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09B1 -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09B1
KR102392309B1 KR1020200110062A KR20200110062A KR102392309B1 KR 102392309 B1 KR102392309 B1 KR 102392309B1 KR 1020200110062 A KR1020200110062 A KR 1020200110062A KR 20200110062 A KR20200110062 A KR 20200110062A KR 102392309 B1 KR102392309 B1 KR 10239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screen fabric
unit
fi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407A (ko
Inventor
김성철
이호원
Original Assignee
(주)두원텍스타일
이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원텍스타일, 이호원 filed Critical (주)두원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20011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6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wool-protecting agents; with anti-moth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06B19/0017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the textile material passing through a cham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는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하는 살충용액 침지부; 상기 살충용액에 침지된 방충망 원단을 가열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 의해 가열된 방충망 원단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Fiber scre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방충망에 접촉하는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내,외부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되 파리나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문 또는 출입문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막으면서 통기성도 보장하기 위해 약 0.15mm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사를 이용하여 미세한 격자 구조의 망체를 형성한 후 그 테두리를 나무나 플라스틱 틀 등에 고정시킨 후 창틀에 설치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충망의 경우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므로, 빗물 등에 의하여 사용 중 녹이 발생되고, 일조시간 동안은 자체 온도가 상승하므로 여름철 실내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종래의 방충망은 해충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막는 기능만을 중점을 두고 제조되므로, 해충이 방충망 바깥쪽에 달라 붙어있다가 창과 창틀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초파리와 같은 작은 크기의 해충까지 유입을 차단하도록 방충망의 통기구멍을 작게 하는 미세 방충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미세 방충망은 일반적인 방충망보다 망목이 훨씬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망목이 쉽게 폐쇄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7899호(2020.01.0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방충망에 접촉하는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섬유 소재로 방충망을 구성하여 녹발생이나 햇빛에 의해 자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살충용액을 쉽게 흡수하고, 건조된 살충용액에 의해 내구성이 확보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에 살충용액을 함침한 뒤 이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방충망 원단이 다수의 챔버를 통과하도록 하되, 다수의 챔버의 내부 온도를 방충망 원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가열 건조과정에서 살충용액이 경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하는 살충용액 침지부; 상기 살충용액에 침지된 방충망 원단을 가열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 의해 가열된 방충망 원단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는, 입구부와 출구부를 구비하고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히터 및 다수의 챔버 내에 각각 배치되는 히터를 통해 다수의 챔버의 내부 온도를 상기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일단부는 상기 히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를 통과하는 방충망 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향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타단부의 상기 방충망 원단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열풍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열풍 가이드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가이드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용액 침지부는 살충용액을 저장하고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조 및 상기 침지조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침지조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의 상하로 배치되는 스퀴즈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용액은 퍼메트린(Permethri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메트린은 수용성 유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공급 단계를 통해 공급되는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하는 살충용액 침지단계; 상기 살충용액에 침지된 방충망 원단을 가열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냉각단계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챔버의 내부 온도를 상기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용액 침지단계는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와, 살충용액을 흡수한 방충망 원단을 한 쌍의 스퀴즈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스퀴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방충망에 접촉하는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섬유 소재로 방충망을 구성하여 녹발생이나 햇빛에 의해 자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살충용액을 쉽게 흡수하고, 건조된 살충용액에 의해 내구성이 확보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에 살충용액을 함침한 뒤 이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방충망 원단이 다수의 챔버를 통과하도록 하되, 다수의 챔버의 내부 온도를 방충망 원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가열 건조과정에서 살충용액이 경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충용액 침지부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챔버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충용액 침지부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챔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는 크게 공급부(110), 살충용액 침지부(120), 건조부(130), 냉각부(140) 및 배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섬유 소재(fiber)의 방충망 원단(N)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방충망 원단(N)이 권취된 롤에서 방충망 원단(N)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충망 원단(N)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텐션 조절, 방충망 원단(N)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오버 피드, 방충망 원단(N)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사행도 조정 등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충용액 침지부(120)는 상기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방충망 원단(N)을 살충용액(P)에 침지하는 것으로서, 살충용액(P)을 저장하고 방충망 원단(N)을 살충용액(P)에 침지시키는 침지조(121) 및 상기 침지조(121)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침지조(121)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N)의 상하로 배치되는 스퀴즈 롤러(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살충용액(P)은 살충 성분인 퍼메트린(Permethrin)을 포함하는 저 농도의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방충망 원단(N)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 코팅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메트린(Permethrin)은 벌레의 소화계 또는 신경계를 마비시키거나 장애를 주어 살충하고, 벌레에 속효성이 있는 접촉독 및 식독으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방질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강하므로 벌레의 표피를 잘 통과하여 충체 내의 작용점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약효가 확실하고, 신경이 없는 식물에는 독작용의 피해를 주지 않으며,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거나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살충용액(P)은 수용성 유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N)이 침지조(1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충망 원단(N)을 구성하는 섬유 조직 내부로 쉽고 빠르게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퀴즈 롤러(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축력에 의해 방충망 원단(N)을 구성하는 섬유 조직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흡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130)는 상기 방충망 원단(N)에 흡수된 살충용액(P)을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부와 출구부를 구비하고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는 챔버(131), 상기 챔버(131)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히터(132), 일단부는 상기 히터(13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방충망 원단(N)의 상면과 하면을 향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타단부의 상기 방충망 원단(N)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열풍 분사노즐(133a)이 마련되는 송풍가이드(133), 상기 히터(13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가이드(133)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팬(134), 상기 챔버(13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상기 챔버(131)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135)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통해 히터(132)를 제어하여 각 챔버(131)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다수의 챔버(131)의 내부 온도를 상기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이송팬(134)에 의해 송풍가이드(133)로 제공되고, 송풍가이드(133)의 타단부에 마련된 열풍 분사노즐(133a)을 통해 방충망 원단(N)의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분사되어, 방충망 원단(N)에 흡수된 살충용액(P)을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 열풍 분사노즐(133a)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챔버(131)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기부(135)를 통해 살충용액(P)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함께 챔버(13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챔버(131) 중 선단부에 위치하는 일부 챔버(131)는 내부 온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일부 챔버(131)는 내부 온도가 살충용액(P)의 건조를 위한 최적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후단부에 위치하는 일부 챔버(131)는 내부 온도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할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조부(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챔버(131)는 도 4와 같이 9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1번 챔버(131a)의 내부 온도는 150도, 2번 챔버(131b)의 내부 온도는 160도, 3~7번 챔버(131c,131d,131e,131f,131g)의 내부 온도는 170도, 8번 챔버(131h)의 내부 온도는 160도, 9번 챔버(131i)의 내부 온도는 150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각 챔버(131) 내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히터(13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다수의 챔버(131a~131i)의 내부 온도를 각각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챔버(131)의 내부 온도를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였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살충용액(P)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충용액(P)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살충용액(P)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후속하는 냉각부(140)에 의한 냉각 과정에서도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하여 건조된 살충용액(P)의 표면이 경화되거나 열수축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충망 원단(N)을 섬유 소재로 구성하여 살충용액(P)에 침지하였을 때 살충용액(P)이 방충망 원단(N)의 조직 내부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건조 과정에서 살충용액(P)이 경화되지 않도록 하여 살충용액(P)이 흡수된 섬유 조직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방충망을 섬유 소재로 구성하면서도 충분한 내구성, 즉 창호에 설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파손 또는 찢어지지 않는 인장강도와 파열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충용액(P)은 섬유 조직 내부에 함유되고, 일부는 섬유 조직 표면에 고착되므로, 살충 효과 지속시간은 방충망 원단(N)의 수명과 같게 된다. 또한, 건조 후 섬유 조직 표면에 고착된 살충용액(P)은 아크릴 성분으로 인해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게 되므로,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140)는 방충망 원단(N)이 통과하는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방충망 원단(N)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냉풍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냉풍 가이드 및 상기 건조부(130)에서 배출되는 방충망 원단(N)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냉풍 가이드로 공급하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팬은 외기를 냉풍 가이드로 공급할 수 있으나, 별도의 냉각기구에 냉각된 냉기를 냉풍 가이드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150)는 상기 냉각부(140)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N)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롤 형태로 권취하여 배출하거나 일정 폭으로 반복적으로 접어 배출하거나 미리 결정된 일정 크기로 방충망 원단(N)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를 이용한 섬유 방충망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 섬유 방충망 제조 방법은 공급단계(S10), 살충용액 침지단계(S20), 건조단계(S30), 냉각단계(S40) 및 배출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단계(S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공급부(110)를 통해 롤 형태 또는 원단 형태로 제공되는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N)을 장치 내로 도입할 수 있으며, 공급부(110)를 통해 도입된 방충망 원단(N)은 양측 방향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후속 공정으로 제공된다.
상기 살충용액 침지단계(S20)는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N)을 살충용액(P)에 침지하는 단계와, 살충용액(P)을 흡수한 방충망 원단(N)을 한 쌍의 스퀴즈 롤러(122)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충망 원단(N)을 살충용액(P)에 침지하는 단계에서는 살충용액(P)이 저장된 침지조(121)에 방충망 원단(N)을 함침시킴으로써 방충망 원단(N)을 구성하는 섬유 조직 내에 살충용액(P)이 쉽고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방충망 원단(N)을 한 쌍의 스퀴즈 롤러(122)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에서는 살충용액(P)이 흡수된 방충망 원단(N)을 한 쌍의 스퀴즈 롤러(122) 사이로 통과시켜 방충망 원단(N)에 압축력을 제공함으로써 살충용액(P)이 방충망 원단(N)을 구성하는 섬유 조직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스퀴즈 롤러(122)는 침지조(12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스퀴즈 롤러(122)에 의해 방충망 원단(N)에서 배출되어 스퀴즈 롤러(122) 하부로 흘러내리는 살충용액(P)이 침지조(121)로 다시 회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살충용액(P)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30)에서는 방충망 원단(N)에 흡수된 살충용액(P)이 건조부(1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챔버(1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132)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됨에 따라, 방충망 원단(N)의 조직 내부와 표면에서 고착되어 방충망 원단(N)의 자체 강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방충망 원단(N)의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가 됨에 따라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충망 원단(N)은 건조부(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챔버(131)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는데, 복수의 챔버(131)는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내부 온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되므로,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살충용액(P)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충용액(P)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살충용액(P)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살충용액(P)은 방충망 원단(N)의 섬유 조직에 흡수된 상태에서 유연성을 가지는 상태로 건조되어야 하는데,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경화되는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어 방충망 원단(N)을 구성하는 섬유 조직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부(130)의 제어부가 다수의 챔버(131) 중 선단부에 위치하는 일부 챔버(131)의 온도를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방충망 원단(N)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챔버(131) 중 후단부에 위치하는 일부 챔버(131)의 온도를 방충망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하강시켜 후속하는 냉각 과정에서 방충망 원단(N)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S40)에서는 건조부(130)의 후단부에 배치된 냉각부(140)에서 방충망 원단(N)이 통과하는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냉풍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방충망 원단(N)의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냉각용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가열된 상태의 방충망 원단(N)을 냉각한다.
이때, 상기 가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챔버(131) 중 후단부에 위치한 일부 챔버(131)에서 온도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므로, 가열단계에서 배출되는 방충망 원단(N)이 냉각단계(S40)를 거치는 과정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하여 건조된 살충용욕의 표면이 경화되거나 열수축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단계(S50)에서는 상기 냉각단계(S40)를 거쳐 충분히 냉각된 방충망 원단(N)을 배출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롤 형태로 권취하여 배출하거나, 일정한 폭으로 왕복하면서 원단을 접어 배출하거나,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공급부, 120:살충용액 도포부, 121:침지조,
122:스퀴즈 롤러, 130:건조부, 131:챔버,
132:히터, 133:송풍가이드, 133a:열풍 분사노즐,
134:이송팬, 135:배기부, 140:냉각부,
150:배출부, N:방충망 원단, P:살충용액

Claims (10)

  1. 섬유 소재의 방충망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하는 살충용액 침지부;
    상기 살충용액에 침지된 방충망 원단을 가열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 의해 가열된 방충망 원단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입구부와 출구부를 구비하고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히터 및 다수의 챔버 내에 각각 배치되는 히터를 통해 다수의 챔버의 내부 온도를 상기 방충망 원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일단부는 상기 히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를 통과하는 방충망 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향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타단부의 상기 방충망 원단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열풍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열풍 가이드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가이드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용액 침지부는 살충용액을 저장하고 방충망 원단을 살충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조 및 상기 침지조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침지조를 통과한 방충망 원단의 상하로 배치되는 스퀴즈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용액은 퍼메트린(Permethr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퍼메트린은 수용성 유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0062A 2020-08-31 2020-08-31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9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62A KR102392309B1 (ko) 2020-08-31 2020-08-31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62A KR102392309B1 (ko) 2020-08-31 2020-08-31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07A KR20220030407A (ko) 2022-03-11
KR102392309B1 true KR102392309B1 (ko) 2022-05-03

Family

ID=8081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62A KR102392309B1 (ko) 2020-08-31 2020-08-31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39B1 (ko) * 2019-02-08 2020-02-11 주식회사 이투리노베이션 방충망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05012C2 (uk) * 2008-07-30 2014-04-10 Басф Се Сітка, просочена інсектицидами, та її застосування для захисту від шкідників
KR102067899B1 (ko) 2018-06-26 2020-01-17 정문현 친환경 알루미늄 방충망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39B1 (ko) * 2019-02-08 2020-02-11 주식회사 이투리노베이션 방충망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07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7591T2 (de) Schädlinge Kontrollsystem
DE2444096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Wärmebehandlung von Verbänden bzw. Gefügen synthetischer Fasern mittels Infrarotstrahlung
DE4308585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kämpfen von Schädlingen
KR102392309B1 (ko) 섬유 방충망 제조 장치 및 방법
DE2206627A1 (de) Verfahren zum Veredeln von Textili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2020721A1 (de) Trocknungs- und Erwaermungsvorrichtung mit Waermeschild
EP1101074B1 (de) Trockner und verfahren zum trocknen von kontinuierlich geförderter ware
KR20160066959A (ko) 냉동고추 건조 시스템
KR102261192B1 (ko) 전기 방충망
DE102008035795B4 (de)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DE19506631C2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gasung von schädlingsbefallenen Gegenständen oder Vorräten
KR101870195B1 (ko) 섬모가 부착된 방충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E1925617A1 (de) Verfahren zur Waermebehandlung durch Konvektion von flachen Einzelwerkstuecken oder fortlaufenden Bahnen oder Draehten,z.B. zu Kunststoffasern,sowie Ofen zur Ausuebung des Verfahrens
JP4966919B2 (ja) 青果物用殺虫装置
CH249098A (de) Anlage zum Trocknen von Bahnen, wie z. B. von Gewebe- oder Papierbahnen.
DE60305346T2 (de) Industriemikrowellenofen zur wärmebehandlung von producten und dabei angewendetes verfahren, insbesondere zur tötung von insekten in holz
JP2011254784A (ja) 光触媒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9853234A1 (de) Wäsche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KR102061639B1 (ko) 방충망 및 그 제조 방법
CH680949A5 (ko)
DE4119787A1 (de) Verfahren zum fortlaufenden konditionieren, insbesondere thermischen konditionieren, von schuettguetern, vorzugsweise pflanzlichen schuettguetern, wie getreide, kraeuter, tabak oder dergleichen
EP1578244B1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trocknungseinrichtung zum trocknen von spülgut
DE102015103351A1 (de) Verfahren zur Trocknung von Bauwerken
DE2108263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Reifenkord erzeugnissen und aus Modul Heizeinheiten zusammengesetzter Ofen zur Durchfuhrung des Verfahrens
AU750910B2 (en) Drying apparatus for coated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