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047A - 전선 포지셔닝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포지셔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47A
KR20140087047A KR1020147014629A KR20147014629A KR20140087047A KR 20140087047 A KR20140087047 A KR 20140087047A KR 1020147014629 A KR1020147014629 A KR 1020147014629A KR 20147014629 A KR20147014629 A KR 20147014629A KR 20140087047 A KR20140087047 A KR 2014008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escender
wire guide
longitudinal axis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296B1 (ko
Inventor
피터 쉿츠
Original Assignee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8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장치에 전선(2)을 위치시키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전선(2)을 넣기위한 전선가이드(4)와, 전선가이드(4)에 들어간 전선(2)의 제1 종축선(45)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는 움직이는 하강기(5)를 포함하고, 하강기(5)는 압착편(6)을 갖는데, 압착편은 스프링요소(15)의 힘을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전선가이드(4)를 눌러 전선가이드를 전선(2)과 함께 작동위치로 하강시키기 때문에, 전선(2)의 자유단부가 하부 펀치에 가깝게 이동하며, 압착편(6) 반대쪽에 배치된 스토퍼(31)는 특정 하강경로를 따라 하강기(5)와 전선가이드(4)와 전선(2)의 하강운동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전선 포지셔닝 장치{WIRE POS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제1항의 서두에 따른 처리장치에 전선을 위치시키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와, 이런 전선 포지셔닝 장치와 처리부를 갖는 처리장치와, 진동이 감쇠되게 전선을 하강시키고 위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장치와, 처리장치의 압착부에 형성된대로 전선을 하강하여 처리부에 위치시키는 방법이 WO 2009/017653에 소개되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캐리지에 움직이도록 설치된 피봇 그리퍼가 벗겨진 전선 단부를 쥐고 압축부 앞으로 움직인 다음, 전선 단부를 하부 펀치와 압착할 접촉요소에서 8~10 mm 정도 위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압착공구를 작동시킨다. 플런저가 30~60 mm 정도의 행정으로 모멘텀을 갖고 하강하여 직립한 그리퍼 헤드에 접촉하면서 전선과 같이 그리퍼를 내리누른다. 따라서 전선은 단면적이 충분히 크기만 하면 큰 변형 없이 압착부 안으로 들어가고, 전선의 피복부와 벗겨진 부분이 상부 펀치에 의해 하부 펀치에 동시에 압착된다 그와 동시에 별도의 펀치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이 분리된다.
압착이 끝나면 압착공구는 상사점으로 되돌아가고 그리퍼도 마찬가지로 되돌아간다. 기존의 그리퍼의 주행거리는 16mm 정도이다.
기존의 자동차용 전선들은 단면적이 0.35~6㎟ 정도로서 모멘텀을 갖고 아랫쪽으로 눌려질 때 약간 휘어지거나 진동해도 취급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압착과정중에 심각한 곤란을 겪는다.
그러나, 단면적 0.13㎟ 정도의 아주 가는 전선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0.05㎟ 정도의 전선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런 가는 전선들은 기존의 기술로는 더이상 처리할 수가 없다.
전선은 절연체를 갖는데, 이런 절연체는 어느정도의 인장강도를 견뎌야 하기 때문에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다. 가는 전선을 기존의 그리퍼를 사용해 압착날 안으로 넣을 때 장시간에 걸쳐 계속 진동하기 때문에, 압착공구의 행정운동 동안에 압착날 안으로 신뢰성 있게 넣는 것을 제어할 수 없고, 이런 전선은 결국 휘어지거나 찌그러진다.
WO 2009/017653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선 포지셔닝 장치를 소개하는데, 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다. 이 장치는 그리퍼를 갖고 회전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을 A, B, C의 3개 평면에서 움직인다. 수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그리퍼는 나사가 형성된 원통형 안내봉을 갖고, 이 안내봉은 서보모터의 수평 구동축의 치차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한다. 그러나, 유압이나 기타 구동수단으로 높이와 간격을 조절한다.
압착공구는 고정 모루와 가동 상부 펀치를 갖고, 이 펀치는 압착부의 행정만큼 상하로 움직인다. 전선이 모루 위에 설치된 접촉요소 위에 위치하면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서보모터가 전선의 단부를 접촉요소의 날 안으로 하강시키고, 이때 접촉요소가 전선을 압착한다.
이런 종류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에서는 전선이 아주 천천히 하강하지만, 제어하기가 어려워 동기화는 극히 곤란하다. 또, 서보모터가 추가되어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 하강속도의 감소도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압착부에 가는 전선을 하강시켜 위치시키는 장치가 WO 2011/004272에 소개되었는데, 이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달린 드라이브는 사인곡선과 비슷한 변속 속도로 중심축을 따라 프레스 캐리지를 상사점에서 하사점까지 왕복이동시키고, 중앙 플런저는 중심축에 나란하게 홀더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플런저는 홀더를 통해 압착부의 프레스 캐리지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어, 프레스 캐리지와 플런저가 하방 행정으로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며, 그리퍼 헤드와 한쌍의 그리퍼조우가 달린 별도의 그리퍼에 의해 전선의 단부가 프레스 캐리지 위에 배치된 압착공구의 압착구역에 위치하고, 압착공구의 상부와 하부는 접촉요소의 압착이에 압착되도록 소정의 피봇 위치에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강기가 그리퍼헤드를 플런저의 하강행정에 대해 선단 위치로 저속으로 작동시키면서 하강시키고, 이에따라 전선의 단부가 피봇 위치에서 압착위치로 움직인다.
이 장치의 단점은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생산비가 높다는 것이다.
이하 D1으로 인용하는 GB2021988A, 특히 도 30에 도시된 장치의 처리부에 있는 헤드(606)은 전선의 종축선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고 절단날(630)과 압착요소(631)를 갖는다. 이 장치의 상하 포지셔닝 요소(408,409)는 전선의 종축선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들 포지셔닝 요소(408,409)는 D1의 도 30~31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 위치로 움직이는데, 폐쇄 위치에서는 포지셔닝 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전선을 제위치로 고정한채 절단하고 피복을 벗긴다(D1의 10페이지 55~124 라인 참조).
본 발명과 달리, D1에 소개된 가동 헤드(606)는 요소(640)를 구비하며 처리부의 일부분이지, 본 발명처럼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일부분이 아닌데, 이는 가동 헤드(606)가 절단날(630)이나 압착요소(631)와 같은 공구를 가져 뒤에 전선을 처리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D1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는 포지셔닝 요소(408,409)를 포함하고, 이들 요소는 본 발명의 하강기와 비교된다. 양자의 차이는, 포지셔닝 요소(408,409)가 본 발명의 개념의 압착편 형태로 디자인되지 않고 튜브 안에 스프링이 있지도 않아, D1의 포지셔닝 요소(408,409)는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개폐위치로 움직인다.
D2로 인용하는 US4521946은 절단된 상태의 전선(116)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소개하는데, 절단된 전선(116)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벨트(52,54) 사이로 이동된다. D2의 도 15~17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 벨트(52)는 컨베이어 수단(112)에 연결되고, 하부 벨트(54)는 분리기(68)에 연결된다. 전선(116)은 분리기(68)에 의해 분할되어 각각 다른 처리부로 보내진다(D2의 6컬럼 27~38 라인 참조). 분리기(68)의 공압 실린더(172)가 분리기를 움직여 전선을 분할한다(D2의 6컬럼 44~47 라인 참조).
반면에, 본 발명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하강기는 압착편과 스프링을 갖고, 이 스프링은 튜브 안에 위치하는데, 이런 구조는 D2에서 찾아볼 수 없다.
D2의 도 15~17은 본 발명과 같은 전선 포지셔닝 장치를 설명하지 않고, 분리된 전선들을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각각 다른 처리부로 보냄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 특히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D3로 인용하는 EP0813271A2에 소개된 케이블 하네스 생산장치에서는, 전선(1)의 양단부(8,10)에서 압착이동기(14)에 연결요소(13a~b)가 배치된다. 전선(1)은 2개의 클램프(24a~b)에 압착되고, 이들 클램프는 피스톤 실린더(25a~b)에 의해서 구동된다(D3의 5컬럼 18~32 라인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도 D3에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D3가 튜브 안에 스프링이 배치된 하강기와 압착편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포지셔닝 장치와 전선의 처리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처리장치의 처리부에서의 전선의 선택적 포지셔닝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는 전선의 포지셔닝에 특히 적합하면서도 비용절감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는 하강기가 압착편을 갖고, 압착편은 스프링요소의 힘을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전선가이드에 접촉하며, 스프링요소는 튜브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포지셔닝 장치에 전선을 공급할 때, 전선가이드와 전선가이드에서 돌출한 전선의 자유단부가 전선의 종축선에 대해 수평수직 양방향으로 진동하는데, 이는 가는 전선의 미세구조와 전선가이드의 가는 구조 때문이다. 전선가이드와 전선의 이런 진동은 하강기가 하강하면서 하강기의 압착편이 전선가이드에 접촉하면 ㅈ중단된다. 하강기가 전선가이드 안의 전선의 종축선에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압착편이 직접 전선가이드의 윗면에 맞닿게 된다.
압착편의 판의 평평한 접촉면이 하강기가 하강할 때 전선가이드에 맞닿게 된다. 그러나, 압착편이 경질 고무 버퍼로 이루어지고, 그 접촉면은 평평하거나 약간 휘어져 있다. 압착편은 스프링요소의 힘을 받도록 하강기에 설치되고, 스프링요소는 하나 이상의 압축스프링 형태가 바람직하고, 압착편은 스프링요소에 의해 전선가이드의 종축선에 대해 상하로 움직인다. 압착편은 핀과 같은 중간요소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스프링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편이 튜브 안에 배치된 스프링요소에 의해 하강기 안에서 움직이므로, 전선가이드는 처음에는 가능한 부드럽게 가속되고, 전선가이드에서 돌출한 전선의 자유단부가 처리부에서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전선가이드와 전선 자유단부의 진동이 정지한다. 전선가이드와 전선가이드에서 돌출한 전선 자유단부에 진동이 없으면, 전선 자유단부를 압착부와 같은 처리부에 아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는 전선의 자유단부가 이제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스프링요소가 튜브 안에 있어, 스프링요소를 하강기 안에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나선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요소의 측면 틸팅이 거의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을 처리장치의 처리부에 아주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스프링식 압착편에 의해, 전선가이드와 전선 자유단부의 진동이 단시간에 줄어들 수 있어, 전선의 전체적인 처리시간이 단축되고, 이때문에 경제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스프링식 압착편이 기존의 서보모터나 중심 플런저를 대체하므로, 구조가 상당히 간단해진다. 본 발명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므로,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생산비도 종래에 비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착편 반대쪽에 스토퍼가 배치되어, 전선가이드를 압착편과 스토퍼 사이에 진동감쇠되게 압착할 수 있다. 처리장치의 처리부에 전선이 들어왔을 때 스토퍼는 전선가이드 밑에 위치하고, 하강기의 압착편은 전선가이드 위에 위치하여, 압착편과 스토퍼는 기본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압착편이 전선가이드의 윗면에 맞닿으면, 아직 진동중인 전선가이드가 압착편에 의해 스토퍼 방향으로 내리눌리면서 전선가이드의 밑면이 압착편 밑에 배치된 스토퍼에 직간접적으로 맞닿고, 이때 전선가이드는 진동 감쇠되도록 압착편과 스토퍼 사이에 압착되고, 이때문에 전선가이드와 전선가이드에서 돌출한 전선의 자유단부의 진동이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최소화되거나 정지한다. 따라서, 처리장치의 처리부에 전선을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 하강기의 압착편이 전선가이드 위로 제2 종축선을 갖도록 배치되고, 스토퍼는 전선가이드 밑으로 제3 종축선을 갖도록 배치되며, 압착편의 제2 종축선은 제1 종축선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토퍼의 제3 종축선도 제1 종축선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압착편과 스토퍼가 전선가이드에 접촉하여 전선가이드의 진동을 감쇠하므로, 전선가이드의 진동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감쇠된다.
압착편의 제2 종축선은 전선의 제1 종축선을 따라 스토퍼의 제3 종축선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 튜브에 형성된 숫나사가 암나사를 갖는 홀더와 맞물린다. 숫나사는 튜브의 바깥면에 형성되고, 홀더가 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요소가 들어있는 튜브가 홀더에 고정된다. 또, 튜브와 스프링요소를 손으로 홀더에 쉽게 결합함과 동시에, 나사결합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포지셔닝 장치를 조립하는데 드는 공수가 더 감소된다. 예를 들어, 홀더가 플랜지나 슬리브를 가질 수 있고, 이런 슬리브를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할 수 있으며, 튜브의 숫나사와 결합하는 암나사를 슬리브의 내벽면에 형성하면, 튜브를 슬리브와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다음, 처리장치의 처리부에 플랜지를 통해 홀더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전선 포지셔닝 장치에 피봇 컨베이어를 배치하고, 이 컨베이어에 전선가이드를 고정한다. 처리할 전선을 피봇 컨베이어에 고정한채 움직일 수 있는데, 이는 전선이 피봇 컨베이어에 형성된 압축롤러나 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압착되기 때문이다. 피봇 컨베이어에 전선을 고정하면, 전선과 전선의 자유단부를 전선가이드를 통해 안내할 수 있고, 전선가이드는 피봇 컨베이어에 배치된다. 피봇 컨베이어에 고정된 전선의 측면 피봇과 전선가이드에서의 안내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착기와 같은 처리장치는 제1항 내지 제6항에 따른 처리부와 전선 포지셔닝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를 갖는 처리장치는 처리할 전선을 처리부에 아주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으면서도 처리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예컨대, 처리장치가 압착기이면, 처리할 전선의 자유단부를 가능한한 진동이 거의 없이 압착공구의 압착날의 처리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압착처리작업의 질이 크게 개선되면서도, 전선을 비교적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하다.
처리부에 가동 캐리지가 있는데,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하강기는 이런 가동 캐리지에 배치된다. 처리장치의 처리부의 일부분이 상하로 왕복운동하도록 가동 캐리지를 사용한다.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하강기가 가동 캐리지에 배치되면, 전선가이드 내부에 있는 전선의 종축선에 대한 하강기의 수직 운동이 가동 캐리지에 의해 보장되므로, 하강기에 대한 추가 드라이브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처리장치의 구조가 크게 단순화된다.
또,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스토퍼가 처리부에 견고히 위치한 캐리어에 고정된다. 이 경우, "견고히 위치한"이란 캐리어가 움직이지 않게 처리부에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스토퍼도 캐리어에 견고히 배치되므로, 캐리어와 스토퍼 사이에 상대운동이 없다. 따라서, 전선가이드가 압착편에 의해 스토퍼쪽으로 밀릴 때 스토퍼는 압착편을 위한 고정된 대응 압축요소를 형성한다. 그러나, 하강기와 마찬가지로 스토퍼가 전선가이드내의 전선의 종축선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고, 이경우 압착편과 스토퍼가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6항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와, 제7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하강기가 압착편과 함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인다. 제1 위치에서는 압착편이 전선가이드의 윗면과 떨어져 그 위에 위치한다. 압착편은 전선가이드의 윗면과 접촉하자마자 제2 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전선가이드와 전선의 진동이 1차로 감쇠된다. 하강기가 더 하강하면, 압착편은 스프링요소의 스프링 힘에 의해 튜브 방향으로 수직으로 움직이고, 전선가이드는 피치운동의 형태로 압착편에 의해 감속된채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움직인다. 제3 위치는 하강기의 수직운동과 전선가이드의 피치운동이 스토퍼에 닿아 끝나자마자 도달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가 달린 처리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가 달린 처리장치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가 제3 위치에 있을 때의 상세도.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처리부(3)와, 처리부에 전선(2)을 배치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1)를 갖는다. 도 3의 도 2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1)가 두번째 위치에 있을 때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1)가 세번째 위치에 있을 때의 상세도이다.
처리부(3)는 압착부를 형성하므로,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압착기이기도 하다. 본 실시예의 압착부의 압착공구는 상부 펀치(38)와 하부 펀치(40)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압착부를 갖는 압착기에 한정되지 않고 납땜기나 용접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선 위치결정장치(1)의 전선가이드(4)에 처리부(3)에서 처리할 전선(2)을 넣는다. 전선가이드(4)는 전선(2)을 안내하는 슬리브 형태로서, 전선(2)의 자유단부(44)는 전선가이드(4)에서 돌출한다.
전선가이드(4)에 들어간 전선(2)의 종축선(45)에 대해 하강기(5)가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위치한다.
하강기(5)의 일단부에 있는 스프링식 압착편(6)은 도 2~3과 같은 제2 위치에서 전선가이드(4)의 윗면(7)에 맞닿는다. 압착편(6)은 기본적으로 T형으로서, 축(9)에 판(8)이 달려있는 구조이다(도 3~4 참조). 판(8)은 표면이 평면이거나 약간 국져있는 경질 고무 버퍼이다. 축(9)에 형성된 숫나사(10)에 압착편(6)이 고정되므로, 압착편(6)은 기본적으로 나사 형태를 갖는다. 압착편(6)의 판(8)은 원형 접촉면(1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4와 같이 압착편(6)은 전선가이드(4)를 평판식으로 내리누른다. 본 실시예의 압착편(6)은 축(9)에 형성된 숫나사(10)가 핀(13)의 제1 단부(12)에 나사결합되어 핀(13)에 고정된다.
핀(13)의 제1 단부(12) 반대쪽의 제2 단부(14)가 스프링 요소(15)에 연결되므로, 압착편(6)은 핀(13)을 통해 스프링 요소의 힘을 받는다. 스프링 요소(15)는 다수의 압축스프링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이거나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소형 공압 실린더도 고려할 수 있으며, 압푹 플런저가 튜브 안에서 안내되는 디자인일 경우, 압축플런저 헤드와 플런저 어셈블리 사이에 2개의 외측 인장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스프링요소(15)와 핀(13)의 제2 단부(14)는 튜브(16) 안에 배치되고, 튜브(16)의 종축선은 전선(2)의 종축선에 수직이다.
튜브(16)는 제1 엔드캡(17)과 제2 엔드캡(18)으로 닫히는데, 제2 엔드캡(18)에는 구멍(19)이 뚫려있고, 핀(13)의 제1 단부(12)가 이 구멍을 통해 안내된다.
튜브(16)의 겉표면에는 숫나사(20)가 형성되고, 이런 숫나사에 의해 튜브는 홀더(21)에 고정된다. 홀더(21)는 L형 플랜지(22)와 원통형 슬리브(23)를 갖고, 이 슬리브는 전선의 도입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슬리브(23)의 내벽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라사에 튜브(16)의 숫나사(20)가 맞물린다. 튜브(16)는 플랜지(22)에 형성된 구멍(25)을 통해 안내된다. 너트 역할을 하는 슬리브(23)는 구멍(25) 영역에서 플랜지(22)에 끼워맞춤되면서 플랜지에 고정되므로, 튜브(16)는 슬리브(23)와 플랜지(22)의 구멍(25)을 통해 안내되는 한편, 슬리브(23)의 암나사에 숫나사(20)가 나사결합되면서 홀더(21)에 고정된다. 튜브(16)를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플랜지(22) 및/또는 홀더(21)에는 2개 이상의 구멍(25)을 인접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강기(5)는 홀더(21)의 플랜지(22)를 통해 처리부(3)의 가동 캐리지(26)에 배치되고, 나사(27)에 의해 캐리지에 고정된다. 예컨대 프레스 캐리지와 같은 가동 캐리지(26)는 전선가이드(4)에 들어간 전선(2)의 제1 종축선(45)에 수직인 방향(28)으로 움직인다. 하강기(5)는 캐리지(26)에 단단히 고정된채 캐리지(26)와 같이 움직이면서 상하로 안내된다. 따라서, 하강기(5)용으로 별도의 구동수단이 불필요하다. 가동 캐리지(26)는 크랭크핀(30)을 통해 처리부(3)의 크랭크축(29)에 연결되어 움직인다.
압착편(6) 반대쪽에 스토퍼(31)가 배치되는데, 압착편(6)의 제2 종축선(46)이 스토퍼(31)의 제3 종축선(47)과 약간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31)는 표면이 편평하거나 약간 굴곡진 경질 고무버퍼로 형성된 판(32), 이 판에 나사결합되는 핀(33) 및 플랜지(34)로 이루어지고, 핀(33)은 체결구(37)에 의해 플랜지(34)에 고정된다. 압착편(6)에 의해 전선가이드(4)가 스토퍼(31)를 향해 밑으로 눌려지면 스토퍼(31)의 판(32)의 평탄 접촉면(35)과 전선가이드(4)의 밑면(36)이 직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전선가이드(4)의 밑면(36)은 피봇 컨베이어(41)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48)의 지지를 받는다. 제1 지지요소(48)와 스토퍼(31) 사이로 피봇 컨베이어(41)에 제2 지지요소(49)를 배치하여, 피봇 컨베이어(41)의 안정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스토퍼(31)는 처리부(3)에 견고히 위치한 캐리어(38)에 플랜지(34)를 통해 단단히 연결되지만, 프레스가 고정된 머신의 고정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선가이드(4)는 수평으로 피봇되게 설치된 피봇 컨베이어(41)에 고정되어, 전선을 처리하기 전에, 가이드 안에 들어있는 전선(2)과 함께 처리부(3) 방향으로 피봇된다. 피봇 컨베이어(41)는 피치축(42)을 갖고, 피치축을 통해 피봇 컨베이어(41)의 진동이 감쇠되면서 전선(2)을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처리부(3)의 하부 펀치(40)에 설치된 접촉요소의 개방된 압착부 안으로 안내된다. 스프링요소(15)와 피봇컨베이어(41)에 설치된 스프링 어셈블리(43)로 인해 상부 펀치(39)에 비해 저속으로 피치축(42)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기 때문에, 전선가이드(4)와 전선가이드에서 돌출한 전선(2)의 자유단부(44)의 진동이 하강기가 없는 기존의 전선 포지셔닝 장치에 비해 수평수직 양방향으로 더 빨리 감쇠된다.
전선가이드(4)가 전선(2)과 같이 처리부(3)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전선 포지셔닝 장치(1)는 도 1의 제1 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 압착편(6)과 스토퍼(31)는 전선가이드(4)에서 떨어져 있다. 전선가이드(4)에서 돌출한 전선의 자유단부(44)는 진동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도 자유진동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4)와 전선의 돌출된 자유단부(44)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착편(6)의 접촉면(11)이 도 2~3과 같이 전선가이드(4)의 윗면(7)에 맞닿은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캐리지(25)에 의해 하강기(5)가 전선가이드(4)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런 제2 위치에서 전선가이드(4)와 전선(2)의 1차 진동감쇠가 이루어진다. 캐리지(25)와 캐리지에 연결된 하강기(5)가 아래로 더 내려가면, 전선가이드(4)에 맞닿은 압착편(6)이 스토퍼(31) 방향으로 천천히 가속되면서 피치운동으로 제3 위치로 하강한다. 그러나, 하강기(5) 내부의 스프링요소(15)의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압축편(6)의 하강속도는 캐리지(25)의 하강속도보다 크게 줄어든다. 그와 동시에, 전선가이드(4)의 밑면(36)이나 도 4와 같이 제2 지지요소(49)의 밑면이 스토퍼(31)의 접촉면(35)에 맞닿을 때까지 진동도 더 감쇠되는데, 이때는 이미 전선의 도입 높이가 압착과정에 맞게 설정되었고 이에 따라 제3 위치에 도달한 상태이므로, 전선가이드(4)는 제3 위치에서 압착편(6)과 스토퍼(31) 사이에 압착된다. 전선가이드(4)와 이곳에서 돌출한 전선의 자유단부(44)의 진동은 이제 멈춘다. 따라서, 피봇 컨베이어(41)의 더이상의 진동은 불가능하다. 피봇 컨베이어(41)의 피치운동이 끝나면, 전선(2)의 자유단부(44)는 도 4와 같이 상부 펀치(39)와 하부펀치(40)가 개방된 압착 대기위치에 진동없이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는다. 처리부(3)에 전선(22)의 자유단부(44)가 아주 정밀하면서도 진동 없이 자리잡게 되므로, 전선(2)의 자유단부를 아주 정밀하고 반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9)

  1. 압착기의 상부 펀치와 하부 펀치 사이에 전선(2)의 자유단부를 위치시키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1)와, 전선(2)을 넣기위한 전선가이드(4)와, 전선가이드(4)에 들어간 전선(2)의 제1 종축선(45)을 포함한 모든 평면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거나 전선가이드를 향해 움직이는 하강기(5)를 포함하는 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가 압착편(6)을 갖고, 상기 압착편은 스프링요소(15)의 힘을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전선가이드(4)를 눌러 전선가이드를 전선(2)과 함께 작동위치로 하강시키기 때문에, 전선(2)의 자유단부가 하부 펀치에 가깝게 이동하며, 압착편(6) 반대쪽에 배치된 스토퍼(31)는 특정 하강경로를 따라 하강기(5)와 전선가이드(4)와 전선(2)의 하강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4)가 지지요소(48,49)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압착편(6)과 스토퍼(31) 사이에 진동이 감쇠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의 압착편(6)이 전선가이드(4) 위로 제2 종축선(46)을 갖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31)는 전선가이드(4) 밑으로 제3 종축선(47)을 갖게 배치되며, 압착편의 제2 종축선(46)은 전선(2)의 제1 종축선(45)에 수직이고, 스토퍼의 제3 종축선(47)도 전선의 제1 종축선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압착편의 제2 종축선(46)이 전선(2)의 제1 종축선(45)을 따라 스토퍼(31)의 제3 종축선(47)에 대해 어긋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요소(15)가 튜브(16) 안에 배치되고, 튜브(16)는 숫나사(20)를 가지며, 이 숫나사는 암나사(24)를 갖는 홀더(2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치축(42)이 달린 피봇 컨베이어(41)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가이드(4)가 피봇 컨베이어(4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선(2)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동 캐리지(26)를 더 포함하고, 전선 포지셔닝 장치(1)의 하강기(5)가 상기 가동 캐리지(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1)가 처리부(3)에 견고히 위치한 캐리어(3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10. 상부 펀치와 하부 펀치 사이에서 진동이 감쇠되도록 전선(2)의 자유단부를 하강시켜 위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1)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가 압착편(6)과 함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고, 압착편(6)은 전선가이드(4)의 윗면(7)에 접촉하자마자 제2 위치에 도달해 전선가이드(4)와 전선(2)의 진동을 1차로 감쇠시키고, 하강기(5)가 더 하강하면 압착편(6)은 스프링요소(15)의 힘에 의해 튜브(16) 방향으로 수직으로 움직이지만, 전선가이드(4)는 제3 위치로 피치운동 형태로 움직이면서 스프링요소(15)로 인한 가속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하강기(5)의 수직운동과 전선가이드(4)의 피치운동이 스토퍼(5)와 접촉해 끝나자마자 상기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선(2)을 수용하는 전선가이드(4)와, 전선가이드에 들어있는 전선(2)의 제1 종축선(45)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하강기(5)를 구비하여, 전선(2)을 처리장치에 위치시키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가 압착편(6)을 갖고, 이 압착편은 스프링요소(15)의 힘을 받으며 전선가이드(4)에 맞닿으며, 상기 스프링요소(15)가 튜브(16)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압착편(6)의 반대쪽에 스토퍼(31)가 배치되고, 전선가이드(4)는 압착편(6)과 스토퍼(31) 사이에 지지요소(48,49)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진동이 감쇠되게 압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의 압착편(6)이 전선가이드(4) 위로 제2 종축선(46)을 갖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31)는 전선가이드(4) 밑으로 제3 종축선(47)을 갖게 배치되며, 압착편의 제2 종축선(46)은 전선(2)의 제1 종축선(45)에 수직이고, 스토퍼의 제3 종축선(47)도 전선의 제1 종축선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압착편의 제2 종축선(46)이 전선(2)의 제1 종축선(45)을 따라 스토퍼(31)의 제3 종축선(47)에 대해 어긋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튜브(16)가 숫나사(20)를 가지며, 이 숫나사는 암나사(24)를 갖는 홀더(2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치축(42)이 달린 피봇 컨베이어(41)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가이드(4)가 피봇 컨베이어(4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표지셔닝 장치.
  19. 전선(2)을 압착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제13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전선 표지셔닝 장치(1)와 처리부(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3)에 가동 캐리지(26)가 있고, 전선 포지셔닝 장치(1)의 하강기(5)가 가동 캐리지(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전선 포지셔닝 장치(1)의 스토퍼(31)가 처리부(3)에 견고히 위치한 캐리어(3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2. 진동이 감쇠되도록 전선(2)을 하강시켜 위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3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전선 포지셔닝 장치(1)나, 제19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5)가 압착편(6)과 함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고, 압착편(6)은 전선가이드(4)의 윗면(7)에 접촉하자마자 제2 위치에 도달해 전선가이드(4)와 전선(2)의 진동을 1차로 감쇠시키고, 하강기(5)가 더 하강하면 압착편(6)은 스프링요소(15)의 힘에 의해 튜브(16) 방향으로 수직으로 움직이지만, 전선가이드(4)는 피치운동 형태로 감속되어 제3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하강기(5)의 수직운동과 전선가이드(4)의 피치운동이 스토퍼(5)와 접촉해 끝나자마자 상기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상부 펀치와 하부 펀치를 갖는 압착공구;
    상기 상하부 펀치들 사이에 전선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가이드;
    상기 전선의 경로의 축선에 대해 움직이는 하강기;
    상기 하강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압착편;
    상기 압착편을 전선가이드쪽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하강기에 포함된 스프링; 및
    상기 압축편 반대쪽에 위치하여 압축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를 압착편과 스토퍼 사이에 진동이 감쇠되게 압착하도록 안내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의 종축선이 스토퍼의 종축선에 대해 어긋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원주면에 형성된 숫나사 및 상기 숫나사가 맞물리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가 고정되는 피봇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가 배치되는 가동 캐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고정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압착기.
  32.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가이드;
    상기 전선의 종축선에 대해 움직이는 하강기;
    하강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압착편;
    하강기에 포함된 튜브; 및
    상기 튜브 안에 위치하여 전선가이드쪽으로 압착편을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의 종축선이 스토퍼의 종축선에 대해 어긋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원주면에 형성된 숫나사 및 상기 숫나사가 맞물리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가 고정되는 피봇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지셔닝 장치.
  37. 압착편이 달린 하강기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
    압착편이 전선가이드의 윗면과 처음 접촉한 때를 제2 위치로 정하는 단계;
    제2 위치에서 전선가이드의 진동을 1차로 감쇠하는 단계;
    하강기를 더 하강시켜, 압착편을 하강기의 튜브의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으로 수직으로 움직이는 단계; 및
    전선가이드를 제3 위치로 피치운동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하강기의 수직운동이 스토퍼에 닿아 끝났을 때 제3 위치에 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전선의 자유단부를 진동이 감쇠되게 상부 펀치와 하부 펀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처리방법.
KR1020147014629A 2011-11-02 2012-08-14 전선 포지셔닝 장치 KR101824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4765P 2011-11-02 2011-11-02
EP11187480.6A EP2590275B1 (de) 2011-11-02 2011-11-02 Leitungspositionierungsvorrichtung
EP11187480.6 2011-11-02
US61/554,765 2011-11-02
PCT/IB2012/054137 WO2013064916A1 (en) 2011-11-02 2012-08-14 Wire positio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47A true KR20140087047A (ko) 2014-07-08
KR101824296B1 KR101824296B1 (ko) 2018-01-31

Family

ID=4521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629A KR101824296B1 (ko) 2011-11-02 2012-08-14 전선 포지셔닝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793671B2 (ko)
EP (2) EP2590275B1 (ko)
JP (1) JP6147267B2 (ko)
KR (1) KR101824296B1 (ko)
CN (1) CN104025396B (ko)
BR (1) BR112014010527A2 (ko)
CA (1) CA2853821A1 (ko)
ES (2) ES2575158T3 (ko)
HU (2) HUE027759T2 (ko)
IN (1) IN2014DN03445A (ko)
MX (1) MX341245B (ko)
PL (2) PL2590275T3 (ko)
PT (2) PT2590275E (ko)
RU (1) RU2014121997A (ko)
WO (1) WO2013064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590275E (pt) * 2011-11-02 2016-06-02 Schleuniger Holding Ag Dispositivo para posicionamento de condutores
CN107005016B (zh) 2014-12-04 2020-03-03 施洛伊尼格控股股份公司 定心单元、压接装置和线缆加工设备
EP3165487A1 (de) * 2015-11-08 2017-05-10 Schleuniger Holding AG Leitungstransport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zu bearbeitende kabel in kabelbearbeitungsmaschinen
DE102017102941A1 (de) 2017-02-14 2018-08-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ositionierverfahren für einen Abschnitt eines Kabels in/auf einer Crimpkontaktvorrichtung, Crimpverfahren sowie Crimpmaschine
FR3065330B1 (fr) * 2017-04-13 2019-05-0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Outil pour souder un conducteur electrique avec un dispositif de connexion
CH713877B1 (de) 2017-06-13 2022-05-13 Komax Holding Ag Absenker für ein Kabelgreifermodul einer Crimppresse und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s Kabelgreifermoduls einer Crimppresse.
CN211789934U (zh) * 2020-01-22 2020-10-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组装系统
EP3930118A1 (de) 2020-06-24 2021-12-29 Schleuniger AG Kabelbearbeitungs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kabels, computerimplementierte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sowie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5006A (en) 1966-12-12 1969-07-15 Amp Inc Wire positioning apparatus
US3769681A (en) * 1971-03-23 1973-11-06 F Eubanks Apparatus for attaching terminals to electric conductors
US3918330A (en) * 1974-11-18 1975-11-11 Artos Engineering Co Insulated wire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JPS5718699Y2 (ko) 1977-10-18 1982-04-19
GB2021988B (en) * 1978-06-05 1982-09-15 Artos Engineering Co Wire lead clamping mechanism for wire lead production apparatus
US4175316A (en) * 1978-06-05 1979-11-27 Artos Engineering Company Wire lead clamping mechanism for wire lead production apparatus
US4164808A (en) * 1978-06-05 1979-08-21 Artos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sets of accurately and identically sized wire leads
US4361942A (en) * 1980-09-23 1982-12-07 Ark-Les Corporation Terminal applying machine
US4521946A (en) * 1982-03-31 1985-06-11 Artos Engineering Company Cutter and belt type conveyor for wire segments
JPS6039787A (ja) * 1983-08-12 1985-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電線の自動成形装置
US4713880A (en) 1986-04-08 1987-12-22 Artos Engineering Company Lead making machine
US5367767A (en) 1993-03-22 1994-11-29 The Whitak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forming a drain wire of a cable
JPH0963736A (ja) * 1995-08-29 1997-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端末保持具
JP2992678B2 (ja) * 1996-06-14 1999-12-2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線圧接装置に於ける電線引き出し部の電線引き出し機構
DE59914354D1 (de) 1998-08-31 2007-07-12 Komax Holding Ag Einrichtung zum Zusammenführen von Leitern
US6266870B1 (en) * 1999-09-15 2001-07-31 Autos Engineering Co. Wire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erminal attaching apparatus
EP1351349B1 (de) 2002-03-18 2005-01-05 Komax Holding Ag Crimppresse zur Herstellung einer Crimpverbindung
CN101542851B (zh) * 2007-01-16 2011-12-21 日本自动机械株式会社 端子压接方法、端子压接装置以及端子压接电线制造装置
US7774927B2 (en) 2007-07-27 2010-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positioning device for a wire termination machine
DE102007045279B4 (de) * 2007-09-21 2009-06-18 Tyco Electronics Amp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belbäumen
US8555489B2 (en) * 2009-02-25 2013-10-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rimp assembly for a terminal crimping machine
US8887380B2 (en) * 2009-04-24 2014-11-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stop for a terminal crimping machine
WO2011004272A1 (en) 2009-07-08 2011-01-13 Schleuniger Holding Ag Device and method for lowering and positioning thin wires
PT2590275E (pt) * 2011-11-02 2016-06-02 Schleuniger Holding Ag Dispositivo para posicionamento de condut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5396B (zh) 2018-01-23
KR101824296B1 (ko) 2018-01-31
PL2774227T3 (pl) 2018-04-30
MX341245B (es) 2016-08-10
EP2590275A1 (de) 2013-05-08
CA2853821A1 (en) 2013-05-10
US9793671B2 (en) 2017-10-17
BR112014010527A2 (pt) 2017-04-25
CN104025396A (zh) 2014-09-03
EP2774227B1 (en) 2017-10-25
MX2014005238A (es) 2015-03-09
PT2590275E (pt) 2016-06-02
JP6147267B2 (ja) 2017-06-14
PT2774227T (pt) 2018-01-19
HUE027759T2 (hu) 2016-11-28
US20140283382A1 (en) 2014-09-25
WO2013064916A1 (en) 2013-05-10
JP2014534593A (ja) 2014-12-18
IN2014DN03445A (ko) 2015-06-05
EP2590275B1 (de) 2016-03-02
HUE035341T2 (en) 2018-05-02
EP2774227A1 (en) 2014-09-10
ES2575158T3 (es) 2016-06-24
PL2590275T3 (pl) 2016-08-31
RU2014121997A (ru) 2015-12-10
ES2656507T3 (es)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96B1 (ko) 전선 포지셔닝 장치
CN110883211B (zh) 一种钣金冲压模具
CN105364477B (zh) T8led灯管堵头全自动装配机
JP6544831B2 (ja) プレス機
US20040007042A1 (en) Crimping press with contact feed
CN104308033A (zh) 一种无外圈推力轴承的加工设备及生产工艺
CN110883213A (zh) 一种连续性钣金加工方法
US9839952B2 (en) Die for a punching device
KR101022103B1 (ko) 크림핑 장치
CN113872000B (zh) 一种外导体压接装置
CN110605571A (zh) 一种卡簧压装装置
CN107437875B (zh) 一种转子拍压装置
CN109773089A (zh) 吊弦成型装置以及使用方法
US20050034505A1 (en) Crimping device
CN111628380B (zh) 中心端子装配机
CN114055131A (zh) 限位板压入装置
CN209007019U (zh) 一种灯头自动组装机
CN108972452B (zh) 一种电磁离合器半自动化连续式装配一体机
KR102461703B1 (ko) 프레스 벤딩장치
CN205629091U (zh) 一种usb金属外壳的型芯组件
CN211298622U (zh) 一种包布扣机中的落扣机构
CN204182824U (zh) 一种无外圈推力轴承的加工设备
CN219561866U (zh) 弹片自动焊接机
CN211707879U (zh) 一种吸气剂套件冲压成型装置
CN221019555U (zh) 一种扣盖自动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