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735B1 -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735B1
KR100453735B1 KR10-2002-0031529A KR20020031529A KR100453735B1 KR 100453735 B1 KR100453735 B1 KR 100453735B1 KR 20020031529 A KR20020031529 A KR 20020031529A KR 100453735 B1 KR100453735 B1 KR 10045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pouch
pouch container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711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02-003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7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다수의 스파우트를 소정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프레임 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와, 매거진부재에 적재된 파우치 용기를 인출시키기 위한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와,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에 의해 인출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기설정된 기준 지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는 로딩유니트와, 기준 지점에 정위치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키기 위한 개봉유니트와,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에 의해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핑하여 개봉유니트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그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와,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단일 압착 동작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는 열융착유니트와,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를 흡착하여 프레임의 외측으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언로딩유니트와, 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유니트와,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의 융착 부위가 경화되면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Automatic sealing apparatus of spout for pouch-type liq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파우트 및 파우치 용기의 공급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키는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결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냉각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으며, 특히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원터치식으로 압착하여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소정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 파우치 용기와, 파우치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에 실링되는 스파우트를 구비한다. 상기 스파우트는 실링장치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삽입되어 열융착 또는 접착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수작업으로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열융착용 지그몸체를 가동시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게 되는 바, 수작업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실링장치는 스파우트를 용기의 개봉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파우트의 실링부와 그 실링부에 대응되는 용기의 융착부를 제1열융착유니트에 의해 1차적으로 고온 열융착시키고, 융착부를 제외한 용기의 개봉단을 제2열융착유니트에 의해 2차적으로 저온 열융착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열융착된 개봉단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개봉단을 상온으로 압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실링장치는 스파우트와 파우트 용기의 서로 이질적인 융착특성에 대비하여 제1열융착유니트에 의해 고온의 열융착을 실시하고, 용기 개봉단의 서로 동질적인 융착특성에 대비하여 제2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저온의 열융착을 실하고, 스파우트의 실링부에 대응되는 용기의 융착부와 융착부를 제외한 용기의 개봉단 간의 융착조건이 상이함에 따른 개봉단의 열변형에 대비하여 냉각유니트에 의해 상온의 압착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실링장치는 스파우트와 파우치 용기 각각의 서로 다른 융착조건으로 인해 제1 및 제2열융착유니트와 냉각유니트를 각각을 채용시켜야 하므로, 실링 설비의 대형화와 복잡화를 초래하게 되고, 고온 열융착 공정, 저온 열융착 공정 및 냉각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반됨에 따라 실링 공정이 복잡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열융착유니트 각각의 상이한 온도 조건에 의해 스파우트의 실링부에 대응되는 용기의 융착부와 융착부를 제외한 용기의 개봉단 융착 부분 사이에 미세한 핀 홀(pin hole)이 형성되는 바, 이 후 파우치 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이 그 핀 홀을 통해 미세하게 유출됨으로써 상품으로서의 가치 하락과 유통기한을 유지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짧은 시간 안에 원하는 목표의 물량을 다량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제품의 불량률이 현격하게 저하되고, 무인 구동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면에서 상대적인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 및 파우치 용기의 공급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키는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결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냉각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 설비의 구조 및 실링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스파우트 실링부와 파우치 용기의 융착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핀 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원터치식으로 압착하여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파우치 용기와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결합되는 스파우트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거진부재 및 매거진부재에 마련된 위치 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 및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성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의 스토퍼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부재의 동작거리 조절부재 및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개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열융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언로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는 도 2에 도시된 배출유니트 및 냉각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7a 내지 도 17v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파우트 200... 파우치 용기
310... 프레임 312... 베이스 플레이트
320... 컨트롤유니트 330... 스파우트 공급유니트
331... 트레이 332... 지지프레임
336... 진동원 340... 매거진부재
341... 지지부재 344... 스택킹부재
350... 위치 조절부재 360...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
361... 파우치 용기 추출용 흡착부재
370...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 371... 슬라이드부재
374... 스토퍼부재 375... 푸시부재
376... 이송부재 381... 동작 거리 조절부재
383... 완충부재 390... 개봉유니트
391... 파우치 용기 개봉용 흡착부재
410...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 411... 클램프부재
414... 거치부재 417... 홀더부재
420... 열융착유니트 421... 지그몸체
430... 언로딩유니트 431... 제1언로딩부재
434... 파우치 용기 언로딩용 흡착부재
438... 제2언로딩부재 440... 배출유니트
441... 컨베이어부재 450... 냉각유니트
451... 밀착판 452... 냉각 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다수의 스파우트를 소정 진동력에 의해 정렬시킨 상태에서 소정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프레임 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스파우트 공급유니트;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가 적재된 매거진부재의 하측에서 파우치 용기를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상기 매거진부재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에 의해 인출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기설정된 기준 지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딩유니트; 상기 기준 지점에 정위치된 파우치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경로의 상,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개봉유니트;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에 의해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핑하여 개봉유니트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그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 상기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단일 압착 동작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대해 상,하측에서 왕복동 가능한 열융착유니트; 및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를 흡착하여 프레임의 외측으로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언로딩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스파우트의 공급경로와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이송경로는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지점은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이 상기 열융착유니트의 압착 부위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스파우트가 수납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정렬시키면서 상기 공급경로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진동원의 진동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라인을 따라 공급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실질적인 중앙 부분에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장공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다른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적극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인출공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를 정렬시키면서 소정 높이까지 적재시키기 위해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각 측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이 밀착되는 고정형 스택킹 플레이트와,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도록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에 대해 파우치 용기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스택킹 프레임과,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스택킹 프레임에 설치된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를 가진 스택킹부재; 및 상기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용기의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스택킹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걸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스택킹 프레임 각각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택킹 프레임에 마련된 위치 조절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스택킹 프레임 각각을 파우치 용기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택킹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 장공; 및 상기 위치 조절 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그 위치 조절 장공의 길이 만큼 스택킹 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 장공을 관통하여 지지부재에 나사 결합된 위치 조절 나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노출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면서 지지부재의 인출공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인출된 파우치 용기를 상기 매거진부재의 하측을 시작 지점으로 하여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대응되는 기준 지점까지 소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며,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 상기 파우치 용기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푸시-방식(push-type)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상기 기준 지점에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정위치시킨 후 원위치 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된 이송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을 상기 기준 지점에 근접된 위치까지 타이트하게 잡아 주면서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를 상기 기준 지점에서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파우치 용기의 양 사이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준 지점에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가진 가이드부재; 및 공압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시부재와 상보적으로 연결된 연결로드를 가진 이동블록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의 동작 거리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된 동작거리 조절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거리 조절부재는: 나사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의 이송 동작거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이동블록의 왕복 운동을 스토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조절나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소정 동작거리 만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조절나사에 의해 스토핑될 때, 조절나사에 대한 이동블록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이 조절나사에 스토핑되는 시점에 그 이동블록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헤드 부분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완충편이 마련된 완충로드; 상기 완충로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2차적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완충로드에 개재된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완충로드의 완충 동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이 내재되며, 상기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니트는: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기준 지점에 정위치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흡착력에 의해 개봉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의 양측면에 대해 각각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는: 상기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으로 접근하여 그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개봉유니트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되는 클램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이송경로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이동경로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대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는: 상기 공급경로 상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프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종착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파우트의 무게 중심점이 거치될 수 있도록 "U"자형의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스파우트가 그 거치부재의 상승력에 의해 상기 거치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파우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유니트는: 상기 개봉유니트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킨 후,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상,하측에서 압착시켜 압착면으로 전도된 소정 온도의 열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형합 가능한 형합홈을 가진 한 쌍의 지그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유니트는: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를 흡착부재에 의해 흡착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에 대해 수직 이동 가능한 제1언로딩부재; 및 상기 제1언로딩부재를 프레임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흡착부재에 의해 흡착된 파우치 용기를 프레임의 외측으로 하역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언로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는, 상기 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가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 주행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는,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의 융착 부위가 경화되면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유니트에 설치된 냉각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니트는: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가 상기 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에 언로딩 된 경우, 스파우트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의 사이드 부분을 실질적으로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상면과 파우치 용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 만큼 이격되게 설치된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상기 사이드 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착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팬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파우트 및 파우치 용기의 공급 동작과, 파우치 용기를 개봉시키는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결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냉각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짧은 시간 안에 원하는 목표의 물량을 다량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제품의 불량률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자의 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경제적인 면에서 상대적인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융착용 지그몸체가 원터치 식으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실링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파우트의 실링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스파우트의 실링부와 그 실링부에 대응되는 용기의 융착 부분 사이에 핀 홀(pin hole)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파우치 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품의 가치 상승과 유통기한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파우치 용기와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결합되는 스파우트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실링장치(300)는 스파우트(100) 및 파우치 용기(200)의 공급 동작과,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개봉시키는 동작과,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를 결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100)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200)를 소정 구역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100)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200)를 냉각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를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원터치식으로 압착하여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실링장치(300)는 다음과 같은 각종 유니트로 구획될 수 있고, 이 유니트들은 하나의 프레임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분획된 각각의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니트는 컨트롤유니트(320)에 의해 그 작동이 서보 제어된다.
상기 자동 실링장치(300)는, 프레임(310)과, 다수의 스파우트(100)를 진동력에 의해 정렬시킨 상태에서 소정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프레임(310) 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와,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200)가 적재된 매거진부재(340)의 하측에서 파우치 용기(200)를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매거진부재(340)로부터 하방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와,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에 의해 인출된 파우치 용기(200)를 소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기설정된 기준 지점(A)에 정위치시킬 수 있는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와, 기준 지점(A)에 정위치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개봉시키기 위한 개봉유니트(390)와, 스파우트 공급유니트 (330)에 의해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100)를 클램핑하여 개봉유니트(390)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그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를 삽입시키기 위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와, 스파우트 (100)의 실링부(30)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단일 압착 동작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지점(A)에 설치된 열융착유니트(420)와, 열융착유니트(420)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200)를 흡착하여 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언로딩유니트(430)와, 언로딩유니트(430)에 의해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200)를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니트(440)와, 열융착유니트 (420)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200)의 융착 부위가 경화되면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배출유니트(440)에 설치된 냉각유니트(450)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우치 용기(200)는 수지, 종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플랙시블 재질을 소정 두께의 라미네이팅 필름으로 적층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스포츠 음료, 드링크제, 화장품, 세재, 식용유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용기(200)는 최초 상,하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을 가진 직육면체의 형상에서 양측변(60)이 중공을 향해 반으로 접혀지고, 그 양측변(60)이 반으로접혀진 상태에서 상측 단부의 각 모서리 부분이 접착되며, 하측 단부가 밀봉되어 상측 단부가 개봉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측 단부의 개봉단에는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가 삽입되어 열융착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파우트(100)는, 파우치 용기(200)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삽입되고 배출공(22)이 마련된 배출부(20)와,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삽입되어 열융착될 수 있도록 배출부(20)에 연장 형성되고 배출공(22)과 연통되는 유입공(미도시)을 가진 실링부 (30)와,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부 (30)에 연장 형성된 위치결정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20)는 캡(50)이 결합될 수 있는 수나사부(24)가 형성된 배출공 (22)을 가지며, 실질적인 원통 형태를 가진다. 배출부(20)의 하단에는 캡(50)과 일체로 설치되며, 캡 개방용 탭(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는 탭부(26)가 마련된다. 배출부(20)의 하단과 실링부(30)의 선단 사이에는 몸체(28)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 (28)에는 소정 클램프부재수가 용이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슬라이드부(29)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9)는 클램프부재의 클램핑 동작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부(29)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가이드 (27)를 구비한다.
상기 실링부(30)는 대략 원통형이고 중앙에 유입공(미도시)이 마련된 센터 (34)와, 센터(34)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에지부(36)를 포함하여 단면이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실링부(30)의 외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돌기(38)가 마련된다. 융착돌기(38)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과의 열융착 작업시 그 융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링부(30)는 파우치 용기(20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때, 파우치 용기(200)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공(미도시)의 양 측면에서 배출부(20)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경사진 경사 인입부 (31)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부(40)는 유입공(미도시)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리브부재(42)와, 리브부재(42)의 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유입공(미도시)의 중심선을 향해 굴곡되고 전체적으로 점점 가늘어져 뾰족부(44)가 형성되는 라운드부재(46)를 구비한다. 상기 라운드부재(46)는 내측이 두껍고 외측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어 실링부(30)의 에지부(3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모서리부(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파우트(100)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개봉시킨 상태에서 실링부(30)를 개봉단에 삽입시키는 경우, 위치결정부(40)의 라운드부재(46)가 라운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우치 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접혀진 양측변(6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310)은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 파우치 용기 개봉유니트(390),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 열융착유니트(420), 파우치 용기 언로딩유니트(430), 파우치 용기 배출유니트(440) 및 냉각유니트(45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10)은 지면에 대해 실링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대(311)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실링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본 실링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모터들과, 진공 시스템, 에어 시스템, 전자 시스템 등이 설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프레임(310)에 설비되는 것으로서, 각종 브라켓, 블록, 바아,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프레임(310)에 설비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프레임(3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10)은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1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실질적인 중앙 부분에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장공(313)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그 선단이 상기 열융착유니트(42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는, 다수의 스파우트(100)가 수납 가능한 트레이(331)와, 트레이(331)에 진동을 가하여 스파우트(100)를 정렬시킴과 동시에 소정 공급경로로 주행시키기 위한 진동원(336)을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331)는 프레임(310)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프레임(332)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332)은 진동원(336)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프레임(31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331)는 다수의 스파우트(100)를 무작위로 수용 가능한 원형 수용부(333)가 형성되고, 진동원(336)의 진동력에 의해 스파우트(100)를 원형 수용부(333)로부터 나선형을 따라 정렬시키면서 주행시키기 위한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이 형성된다.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은 원형 수용부(333)와 연결되며, 스파우트(100)가 정렬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원형 수용부(33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331)는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을 따라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다수의 스파우트 (100)를 프레임(310) 측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직선 공급경로(335)가 마련된다. 상기 직선 공급경로(335)는 프레임(310)에 설치된 지지블록(314)에 지지되고, 프레임(310)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의 최외곽 부분과 연결된다. 즉, 다수의 스파우트(100)는 진동원(336)에 의해 원형 수용부(333)로부터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을 주행하면서 직선 공급경로(335)를 따라 프레임(3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에 대응되는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에 종착된다.
상기 진동원(336)은 트레이(331)의 하측에 마련되며, 트레이(331)에 소정 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통상적인 진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거진부재 부위 및 매거진부재에 마련된 위치 조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 있는 매거진부재(340)는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200)를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파우치 용기(200)의 크기에 적극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인출공(342)을 가진 지지부재(341)와,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200)를 정렬시키면서 소정 높이까지 적재시키기 위한 스택킹부재(344)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341)는 인출공(342)에 대응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341)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전체 길이에 대해 중앙점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배치되고,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전방 측을 향하면서 그 파우치 용기(200)가 인출공(342)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택킹부재(344)는 파우치 용기(200)의 각 측변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재 (341)에 직립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밀착되는 고정형 스택킹 플레이트(345)와, 파우치 용기(200)의 크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도록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에 대해 파우치 용기(2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스택킹 프레임(346a-346c)과,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을 밀착시키기 위한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349a-349c)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형 스택킹 플레이트(345)는 파우치 용기(200: 도 3)의 개봉단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재(341)에 고정되며, 그 지지부재(341)에 대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은, 파우치 용기(200: 도 3)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부재(341)에 대해 파우치 용기(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1스택킹 프레임(346a) 및 제2스택킹 프레임(346b)과,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응되는 측변에 대해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방향을따라 지지부재(3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스택킹 프레임(346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택킹 프레임(346a) 및 제2스택킹 프레임(346b)은 파우치 용기 (200: 도 3)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측변을 마주하도록 지지부재(341)의 상면에 각각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3스택킹 프레임(346c)은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응되는 측변을 마주하도록 지지부재(341)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각각의 제1,2,3스택킹 프레임(346a-346c)은 소정 길이를 가진 스택킹 바아 (347a-347c)와, 스택킹 바아(347a-347c) 각각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보강리브(348a-348c)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보강리브(348a-348c)는 이들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41)의 상면에 형성된 형합홈(343)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합된다. 즉, 상기 각각의 제1,2,3스택킹 프레임(346a-346c)은 파우치 용기(200: 도 3)의 크기 즉, 파우치 용기(200)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여 형합홈(343)의 홈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택킹 프레임(346a) 및 제2스택킹 프레임(346b)의 하단에는 파우치 용기(200)의 적재시,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부(346c,346d)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346c,346d) 각각은 제1스택킹 프레임(346a) 및 제2스택킹 프레임(346b)의 보강리브(348a,348b)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 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349a-349c)는 파우치 용기(200)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양쪽 측변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1스택킹 바아(347a) 및 제2스택킹 바아(347b)에 각각 설치된 제1스택킹 플레이트(349a) 및 제2스택킹 플레이트(349b)와,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응되는 측변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3스택킹 바아(347c)에 설치된 제3스택킹 플레이트(349c)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349a-349c)는 각각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도록 제1,2,3스택킹 바아(347a-347c)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매거진부재(340)는 파우치 용기(200)의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부재 (341)에 대해 스택킹 프레임(346a-346c) 각각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파우치 용기(200)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조절부재(350)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재(350)는 스택킹 프레임(346a-346c) 각각의 보강리브 (348a-348c)에 파우치 용기(200)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 장공(351)과, 위치 조절 장공(35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그 위치 조절 장공(351)의 길이 만큼 스택킹 프레임(346a-346c) 각각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 장공(351)을 관통하여 지지부재(341)에 나사 결합되는 위치 조절 나사(352)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 및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는 지지부재 (341)의 인출공(342)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노출된 파우치 용기(200)를 소정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파우치 용기 추출용 흡착부재(361)를 구비한다.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용 흡착부재(36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바라 형상의 흡착 튜브(362)를 가진 흡착 몸체(363)와, 흡착 몸체(363)가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365)과,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에 대해 고정 브라켓(365)을 승강시키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실린더부재(366)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 튜브(362)는 흡착 몸체(363)와 연통된다. 상기 흡착 몸체(363)는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 흡입 라인(364)과 연통된다. 따라서, 진공 시스템에 의해 흡입 라인(36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62)에는 소정 흡입력이 적용된다.
상기 제1실린더부재(366)는 흡착 몸체(363)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365)을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하측에서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으로 노출된 파우치 용기(200) 측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실린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진공 시스템과 제1실린더부재(366)는 컨트롤유니트(320: 도 3)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부재(361)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제1실린더부재 (366)에 의해 고정 브라켓(365)을 상승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363)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경유하여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으로 노출된 파우치 용기(200)에 접근 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 몸체(363)의 흡착 튜브(362)는, 파우치 용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36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파우치 용기(200)를 소정 흡입력에 의해 흡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실린더부재(366)에 의해 흡착 몸체(363)를 하강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62)에 흡착된 파우치 용기(200)는 걸림부(346c,346d)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제1실린더부재(366)에 의해 흡착 몸체(363)가 계속 하강하는 도중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364)에 적용된 흡입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363)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경유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파우치 용기(200)를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는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으로 인출된 파우치 용기(200)를 매거진부재(340)의 하측을 시작 지점으로 하여 열융착유니트(420: 도 3)에 대응되는 기준 지점(A: 도 3)까지 소정 거리 만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 지점(A: 도 3)은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이 열융착유니트(420: 도 3)의 압착 부위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위치로 정의 할 수 있다. 아울러, 파우치 용기(200)의 이송경로는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 도 2)에 의해 직선 공급경로(335: 도 2)를 따라 공급되는 스파우트(100: 도 2)의 주행경로와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는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36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으로 인출된 파우치 용기(200)를 그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을 따라 기준 지점(A: 도 3)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1)와, 매거진부재(340)로부터 인출된 파우치 용기(200)를 푸시-방식 (push-type)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71)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기준 지점(A: 도 3)에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푸시부재(375)와, 푸시부재(375)를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재(376)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1)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 (313)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도 4, 5 참조).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371)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이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그 가이드 장공(313)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71)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매거진부재(340)의 하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 (312)의 선단측에 근접된 위치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도 3 참조).
상기 슬라이드부재(371)는 파우치 용기(20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37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71)에는 푸시부재(375)에 의해 슬라이딩홈(372)을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을 타이트하게 잡아 주면서 가이드시킬 수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37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73)는 슬라이딩홈(372)의 홈영역에 대해 상면이 폐쇄된 가이드 통로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371)의 상면에 커버링 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의 스토퍼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는 푸시부재(375)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71)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주행을 열융착유니트(420) 측에서 규제시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유니트 (420) 측에 정위치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재(374)를 구비한다(도 8 참조).
상기 스토퍼부재(374)는 소정 길이를 가진 바아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 용기(200)의 양 사이드 부분을 스토핑시키기 위해 열융착유니트(420) 측에 대응되는 기준 지점(A: 도 3)에 배치되도록 프레임(310: 도 2)에 설치된다. 상기 파우치 용기(200)의 양 사이드 부분에 대한 스토퍼부재(374)의 스토핑면은 기준 지점(A: 도 3)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부재(374)는 앞서 기준 지점(A)이 열융착유니트(420)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압착시킬 수 있는 위치라고 정의된 점과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선단이 열융착유니트 (42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열융착유니트(420)의 압착 동작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선단과 이격된 기준 지점(A)에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시부재(375)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에 자유롭게 관통되며, 그 가이드 장공(313)에 가이드되면서 왕복동 가능한 폭 길이를 가진다. 상기 푸시부재(375)는 가이드 장공(313)을 따라 전진하면서 파우치 용기(200)의 양 사이드 부분이 스토퍼부재(374: 도 9)에 스토핑되는 시점에 정지되고, 동시에 원위치 된다.
상기 이송부재(376)는 푸시부재(375)를 밀어서 파우치 용기(200)를 열융착유니트(420: 도 9) 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프레임(310: 도 2)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재(376)는 슬라이드부재(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377a)을 가진 가이드부재(377)와, 공압식 실린더 구동에 의해 가이드레일(377a)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블록(378)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77)는 슬라이드부재(371)의 외측에 대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310: 도 2)에 설치되며, 슬라이드부재(371)의 길이 방향과 수평을 이룬다.
상기 이동블록(378)은 가이드부재(377)의 가이드레일(377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부재(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통상적인 이송 실린더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블록(378)에는 푸시부재(375)를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따라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그 푸시부재(375)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로드(378a)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로드(378a)는 이동블록(378)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푸시부재(375)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부재의 동작거리 조절부재 및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7,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재(376)는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에 따라 이동블록(378)의 동작거리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동작거리 조절부재(381: 도 10)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거리 조절부재(381)는 나사 조작에 의해 이동블록(378)의 이송 동작거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이동블록(378)의 왕복 운동을 스토핑시키기 위해, 가이드부재(377)의 양측에 각각 나사 결합된 거리 조절 나사(382)를 구비한다.
상기 거리 조절 나사(382)는 나사 조작에 의해 가변된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만큼 이동블록(378)의 왕복 동작거리를 조절함과 동시에, 이동블록(378)이 그 왕복 동작거리 만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378)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부재(377)의 양측에서 스토핑시킨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376)는 이동블록(378)이 가이드부재(377)를 따라 소정 동작거리 만큼 왕복 운동하면서 거리 조절 나사(382)에 의해 그 왕복 운동이 스토핑 될 때, 거리 조절 나사(382)에 대한 이동블록(378)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383)를 구비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완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383)는 가이드부재(377)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동블록(378)이 거리 조절 나사(382)에 스토핑되는 시점에 그 이동블록(378)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헤드 부분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완충편(385)이 마련된 완충로드(384)와, 완충로드(384)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2차적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완충로드(384)에 개재된 탄성스프링(386)과, 탄성스프링(386)에 의한 완충로드(384)의 완충 동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386)이 내재되며 완충로드(384)가 삽입되는가이드공(387a)이 형성된 실린더(387)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로드(384)는 탄성스프링(386)에 의한 탄발 동작시, 실린더(387)에 형성된 가이드공(387a)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실린더(387)의 외주면에는 실린더(387)의 몸체가 가이드부재(377)의 양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된다.
도 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개봉유니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용기 개봉유니트(390)는 로딩유니트(370)에 의해 기준 지점(A)에 정위치 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흡착력에 의해 개봉시킬 수 있는 파우치 용기 개봉용 흡착부재(391)를 구비한다.
상기 파우치 용기 개봉용 흡착부재(391)는 상기 파우치 용기(200)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391)는 자바라 형상의 흡착 튜브(392)를 가진 흡착 몸체(393)와, 흡착 몸체(393)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395)과, 각각의 고정 브라켓(395)을 파우치 용기(200)의 상,하측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부재(396a,396b)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 몸체(393)는 흡착 튜브(392)와 서로 연통된다. 상기 흡착 몸체(393)는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 흡입 라인(394)과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진공 시스템에 의해 흡입 라인(39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92)에는 소정 흡입력이 적용된다.
상기 각각의 제2실린더부재(396a,396b)는 공압식 실린더 구조를 가진 것으로, 파우치 용기(200)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각각의 제2실린더부재(396a,396b)는 각각의 고정 브라켓(395)를 승강시켜 슬라이드부재(371) 각각의 선단측 이격 공간에서 파우치 용기(200)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흡착 튜브(392)를 밀착시킨다. 상기 진공 시스템과 제2실린더부재 (396a,396b)는 컨트롤유니트(320: 도 3)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부재(391)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각각의 제2실린더부재(396a,396b)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상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를 하강시키고 파우치 용기(200)의 하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를 상승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393)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에 각각 접근 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 몸체(393)의 흡착 튜브(392) 각각은, 슬라이드부재(371) 각각의 선단측 이격 공간에서 파우치 용기(200)를 사이에 두고 밀착된다. 흡착 튜브(392)가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39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각각의 흡착 튜브(392)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을 흡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실린더부재(396a,396b)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상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를 상승시키고 파우치 용기(200)의 하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를 하강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92)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을 개봉시키게 된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는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에 의해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에 도착된 스파우트(100)를클램핑하여 개봉유니트(390)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스파우트 (100)의 실링부(30: 도 1)를 삽입시키기 위한 클램프부재(411)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부재(411)는 스파우트(100)를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직선 공급경로(335)의 종착점에 근접되게 설치된 것으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파지 동작이 가능한 그리퍼 바디(412)와, 스파우트(100)가 클램핑 된 그리퍼 바디(412)를 열융착유니트(420) 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를 개봉유니트(390)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삽입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부재(4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그리퍼 바디(412)의 이동경로와 로딩유니트(370)에 의해 열융착유니트(420) 측으로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이송경로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대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리퍼 바디(412)는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는 그리퍼 바디(412)가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에 도착된 스파우트(100)를 용이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 (100)를 그리퍼 바디(412) 측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거치부재(414)와, 거치부재 (414)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스파우트(100)가 거치부재(414)의 상승력에 의해 거치부재(4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더부재(417)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재(414)는 종착점에 대응되는 직선 공급경로(335)의 하측에서 그 종착점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파우트(100)의 무게 중심점이 거치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거치홈(415)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재(414)는 종착점에 대응되는 직선 공급경로(335)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된 제4실린더부재(41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부재(417)는 거치부재(414)에 의해 스파우트(100)가 들어 올려지는 시점에 하강되어 스파우트(100)를 홀딩시킨 후 원위치 될 수 있도록, 스파우트 (100)의 상측에 배치된 제5실린더부재(419)에 의해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홀더부재(417)는 스파우트(100)를 홀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소재의 홀더(418)가 제5실린더부재(419)의 실린더 로드(419a)에 결합된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열융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열융착유니트(420)는 개봉유니트(390)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개봉시킨 후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상,하측에서 압착시켜 압착면으로 전도된 소정 온도의 열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융착유니트(420)는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의 클램프부재(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지그몸체(421)를 구비한다. 상기 지그몸체(421)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선단 외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상면을 기준선으로 하여 그 기준선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된 제6실린더부재(424a,424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그몸체(421) 각각의 압착 동작시 상기 기준선의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a)에 의해 하강되고, 동시에 상기 기준선의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b)에 의해 상승된다. 상기 지그몸체(421) 각각의 압착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기준선의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a)에 의해 상승되고, 동시에 상기 기준선의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b)에 의해 하강된다.
상기 각각의 지그몸체(421)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면이 형성되며, 그 압착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가 형합 가능한 형합홈(4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몸체(421) 각각의 압착 동작시 이들 각각의 압착면이 접촉되는 지점은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 바디(412)에 클램핑된 스파우트(100)의 중심점과, 로딩유니트(370)의 슬라이드부재(371)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72)의 슬라이딩면에 연장된 연장선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몸체(421)의 압착면은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를 그 실링부(30)에 대응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방단측에 열융착시키기 위한 형합홈 (422)의 홈영역과,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기 위한 외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421)에는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자체적으로 발열 가능한 히터부재(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히터부재는 소정 온도의 열을 지그몸체 (421)의 압착면으로 전달시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한 지그몸체(421)의 압착 동작시 그 열을 이용하여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지그몸체(421)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된 히터봉을 구비한다. 상기 히터봉은 지그몸체(421)의 형합홈(42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내부에 전열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재는 컨트롤유니트(320: 도 3)에 연결되어 그 컨트롤니트(32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몸체(421)는 형합홈(422)의 외측 영역에 다단으로 형성되고 스파우트(100)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원터치식으로 압착하여 열융착시키기 위한 단차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는 종래와 같이 스파우트를 용기의 개봉단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압착 동작으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공정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히터부재에 대한 열 전달거리의 차이에 의해 지그몸체(421)의 압착면에 서로 상이한 온도 분포 조건을 유지시킴으로써 지그몸체 (421)의 단일 압착 동작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차부재에 대한 구성은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19554호의『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실링장치』에 잘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그몸체(421)의 형합홈(422)에는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와 그에 대응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방단과의 열융착 작업시 그 융착성을 높이기 위해,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에 형성된 다수의 융착돌기(38)가 형합 가능한 수용홈(423)이 형성된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언로딩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언로딩유니트(430)는 열융착유니트(420)에 의해 스파우트(100)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200a)를 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언로딩부재(431)와 제2언로딩부재(438)를 구비한다.
상기 제1언로딩부재(431)는 열융착유니트(420)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200a)에 대해 수직 이동 가능한 수직 실린더부재(432)와, 수직 실린더부재 (432)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433)과, 파우치 용기(200a)를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433)에 설치된 파우치 용기 언로딩용 흡착부재(434)를 구비한다.
상기 파우치 용기 언로딩용 흡착부재(434)는 자바라 형상의 흡착 튜브(435)를 가진 흡착 몸체(436)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 몸체(436)는 흡착 튜브(435)와 서로 연통된다. 상기 흡착 몸체(436)는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 흡입 라인 (437)과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진공 시스템에 의해 흡입 라인(437)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435)에는 소정 흡입력이 적용된다.
상기 흡착부재(434)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수직 실린더부재(432)에 의해 흡착 몸체(436)를 하강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436)는 파우치 용기(200a)에 접근 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 몸체(436)의 흡착 튜브(435)는, 파우치 용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437)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파우치 용기(200a)를 흡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직 실린더부재 (432)에 흡착 몸체(436)를 상승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436)는 파우치 용기(200a)를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제2언로딩부재(438)에 의해 수직 실린더부재(432)를 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시킨 후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437)에 적용된 흡입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파우치 용기(200a)는 낙하된다.
전술한 제2언로딩부재(438)는 수직 실린더부재(432)가 결합되며, 가이드레일(439a)에 의해 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수평블록(439)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블록(439)은 통상적인 공압식 이송 실린더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언로딩부재(431) 및 제2언로딩부재(438)는 컨트롤유니트(320: 도 3)에 의해 순차적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는 도 2에 도시된 배출유니트 및 냉각유니트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니트(440)는 언로딩유니트(430)에 의해 언로딩 된 파우치 용기(200a)를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프레임(310)의 외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441)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부재(441)는 파우치 용기(200a)가 접촉되어 순환 주행되도록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442)와, 이들 컨베이어 롤러(442)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443)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부재(441)는 프레임(310)의 외측에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동일한 높이로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443)는 언로딩유니트(430)에 의해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이 접촉 가능한 폭을 가진다. 컨베이어 벨트(443)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을 제외한 스파우트(100)가 위치된다.
상기 냉각유니트(450)는 열융착유니트(420)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200a)의 융착 부위가 경화되면서 열변형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유니트(440)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유니트(450)는 언로딩유니트(430)에 의해 컨베이어부재(441)로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200a)의 사이드 부분을 실질적으로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판(451)과, 밀착판(451)에 의해 가압 밀착되는 파우치 용기(200a)의 사이드 부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452)을 구비한다.
상기 밀착판(451)은 스파우트(100)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게 각각 컨베이어 벨트(443) 상에 걸쳐진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판(451)은 파우치 용기(200a)가 언로딩유니트(430)에 의해 언로딩된 위치부터 파우치 용기(200a)가 배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길이와 컨베이어 벨트(443)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컨베이어 벨트(443) 각각의 상면과 파우치 용기(200a)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 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냉각 팬(452)은 밀착판(451)에 의해 스파우트(100)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이 가압 밀착됨과 동시에, 밀착판(451)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송풍시켜 파우치 용기(200a)의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밀착판 (451) 상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a 내지 도 17v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실링장치(300)의 전원을 온시켜 컨트롤유니트(320)에 필요한 데이터를 셋팅한 다음, 모든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위해 컨트롤유니트(320)를 조작하여 "워밍업"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지그몸체 (421)에 각각 내장된 히터부재(미도시)가 가동되고, 히터부재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지그몸체(421)를 통해 압착면으로 전도된다. 이 과정에서 지그몸체(421)의 압착면에 일정 표면 온도가 유지되면, 히터부재는 컨트롤유니트(320)에 의해 제어되어 발열 동작이 오프된다.
이러한 과정과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31)의 원형 수용부 (333)에 다수의 스파우트(100)를 무작위로 수납시킨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200)를 스택킹부재 (344)의 내측 영역에 적재시켜야 하는데,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의 크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도록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응되는 각 측변에 대해 각각의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을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의 위치 조절 장공(351)에 체결된 위치 조절 나사(352)를 푼 다음, 각각의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을 파우치 용기(200)의 크기에 맞게 이동시킨다. 즉, 제1스택킹 프레임(346a) 및 제2스택킹 프레임(346b)을 파우치 용기(200)의 폭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재(341)에 대해 파우치 용기(2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스택킹 프레임(346c)을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재(341)에 대해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은 위치 조절 나사(352)에 지지된 채 위치 조절 장공(351)에 가이드되면서 지지부재(341)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형합홈(343)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위치 조절 장공(351)의 길이 만큼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스택킹 프레임(346a-346c)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200)를 스택킹부재(344)의 내측 영역에 적재시킨다. 그러면, 파우치 용기(200)는 개봉단측이 고정형 스택킹 플레이트(345)에 밀착되어 정렬되고, 개봉단을 제외한 나머지 각 측변이 각각의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349a-349c)에 의해 밀착되어 정렬된다. 이 때, 파우치 용기(200)는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이 걸림부(346c,346d)에 걸쳐지게 되고, 최하단의 파우치 용기(200)는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유니트(320)의 시작 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스파우트 공급유니트(330)의 진동원(336)이 가동된다. 그러면, 진동원(336)은 트레이(331)에 소정 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다수의 스파우트(100)는 진동원(336)의 진동력에 의해 원형 수용부 (333)로부터 빠져 나와 나선형 가이드라인(334)을 따라 주행하게 되고, 이 후, 나선형 가이드라인(334)를 벗어나게 되면 직선 공급경로(335)를 따라 공급됨으로써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에 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 추출용 흡착부재(361)의 흡착 몸체(363)는 제1실린더부재(366)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으로 노출된 파우치 용기(200) 측으로 상승된다. 그러면, 흡착 몸체(363)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경유하여 지지부재(341)의 인출공(342)으로 노출된 파우치 용기(200)에 접근 하게 된다.
다음, 흡착 몸체(363)의 흡착 튜브(362)는, 파우치 용기(200)에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진공 시스템(미도시)이 흡입 라인(36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62)는 흡입 라인(364)에 적용된 소정 흡입력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를 흡착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17d 및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부재(366)를 구동시켜 흡착 몸체(363)를 하강시키게 되면, 흡착 튜브(362)에 흡착된 파우치 용기(200)는 걸림부(346c,346d)의 걸림력을 극복하면서 지지부재(341)의 하측으로 인출된다.
다음,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부재(366)의 구동에 의해 흡착 몸체(363)가 계속 하강하는 도중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364)에 적용된 흡입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파우치 용기(2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통과하지 못하고 양 사이드 부분이 슬라이드부재(371)의 슬라이딩홈(372)에 거치된다. 이와 동시에, 흡착 몸체(363)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을 경유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 로딩유니트(370)의 이동블록(378)은 가이드부재(377)의 가이드레일(377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부재(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a"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블록(378)의 연결로드(378a)에 결합된 푸시부재(375)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가이드 장공(313)에 가이드되면서 전진하게 되고, 동시에 파우치 용기(200)를 밀게 된다.
이어서, 파우치 용기(200)의 양 사이드 부분은 슬라이드부재(371)의 슬라이딩홈(372)에 슬라이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373)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통로로 인입된다.
다음, 도 9 및 도 1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는 양 사이드 부분이 가이드 플레이트(37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기준 지점(A)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파우치 용기(200)는 기준 지점(A)에 설치된 스토퍼부재(374: 도 9)에 의해 양 사이드 부분이 스토핑되면서 기준 지점(A)에 정위치 된다. 이 때,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은 지그몸체(421)의 압착면에 대응되는 기준 지점(A)에 정위치 된다.
다음, 파우치 용기(200)의 양 사이드 부분이 스토퍼부재(374: 도 9)에 의해 스토핑 되는 순간,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378)은 그 전진 동작이 정지되고 "b"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되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용기(200)의 길이에 상관하여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이 기준 지점(A: 도 9)에 정위치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77)의 양측에 나사 결합된 거리 조절나사(382)를 조작하여 파우치 용기(200: 도 17f)의 개봉단이 기준 지점(A: 도 9)에 도달되지 못한 거리 만큼 이동블록(378)의 왕복 동작거리를 조절한다. 그러면, 거리 조절나사(382)는 새로 설정된 왕복 동작거리에 대응되도록 이동블록(378)의 왕복 운동을 양쪽에서 스토핑시키게 된다. 아울러, 이동블록(378)이 거리 조절나사(382)에 의해 그 왕복 운동이 스토핑되는 경우, 이동블록(378)은 완충부재 (383)에 의해 완충되어 거리 조절나사(382)와 강하게 충돌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378)은 거리 조절나사(382)와 충돌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며, 거리 조절나사(382)와의 충돌로 인해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1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가 기준 지점(A)에 정위치 된 경우(도 9 참조), 파우치 용기(200)의 상측에 배치된 개봉유니트(390)의 흡착 몸체(393)는 제2실린더부재(396a)에 의해 하강되고 파우치 용기(200)의 하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는 제2실린더부재(396b)에 의해 상승된다. 이 때, 각각의 흡착 몸체(393)는 슬라이드부재(371) 각각의 선단측 이격 공간에 대해 상,하 왕복 운동하게 된다.
다음, 각각의 흡착 몸체(393)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에 각각 접근 하게 된다. 이 후, 흡착 몸체(393)의 흡착 튜브(392)는 파우치 용기(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된다.
이어서, 흡착 몸체(393)의 흡착 튜브(392)는 파우치 용기(200)에 대해 밀착됨과 동시에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394)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소정 흡입력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면을 흡착시키게 된다.
다음, 도 17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의 상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는 제2실린더부재(396a)에 의해 상승되고 파우치 용기(200)의 하측에 배치된 흡착 몸체(393)는 제2실린더부재(396b)에 의해 하강된다. 그러면, 흡착 몸체(393) 각각의 흡착 튜브(392)는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개봉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착 몸체(393)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대해 반으로 접혀진 양측변(60)의 이격 거리가 좁혀지게 된다.
한편, 도 1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공급경로(335)를 따라 공급되는 최선의 스파우트(100)가 직선 공급경로(335) 상의 종착점에 도달 되면, 거치부재(414)는 제4실린더부재(416)의 상승 동작에 의해 종착점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스파우트(100)는 거치부재(414)에 의해 무게 중심점이 거치부재(414)의 거치홈(415: 도 13)에 거치되면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 때, 스파우트(100)는 거치부재(414)의 상승력에 의해 거치홈(415: 도 13)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부재(414)에 의해 스파우트(100)가 들어 올려지는 시점에, 홀더부재(417)는 제5실린더부재(419)에 의해 하강되어 스파우트(100)를 홀딩시킨다. 그리고, 도 17ℓ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 된다. 그러면, 스파우트(100)는 거치부재(414)의 거치홈(415: 도 13)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이어서, 도 17ℓ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의 그리퍼 바디(412)는 거치부재(414)에 의해 들어 올려진 스파우트(100)의 몸체(28: 도 1)를 클램핑시킨다.
다음, 도 17m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 바디(412)는 제3실린더부재(413)에 의해 열융착유니트(420) 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개봉유니트(390)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를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스파우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30)에 연장형성된 위치결정부(4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위치결정부(40)의 라운드부재(46)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대해 이격 거리가 좁혀진 양측변(60)에 걸리는 경우가 거의 없고, 설령 반으로 접혀진 양측변(60)에 걸리게 되더라도 라운드부재(46)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 에러 없이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7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시스템은 개봉유니트(390)의 파우치 용기 개봉용 흡착부재(391)의 흡착 몸체(393)에 적용되는 흡입력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은 원상 복원되어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파우치 용기 개봉용 흡착 몸체(393)는 제2실린더부재 (396a,396b)의 구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어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해 상,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a,424b)의 구동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을 압착시킨다. 즉,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a)에 의해 하강되고,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에 대해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b)에 의해 상승된다.
다음,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도 1)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은 지그몸체(421) 각각의 압착면에 의해 압착됨과 동시에, 지그몸체(421)의 단일 압착 동작과 함께 지그몸체(421)의 압착면으로 전도된 소정 표면 온도 조건에 의해 열융착된다. 이 때, 지그몸체(421)는 각각의 압착면에 마련된 단차부재(미도시)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측 에지부(36)와 그 에지부(36)에 대응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변(60)의 절곡부위를 소정 가압력으로 가압함과동시에 히터부재(미도시)와의 열 전달거리에 의한 소정 온도 조건으로 열융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파우트(100)의 에지부(36)와 에지부(36)에 대응되는 파우치 용기(200)의 양측변(60)의 절곡부위 사이에는 미세한 핀홀(pin hole)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파우트(100)의 실링부(30) 측을 제외한 파우치 용기(200)의 개봉단은 단차부재 및 히터부재와의 열 전달거리에 의한 소정 온도 조건에 의해 반으로 접혀진 양측변(60)의 내측면과 열융착 된다. 이 상태에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410)의 그리퍼 바디(412)는 스파우트(100)에 작용되는 클램핑력을 해제시킨 후, 제3실린더부재(413)의 구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어서, 도 17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린더부재(424a,424b)에 의해 각각의 지그몸체(421)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즉, 파우치 용기(200a)의 개봉단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a)에 의해 상승되고, 파우치 용기(200a)의 개봉단에 대해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421)는 제6실린더부재(424b)에 의해 하강된다. 이 때, 언로딩유니트(430)의 수직 실린더부재(432)는 열융착이 완료된 파우치 용기(200a)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17o 및 도 17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언로딩부재(431)의 흡착 몸체(436)는 수직 실린더부재(432)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a) 측으로 하강된다. 그러면, 파우치 용기 언로딩용 흡착 몸체(436)는 파우치 용기(200a)에 접근 하게 된다.
이어서, 흡착 몸체(436)의 흡착 튜브(435)는, 파우치 용기(200a)에 접촉됨과 동시에 진공 시스템이 흡입 라인(437)에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소정 흡입력에 의해 파우치 용기(200a)를 흡착시키게 된다.
다음, 도 17q 내지 도 17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실린더부재(432)에 의해 흡착 몸체(436)를 상승시키게 되면, 흡착 몸체(436)는 파우치 용기(200a)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어서, 도 17t 및 도 17u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언로딩부재(438)의 수평블록(439)은 공압식 실린더 구동에 의해 가이드레일(439a)을 따라 배출유니트(440) 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수평블록(439)에 수직 실린더부재(43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 몸체(436)에 흡착된 파우치 용기(200a)는 배출유니트 (440)의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 시스템은 흡착 몸체(436)에 적용되는 흡입력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도 17v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a)는 자중에 의해 배출유니트(440)의 컨베이어부재(441) 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우치 용기(200a)는 소정 간격 이격된 컨베이어벨트(443) 상에 양 사이드 부분 각각이 걸쳐지게 되고, 스파우트(100)는 컨베이어벨트(443)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된다.
이어서, 컨베이어부재(441)는 컨베이어벨트(443)에 접촉된 파우치 용기 (200a)를 프레임(310: 도 2)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게 된다. 이 때,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은 컨베이어 벨트(443)와 밀착판(451) 사이의 가이드 통로로 인입된다. 그러면, 스파우트(100)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은 밀착판(451)에 의해 가압 밀착된다.
이와 같이, 파우치 용기(200a)가 밀착판(451)에 의해 양 사이드 부분이 가압밀착되면서 배출되는 동안, 냉각 팬(452)은 밀착판(451)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시킨다. 그러면, 파우치 용기(200a)의 양 사이드 부분이 밀착판(451)에 의해 가압 밀착 됨과 동시에, 냉각 팬(452)에 의해 냉각되므로, 파우치 용기(200a)의 개봉단측 융착 부위는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경화된다.
마지막으로, 밀착판(451)과 냉각 팬(452)를 경유한 파우치 용기(200a)는 컨베이어부재(441)로부터 이탈되면서 다음 공정을 위한 소정 구역으로 하역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파우트 및 파우치 용기의 공급 동작과, 파우치 용기를 개봉시키는 동작과,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결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 용기를 냉각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짧은 시간 안에 원하는 목표의 물량을 다량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제품의 불량률이 현격하게 저하된다.
둘째, 무인 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자의 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경제적인 면에서 상대적인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지그몸체가 원터치 식으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실링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파우트의 실링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넷째, 스파우트의 실링부와 그 실링부에 대응되는 용기의 융착 부분 사이에 핀 홀(pin hole)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파우치 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품의 가치 상승과 유통기한을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프레임;
    다수의 스파우트를 소정 진동력에 의해 정렬시킨 상태에서 소정 공급경로를 경유시켜 프레임 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스파우트 공급유니트;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가 적재된 매거진부재의 하측에서 파우치 용기를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상기 매거진부재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에 의해 인출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기설정된 기준 지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딩유니트;
    상기 기준 지점에 정위치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경로의 상,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개봉유니트;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에 의해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핑하여 개봉유니트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그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
    상기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삽입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단일 압착 동작에 의해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대해 상,하측에서 왕복동 가능한 열융착유니트; 및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를 흡착하여 프레임의 외측으로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언로딩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스파우트의 공급경로와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이송경로는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지점은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이 상기 열융착유니트의 압착 부위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4.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공급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스파우트가 수납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정렬시키면서 상기 공급경로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진동원의 진동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라인을 따라 공급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실질적인 중앙 부분에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장공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다른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적극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인출공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다수매의 파우치 용기를 정렬시키면서 소정 높이까지 적재시키기 위해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각 측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이 밀착되는 고정형 스택킹 플레이트와,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도록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에 대해 파우치 용기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스택킹 프레임과,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제외한 각 측변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스택킹 프레임에 설치된 가변형 스택킹 플레이트를 가진 스택킹부재; 및
    상기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의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스택킹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스택킹 프레임 각각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택킹 프레임에 마련된 위치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스택킹 프레임 각각을 파우치 용기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택킹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 장공; 및
    상기 위치 조절 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그 위치 조절 장공의 길이 만큼스택킹 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 장공을 관통하여 지지부재에 나사 결합된 위치 조절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공을 통해 노출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흡착력에 의해 하나씩 흡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면서 지지부재의 인출공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 추출유니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인출된 파우치 용기를 상기 매거진부재의 하측을 시작 지점으로 하여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대응되는 기준 지점까지 소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며,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
    상기 파우치 용기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푸시-방식(push-type)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상기 기준 지점에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정위치시킨 후 원위치 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된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의 길이 방향측 사이드 부분을 상기 기준 지점에 근접된 위치까지 타이트하게 잡아 주면서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우치 용기를 상기 기준 지점에서 규제시키기 위해, 상기 파우치 용기의 양 사이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준 지점에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가진 가이드부재; 및
    공압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시부재와 상보적으로 연결된 연결로드를 가진 이동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의 동작 거리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된 동작거리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거리 조절부재는:
    나사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의 이송 동작거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이동블록의 왕복 운동을 스토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조절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소정 동작거리 만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조절나사에 의해 스토핑될 때, 조절나사에 대한 이동블록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이 조절나사에 스토핑되는 시점에 그 이동블록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헤드 부분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완충편이 마련된 완충로드;
    상기 완충로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2차적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완충로드에 개재된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완충로드의 완충 동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이 내재되며, 상기 완충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니트는: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기준 지점에 정위치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흡착력에 의해 개봉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 용기의 양측면에 대해 각각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는:
    상기 스파우트 공급경로의 종착점으로 접근하여 그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개봉유니트에 의해 개봉된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되는 클램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0.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에 의해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이송경로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이동경로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대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1.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는:
    상기 공급경로 상의 종착점에 위치된 스파우트를 클램프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종착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파우트의 무게 중심점이 거치될 수 있도록 "U"자형의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스파우트가 그 거치부재의 상승력에 의해 상기 거치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파우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2. 제1,3,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유니트는:
    상기 개봉유니트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개봉시킨 후, 상기 스파우트 리무빙유니트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에 스파우트의 실링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상,하측에서 압착시켜 압착면으로 전도된 소정 온도의 열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개봉단을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의 실링부가 형합 가능한 형합홈을 가진 한 쌍의 지그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유니트는: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를 흡착부재에 의해 흡착시킨 상태에서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에 대해 수직 이동 가능한 제1언로딩부재; 및
    상기 제1언로딩부재를 프레임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흡착부재에 의해 흡착된 파우치 용기를 프레임의 외측으로 하역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언로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언로딩된 파우치 용기를 소정 구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파우치 용기가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 주행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6. 제1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의 융착 부위가 경화되면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열융착 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유니트에 설치된 냉각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니트는: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열융착된 파우치 용기가 상기 언로딩유니트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에 언로딩 된 경우, 스파우트를 제외한 파우치 용기의 사이드 부분을 실질적으로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상면과 파우치 용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 만큼 이격되게 설치된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송되는 파우치 용기의 상기 사이드 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착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KR10-2002-0031529A 2002-06-05 2002-06-05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KR10045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29A KR100453735B1 (ko) 2002-06-05 2002-06-05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29A KR100453735B1 (ko) 2002-06-05 2002-06-05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711A KR20030093711A (ko) 2003-12-11
KR100453735B1 true KR100453735B1 (ko) 2004-10-20

Family

ID=3238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529A KR100453735B1 (ko) 2002-06-05 2002-06-05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73Y1 (ko) 2008-03-28 2009-12-03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상부케이스 로딩 및 로터 서브 아세이조립장치
KR200447767Y1 (ko) 2008-03-28 2010-02-19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101485151B1 (ko) * 2013-09-17 2015-01-23 금성정밀(주) 파우치형 액체저장 용기의 스파우트 실링장치
KR20190029841A (ko)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나오팩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69Y1 (ko) * 2008-03-28 2009-12-03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서브 아세이 로딩장치
KR200446770Y1 (ko) * 2008-03-28 2009-12-03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본딩장치
KR102299843B1 (ko) * 2019-06-20 2021-09-07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CN111070703B (zh) * 2020-01-03 2021-12-17 山东航和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血压计加压气囊自动生产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26A (ja) * 1994-07-19 1996-01-30 Fab Toyama:Kk スパウト溶着装置
JPH0911331A (ja) * 1995-06-30 1997-01-14 Fab Toyama:Kk スパウト溶着装置
JPH11235766A (ja) * 1998-02-19 1999-08-31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栓の取付装置
EP0965438A2 (en) * 1998-06-15 1999-12-22 Shikoku Kakoki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pour spout to containers
US20010015056A1 (en) * 2000-02-23 2001-08-23 Toyo Jidoki Co., Ltd. Sealing method for packaging container, heat-treating plates for use in the sealing method and inspection method for sealed portion of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26A (ja) * 1994-07-19 1996-01-30 Fab Toyama:Kk スパウト溶着装置
JPH0911331A (ja) * 1995-06-30 1997-01-14 Fab Toyama:Kk スパウト溶着装置
JPH11235766A (ja) * 1998-02-19 1999-08-31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栓の取付装置
EP0965438A2 (en) * 1998-06-15 1999-12-22 Shikoku Kakoki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pour spout to containers
US20010015056A1 (en) * 2000-02-23 2001-08-23 Toyo Jidoki Co., Ltd. Sealing method for packaging container, heat-treating plates for use in the sealing method and inspection method for sealed portion of packaging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73Y1 (ko) 2008-03-28 2009-12-03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상부케이스 로딩 및 로터 서브 아세이조립장치
KR200447767Y1 (ko) 2008-03-28 2010-02-19 주식회사 비에스이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101485151B1 (ko) * 2013-09-17 2015-01-23 금성정밀(주) 파우치형 액체저장 용기의 스파우트 실링장치
KR20190029841A (ko)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나오팩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711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735B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US2006009155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onic part to a substrate
CN107020513B (zh) 咖啡杯自动组装热熔机
US6321813B1 (en) Apparatus for bonding pour spout to containers
US11145906B2 (en)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apparatus for process of folding secondary battery cell
CN110239952B (zh) 一种局部覆盖式吸盘阵列的自动配药机及其控制方法
EP2629326A2 (en) Substrate transport method and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JP2017024398A (ja) モールド金型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CN218560142U (zh) 转移设备
JP2008132730A (ja) 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JP2013084709A (ja) 樹脂封止装置
CN213599109U (zh) 一种面板灯及其自动化安装设备
CN210653763U (zh) 端子热封设备
KR101485151B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 용기의 스파우트 실링장치
KR101968337B1 (ko)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KR200286318Y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CN217864874U (zh) 液体灌装封口机
CN214684867U (zh) 一种焊线机用自动上料机构
CN112706342B (zh) 树脂供给机构、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CN215361998U (zh) 一种焊条调整装置
KR20220151352A (ko)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CN1997508B (zh) 可特别适用于柔性容器的传送星形轮和冷却柔性容器的方法
CN217258308U (zh) 一种接瓶机
CN111446481A (zh) 一种纽扣电池热封机
CN218486609U (zh) 一种物料的分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