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388B1 -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388B1
KR102336388B1 KR1020210094531A KR20210094531A KR102336388B1 KR 102336388 B1 KR102336388 B1 KR 102336388B1 KR 1020210094531 A KR1020210094531 A KR 1020210094531A KR 20210094531 A KR20210094531 A KR 20210094531A KR 102336388 B1 KR102336388 B1 KR 10233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g
cap nut
supply
cable tr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Priority to KR102021009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렁의 양단에 캡너트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캡너트의 고정을 자동화하여 캡너트가 삽입/고정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종단면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마주보도록 절곡된 렁의 양단부에, 종단면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타측면에 결합홀이 관통형성된 캡너트가 억지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캡너트를 향해 렁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홈을 형성함에 따라 캡너트를 고정시키는 캡너트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ung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양단에 캡너트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캡너트의 고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딩, 공장 등의 건축시 건물에 소요되는 각종 전선은 통상 천정이나 바닥 내부 또는 그 이면에 설치, 배선되는데 다양한 전선들을 서로 구별이 용이하고, 기능상·외관상 미려하게 정렬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렁(rung)을 결합시켜 형성된다. 용접방식을 통해 렁을 사이드레일에 결합시키기도 하였으나, 균일한 용접이 어려워 균일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분리와 조립이 곤란하여 재활용이 쉽지 않은바, 근래 주로 나사방식을 통해 렁을 사이드레일에 결합시키고 있다.
렁은 철판을 절곡하여 C형강으로 가공되어 좌우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바, 렁과 사이드레일을 나사결합시키기 위하여는, 렁의 양단 내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캡너트가 삽입된다. 렁의 양단에 삽입된 캡너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일 예로 캡너트를 둘러싸는 렁의 일 지점을 가압하여 고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복수 개의 렁에 순차적으로 캡너트를 삽입하고 삽입된 캡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용 장비가 없는바, 캡너트가 삽입/고정된 렁을 제조함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3350호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렁의 양단에 캡너트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캡너트의 고정을 자동화하여 캡너트가 삽입/고정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종단면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마주보도록 절곡된 렁의 양단부에, 종단면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타측면에 결합홀이 관통형성된 캡너트가 억지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캡너트를 향해 렁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홈을 형성함에 따라 캡너트를 고정시키는 캡너트고정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너트는 개방된 일측이 외측을 향하게끔 렁의 양단에 삽입되되, 상기 캡너트고정모듈은, 렁의 양측면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렁의 양측면과 맞닿으며 내측에 캡너트가 위치한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두 개가 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되, 두 개의 가압돌기는,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홈이 캡너트의 타측면과 인접한 일측과 타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너트고정모듈의 하측에 마련되어 복수 개의 렁이 놓여지되, 렁의 양측면과 맞닿는 두 개의 가압부 사이에 렁이 위치되게끔 하나의 렁을 상승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작업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렁의 양단부에 캡너트를 삽입시키는 캡너트삽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너트삽입모듈은, 복수 개의 캡너트가 수용되는 두 개의 캡너트공급부와, 일단이 상기 두 개의 캡너트공급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렁의 양단과 인접한 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캡너트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두 개의 캡너트공급로와, 상기 캡너트공급로의 타단에 위치한 하나의 캡너트를 밀어 렁의 일단과 타단에 캡너트를 각각 삽입하는 두 개의 캡너트삽입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캡너트공급로는, 타단에 위치한 캡너트의 개방된 일측이 캡너트삽입봉을 향하도록 캡너트를 정렬하며, 상기 캡너트삽입봉은, 타단에 위치한 캡너트의 타측면을 밀어 렁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캡너트고정모듈에 의해 캡너트가 고정된 렁을 하강시키며, 복수 개의 렁이 놓여지고, 상기 캡너트가 고정된 렁이 위치한 승강부와 인접한 전방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렁을 공급하는 렁공급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는, 승강부와 인접한 전방으로 공급된 렁의 일단을 밀어 렁의 타단이 정렬가이드벽에 맞닿도록 하는 정렬유도봉과, 상기 정렬유도봉에 의해 측방향 정렬된 렁을 후방으로 밀어 승강부로 이동시켜 승강부에 위치한 렁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렁이동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렁공급모듈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의 렁이 놓여지는 공급경사로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상기 공급경사로의 경사면을 따라 구비되어 공급경사로에 놓여진 렁의 일단과 접하는 공급가이드봉과, 상기 공급경사로에 놓여진 렁의 타단이 접하는 공급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가이드봉은, 공급경사로에 놓여지는 렁의 길이에 따라 공급경사로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의 후방에 마련되어 렁이동봉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낙하된 렁이 상측에 놓여지고, 상측에 놓여진 렁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렁배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너트고정모듈을 통해, 렁의 양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렁의 양단부에 삽입된 캡너트가 자동으로 고정되는바,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캡너트삽입모듈에 의해 렁의 양단부에 캡너트가 자동으로 삽입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캡너트를 삽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면서 인력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렁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캡너트가 자동으로 삽입되고 고정된 후 배출되는바,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의해 캡너트가 양단에 고정된 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캡너트고정모듈에 의해 캡너트가 렁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승강부에 의해 렁이 상승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캡너트공급부와 캡너트공급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캡너트삽입봉에 의해 캡너트가 렁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렁공급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캡너트삽입모듈에 의해 작업대로 공급된 렁이 정렬가이드벽과 렁가이드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렁이동봉에 의해 렁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렁배출모듈을 따라 후방으로 캡너트가 고정된 렁이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에서는 렁의 양단에 캡너트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캡너트의 고정을 자동화하여 캡너트가 삽입/고정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종단면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마주보도록 절곡된 렁의 양단부에, 종단면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타측면에 결합홀이 관통형성된 캡너트가 억지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캡너트를 향해 렁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홈을 형성함에 따라 캡너트를 고정시키는 캡너트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0)의 양단부에 캡너트(20)가 억지끼워진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고정모듈(100)를 포함하고, 작업대(200), 캡너트삽입모듈(300), 렁공급모듈, 렁배출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종단면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마주보도록 절곡된 C형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캡너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타측면에 결합홀(21)이 관통형성된다. 결합홀(21)은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양단에 위치하는 사이드레일과 볼트결합되기 위한 홀이다.
캡너트고정모듈(100)은, 렁(10)의 양단부에 캡너트(20)가 억지끼워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20)를 향해 렁(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홈(11)을 형성하는데, 이때, 캡너트(20)는 개방된 일측이 외측을 향하게끔 렁(10)의 양단부에 삽입되고, 렁(10)의 양측면 중 캡너트(20)가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가압되어 고정홈(1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캡너트고정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0)의 양측면을 향해 이동되는 가압부(110)를 포함한다. 가압부(110)는 적어도 렁(1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렁(10)의 양측면 전체에 대하여 맞닿게되며, 이러한 가압부(110)는 렁(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가압부(110)에서 렁(10)의 양측면 중 내측에 캡너트(20)가 위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해당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홈(11)을 형성하는 가압돌기(111)가 돌출형성된다.
가압돌기(111)는,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고정홈(11)에 의해 캡너트(2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렁(10)의 일측면 중 렁(10)의 일단부 내측에 위치한 캡너트(20)를 향해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11)는, 두 개가 렁(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캡너트(20)는 일측편이 두 개의 고정홈(11)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편이 두 개의 고정홈(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가압돌기(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홈(11)이 캡너트(20)의 타측면과 인접한 일측과 타측에 위치되게끔 가압부(110)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너트(20)의 타측면은 이와 인접한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홈(11)에 의해 걸림이 발생되므로, 렁(10)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캡너트고정모듈(100)을 통해, 렁(10)의 양측면에 고정홈(11)이 형성되어 렁(10)의 양단부에 삽입된 캡너트(20)가 자동으로 고정되는바,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작업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고정모듈(100)의 하측에서 평면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진다. 이러한 작업대(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0)의 양측면과 맞닿는 두 개의 가압부(110) 사이에 렁(10)이 위치되게끔 작업대(200)에 놓인 복수 개의 렁(10) 중 하나의 렁(10)을 상승시키는 승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210)는, 캡너트(20)가 삽입되지 않은 렁(1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캡너트삽입모듈(300)에 의해 캡너트(20)가 삽입되고 캡너트고정모듈(100)에 의해 캡너트(20)가 고정된 렁(10)을 하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캡너트(20)가 고정된 렁(10)은 승강부(210)에 의해 하강되어 작업대(200)에 놓인 복수 개의 렁(1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캡너트삽입모듈(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0)의 인근에 마련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10)에 의해 상승된 렁(10)의 양단부에 캡너트(20)를 삽입시킨다. 즉, 승강부(210)에 의해 상승된 렁(10)에, 캡너트삽입모듈(300)을 통해 캡너트(20)가 삽입되면, 캡너트고정모듈(100)은 삽입된 캡너트(20)를 고정시킨다.
캡너트삽입모듈(300)은, 구체적으로 캡너트공급부(310), 캡너트공급로(320) 및 캡너트삽입봉(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렁(10)의 일단과 타단에 캡너트(20)가 삽입됨을 고려하였을 때, 캡너트공급부(310), 캡너트공급로(320) 및 캡너트삽입봉(330) 각각은 두 개가 마련된다.
일 캡너트공급부(310)는, 일 예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복수 개의 캡너트(20)가 수용될 수 있는 통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회전을 통해 내측에 수용된 캡너트(20)가 캡너트공급로(320)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캡너트공급로(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캡너트공급부(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부(210)에 의해 상승된 렁(10)의 일단 또는 타단과 인접한 측에 위치되면서, 캡너트공급부(310)로부터 배출된 복수 개의 캡너트(20)를 일렬로 정렬시킨다. 이때, 캡너트공급로(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위치한 캡너트(20)의 개방된 일측이 후술할 캡너트삽입봉(330)을 향하도록 캡너트(20)를 정렬한다.
일 캡너트삽입봉(330)은, 캡너트(20)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면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공급로(320)의 타단에 위치한 하나의 캡너트(20)를 밀어 렁(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캡너트(20)를 각각 삽입한다. 캡너트공급로(320)의 타단에 위치한 하나의 캡너트(20)는 개방된 일측이 캡너트삽입봉(330)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있는바, 캡너트삽입봉(330)은, 캡너트(20)의 타측면을 밀어 렁(1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캡너트공급부(310), 캡너트공급로(320) 및 캡너트삽입봉(330)을 포함하는 캡너트삽입모듈(300)로 인해, 렁(10)의 양단부 각각에 캡너트(20)가 자동으로 삽입되는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캡너트(20)를 삽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면서 인력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렁공급모듈(40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지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너트고정모듈(100)에 의해 캡너트(20)가 고정된 렁(10)이 위치한 승강부(210)와 인접한 전방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렁(10)을 공급할 수 있다. 렁공급모듈(400)에 의해 승강부(210)와 인접한 전방에 공급된 렁(10)은, 승강부(210)로 이동하기 전, 캡너트고정모듈(100) 및 캡너트삽입모듈(300)에 의한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렬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승강부(210)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작업대(200)는 일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가이드벽(220), 정렬유도봉(230) 및 렁이동봉(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가이드벽(220)은 작업대(200)에 놓인 렁(20)의 높이보다 높게끔 작업대(200)의 측면 가장자리에 세워질 수 있다. 정렬유도봉(230)은 봉 형태를 이루면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10)와 인접한 전방으로 공급된 렁(10)의 일단을 밀어 렁(10)의 타단이 정렬가이드벽(220)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측방향으로 렁(10)을 정렬한다.
렁이동봉(240)은, 봉 형태를 이루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유도봉(230)에 의해 측방향 정렬된 렁(10)을 후방으로 밀어 승강부(210)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캡너트(20)가 고정되고 승강부(210)에 위치한 렁(10)은, 새로이 승강부(210)로 이동하는 렁(10)으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렁공급모듈(400)은, 복수 개의 렁(10)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작업대(200) 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경사로(410), 공급가이드봉(420) 및 공급가이드벽(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경사로(410)는, 렁(10)의 길이보다 긴 폭을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진다. 공급가이드봉(420)은, 바(bar) 형태를 이루며 공급경사로(410)의 경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진 렁(10)의 일단과 접한다. 이러한 공급가이드봉(430)은,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지는 렁(10)의 길이에 따라 공급경사로(4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가이드벽(430)은,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진 렁(10)의 타단이 접하도록 공급경사로(4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다.
따라서, 렁(10)은 공급경사로(410)를 따라 이동하며 작업대(200) 상으로 공급됨에 있어, 공급가이드봉(430)과 공급가이드벽(430)으로 인해,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를 이루면서 순차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렁배출모듈(500)은,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0)의 후방에 마련되며, 렁이동봉(24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낙하된 렁(10)이 상측에 놓여진다. 이때, 렁배출모듈(500)에 놓여지는 렁(10)은 캡너트고정모듈(100)에 의해 캡너트(20)가 양단부에 고정된 렁(10)을 의미한다. 렁배출모듈(500)은,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 렁배출모듈(500)은, 상측에 놓여진 렁(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렁(10)이 순차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렁(10)에 삽입될 캡너트(20)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렁(10)의 양단부에 캡너트(20)가 자동으로 삽입되고 고정된 후 배출되는바,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10 : 렁 11 : 고정홈
20 : 캡너트 21 : 결합홀
100 : 캡너트고정모듈 110 : 가압부
111 : 가압돌기
200 : 작업대 210 : 승강부
220 : 정렬가이드벽 230 : 정렬유도봉
240 : 렁이동봉
300 : 캡너트삽입모듈 310 : 캡너트공급부
320 : 캡너트공급로 330 : 캡너트삽입봉
400 : 렁공급모듈 410 : 공급경사로
420 : 공급가이드봉 430 : 공급가이드벽
500 : 렁배출모듈

Claims (10)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종단면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마주보도록 절곡된 렁(10)의 양단부에, 종단면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타측면에 결합홀(21)이 관통형성된 캡너트(20)가 억지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캡너트(20)를 향해 렁(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홈(11)을 형성함에 따라 캡너트(20)를 고정시키는 캡너트고정모듈(100);을 포함하되,
    상기 캡너트(20)는 개방된 일측이 외측을 향하게끔 렁(10)의 양단에 삽입되되,
    상기 캡너트고정모듈(100)은, 렁(10)의 양측면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렁(10)의 양측면과 맞닿으며 내측에 캡너트(20)가 위치한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1)가 돌출형성된 가압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캡너트고정모듈(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지되, 렁(10)의 양측면과 맞닿는 두 개의 가압부(110) 사이에 렁(10)이 위치되게끔 하나의 렁(10)을 상승시키는 승강부(210)를 포함하는 작업대(200);
    상기 승강부(210)에 의해 상승된 렁(10)의 양단부에 캡너트(20)를 삽입시키는 캡너트삽입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210)는, 캡너트고정모듈(100)에 의해 캡너트(20)가 고정된 렁(10)을 하강시키며,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지고, 상기 캡너트(20)가 고정된 렁(10)이 위치한 승강부(210)와 인접한 전방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렁(10)을 공급하는 렁공급모듈(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200)는, 승강부(210)와 인접한 전방으로 공급된 렁(10)의 일단을 밀어 렁(10)의 타단이 정렬가이드벽(220)에 맞닿도록 하는 정렬유도봉(230)과, 상기 정렬유도봉(230)에 의해 측방향 정렬된 렁(10)을 후방으로 밀어 승강부(210)로 이동시켜 승강부(210)에 위치한 렁(10)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렁이동봉(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11)는 두 개가 렁(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되,
    두 개의 가압돌기(111)는,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홈(11)이 캡너트(20)의 타측면과 인접한 일측과 타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삽입모듈(300)은,
    복수 개의 캡너트(20)가 수용되는 두 개의 캡너트공급부(310)와,
    일단이 상기 두 개의 캡너트공급부(31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부(210)에 의해 상승된 렁(10)의 양단과 인접한 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캡너트(20)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두 개의 캡너트공급로(320)와,
    상기 캡너트공급로(320)의 타단에 위치한 하나의 캡너트(20)를 밀어 렁(10)의 일단과 타단에 캡너트(20)를 각각 삽입하는 두 개의 캡너트삽입봉(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캡너트공급로(320)는, 타단에 위치한 캡너트(20)의 개방된 일측이 캡너트삽입봉(330)을 향하도록 캡너트(20)를 정렬하며,
    상기 캡너트삽입봉(330)은, 타단에 위치한 캡너트(20)의 타측면을 밀어 렁(10)의 내측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렁공급모듈(400)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의 렁(10)이 놓여지는 공급경사로(410)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상기 공급경사로(410)의 경사면을 따라 구비되어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진 렁(10)의 일단과 접하는 공급가이드봉(420)과,
    상기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진 렁(10)의 타단이 접하는 공급가이드벽(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봉(420)은, 공급경사로(410)에 놓여지는 렁(10)의 길이에 따라 공급경사로(4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0)의 후방에 마련되어 렁이동봉(24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낙하된 렁(10)이 상측에 놓여지고, 상측에 놓여진 렁(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렁배출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제조장치.
KR1020210094531A 2021-07-20 2021-07-20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KR10233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31A KR102336388B1 (ko) 2021-07-20 2021-07-20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31A KR102336388B1 (ko) 2021-07-20 2021-07-20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388B1 true KR102336388B1 (ko) 2021-12-08

Family

ID=7886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531A KR102336388B1 (ko) 2021-07-20 2021-07-20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3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66B1 (ko) * 2015-08-31 2016-03-10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101892034B1 (ko) * 2016-08-17 2018-08-27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20190012585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314B1 (ko) * 2019-08-22 2020-01-10 김형태 트레이 제조장치
KR20200144983A (ko) * 2019-06-20 2020-12-30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66B1 (ko) * 2015-08-31 2016-03-10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101892034B1 (ko) * 2016-08-17 2018-08-27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20190012585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3350B1 (ko) 2017-07-28 2019-11-12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4983A (ko) * 2019-06-20 2020-12-30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KR102065314B1 (ko) * 2019-08-22 2020-01-10 김형태 트레이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47590U (zh) 一种彩盒打码机
KR10233638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KR20090092874A (ko) 케이블 트레이, 이 케이블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7046398B (zh) 一种角码安装装置及角码装入型材的方法
CN110576098B (zh) 一种结合模具的压线框自动折弯机及其工作方法
KR101335352B1 (ko) 와이어 자동 압접기
KR20100003855U (ko)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KR100948410B1 (ko) 콘크리트 배수로용 철구조물 제조장치
CN210139008U (zh) 光伏边框角码自动装配机
KR102299843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CN208826150U (zh) 电池托盘连续生产线的电池托盘自动输送机构
KR102116323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성형장치
CN208772875U (zh) 角码自动安装设备
DE102020125558A1 (de) Hilfsträger, Trägeranordnung und Tragevorrichtung
KR101813628B1 (ko) 전선 단자와 그 하우징의 결합장치
CN104966968A (zh) 一种电线穿线槽板的切断机构
CN214411741U (zh) 一种插件机
CN214153403U (zh) 一种电池接线端子弯折装置
KR20130013363A (ko) 도어 프레임의 패킹채널 절곡장치
CN217192216U (zh) 一种毛细管卡扣按压装置
CN220612931U (zh) 一种用于陶瓷插芯尾柄过盈配合连接的压接装置
KR200308244Y1 (ko) 맨홀의 그레이팅압접장치
CN212784167U (zh) 一种高效插pin机
CN210997739U (zh) 一种钢棒限位切割装置
KR200222481Y1 (ko) 볼 체인과 연결구 결합 시스템에서 볼 체인 지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