20210121632A (ko) * 2020-03-31 2021-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20210122422A (ko) * 2020-04-01 2021-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20210125645A (ko) * 2020-04-08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CN112291982B (zh) * 2020-10-26 2022-04-19 安徽卓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识别装置的防湿热结构
IT202100003455A1 (it) 2021-02-16 2022-08-16 Lumson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fluid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0969A1 (en) * 2007-03-22 2008-09-25 Tokai Rubber Industries, Ltd.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1592A1 (de) * 1984-11-14 1986-05-15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Hydraulisch gedaempftes elastisches lager
JPS62180130A (ja) * 1986-02-03 1987-08-07 Honda Motor Co Ltd 可変オリフイスを有する複合エンジンマウント
JPH01120451A (ja) * 1987-10-31 1989-05-12 Tokai Rubber Ind Ltd 電気粘性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H0425636A (ja) * 1990-05-18 1992-01-29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及び防振方法
CA2094208A1 (en) * 1992-04-28 1993-10-29 Richard D. Hein Prepackaged fluid-damping article for elastomeric mounts and methods of formation and installation
GB9222656D0 (en) * 1992-10-28 1992-12-09 Draftex Ind Ltd A controllable support element
FR2701525B1 (fr) * 1993-02-12 1995-04-21 Hutchinson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antivibratoires hydrauliques.
GB9510660D0 (en) * 1995-05-26 1995-07-19 Avon Clevite Ltd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DE19751783C2 (de) * 1997-11-21 2000-07-06 Btr Avs Technical Centre Gmbh Hydraulisch dämpfendes Zweikammer-Motorlager
KR20020018206A (ko) * 2000-09-01 2002-03-08 류정열 유체이동 제어식 엔진 마운트
JP3629483B2 (ja) * 2001-07-16 2005-03-1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切替型液封入式防振装置
KR100470795B1 (ko) * 2001-12-10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US6848682B2 (en) * 2002-02-07 2005-02-01 Delphi Technologies, Inc. Bi-state hydraulic mount
KR20040035262A (ko) * 2002-10-19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체마운트
JP5027008B2 (ja) * 2007-10-22 2012-09-1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15025515A (ja) *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0969A1 (en) * 2007-03-22 2008-09-25 Tokai Rubber Industries, Ltd.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1509A1 (en) 2019-02-28
US10406904B2 (en) 2019-09-10
CN109424693B (zh) 2021-03-05
CN109424693A (zh) 2019-03-05
KR2019002190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472B1 (ko) 엔진 마운트
JP2977796B2 (ja) 流体充填弾性振動減衰装置
US7637486B2 (en) Very high damping body mount, subframe mount or engine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KR101288995B1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JPH0229898B2 (ko)
US20110024960A1 (en) Multi-stage switchable inertia track assembly
JPH03149424A (ja) 調節可能な長さの慣性トラツクを備えた取付台
CN102734375A (zh) 液封式防振装置
JP6586241B2 (ja) 負圧弁を備える液体封入式マウント
US5887844A (en) Fluid-sea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
CN111623075A (zh) 变刚度减振装置
CN109667880B (zh) 液压悬置元件
CN109751359B (zh) 主动式发动机悬置装置
KR100722311B1 (ko) 유체봉입식 마운트장치
US20050285318A1 (en) Hydro-mount
JP2004069005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6669181B2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KR100457673B1 (ko) 유체봉입식 엔진 마운팅
JP4210851B2 (ja) 車両用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2001050330A (ja) 液圧緩衝式マウント
JP4231980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H04277341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H02245538A (ja) 流体封入式筒型マウント装置
JP2002019630A (ja) 動力舵取装置
JP2001124132A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