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66B1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66B1
KR102383766B1 KR1020210033002A KR20210033002A KR102383766B1 KR 102383766 B1 KR102383766 B1 KR 102383766B1 KR 1020210033002 A KR1020210033002 A KR 1020210033002A KR 20210033002 A KR20210033002 A KR 20210033002A KR 102383766 B1 KR102383766 B1 KR 10238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oking appliance
water
cooking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재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1003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66B1/ko
Priority to CN202210237230.4A priority patent/CN11506773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솥, 복수의 바닥 홀들이 형성된 바닥면 및 복수의 측벽 홀들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는 내솥 및 상기 외솥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내솥 내부로 반복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 및 교반부를 통해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서, 현대인은 열량을 과잉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잉 열랑은, 비만이나 당뇨병,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들을 유발한다. 따라서, 저열량 및 질병치료 식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쌀 등에 포함된 당질(녹말)은 주요 탄수화물로서, 인류의 주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당질이 과잉 섭취될 경우, 상기와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쌀을 조리하여 밥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당질을 밥으로부터 분리시켜서 당분 함유량을 줄인 밥을 지을 수 있는 조리 기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솥, 복수의 바닥 홀들이 형성된 바닥면 및 복수의 측벽 홀들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는 내솥 및 상기 외솥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내솥 내부로 반복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 날개 및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날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속도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측벽 홀들은, 상기 내솥 내부에 수용되는 쌀은 빠져나가지 않고, 물 또는 증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각각 제1 길이와, 제1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측벽 홀들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내솥은 상단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 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기기에 포함된 교반부를 통해 물을 순환시켜 쌀에 포함된 당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순환시켜 저당밥을 취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취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내솥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취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110), 교반부(120), 가열부(130), 메모리(140), 입력부(150), 표시부(160), 프로세서(170) 및 조리 용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조리 용기(180)를 가열하는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멀티 쿠커 또는 로봇 쿠커 등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180)를 가열하는 기기일 수도 있다.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80) 또는 조리 용기(180) 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데이터, 즉,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80) 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온도 센서 및 조리 용기(180) 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온도 센서(111)는 복수의 하부 온도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80) 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온도 센서 또는 교반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교반부(120)는 구동 모터, 회전축 및 회전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는 SR 모터일 수 있고, 교반부(120)는 SR 모터 구동을 위한 SR 모터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R 모터 구동 시스템은 SR 모터, SR 모터 드라이버, 구동 제어기 및 위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SR 모터 드라이버, 구동 제어기 및 위치 센서부는 SR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SR 모터는, 자기저항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릴럭턴스 토크(Reluctance Torque)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SR 모터는 고정자 (stator) 및 회전자(r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 및 회전자는 투자율이 높은 자성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 및 회전자는 규소 강판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SR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가 모두 돌극형 구조를 가지는 이중 돌극형(double salient pol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자 및 회전자는 각각 복수의 돌극(silent-pole)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의 돌극들에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고, 회전자의 중심에는 SR 모터의 샤프트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자와 동시에 회전하는 센서 마그넷이 샤프트 또는 회전자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R 모터는 4상 모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R 모터의 고정자는 8개의 돌극들(예컨대, A극, B극, C극, D극, A'극, B'극, C'극, D'극)을 포함하고, 회전자는 6개의 돌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의 서로 대향하는 돌극들에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SR 모터는 자속이 회전자를 경유함에 따라, 회전자에 전류가 발생하고, 고정자의 자속과 회전자의 자속이 쇄교함에 따라 발생한 토크(torque)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SR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 간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의 돌극들에 상응하는 A상, B상, C 상 및 D상의 코일들에 순차적으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회전자가 회전할 수 있다. SR 모터는 SRM 드라이버와 6개의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터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 칼날과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회전 칼날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칼날은 믹서기의 분쇄칼날 외에도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회전 날개 또는 프로펠러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30)는 가열 동작을 통해 조리 용기(180)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동작은 프로세서(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8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조리 용기(18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18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 및 메모리(14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170)는 로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50)는 조리 동작의 개시, 예약, 조리 메뉴의 선택, 보온 동작의 개시 등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6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60)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50)와 표시부(16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입력부(15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 상태, 잔여량 알림 등을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리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통신부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70)는 조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200)는 뚜껑(210), 조리 기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외솥(240) 및 외솥 내부에 거치되어 조리물을 수용하는 내솥(또는 내솥,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물은 쌀과 같은 곡물의 형태일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회전 날개(250) 및 구동 모터(260)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10)은 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뚜껑(210)은 조리 대상물, 예를 들어, 쌀과 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온도 및 압력이 형성되도록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내솥(220)은 외솥(24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내솥(220)은 외솥(240)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고, 내솥(220)은 외솥(240)의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외솥(240)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솥(240)은 가열부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기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솥(240)은 보울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일반적인 조리가 수행될 때, 외솥(240) 내에 형성된 공간에는 조리물이 담길 수 있다. 반면, 당질 저감 방식의 조리가 수행될 때, 내솥(220) 내에 형성된 공간에 조리물이 담길 수 있고, 내솥(220)은 외솥(24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내솥(220)는 외솥(240)의 바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 시 조리물로부터 분리된 당분 등이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외솥 내부의 물은 교반부에 의해 빠르게 회전할 수 있고, 측벽 홀을 통해 내솥(2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솥 내부의 물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되는 물은 증기의 형태 또는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가진 액체의 상태로 측벽 홀을 통해 내솥(22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조리 시 내솥(220) 내부의 물은 바닥 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내솥(220)에 담긴 물은 순환할 수 있고, 당분이 용해된 물이 내솥(220)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조리물은 낮은 당분을 갖는 상태로 조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외솥(24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는 내솥(220)를 포함하고, 내솥(22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홀들 및 측벽에 형성된 측벽 홀들을 통해 물의 순환을 유도함으로써 낮은 당분을 갖는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취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저당밥을 취반하기 위해 조리 기기(200)는 물(20) 또는 쌀(10)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220)의 측벽에 취사 인분에 따른 물(20) 높이 또는 쌀(10) 높이를 표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복수의 높이들을 가이드할 수 있고, 각 높이에 따라 조리 완료 시 내솥(220) 내부에 담기는 조리물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이드부의 표시에 따라 물(20)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 완료 시 조리물의 상태가 찰기가 많은 상태 또는 찰기가 적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당밥 취반 시작 시 쌀(10)은 물(20)과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조리가 시작되면 조리 기기(200)는 가열부를 통해 조리물 또는 물(20)을 가열하는것과 동시에, 회전 날개(250)를 회전시켜 물을 내솥(220)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회전 날개(250)는 물이 내솥(220) 상단 또는 측벽 홀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제1 속도로 회전하여 내솥(220) 내부의 쌀(10)을 씻어 당질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쌀(10)이 물(20)을 흡수하면, 물(20)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물 높이가 낮아진 경우에도, 조리 기기(200)는 회전 날개(250)를 회전시켜 물을 내솥(220)의 측면에 형성된 측벽 홀을 통해 내솥(2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조리 과정에서 불림-흡수 과정을 거치며 물(20)을 흡수한 쌀(10)을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쌀(10)이 물(20)을 충분히 흡수하고, 물(20)이 증발된 상태에서 회전 날개(250)를 제2 속도로 회전시켜 물(20)이 쌀(10)을 쪄내면서 넘치지 않게 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가열부를 통해 남은 물(20)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밥을 쪄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리 기기(200)는 뜸을 들이기 위해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하거나 가열 동작을 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내솥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솥(230)은 바닥면, 측벽 및 클린 커버(23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린 커버(234)는 내솥(23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내솥(230) 내부에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클린 커버(234)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솥(2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230)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에는 조리물이 담길 수 있고,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 홀(232)은 클린 커버(234)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200)에서 교반부를 통해 물이 순환되는 경우, 내솥(230)의 측벽 홀(232)을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물은 클린 커버(234)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버 홀을 통해 내솥(230) 내부의 조리물에 수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클린 커버(234)를 거쳐 조리물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도 3에서 측벽 홀을 통해 직접 조리물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 조리물이 흐트러지는 것과 달리, 조리물의 위치가 크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내솥(300)은 바닥면(320) 및 측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300)의 바닥면(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300)의 측벽(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320)에는 조리물이 담길 수 있고, 바닥면(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310)은 바닥면(32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홀 및 측벽 홀의 사이즈는 내솥(300)에 담기는 조리물의 크기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당질 저감 방식에서 내솥(300)의 담기는 조리물은 바닥 홀 또는 측벽 홀을 통해 유출되지 않고 내솥(300)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조리물의 조리를 위하여, 외솥에는 물이 담길 수 있다. 조리를 위해 외솥 내부에 물이 담기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내솥(300) 내에도 바닥홀을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내솥(300)의 측벽에는 조리를 위한 물의 높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부를 참조하여 내솥(300)에 담기는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리 시 조리물로부터 분리된 당분 등이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외솥 내부의 물은 교반부에 의해 빠르게 회전할 수 있고, 측벽 홀을 통해 내솥(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솥 내부의 물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되는 물은 증기의 형태 또는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가진 액체의 상태로 측벽 홀을 통해 내솥(3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조리 시 내솥(300) 내부의 물은 바닥 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내솥(300)에 담긴 물은 순환할 수 있고, 당분이 용해된 물이 내솥(300)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조리물은 낮은 당분을 갖는 상태로 조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측벽(310)에 형성되는 측벽 홀은 기설정된 높이 및 너비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너비는 곡물을 포함하는 조리물이 내솥(3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작은 값을 가지고, 높이는 물이 내솥(3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것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높이 및 너비는 저당밥 조리에 사용되는 곡물을 포함하는 조리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닥 홀의 크기 또는 모양은 측벽 홀과 동일할 수 있고, 조리물의 유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내솥(300)은 손잡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30)는 내솥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내솥(300)을 외솥에 거치하거나, 외솥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솥(300)은 바닥면(320) 및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300)의 바닥면(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300)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320)에는 조리물이 담길 수 있고, 바닥면(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은 바닥면(32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솥(300)은 손잡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30)는 내솥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내솥(300)을 외솥에 거치하거나, 외솥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포함된 내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솥(400)은 바닥면 및 측벽(4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40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400)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에는 조리물이 담길 수 있고,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 홀(232)은 바닥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테두리부(440)에 형성될 수 있다.
클린 커버는 내솥(40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내솥(400) 내부에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클린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에서 교반부를 통해 물이 순환되는 경우, 내솥(400)의 측벽 홀을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물은 클린 커버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버 홀을 통해 내솥(400) 내부의 조리물에 수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클린 커버를 거쳐 조리물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조리물의 위치가 크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취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200)는 내솥 내부에 수용된 쌀(10)을불리고 당질을 제거시킬 수 있다(S110). 저당밥 취반 시작 시 쌀(10)은 물(20)에 충분히 잠겨있는 형태일 수 있다. 조리가 시작되면 조리 기기(200)는 가열부를 통해 조리물 또는 물(20)을 가열하는것과 동시에, 회전 날개(250)를 회전시켜 물을 내솥(220)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회전 날개(250)는 물이 내솥(220) 상단 또는 측벽 홀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제1 속도로 회전하여 내솥(220) 내부의 쌀(10)을 씻어 당질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교반부를 통해 외솥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내솥 내부로 반복 순환시킬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상기 외솥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S120). 조리 과정에서 쌀(10)이 물(20)을 흡수하면, 물(20)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물 높이가 낮아진 경우에도, 조리 기기(200)는 회전 날개(250)를 회전시켜 물을 내솥(220)의 측면에 형성된 측벽 홀을 통해 내솥(2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조리 과정에서 불림-흡수 과정을 거치며 물(20)을 흡수한 쌀(10)을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쌀(10)이 물(20)을 충분히 흡수하고, 물(20)이 증발된 상태에서 회전 날개(250)는 물(20)이 쌀(10)을 쪄내면서 넘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제2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가열부를 통해 남은 물(20)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밥을 쪄낼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조리 기기는 쌀을 불리는 제 1단계, 쌀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제 2단계,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3단계 및 조리물에 뜸을 들이는 제 4단계를 통해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쌀을 불리는 단계에서 가열부를 통해 취사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쌀이 수분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 가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쌀이 수분을 흡수하기에 적절한 온도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쌀을 불리는 단계에서 당질을 제거하기위해 회전 날개를 제1 속도로 회전시켜 물이 내솥으로 충분히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속도는 350RPM일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취사 단계에서 제1 목표 온도까지 조리물을 가열하고 해당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특정 온도에서 조리물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회전 날개를 제2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는 200RPM의 속도로 회전 날개를 회전 시켜 밥물을 계속 저어주는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리 기기는 뜸 단계에서 조리물의 가열을 중단하거나 약한 단계로 가열을 유지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뜸 단계에서 조리 기기의 투입구의 마개를 개방하여 증기를 배출하면서 조리물에 뜸을 들일 수 있다. 조리 기기는 뜸 단계에서 회전 날개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솥;
    복수의 바닥 홀들이 형성된 바닥면 및 복수의 측벽 홀들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는 내솥; 및
    상기 외솥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상기 내솥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홀들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단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 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 날개 및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날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외솥 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속도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홀들은, 상기 내솥 내부에 수용되는 쌀은 빠져나가지 않고, 물 또는 증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각각 제1 길이와, 제1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210033002A 2021-03-12 2021-03-12 조리 기기 KR10238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02A KR102383766B1 (ko) 2021-03-12 2021-03-12 조리 기기
CN202210237230.4A CN115067733A (zh) 2021-03-12 2022-03-11 烹饪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02A KR102383766B1 (ko) 2021-03-12 2021-03-12 조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766B1 true KR102383766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002A KR102383766B1 (ko) 2021-03-12 2021-03-12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3766B1 (ko)
CN (1) CN11506773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2743A1 (ja) * 2013-04-04 2014-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2193331B1 (ko) *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3661B1 (ko) * 2018-08-10 2021-01-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US20210022540A1 (en) * 2019-01-29 2021-01-28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imited Pot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07991U (zh) * 2019-01-26 2019-12-20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一种沥水蒸煮器
CN211130651U (zh) * 2019-11-21 2020-07-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1870118B (zh) * 2020-07-17 2022-03-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2743A1 (ja) * 2013-04-04 2014-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2203661B1 (ko) * 2018-08-10 2021-01-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US20210022540A1 (en) * 2019-01-29 2021-01-28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imited Pot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KR102193331B1 (ko) *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67733A (zh)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0334B2 (en) Circulator cooker
JP5097244B2 (ja) 炊飯器
US6523457B1 (en) Pasta machine
JP5079120B1 (ja) 炊飯器
JP2023083432A (ja) 加熱調理器
JP5693342B2 (ja) 炊飯器
KR102383766B1 (ko) 조리 기기
JP5743207B2 (ja) 加熱調理器
KR102383764B1 (ko) 조리 기기
KR102383763B1 (ko) 조리 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취반 방법
JP5269227B1 (ja) 加熱調理器
JP6018834B2 (ja) 加熱調理器
CN114246497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090788A (ja) 電気炊飯器
TWI634863B (zh) 攪拌單元、加熱調理器
JP5791341B2 (ja) 炊飯器
JP5947150B2 (ja) 加熱調理器
JP5781963B2 (ja) 炊飯器
JP5296168B2 (ja) 炊飯器
KR20240013406A (ko) 조리기기
JP2632058B2 (ja) 回転調理機
JP2021194233A (ja) 加熱調理器
JP2022073726A (ja) 加熱調理器
JP2022048666A (ja) 加熱調理器
JP2022055866A (ja) 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