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55U -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855U
KR20100003855U KR2020080013236U KR20080013236U KR20100003855U KR 20100003855 U KR20100003855 U KR 20100003855U KR 2020080013236 U KR2020080013236 U KR 2020080013236U KR 20080013236 U KR20080013236 U KR 20080013236U KR 20100003855 U KR20100003855 U KR 20100003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late
mold
fixing
copp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350Y1 (ko
Inventor
홍상우
Original Assignee
(주)하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금속 filed Critical (주)하나금속
Priority to KR2020080013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28Carriages; Connections of grippers thereto;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32Feeding or discharging the material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34Guiding or supporting the material or mandrels

Abstract

본 고안은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발되는 동제품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인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발되고 난 뒤, 콘베어에 떨어질 때, 모서리부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이스를 통과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일단을 고정한 뒤, 일방에 배치된 후크장치를 콘베어 체인에 걸어서 상기 콘베어 체인 구동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제품을 인발하는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발장치는 외형을 갖추고, 일측으로 금형 삽입홈이 형성된 대차와;
상기 금형삽입홈에 착탈식으로 끼워서 셋팅되는 클램프금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발되고 난 동제품 인발품이 콘베어에 떨어질 때, 모서리부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서, 재작업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불량율을 낮춘 이점이 있다.
Figure P2020080013236
인발장치, 견인장치

Description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BAR FORM OF COPPER ITEM DRAWING FOR A PU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발될 바아 형태의 동제품의 형상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발되고 나서 콘베어에 떨어질 때, 모서리부가 찍히는 손상을 최소화하여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한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스를 통과하며 연신되어 일정 단면을 갖추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인발용 견인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등록특허 10-0826576호의 인발가공 시스템용 견인장치(PS)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견인장치(PS)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며, 견착구(HL)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송체인(MC)이 구비된 컨베이어(CY)가 설치된다.
이 컨베이어(CY)의 양편에 이송레일(MR)이 배치되며, 이 이송레일(MR)을 다 수개 마련된 바퀴(WL)가 구름하며 전, 후방으로 이동하는 대차(CA) 마련된다.
이와 같은 대차(CA)의 일측에는 다이스(미도시)를 통과하는 인발품(미도시)을 클램핑하도록 클램프(CP)가 마련된다.
이 클램프(CP)는 대차상측에 마련된 실린더에 의해 집게식으로 인발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구조이고, 이 클램프(CP)의 타측에 상기한 컨베이어(CY) 이송체인(MC)의 견착구(HL)에 걸리도록 실린더(CD)에 의해 상, 하 회동하는 후크장치(HE)가 마련된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하여, 상기한 견인장치(PS)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다이스(미도시)에 근접하도록 견인장치(PS)가 이동하고, 인발품(미도시)의 단부가 상기한 클램프(CP)에 클램핑된다.
그런 다음, 후크장치(HE)가 지속적으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체인(MC)의 견착구(HL)에 걸리면, 이 이송체인(MC)의 이동력에 의해 견인장치(PS)의 대차(CA)가 이동하며, 인발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견인장치(PS)의 클램프(CP)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측을 기준하여 그 단부가 모아지도록 클램핑되므로서, 수직상태로 인발되는 인발품 만을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높이가 높은, 즉, 수직상태이기 때문에 너비가 넓은 인발품을 세워서 인발할 때, 인발이 완료된 인발품이 콘베이어(CY)의 상측으로 떨어지면, 그 충격에 의해 인발품의 모서리 부위가 손상되며 불량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발품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인발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이스를 통과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일단을 클램핑하여 고정한 뒤, 일방에 배치된 후크장치를 콘베어 체인에 걸어서 상기 콘베어 체인의 구동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제품을 인발하는 인발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견인장치는 외형을 갖추고, 일측으로 금형삽입홈이 형성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금형삽입홈에 착탈식으로 끼워서 셋팅되는 클램프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에 의하면, 너비가 좁은 인발품은 수직으로, 또한, 너비가 넓은 인발품은 수평으로 클랭핑할 수 있도록 하여 인발이 완료되고 나서, 이 인발품이 콘베이어에 떨어질 때, 모서리 부위에 손상을 최소화하여 불량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대차로서, 인발품의 규격에 따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10)(이하, "견인장치"라 칭한다.)는 대차(100)와 클램프금형(200)으로 대별된다.(이하, 종래기술에서 상술 콘베이어(CY)의 이송체인(MC)에 걸리도록 하여 대차(100)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크장치(HE)의 기술적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대차(100)는 직육면체 외형을 갖추고, 평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으로 금형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형삽입홈(110)은 후술하는 클램프금형(200)이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깊게 형성되는데, 이 금형삽입홈(110)의 양측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130)가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130)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클램프금형(200)의 고정요홈(201)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한편, 이와 같은 금형삽입홈(110)에 클램프금형(200)이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금형(200)은 측판(210)과, 상, 하판(220)(230)과, 후판(240)과, 클램프(250)와, 링크장치(260)와, 실린더장치(270)로 이루어진다.
측판(210)은 상기한 클램프금형(200)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양 외측으로 상기한 고정돌기(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요홈(2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측에는 일측, 즉, 전방으로 갈 수록 내측으로 모이는 경사홈(211)이 형성되는데, 이 경사홈(211)은 후술하는 클램프(250) 양측의 고 정돌기(251)가 슬라이딩하며 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판(210)의 상, 하 방향으로 상, 하판(220)(230)이 배치되는데, 이 상, 하판(220)(230)의 양측에는 상기한 측판(210)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고정요홈(201)과 일치하도록 요홈(221)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측판(210)과 상, 하판(220)(230)의 후방으로 후판(240)이 배치되는데, 이 후판(240)의 정중앙에 후술하는 실린더장치(270)의 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박스형태를 이루고 있는 측판(210)과 상, 하판(220)(230), 후판(240)의 내부에는 클램프(250)가 배치된다.(이 클램프(250)는 도시한 방향을 기준하여 상, 하 대칭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클램프(250)는 상기한 측판(210)의 경사홈(211)과 동일각도로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251)가 돌출되어 상기 경사홈(211)에 삽입되되, 원활하게 미끄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측으로는 고정 죠(Jaw)(253)가 다수열 형성되어 인발품을 견실하게 클램핑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클램프(250)의 후방으로는 힌지브라켓(255)이 배치되며, 이 힌지브라켓(255)에 링크장치(26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링크장치(260)는 2절(折) 링크로서, 수평링크(261)와 수직링크(263)로 이루어진다.
수평링크(261)의 일단은 상기한 클램프(250) 후방에 배치된 힌지브라켓(255) 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수직링크(263)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있다.
수직링크(263)는 실린더장치(270)의 로드(271)와 장착되고, 실린더장치(270)는 상술한 후판(240)의 관통공(24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와 도 3을 참조 하여, 본 고안 인발용 견인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이하, 견인장치(10) 대차(100)의 후크장치(HE)가 이송체인(MC)에 걸려서 이송되는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클램프(250)의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대차(100)의 금형삽입홈(110)에 클램프금형(200)을 삽입한다. 이 때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금형삽입홈(110)의 고정돌기(251)와 클램프금형(200)의 고정요홈(201)에 맞춰서 삽입하면 금형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금형의 조립이 완료되면, 대차(100)를 다이스(미도시)에 근접시킨 뒤, 인발될 제품(미도시)의 단부를 클램프(250)로 고정한다.
도 3와 도 4를 참조하면, 실린더(270)의 로드(27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양 측판(210)에 형성된 경사홈(211)과 동일각도로 형성된 고정돌기(251)가 경사홈(211)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호 대칭형으로 배치된 클램프(250)의 각 고정 죠(253)는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인발품의 단부를 견실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발품의 단부를 고정하면, 대차(100)의 후크장치(HE)가 이송체인(MC)에 걸려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인발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스를 통해 인발되는 너비가 넓은 인발품은 수평상태로 인발되기 때문에 인발이 완료되고 나서, 콘베이어 상부로 떨어지더라도 모서리부분의 손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틀어진 변형은 후속공정인 교정공정에서 진직도를 맞추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금형(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인발품을 수직으로도 인발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이하, 측판(210)의 고정요홈(201)과 상, 하판(220)(23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221)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클램프금형(200)은 길이방향 양측 대칭형 수직방향으로 측판(210)이 배치되는데, 이 측판(210)의 양측에는 상술한 대차(100;미도시) 금형삽입홈(110;미도시)에 형성된 고정돌기(251;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요홈(2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판(210)의 상, 하측으로 상, 하판(220)(230)이 배치된다.
상, 하판(220)(230)은 일실시예와는 달리 평면에서 바라볼 때, 전방측으로 모아지는 경사홈(223)(233)이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클램프(250)의 고정돌기(251)가 삽입되며 원활하게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측판(210)과 상, 하판(220)(230)의 후방으로 후술하는 실린더(270)가 수평으로 배치된 후판(240)이 배치된다.(이하, 후판(240)과 실린더(270)와 클램프(250)의 후방에 배치된 링크장치(260)의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박스형태로 결합된 측판(210)과 상, 하판(220)(230), 후판(240)의 내측으로 클램프(25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클램프(250)는 상, 하 양측에 각각의 고정돌기가(251) 형성되어, 상기한 상, 하판(220)(230)에 각각 형성된 경사홈(223)(233)에 삽입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대칭형으로 배치된 내측으로 고정 죠(253)가 다수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금형(200)은 다이스를 통해 인발되는 너비가 좁은 인발품의 인발이 용이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서 인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차(100)와 클램프금형(200)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클램프(25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너비가 넓거나 좁은 인발품에 따라 용이하게 클램프금형(200)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너비가 넓은 인발품의 경우, 클램프(250)가 수평으로 배치된 클램프금형(200)을 사용하면, 인발이 완료되고 나서, 콘베이어에 떨어지더라도 모서리부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을 낮춤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발용 견인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일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 본 고안에 따른 인발용 견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평면도, 나)는 일측면도이다.

Claims (4)

  1. 다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이스를 통과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일단을 클램핑하여 고정한 뒤, 일방에 배치된 후크장치를 콘베어 체인에 걸어서 상기 콘베어 체인의 구동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제품을 인발하는 인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발장치는 외형을 갖추고, 일측으로 금형 삽입홈이 형성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금형삽입홈에 착탈식으로 끼워서 셋팅되는 클램프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금형은 일측에서 바라볼 때, 전방으로 모아지는 경사홈(211)이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대칭형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210)과;
    상기 측판의 상, 하 방향에 배치되는 상, 하판과;
    상기 상, 하판과 측판의 후방에 배치된 후판과;
    상기 측판의 경사홈에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며, 내측으로 고정 죠(Jaw)가 다수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죠가 대칭형으로 면접하도록 대칭형으로 배치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후방에 힌지결합된 링크장치와;
    상기 후판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전, 후 방향으로 왕복하는 로드 단부에 상기 링크장치가 고정된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금형은 길이방향 양측 대칭형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 하 방향에 배치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전방측으로 모아지는 경사홈이 대칭형으로 형성된 상, 하판과;
    상기 상, 하판과 측판의 후방에 배치된 후판과;
    상기 상, 하판에 각각 형성된 경사홈에 양측 단부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며, 내측으로 고정 죠(Jaw)가 다수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죠가 수직 대칭형으로 면접 배치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후방에 힌지결합된 링크장치와;
    상기 후판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전, 후 왕복하는 로드 단부에 상기 링크장치가 고정된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삽입홈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양측 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적어도 1열 이상 더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금형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맞출 수 있도록 양측 수직방향으로 고정요홈이 적어도 1열 이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KR2020080013236U 2008-10-02 2008-10-02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KR200452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36U KR200452350Y1 (ko) 2008-10-02 2008-10-02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36U KR200452350Y1 (ko) 2008-10-02 2008-10-02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55U true KR20100003855U (ko) 2010-04-12
KR200452350Y1 KR200452350Y1 (ko) 2011-02-21

Family

ID=4424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236U KR200452350Y1 (ko) 2008-10-02 2008-10-02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5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056A (zh) * 2011-10-11 2013-04-17 德州乐瀚焊材有限公司 自动撬丝器
CN105537298A (zh) * 2016-02-29 2016-05-04 镇江永沃铜业有限公司 一种铜棒拉丝机中的夹具体
CN113523117A (zh) * 2021-08-25 2021-10-22 浙江斯特隆科技有限公司 一种铜棒热锻红冲快速加工装置及方法
KR102475526B1 (ko) * 2022-08-08 2022-12-08 김용석 자동 페인팅 시스템의 대차 이송장치
KR102475531B1 (ko) * 2022-08-08 2022-12-08 김용석 자동 페인팅 시스템용 대차의 건조로 내부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4465A (en) 1978-02-25 1979-09-06 Nippon Steel Corp Grasping holder for drawn steel pipe
JPS59229226A (ja) 1983-06-10 1984-12-22 Fujikura Ltd 線材の引き抜き加工装置
US4606212A (en) 1984-04-16 1986-08-19 Sanwa Kokan Co., Ltd. Device for cold drawing seamless metal tubes having upset portions on both ends
KR100826576B1 (ko) 2007-05-18 2008-04-30 주식회사 스틸에이 인발 가공 시스템용 견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056A (zh) * 2011-10-11 2013-04-17 德州乐瀚焊材有限公司 自动撬丝器
CN105537298A (zh) * 2016-02-29 2016-05-04 镇江永沃铜业有限公司 一种铜棒拉丝机中的夹具体
CN113523117A (zh) * 2021-08-25 2021-10-22 浙江斯特隆科技有限公司 一种铜棒热锻红冲快速加工装置及方法
KR102475526B1 (ko) * 2022-08-08 2022-12-08 김용석 자동 페인팅 시스템의 대차 이송장치
KR102475531B1 (ko) * 2022-08-08 2022-12-08 김용석 자동 페인팅 시스템용 대차의 건조로 내부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50Y1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50Y1 (ko) 바아 형태의 동제품 인발용 견인장치.
JP6503682B2 (ja) 箱体を自動移送するユニット及び手順
EP1913804A1 (en) Tractor hitch
CN109579506B (zh) 一种烘干上料装置
DE202010008717U1 (de) Ablage-, Entnahme- und Transportsystem für Textilerzeugnisse, insbesondere Bekleidungsstücke
CN109878790A (zh) 一种全自动化食品包装设备
KR200433472Y1 (ko) 인출식 걸이대
CN108689215B (zh) 一种自动收料整理装置
CN204549111U (zh) 一种客车标准件存放工装
CN215156033U (zh) 一种注塑件全自动装箱设备
CN105800148A (zh) 汽车前挡风玻璃搬运架
CN109375319B (zh) 一种光纤整理装置及光纤装配流水线
CN209486805U (zh) 一种挂钩机构、货架及自动售货机
CN207517115U (zh) 一种红酒自动售卖机的抓取装置
CN207601931U (zh) 一种红酒自动售卖机的酒瓶托架
CN203843054U (zh) 一种用于钢筋弯曲机的定位夹紧装置
CN210187486U (zh) 一种用于型材的挂具
CN217748866U (zh) 一种机械加工用连续式物料抓具
CN207541714U (zh) 一种红酒自动售卖机的下料装置
CN205966283U (zh) 一种汽车轮毂喷涂线自动转运装置
CN217807420U (zh) 车门玻璃承托治具
CN214422188U (zh) 吊装装置的安装结构
CN111747095B (zh) 收集装置和电视中框生产线
CN213621892U (zh) 一种可拆卸的络筒机装纱车
CN218143120U (zh) 一种带有产品固定装置的周转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