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843B1 -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843B1
KR102299843B1 KR1020190073290A KR20190073290A KR102299843B1 KR 102299843 B1 KR102299843 B1 KR 102299843B1 KR 1020190073290 A KR1020190073290 A KR 1020190073290A KR 20190073290 A KR20190073290 A KR 20190073290A KR 102299843 B1 KR102299843 B1 KR 10229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rame
stripper
punch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983A (ko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19007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7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with punches moving along auxiliary lateral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지지대를 기계적으로 보다 정밀하게 지지대를 제조할 수 있도록,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의 프레임이 안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에 안착된 지지대의 프레임 단부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 인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여 인서트를 고정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RUNG OF CABLE TRAY}
본 개시내용은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다양한 케이블들을 서로 용이하게 구별하고, 또한 기능상, 외관상 보기 좋게 정리 정돈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사용된다.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트레이는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지녀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케이블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케이블의 단선이나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측판(side rail) 및 측판 사이에 결합되는 가로지지대(rung, 이하 지지대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지지대는 소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하여 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지지대와 측판 사이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지대의 양 단부에 볼트 체결을 위한 인서트를 삽입하고 고정하는 등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한다.
종래의 경우, 지지대 제조를 위한 많은 공정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과제는 지지대를 기계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다 정밀하게 지지대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제조 장치는, 장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단축방향의 양 단부가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측판에 대면되도록 지지대의 장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며 전면에는 구멍이 형성된 브라켓, 프레임 내면에 놓이는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부를 구비하여 프레임 단부에 설치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구현에의 제조 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의 프레임이 안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에 안착된 지지대의 프레임 단부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 인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여 인서트를 고정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인서트를 수용되며 인서트가 정렬되어 이동되는 이송라인을 구비한 호퍼, 상기 호퍼에 진동을 가하여 이송라인을 따라 인서트를 차례로 이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라인과 분리되어 이송라인 출측에 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로 연결되어 이송라인에서 이송된 인서트를 상기 이동로로 공급하는 고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고정라인에 대해 높이차를 두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 프레임의 장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인서트가 이동되는 이동로,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인서트를 프레임 단부로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는 직각 방향을 따라 측면에 상기 고정라인의 출측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라인을 통해 이송된 인서트가 이동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밀대는 상기 인서트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사각 단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은 작업대에 설치되는 하보조판, 상기 하보조판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 상기 하부다이 상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하스트리퍼, 상기 하부다이와 하스트리퍼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상기 하부다이에 대해 하스트리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상기 하부다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하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하스트리퍼가 하부다이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절곡시키는 절곡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안착홈을 따라 상기 하스트리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가 이동되는 진입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럭 하단에 설치되는 상보조판, 상기 상보조판 하부에 설치되는 펀치고정판, 상기 펀치고정판 하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스트리퍼, 상기 펀치고정판과 상스트리퍼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상기 펀치고정판에 대해 상스트리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프레임에 삽입된 인서트 전측 또는/및 후측에서 프레임을 가압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전후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선단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선단펀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은 인서트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펀치고정판과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스트리퍼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단에는 상기 인서트의 수직부 상단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 정렬바, 상기 상보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바 상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바 하단에 형성된 홈은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심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절곡펀치에 의한 브라켓 절곡시 브라켓을 안쪽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브라켓 안쪽면에 위치하는 지지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지지대에 인서트를 설치하여 제조하는 전 공정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 시간과 수고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기계적인 제조 공정을 통해 인서트 체결 불량이나 품질 편차 발생을 최소화하고, 보다 정교하고 균일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삽입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금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하부금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상부금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는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지지대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대(100)는 케이블 트레이를 조립하기 위해 측판(도시되지 않음)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대(100)는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프레임(110) 양 단부로 인서트(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112)은 수직으로 절곡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장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단축방향의 양 단부가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장축방향이라 함은 직교 좌표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으로, 도 1에서 x축 방향을 지칭하며 단축 방향이라 함은 장축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도 1에서 y축 방향을 지칭한다.
프레임(110) 단부에 측판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인서트(120)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10)의 양 단부에는 브라켓(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브라켓(112)은 프레임(110)에서 절곡되어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인서트(120)는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인서트(120)는 프레임(110) 내면에 놓이는 수평부(122), 수평부(122)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프레임(110)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전면에는 암나사홀(123)이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120)는 수평부 양 측면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측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20)는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노치(notch)(130)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112)은 프레임(110) 제조시 수평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본 장치에 의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은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0)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조 장치는 준비된 프레임(110)에 인서트(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브라켓(112)은 절곡하는 일련의 기계적인 가공 작업을 수행하여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1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지지대를 제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 2의 z축 방향은 상하 방향 또는 수직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이나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 장치(200)는,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어 지지대(100)의 프레임(110)이 안착되는 하부금형(300),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 단부로 인서트(12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500), 삽입부(500)로 인서트(12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600), 하부금형(300) 상부에 배치되고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인서트(120)를 고정하는 상부금형(400), 상부금형(400)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210)는 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로, 그 형태나 크기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작업대(210)의 수평면에 하부금형(300)이 설치된다. 작업대(210) 상단부에는 구동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예를 들어, 유압이나 공압으로 신축 구동되는 구동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20)에는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이동블럭(230) 하단에 상부금형(400)이 설치되어 하부금형(300) 위쪽에 이격 배치된다.
이에, 구동부(220)가 제어 구동되면, 이동블럭(230)이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부금형(400)이 하부금형(300)에 가압되면서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에 인서트(120)를 고정하고 브라켓(112)을 절곡하여 지지대(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작업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부금형(300)과 상부금형(400), 삽입부(500) 및 공급부(600)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0)의 양 측단에 인서트(120)를 동시에 고정하여 한번에 지지대(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작업대(210) 좌우측에 배치되는 상부금형(400)과 하부금형(300), 삽입부(500) 및 공급부(600)는 방향만 상이하며 그 구조는 각각 동일하다. 이에 작업대(210) 일측에 구비된 구성부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른 쪽의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이에 갈음한다.
공급부(600)는 작업대(210) 외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급부(600)는 복수의 인서트(120)를 수용하며, 인서트(1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부(600)는 인서트(120)를 수용하는 호퍼(610), 호퍼(610)에 설치되어 인서트(120)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이송과정에서 인서트(120)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이송라인(620), 호퍼(610)에 진동을 가하여 이송라인(620)을 따라 인서트(120)를 이동시키는 진동부(630), 작업대(210) 일측에 설치되며 이송라인(620)과 분리되어 이송라인(620) 출측에 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삽입부(500)로 연결되어 이송라인(620)에서 이송된 인서트(120)를 이동로로 공급하는 고정라인(640)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610)는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호퍼(610)의 하단에 진동부(630)가 설치되어 호퍼(61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송라인(620)은 호퍼(610) 내주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송라인(620)은 호퍼(610) 저부에서 상부로 나선 형태로 설치되어 호퍼(610) 외측으로 연장된다. 진동부(630)가 구동되면 호퍼(610)에 저장된 인서트(120)는 이송라인(620)을 타고 점차적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이송라인(620) 출측으로 나오게 된다.
이송라인(620)은 인서트(120)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120)는 이송라인(620)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설정된 방향으로만 정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렬이 맞지 않는 인서터는 이송라인(620)에서 떨어져 호퍼(610)로 재투입된다.
예를 들어, 이송라인(620)은 인서트(120)의 무게중심 등을 고려하여 인서트(120)가 놓인 이송라인(620)의 폭이나 경사도를 변형시킴으로써, 정렬이 맞지 않는 인서트(120)를 이송라인(620)에서 떨어뜨릴 수 있다. 또는, 직사각 형태인 인서트(120)의 각 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이송라인(620) 일측에 인서트(120)와 간섭되는 터치바 등을 설치함으로써 정렬이 맞지 않는 인서트(120)를 이송라인(620)에서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정렬 상태가 맞지 않는 인서트(120)는 이송라인(62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탈락되어, 이송라인(620)에는 일방향으로 정렬된 인서트(120)만이 이송될 수 있다. 이에, 이송라인(620)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인서트(120)는 모두 수평부(122)가 하부에 위치하고 측부(124)가 단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부(124)는 장축방향을 따라 프레임쪽을 향하는 상태로 정렬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송라인(620) 출측에 고정라인(640)이 연결된다. 이에, 이송라인(620)에서 배출되는 인서트(120)는 고정라인(640)으로 이송되어 고정라인(640)을 따라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라인(640)은 이송라인(620) 출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라인(640)은 이송라인(620)과 분리되어 작업대(21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공급부(6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이송라인(620)을 통해 고정라인(64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라인(640)을 통해 인서트(120)를 삽입부(50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송라인(620)을 따라 인서트(120)가 계속 밀려 이동되므로, 인서트(120)는 이송라인(620)에서 밀려나 고정라인(640)으로 옮겨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송라인(620)은 고정라인(640)에 대해 높이차(H)를 두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이송라인(620)과 고정라인(640)이 분리되어 있더라도 이송라인(620)에서 배출되는 인서트(120)가 고정라인(640)으로 원활하게 진입하여 이송될 수 있다.
고정라인(640)은 삽입부(500)로 연장된다. 이에, 고정라인(640)을 따라 이송된 인서트(120)는 삽입부(5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500)는 작업대(210) 상에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인서트(120)가 이동되는 이동로(510),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520), 구동실린더(520)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이동로(510)를 따라 인서트(120)를 프레임(110) 단부로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실린더(520)와 밀대(530) 및 이동로(510)는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의 장축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동로(510)는 하부금형(300) 외측에 프레임(110)의 장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고정라인(640) 출측과 연결된다. 이동로(510)는 하부금형(300)과 고정라인(640)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로(510)로 공급된 인서트(120)는 밀대(530)에 의해 이동로(510)에서 하부금형(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로(510)는 단축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고정라인(640)의 출측이 연결된다. 이에, 고정라인(640)을 통해 이송된 인서트(120)가 이동로(510)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동로(510)는 장축방향을 따라 양단이 개방되고, 단축방향을 따라 양 측면 사이 폭은 대략 인서트(120) 크기에 대응하여, 하나의 인서트(120)만이 이동로(510)에 놓여 장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라인(640)에 위치한 다음 인서트(120)는 이동로(510)에 놓인 인서트(120)에 막혀 이동로(510)로 진입되지 못한다. 이에, 이동로(510) 상에 하나의 인서트(120)만이 위치하여 간섭없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로(510)에서 인서트(120)가 이동되어 빠져나가고 밀대(530)가 후진된 상태에서 다음 인서트(120)가 다시 이동로(5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인서트(120)는 공급부(600)에 의해 계속 공급방향으로 밀려 이동되고 있는 상태로, 다음 인서트(120)가 비어있는 이동로(510)로 밀려 이동된다.
밀대(530)는 이동로(510)의 외측에 프레임(110)의 장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그 외측에 배치된 구동실린더(520)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다. 이에, 구동실린더(520)가 신축 구동되면, 밀대(530)가 장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이동로(510) 상에 공급된 인서트(120)를 밀어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밀대(530)는 인서트(120)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사각 단면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밀대(530)가 인서트(120)를 안정적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대(530)가 인서트(120)를 밀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인서트(120)가 넘어지거나 걸려 정렬 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로(510) 외측에는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고 밀대(5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되어 밀대(53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5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40)에 의해 밀대(530)가 받쳐 지지됨으로써, 밀대(530)가 유동되지 않고 보다 정확히 이동로(510)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인서트(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로(510)로 공급된 인서트(120)는 밀대(530)에 의해 밀려 이동되어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금형(400)이 구동부(220)의 압력에 의해 프레임(110)에 가압되면서 프레임(110)에 인서트(120)가 고정되고, 브라켓(112)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300)은 작업대(210)에 설치되는 하보조판(310), 하보조판(310)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320), 하부다이(320) 상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프레임(110)이 안착되도록 안착홈(332)이 형성된 하스트리퍼(330), 하부다이(320)와 하스트리퍼(330)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340), 하부다이(320)에 대해 하스트리퍼(330)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342), 하부다이(32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은 하스트리퍼(330)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하스트리퍼(330)가 하부다이(320)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프레임(110)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12)을 절곡시키는 절곡펀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210) 상에 하보조판(310)과 하부다이(320) 및 하스트리퍼(330)가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어 하부금형(300)을 이룬다.
하보조판(310)은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어 하부금형(300)을 작업대(210)의 적정 위치에 고정한다. 하보조판(310)은 하부금형(300)의 각 구성부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 구조물을 이룬다.
하보조판(310) 상에 하부다이(320)가 고정 설치된다. 하부다이(320)에는 탄성부재(340)와 가이드바(3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 또는 가이드바(342)는 장착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하스트리퍼(330)와 결합된다. 가이드바(342)와 탄성부재(340)의 설치 위치는 하부금형(300)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하부다이(320)에는 절곡펀치(350)가 삽입 설치되는 장착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절곡펀치(350)는 하부다이(320)의 장착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하스트리퍼(330)와 결합된다. 절곡펀치(350)는 하스트리퍼(330)의 안착홈(332)에 놓여지는 프레임(110)의 브라켓(112) 위치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하스트리퍼(330)는 하부다이(32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스트리퍼(330)는 전면에 하부다이(320)에 설치된 가이드바(3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바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스트리퍼(330)는 가이드홀을 매개로 가이드바(342)에 끼워져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하스트리퍼(330)와 하부다이(320) 사이에는 하부다이(320) 위쪽으로 연장된 탄성부재(340)가 설치되어 하스트리퍼(33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상부금형(400)에 의해 하부금형(300)이 가압되어 하스트리퍼(330)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340)가 압축된다. 따라서, 절곡펀치가 하스트리퍼 위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부금형(40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하스트리퍼(330)가 원위치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스트리퍼(330)의 상단에는 장축방향을 따라 프레임(110)이 안착되도록 안착홈(332)이 형성된다. 안착홈(332)은 대략 프레임(110)의 하단과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112)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프레임(110)의 강판 두께 높이로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홈(332)에 프레임(110)이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놓여질 수 있게 된다.
하스트리퍼(330)는 하부다이(320)에 설치된 절곡펀치(350) 설치 위치에 맞춰 절곡펀치(350)가 슬라이딩되는 관통홀(334)이 관통형성된다. 관통홀(334)은 절곡펀치(35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절곡펀치(350)가 흔들리지 않고 관통홀(334)을 통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절곡펀치(350)는 상하로 이동하는 하스트리퍼(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하스트리퍼(330)가 하강함에 따라 하스트리퍼(330)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스트리퍼(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절곡펀치(350)가 상승하면서 하스트리퍼(330)에 안착된 프레임(110)의 브라켓(112)을 가압하여 수직으로 절곡시킬 수 있게 된다.
하부금형(300)의 하스트리퍼(330)는 상단 높이가 삽입부(500)의 이동로(510) 높이와 같거나 조금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로(510)로부터 인서트(120)가 하부금형(30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서트(120)가 하스트리퍼(33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금형(300)의 하스트리퍼(330) 상단에는 이동로(510)와 안착홈 사이에서 두 개의 측벽(338)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인서트(120)가 지나가는 진입로(336)가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측벽(338) 사이 간격은 인서트(12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하스트리퍼(330) 상면에서 돌출 설치된 두 개의 측벽(338)과 하스트리퍼(330) 상면이 인서트(120)가 이동되는 진입로(336)를 형성한다. 이에, 인서트(120)는 두 개의 측벽 사이를 따라 정확히 안착홈(332) 쪽으로 안내되어 안착홈(332)에 놓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부금형(400)은 하부금형(300) 바로 위쪽에 이격 배치되며 구동부(220)에 의해 하강되어 프레임(110)을 사이에 두고 하부금형(300)을 가압하며, 프레임(110)에 인서트(120)를 고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400)은 이동블럭(230) 하단에 설치되는 상보조판(410), 상보조판(410) 하부에 설치되는 펀치고정판(420), 펀치고정판(420) 하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스트리퍼(430), 펀치고정판(420)과 상스트리퍼(430)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440), 펀치고정판(420)에 대해 상스트리퍼(430)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442), 펀치고정판(42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스트리퍼(430)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스트리퍼(430)가 펀치고정판(420)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전후펀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금형(400)은 펀치고정판(420)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단은 상스트리퍼(430)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스트리퍼(430)가 펀치고정판(420)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프레임(110) 선단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선단펀치(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부금형(300)에 상부금형(400)이 가압되면서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에 의해 프레임(110)이 변형되어, 인서트(120)가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펀치라 하면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이동블럭(230) 하단에 상보조판(410), 펀치고정판(420) 및 상스트리퍼(430)가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어 상부금형(400)을 이룬다.
상보조판(410)은 이동블럭(230)에 설치되어 상부금형(400)을 적정 위치 즉, 하부금형(300) 위치에 맞춰 바로 그 직상부에 배치한다. 상보조판(410)은 상부금형(400)의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구조물을 이룬다. 상보조판(410) 하단에 펀치고정판(420)이 고정 설치된다. 펀치고정판(420)에는 탄성부재(440)와 가이드바(4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40) 또는 가이드바(442)는 장착홀에 삽입 설치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상스트리퍼(430)와 결합된다. 가이드바(442)와 탄성부재(440)의 설치 위치는 상부금형(400)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펀치고정판(420)에는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가 삽입 설치되는 장착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는 펀치고정판(420)의 장착홀에 삽입 설치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상스트리퍼(430)와 결합된다.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는 하부금형(300)에 안착된 프레임(110)의 인서트(120) 삽입 위치와 프레임(110) 선단 위치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는 펀치고정판(42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스트리퍼(430)는 전면에 펀치고정판(420)에 설치된 가이드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바(442)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는 가이드홀을 매개로 가이드바에 끼워져 가이드바(442)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와 펀치고정판(420) 사이에는 펀치고정판(420) 아래쪽으로 연장된 탄성부재(440)가 설치되어 상스트리퍼(43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상부금형(400)이 하강되어 하부금형(300)에 가압되면 상스트리퍼(430)가 펀치고정판(420)쪽으로 상승하면서 탄성부재(440)가 압축된다. 다라서, 펀치가 상스트리퍼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상부금형(40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4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스트리퍼(430)가 원위치로 하강되어 펀치고정판(420)에서 이격된다.
상부금형(400) 가압시 상부금형(400)의 상스트리퍼(430)는 하부금형(300)의 하스트리퍼(330)와 맞물려 서로 접하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스트리퍼(430)의 하단에는 하스트리퍼(330)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3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역시 프레임(110)의 상부 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4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금형(400)이 하강하여 하스트리퍼(330)와 상스트리퍼(430)가 서로 맞물려 긴밀하게 접하게 되면, 프레임(110)은 상스트리퍼(430)와 하스트리퍼(330)의 안착홈(332,432) 사이에 끼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는 펀치고정판(420)에 설치된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의 설치 위치에 맞춰 전후펀치(450)와 선단펀치(460)가 슬라이딩되는 관통홀(434)이 관통 형성된다. 관통홀(434)은 펀치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펀치가 흔들리지 않고 관통홀을 통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어 프레임(11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펀치는 단축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장축방향을 따라 두 개의 전후펀치(450)와 하나의 선단펀치(460)가 배치되며, 단축방향을 따라 두 개의 전후펀치(450)와 하나의 선단펀치(460)가 대향 배치된다. 상스트리퍼(430)에는 각각의 펀치 위치에 맞춰 관통홀이 형성된다.
펀치는 상하로 이동하는 상스트리퍼(4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상스트리퍼(430)가 펀치고정판(420) 쪽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스트리퍼(430)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스트리퍼(4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펀치가 하강되면서 상스트리퍼(430)에 맞물려 있는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전후펀치(450)는 프레임(110)에 삽입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를 사이에 두고 수직부(124) 전후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수직부(124) 전후 쪽에서 프레임(110)을 가압 변형시켜 노치(도 1의 130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인서트(120)는 수직부(124)의 전후쪽으로 함몰 형성된 노치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고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선단펀치(460)는 프레임(110)의 선단 쪽에 배치되어 있어, 프레임(110)의 선단을 가압 변형시키게 된다. 이에, 프레임(110)의 선단이 인서트(120)쪽으로 함몰되면서 인서트(120)의 측부(124) 모서리쪽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펀치(450)와 선단 펀치에 의해 프레임(110)이 가압 변형되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와 측부(124)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프레임(110)에 인서트(120)가 고정되어 지지대(100)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금형(400)은 인서트(12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120)의 위치를 정확히 펀치 위치에 맞춰 정렬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정렬부는 펀치고정판(420)과 상스트리퍼(43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스트리퍼(430)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단에는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상단을 지지하는 홈(471)이 형성된 정렬바(470), 상보조판(410)에 형성되어 로드 상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딩홈(472), 슬라이딩홈(472) 내에 설치되어 정렬바(47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4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바(470)는 예를 들어, 장축방향을 따라 두 개의 전후펀치(450) 사이에 위치하며, 단축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 전후펀치(4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에는 정렬바(470) 설치 위치에 맞춰 정렬바(470)가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에, 정렬바(470)는 전후펀치(450)와 간섭되지 않고 프레임(110)의 상단 중심쪽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10) 내에 삽입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상단과 접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바(470) 하단에 형성된 홈(471)은 내측면이 중심에서 양 측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V 자 형태로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정렬바(470)가 하강되어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상단이 정렬바(470)의 홈(471)에 눌려짐에 따라 인서트(120)의 수직부(124)가 홈(471)의 경사진 내측면을 따라 중심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프레임(110) 내에서 인서트(120) 위치가 틀어지게 삽입된 경우에도 정렬바(470)에 의해 인서트(120)가 이동되어 정확한 위치로 놓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렬바(470)는 하단이 상스트리퍼(430)에 형성된 안착홈(432)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되어 있어, 상부금형(400) 하강시 펀치에 앞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인서트(120)는 펀치가 프레임(110)을 가압하기 전에 정렬바(470)에 접촉되어 그 위치가 정확히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정렬바(470)에 의해 인서트(12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펀치가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인서트(120)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전후측에 정확히 전후펀치(450)에 의한 노치(130)가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제대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정렬바(470)는 펀치고정판(42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펀치와 달리 펀치고정판(420)을 관통하여 상보조판(410) 내부의 슬라이딩홈(472)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정렬바(470)는 펀치고정판(42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금형(400)이 하강되어 정렬바(470)가 인서트(120) 수직부(12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부금형(400)은 정렬바(470)와 간섭되지 않고 계속 하부금형(300)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472)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정렬바(470)는 인서트(12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인서트(120)의 수직부(124)가 정렬바(470)의 홈(471) 중심쪽으로 이동된다. 정렬바(470)는 상부금형(400)이 하강함에 따라 슬라이딩홈(472)으로 삽입된다. 지지대(100) 제조 후 상부금형(400)이 상승되면 슬라이딩홈(472)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7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정렬바(47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정렬부에 의해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위치를 두 개의 전후펀치(450) 사이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전후측에 노치(130)를 정확히 형성하여 프레임(110)에 인서트(120)를 정밀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금형(400)은 절곡펀치(350)에 의한 브라켓(112) 절곡시 수직으로 절곡되는 브라켓(112)을 안쪽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는 펀치고정판(42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스트리퍼(43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스트리퍼(430)가 펀치고정판(420)으로 이동시 프레임(110) 내측으로 돌출되어 브라켓(112) 안쪽면에 위치하는 지지로드(480)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치고정판(420)에는 지지로드(480)가 삽입 설치되는 장착홀이 설치되고, 지지로드(480)는 펀치고정판(420)의 장착홀에 설치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상스트리퍼(430)의 홀에 삽입된다. 지지로드(480)는 하스트리퍼(330)의 안착홈(432)에 놓여지는 프레임(110)의 브라켓(112) 절곡 위치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480)는 예를 들어, 단축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 펀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스트리퍼(430)에는 지지로드(480) 설치 위치에 맞춰 지지로드(480)가 슬라이딩되는 홀이 형성된다. 지지로드(480)는 펀치 사이에 위치한 정렬바(470)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로드(480)의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로드(480)는 상하로 이동되는 상스트리퍼(4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상스트리퍼(430)가 승강함에 따라 상스트리퍼(430)의 홀을 통해 하스트리퍼(330)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로드(480)는 프레임(110) 내측으로 진입하여 프레임(110) 안쪽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브라켓(112)의 안쪽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절곡펀치(350)에 의해 가압 변형되는 브라켓(112)을 지지로드(480)가 프레임(110) 안쪽에서 받쳐 지지함으로써, 브라켓(112)을 정확히 수직 상태로 절곡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준비된 인서트(120)는 공급부(600)에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준비된 프레임(110)은 작업대(210)의 하부금형(300) 상에 올려놓는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준비될 수 있다. 먼저, 준비된 철판의 장축방향으로 양 선단을 절단하여 브라켓(112)을 형성하고 브라켓(112)에 구멍을 가공한다. 구멍은 철판을 절단함과 동시에, 또는 철판 절단 후 별도로 브라켓(112) 전면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내부 공간을 갖고 양단부에 브라켓(112)이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110)이 준비될 수 있다.
인서트(120)는 프레임(110)과 별도로 준비될 수 있다. 인서트(12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120)는 소정 크기로 절단된 철판을 수평부(122)와 수직부(124) 및 양 측부가 형성되도록 절곡한다. 이에, 프레임(110)에 삽입될 수 있는 인서트(120)가 준비될 수 있다.
준비된 인서트(120)는 공급부(600)의 호퍼(610)에 저장되고, 공급부(600)의 구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프레임(110)이 하부금형(300)에 놓여지면 구동실린더(520)의 신장 작동에 의해 밀대(530)가 이동되어 이동로(510)로 공급된 인서트(120)를 밀어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한다.
인서트(120)가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면 구동부(220)의 작동에 따라 상부금형(400)이 하강되어 지지대(100)를 제조한다.
상부금형(400)이 하강되면서 먼저, 정렬바(470)가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상단에 접하게 된다. 상부금형(400)이 계속 하강함에 따라 정렬바(470)가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상단을 가압하면서 인서트(120)의 위치를 정확히 셋팅한다. 이에 인서트(120)는 프레임(110)에 대해 정확히 고정될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계속 상부금형(400)이 하강함에 따라 상스트리퍼(430)와 하스트리퍼(330)가 프레임(110)을 감싸며 밀착된다. 그리고 연속해서 상스트리퍼(430)와 하스트리퍼(330)가 밀려 이동되면서, 상부금형(400)과 하부금형(300)이 압축되고 이 과정에서 하부금형(300)의 절곡펀치(350)와 상부금형(400)의 펀치들이 프레임(110)으로 돌출되어 프레임(110)을 가압하게 된다.
상부금형(400)이 압축되면서 상부금형(400)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펀치(450)가 인서트(120)의 수직부(124) 전후측에서 프레임(110)을 가압하여 노치를 형성하게 된다. 선단펀치(460) 역시 프레임(110)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게 된다.
한편, 하부금형(300) 역시 압축되면서 하부금형(300)에 설치되어 있는 절곡펀치(350)가 브라켓(112)을 가압하여 수직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이 때, 상부금형(40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로드(480)는 상부금형(400) 압축에 따라 프레임(110)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어, 절곡되는 브라켓(112)을 안쪽에 받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112)은 지지로드(480)에 받쳐 지지된 상태로 절곡펀치(350)에 의해 절곡되어 정확히 수직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를 통해 프레임(110)이 가압 변형되면서 내측에 인서트(120)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선단에 브라켓(112)이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100)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프레임
120 : 인서트 130 : 노치
200 : 제조장치 210 : 작업대
220 : 구동부 230 : 이동블럭
300 : 하부금형 310 : 하보조판
320 : 하부다이 330 : 하스트리퍼
332,432 : 안착홈 334,434 : 관통홀
336 : 진입로 338 : 측벽
340,440,474 : 탄성부재 342,442 : 가이드바
350 : 전후펀치 400 : 상부금형
410 : 상보조판 420 : 펀치고정판
430 : 상스트리퍼 450 : 전후펀치
460 : 선단펀치 470 : 정렬바
471 : 홈 472 : 슬라이딩홈
480 : 지지로드 500 : 삽입부
510 : 이동로 520 : 구동실린더
530 : 밀대 600 : 공급부
610 : 호퍼 620 : 이송라인
630 : 진동부 640 : 고정라인

Claims (10)

  1. 장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단축방향의 양 단부가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측판에 대면되도록 지지대의 장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된 브라켓, 상기 프레임 내면에 놓이는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부를 구비하여 프레임 단부에 설치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의 프레임이 안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에 안착된 지지대의 프레임 단부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 인서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여 인서트를 고정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은 작업대에 설치되는 하보조판, 상기 하보조판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 상기 하부다이 상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프레임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하스트리퍼, 상기 하부다이와 하스트리퍼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상기 하부다이에 대해 하스트리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상기 하부다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하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하스트리퍼가 하부다이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절곡시키는 절곡펀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인서트를 수용되며 인서트가 정렬되어 이동되는 이송라인을 구비한 호퍼, 상기 호퍼에 진동을 가하여 이송라인을 따라 인서트를 차례로 이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라인과 분리되어 이송라인 출측에 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로 연결되어 이송라인에서 이송된 인서트를 상기 이동로로 공급하는 고정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 프레임의 장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인서트가 이동되는 이동로,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인서트를 프레임 단부로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럭 하단에 설치되는 상보조판, 상기 상보조판 하부에 설치되는 펀치고정판, 상기 펀치고정판 하부에 이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스트리퍼, 상기 펀치고정판과 상스트리퍼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상기 펀치고정판에 대해 상스트리퍼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프레임에 삽입된 인서트 전측 또는/및 후측에서 프레임을 가압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전후펀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선단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선단펀치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인서트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펀치고정판과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스트리퍼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단에는 상기 인서트의 수직부 상단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 정렬바, 상기 상보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바 상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절곡펀치에 의한 브라켓 절곡시 브라켓을 안쪽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펀치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상스트리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스트리퍼가 펀치고정판으로 이동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브라켓 안쪽면에 위치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KR1020190073290A 2019-06-20 2019-06-20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KR10229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90A KR102299843B1 (ko) 2019-06-20 2019-06-20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90A KR102299843B1 (ko) 2019-06-20 2019-06-20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83A KR20200144983A (ko) 2020-12-30
KR102299843B1 true KR102299843B1 (ko) 2021-09-07

Family

ID=740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90A KR102299843B1 (ko) 2019-06-20 2019-06-20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88B1 (ko) * 2021-07-20 2021-1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43A (ja) 2000-06-27 2002-01-09 Nippon Seiki Co Ltd 物品の搬送装置
JP2005322803A (ja) 2004-05-10 2005-11-17 Hitachi Cable Precision Co Ltd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金型
KR200408719Y1 (ko) 2005-11-08 2006-02-13 (주)월드리소스 폐전선 피복분리장치
KR100693269B1 (ko) 2005-09-09 2007-03-13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프레스 금형장치
KR100740900B1 (ko) 2007-03-05 2007-07-19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200487877Y1 (ko) 2018-06-05 2018-11-15 (주)다미정밀 피 절곡물에 접촉을 최소화 하면서 절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KR102123364B1 (ko) 2019-01-08 2020-06-16 (주)하나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735B1 (ko) * 2002-06-05 2004-10-20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KR20090092874A (ko) * 2008-02-28 2009-09-02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이 케이블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43A (ja) 2000-06-27 2002-01-09 Nippon Seiki Co Ltd 物品の搬送装置
JP2005322803A (ja) 2004-05-10 2005-11-17 Hitachi Cable Precision Co Ltd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金型
KR100693269B1 (ko) 2005-09-09 2007-03-13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프레스 금형장치
KR200408719Y1 (ko) 2005-11-08 2006-02-13 (주)월드리소스 폐전선 피복분리장치
KR100740900B1 (ko) 2007-03-05 2007-07-19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200487877Y1 (ko) 2018-06-05 2018-11-15 (주)다미정밀 피 절곡물에 접촉을 최소화 하면서 절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KR102123364B1 (ko) 2019-01-08 2020-06-16 (주)하나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83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843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KR20140087047A (ko) 전선 포지셔닝 장치
CN110605571B (zh) 一种卡簧压装装置
JP3069083B2 (ja) プレス装置
CN210817254U (zh) 伺服铆压平台
CN205324441U (zh) 一种型材自动冲角机
US4969258A (en) Inserting pins into printed circuit boards
CN116871403B (zh) 一种通管弯折对冲一体设备
US20050102825A1 (en) Tube expander for heat exchanger
CN209849698U (zh) 一种金属支架用冲压模具
JP6989613B2 (ja) クランプ工具を有する製造設備及びクランプ工具の曲げエッジの全長を適合させる方法
US8316682B2 (en) Ironing apparatus
CN115634963A (zh) 一种校平压盘及校平装置
CN113327766A (zh) 磁环电感穿板整型机
JPS6281234A (ja) 電子部品のリード線矯正装置
CN114055131A (zh) 限位板压入装置
CN109070186B (zh) 具有形状物方向转换功能的冷锻成型装置
KR101912082B1 (ko) 격벽을 갖는 평판표시장치용 프레임의 격벽 펀칭을 위한 금형구조체
CN111215523A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KR20210019724A (ko)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11049333A (zh) 一种定子铁芯装配机
CN212784167U (zh) 一种高效插pin机
CN216990014U (zh) 一种弯弧c型钢加工设备
CN210907704U (zh) 一种汽车第五横梁上板的加工模具
CN214235718U (zh) 多次折弯的折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