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682B1 -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682B1
KR102386682B1 KR1020200017731A KR20200017731A KR102386682B1 KR 102386682 B1 KR102386682 B1 KR 102386682B1 KR 1020200017731 A KR1020200017731 A KR 1020200017731A KR 20200017731 A KR20200017731 A KR 20200017731A KR 102386682 B1 KR102386682 B1 KR 10238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beverage
air
internal pressur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235A (ko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20001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682B1/ko
Priority to JP2020102547A priority patent/JP2021128139A/ja
Publication of KR2021010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81Inspection especially designed for plastic containers, e.g. prefo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이 소개된다.
이 중에서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는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스크류유닛과,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공급 유닛과,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센서와,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LEAK INSPECTION APPARATUS OF BOTTLE AND VISIO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와 같은 액상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음료병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병은 여러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음료병은블로우 성형(blow molding)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음료병에 라벨을 부착하고, 음료병 내에 음료수를 투입하며, 음료병을 캡으로 락킹할 수 있다.
그런데, 음료병의 블로우성형시, 음료병에는 가열에 의한 탄 자국이 발생되거나, 성형불량으로 리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음료병의 제조 과정에서 음료병에 이물(오염, 상처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9-0081076(2019. 7.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음료병의 리크는 물론, 음료병의 이물을 전반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는,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스크류유닛; 상기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공급 유닛; 에어가 주입된 상기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상기 에어 공급 유닛으로 안내하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 상기 에어 공급 유닛에서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로터리 어셈블리; 상기 음료병의 바닥부 또는 탑면을 검사하기 위한 제 1 검사 모듈; 상기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 2 검사 모듈; 및 상기 음료병의 탑면 또는 바닥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 3 검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 유닛은 회전축;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음료병의 바닥면이 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음료병의 입구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에어 공급기가 조립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기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음료병에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주입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건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관절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입 블럭; 상기 바디의 하단부와 상기 주입 블럭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 및 상부가 상기 주입 블럭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하부가 상기 음료병의 입구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원추형으로 제공되는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병에 대한 상기 에어의 공급시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음료병의 초기 내부 압력과, 소정 시간 경과후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음료병의 말기 내부 압력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음료병에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은,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 투입된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단계;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바닥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탑면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음료병에 대한 에어의 공급시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음료병의 초기 내부 압력과, 소정 시간 경과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음료병의 말기 내부 압력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음료병에 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를 통해,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병의 리크는 물론, 음료병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오염, 상처 등)을 전반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선부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로터리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에어 공급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공급 유닛의 에어건을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선부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로터리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에어 공급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공급 유닛의에어건을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10)는, 스크류유닛(110),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 제 1 검사 모듈(410), 에어 공급 유닛(300), 감지 센서(500), 제 2 검사 모듈(430),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 제 3 검사 모듈(430) 및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유닛(110)은 장치 프레임(101)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1)은 리크 검사장치(10)의 골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프레임, 플레이트 또는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1)에는 리크 검사장치(10)의 주요 구성들, 예를 들어, 스크류유닛(110),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 제 1 검사 모듈(410), 에어 공급 유닛(300), 감지 센서(500), 제 2 검사 모듈(430),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 제 3 검사 모듈(430) 및 컨트롤러(6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 유닛(110)은 리크 검사장치(10)의 입구측에서 음료병(V)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류 유닛(110)은 외부에서 제공받은 음료병(V)을 리크 검사장치(10) 내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로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스크류 유닛(110)은 음료병(V)을 리크 검사장치(10) 내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 유닛(110)은 정렬홈부(112)가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111)와, 스크류(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렬홈부(112)는 스크류(111의 외면에서 스크류(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 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111)가 회전되면, 스크류(111)의 입구측에 위치한 복수 개의 음료병(V)은, 스크류(111)의 정렬홈부(11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어 리크 검사장치(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류(111)에 의해 리크 검사장치(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된 음료병(V)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를 통해 에어 공급 유닛(300)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는 스크류유닛(110)으로부터 공급받은 음료병(V)을 에어 공급 유닛(300)이 위치한 지점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는 로터리 샤프트(201), 제 1 로터리 휠(202), 제 2 로터리 휠(203) 및 종동 플레이트(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터리 휠(202)은 로터리 샤프트(20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로터리 휠(202)의 가장자리부에는음료병(V)의 목부를 지지할 수 있는 넥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로터리 휠(203)은 로터리 샤프트(201)의 중간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로터리 휠(203)의 가장자리부에는음료병(V)의 하부 몸체를 지지할 수 있는 바디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병(V)이 스크류유닛(110)에 의해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되면, 음료병(V)의 목부 및 몸체부는 제 1 로터리 휠(202)의 넥지지홈 및 바디 지지홈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의 종동 플레이트(204)는, 로터리 샤프트(201)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종동 플레이트(204)는 에어 공급 유닛(300)과 연동되게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종동 플레이트(204)는 에어 공급 유닛(300)의 구동 플레이트(3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로터리 샤프트(2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종동 플레이트(204)와 에어 공급 유닛(300)의 구동 플레이트(37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201)가 회전되면, 음료병(V)은 로터리 샤프트(201)의 회전에 의해 에어 공급 유닛(300)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검사 모듈(410)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검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기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에 의해 이동되는 음료병(V)의 바닥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사기는 음료병(V)의 바닥부에 대한 성형불량 및 이물(오염, 상처 등)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검사기를 통해 촬영된 음료병(V)의 바닥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컨트롤러(600)에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검사 모듈(410)은 음료병(V)의 바닥부를 검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검사기의 위치 조정을 통해, 제 1 검사 모듈(410)은 음료병(V)의 바닥부 이외에도, 음료병(V)의 탑면을 검사할 수도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0)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로부터 음료병(V)을 제공 받아,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에어 공급 유닛(300)은 음료병(V)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공급 유닛(300)은 회전축(310), 하부 플레이트(320), 상부 플레이트(330), 구동 플레이트(370), 에어 공급기(340), 승강 플레이트(350), 승강 모터(360) 및 구동 모터(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0)의 하부 플레이트(320)는, 회전축(310)의 하부에 중심부가 장착되는 원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 개의 안착홈부(321)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부(321)에는 음료병(V)의 바닥면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330)는 회전축(310)의 상부에 중심부가 장착되는 원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30)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 개의 에어 공급기(34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370)는 회전축(310)의 하단부에 중심부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370)의 가장자리부에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 및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의 종동 플레이트(204)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플레이트(370)의 가장자리부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의 종동 플레이트(204)는, 상호 맞물도록 치합됨으로써, 구동 플레이트(370)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210)의 종동 플레이트(20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플레이트(370)의 가장자리부와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의 종동 플레이트(204)는, 아이들 기어(미도시)를 매개로 서로 치합됨으로써, 구동 플레이트(370)와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의 종동 플레이트(204)는 같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350)는 회전축(31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350)는 승강 모터(36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축(310)의 상단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350)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편(35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편(351)에는 에어 공급기(340)가 조립될 수 있다.
에어 공급기(340)는 하부 플레이트(320)의 안착홈부(321)에 안착된 음료병(V)의 입구부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 공급기(340)는 지지편(351)을 매개로 승강 플레이트(35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는 바디(341)와, 바디(341)와 승강 플레이트(350)의 지지편(351)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42)과, 바디(34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주입건(3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341)는 상부 플레이트(330)의 가장자리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승강 플레이트(350)가 승강 모터(36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될 때, 에어 공급기(340)는 승강 플레이트(35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특히, 에어 공급기(340)의 주입건(343)은 바디(34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주입 블럭(371)과, 바디(341)의 하단부와 주입 블럭(371)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72)과, 주입 블럭(371)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주입구(3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구(373)의 하부는 음료병(V)의 입구부에 적어도 인입 가능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공급기(340)가 음료병(V)에 에어를 공급할 때, 에어 공급기(340)의 주입구(373)는 음료병(V)의 입구부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주입 블럭(371)은 바디(341)의 하단부에 관절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주입 블럭(371)은 바디(341)의 하단부에 볼 조인트 연결됨으로써, 주입 블럭(371)은 바디(341)의 하단부에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공급기(340)의 주입구(373)가 음료병(V)의 입구부에 정확한 동일 선상에 위치되지 아니하더라도, 에어 공급기(340)의 주입구(373)는 에어 공급기(340)의 주입구(373)에 밀착될 수 있다.
감지 센서(500)는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V)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500)는 에어가 음료병(V)에 주입된 초기 시점에서 음료병(V)의 내부 압력(초기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에어가 음료병(V)에 주입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음료병(V)의 내부 압력(말기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감지 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초기 내부 압력 및 초기 내부 압력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600)에 인가될 수 있다.
제 2 검사 모듈(430)은 에어 공급 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음료병(V)의 사이드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검사 모듈(430)은 조명 램프(432)와, 음료병(V)을 사이에 두고 조명 램프(43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사이드 검사기(4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검사기(431)는 음료병(V)의 몸체에 대한 치수 및 이물(오염, 상처 등)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이드 검사기(431)를 통해 촬영된 음료병(V)의 사이드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컨트롤러(600)에 인가될 수 있다.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는 에어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음료병(V)을 제공받아, 배출 가이드(700)로 안내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700)는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에서 전달받은 음료병(V)을 리크 검사장치(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는 로터리 샤프트(201), 제 1 로터리 휠(202), 제 2 로터리 휠(203) 및 종동 플레이트(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로터리 샤프트(201), 제 1 로터리 휠(202), 제 2 로터리 휠(203) 및 종동 플레이트(204)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의 로터리 샤프트(201), 제 1 로터리 휠(202), 제 2 로터리 휠(203) 및 종동 플레이트(204)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종동 플레이트(204)는 에어 공급 유닛(300)의 구동 플레이트(370)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 플레이트(370)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종동 플레이트(204)의 가장자리부와종동 플레이트(204)의 가장자리부는 아이들 기어(idle gear)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물리도록 치합될 수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0)의 구동 플레이트(370)와 서로 동일한 방향(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3 검사 모듈(430)은 제 2 로터리 어셈블리(2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검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탑 검사기는 음료병(V)의 탑면에 대한 치수 및 성형불량 및 이물(오염, 상처 등)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검사기를 통해 촬영된 음료병(V)의 탑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컨트롤러(600)에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검사 모듈(430)은 음료병(V)의 탑면을 검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검사기의 위치 조정을 통해, 제 3 검사 모듈(430)은 음료병(V)의 탑면 이외에도, 음료병(V)의 바닥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600)는 음료병(V)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음료병(V)의 리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600)는 감지 센서(500)로부터 음료병(V)의 초기 내부 압력 및 말기 내부 압력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을 수 있고, 인가받은 초기 내부 압력 및 말기 내부 압력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음료병(V)에 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600)는 제 1 검사 모듈(410), 제 2 검사 모듈(430) 및 제 3 검사 모듈(430)로부터 음료병(V)의 바닥부, 사이드부 및 탑면의 치수 및 성형불량 및 이물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음료병(V)의 바닥부, 사이드부 및 탑면에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를 원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비젼검사방법은,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S100)와, 음료병의바닥부를 검사하는 단계(S200)와, 투입된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단계(S300)와,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와,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와,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와, 음료병의 탑면을 검사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S100)는,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스크류유닛에 투입한다. 이때, 음료병을 스크류유닛의 정렬홈에 위치시켜, 음료병을 리크 검사장치의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류유닛에 투입된 음료병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바닥부를 검사하는 단계(S200)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에서 이동되는 음료병의 바닥부를 제 1 검사 모듈을 통해 검사한다. 제 1 검사 모듈은 음료병의 바닥부에 대한 이물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바닥부가 검사된 음료병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에 의해 에어 공급 유닛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료병의 바닥부를 검사하는 단계(S200)는, 음료병(V)의 바닥부를 검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검사기의 위치 조정을 통해, 음료병(V)의 바닥부 이외에도, 음료병(V)의 탑면을 검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입된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단계(S300)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에서 이동되는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한다. 예컨대, 제 1 로터리 어셈블리에 의해, 음료병이 에어 공급 유닛의안착홈부로 이동되면, 승강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에어 공급기의 주입구를음료병의입구부에 밀착시키고, 에어 공급기의 주입건을 통해 에어를 음료병에 주입한다.
상기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는, 음료병에 에어가 주입되면,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초기 내부 압력)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음료병의 내부 압력(말기 내부 압력)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한다.
상기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는, 에어 공급 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제 2 검사 모듈을 통해 검사한다. 제 2 검사 모듈은 음료병의 몸체에 대한 이물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이드부가 검사된 음료병은, 에어 공급 유닛의 회전에 의해 제 2 로터리 어셈블리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는, 음료병의 초기 내부 압력 및 말기 내부 압력 간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음료병에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탑면을 검사하는 단계(S700)는, 제 2 로터리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하는 음료병의 탑면을 제 3 검사 모듈을 통해 검사한다. 제 3 검사 모듈은 음료병의 탑면에 대한 이물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탑면이 검사된 음료병은 배출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료병의 탑면을 검사하는 단계(S700)는 음료병(V)의 탑면을 검사할 수 있지만, 검사기의 위치 조정을 통해, 음료병(V)의 탑면 이외에도, 음료병(V)의 바닥부를 검사할 수도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를 통해,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고, 음료병의 리크는 물론, 음료병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오염, 상처 등)을 전반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1 :장치 프레임 110 :스크류유닛
210 :제 1 로터리 어셈블리 220 :제 2 로터리 어셈블리
300 :에어 공급 유닛 310 :회전축
320 :하부 플레이트 330 :상부 플레이트
340 :에어 공급기 350 :승강 플레이트
360 :승강 모터 410 :제 1 검사 모듈
420 :제 2 검사 모듈 430 :제 3 검사 모듈
500 :감지 센서 600 :컨트롤러
700 :배출 가이드

Claims (9)

  1.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스크류유닛;
    상기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공급 유닛;
    에어가 주입된 상기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센서;
    상기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상기 스크류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상기 에어 공급 유닛으로 안내하는 제 1 로터리 어셈블리; 및
    상기 에어 공급 유닛에서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로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터리 어셈블리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 1 로터리 휠과,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중간부에 장착되는 제 2 로터리 휠과,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종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공급 유닛은
    회전축과,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음료병의 바닥면이 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음료병의 입구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에어 공급기가 조립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모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터리 샤프트에 전달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의 바닥부 또는 탑을 검사하기 위한 제 1 검사 모듈;
    상기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 2 검사 모듈; 및
    상기 음료병의 탑면 또는 바닥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 3 검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기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음료병에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주입건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건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볼 조인트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한 주입 블럭을 포함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기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음료병에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주입건을 포함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건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관절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입 블럭;
    상기 바디의 하단부와 상기 주입 블럭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 및
    상부가 상기 주입 블럭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하부가 상기 음료병의입구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원추형으로 제공되는 주입구를 포함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병에 대한 상기 에어의 공급시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음료병의 초기 내부 압력과, 소정 시간 경과후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음료병의 말기 내부 압력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음료병에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7. 청구항 1에 따른 리크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음료병을 검사하는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크 검사장치에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
    투입된 음료병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단계;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음료병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을 일정 간격으로 투입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바닥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에어가 주입된 음료병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사이드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음료병의 탑면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의 리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음료병에 대한 에어의 공급시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음료병의 초기 내부 압력과, 소정 시간 경과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음료병의 말기 내부 압력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리크임계값보다 크면, 음료병에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음료병의 비젼검사방법.
KR1020200017731A 2020-02-13 2020-02-13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KR10238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31A KR102386682B1 (ko) 2020-02-13 2020-02-13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JP2020102547A JP2021128139A (ja) 2020-02-13 2020-06-12 飲料瓶のリーク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31A KR102386682B1 (ko) 2020-02-13 2020-02-13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235A KR20210103235A (ko) 2021-08-23
KR102386682B1 true KR102386682B1 (ko) 2022-04-15

Family

ID=7748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31A KR102386682B1 (ko) 2020-02-13 2020-02-13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28139A (ko)
KR (1) KR10238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438B (zh) * 2021-12-06 2024-04-09 普瑞凯高分子材料(山东)有限公司 一种用于洗洁精生产用空瓶测漏装置
CN114383792B (zh) * 2022-01-25 2022-08-30 衢州金源宏泰制冷剂有限公司 一种制冷剂加工气体检漏装置
CN116380347B (zh) * 2023-06-07 2023-09-29 金乡县誉隆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塑料瓶检漏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623A (ja) * 2001-07-19 2003-02-07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検査装置
KR101872504B1 (ko) * 2017-09-18 2018-06-28 이춘학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6532A (de) * 1972-09-18 1974-11-29 Elcalor Ag Vorrichtung zur druckpruefung von hohlkoerpern, insbesondere glasflaschen.
JP3467010B2 (ja) * 2000-10-18 2003-11-17 新日本工機株式会社 ボトル検査機
JP5358812B2 (ja) * 2009-09-09 2013-12-04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装置
JP2012103020A (ja) * 2010-11-08 2012-05-31 Kirin Techno-System Co Ltd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CN105583164B (zh) * 2016-03-16 2018-02-09 上海严复制药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药瓶真空在线检漏机及应用于检漏机的真空检漏系统
KR102074561B1 (ko) 2017-12-29 2020-02-06 전성배 일회용 음료병 정보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623A (ja) * 2001-07-19 2003-02-07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検査装置
KR101872504B1 (ko) * 2017-09-18 2018-06-28 이춘학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28139A (ja) 2021-09-02
KR20210103235A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682B1 (ko) 음료병의 리크 검사장치 및 비젼검사방법
JPH07500289A (ja) 容器用連続作業検査機
KR101514409B1 (ko) 비전검사장치
KR101588856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위치 조절장치
KR102068674B1 (ko) 용기 검사장치
KR101123282B1 (ko) 강구 비전 검사기
US7903865B2 (en)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JP3467010B2 (ja) ボトル検査機
KR20220156128A (ko)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KR20130006221A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1003608B1 (ko) 액정적하장치의 액정적하상태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TWI391649B (zh) 面板缺陷之點燈測試機台及面板缺陷之點燈測試方法
KR101468162B1 (ko) 파우치 테스트 시스템
KR20100107175A (ko) 액정 패널의 오토 프로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4696230B2 (ja) 容器検査装置
KR20160026090A (ko) 캡 검사장치
KR102033337B1 (ko) 기판 검사 장치
KR102095975B1 (ko) 페트병 리크 검사장치
JP2012103020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JP2000055633A (ja) スピアバルブのパッキンはみ出し検査機
KR102456700B1 (ko) 용접비드 검사장치
JPH0453526Y2 (ko)
KR20240025799A (ko) 광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검사장비
KR101607928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KR102561488B1 (ko) 용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