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406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406A
KR20240013406A KR1020220090908A KR20220090908A KR20240013406A KR 20240013406 A KR20240013406 A KR 20240013406A KR 1020220090908 A KR1020220090908 A KR 1020220090908A KR 20220090908 A KR20220090908 A KR 20220090908A KR 20240013406 A KR20240013406 A KR 2024001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oking
container
contro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성연수
오교언
최상일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406A/ko
Publication of KR2024001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공간에 피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용기의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유닛;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영구자석부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가정, 사무실 또는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조리기기는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기능, 교반하는 기능 및 분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기기는 가열 기능, 교반 기능 및 분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해 내부에 담긴 피조리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용기 내측에 배치되어 피조리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및 교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의 교반기는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기기의 교반기 세척을 위해서는 교반기가 모터의 샤프트 또는 별도의 연결부재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8651 "조리 기기"(특허문헌 1)에는 교반 모터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및 교반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조리 용기 내부의 조리 대상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조리 기기의 교반 장치는 조리 용기 내부의 조리 대상을 교반하기 위해서는 교반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조리 기기의 교반 장치는 교반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용기 내측에 배치되어 조리 대상을 교반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조리 기기의 교반 장치를 세척을 위해서는 교반 장치가 교반 모터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서월식의 등록 특허공보 10-1964554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특허문헌 2)에는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본체, 두껑본체에 지지되는 모터, 모터로부터 용기 내부로 하양 연장되는 회전축 및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해 회전축에 연결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조리용기용 뚜껑의 교반날개가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해서는 회전축이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2의 조리용기용 뚜껑의 교반날개가 회전축을 통해 모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교반날개는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교반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조리 기기의 교반 날개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이 모터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8651 (2014.11.06. 공개) 한국 등록 특허공보 10-1964554 (2019.03.26.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피조리물을 교반할 수 있는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공간에 피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용기의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유닛;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영구자석부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모드일 때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의 세기가 상기 조리모드가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크도록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모드일 때, 상기 블레이드유닛이 소정의 주기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과 정지가 상기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 상기 전자석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유닛; 및 상기 전자석에 테스트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되는 상기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에 가해지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결정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등가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저항보다 낮거나 상기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덕턴스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등가저항이 상기 기준저항보다 높거나 상기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상기 기준인덕턴스보다 높을 경우, 상기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유닛 및 상기 전자석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블레이드유닛이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피조리물을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유닛에는 별도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블레이드유닛이 용기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고, 블레이드유닛의 세척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리기기에 하나의 전자석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리기기에 복수 개의 전자석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 '지지',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 지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용기(2)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1)는 몸체(100), 블레이드유닛(200), 구동유닛(300), 전원장치(400), 센서유닛(500) 및 제어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용기(2)를 수용할 수 있는 조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는 조리공간이 형성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구동유닛(300) 및 센서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유닛(200)은 회전 가능하도록 용기(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유닛(200)은 용기(2)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되면, 피조리물은 용기(2) 내부에서 교반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유닛(200)은 영구자석부(210) 및 블레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자석부(210)는 구동유닛(300)의 후술할 전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의 바닥부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영구자석부(210)는 용기(2)의 바닥부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구자석부(210)는 전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용기(2)를 향해 블레이드(220)를 가압하도록 블레이드(220)의 회전축(Ax)의 회전축(Ax)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220)는 용기(2)에 수용된 피조리물이 교반되도록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220)는 영구자석부(210)에 의해 용기(2)에 직접적으로 밀착되거나 용기(2)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몸체(100)에 배치되어 블레이드유닛(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유닛(300)과 블레이드유닛(200) 사이에 용기(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300)은 용기(2)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몸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300)은 모터(310) 및 전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전자석(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310)는 용기(2)의 바닥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320)은 영구자석부(210)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320)은 용기(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모터(310)의 로터 또는 모터(310)의 샤프트에 의해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별도의 회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320)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은 용기(2)의 내측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전자석(320)은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320)에 전기에너지가 가해져 자기력이 발생하면, 전자석(320)과 영구자석부(210) 사이에 인력의 자기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자석(320)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부(210)도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석(320)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은 용기(2)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자석(320)과 블레이드유닛(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전자석(320)은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되도록 회전축(Ax)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석(320)은 회전축(Ax)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석(32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회전축(Ax)으로부터 회전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자석(320)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의 복수의 지점에 자기력이 작용되어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되는 전자석(320)에 의해 효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자석(320)은 서로 다른 자극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장치(400)는 전자석(3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장치(400)의 전류에 의해 전자석(320)은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장치(400)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장치(40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되면,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전원장치(40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감소되면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센서유닛(500)은 전자석(320)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유닛(500)에 의해 감지되는 전자석(320)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은 용기(2)의 소재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가 양은 냄비일 경우,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전자석(320)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2)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재질이거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재질일 경우,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전자석(320)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이 높게 형성될 경우, 용기(2)를 투과하는 전자석(320)의 자기력 투과 효율이 감소되어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용기(2)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해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전원장치(400)와 구동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전자석(32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되도록 구동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은 용기(2)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몸체(100)에 수용된 용기(2)가 블레이드유닛(200)이 밀착될 수 있는 용기(2)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는 용기(2)가 구동유닛(300)과 블레이드유닛(200) 간에 자기력이 작용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용기인지를 판단(본 명세서에서는 '용기적합성 테스트'라 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용기적합성 테스트를 위해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용기적합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전원장치(400)를 제어하여 전자석(320)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기적합성은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센서유닛(500) 감지된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가 낮게 형성되면, 용기(2)가 구동유닛(300)과 블레이드유닛(200) 간에 자기력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반해, 감지된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가 높게 형성되면, 용기(2)에 의해 구동유닛(300)과 블레이드유닛(200) 간에 자기력이 적절하게 작용하지 않아서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는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밀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적합성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2)가 블레이드유닛(200)이 구동되기에 적절한 용기(2)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용기(2)의 적합성에 여부에 따라 전자석(320)에 가해지는 전류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전자석(320)에 테스트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되는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석(320)에 가해지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결정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등가저항이 기준저항보다 높거나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덕턴스보다 높아서 용기적합성 테스트에서 용기적합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파수가 감소된 전류가 구동유닛(300)에 인가되도록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전류의 주파수가 감소되면,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이 낮아져 전자석(320)과 영구자석부(210) 간의 자기력이 용기(2)를 투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가 높을 경우, 전류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블레이드유닛(200)을 용기(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센서유닛(500)에서 감지된 등가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저항보다 낮거나,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덕턴스보다 낮아져 서 용기적합성 테스트에서 용기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파수가 높은 전류가 구동유닛(300)에 인가되도록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전류의 주파수가 증가되면, 구동유닛(300)과 블레이드유닛(200) 간에 자기력이 적절하게 작용하면서도 모터(3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가 낮은 경우, 전류의 주파수를 증가시켜 조리기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전류의 주파수가 증가되어 용기(2)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더라도 기준저항과 기준인덕턴스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는 용기(2)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러한 제어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의 수행 여부, 및 조리모드에서 블레이드유닛(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600)는 조리모드에서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되지 않을 때보다 블레이드유닛(200)이 회전될 때,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장치(600)는 조리모드가 수행될 때의 자기력의 세기가 조리모드가 수행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조리모드의 전후)에서의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보다 크도록 전원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조리모드일 때,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피조리물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이 용기(2)에 밀착되지 않거나 회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600)는 조리모드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을 용기(2)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은 조리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도 용기(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피조리물 또는 조리된 요리에 의해 임의로 자유 부유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조리모드일 때, 모터(310)의 구동과 정지가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도록 모터(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모터(310)가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도록 구동되면, 블레이드유닛(200)은 용기(2)에 밀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장치(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블레이드유닛(200)은 전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용기(2) 내에서 피조리물을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유닛(200)은 별도의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용기(2) 및 조리기기(1)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조리가 완료되면, 블레이드유닛(200)을 바로 용기(2)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용기(2)의 소재에 따라 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블레이드유닛(200)을 용기(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에 의해 블레이드유닛(200)은 다양한 종류의 용기(2)에 밀착될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조리 전후보다 필조리물이 조리될 때, 전자석(320)의 자기력의 세기가 더 높아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600)는 피조리물의 조리가 완성되거나 조리되기 전일 경우, 전자석(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0)는 피조리물이 조리될 때, 전자석(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블레이드유닛(200)이 피조리물에 의해 부유되거나 용기로부터 이탈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조리기기 2: 용기
100: 몸체 200: 블레이드유닛
210: 영구자석부 220: 블레이드
300: 구동유닛 310: 모터
320: 전자석 400: 전원장치
500: 센서유닛 600: 제어장치

Claims (7)

  1. 조리공간에 피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용기의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영구자석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유닛;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영구자석부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모드일 때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의 세기가 상기 조리모드가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크도록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모드일 때, 상기 블레이드유닛이 소정의 주기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과 정지가 상기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장치;
    상기 전자석의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유닛; 및
    상기 전자석에 테스트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되는 상기 등가저항 및 인덕턴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에 가해지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결정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등가저항이 미리 설정된 기준저항보다 낮거나 상기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덕턴스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등가저항이 상기 기준저항보다 높거나 상기 인덕턴스가 미리 설정된 상기 기준인덕턴스보다 높을 경우, 상기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 및 상기 전자석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리기기.


    .
KR1020220090908A 2022-07-22 2022-07-22 조리기기 KR20240013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08A KR20240013406A (ko) 2022-07-22 2022-07-2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08A KR20240013406A (ko) 2022-07-22 2022-07-2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406A true KR20240013406A (ko) 2024-01-30

Family

ID=8971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908A KR20240013406A (ko) 2022-07-22 2022-07-2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4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651A (ko) 2013-04-29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1964554B1 (ko) 2018-07-03 2019-04-01 서월식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651A (ko) 2013-04-29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1964554B1 (ko) 2018-07-03 2019-04-01 서월식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2491B (zh) 加热搅拌烹调器
EP2583750B1 (en) Kitchen worktop with rotary actuation means and cooking receptacle that can be used with said worktop
WO2015129254A1 (ja) 羽根体、羽根体付き容器、および加熱調理器
US20100326284A1 (en) Automatic milk foamer
US11343882B2 (en) Cooking utensil having contactless driven consumer with a driving unit of the consumer operating based on direct optical detection of the consumers movement
KR100200780B1 (ko) 전자렌지의 히터구동 제어장치
KR20170037839A (ko) 안전 보호 메커니즘이 구비된 음식 조리기
JP3244471B2 (ja) 電気鍋
WO2016185680A1 (ja) 撹拌調理器および羽根体付き容器
JP2011156200A (ja) 電気炊飯器
CN207654001U (zh) 烹饪器具
KR20240013406A (ko) 조리기기
JP5693342B2 (ja) 炊飯器
US20230355036A1 (en) Cooking device
JP4872133B2 (ja) 加熱調理器
WO2015106762A1 (en) Induction heating and stirring device
JP2012223494A (ja) 炊飯器
JP2011156023A (ja) 電気炊飯器
JP2012125467A (ja) 炊飯器
JP2014090788A (ja) 電気炊飯器
KR102383766B1 (ko) 조리 기기
KR102383764B1 (ko) 조리 기기
CN208926072U (zh) 杯盖组件、搅拌杯组件和料理机
KR102383763B1 (ko) 조리 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취반 방법
KR20230166245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