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689B1 -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 Google Patents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689B1
KR102392689B1 KR1020190047919A KR20190047919A KR102392689B1 KR 102392689 B1 KR102392689 B1 KR 102392689B1 KR 1020190047919 A KR1020190047919 A KR 1020190047919A KR 20190047919 A KR20190047919 A KR 20190047919A KR 102392689 B1 KR102392689 B1 KR 10239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ost
footbridge
reinforcing
veget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510A (ko
Inventor
심현성
Original Assignee
(주)태성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태성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9004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끝단에 설치되고 지면에 항타기로 타격하여 고정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바;와 상기 포스트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 상기 보강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을 포함하되, 도로 끝단에 제1, 2 식생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식생블럭과 제2 식생블럭 사이에 통행로가 설치되며, 상기 통행로는 상기 데크와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FOOTBRIDGE WITH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교를 더욱 친숙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식생블럭이 설치되고, 데크에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한 충격완화와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도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형식 중에서 거더교는 거더로 하여금 교량의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하는데, 거더는 교량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적재하중을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량의 요소로서, H 빔이나 I 빔 등의 많은 강재가 서로 용접 조립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 거더와, 콘크리트가 충전된 충전강관 거더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더교는 차량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도교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인도교 시공을 위한 별도의 교량 구조 및 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20672호(20120312)의 "조립식 거더 교량"은 상호 간에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파일과; 상기 파일의 두부에 결합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 위에 지지되는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거더는 양측에 서로 다른 상판이 지지되어 공유되도록 하며, 상기 거더는, 상기 강판과 동일 높이로 배열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동일 높이의 노면을 형성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상판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제1, 2 상판지지부, 상기 대케부의 저부에 스포크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파일의 두부에 결합되는 캡부로 구성된다.
상기 인용기술은 파일의 두부에 거더를 설치하고 거더의 양 측에 상판이 얹어지도록 시공함으로써 교량을 조립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나, 거더와 상판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 중앙부가 하중에 의해 처지는 문제점이 있고, 거더와 상판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06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인도교 초입에 자연과 친화적인 식생블럭을 설치하여 미관의 수려함과,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인도교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마운트를 설치하여 데크에서 전해지는 충격 및 포스트의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완충하기 위한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데크 또는 보강프레임 저면에 요철이 설치되고, 데크 사이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데크를 아치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호기심과 심미감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포스트 일측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설치하여 포스트가 불안정할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감지 신호를 전달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도로 끝단에 설치되고 지면(G)에 항타기로 타격하여 고정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바;
상기 포스트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
상기 보강프레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데크;
상기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
을 포함하되,
도로 끝단에 제1, 2 식생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식생블럭과 제2 식생블럭 사이에 통행로가 설치되며, 상기 통행로는 상기 데크와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 상부에 아치형의 데크가 설치되어 인도교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므로서 심미감을 부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상기 포스트 상부와 보강프레임 사이에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포스트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홀이 천공된 제1 브라켓과, 중앙부에 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1 브라켓 상부에 안착되는 탄성마운트와, 상기 탄성마운트 상부에 설치된 체결너트와, 상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사각형태로 조임부가 형성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에 따르면, 인도교 초입에 자연과 친화적인 식생블럭을 설치하여 미관의 수려함과,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인도교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마운트를 설치하여 데크에서 전해지는 충격 및 포스트의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완충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 또는 보강프레임 저면에 요철이 설치되고, 데크 사이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를 아치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호기심과 심미감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트 일측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설치하여 포스트가 불안정할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감지 신호를 전달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지면에 포스트를 설치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포스트에 보강바가 설치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포스트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높이조절수단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데크의 분해 및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지면에 포스트를 설치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포스트에 보강바가 설치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포스트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높이조절수단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의 데크의 분해 및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포스트(10), 데크(20), 안전난간(30), 식생블럭(40), 높이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로 끝단에 도로가 아닌 인도교를 설치하여 도로를 부가적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도로 측부 하단의 지면(G)에 항타기로 타격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고정되는 포스트(10)가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10)는 각형 또는 원통형의 일반적인 보강 파이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에 포스트(10)에 설치된 각 힌지(13)와 보강바(11)가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보강바(11)는 "ㅡ"형, "X"형으로 다수개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포스트의 움직임 및 지진에 의한 위험감지 신호를 주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10) 일측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설치하여 전단 응력에 의한 상태를 감지하고 데크(10) 또는 안전난간(30)일측에 알림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포스트 상부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설치하여 데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8에 의하면, 상기 포스트(10) 상부와 보강프레임(12) 사이에 높이조절수단(50)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포스트(10)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홀이 천공된 제1 브라켓(51)과, 중앙부에 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1 브라켓(51) 상부에 안착되는 탄성마운트(52)와, 상기 탄성마운트(52) 상부에 설치된 체결너트(53)와, 상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사각형태로 조임부(55)가 형성된 체결볼트(54)와, 상기 체결볼트(54)의 헤드부가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홀더(56)와, 상기 홀더(56)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셔(57)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위와 같이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 시 공차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데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 및 그 충격으로 인한 데크의 비틀림을 탄성마운트(52)가 완화하고, 상기 탄성마운트(52)는 보강프레임(12)과 포스트(10)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탄성마운트(52)의 선정은 탄성마운트(52)의 공진주파수(f)와 인도교의 공진주파수(f)를 비교하고 이를 회피하여 공진주파수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042316875-pat00001
또한, 상기 와셔(57)는 스프링와셔 또는 평와셔 등을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10) 상부에 데크(1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12)이 인도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다수개의 요철(14)이 설치되어 데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소음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2) 상부에 데크(20)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데크(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T"형의 보강돌기(23)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돌기(23)는 데크(2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탄성재의 매설 시 데크의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에 하중이 걸리게 되면 데크 내부 공간에 매설된 콘크리트, 탄성재가 상부로 들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더욱 견고히 보강돌기(23)와 결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아울러, 상기 데크(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 체결구(21)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2 체결구(22)가 설치되어 상호 끼움결합하여 더욱 견고히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각 데크(20) 사이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데크(20) 사이와 포스트(10) 간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충격을 완충하는 효과가 있다.
데크(20)이 상부는 나무 또는 콘크리트, 탄성재가 포설되어 바닥면이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 설치되는 인도교의 특성에 따라 상부면에 방수 코팅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2)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 상부에 아치형의 데크(20)가 설치되어 인도교가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치형으로 설치됨으로서 심미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인도교의 이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데크(20) 상부에 안전난간(30)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난간(30)은 각 안전난간(30) 끼리 상호 체인 또는 와이어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30) 또는 데크(20) 일측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데크(20)와 인접되도록 도로 끝단에 제1 식생블럭(40)과, 제2 식생블럭(41)이 설치된다.
제1 식생블럭(40)과, 제2 식생블럭(41)은 각각 식생공간(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공간(43)에 식생할 수 있는 꽃, 잔디, 나무 등의 식물을 키울 수 있어 인도교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생블럭(40)과, 제2 식생블럭(41) 후면에 데크(20)와, 보강프레임(12)과 결합하기 위한 조립부재(42)를 설치하여 제1, 2 식생블럭(40, 41)과 데크(20), 보강프레임(12) 간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부재(42)는 후크 또는 와이어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식생블럭(40)과 제2 식생블럭(41) 사이에 통행로(44)가 설치되며, 상기 통행로(44)는 상기 데크(20)와 인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통행로(44)는 오르막이 있는 계단으로 설치하거나 약간의 경사가 있는 오르막 길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포스트 11 : 보강바
12 : 보강프레임 13 : 힌지
14 : 요철 15 : 안착프레임
20 : 데크 21 : 제1 체결구
22 : 제2 체결구 23 : 보강돌기
30 : 안전난간 40 : 제1 식생블럭
41 : 제2 식생블럭 42 : 조립부재
43 : 식생공간 50 : 높이조절수단
51 : 제1 브라켓 52 : 탄성마운트
53 : 체결너트 54 : 체결볼트
55 : 조임부 56 : 홀더
57 : 와셔

Claims (3)

  1. 도로 끝단에 설치되고 지면(G)에 항타기로 타격하여 고정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바(11); 상기 포스트(10)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2); 상기 보강프레임(12)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데크(20); 상기 데크(20)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30)과, 도로 끝단에 제1, 2 식생블럭(40, 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식생블럭(40)과 제2 식생블럭(41) 사이에 통행로(44)와, 상기 통행로(44)는 상기 데크(20)와 인접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 상부에 아치형의 데크(20)가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 상부와 보강프레임(12) 사이에는 높이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포스트(10)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에 홀이 천공된 제1 브라켓(51)과, 중앙부에 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1 브라켓(51) 상부에 안착되는 탄성마운트(52)와, 상기 탄성마운트(52) 상부에 설치된 체결너트(53)와, 상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사각형태로 조임부(55)가 형성된 체결볼트(54)와, 상기 체결볼트(54)의 헤드부가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홀더(56)와, 상기 홀더(56)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셔(57)를 구비하며, 상기 데크(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T"형의 보강돌기(23)가 설치되어 인도교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므로서 심미감을 부각시키는 인도교에 있어서,
    상기 데크(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 체결구(21)가 설치되고, 타측에 제2 체결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데크(20)를 연속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제1체결구(21)와 제2 체결구(22)가 상호 끼움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프레임(12)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2) 상부에 아치형의 데크(20)가 설치되어 인도교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에 포스트(10)에 설치된 각 힌지(13)와 보강바(11)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포스트의 움직임 및 지진에 의한 위험감지 신호를 주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10) 일측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설치하여 전단 응력에 의한 상태를 감지하고 데크(10) 또는 안전난간(30)일측에 알림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데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 및 그 충격으로 인한 데크의 비틀림을 탄성마운트(52)가 완화하고, 상기 탄성마운트(52)는 보강프레임(12)과 포스트(10)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탄성마운트(52)의 선정은 탄성마운트(52)의 공진주파수(f)와 인도교의 공진주파수(f)를 비교하고 이를 회피하여 공진주파수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선정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데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소음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한 다수개의 요철(14)이 형성되며,
    데크(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T"형의 보강돌기(23)가 설치되되,
    상기 보강돌기(23)는 데크(2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탄성재의 매설 시 데크의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에 하중이 걸리게 되면 데크 내부 공간에 매설된 콘크리트, 탄성재가 상부로 들뜨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히 보강돌기(23)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7919A 2019-04-24 2019-04-24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KR10239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19A KR102392689B1 (ko) 2019-04-24 2019-04-24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19A KR102392689B1 (ko) 2019-04-24 2019-04-24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10A KR20200124510A (ko) 2020-11-03
KR102392689B1 true KR102392689B1 (ko) 2022-04-29

Family

ID=7319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919A KR102392689B1 (ko) 2019-04-24 2019-04-24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91B1 (ko) * 2011-08-11 2011-12-28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1383314B1 (ko) * 2013-10-30 2014-04-09 (주)효명 항타형 인도교
KR101390169B1 (ko) * 2013-12-13 2014-04-30 주식회사다우스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672B1 (ko) 2011-08-26 2012-03-12 김석희 조립식 거더 교량
KR20140041029A (ko) * 2012-09-27 2014-04-04 (주)에코원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91B1 (ko) * 2011-08-11 2011-12-28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1383314B1 (ko) * 2013-10-30 2014-04-09 (주)효명 항타형 인도교
KR101390169B1 (ko) * 2013-12-13 2014-04-30 주식회사다우스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10A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439B2 (en) Floor slab bridge structure
KR101383208B1 (ko) 인도 및 자전거 교량과 그 시공방법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16347B1 (ko)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JP4359697B2 (ja) ラーメン橋構造
KR102367426B1 (ko)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KR102392689B1 (ko) 식생블럭이 설치된 인도교
JP3350818B2 (ja) 耐震建造物構造
US5791097A (en) Earth tremor suppressing cable suspension system for buildings bridges and homes
KR101791144B1 (ko) 데크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목교
KR20160113917A (ko)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KR101171041B1 (ko)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102347885B1 (ko)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US4562603A (en) Cable supported pool structure
KR102291171B1 (ko) 인도교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JP4076186B2 (ja) 延長床版の設計方法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0436747B1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101296749B1 (ko) 교량용 보조 도로 구조물
US20070028551A1 (en) Beam attachment system
KR10073300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