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27B1 -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27B1
KR102343327B1 KR1020140188638A KR20140188638A KR102343327B1 KR 102343327 B1 KR102343327 B1 KR 102343327B1 KR 1020140188638 A KR1020140188638 A KR 1020140188638A KR 20140188638 A KR20140188638 A KR 20140188638A KR 102343327 B1 KR102343327 B1 KR 10234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aight guide
optical axis
lens barrel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678A (ko
Inventor
요시아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Abstract

이동군 등의 내부 부품을 공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이다.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Lens barrel and optical device}
본 발명은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서는 소형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환 렌즈 시스템 카메라는 촬상 소자가 작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 소형화된 카메라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에 영향을 받아 종래의 시스템 카메라도 보다 소형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의 예로서, 사용자가 초점 거리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이른바 줌 렌즈가 있다. 줌 렌즈는 그 내부에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기구, 일반적으로 렌즈 경통 내에 배치된 이동군(移動群)을 유지,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구의 구체적인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고정프레임과 회전배럴과 캠 배럴을 가지며, 고정프레임에 홈부를 형성하고 회전배럴에 직진홈을 형성하고 캠 배럴에 상기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직진홈에 계합(係合)하는 구동 핀을 형성한 렌즈 경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홈부, 직진홈, 구동 핀을 각각 광축 둘레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한 각도로 배치하고, 회전배럴의 회동에 맞추어 이동군을 직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2011-7938호 공보
그런데, 상기 렌즈 경통에 있어서는,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와 회전배럴에 형성된 직진홈이 교차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교차하는 홈부와 직진홈 모두에 구동 핀이 계합하기 위해서는, 구동 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구동 핀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동 핀에 계합하기 위해 홈부나 직진홈도 그 폭을 넓힐 필요가 있으며, 그리하여 고정프레임이나 회전배럴에는 그만큼의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직진홈이 형성된 부재(회전배럴)는 직진홈의 변형을 방지하여 이동군의 직진 이동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위해 배럴을 형성하는 측벽이 전체둘레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측벽의 일부에 높이방향으로 전체 영역에서 삭제되어 이루어지는 노치 형상이 형성될 경우, 직진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얻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러한 직진홈이 형성된 부재에 노치 형상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직진홈이 형성된 부재의 내측에, 내부 부품, 예를 들어 이동군이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렌즈 경통 자체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된 이동군 등의 내부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단, n은 2 이상의 정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단, n은 2 이상의 정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 중 (n-1)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 중 나머지 한 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직진 가이드 볼록부와 이격된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계합하는 하나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단, n은 3 이상의 정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그 중 하나 내지 (n-1)개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는 각각 계합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가 설치된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모두 혼재시켜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외부 삽입된 고정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고정통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그 중 하나 내지 (n-1)개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는 각각 계합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가 설치된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과 상기 고정통에 설치되어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고정통에 혼재시켜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외부 삽입된 고정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고정통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는 그 중 하나 내지 (n-1)개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각각 계합하는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된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과 상기 고정통에 설치되어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고정통에 혼재시켜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 중에서 (n-1)개소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대략 n등분 중에서 상기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상기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배치되지 않은 1개소에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외팔보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제2 프레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에 계합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3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 하나를 샤프트와 슬리브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를 외팔보로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간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 중에서 (n-1)개소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대략 n등분 중에서 상기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상기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배치되지 않은 1개소에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양팔보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제2 프레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에 계합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3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 하나를 샤프트와 슬리브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를 양팔보로 하고 있으므로 샤프트가 강력(强固)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 중에서 (n-1)개소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대략 n등분 중에서 상기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상기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배치되지 않은 1개소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외팔보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에 계합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3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 하나를 샤프트와 슬리브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를 외팔보로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간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렌즈를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내부 삽입되어 그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 중에서 (n-1)개소에 배치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그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설치되고, 대략 n등분 중에서 상기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상기 직진 가이드 볼록부가 배치되지 않은 1개소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양팔보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에 계합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3 이상의 정수)
상기 n은 3일 수 있다.
이 렌즈 경통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대해 그 광축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 하나를 샤프트와 슬리브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를 양팔보로 하고 있으므로 샤프트가 강력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그 둘레벽에 내측 노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제2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을 그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하여 내측 노치부 측에 배치해도 그 내측 노치부에서는 둘레벽이 없기 때문에, 제2 프레임에 간섭받지 않고 내부 부품을 수용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내측 노치부가 없는 제2 프레임에서는 그 둘레벽이 내부 부품에 간섭하기 때문에 이 제2 프레임의 내직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된 것에 대해, 이 렌즈 경통에서는 내측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내경을 작게 해도 내부 부품을 수용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렌즈 경통에서는 그 제2 프레임을 종래의 제2 프레임에 비해 소직경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그 둘레벽에 외측 노치부가 형성되고, 그 외측 노치부는 상기 내측 노치부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하여 내측 노치부 측에 배치하는 내부 부품을 제1 프레임의 외측 노치부 측까지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렌즈 경통에서는 제2 프레임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의 소직경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둘 다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빠짐 방지 형상을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어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어긋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고정통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경통에서는, 상기 고정통에 설치된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빠짐 방지 형상을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어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에 의해 고정프레임과 제1 프레임이 어긋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상기 렌즈 경통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 기기에 의하면,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에 의하면, 제1 프레임이나 제2 프레임의 둘레벽에 노치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고, 따라서 제2 프레임 등을 소직경화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교환 렌즈(광학 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a-2b는 캠 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3b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b3 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a-4b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을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a-6b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을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 기기로서는 교환 렌즈 시스템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감시 카메라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나 이에 이용되는 교환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경통은 상기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교환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교환 렌즈(광학 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에서 부호 1은 교환 렌즈, 부호 C는 광축을 나타낸다. 교환 렌즈(1)는 복수의 렌즈군(G1~G4)이 광축(C)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렌즈 경통(2)을 구비하고 있고, 렌즈 경통(2) 내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군(G1~G4)에 의해 이너(inner) 포커스식 줌 렌즈가 구성된다.
줌 렌즈는, 물체측(교환 렌즈(1)의 정면측)부터 차례대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과 제3 렌즈군(G3)과 제4 렌즈군(G4)의 4군의 렌즈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군(G2)에는 조리개 유닛(S)이 배치될 수 있다..
줌 렌즈에서는, 제1 렌즈군(G1)~제4 렌즈군(G4)을 각각 광축(C)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율 조정(주밍)을 행하고, 제3 렌즈군(G3)을 광축(C)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조정(포커싱)을 행할 수 있다. 다만, 줌 렌즈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렌즈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의 매수나 조합 등을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렌즈 경통(2)은, 이러한 줌 렌즈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원통형의 고정프레임(3)과, 고정프레임(3) 내에서 광축(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프레임(3) 내부에 삽입된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과,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 내에서 광축(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광축(C)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1 렌즈군 이동 프레임(4) 내부에 삽입된 캠 프레임(5)과, 캠 프레임(5) 내에서 광축(C)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캠 프레임(5)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내에서 광축(C)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내부에 삽입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프레임(3)에는 그 정면측(전면측)의 외주면 상에 대략 원통형의 조작고리(8)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작고리(8)보다 배면측에 외부 프레임(9)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조작고리(8)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구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 후술하는 줌 모터 유닛(36)을 구동시킨다. 고정프레임(3)의 내면에는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직진 가이드 홈(도시생략)과, 광축(C) 둘레의 둘레방향으로도 연장되는 3개의 캠 홈(도시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진 가이드 홈, 캠 홈은 각각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을 광축(C) 둘레의 원주(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란, 360°를 3등분하는 120°에 대해 예를 들어 ±10° 벗어난 위치까지를 허용하는 범위로 한다.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은 전체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렌즈군이동프레임(4)의 내부의 정면측에 대략 원통형의 제1 렌즈군 유지부(12)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 렌즈군 유지부(12) 내에 제1 렌즈군(G1)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의 직진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직진 가이드 볼록부(도시생략)가 3개 형성되고, 내면에는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진 가이드 홈(도시생략)과 캠 핀(도시생략)이 3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직진 가이드 볼록부, 직진 가이드 홈, 캠 핀도 각각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을 광축(C) 둘레의 원주(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캠 프레임(5)은 원통형의 것으로서, 외면에 3개의 캠 핀(16)과 3개의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7)을 가지며, 내면에 3개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8)과 3개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9)을 가지고 있다. 캠 핀(16)은 상기 고정프레임(3)의 캠 홈(도시생략)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고,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7)은 상기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의 캠 핀(도시생략)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될 수 있다. 캠 핀(16),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7),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8) 및,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9) 역시, 각각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을 광축(C) 둘레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5)에는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측 단부의 내주면에 기어(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은 일부가 잘라진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6a)을 가진다. 이 둘레벽(6a)의 내부에 대략 원통형의 제2 렌즈군 유지부(21a, 21b; 도 1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2 렌즈군 유지부(21a) 및 제2 렌즈군 유지부(21b) 내에는 각각 렌즈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렌즈군 유지부(21b) 내의 렌즈의 배면측에는 제2 렌즈군 유지프레임(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 렌즈군 유지부(21a, 21b) 및 제2 렌즈군 유지프레임(22)에 의해 제2 렌즈군(G2)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렌즈군(G2) 중에는 상기한 조리개 유닛(S)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6a)에는 그 외면의 정면측 단부에 3개의 직진 가이드돌기(23)이 형성되고, 외면의 광축(C) 방향 중앙부에 3개의 캠 핀(24)이 형성되어 있다. 직진 가이드돌기(23)은 상기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의 직진 가이드 홈(도시생략)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고, 캠 핀(24)은 상기 캠 프레임(5)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8)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이들 직진 가이드돌기(23), 캠 핀(24)도, 각각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6a)을 광축(C) 둘레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벽(6a)의 외면에는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25)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직진 가이드 홈(25)은, 둘레벽(6a)의 일부가 그 둘레벽(6a)의 배면측 가장자리부터 정면측 가장자리 근방까지 삭제됨으로써 그 개구가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6a)에서 잘라진 부위, 즉 제1 외측 노치부(26a), 제2 외측 노치부(26b)의 사이에는, 직진 가이드 리브(직진 가이드 볼록부)(27)가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직진 가이드 리브(27)는 상기 제2 렌즈군 유지부(21b) 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폭이 좁은 판 형상의 것으로, 상기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배면측 단부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빠짐 방지 돌기(27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25)과 하나의 직진 가이드 리브(직진 가이드 볼록부)(27)는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6a)을 광축(C) 둘레의 원주(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은 일부가 잘라진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7a)을 가지며, 이 둘레벽(7a)의 배면측에 대략 원통형의 렌즈군 유지부(28; 도 1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렌즈군 유지부(28) 내에는 제3 렌즈군 유지프레임(28a)이 설치되고, 이 제3 렌즈군 유지프레임(28a) 내에는 제3 렌즈군(G3)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렌즈군 유지부(28)의 배면측 단부에는 제4 렌즈군(G4)이 유지되어 있다.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7a)에는 정면측 단부에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3개의 다리(29)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다리(29)에는 정면측 단부의 외면에 각각 캠 핀(30)이 형성되어 있다. 캠 핀(30)은, 상기 캠 프레임(5)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9)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또한, 이들 3개의 다리(29) 중 2개는 직진 가이드 키(직진 가이드 볼록부)(31)가 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하나의 다리(29) 근방에는 상기 다리(29)에 인접하여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좁은 판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좁은 판부(32)에는 그 길이방향, 즉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된 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직진 가이드 홈(33)은 좁은 판부(32)의 내면측에 형성된 것으로, 그 좁은 판부(32)의 양단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좁은 판부(32)에는 그 외면측에 직진 가이드 홈(33)에 연통하는 장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직진 가이드 키(직진 가이드 볼록부)(31)와 하나의 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33)은, 대략 원통형의 둘레벽(7a)을 광축(C) 둘레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 핀(30)도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7a)에는, 좁은 판부(32)의 양측에 둘레벽(7a)이 잘라진 부위, 즉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노치부(34a)는 그 일부가 둘레벽(7a)의 높이방향(광축(C) 방향)의 전체 영역이 잘라져 형성되어 있고, 제2 내측 노치부(34b)는 거의 전체가 둘레벽(7a)의 높이방향(광축(C) 방향)의 전체 영역이 잘라져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을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내에 삽입된다.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제1 내측 노치부(34a)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제1 외측 노치부(26a)에 연통하도록 형성 배치되어 있고, 제2 내측 노치부(34b)는 제2 외측 노치부(26b)에 연통하도록 형성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노치부에서 특히 제2 내측 노치부(34b)와 제2 외측 노치부(26b)가 연통하는 부위에 교환 렌즈(1)의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35)가 수용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포커스 모터(35)는, 렌즈 경통(2)의 광축(C) 상, 즉 중심부에 배치된 렌즈군(G1~G4)에 대해 그 측방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포커스 모터(35)의 일부가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7a)의 내면이 형성하는 원형선(7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포커스 모터(35)의 일부가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6a)의 내면이 형성하는 원형선(6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7a)에는 제2 내측 노치부(34b)가 형성되고,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6a)에는 제2 외측 노치부(2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렌즈군 이동 프레임(6)의 둘레벽(6a)이나 제4 렌즈군 이동 프레임(7)의 둘레벽(7a)에 간섭받지 않고, 이러한 포커스 모터(35)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직진 가이드 키(31)는 각각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홈(25)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고, 도 5, 도 6 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직진 가이드 홈(33)은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리브(27)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진 가이드 리브(27)가 직진 가이드 홈(33)에 계합된 상태에서,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빠짐 방지 돌기(27a)는 직진 가이드 홈(33)에 연통하는 장공(32a)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진 가이드 홈(33)에 대한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계합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렌즈 경통(2)을 예기치 못하게 낙하하였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로부터 그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빠짐 방지 돌기(27a)는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 내에는 줌 모터 유닛(36)이 설치되어 있고,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렌즈군 유지부(28)의 배면측에는 차광고리(37)가 설치되어 있다. 줌 모터 유닛(36)은, 캠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기어(20)(도 2 b 참조)와 계합되어 있다. 또한, 차광고리(37)의 외측에는 차광고리(37)를 둘러싸고 대략 원통형의 렌즈 마운트(3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렌즈 경통(2)이나 이를 구비하는 교환 렌즈(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포커싱을 행하기 위한 기구 등 여러 가지 공지 부품이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렌즈 경통(2)에서는, 조작고리(8)의 회동 동작에 의해 각 렌즈군(G1~G4)을 그 광축(C) 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킬 수 있다. 즉, 조작고리(8)를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회동시키면, 전기 신호가 카메라 몸체(도시생략)로 보내지고, 그 조작량을 기초로 줌 모터 유닛(36)이 구동한다. 그러면, 캠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기어(20)가 줌 모터 유닛(36)에 계합되어 있음으로써 캠 프레임(5)이 회전한다.
캠 프레임(5)에는 그 외면에 설치된 캠 핀(16)이 고정프레임(3)의 내면에 형성된 캠 홈(도시생략)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프레임(5)의 회전에 따라 캠 핀(16)이 캠 홈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캠 프레임(5)은 고정프레임(3)에 대해 전진(또는 후퇴)한다. 즉, 캠 프레임(5)은 캠 홈의 형상에 따라 고정프레임(3)에 대해 회전하면서 전진(또는 후퇴)하므로, 결과적으로 나선형상으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캠 프레임(5)이 나선형상으로 동작하면,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은 그 내면에 형성된 캠 핀(도시생략)이 캠 프레임(5)의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7)에 계합되어 있고, 외면에 형성된 직진 가이드 볼록부(도시생략)가 고정프레임(3)의 직진 가이드 홈(도시생략)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프레임(5)의 동작에 따라 전진(또는 후퇴)한다. 따라서, 제1 렌즈군(G1)은 광축(C)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캠 프레임(5)이 나선형상으로 동작하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은 그 외면에 형성된 캠 핀(24)이 캠 프레임(5)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8)에 계합되어 있고, 직진 가이드돌기(23)이 제1 렌즈군 이동프레임(4)의 직진 가이드 홈(도시생략)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프레임(5)의 동작에 따라 전진(또는 후퇴)한다. 따라서, 제2 렌즈군(G2)도 광축(C)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줌 모터 유닛(36)이 구동하면, 도시하지 않은 검출 기구에 의해 그 구동량이 검출되고, 제어 기구에 의해 그 구동량에 따른 이동량이 계산된다. 그리고, 이 이동량에 따른 적당량을 포커스 모터(35)가 구동함으로써, 제3 렌즈군(G3)이 전진(또는 후퇴)한다. 즉, 제3 렌즈군(G3)도 광축(C)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캠 프레임(5)이 나선형상으로 동작하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은 그 외면에 형성된 캠 핀(30)이 캠 프레임(5)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용 캠 홈(19)에 계합되어 있고, 직진 가이드 키(31)가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홈(25)에 계합되어 있고, 직진 가이드 홈(33)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리브(27)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캠 프레임(5)의 동작에 따라 전진(또는 후퇴)한다. 따라서, 제4 렌즈군(G4)도 광축(C)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렌즈 경통(2)을 구비하는 교환 렌즈(1)에서는, 캠 프레임(5)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줌인/줌아웃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렌즈 경통(2)에 있어서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대해 광축(C) 방향으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직진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직진 가이드 홈(25), 직진 가이드 홈(33))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직진 가이드 리브(27), 직진 가이드 키(31))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모두 혼재시켜 형성하였다. 즉,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6a, 7a)에 노치부(제1 외측 노치부(26a), 제2 외측 노치부(26b),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를 형성할 수 있다. 둘레벽(6a, 7a)의 노치부에 렌즈 경통(2) 내에 배치하는 내부 부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을 종래에 비해 소직경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경통(2)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렌즈를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둘레벽(7a)에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가 형성된다.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35)를 상기 광축(C)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하여 제2 내측 노치부(34b) 측에 배치해도, 상기 제2 내측 노치부(34b)에서는 둘레벽(7a)이 없기 때문에,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간섭받지 않고 포커스 모터(35)를 수용 배치할 수 있다. 종래의 제2 내측 노치부(34b)가 없는 이동프레임에서는 그 둘레벽이 포커스 모터(35)(내부 부품)에 간섭하기 때문에, 이 이동프레임의 내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나, 상기 렌즈 경통(2)에서는 제2 내측 노치부(34b)를 형성함으로써, 그 내경을 작게 해도 포커스 모터(35)를 수용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포커스 모터(35) 등의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렌즈 경통(2)에서는 그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을 종래의 이동프레임에 비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6a)에 제1 외측 노치부(26a), 제2 외측 노치부(26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외측 노치부(26a), 제2 외측 노치부(26b)를 각각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에 연통(連通)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광축(C)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하여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 측에 배치하는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35)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제2 외측 노치부(26b)까지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렌즈 경통(2)에서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뿐만 아니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렌즈 경통(2)을 구비한 교환 렌즈(광학 기기)(1)에 있어서도,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7a, 6a)에 노치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포커스 모터(35) 등의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고, 따라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직진 가이드 리브(27)(제1 프레임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빠짐 방지 돌기(27a)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는 빠짐 방지 돌기(27a)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의 직진 가이드 키(직진 가이드 볼록부)(31)의 선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빠짐 방지돌기(31a, 31a)도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즉, 직진 가이드 키(31)의 선단부에서 그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빠짐 방지돌기(31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가이드 키(31)가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25)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로 그 직진 가이드 홈(25)을 형성하는 둘레벽(6a)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렌즈 경통(2)을 예기치 못하게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에 의해, 직진 가이드 키(31)에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둘레벽(6a)의 내측으로 빠지려는 힘이 작용해도 빠짐 방지돌기(31a)가 이를 방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직진 가이드 키(31)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직진 가이드 키(31)의 빠짐에 의해 캠 핀(30)의 계합이 어긋남으로써,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로부터 그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빠짐 방지돌기(31a)도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가이드 홈(25)의 내측에 빠짐 방지 부재(25a)를 마련할 수도 있다. 빠짐 방지 부재(25a)는 직진 가이드 홈(25)을 형성하는 둘레벽(6a), 즉 직진 가이드 홈(25)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둘레벽(6a) 각각에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직진 가이드 홈(25) 측으로 절곡된 단면 L형상의 것이다. 이러한 빠짐 방지 부재(25a)를 직진 가이드 홈(25)에 마련함으로써, 그 직진 가이드 홈(25)에 계합된 직진 가이드 키(31)는 둘레벽(6a)의 내측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로부터 그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빠짐 방지 부재(25a)도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또, 한 쌍의 빠짐 방지 부재(25a)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빠짐 방지 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의 직진 가이드 홈(33)의 내측에 상기 빠짐 방지 부재(25a)와 동일한 형상의 빠짐 방지 부재(33a)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단, 그 경우에는, 직진 가이드 홈(33)에 계합되는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상단부에 상기 빠짐 방지 부재(33a)에 계합되는 계합돌기(27b)을 마련해 둔다. 이러한 빠짐 방지 부재(33a)를 직진 가이드 홈(33)에 마련함으로써, 그 직진 가이드 홈(33)에 계합된 직진 가이드 리브(27)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내측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빠짐 방지 부재(33a)도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8 중 부호 40은 렌즈 경통이다. 이 렌즈 경통(40)이 도 1~도 6에 도시된 렌즈 경통(2)과 다른 것은, 본 발명에 관한 3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에서 하나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는 고정프레임(고정통)(3)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에는 광축 방향의 일단측(도 1에서의 렌즈 마운트(38) 측)에 직진 가이드 볼록부로서의 직진 가이드 키(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직진 가이드 키(41)는 도 3 a, 도 3b에 도시된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리브(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이 직진 가이드 리브(27) 대신에 고정프레임(3)에 설치된 것이다.
이 직진 가이드 키(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좁은 판 형상의 것으로, 그 일단측에 나사공을 가지는 장착부(4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41a)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의 일단측에 형성된 장착 부재(42)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직진 가이드 키(41)는 고정프레임(3)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직진 가이드 키(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가이드 홈(33)에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직진 가이드 키(41)에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좁은 판부(32)의 장공(32a)에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는 빠짐 방지 돌기(4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 돌기(41b)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빠짐 방지 돌기(27a)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예를 들어 렌즈 경통(2)을 예기치 못하게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에 의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 고정프레임(3)로부터 그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고정프레임(3),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빠짐 방지 돌기(41b)는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경통(40)에 있어서도,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대해 그 광축(C) 방향으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직진 가이드 오목부(직진 가이드 홈(25), 직진 가이드 홈(33))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직진 가이드 키(41), 직진 가이드 키(31))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과 고정프레임(3)에 혼재시켜 형성하였다. 즉, 한쪽 프레임에 모든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나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강도를 필요로 하는 강도에 대해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벽(6a, 7a)에 노치부(제1 외측 노치부(26a), 제2 외측 노치부(26b), 제1 내측 노치부(34a), 제2 내측 노치부(34b))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둘레벽(6a, 7a)의 노치부에 의해 렌즈 경통(2) 내에 배치하는 내부 부품의 수용 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을 종래에 비해 소직경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경통(40)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부품을 공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3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 중에서 하나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고정프레임(3)에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3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에서 하나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고정프레임(3)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 (b)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홈(33)을 가지는 좁은 판부(32)를 독립적인 부재로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로부터 제거하고, 이 독립적인 부재를 고정프레임(3)에 장착한다. 즉, 이러한 독립적인 부재를 좁은 판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키(41)와 마찬가지로 고정프레임(3)에 장착하고,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직진 가이드 리브(27)와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직진 가이드 홈(33)을 가지는 독립적인 부재인 직진 가이드 홈 부재(43)에 대해서는, 그 선단측에 홈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43a)를 형성해 두고, 이 덮개(43a)가 직진 가이드 리브(27)의 선단부에 접촉 및 이격이 가능하게 구성해 둔다. 직진 가이드 리브(27)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판부재로서, 그 선단부가 덮개(43a)에 접촉 및 이격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렌즈 경통(2)을 예기치 못하게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에 의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 고정프레임(3)로부터 그 광축 방향으로 어긋나 이들 고정프레임(3),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덮개(43a)는 본 발명에 관한 빠짐 방지 형상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직진 가이드 홈 부재(43)를 고정프레임(3)에 마련한 렌즈 경통에서도,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을 종래에 비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경통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렌즈를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11 중 부호 50은 렌즈 경통이다. 이 렌즈 경통(50)이 도 1~도 6에 도시된 렌즈 경통(2)과 다른 것은, 본 발명에 관한 3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와 3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에서 각각 2개가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 또는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제2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직진 가이드 볼록부로서의 샤프트(51)와 직진 가이드 오목부로서의 슬리브(5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에는 도 3a, 3b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리브(27)가 형성된 위치에, 직진 가이드 리브(27) 대신에 샤프트(51)가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51)는 금속이나 경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일단부가 제1 유지부(53)에 유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 유지부(54)에 유지 고정되어 있다. 즉, 샤프트(51)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5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a), (b)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홈(33)을 가지는 좁은 판부(32) 대신에 설치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9)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52)는 다리(29)에 일체로 접속한 베이스부(52a)와, 그 베이스부(52a)에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유지판부(52b, 52b)와, 이들 유지판부(52b, 52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2c)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지판부(52a)에 형성된 관통공(52d)에 샤프트(51)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즉,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부착된 상태로 샤프트(51)가 슬리브(52)의 관통공(52d, 52d)에 삽입 통과되고, 그 후 이 샤프트(51)가 제1 유지부(53), 제2 유지부(54)에 유지 고정됨으로써, 샤프트(51)와 슬리브(52)가 서로 계합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51)와 슬리브(52)를 가지는 렌즈 경통(50)에 있어서도, 상기 렌즈 경통(2)과 마찬가지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을 종래에 비해 소직경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경통(50)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렌즈를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51)는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장착되므로, 샤프트(51)를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에 강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51)를 제1 유지부(53)와 제2 유지부(54)에 의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유지(배치)하였지만, 일 단부가 고정되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즉, 샤프트(51)를 제1 유지부(53)만으로 유지 고정하여 외팔보로 배치하고 제2 유지부(54)를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배치한 경우에 비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의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a), (b)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리브(27)가 형성된 위치에 이 직진 가이드 리브(27) 대신에 샤프트(51)를 마련하고, 도 4의 (a), (b)에 도시된 직진 가이드 홈(33)을 가지는 좁은 판부(32)가 형성된 위치에 이 좁은 판부(32) 대신에 슬리브(52)를 마련하였지만, 이들 위치관계를 반대로 하여 직진 가이드 리브(27)가 형성된 위치에 슬리브를 마련하고, 좁은 판부(32)가 형성된 위치에 샤프트를 마련해도 된다. 즉,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슬리브를 마련하고,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에 샤프트를 마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슬리브(52)를 샤프트(51)를 유지 고정하기 위한 유지부로 하고, 이 유지부에 샤프트(51)를 고정함으로써, 그 유지부를 통해 샤프트(51)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7)에 배치한다. 그 경우에, 한 쌍의 유지판부(52b)가 함께 샤프트(51)를 유지 고정함으로써, 샤프트(51)를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유지(배치)할 수 있다. 또한, 외측의 유지판부(52b)(도 11 중 우측의 유지판부(52b))만으로 유지 고정함으로써, 샤프트(51)를 외팔보로 유지(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6)에 마련하는 슬리브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제1 유지부(53)를 예를 들어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샤프트(51)가 삽입 및 제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제1 유지부(53)를 슬리브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샤프트와 슬리브를 바꾼 구성으로 해도, 제3 실시형태의 렌즈 경통(50)과 마찬가지로,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나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을 종래에 비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경통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안정된 자세로 렌즈를 유지, 이동시킴으로써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51)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장착하면, 샤프트(51)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강력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51)를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외팔보로 장착하면,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배치한 경우에 비해 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의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가지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에 직진 가이드 오목부(직진 가이드 홈(25))를 2개 형성하고 직진 가이드 볼록부(직진 가이드 리브(27))를 하나 형성함과 동시에, 제2 프레임(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직진 가이드 오목부(직진 가이드 홈(33))를 하나 형성하고 직진 가이드 볼록부(직진 가이드 키(31))를 2개 형성하였지만, 반대로 제1 프레임(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에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하나 형성하고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2개 형성함과 동시에, 제2 프레임에 직진 가이드 오목부를 2개 형성하고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하나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및 제2 프레임(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에 직진 가이드 오목부(직진 가이드 홈(25), 직진 가이드 홈(33))와 직진 가이드 볼록부(직진 가이드 리브(27), 직진 가이드 키(31))를 각각 3개씩 형성하고, 이들을 광축(C)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3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직진 가이드 오목부,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대해서는 n개 이상(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면 2개이어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3개 이외로 한 경우에서도 이들 직진 가이드 오목부,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대해서는 광축(C) 둘레의 원주방향을 대략 n등분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 제2 프레임(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7))이 함께 고정프레임(3) 내에서 이동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한쪽이 이동하고 다른 쪽이 고정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프레임(3)을 캠 프레임(5)의 외측에 배치하였지만, 예를 들어 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6)과 캠 프레임(5)의 사이에 고정프레임(3)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교환 렌즈(광학 기기), 2…렌즈 경통, 3…고정프레임(고정통), 5…캠 프레임, 6…제2 렌즈군 이동프레임(제1 프레임), 6a…둘레벽, 7…제4 렌즈군 이동프레임(제2 프레임), 7a…둘레벽, 25…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 26a…제1 외측 노치부, 26b…제2 외측 노치부, 27…직진 가이드 리브(직진 가이드 볼록부), 31…직진 가이드 키(직진 가이드 볼록부), 33…직진 가이드 홈(직진 가이드 오목부), 34a…제1 내측 노치부, 34b…제2 내측 노치부, 35…포커스 모터, C…광축, G1…제1 렌즈군, G2…제2 렌즈군, G3…제3 렌즈군, G4…제4 렌즈군, 40…렌즈 경통, 41…직진 가이드 키, 43…직진 가이드 홈 부재, 50…렌즈 경통, 51…샤프트, 52…슬리브

Claims (17)

  1.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둘레벽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 노치부가 형성된, 렌즈 경통. (단, n은 2 이상의 정수)
  2.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부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둘레벽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 노치부가 형성된, 렌즈 경통. (단, n은 2 이상의 정수)
  3.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렌즈 경통으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n개의 직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 중 (n-1)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연장된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와, 상기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n-1)개의 직진 가이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 중 나머지 한 개의 직진 가이드부는,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n-1) 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및 직진 가이드 볼록부와 이격된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계합하는 하나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리브가 배치된, 렌즈 경통. (단, n은 3 이상의 정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둘레벽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 노치부가 형성된 렌즈 경통.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 노치부에 삽입되며, 상기 광축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배치된 내부 부품;을 더 포함하는, 렌즈 경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품의 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둘레벽의 내면이 형성하는 원형선보다 외측에 배치된, 렌즈 경통.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광축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둘레벽에 적어도 하나의 외측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노치부는 상기 내측 노치부에 연통되어 있는 렌즈 경통.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 노치부 및 상기 외측 노치부에 삽입되며, 상기 광축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배치된 내부 부품;을 더 포함하는, 렌즈 경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품의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둘레벽의 내면이 형성하는 원형선보다 외측에 배치된, 렌즈 경통.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가이드 볼록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렌즈 경통.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가이드 오목부에, 하나 이상의 빠짐 방지 형상이 마련되어 있는 렌즈 경통.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고정되거나 양 단부가 고정된, 렌즈 경통.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직진 가이드부 각각은,
    상기 광축 둘레의 원주 방향을 n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된, 렌즈 경통.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 경통.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이 3인 렌즈 경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 2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3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 중 나머지 1개의 직진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렌즈 경통.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경통을 구비한 광학 기기.
KR1020140188638A 2014-02-28 2014-12-24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KR102343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9651 2014-02-28
JP2014039651 2014-02-28
JP2014165842A JP6478199B2 (ja) 2014-02-28 2014-08-18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JP-P-2014-165842 2014-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78A KR20150102678A (ko) 2015-09-07
KR102343327B1 true KR102343327B1 (ko) 2021-12-24

Family

ID=5400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638A KR102343327B1 (ko) 2014-02-28 2014-12-24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83381B2 (ko)
EP (1) EP3112912B1 (ko)
JP (1) JP6478199B2 (ko)
KR (1) KR102343327B1 (ko)
WO (1) WO2015130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8199B2 (ja) * 2014-02-28 2019-03-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7938A (ja) 2009-06-24 2011-01-13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101171918B1 (ko) 2008-02-14 2012-08-0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장치의 차광 구조
US20130083410A1 (en) * 2011-09-30 2013-04-04 Ability Enterprise Co., Ltd. Lens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089A (ja) * 1996-10-31 1998-05-22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
JP3641333B2 (ja) * 1996-11-29 2005-04-2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ズームレンズを有するカメラ
JP4580516B2 (ja) 2000-07-12 2010-1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鏡枠装置
KR100919987B1 (ko) * 2003-04-22 2009-10-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소형 디지탈 줌 카메라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전화
KR20040104230A (ko) * 2003-06-03 200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렌즈 구동장치
KR100509373B1 (ko) * 2003-07-15 2005-08-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배럴 어셈블리
TW200643502A (en) * 2005-03-31 2006-12-16 Sony Corp Housing tube device and imaging device
JP4899845B2 (ja) * 2005-12-12 2012-03-21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レンズ鏡筒の操作方法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7835085B2 (en) * 2005-12-12 2010-11-16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and method of operation of lens barrel
US20080013190A1 (en) * 2006-07-13 2008-01-17 Natec Engineering Corporation Structure of cam barrel for zoom lens
JP4966615B2 (ja) * 2006-09-15 2012-07-04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5090274B2 (ja) * 2008-07-03 2012-12-05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335337B2 (ja) * 2008-09-08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506263B2 (ja) * 2009-07-08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448723B2 (ja) * 2009-10-29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219989B2 (ja) * 2009-12-15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482256B2 (ja) * 2010-02-05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撮像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140036648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6478199B2 (ja) * 2014-02-28 2019-03-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18B1 (ko) 2008-02-14 2012-08-0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장치의 차광 구조
JP2011007938A (ja) 2009-06-24 2011-01-13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20130083410A1 (en) * 2011-09-30 2013-04-04 Ability Enterprise Co., Ltd. Lens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9239A (ja) 2015-10-08
EP3112912A1 (en) 2017-01-04
US9983381B2 (en) 2018-05-29
WO2015130003A1 (ko) 2015-09-03
US20160313534A1 (en) 2016-10-27
EP3112912B1 (en) 2020-03-11
EP3112912A4 (en) 2017-10-18
KR20150102678A (ko) 2015-09-07
JP6478199B2 (ja)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3874B2 (ja) レンズ鏡胴、撮像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
JP4194569B2 (ja) 光学機器
US8134784B2 (en) Lens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extension/retrac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image pickup apparatus body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674787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US6853500B2 (en) Retract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JP2005049599A (ja) レンズ調整機構およびカメラ
KR102343327B1 (ko)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US8508858B2 (en) Lens barrel
JP2008020488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9304284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6023781A (ja) レンズ装置
JP5388624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US6707993B1 (en) Lens barrel
JP2009186529A (ja) レンズ鏡筒の進退カム機構
JP4710340B2 (ja) レンズ鏡筒
US8854742B2 (en) Lens barrel
JP5883260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9009115A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125999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504106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KR102542912B1 (ko)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JP5043489B2 (ja) レンズ鏡胴および撮影装置
JP2003344745A (ja) レンズ鏡胴
JP2004205735A (ja) レンズ鏡胴
JP2016200791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