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96B1 -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096B1
KR102365096B1 KR1020217008135A KR20217008135A KR102365096B1 KR 102365096 B1 KR102365096 B1 KR 102365096B1 KR 1020217008135 A KR1020217008135 A KR 1020217008135A KR 20217008135 A KR20217008135 A KR 20217008135A KR 102365096 B1 KR102365096 B1 KR 10236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fueling
fuel
machin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723A (ko
Inventor
도쿠시 나카시마
가즈히로 우메자와
가츠요시 구라하시
Original Assignee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3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6Indicat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3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theft of fu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한다. 본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차재기기와, 상기 차재기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하여,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급유 지령을 출력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는 입력 수단과, 기억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차재기기를 탑재하는 차량 내지 기계, 특히, 공도(公道)를 주행할 수 없는 차량 내지 기계를 위한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공도를 주행 가능하지 않은 차량 내지 기계, 예를 들면, 불도저, 유압 셔블,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 예를 들면 경운기, 모심기 기계 등의 농업 기계, 예를 들면 건설 현장용이나 공사 현장용의 발전기 등에 대해서 연료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연료 보급용 차량 등에 의해 이들 차량 내지 기계의 작업 현장까지 연료를 운반할 필요가 있다. 이들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가 끊겨 버리면, 그 현장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작업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들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확인하여, 연료가 끊기기 전에 연료 보급용 차량 등을 준비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공사 현장에서 건설 기계를 복수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1일에 1회 내지 복수회, 연료 보급용 차량을 준비하여, 각 건설 기계에 연료를 보급한다. 종래의 연료 보급용 차량의 준비 방법은, 눈으로 확인된 각 건설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기초로, 관리자가 공사의 계획에 맞추어, 각 건설 기계가 필요로 하는 연료의 보급량을 결정하여, 연료 공급 사업소에 대해서 급유를 지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리자의 부담이 크고, 게다가, 모든 건설 기계에 대해서 최적의 급유량을 결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급유시에는, 각 건설 기계에 순서대로 먼저 결정된 보급량분만큼 급유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각 건설 기계의 급유를 위해서, 현장에서의 작업을 휴지할 필요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급유의 준비를 간략화하는 시도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연료 공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계약 차량의 연료 잔량을 자동적으로 계측하고, 통신기를 통해서 서비스 적용 시스템에 이 연료 잔량의 정보를 송신하고, 서비스 적용 시스템에서는 이 연료 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계약 차량에 대해서 급유를 행하기 위한 급유 지시 출력 요구가 출력되고, 관리자는 급유 지시 출력 요구에 기초하여 급유차에 대해서 해당 계약 차량에 대한 급유 지시를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9-28283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시스템을 공사 현장에서 이용하는 경우, 각 건설 기계의 가동 상황이나 공사의 계획이 고려되어 있지 않은 데다가, 각 건설 기계에 대해서 각기 다른 타이밍으로 급유 지시가 이루어져 버리기 때문에, 적절한 급유 계획의 책정이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계약 차량이 필요로 하는 급유량에 대해서, 급유차에 탑재되어 있는 연료가 충분하다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계약 차량을 채워서 만탱크로 급유하는 것밖에 고려되고 있지 않아, 해당 계약 차량에의 급유량을 미리 추측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공사 현장에서는 1회의 급유에 의해서, 모든 건설 기계에 대해서 만탱크로 될 때까지 급유할 만큼의 연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각 건설 기계에의 급유량을 적절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특허문헌 1의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요청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시스템에서는, 모든 건설 기계에의 급유를 위해서 작업을 중지하는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점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실시 형태의 과제는,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는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재기기와,
상기 차재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하여,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급유 지령을 출력하는 서버
로 이루어지는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기에 의해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 또는 제2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에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분석 수단에 있어서의 연료 잔량의 분석에는, 상기 가동 정보가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3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4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 및/또는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에 있어서는, 학습에 의해 연료 잔량의 분석 또는 급유 계획의 연산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5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에 있어서는,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6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유 계획에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급유하는 스케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7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추가로, 유저 단말에 대해서,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급유 계획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8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급유 수단에 의해 급유된 급유량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은, 제1~제9 중 어느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차재기기는,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하여,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급유 지령을 출력하는 서버에 대해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원격 연료 감시를 위한 차재기기로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 잔량 검출기의 배선에 접속되고, 연료 잔량에 관련된 아날로그값 또는 디지털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값을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차량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 대해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1 또는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에는,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차량 내지 기계는, 제11~제13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서버는,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재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하여,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급유 지령을 출력하는 원격 연료 감시를 위한 서버로서,
상기 차재기기에 의해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방법은,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재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하여,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급유 지령을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에 의해 수집된 상기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및 상기 차량 정보단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은, 제1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방법에 있어서의 각 수단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기억 매체는, 제1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는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차재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마다 다른 복수 종류의 차재기기를 별개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향상되고,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학습에 의해 차량 내지 기계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연료 잔량의 분석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학습에 의해 적절한 급유 계획의 연산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연료 끊김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과 함께, 연료 잔량이 적은 것을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에 급유하는 스케줄을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한 급유 시기를 적절하게 관리하여, 급유를 위해서 현장의 작업을 중지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차량 내지 기계에의 급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을 계속한 채로 급유를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 단말에 대해서,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급유 계획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여, 유저에 대해서 그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로서는,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의 알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에의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차량 내지 기계에의 급유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기록을 연료세의 신청, 예를 들면 연료세의 감면 신청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내지 기계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에 대한 대책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는 원격 연료 감시를 위한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차재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내지 기계의 종류마다 다른 복수 종류의 차재기기를 별개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향상되고,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재기기에 의해서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각 차량 내지 기계의 가동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 잔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차량 내지 기계에 의하면, 제11~제13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 내지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는 원격 연료 감시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지 기계의 연료의 잔량을 원격 감시하여, 상황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에 대해서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는 원격 연료 감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에 의하면, 제16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방법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기억 매체에 의하면, 제17 양태의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연료 잔량 센서의 일례의 개념도이다.
도 3은 학습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연료 잔량 예측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것들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따른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을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차량 내지 기계(10)에는, 차재기기(11)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내지 기계(1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도 상을 주행할 수 없는 것이 상정되며, 건설 기계, 농업 기계, 발전기 등을 포함한다. 건설 기계로서는, 예를 들면 크롤러 차량, 백호(backhoe), 크레인, 셔블 카, 불도저, 항타기, 보링 머신, 로드롤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농업 기계로서는, 예를 들면 크롤러 차량, 경운기, 모심기 기계, 콤바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 중에는 소형 특수 자동차 또는 대형 특수 자동차로서 공도를 주행할 수 있는 것이 있지만, 연료 보급을 위해서 작업 장소를 떠나는 것은 작업 효율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급유차를 이용하여 작업 장소에 있어서 급유를 행하는 것에 이점이 있다. 발전기는 공사 현장에서의 전력 확보를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전원차를 제외하면, 고정식인 것이 많아, 급유차를 이용한 급유가 필요하게 된다. 이벤트장 등에 배치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도, 이벤트장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 것의 일종으로, 급유차에 의해서 이벤트장에 있어서 급유가 행해진다.
차재기기(11)에는, 연료 잔량 센서(12)로부터 출력되고, 연료 미터(13)에 입력되는, 연료 미터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차재기기(11)는 아워 미터(14), 이그니션선(IGN)(15) 등에도 접속되어 있어, 연료의 잔량, 급유량, 가동 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동 정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GPS에 의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회전수 정보, 태코미터 정보, 데이터 레코더 정보, 각종 조작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차재기기(11)는 1대의 차량에 1개 설치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에의 설치 장소는, 차량의 어느 장소라도 상관없다. 차재기기(1)가 후설치인 경우에는, 조수석의 시트 아래 등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소, 예를 들면 엔진룸의 하부나 계기판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추가로는, 차재기기(1)를 차량(2)의 제조시에 미리 내장해 둘 수도 있다.
차재기기(11)의 배선에는, 차재 LAN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차재기기(11)는 연료 잔량 센서(12)로부터 출력되어, 연료 미터(13)에 입력되는 배선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아워 미터(14)나 IGN(15)도 차재기기(11)에 직접 접속 가능하다. 차재기기(11)의 배선이 차재 LAN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차재 제어 네트워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있어서의 시큐리티에 대한 취약성에 관한 문제점을, 간단한 수단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차재기기(11)로서는, 데이터 통신 모듈(Data Communication Module, 이하 「DCM」이라고 함.)을 활용하여, 차재 LAN을 통해서 DCM을 각종 차재 ECU에 접속함으로써, 연료의 잔량, 급유량, 가동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재기기(11)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탱크의 용량, 연료계의 표시(아날로그, 디지털 등) 등은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따라서 다르다. 이와 같이 사양이 다른 경우라도, 예를 들면, 차재기기(11)가 차재 LAN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된 경우에는, 차재기기(11)에 복수의 입력 단자 및 AD 변환기 등을 마련해 두면, 범용성이 높아, 공통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20)에 있어서의 학습에 의해, 예를 들면 기계 학습에 의해, 연료의 잔량을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료의 잔량의 데이터는, 차재기기(11)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내지 기계(10)의 각각의 연료계의 표시를 관리자가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 절감이 도모된다.
서버(20)에는, 입력 수단(21)이 마련되어 있고, 입력 수단(2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서, 1대 이상의 차량 내지 기계(10)에 마련된 차재기기(11)로부터의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서는 임의의 것으로 되고,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V2X, 그 외의 전용회선 등을 들 수 있다. 입력 수단(21)이 수신한 차량 정보는, 서버(20)에 있어서, 연료 잔량의 감시,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의 예측, 학습에 의한 연료 잔량의 분석, 연료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의 연산, 급유 스케줄의 연산, 연비 계산,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의 연산, 연료 도난 등의 이상 검출 등에 이용된다.
입력 수단(21)이 수신한 차량 정보는, 분석 수단(22)에 입력된다. 분석 수단(22)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학습 수단(23)에 의해서, 차량 정보 등으로부터 학습에 의해 연료 잔량을 분석한다. 차량 정보에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정보, 예를 들면, 아워 미터의 정보나 IGN으로부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기억 수단(24)에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이 기억되어 있으며, 이들 정보는 분석 수단(22)에서의 연료 잔량의 분석에 이용된다. 분석 수단(22)에서는, 시간에 대한 연료의 증감 데이터(상한값, 하한값, 연료 보급을 알리는 값 등)를 파악하여, 연료 상한값, 연료 하한값, 학습에 의한 연료 잔량의 분석, 연료 잔량의 감시,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의 예측, 연비 계산, 연료 도난 등의 이상 검출 등을 행한다. 기억 수단(24)에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분석 수단(22)의 연료 잔량의 분석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용량을 포함하는 사양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연료 잔량의 비율(퍼센트)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용량(리터)을 파악할 수 있다.
분석 수단(22)의 연료 잔량의 분석 결과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서의 급유 계획 연산에 이용된다.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은, 차량 내지 기계(10)의 각각의 급유의 우선 순위나 급유량, 총급유량 등을 파악하고, 기억 수단(24)에 기억된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도 참작하여, 차량 내지 기계(10)의 각각의 급유량 및 급유 스케줄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을 연산한다.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의 예측 결과, 연료 도난 등의 이상 검출 등은, 예를 들면 관리용 단말(29) 및 유저 단말(28)에 알림된다.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으로 계산된 급유 계획은 출력 수단(26)을 통해서, 급유 수단(27)에 출력된다. 급유 수단(27)은 주유소, 연료 판매업자 등으로서, 출력 수단(26)으로부터 출력된 급유 계획에 기초하여, 차량 내지 기계(10)의 작업 장소에 급유차를 준비하고, 차량 내지 기계(10)의 각각에 소정량의 연료를 소정의 스케줄(연료 급유 계획)에 따라서 보급한다.
차량 내지 기계(10)에 급유차에 의한 연료의 보급이 이루어지면, 그 급유량의 데이터는 차재기기(11)에 의해 검출되고, 서버(20)의 분석 수단(22)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분석 수단(22)은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에코 연료에 대한 감세 신청을 위해서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각각에, 얼마만큼의 급유를 행했는지를 기록해야 하지만, 이들 데이터는 분석 수단(22)에 있어서 파악되고 있으므로, 감세 신청을 위한 관리자의 작업 부담도 큰폭으로 효율화된다.
유저 단말(28)에서는, 서버(20)에 있어서 연산된 연료 잔량의 감시, 연료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의 예측, 학습에 의한 연료 잔량의 분석, 연료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는 급유 계획의 연산, 급유 스케줄의 연산, 연비 계산,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의 연산 등에 의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저 단말(28)으로서는, 표시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휴대 전화, 그 외의 전용 단말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에는, 선택한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예를 들면 디지털 표시에 의해, 예를 들면 10단계 표시에 의해,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계의 사양에 의존하지 않고, 알기 쉬우며, 통일된 표시를 실현할 수 있고, 아울러, 연료가 소정량 이하로 되는 시기나, 연료 도난 등의 이상 등이 알림된다. 서버(20)와 유저 단말(28) 사이의 통신에는, 전술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와 마찬가지의 통신 수단을 이용 가능하다.
관리용 단말(29)은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거나, 서버(20)에 대해서 각종 연산을 위한 설정(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의 설정, 분석 수단(22)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의 설정 등)을 행하거나, 연산 결과의 표시나 확인을 행하거나 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휴대 전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는 관리용 단말(29)에 의해 기억 수단(24)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스케줄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의한 급유 계획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용 단말(29)에 의해,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거나, 서버(20)에 대해서 각종 연산을 위한 설정을 행하거나, 분석 수단(22)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연산 결과에 대한 확인을 행하거나, 혹은, 이들 연산의 일부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종적인 급유 계획은 관리용 단말(29)에 의한 허가를 얻은 후에 유효하게 하여, 출력 수단(26)으로부터 급유 수단(27)으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용 단말(29)에 있어서는, 서버(20)에 있어서의 연산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용 단말(29)에 있어서, 분석 수단(22)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연산의 일부를 행하도록 하면, 관리자의 감각을 반영한 급유 계획을 책정할 수 있지만, 반면에, 관리자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관리용 단말(29)에 있어서 분석 수단(22)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연산의 일부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 혹은, 관리용 단말(29)에 있어서 서버(20)에 있어서의 연산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를 감시하는 경우에는, 관리자의 부담을 고려하여, 그 연산의 내용이나 감시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잔량 센서(12)에 대해서]
도 2에는, 연료 잔량 센서(12)의 일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연료 잔량 센서(12)는 액면 검출 회로(30) 및 플로트(float; 31)로 이루어진다. 차량 내지 기계(10)에는, 연료 탱크의 잔량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플로트(31)가 마련되어 있다. 플로트(3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편(sliding piece; 32)이 저항기(33)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플로트(31)가 연료 탱크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승강하면, 저항기(33)와 슬라이딩 편(32)의 접점 V3는, 저항기의 우단으로부터 좌단의 사이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연료가 많아 플로트가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딩 편(32)은 저항기(33)의 우측에 위치하고, 연료가 적어 플로트가 낮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딩 편(32)은 저항기(33)의 좌측에 위치한다. 저항기(33)의 우단은 단자 V1를 통해서 전원 전압(직류의 플러스 전압)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기(33)의 좌단은 단자 V2를 통해서 어스되어 있다. 접점 V3는 검출 회로 출력 단자 V4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 회로 출력 단자 V4는 차량 내지 기계(10)에 마련된 연료 미터(13)에 단자 V5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 회로 출력 단자 V4로부터 연료 미터(13)의 단자 V5까지의 사이의 배선에 대해서, 차재기기(11)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재기기(11)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은, 전원 전압과 어스 전위의 사이에서 가변되며, 연료가 많아 플로트가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 V3는 저항기(33)의 우측에 위치하여, 높은 전압이 차재기기(11)에 의해 검지되고, 연료가 적어 플로트가 낮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 V3는 저항기(33)의 좌측에 위치하여, 낮은 전압이 차재기기(11)에 의해 검지된다.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따라서, 액면 검출 회로(30) 및 연료 미터의 사양도 다르기 때문에,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따라서, 차재기기(11)로 검출되는 전압값 내지 전류값은 다르다. 차재기기(11)는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A/D컨버터를 내장하고 있어, 사양이 다른 경우라도, 폭넓은 범위의 전압값 내지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면 검출 회로(30)가 디지털값을 출력하는 사양인 경우에는, 차재기기(11)에 마련된 디지털 입력 단자에 의해 디지털값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의해서, 차재기기(11)가 수집하는 데이터의 사양이 다른 경우라도, 후술하는 분석 수단(22)에 의해,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분석할 수 있다.
[학습 수단(23)에 대해서]
도 3은 학습 수단(23)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3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이 그래프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진다. 차재기기(11)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는 입력 수단(21)을 통해서, 분석 수단(22)으로 송신된다. 분석 수단(22)에서는 학습 수단(23)을 이용하여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분석한다. 도 3의 세로축은 연료 미터 입력 신호로서, 도 2의 검출 회로 출력 단자 V4의 값에 대응하며, (F)는 연료 만탱크를, (E)가 연료 제로를, (E1)이 연료 보급 알림 잔량을 나타낸다. 도 3의 가로축은 시간으로서, T1, T2, T3, T4는 연료 보급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T1, T2, T3, T4가 거의 일정 간격인 예를 나타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연료 보급 간격은 일정하다고는 할 수 없다.
원점에서는, 연료가 (F) 만탱크이지만, 작업 시간에 따라서, 연료는 줄어 들어가, 시각 T1에 있어서, 만탱크 근처까지 연료 보급되고 있다. 시각 0부터 T1까지의 사이에서 가로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기간은 연료가 줄어 들고 있지 않은 시간이며, 차량 내지 기계(10)가 작업을 행하고 있지 않은 시간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학습 수단(23)에 있어서는, 가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가 참작되고 있기 때문에, 아워 미터나 IGN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차량이 가능 상태인 시간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프의 기울기로부터 대응하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비(단위 가동 시간당의 연료 소비량을 의미함.)가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설 기계는 유압 가동식인 것이 많고, 유압 펌프의 가동 상황은, 공도를 주행하는 차량의 엔진의 경우와 비교하면, 부하 변동은 비교적 작고, 연비의 분석 결과는 선형에 가깝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학습 수단(23)에 있어서의 분석에 있어서는 이 선형의 특징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연비 계산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다 엄밀하게 연비 계산을 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정보 및 기억 수단(24)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스케줄로부터, 작업 내용에 따른 분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하가 큰 작업을 행하는 기간은 연비가 크고(즉, 연료 소비가 많음), 부하가 작은 작업을 행하는 기간은 연비가 작다(즉, 연료 소비가 적음). 연비가 다른 경우에는, 도 3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달라진다. 또한, 도 3에서는 그래프의 기울기는 거의 같은 경우, 즉 작업 부하가 거의 일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시각 T1~T2의 기간에서도 작업 시간에 따라서 연료가 줄어 들고 있고, 시각 T2에서는 연료 잔량은 연료 보급 알림 잔량(E1)을 밑돌고 있다. 시각 T2~T3의 기간에서는, 시각 T2로부터 한 동안은 연료가 줄어 들고 있지 않아, 작업이 행해지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각 T3에서는 만탱크(F)까지 연료 보급되고 있다. 시각 T3~T4 사이에서는, 작업 시간에 따라서 연료가 줄어 들고 있으며, 시각 T4에 있어서 연료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과를 분석함으로써, 차재기기(11)에서 수집된 도 2의 검출 회로 출력 단자 V4의 값으로부터, 연료 만탱크(F), 연료 제로(E), 연료 보급 알림 잔량(E1) 등을 학습에 의해, 예를 들면 기계 학습에 의해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습 수단(23)에 있어서의 분석에서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관계없이, 어떤 사양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차량 정보를 참작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연비 연산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실제 연료 미터(13)의 값을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관리자의 부담을 큰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억 수단(24)에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사양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학습 수단(23)의 연료 잔량의 분석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용량을 포함하는 사양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연료 잔량의 비율(퍼센트)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용량(리터)을 파악할 수 있다.
[연료 잔량 예측(분석 수단(22))에 대해서]
도 4에는, 분석 수단(22)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분석 수단(22)에서는, 학습 수단(23)에서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 잔량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세로축은 연료 잔량이며, F는 연료 만탱크, E는 연료 제로, E1은 연료 보급 알림 잔량이다. 도 4의 가로축은 시간으로서, t0~t8는 소정의 시간을 나타낸다. 가로축의 아래쪽의 가동 계획에 대해서는,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가 가동되고 있는 시간이 사선으로 나타내지고 있다. 이 가동 계획은 기억 수단(24)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차재기기(11)에서 수집된 예를 들면 아워 미터나 IGN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동 정보에 의해 수정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수정된 후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쪽이, 연료 잔량 예측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실선 그래프(시각 t0~t4까지)가 실측값이고, 파선 그래프(시각 t4 이후)는 분석 수단(22)에 의한 예측값이다. 시각 t0~t1에서는, 연료가 만탱크(F)이며,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는 가동되고 있지 않다. 시각 t1~t2에서는,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가 가동 중이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료 잔량은 저하되어 간다. 도 4에서는, 연료 잔량의 특성은, 직선 모양으로 나타내지고 있지만,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유압 가동식의 건설 기계 등에 있어서는, 부하 변동은 비교적 작고, 연비의 분석 결과는 선형에 가깝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각 t0~t4까지의 실측값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작업 내용에 따라서 연비가 변동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연료 잔량이 반드시 직선 모양의 변화로 된다고는 할 수 없다.
시각 t2~t3에서는,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는 가동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 잔량에 변화가 없다. 시각 t3~t5에서는,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는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잔량은 저하되어 간다. 여기서 시각 t3~t4는 실측값이지만, 시각 t4 이후는 예측값이다. 이 예측값은, 예측되는 연비로부터 계산되는 것으로, 도 4에 있어서는 부하가 일정하다고 상정되어, 선형의 특성으로 연료 잔량의 예측값이 계산되어 있다. 시각 t5~t6에서는, 가동 스케줄상은,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는 가동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 잔량은 일정하다고 예측된다. 시각 t6~t8에서는, 가동 스케줄상은,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는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연료 잔량의 예측값은 감소되어 가는 것으로 예측되고, 도 4의 경우에 있어서는, 선형의 특성으로 연료 잔량의 예측값이 계산되어 있다. 시각 t7에 있어서는, 연료 보급 알림 잔량 E1으로 되기 때문에, 사전에 연료 보급 알림 잔량 E1이 되는 시각을 파악할 수 있어, 빠르게 연료 보급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예에서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부하가 일정하다고 상정되어, 선형의 특성으로 연료 잔량의 예측값이 계산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가동 스케줄에 있어서 작업 내용이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 내용에 따른 부하를 반영하여, 연비가 변화하는 것을 상정하고, 예정되어 있는 작업 내용에 따른 연비에 따른 연료 잔량 예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가동 계획은, 가동중, 가동 정지중의 2값(사선 있음의 시간대와 사선 없음의 시간대 2개)이지만, 연비 변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가동 계획은 연비 변화에 대응한 그래프(세로축이 연비, 가로축이 시간인 그래프)로서 표현된다. 도 4로부터 예측된 것은,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 연료 계획의 연산에 이용된다.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대해서]
표 1에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의 연산의 일례가 나타내지고 있다. 표 1에서는, 「차량 번호」는 차량 내지 기계(10)가 A~F까지의 6대인 경우를 나타낸다. 「잔량 예측」은 소정의 연료 보급 시기에 있어서의 전술한 분석 수단(22)에 의한 연료 잔량 예측값으로서, 표 1에서는 설명을 위해 「충분히 여유 있음」, 「여유 있음」, 「적음」, 「극히 적음」의 4 단계로 했다. 다만, 실제 연료 예측은, 더 세세한 단계(예를 들면 10단계 표시), 혹은, 연료 잔량(리터 표시, 또는, 퍼센트 표시)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보다 세세한 연료 보급 계획의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112021031923140-pct00001
「급유시의 가동 상황」은 소정의 연료 보급 시기에 있어서의 기억 수단(24)에 기억된 가동 스케줄이며, 표 1에서는 「가동중」과 「휴지중」의 2값으로 표현되어 있다. 가동 스케줄에 있어서, 「가동중」으로서 작업 내용에 따른 부하의 정도가 설정되고, 또한, 「가동중」 및 「휴지중」의 시간대의 정보도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급유시의 가동 상황」이 보다 상세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보다 세세한 연료 보급 계획의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급유 순서」는 「잔량 예측」 및 「급유시의 가동 상황」에 따라서 연산된 급유 순서이다. 「급유 시각」은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 연산된 급유 시각이다. 또한, 「급유량」은 소정의 연료 보급 시기에 있어서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의한 연료 잔량 예측값으로부터 연산된 것이다. 「합계 T」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량을 합계한 값이다.
표 1에 있어서, 급유 순서는, 잔량 예측이 적은 것이, 급유의 우선 순위가 높고, 또한, 급유시의 가동 상황이 휴지중인 쪽이, 급유의 우선 순위가 높게 되도록 연산된다. 즉, 잔량 예측에 대해서는, 「극히 적음」에 대응하는 B가 급유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은, 「적음」에 대응하는 C와 E이며, 그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은, 「여유 있음」에 대응하는 D와 F이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이 「충분히 여유 있음」에 대응하는 A이다. 여기서, 잔량 예측에 있어서는, C와 E의 우선 순위는 같지만, 급유시의 가동 상황에서 보면 휴지중인 E쪽이, 가동중인 C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다. 또한, 잔량 예측에 있어서는, D와 F의 우선 순위는 같지만, 급유시의 가동 상황에서 보면 휴지중인 D쪽이, 가동중인 F 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다. 이 결과, 표 1에서는, 급유 순서는, B, E, C, D, F, A의 순번으로 된다.
실제로는, 잔량 예측에 있어서, 더 세세한 단계(예를 들면 10단계 표시), 혹은, 연료 잔량(리터 표시, 또는, 퍼센트 표시)가 이용되었을 경우, 또한, 급유시의 가동 상황에 있어서, 「가동중」으로서 작업 내용에 따른 부하의 정도가 설정되고, 또한, 「가동중」 및 「휴지중」의 시간대의 정보도 설정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세세한 연료 보급 계획의 연산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 내지 기계(10)의 대수가 많은 경우에도, 적절한 연료 보급 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급유량은, 차량 내지 기계(10)마다, 분석 수단(22)에 있어서 산출된 연료 잔량 예측값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급유 수단(27)에 있어서의 급유차의 연료 적재량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1회의 급유로는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를 만탱크로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합계 T가 급유차에 있어서의 연료 적재량의 상한과 같거나, 혹은, 상한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급유량이 설정된다.
합계 T ≤ (급유차에 있어서의 연료 적재량의 상한)
즉,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량을 만탱크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급유량 보다도 감량할 필요가 있다. 이 감량을 위한 연산은, 합계 T에 대해서 감량이 필요한 연료의 총량, 다음의 급유 시기까지의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상황(기억 수단(24)에 기억된 가동 스케줄),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시의 잔량 예측(분석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연료 잔량 예측값) 등에 따라서,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 또는 분석 수단(22)에 있어서 실행된다.
예를 들면, 다음의 급유 시기까지 예정되는 가동 시간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 필요하게 되는 연료의 양을 연산하여, 필요하게 되는 급유량을 구한다. 다음의 급유 시기까지 예정되는 가동 시간에 따른,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 필요하게 되는 연료의 양은, 분석 수단(22)에 의해서, 연산할 수 있다. 도 3의 예로 설명하면, 시각 T2에 있어서의 급유에서는, 다음의 급유 시기 T3까지 긴 휴지 시간이 예측되기 때문에, 급유량이 만탱크보다도 적은 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시각 T3에 있어서의 급유에서는, 다음의 급유 시기 T4까지 긴 가동 시간이 예측되기 때문에, 만탱크까지 급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시의 잔량 예측에 의해서, 보다 연료 잔량이 적다고 예측된 차량 내지 기계(10)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급유한 쪽이, 전체적으로 급유 작업의 효율이 좋기 때문에, 급유량의 연산에는 급유시의 잔량 예측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으로 연산된 급유 계획에 기초하여, 급유 수단(27)은 합계 T에 대응하거나, 그 이상의 양의 연료를 적재한 급유차를, 차량 내지 기계(10)가 작업하고 있는 현장을 향하여 준비하고, 연산된 급유 스케줄에 기초하여, 급유 순서에 따라서,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 급유를 행한다. 급유 수단에 있어서는, 급유차의 운행은 GPS, Geofence 등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현장에 있어서도 급유차의 도착 시각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급유를 위한 차량 내지 기계(10)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급유 시각은 기억 수단(24)에 기억된 가동 스케줄에 있어서의 급유 시기,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 순서 및 급유량 등으로부터 연산된다.
또한,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으로 연산된 급유 계획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24)에 기억된 가동 스케줄에 있어서의 급유 시기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유 시기는 현장에서의 작업의 진척 상황, 급유 수단에 의한 조건 등에 의해, 기억 수단(24)에 기억된 가동 스케줄에 있어서의 급유 시기로서 설정되어 있지만, 이 급유 시기는 실제 작업의 진척 상황, 급유차의 운행 상황 등에 따라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당초 계획된 급유 시기와, 급유 계획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여, 급유를 위해서 차량 내지 기계(10)의 대기 시간이 연장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실제 작업의 진척 상황, 급유 계획 연산 수단에 기초하는 급유 계획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급유 계획과 정합이 잡힌 작업 계획 하에, 효율적인 급유 작업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차량 내지 기계(10)에 대해서 연료 보급 알림이 발신되었을 경우에는, 급유 스케줄을 앞당기거나, 혹은, 급유 수단(27)에 있어서 임시의 급유차를 준비하여, 적절한 시기에 급유차에 의한 연료 보급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끊김에 의한 특정 차량 내지 기계(10)의 작업 휴지를 방지하고, 또한, 이것에 의해 전체의 작업 스케줄의 지연을 방지하여, 작업 스케줄대로 효율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급유 수단(27)은 급유차를 이용하여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 대해서, 급유 계획에 기초하여 소정의 순서 및 소정량의 급유를 행한다. 급유량은 급유차측의 미터에 의해 파악할 수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혹은, 이것에 더하여, 차재기기(11)로부터 수집된 연료 잔량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에 있어서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 급유된 급유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서버(20)에 있어서 파악된 급유량은, 유저 단말(28)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급유 수단(27)에 있어서의 급유차에 의한 급유시에 이 정보를 참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버에 의해,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급유량을 파악하여, 에코 연료에 의한 감세를 위한 신청 서류의 작성에 이용할 수도 있다.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연산에 있어서도, 학습에 의해, 예를 들면 기계 학습에 의해, 적절한 급유 계획을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내지 기계(10)가 작업하고 있는 현장에서는 급유 개시 당초에는 관리자가 수동에 의해 급유 계획을 변경하는 경우도 있지만,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학습이 진행되면, 적절한 급유 계획을 자동으로 연산할 수 있게 된다. 공사 현장 등에서는 2~3년 등의 공사기간이 예정되는 경우도 있어,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있어서의 학습에 의한 급유 계획의 연산 효과는 크다.
[유저 단말(28)에 대해서]
유저 단말(28)에서는, 분석 수단(22)으로 감시되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 중에서, 선택한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 표시 양태는, 실제 차량 내지 기계(10)에 마련된 연료 미터의 표시 양태와는 관계없이,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에 대해서 통일된 표시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리자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파악하기 쉽다. 유저 단말(28)에 의한 연료 잔량의 표시 양태로서는, 수 단계~20단계 정도의 디지털 표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지고 있는 10단계의 디지털 표시로 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28)에 의한 연료 잔량의 표시 양태를 아날로그 표시, 예를 들면 지침형 미터의 표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저 단말(28)에 있어서는, 분석 수단(22)에 의해 연산된 연료 잔량 예측 결과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보급 알림 시기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내지 기계(10) 중에서 연료 잔량이 적게 된 것이 있으면, 대상이 되는 차량 내지 기계(10)를 특정한 다음에, 연료 보급 알림이 유저 단말(28)에게 발신된다. 또한, 유저 단말(28)에 있어서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의한 급유 계획의 표시도 가능하다. 또한, 유저 단말(28)에 있어서는, 서버로 관리되고 있는 임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스케줄을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용 단말(29)에 대해서]
관리용 단말(29)은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거나, 서버(20)에 대해서 각종 연산을 위한 설정(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스케줄의 설정, 분석 수단(22)이나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의 설정 등)을 행하거나, 연산 결과의 표시를 행하거나 한다. 관리용 단말(29)에서는, 모든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감시하기 때문에,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의 표시 양태가 통일되어 있으면, 관리자는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을 파악하기 쉽다. 관리용 단말(29)에서는, 기억 수단(24)에 기억되어 있는 가동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 가동 스케줄은 차량 내지 기계(10)의 작업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 계획에 기초하여 결정되지만,
(1) 실제 작업의 진척에 따른 수정
(2)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으로 연산된 급유 계획에 기초하는 수정, 및,
(3) 급유 수단(27)의 급유차의 운행에 기초하는 수정
등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관리자가 관리용 단말(29)을 이용하여 가동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스케줄의 수정은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지만, 관리자의 승인을 얻고 나서 관리 스케줄에 수정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가 관리용 단말(29)을 이용하여 가동 스케줄에 수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의한 급유 계획은, 관리자에 의한 허가를 얻은 후에,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원격 연료 감시 방법은, 서버에 있어서 실행되는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 가능하고, 또한, 이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은, 임의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의 연료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급유량을 파악하여, 에코 연료에 의한 감세를 위한 신청 서류의 작성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 1~4에 대해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0)에 있어서, 급유 수단(27)의 급유차에 의한 각 차량 내지 기계(10)에의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서버(20)에서는, 분석 수단(22)에 의해서, 언제, 어느 차량 내지 기계(10)에, 얼마만큼의 양의 연료를 보충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에코 연료에 의한 감세를 받기 위해서는, 차량 내지 기계(10)마다 급유 정보를 모두 보고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에는 차량 내지 기계(10)마다 급유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20)에 의해 차량 내지 기계(10)마다의 급유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급유 정보로부터 감세를 위한 보고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시키고, 또한, 적절한 에코 연료 감세 신청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 또는 2의 연료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지 기계(10)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을 감시하는 방법이다. 도 1~4에 대해서,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또는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재기기에 의해서 검출된 차량 정보, 예를 들면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연료 잔량의 정보, 및, 아워 미터나 IGN의 정보는, 서버(20)에 있어서 감시될 수 있다. 즉, 분석 수단(22)에 있어서는,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상황에 따른 연료 잔량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다. 만약 차량 내지 기계(10)로부터 연료를 빼내는 도난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해당 차량 내지 기계(10)가 가동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연료 잔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분석 수단(22)에 있어서, 각 차량 내지 기계(10)의 가동 상황에 따른 연료 잔량의 변화를 감시함으로써, 차량 내지 기계(10)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 내지 기계(10)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도난의 발생을 관리용 단말(29) 및 유저 단말에 대해서 알린다.
이 경우의 알림의 내용에는,
a) 도난이 발생된 것에 더하여,
b) 피해를 당한 차량 내지 기계(10)의 특정,
c) 도난이 발생된 시각,
d) 빼내진 연료의 양, 및,
e) 해당 차량 내지 기계(10)의 그 후의 작업에의 영향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e)에 관하여, 도난에 의해 연료가 빼내진 차량 내지 기계(10)에 대해서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25)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빠른 급유가 되도록 하는 급유 계획이 연산되기 때문에, 그 후의 가동 스케줄이 조정되어, 해당 차량 내지 기계(10)의 휴지 시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혹은, 휴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빠른 급유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난의 발생이 신속히 알림되어, 그 피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범인의 체포로도 이어지며, 또한, 도난 감시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의 개시에 의해, 도난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분석 수단(22)에서의 연료 잔량의 분석, 및 급유 계획 연산 수단에 있어서의 급유 계획의 연산에, 예를 들면 기계 학습을 이용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분석이나 연산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차재기기 10 : 기계
11 : 차재기기 12 : 연료 잔량 센서
13 : 연료 미터 14 : 아워 미터
16 : 무선 통신 네트워크 20 : 서버
21 : 입력 수단 22 : 분석 수단
23 : 학습 수단 24 : 기억 수단
25 : 급유 계획 연산 수단 26 : 출력 수단
27 : 급유 수단 28 : 유저 단말
29 : 관리용 단말 30 : 액면 검출 회로
31 : 플로트 32 : 슬라이딩 편
33 : 저항기

Claims (18)

  1. 차재기기로부터, 차량 또는 기계의 연료 잔량의 실측값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및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비를 산출하는 학습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연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료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예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정보,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유 계획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은, 상기 급유 계획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가 변경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료 잔량의 실측값이 연료 보급 알림 양을 밑도는 경우,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 대해 연료 보급 알림을 발신하고,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은, 상기 연료 보급 알림이 발신된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상기 급유 계획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를 앞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은, 다음 급유 시기까지 예정되는 가동 시간에 따라서, 상기 차량 또는 기계에 필요한 연료의 양을 연산하고, 상기 급유 계획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 대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연료 잔량의 예측값 및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에서 연산된 상기 급유 계획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 대해 상기 급유 수단에 의해 급유된 급유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및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로부터의 연료의 도난을 검출하고,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상기 도난이 검출된 경우에, 관리용 단말 및 유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그 취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은,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해 상기 도난이 검출된 경우, 상기 급유 계획을 재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차재기기 및 서버를 구비하는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기로부터, 차량 또는 기계의 연료 잔량의 실측값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및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비를 산출하는 학습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연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료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연료 잔량의 예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급유 계획 연산 수단과,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정보,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유 계획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 계획 연산 수단은, 상기 급유 계획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9. 서버가, 차재기기로부터, 차량 또는 기계의 연료 잔량의 실측값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및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비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연료 잔량의 실측값,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연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연료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연료 잔량의 예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 대한 급유 계획을 연산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가, 급유 수단에 대해서, 상기 급유 계획을 출력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의 가동 정보, 및,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유 계획은, 상기 차량 또는 상기 기계에의 연료의 급유 시기 및 급유량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급유 계획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가 변경된 경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가동 스케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급유 시기를 변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연료 감시 방법.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원격 연료 감시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억 매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17008135A 2018-09-21 2018-09-21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365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5056 WO2020059119A1 (ja) 2018-09-21 2018-09-21 遠隔燃料監視システム、車載器、車両ないし機械、サーバ、遠隔燃料監視方法、遠隔燃料監視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23A KR20210037723A (ko) 2021-04-06
KR102365096B1 true KR102365096B1 (ko) 2022-02-18

Family

ID=6768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135A KR102365096B1 (ko) 2018-09-21 2018-09-21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373458B2 (ko)
EP (1) EP3855374A4 (ko)
JP (1) JP6561261B1 (ko)
KR (1) KR102365096B1 (ko)
CN (1) CN112740243B (ko)
BR (1) BR112021005031B1 (ko)
MX (1) MX2021003128A (ko)
MY (1) MY188650A (ko)
PH (1) PH12020551979A1 (ko)
WO (1) WO2020059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1086B (zh) * 2020-02-14 2024-05-28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和系统
WO2022168919A1 (ja) * 2021-02-08 2022-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燃料盗難検出方法及び燃料盗難検出装置
JP7469345B2 (ja) * 2022-02-21 2024-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運行管理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608A (ja) * 2014-03-28 2015-11-0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500A (ja) * 1998-12-15 2000-06-30 Equos Research Co Ltd 音声認識装置及びエ―ジェント装置
WO2001073221A1 (fr) *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ysteme servant a alimenter en carburant une machine de construction et machine de construction
JP3675318B2 (ja) 2000-09-12 2005-07-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燃料補給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964174B2 (ja) 2001-08-08 2007-08-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機械の燃料使用明細作成システム、その燃料使用明細作成方法、およびその燃料使用明細作成プログラム
JP4021638B2 (ja) 2001-10-02 2007-1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機械の燃料配送システム、その燃料配送方法、およびその燃料配送プログラム
WO2005045778A1 (ja) * 2003-11-10 2005-05-19 Komatsu Ltd. 作業機械の燃料管理システム及び燃料管理方法
JP2009134502A (ja) 2007-11-30 2009-06-18 Denso Corp 燃料情報収集装置
JP2009282838A (ja) 2008-05-23 2009-12-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燃料供給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配給管理サーバ装置、燃料供給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燃料供給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10237112A (ja) 2009-03-31 2010-10-21 Equos Research Co Ltd 情報提供装置
AU2011208621B2 (en) * 2010-01-22 2014-12-0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Fu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2132181A (ja) 2010-12-21 2012-07-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オペレータ管理システム
US9261396B2 (en) * 2011-03-31 2016-02-16 Excelfo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quid level in containers/reservoirs
JP2014157021A (ja) * 2013-02-14 2014-08-28 Denso Corp 燃料消費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9283B1 (ko) 2013-12-26 2020-06-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연료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건설 장비
US9878631B2 (en) * 2014-02-25 2018-01-30 Elwh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20150310674A1 (en) * 2014-04-29 2015-10-29 Caterpillar Inc. System for providing on-site service for industrial equipment
BR102015010729A2 (pt) 2014-05-11 2015-11-17 Autonomous Solutions Inc sistema de controle de missão e método para um sistema agrícola
JP6234359B2 (ja) * 2014-12-15 2017-11-2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オイル性状の診断システム
JP6671236B2 (ja) 2016-05-09 2020-03-25 株式会社クボタ 資源補給システムと作業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608A (ja) * 2014-03-28 2015-11-0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05031A2 (pt) 2021-06-08
EP3855374A1 (en) 2021-07-28
US20210312722A1 (en) 2021-10-07
CN112740243A (zh) 2021-04-30
PH12020551979A1 (en) 2021-08-02
WO2020059119A1 (ja) 2020-03-26
MY188650A (en) 2021-12-22
MX2021003128A (es) 2021-05-14
JP6561261B1 (ja) 2019-08-21
JPWO2020059119A1 (ja) 2020-12-17
BR112021005031B1 (pt) 2021-11-23
CN112740243B (zh) 2022-06-07
EP3855374A4 (en) 2022-03-23
KR20210037723A (ko) 2021-04-06
US11373458B2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96B1 (ko)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US7283810B1 (en) Communication device of mobile unit
US7797090B2 (en)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n vehicles
US8600653B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enabling the calculation of actual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for a moving, stopped or operational aircraft, with or without fuel theft exclusion
US82328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well service rig
US7756736B2 (en) Work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US9637891B2 (en) Management server for working machine and management method for working machine
US9354627B2 (en) Control method, control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JP5830162B2 (ja) 作業機械、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管理方法
JPWO2005045778A1 (ja) 作業機械の燃料管理システム及び燃料管理方法
CN105679088A (zh) 一种基于地磁检测的车位锁及停车管理系统
CN107228679A (zh) 一种基于路况的汽车低油量提醒方法及装置
CN103208187A (zh) 一种检测车辆超速的方法
CN113919677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无人矿山作业管理系统
CN109573934B (zh) 工程车辆用油管理方法及系统
CN109540235A (zh) 车辆的燃油管理监测系统及监测方法、农用车辆
CN109724660A (zh) 一种基于多传感器数据的工程机械油耗判断方法
EP1191156B1 (en)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construction machine
CN111506035B (zh) 基于物联网大数据的油田单拉罐井生产运行调度优化系统和方法
JP3675318B2 (ja) 建設機械の燃料補給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80083021A (ko)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Eunap et al. LOAD CARRYING CRANE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CN117284996A (zh) 一种加油信息的集成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JP2002203066A (ja) 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