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85B1 -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85B1
KR102347885B1 KR1020210076171A KR20210076171A KR102347885B1 KR 102347885 B1 KR102347885 B1 KR 102347885B1 KR 1020210076171 A KR1020210076171 A KR 1020210076171A KR 20210076171 A KR20210076171 A KR 20210076171A KR 102347885 B1 KR102347885 B1 KR 102347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handrail
unit
cable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21007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측의 행어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연속 배열되는 거더부; 거더부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상기 행어 사이를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부; 거더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부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부; 거더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 데크로드부 및 난간부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 및 거더부와 데크로드부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와 데크로드부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Deck-road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렁다리 등과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데크와 거더 사이에 유격방지부가 구성되고 난간과 난간결합부재 사이에 충격완화부가 구성되어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한 유격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난간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렁다리 등과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골짜기나 강 또는 바다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산악 지역의 협곡이나 계곡 또는 바닷가 등과 같이 교각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이나 건물과 건물 사이에 교각 없이 또는 교각의 설치를 최소화하면서 구성된다.
이러한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통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와, 상기 거더들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어 데크에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과, 거더와 난간을 지지하여 거더와 난간이 공중에 위치되도록 하고 양단부가 출입측의 행어(hanger)에 고정 설치되어 소정 각도의 흔들림을 제공하는 고정케이블 등의 구성을 포함하며, 보행자들이 통행시 소정의 흔들림이 발생되도록 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재미와 스릴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단순히 목재 재질의 데크가 금속 재질의 거더에 볼팅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하여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한 뒤틀림과 데크와 거더의 연결부위의 유격 및 흔들림이 발생되어 데크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교체 등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단순히 난간이 거더의 측부에 구성되는 브라켓이나 연석 등의 난간결합부재에 볼팅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하여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주변 장애물이나 자전거 등이 난간에 충돌하는 경우 외력이 그대로 난간과 거더에 전달되어 난간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심하게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07652호 등록특허 제10-16788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렁다리 등과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데크와 거더 사이에 유격방지부가 구성되고 난간과 난간결합부재 사이에 충격완화부가 구성되어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한 유격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난간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측의 행어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연속 배열되는 거더부; 거더부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상기 행어 사이를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부; 거더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부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부; 거더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 데크로드부 및 난간부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 및 거더부와 데크로드부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와 데크로드부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거더부와 난간부 사이에 구성되어 난간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난간부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는, 케이블고정부와 행어케이블의 관통 부분에 구성되고 행어케이블과 케이블고정부의 결합부분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논슬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격방지부는, 거더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유격방지파이프; 유격방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방지파이프의 외부 공간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복수개의 커넥팅볼트; 커넥팅볼트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유격방지스프링; 유격방지파이프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커넥팅볼트가 삽입되고 유격방지스프링을 가압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면서 유격방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 및 유격방지파이프의 상면과 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된 커넥팅볼트의 노출부분이 데크의 설치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데크로드부의 데크의 설치공 상면으로부터 설치공을 관통하면서 커넥팅볼트의 노출부분에 결합되어 유격방지스프링을 압축하고 데크가 거더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커넥팅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완화부는, 거더부에 설치 구성되는 난간결합부재에 난간부의 난간지주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하게 라운드 형성된 볼록부가 구성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탄력을 제공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충격완화편; 충격완화편의 한 쌍의 오목부에 해당되고 난간결합용볼트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양측에 형성된 이격체결면; 및 충격완화편의 볼록부에 해당되고 오목부의 체결공이 체결 부분으로 소정 공간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체결 부분에 밀착되어 난간지주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격체결면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키도록 하는 밀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논슬립부는, 행어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클램프의 내주면이나 케이블클램프에 관통되는 행어케이블의 외주면 해당 부분에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클램프와 행어케이블 사이의 조임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와 제2거더가 배열되어 거더부가 조립되고 거더부에 케이블고정부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에 행어케이블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를 이용하여 거더부에 데크로드부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와 제2거더가 배열되어 거더부가 조립되고 거더부에 케이블고정부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에 행어케이블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를 이용하여 거더부에 데크로드부가 시공되는 단계와; 충격완화부를 이용하여 거더부의 난간결합부재와 난간부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와 제2거더가 배열되어 거더부가 조립되고 거더부에 케이블고정부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에 행어케이블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가 시공되는 단계와; 케이블고정부와 행어케이블의 관통 부분에 논슬립부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를 이용하여 거더부에 데크로드부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렁다리 등과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데크와 거더 사이에 유격방지부가 구성되고 난간과 난간결합부재 사이에 충격완화부가 구성되어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한 유격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난간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의 일부 구간을 나타낸 도면;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유격방지부의 구성과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의 구성과 설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1의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난간에 설치되는 고정케이블의 논슬립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는,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격자 또는 비격자 구조로 연속 배열되는 거더부(110), 거더부(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상기 행어 사이를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부(120), 거더부(1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부(120)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부(130), 거더부(110)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110), 데크로드부(120) 및 난간부(130)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140),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120)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유격방지부(160), 거더부(110)와 난간부(130) 사이에 구성되어 난간부(130)에 장애물 등의 충돌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난간부(130)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170) 및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 구성되고 행어케이블(150)에 대하여 케이블고정부(140)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논슬립부(180) 등을 포함한다.
거더부(110)는, 출입측의 행어 사이에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데크로드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크로드부(120)의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출입측의 행어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거더(111)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거더(111) 사이를 연결하는 제2거더(11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거더(111)와 제2거더(112)는, 데크로드부(12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용 플랜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관이나 H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부(120)의 폭 방향 양측부에 해당되는 제1거더(111)의 외측에는 후술된 난간부(130)가 결합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난간브라켓이나 난간연석 등과 같은 난간결합부재(113)가 공지의 방식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데크로드부(120)는, 거더부(110)의 안착용 플랜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행어 사이에 설치되는 거더부(110)에 폭 방향으로 배열 및 고정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크(121) 등을 포함한다.
난간부(130)는, 거더부(1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는 난간결합부재(113)에 구성되어 데크(121)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거더부(1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결합부재(113)에 고정 결합되는 난간지주(131), 인접한 난간지주(131)의 상측부와 중간부 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 및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레일(132) 및 인접한 난간지주(131) 하측부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발빠짐 방지 및 해안가 등에 설치시 파도의 충돌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추락방지메쉬(133) 등을 포함한다.
케이블고정부(140)는, 거더부(110)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110), 데크로드부(120) 및 난간부(130)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거더부(110)의 제1거더(111)나 제2거더(1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합 설치되는 설치편(141), 일단이 설치편(141)에 볼팅 결합되고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와이어(142) 및 연장와이어(142)의 타단에 볼팅 결합되고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지지되는 케이블클램프(143) 등을 포함한다.
유격방지부(160)는,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120)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거더부(110)의 제1거더(11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제1거더(111)의 안착용 플랜지에 설치 고정되는 유격방지파이프(161),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외부 공간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복수개의 커넥팅볼트(162), 커넥팅볼트(16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유격방지스프링(163),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커넥팅볼트(162)가 삽입되고 유격방지스프링(163)을 가압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면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164) 및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상면과 연결플레이트(164)의 상면에 노출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데크(121)의 설치공(122) 상면으로부터 설치공(122)을 관통하면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에 결합되어 유격방지스프링(163)을 압축하고 데크(121)가 거더부(11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커넥팅너트(165) 등을 포함한다.
유격방지파이프(161)는, 제1거더(111)의 안착용 플랜지 상면에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접합 고정되는 접합면(161a), 접합면(161a)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커넥팅볼트(162)와 유격방지스프링(163)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면(161b), 연장면(161b)의 단부로부터 상호간 대면된 상태로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어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에 커넥팅볼트(162)와 유격방지스프링(163)이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플레이트(164)가 출입 및 회전된 후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면(161c) 및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장면(161b)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배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배수공(161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면(161c)의 단부 표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164)의 지지시 논슬립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결플레이트(164)는,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커넥팅볼트(162)와 커넥팅너트(165)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64a)이 형성된 관통면(164b), 관통면(164b)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에 비스듬한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면(164c) 및 절곡면(164c)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라운드 형성되고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에 공간에 관통면(164b)이 세로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90도 회전시 지지면(161c)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면(164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면(164d)의 표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유격방지파이프(161)에 걸림시 논슬립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유격방지부(160)를 이용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격방지파이프(161)에 커넥팅볼트(16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삽입 위치된다. 이후, 커넥팅볼트(162)의 외주면에 유격방지스프링(163)이 끼워진다. 이후, 연결플레이트(164)가 유격방지파이프(16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유격방지스프링(163)을 가압하면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되어 유격방지파이프(161)에 논슬립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끼워지도록 유격방지파이프(161)와 연결플레이트(164)의 상면에 데크(121)가 위치된다. 이후, 커넥팅너트(165)가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관통되면서 커넥팅볼트(162)에 나사결합되는데 이때, 커넥팅볼트(162)는 유격방지스프링(163)을 압축시키면서 데크(121)를 향해 상승하게 되어 데크(121)가 유격방지부(160)에 설치된다. 이후, 유격방지파이프(161)가 제1거더(111)의 안착용 플랜지에 용접 접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유격방지부(160)에 의하면,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 사이에 유격방지스프링(163)이 압축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목재 재질의 데크(121)가 수축되거나 신장시 유격방지스프링(163)의 압축 상태가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데크(121)와 제1거더(111) 사이의 유격이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보행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격방지부(160)를 통하여 데크(121)들이 각각 거더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가짐에 따라 데크(121)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더라도 커넥팅너트(165)를 나사결합 해제하는 것을 통해 해당 데크(121)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유격방지부(160)와 데크(121)를 조립한 후 현장에서 거더부(110)에 유격방지파이프(161)가 용접 접합되는 것을 통해 간편히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170)는, 거더부(110)와 난간부(130) 사이에 구성되어 난간부(130)에 장애물 등의 충돌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난간부(130)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거더부(110)에 설치 구성되는 난간결합부재(113)에 난간부(130)의 난간지주(131)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하게 라운드 형성된 볼록부가 구성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탄력을 제공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충격완화편(171), 충격완화편(171)의 한 쌍의 오목부에 해당되고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되는 체결공(172)이 양측에 형성된 이격체결면(173) 및 충격완화편(171)의 볼록부에 해당되고 오목부의 체결공(172)이 체결 부분으로 소정 공간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체결 부분에 밀착되어 난간지주(131) 등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격체결면(173)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키도록 하는 밀착면(174) 등을 포함한다.
한편, 충격완화부(170)를 이용한 거더부(110)와 난간부(130)의 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거더부(110)에 난간브라켓이나 난간연석 등과 같은 난간결합부재(113)가 구성된 상태에서 난간결합부재(113)의 상면에 난간지주(131)의 결합부분이 위치된다. 이후, 난간지주(131)의 결합부분으로부터 난간결합부재(113)에 형성된 난간결합공에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된다. 이후, 난간결합부재(113)의 하면에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된 상태로 충격완화편(171)이 위치된다. 이후, 충격완화편(171)에 관통된 난간결합용볼트(175)의 단부에 난간결합용너트(176)가 나사결합되어 난간지주(131)가 거더부(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충격완화부(170)에 의하면, 한 쌍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부가 물결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을 통하여 소정의 탄력을 제공하는 충격완화편(171)이 난간결합부재(113)와 난간부(130) 사이에 구성됨에 따라, 난간 등에 파도나 태풍 등에 의해 어떤 장애물이 충돌되거나 데크로드부(120)를 보행하는 자전거 등이 충돌되더라도 오목부에 의해 그 충격이 분산되어 보행자와 난간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논슬립부(180)는,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 구성되고 행어케이블(150)에 대하여 케이블고정부(140)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되는 케이블클램프(143)의 내주면이나 케이블클램프(143)에 관통되는 행어케이블(150)의 외주면 해당 부분에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클램프(143)와 행어케이블(150) 사이의 조임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돌기(181)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논슬립부(180)에 의하면,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 미끄럼방지돌기(181)가 구성되어 상호간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출렁다리 구조를 제공할 경우 풍압 등의 지속적인 흔들림에 의해 보행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수개의 제1거더(111)와 제2거더(112)가 배열되어 거더부(110)가 시공되고 거더부(110)에 케이블고정부(1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140)에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150)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110)의 시공이 완료된다.
여기서,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는 논슬립부(180)가 구성되어 상호간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유격방지부(16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에 데크로드부(120)가 시공된다.
여기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격방지파이프(161)에 커넥팅볼트(16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삽입 위치된다. 이후, 커넥팅볼트(162)의 외주면에 유격방지스프링(163)이 끼워진다. 이후, 연결플레이트(164)가 유격방지파이프(16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유격방지스프링(163)을 가압하면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되어 유격방지파이프(161)에 논슬립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끼워지도록 유격방지파이프(161)와 연결플레이트(164)의 상면에 데크(121)가 위치된다. 이후, 커넥팅너트(165)가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관통되면서 커넥팅볼트(162)에 나사결합되는데 이때, 커넥팅볼트(162)는 유격방지스프링(163)을 압축시키면서 데크(121)를 향해 상승하게 되어 데크(121)가 유격방지부(160)에 설치된다. 이후, 유격방지파이프(161)가 제1거더(111)의 안착용 플랜지에 용접 접합되어 고정된다.
이후, 충격완화부(17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의 난간결합부재(113)와 난간부(130)가 시공된다.
여기서, 난간결합부재(113)와 난간부(130)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거더부(110)에 난간브라켓이나 난간연석 등과 같은 난간결합부재(113)가 구성된 상태에서 난간결합부재(113)의 상면에 난간지주(131)의 결합부분이 위치된다. 이후, 난간지주(131)의 결합부분으로부터 난간결합부재(113)에 형성된 난간결합공에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된다. 이후, 난간결합부재(113)의 하면에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된 상태로 충격완화편(171)이 위치된다. 이후, 충격완화편(171)에 관통된 난간결합용볼트(175)의 단부에 난간결합용너트(176)가 나사결합되어 난간지주(131)가 거더부(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출렁다리나 도보용 교량 등과 같은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에 있어서 데크로드부(120)와 거더부(110) 사이에 유격방지부(160)가 구성되고 난간부(130)와 난간결합부재(113) 사이에 충격완화부(170)가 구성되어 목재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한 유격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난간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3)

  1.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연속 배열되는 거더부(110); 거더부(110)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상기 행어 사이를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부(120); 거더부(1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부(120)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부(130); 거더부(110)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110), 데크로드부(120) 및 난간부(130)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140); 및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120)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유격방지부(160)를 포함하고,
    유격방지부(160)는,
    거더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유격방지파이프(161);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외부 공간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복수개의 커넥팅볼트(162); 커넥팅볼트(16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유격방지스프링(163);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커넥팅볼트(162)가 삽입되고 유격방지스프링(163)을 가압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면서 유격방지파이프(16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164); 및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상면과 연결플레이트(164)의 상면에 노출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이 데크(121)의 설치공(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데크로드부(120)의 데크(121)의 설치공(122) 상면으로부터 설치공(122)을 관통하면서 커넥팅볼트(162)의 노출부분에 결합되어 유격방지스프링(163)을 압축하고 데크(121)가 거더부(11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커넥팅너트(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거더부(110)와 난간부(130) 사이에 구성되어 난간부(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난간부(130)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 구성되고 행어케이블(150)과 케이블고정부(140)의 결합부분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논슬립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난간부(130)는,
    거더부(1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결합부재(113)에 고정 결합되는 난간지주(131);
    인접한 난간지주(131)의 상측부와 중간부 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 및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레일(132); 및
    인접한 난간지주(131) 하측부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발빠짐 방지 및 파도의 충돌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추락방지메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고정부(140)는,
    거더부(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합 설치되는 설치편(141);
    일단이 설치편(141)에 결합되고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와이어(142); 및
    연장와이어(142)의 타단에 결합되고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지지되는 케이블클램프(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유격방지파이프(161)는,
    거더부(110)에 접합 고정되는 접합면(161a);
    접합면(161a)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커넥팅볼트(162)와 유격방지스프링(163)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면(161b);
    연장면(161b)의 단부로부터 상호간 대면된 상태로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어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에 커넥팅볼트(162)와 유격방지스프링(163)이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플레이트(164)가 출입 및 회전된 후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면(161c); 및
    연장면(161b)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배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배수공(161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플레이트(164)는,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커넥팅볼트(162)와 커넥팅너트(165)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64a)이 형성된 관통면(164b);
    관통면(164b)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에 비스듬한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면(164c); 및
    절곡면(164c)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라운드 형성되고 유격방지파이프(161)의 접합면(161a)과 연장면(161b) 사이에 공간에 관통면(164b)이 세로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90도 회전시 지지면(161c)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면(16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9.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연속 배열되는 거더부(110); 거더부(110)에 설치되고 보행자가 상기 행어 사이를 보행하도록 보행로 기능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부(120); 거더부(1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부(120)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부(130); 거더부(110)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출입측의 행어에 고정 설치되는 행어케이블(150)이 관통 및 고정되도록 하여 거더부(110), 데크로드부(120) 및 난간부(130)가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140);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 사이에 구성되어 목재 재질을 가지는 데크로드부(120)의 수축과 팽창시 거더부(110)와 데크로드부(120)의 결합 부분에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하는 유격방지부(160); 및 거더부(110)와 난간부(130) 사이에 구성되어 난간부(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난간부(130)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170)를 포함하고,
    난간부(130)는,
    거더부(1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결합부재(113)에 고정 결합되는 난간지주(131); 인접한 난간지주(131)의 상측부와 중간부 사이에 연결되어 손잡이 및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레일(132); 및 인접한 난간지주(131) 하측부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발빠짐 방지 및 파도의 충돌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추락방지메쉬(133)를 포함하며,
    충격완화부(170)는,
    거더부(110)에 설치 구성되는 난간결합부재(113)에 난간부(130)의 난간지주(131)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오목하게 라운드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하게 라운드 형성된 볼록부가 구성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탄력을 제공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충격완화편(171); 충격완화편(171)의 한 쌍의 오목부에 해당되고 난간결합용볼트(175)가 관통되는 체결공(172)이 양측에 형성된 이격체결면(173); 및 충격완화편(171)의 볼록부에 해당되고 오목부의 체결공(172)이 체결 부분으로 소정 공간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체결 부분에 밀착되어 난간지주(13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격체결면(173)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키도록 하는 밀착면(1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10. 제3항에 있어서, 논슬립부(180)는,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되는 케이블클램프(143)의 내주면이나 케이블클램프(143)에 관통되는 행어케이블(150)의 외주면 해당 부분에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클램프(143)와 행어케이블(150) 사이의 조임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돌기(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11. 제1항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111)와 제2거더(112)가 배열되어 거더부(110)가 조립되고 거더부(110)에 케이블고정부(1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140)에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150)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110)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16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에 데크로드부(120)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12. 제9항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111)와 제2거더(112)가 배열되어 거더부(110)가 조립되고 거더부(110)에 케이블고정부(1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140)에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150)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110)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16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에 데크로드부(120)가 시공되는 단계와;
    충격완화부(17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의 난간결합부재(113)와 난간부(130)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13. 제5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제1거더(111)와 제2거더(112)가 배열되어 거더부(110)가 조립되고 거더부(110)에 케이블고정부(1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케이블고정부(140)에 행어케이블(150)이 관통된 후 행어케이블(150)의 양단이 행어에 고정 시공되어 출입측의 행어(hanger) 사이에 거더부(110)가 시공되는 단계와;
    케이블고정부(140)와 행어케이블(150)의 관통 부분에 논슬립부(180)가 시공되는 단계와;
    유격방지부(160)를 이용하여 거더부(110)에 데크로드부(120)가 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0210076171A 2021-06-11 2021-06-11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347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71A KR102347885B1 (ko) 2021-06-11 2021-06-11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71A KR102347885B1 (ko) 2021-06-11 2021-06-11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885B1 true KR102347885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71A KR102347885B1 (ko) 2021-06-11 2021-06-11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140A (zh) * 2022-02-23 2022-04-12 江西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在盖梁上进行支座垫石施工的安全防护作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80B1 (ko) *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607652B1 (ko) 2014-06-11 2016-03-30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1678849B1 (ko) 2016-09-07 2016-11-23 (주) 코리아에스이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814532B1 (ko) * 2017-06-28 2018-01-03 (주)신흥이앤지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80B1 (ko) *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607652B1 (ko) 2014-06-11 2016-03-30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1678849B1 (ko) 2016-09-07 2016-11-23 (주) 코리아에스이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814532B1 (ko) * 2017-06-28 2018-01-03 (주)신흥이앤지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140A (zh) * 2022-02-23 2022-04-12 江西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在盖梁上进行支座垫石施工的安全防护作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208B1 (ko) 인도 및 자전거 교량과 그 시공방법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0987061B1 (ko)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KR102347885B1 (ko)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30082052A (ko)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101970950B1 (ko) 확장도로용 켄틸레버 설치구조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2489913B1 (ko) 보행공간 확장 구조를 갖는 진동 저감형 거더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834243B1 (ko) 비보강형 현수교 설치구조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1749169B1 (ko)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KR101083304B1 (ko) 보호벽을 포함하는 해안가용 확장 보도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US7263736B2 (en) Sand dune bridges and methods of protecting sand dunes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102057300B1 (ko)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KR102151075B1 (ko)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JP3600006B2 (ja) 小規模吊橋
KR102392689B1 (ko)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KR102369877B1 (ko)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KR102585187B1 (ko)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