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19B1 -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 Google Patents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19B1
KR102361119B1 KR1020187026735A KR20187026735A KR102361119B1 KR 102361119 B1 KR102361119 B1 KR 102361119B1 KR 1020187026735 A KR1020187026735 A KR 1020187026735A KR 20187026735 A KR20187026735 A KR 20187026735A KR 102361119 B1 KR102361119 B1 KR 10236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x body
shelf
side plate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678A (ko
Inventor
도모쓰구 기쿠시마
신이치 오사와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29C44/187Filling faulty voids in the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Abstract

천판(1), 저판(2) 및 측판(3)을 갖는 박스체(20)와, 박스체(20)의 중공부에 충전된 발포체의 일체물인 선반판(10)은, 박스체(20)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박스체(20) 중에서 발포 원액을 반응, 경화시키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며 또한 강도도 높고, 사용 부품이 적으며, 심재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선반판 및 물품 진열 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사용 부품이 적고,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선반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본 발명은, 슈퍼 혹은 양판점에서 사용되는 물품 진열용의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에 관한 것이다.
슈퍼 혹은 양판점에서 사용되는 상품 진열용의 선반판은, 프레임인 스탠드에 복수장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강도 이외에, 경량인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5-255호 공보에는, 집기에 이용되는 복합 판재에 있어서, 당해 복합 판재의 양 평면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평면판과, 상기 한 쌍의 평면판의 사이에 끼워져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당해 복합 판재의 외연(外緣)을 형성하는 띠형상의 외연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판이, 공극을 포함하여 조합된 복수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판형상을 이루는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띠형상의 중간연재를 가지며, 상기 외연재가, 상기 연결판의 중간연재의 외측면과, 상기 한 쌍의 평면판의 각 외주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복합 판재에 의하면, 번잡한 구조를 요하지 않으며 연재를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2015-211802호 공보에는, 합성 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천판부와 상방 측판부로 이루어지는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부와 하방 측판부를 구비하는 박스형의 하방 부재를 가지며, 상기 상방 부재의 개구측과 상기 하방 부재의 개구측을 대치시켜, 상기 상방 부재의 내측에 상기 하방 부재를 끼워 넣거나, 혹은 상기 하방 부재의 내측에 상기 상방 부재를 끼워 넣어, 양자를 결합 또는 접착에 의해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용 선반판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상품 진열용 선반판 부재에 의하면, 내려앉음이 발생하지 않는 선반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5-25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5-2118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98769호 공보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2015-255호 공보의 복합 판재는, 7부재를 조립하는 것이며, 많은 제작 공정을 갖는다.  또, 심재로서 허니콤 구조를 사용하고 있지만, 경량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2015-211802호 공보의 선반판 부재는, 경량이며, 고정선반에는 적합하지만, 축 회전에 의해,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하는 회전 가능한 선반판으로서는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평5-98769호 공보에는, 발포체의 양면에 얇은 베니어판을 끼워 유지한 건축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건축 재료는, 외주면은 발포체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품 진열 선반용으로서는 의장성이 떨어져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며 또한 강도도 높고, 사용 부품이 적으며, 심재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선반판 및 물품 진열 집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사용 부품이 적고,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선반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와, 그 박스체의 중공부에 충전된 발포체의 일체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중공부에 충전된 발포체의 일체물을 가지며, 상기 박스체는, 천판과 상방 측판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과 하방 측판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의 끼워맞춤체이며, 상기 상방 부재 및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가 끼워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부재는, 둥근 형상의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방 부재 또는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 결합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그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갖는 선반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박스체는, 천판과 상방 측판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과 하방 측판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의 끼워맞춤체이며, 상기 상방 부재 및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가 끼워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부재는, 둥근 형상의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방 부재 또는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 결합편을 갖는 선반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선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 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반판에 의하면, 경량이며 또한 강도도 높고, 사용 부품이 적으며, 심재인 발포체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의장성이 우수하며 진열의 연출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선반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용 부품이 적고,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반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반판의 중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하방 부재의 모서리의 절결부와 코너 부재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B)는 하방 부재의 모서리의 절결부에 코너 부재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하방 부재의 저판에 부설된 결합 구멍과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B)는 하방 부재의 저판에 고정된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하방 부재와 상방 부재의 끼워맞춤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방 부재와 상방 부재의 끼워맞춤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하방 부재와 상방 부재의 끼워맞춤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하방 부재와 상방 부재의 끼워맞춤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박스체의 주입구로부터 발포제 원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선반판의 끝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박스체의 주입구와 커버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박스체의 주입구를 커버재로 가린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반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반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반판의 끝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진열 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진열 집기의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반판 및 그 제조방법을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반판(10)은, 천판(1), 저판(2) 및 측판(3)을 갖는 박스체(20)와, 박스체(20)의 중공부(X)에 충전된 발포체(Y)의 일체물이다. 박스체(20)는, 심재인 발포체(Y)의 외측을 덮는 부재이다. 선반판(10)은,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이며, 네 모서리는 둥근(R) 형상이다. 이에 따라, 다단 진열에 적합하며, 또, 고객 등의 상처 방지가 된다. 또한, 네 모서리의 코너 부재(7)는, 박스체(20)의 재료와 다른 재료, 예를 들면 수지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코너 부재(7)는, 박스체(20)에 절삭된 모서리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선반판(10)이, 육각 이상의 다각형인 경우, 둥근(R) 형상은 생략해도 된다.
선반판(10)에 있어서, 박스체(20)로서는, 강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 또는 강화 섬유 함유의 수지판 등의 비금속판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0.25~0.35mm의 강판 등의 금속판이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심재인 발포체와 접착하여 일체화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선반판(10)에 있어서, 박스체(20)는, 천판(1), 저판(2) 및 측판(3)이 일체로 된 용기형이어도 되고, 복수 부재가 끼워맞춰진 것이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박스체(20)는, 천판(1)과 상방 측판(3)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1A)와, 저판(2)과 하방 측판(4)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이다. 상방 측판(3) 및 하방 측판(4)은, 모두 좌우 측판 및 전후 측판의 4개의 측판을 갖는다. 즉, 상방 부재(1A)의 종횡 및 높이의 안치수는, 하방 부재(1B)의 종횡 및 높이의 바깥치수와 대략 동일하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는, 상방 부재(1A)가, 저판(2)을 제외한 하방 부재(1B)의 전체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은, 특별히 결합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하방 부재(1B)를 상방 부재(1A)가 실질적으로 간극없이 덮고 있는 것이면 된다.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는, 판금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측판끼리의 접촉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체의 외주부가 되는 상방 측판 또는 하방 측판의 폭방향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이며, 외측에 나타나는 선단부는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은, 상방 부재(1A)의 측판(31a)의 폭방향의 선단부(311)는 접어 포개어진 굴곡부이며, 외측에 나타나는 선단부(311)는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품을 손에 든 고객의 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도 7은, 상방 부재(1A)의 측판(32a)의 폭방향의 선단부(321)는 접어 포개어진 굴곡부이며, 외측에 나타나는 선단부(321)는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품을 손에 든 고객의 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도 7의 측판(32a)에 있어서, 도 6의 측판(31a)과 다른 부분은, 하방 부재(1B)의 측판의 높이가 작은 점 및 상방 부재(1A)의 측판의 내측으로 되접어 꺾인 내측판의 높이가 작은 점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상하 반전시킨 상태, 즉, 상방 부재(1A)를 하방 부재로 하고, 하방 부재(1B)를 상방 부재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외측에 나타나는 굴곡부의 둥근 부분은 상단(선단)이 된다.
또, 박스체(20)는 도 1 및 도 2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스체의 외관형상으로서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타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및 부정형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측판은, 원형 측판(둘레 측판), 타원 측판, 다각형 측판 및 부정형 측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선반판(10)은, 심재인 발포체(Y)의 표면과 박스체(20)의 내주면은 접착 또는 용착(이하, 간단히 「접착」이라고 한다.)되어 있으며, 양자는 일체물이다. 즉, 발포체(Y)는, 박스체(20)의 중공부에 바깥으로부터 발포 원액이 주입되어, 내부에서 발포, 경화된 것이며, 내부 간극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소정 형상의 발포체를 제작하고, 그 발포체에 대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천판, 저판 및 측판을 장착한 선반판과는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선반판(10)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박스체와 발포체를 강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발포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폼, 폴리스티렌 폼, 페놀 폼, 폴리에틸렌 폼 등의 합성 수지 발포체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액,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 원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박스체(20) 내에 토출시켜, 박스체(20) 내에서 반응, 발포, 경화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예시의 발포체 중, 경질 또는 반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폼, 폴리스티렌 폼이 바람직하며, 특히 경질 또는 반경질의 폴리우레탄 폼이 바람직하다.
선반판(10)에 있어서, 천판(1)의 끝 근방, 본 예에서는 폭방향의 끝이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떨어짐 방지부(6)의 다리부(62a, 62b, 62c)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8a, 8b, 8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떨어짐 방지부(6)의 설치와 분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 떨어짐 방지부(6)의 설치가 안정된다. 또, 선반판(10)에는 떨어짐 방지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방 내림 경사의 선반판으로 했을 때, 진열된 상품이 전방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선반판(10)에 떨어짐 방지부(6)를 설치하는 경우, 선반판(10)의 결합 구멍(8a, 8b, 8c)에 떨어짐 방지부(6)의 다리부(62a~62c)를 끼워 넣으면 된다.
또, 선반판(10)에 있어서, 박스체(20)에는 발포 원액 주입구(5)가 형성되며, 주입구(5)는 커버재(50)로 가려져 있다(도 2 및 도 11 참조). 발포 원액 주입구(5)는, 도시 생략의 발포 원액 주입 기구의 노즐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발포 원액 주입구(5)의 형성 위치는, 박스체(20)의 천판(1), 저판(2) 및 측판(3)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본 예에서는, 폭방향의 2개의 측판(3a, 3a) 중 하나이다. 박스체(20)가,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인 경우,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대응하는 위치에 주입구(5)는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에 주입구(5)가 형성되게 된다. 커버재(50)로서는, 주입구(5)를 가리는 것이면 되고,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화장 시일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반판(10)에 있어서,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측판끼리의 접촉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도 5~도 7 외에,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부재(1A)의 측판(33a)의 선단측이, 높이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며, 그 굴곡된 선단부에 있어서, 하방 부재(1B)의 측판(42a)을 포갠 것이다. 도 8의 측판 형상에 있어서도, 측판의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품을 손에 든 고객의 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 있어서, 상방 부재(1A)의 측판(32a)의 접어 포개어진 굴곡부의 선단부분을 더욱 내측으로 구부려 수평부(322)를 형성해도 된다. 이 때, 하방 부재(1B)의 측판(42a)의 선단이 수평부(322)의 이면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하방 부재(1B)에 상방 부재(1A)를 덮는 것만으로, 양자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도 5~도 8은, 발포 원액 주입 전의 상태이며, 도 10은 발포 원액 주입 후, 박스체 내에서 발포, 경화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선반판(10)에 의하면, 박스체(20)의 내주면과 발포체(Y)의 외주면은 접착되어 있다. 혹은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박스체(20)의 내주면과 발포체(Y)의 외주면은 간극없이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휨력에 대해서도, 양 부재는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체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경량이며 또한 강도도 높다. 또, 접착제 등의 사용이 없고, 부품수가 적으며, 심재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의장성이 우수하며, 진열의 연출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 상품이 재치(載置)되는 선반판(10)의 표면은, 약간의 쿠션이 있어, 상품을 손상시키지 않는 부드러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선반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반판의 제조방법은,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그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20)는 중간체이다. 박스체(20)로서는, 강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 또는 강화 섬유 함유의 수지판 등의 비금속판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0.25~0.35mm의 강판 등의 금속판이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심재인 발포체와 접착하여 일체화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선반판(10)에 있어서, 박스체(20)는, 천판, 저판 및 측판이 일체가 된 용기형이어도 되고, 복수 부재가 끼워맞춰진 것이어도 된다. 박스체(20)는, 본 예에서는, 천판(1)과 상방 측판(3)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1A)와, 저판(2)과 하방 측판(4)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이다. 이에 따라,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체는, 상방 부재(1A)가 저판(2)을 제외한 하방 부재(1B)의 전체를 덮는 구조가 되고 있다. 상방 부재(1A)와 하방 부재(1B)의 끼워맞춤은, 특별히 결합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하방 부재(1B)를 상방 부재(1A)가 실질적으로 간극없이 덮고 있는 것이면 된다.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는 판금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를 사용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7)가 끼워지는 절결부(711, 7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방 부재(1B)의 소정의 위치에는,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가 끼워지는 관통구멍(91a, 91b, 91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방 부재(1A)의 천판(1)의 끝 근방, 본 예에서는 폭방향의 끝이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결합 구멍(8a, 8b, 8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의 측판(3a, 4a)에는 발포 원액 주입구(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제조에 앞서,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 외에,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 및 코너 부재(7a~7d)를 준비한다.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는, 박스체(20) 내에 배치되어, 떨어짐 방지부(6)를 고정하는 것이며, 대략 원주형상체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 세로구멍(9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세로구멍(94)에는 떨어짐 방지부(6)의 다리부(62)가 끼워지고, 돌기부(92)는 저판(2)의 관통구멍(9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92)의 돌기 길이는 저판(2)의 두께에 상당하며, 짧기 때문에, 도 4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또 코너 부재(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상이고, 모서리부(701)가 둥근(R) 형인 것이며,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 끼워져, 모서리부가 둥근(R) 형이고 또한 박스체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모서리부(70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결합편(702, 703)은, 상방 부재(1A) 또는 하방 부재(1B)의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발포 원액이 박스체(20) 내에 있어서, 반응해서 발포하여 체적이 증가해도, 판형상의 결합편(702, 703)이 스토퍼가 되므로, 코너 부재(7)가 박스체(20)의 네 모서리의 절결부(711 및 712)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우선, 하방 부재(1B)를 작업대에 저판(2)을 아래로 하여 설치한다. 다음으로,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의 돌기부(92)를 각각 관통구멍(91a, 91b, 91c)에 끼워 넣어,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를 저판(2)에 고정한다.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의 돌기부(92)와 관통구멍(91a, 91b, 91c)의 결합은, 발포 원액이 반응할 때, 이동하지 않을 정도의 결합이면 된다. 돌기부(92)는, 저판(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일은 없다. 또, 코너 부재(7)를 하방 부재(1B)의 네 모서리의 절결부(712)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끼워 넣는다(도 3(A) 및 (B)). 다음으로, 상방 부재(1A)를 천판(1)을 위로 한 상태로, 하방 부재(1B)에 대해 덮도록 끼워 넣는다(도 2 참조). 즉, 하방 부재(1B)와 상방 부재(1A)를 끼워맞춘다. 이에 따라, 중공부를 갖는 박스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의 결합 세로구멍(94)과 상방 부재(1A)의 결합 구멍(8a, 8b, 8c)이 각각 대응한다. 또, 박스체(20)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7)가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체인 박스체(20)를 두께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고정 지그(150)로 고정한다. 고정 지그(150)는, 천판(1) 상에 올려놓은 상부 부재와, 저판(2)의 아래에 깔린 하부 부재를 볼트 등의 연결 부재로 끼운 것이다. 본 예에서는, 장척의 판재를 복수개 사용하고 있지만, 천판(1)이나 저판(2)보다 큰 면적의 한 쌍의 판재로 샌드위치형으로 끼워도 된다. 이에 따라, 바깥으로부터 박스체(20) 내부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박스체(20) 내에서 반응시켜도, 중간체의 박스체(20)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박스체(20)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5)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그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행한다. 발포 원액으로서는, 반응 후,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폼, 폴리스티렌 폼, 페놀 폼, 폴리에틸렌 폼 등의 합성 수지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이며, 공지의 원액,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원액이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폴리올 성분, 아민 화합물, 물 및 촉매를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며, 이들 발포 원액을 혼합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주입구(5)로부터 주입 기기를 이용해, 박스체(20) 중으로 주입하여, 박스체(20) 내에서 반응, 발포, 경화시킨 것이다(도 9 참조).
발포 원액은, 박스체(20) 내에서 발포, 경화 후, 발포체(Y)가 된다. 이 때, 3개의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는 저판(2)에 고정되어 있으며, 발포 원액의 주입에 의해 고정 위치가 미끄러지는 일은 없다. 또, 4개의 코너 부재(7a~7d)는, 절결부(711, 712)로부터 둥근(R) 부가 나와 있지만, 결합편(702, 703)이 상방 부재(1A) 또는 하방 부재(1B)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간극 없이 절결부(711, 712)에 설치되며, 빠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박스체(20) 내에 있어서, 심재인 발포체(Y)의 표면과 박스체(20)의 내주면은 접착 또는 긴밀하게 접하고 있으며, 양자는 내부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일체물이 되고 있다.
다음으로, 코너 부재(7a~7d)와 결합 구멍(8a, 8b, 8c)을 제외한 박스체(20)의 모든 외주면을 화장 시트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박스체(20)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5)는, 커버재, 본 예에서는 시일지(50)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심재로서 발포체(Y)를 갖는 선반판(10)이 얻어진다. 선반판(10)에는, 필요에 따라 떨어짐 방지부(6)를 설치한다. 떨어짐 방지부(6)는, 결합 구멍(8a, 8b, 8c)에 떨어짐 방지부(6)의 다리부(62a, 62b, 62c)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판(10)이 전방 내림 경사로 설치될 때, 전방으로 상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선반판(10a)에 대해,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도 1~도 11과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즉, 도 12~도 14의 선반판(10a)에 있어서, 도 1~도 11의 선반판(10)과 다른 부분은, 박스체(20a)는 박스체(20)의 좌우 측판에, 추가로 제2 좌우 측판(17, 17)을 장착한 점, 선반판(10a)의 코너부는 둥근(R) 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선반판(10a)은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가 끼워지는 관통구멍(91a, 91b, 91c)과 떨어짐 방지부(6)의 다리부(62a, 62b, 62c)가 끼워지는 결합 구멍(8a, 8b, 8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및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에 제2 좌우 측판(17, 17)을 형성한 점에 있다.
즉, 선반판(10a)은, 천판(1a), 저판(2a), 좌우 측판(3a') 및 전후 측판(3b')을 갖는 박스체(20a)와, 박스체(20a) 내에서 발포 원액이 반응하여 경화한 발포체(Y)의 일체물을 가지며, 좌우 측판(3a', 3a')에는, 발포 원액 주입구(5')(제2 발포 원액 주입구)를 갖는 제2 좌우 측판(17, 17)이 부설되어 있다.
선반판(10a)에 있어서, 제2 좌우 측판(17, 17)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의 형상에 대응한 소정 두께의 판형상체로서,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측의 면(이면)에는,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의 복수의 결합 구멍(11)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171)가 형성되고,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과는 반대측의 면(표면)에는, 양단 가장자리 및 상단 가장자리를 남기고 직사각형 단면의 오목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71)는, 결합 구멍(11)에 삽입 또는 압입에 의해 결합 구멍(11)으로 들어간다.  결합 돌기(171)의 길이는,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의 판두께보다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결합 돌기(171)의 선단부는 발포체와 접착하고 있으며, 좌우 측판(3a', 3a')은 박스체(20a)에 강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 오목홈(172)은, 예를 들면 고정측의 지지 프레임의 좌우 양 팔부에 상당하는 L자 단면의 받침 부재(60)의 기립벽(61)에 결합된다. 즉, 오목홈(172)은, 받침 부재(60)의 기립벽(61)이 끼워지는 형상이다. 이에 따라, 선반판(10a)은, 받침 부재(60)를 갖는 곤돌라라고 칭해지는 상품 진열 선반의 지지 프레임에, 위에서부터 올려놓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반판(10a)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중간체인 박스체(20a)를 제작한다(도 13). 박스체(20a)의 제조방법은, 박스체(20)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즉, 박스체(20a)는, 천판(1a), 저판(2a) 및 측판(3a', 3b')이 일체가 된 용기형이어도 되고, 복수 부재가 끼워맞춰진 것이어도 된다. 또, 박스체(20)와 동일하게, 천판과 상방 측판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과 하방 측판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의 끼워맞춤체여도 된다.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에는, 결합 돌기(171)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11)이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개, 또, 측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에는 발포 원액 주입구(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에 제2 좌우 측판(17, 17)을 장착한다. 즉, 제2 좌우 측판(17, 17)의 결합 돌기(171)를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의 결합 구멍(11)에 삽입 또는 압입한다. 이 때, 박스체(20a)의 좌우 측판(3a', 3a')의 발포 원액 주입구(5)와, 제2 좌우 측판(17, 17)의 발포 원액 주입구(5')가 일치하여, 하나의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박스체(20)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중간체인 박스체(20a)를 두께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고정 지그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2 좌우 측판(17, 17)의 발포 원액 주입구(5')로부터 박스체(20a)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그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반응, 경화시키는 공정을 행한다. 발포 원액은, 박스체(20a) 내에서 반응, 경화 후, 발포체(Y)가 된다. 이 때, 제2 좌우 측판(17, 17)의 결합 돌기(171)는, 선단부가 박스체(20a) 내로 돌출되어 있으며, 발포 원액의 경화 시, 발포체와 접착하여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제2 좌우 측판(17, 17)은 박스체(20a)에 고정된다. 또, 박스체(20)와 동일하게, 심재인 발포체(Y)의 표면과 박스체(20a)의 내주면은 접착 또는 긴밀하게 접하고 있으며, 내부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박스체 용기와 발포체(Y)는 일체가 된다.
본 발명의 물품 진열 집기는, 본 발명의 선반판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에 회동 불가능 또는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또, 선반판은 단일 단 또는 상하로 다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의 물품 진열 집기(30)에 있어서 선반판(10)은, 지지 프레임(40)에 상하 4단으로, 각각 상하방향 0~90도의 회동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지지 프레임(40)은, 다리부(41)와, 소정 간격 떼어 놓고 설치한 2개의 지주(421, 421)와 양 지주(421, 421) 사이에 걸쳐 부설되는 상부 크로스바 부재(422)로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부(42)로 이루어지고, 선반판(10)은, 2개의 지주(421, 421) 사이에서 다단으로 설치된다. 즉, 선반판(10)의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이며, 선반판(10)의 폭방향이 전후방향이다. 선반판(10)은, 수평 위치로부터 전방 끝이 하단이 되는 수하(垂下)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 선반판(10)의 지지 프레임(40)으로의 지지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이면 되고, 본 예에서는, 2개의 지주(421, 421)에 형성된 지지용의 축 구멍과, 선반판(10)의 후방의 좌우 양단 위치에 형성된 축 봉의 결합이다. 또, 선반판(10)의 진열 경사 각도에 대해서는, 공지의 지지 각도 변환구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물품 진열용 집기(30)에 의하면, 선반판(10)이 경량이므로, 지지 프레임(40)의 지지가 안정된다. 또, 선반판(10)의 진열 경사의 각도를 변경할 때,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진열 집기(30a)에 있어서, 선반판(10a)은 지지 프레임(50a)에 상하 4단으로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지지 프레임(50a)은, 좌우의 후방 지주(52b, 52b), 좌우의 전방 지주(52a, 52a), 좌우의 후방 지주(52b, 52b)를 연결하는 크로스바 부재(53) 및 전후 한 쌍의 지주(52a, 52b)를 연결하는 받침 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양단의 한 쌍의 받침 부재(60)로 선반판(10a)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물품 진열 집기(30a)에 의하면, 선반판(10a)은 단지 받침 부재(60)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물품 진열 집기(30a)에 있어서, 도 16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수는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 한 쌍의 받침 부재(60)를 양단에 갖는 것이면, 지지 프레임(50a)의 형상 및 구조도 적절히 결정된다. 본 발명의 물품 진열용 집기(30a)에 의하면, 선반판(10a)이 경량이므로, 지지 프레임(40a)의 받침 부재(60)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선반판(10a)의 발포 원액 주입구(5')는, 가림용 시일을 하지 않아도, 받침 부재(60)로 가려지므로,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품으로서는 상품, 전시물, 대여물 및 장식물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진열용 집기에 있어서, 진열이란 단지 「물품」을 올려놓는 것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 물품 진열용 집기로서는, 상품 진열용 집기, 도서 진열용 집기 및 물품 재치용 집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을 채용할 수 있다. 선반판(10)에 있어서, 코너부는 임의의 구성 요소이며, 생략할 수도 있다. 이 때, 상방 부재(1A) 및 하방 부재(1B)의 네 모서리의 절결부는 형성하지 않는다. 또 선반판(10)에 있어서, 떨어짐 방지부(6)는 임의의 구성 요소이며, 생략할 수도 있다. 이 때, 천판(1)의 결합 구멍(8a, 8b, 8c), 저판(2)의 관통구멍(91a, 91b, 91c) 및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9a, 9b, 9c)는 형성하지 않는다. 또 선반판(10)에 있어서, 커버재(50)는 생략해도 된다. 또 선반판(10a)에 있어서, 제2 측판(17)의 결합 수단은 오목홈(172)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결합 수단이면 된다. 이 때, 고정측의 지지 프레임의 결합 수단은, 제2 측판(17)의 결합 수단에 대응하는 것이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며 또한 강도도 높고, 심재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의장성이 우수한 선반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용 부품이 적고,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 1a: 천판 2: 저판
3, 3': 측판 4: 하방 부재의 측판
5, 5': 발포 원액 주입구 6: 떨어짐 방지부
7: 코너 부재 9: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
10, 10a: 선반판 17: 제2 측판
20, 20a: 박스체 30, 30a: 물품 진열용 집기
60: 받침 부재(고정측)

Claims (15)

  1.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중공부에 충전된 발포체의 일체물을 가지며,
    상기 박스체는, 천판과 상방 측판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과 하방 측판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의 끼워맞춤체이며,
    상기 상방 부재 및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가 끼워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부재는, 둥근 형상의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방 부재 또는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 결합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좌우 측판 및 전후 측판의 4개의 측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발포 원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끝 근방에, 떨어짐 방지부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의 외주부가 되는 측판의 높이방향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이며, 외측에 나타나는 선단은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의 좌우 측판에는, 제2 좌우 측판이 더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방 부재 및 상기 하방 부재는, 판금 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
  10. 천판, 저판 및 측판을 갖는 박스체에 형성된 발포 원액 주입구로부터 박스체 중으로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박스체 중에서 발포 원액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박스체는, 천판과 상방 측판을 구비하는 하방 개구된 덮개형의 상방 부재와, 저판과 하방 측판을 구비하는 상방 개구된 박스형의 하방 부재의 끼워맞춤체이며,
    상기 상방 부재 및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코너 부재가 끼워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부재는, 둥근 형상의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방 부재 또는 상기 하방 부재의 각각의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 결합편을 갖는 선반판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제2 발포 원액 주입구를 구비한 제2 측판을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방 부재의 네 모서리의 절결부에 코너 부재를 끼워 넣고, 다음으로 상기 하방 부재와 상기 상방 부재를 끼워맞추는 공정을, 전(前)공정으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방 부재의 천판에는, 떨어짐 방지부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방 부재의 소정 위치에 떨어짐 방지부 받침 부재를 고정하고, 다음으로 상기 하방 부재와 상기 상방 부재를 끼워맞추는 공정을, 전공정으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판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선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 집기.
KR1020187026735A 2016-03-09 2017-03-03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KR102361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5558 2016-03-09
JP2016045558A JP6758868B2 (ja) 2016-03-09 2016-03-09 棚板、その製造方法及び物品陳列什器
PCT/JP2017/008477 WO2017154770A1 (ja) 2016-03-09 2017-03-03 棚板、その製造方法及び物品陳列什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678A KR20180118678A (ko) 2018-10-31
KR102361119B1 true KR102361119B1 (ko) 2022-02-09

Family

ID=5979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35A KR102361119B1 (ko) 2016-03-09 2017-03-03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758868B2 (ko)
KR (1) KR102361119B1 (ko)
CN (3) CN108778066A (ko)
MY (1) MY190883A (ko)
TW (1) TWI722131B (ko)
WO (1) WO2017154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727B (zh) * 2019-01-22 2020-10-13 江西天境精藏科技有限公司 穿连组装式存放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76B2 (ja) * 1992-02-20 2000-07-17 芦森工業株式会社 中押し工法
JP3163767B2 (ja) * 1992-06-19 2001-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8546434A (ja) 2005-06-20 2008-12-25 ルハオ レン 複合板戸棚
CN201748753U (zh) 2010-06-07 2011-02-16 青岛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玻璃搁板结构
JP2013024440A (ja) 2011-07-19 2013-02-04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4212874A (ja) 2013-04-24 2014-11-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商品陳列棚用ワイヤフェンス
CN104305735A (zh) 2014-10-20 2015-01-28 苏州麦佳宜商业设备有限公司 货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789B2 (ja) * 1994-10-31 2002-05-20 富士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の商品陳列棚
CN1135865A (zh) * 1995-05-15 1996-11-20 富士电机株式会社 开放式商品柜的商品陈列搁板
JPH1014677A (ja) * 1996-07-02 1998-01-20 Toppan Printing Co Ltd 回転式履物収納棚
JP2000037237A (ja) * 1998-07-22 2000-02-08 Yamaguchi:Kk 組立棚における棚枠
JP3067376U (ja) * 1999-09-13 2000-03-31 辛島 仁 商品陳列棚のフロントガ―ド
JP2002125773A (ja) * 2000-10-27 2002-05-08 Kokuyo Co Ltd 家 具
JP2003126334A (ja) * 2001-10-26 2003-05-07 Rp Topla Ltd ゲーム機用外筐
CN100409790C (zh) * 2004-10-31 2008-08-13 冷鹭浩 一种复合板橱柜
FR2904437B1 (fr) * 2006-07-28 2008-10-24 Saint Gobain Dispositif actif a proprietes energetiques/optiques variables
US20080313985A1 (en) * 2007-06-25 2008-12-25 Duncan Richard S Method for increasing wind uplift resistance of wood-framed roofs using closed-cell spray polyurethane foam
CN101711635B (zh) * 2009-11-03 2011-08-24 苏州富士宝电器有限公司 食品冷藏展示柜的门体的加工方法
JP3163767U (ja) * 2010-08-20 2010-10-28 株式会社よし与工房 作業板
CN202146073U (zh) * 2011-06-30 2012-02-22 郑梦园 可调节搁板的物品架
CN102494504A (zh) * 2011-12-06 2012-06-1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用于冰箱的搁板
JP2015000255A (ja)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複合板材、複合板材の製造方法、天板
JP6395180B2 (ja) 2014-05-07 2018-09-26 河淳株式会社 商品陳列用棚板部材及び商品陳列什器
CN104323631A (zh) * 2014-09-29 2015-02-04 苏州速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抽拉的触摸屏展示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76B2 (ja) * 1992-02-20 2000-07-17 芦森工業株式会社 中押し工法
JP3163767B2 (ja) * 1992-06-19 2001-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8546434A (ja) 2005-06-20 2008-12-25 ルハオ レン 複合板戸棚
CN201748753U (zh) 2010-06-07 2011-02-16 青岛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玻璃搁板结构
JP2013024440A (ja) 2011-07-19 2013-02-04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4212874A (ja) 2013-04-24 2014-11-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商品陳列棚用ワイヤフェンス
CN104305735A (zh) 2014-10-20 2015-01-28 苏州麦佳宜商业设备有限公司 货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58786A (ja) 2017-09-14
KR20180118678A (ko) 2018-10-31
JP6758868B2 (ja) 2020-09-23
CN107174019B (zh) 2020-12-04
CN107174019A (zh) 2017-09-19
CN108778066A (zh) 2018-11-09
MY190883A (en) 2022-05-16
WO2017154770A1 (ja) 2017-09-14
TW201739387A (zh) 2017-11-16
TWI722131B (zh) 2021-03-21
CN207253177U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10B2 (en) Super high door structure
US20040177792A1 (en) Modular low cost pallet and shelf assembly
US10231544B2 (en) Shelf product
KR102361119B1 (ko) 선반판, 그 제조방법 및 물품 진열 집기
US20110010923A1 (en) Method of making an appliance door
US20050109723A1 (en) Shelf assembly display jacket
US6443545B1 (en) Drawer construction
KR20130058833A (ko) 신속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철재 상품진열대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JP4812062B2 (ja) 組立棚
US9428907B2 (en) Free-standing continuous wall assembly
US10407976B1 (en) Garage door panel
JP2021512811A (ja) 車両用のモジュール式荷台
KR20190086244A (ko) 물품걸이용 다공보드어셈블리
JP6694296B2 (ja) 棚装置
JPH07298963A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陳列棚
JP2015006894A (ja) 組立式コンテナ
JP5322095B2 (ja) 棚板ユニット、及び陳列棚
US8523272B1 (en)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supporting the panel assembly
JP2006112644A (ja) ショーケース及びその棚組立方法
US20230343247A1 (en) Signage fastener
JP2004317596A (ja) パネル板及びそれを使用した表示装置、戸、壁材
CN208150146U (zh) 集装箱
FI86573C (fi) Fog till staolmoebelkonstruktioner.
JPS6030210B2 (ja) 組立分解自在な陳列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