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67Y1 -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67Y1
KR200447767Y1 KR2020080004081U KR20080004081U KR200447767Y1 KR 200447767 Y1 KR200447767 Y1 KR 200447767Y1 KR 2020080004081 U KR2020080004081 U KR 2020080004081U KR 20080004081 U KR20080004081 U KR 20080004081U KR 200447767 Y1 KR200447767 Y1 KR 200447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aging
transfer
palle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946U (ko
Inventor
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2020080004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67Y1/ko
Priority to CNU200920008972XU priority patent/CN201369638Y/zh
Publication of KR20090009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에이징장치는 조립된 다수의 진동모터를 고정하는 파레트와 이 파레트를 작업위치에 이동시키는 이송 레일로 이루어진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과, 상기 파레트의 진동모터를 취출하여 작업용 트레이에 옮겨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레일을 따라 전후진함과 더불어 진동모터를 취출하기 위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와, 상기 작업용 트레이의 진동모터가 트레이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상태에서 진동모터에 전원 3V를 인가해서 3분 동안 에이징 처리하는 에이징 처리부 및, 이 에이징 처리부에서 처리된 진동모터 완제품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진동모터의 조립상태가 양호해지도록 그 특성을 처리하는 마무리작업을 자동으로 양호하게 진행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진동모터 조립시 수작업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휴대폰, 진동모터, 에이징

Description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An aging unit of a vibration motor}
본 고안은 휴대폰용 진동모터를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모터의 조립상태가 양호해지도록 그 특성을 처리하는 마무리작업을 자동으로 양호하게 진행함으로써 진동모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다양한 착신신호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이나 문자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들에게 메시지의 착신을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휴대폰에 탑재되는 착신신호장치로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 등이 있는데,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그 진동원으로 다양한 타입의 진동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터는 휴대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대량생산하여 사용되고 있고, 상기 휴대폰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진동모터의 소형화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기 진동모터의 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조 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모터(100)는 저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01)와, 이 상부케이스(101)의 개구측에 외주연이 끼워 결합하고 그 상면에 플렉시블 기판(FPCB)(102)이 올려지면 플렉시블 기판(102) 위에 마그네트(103)를 접착시키는 접시형의 하부케이스(104)와, 상기 상부케이스(101)와 하부케이스(104)의 중앙에 압입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와셔가 끼워지는 샤프트(107)와, 이 샤프트(107)의 중앙부에 끼워지도록 성형된 로터(108)와, 이 로터(108)에 인서트 사출된 3상 코일(109)들과, 이 코일(109)들의 안쪽 중앙부에 마련된 정류자(110)와, 이 정류자(110)와 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상면에 탄설하는 브러시(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03)는 N극과 S극이 반복되도록 착자되어 상기 코일(109)에 일정 전압이 유기되면 마그네트(103)와의 사이에 자속이 발생하여 상기 로터(108)가 회전을 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진동모터(100)를 생산하기 위한 제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하부케이스(104)에 압입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107)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샤프트(107)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102)을 고정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본딩을 한 후 상기 마그네트(103)를 공급하여 접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103)를 착자한 다음 상기 샤프트(107)에 와셔를 조립하며, 상기 샤프트(107)에 로터(108)를 조립한 다음, 상기 부품들이 조립된 하부케이스(104)에 상부케이스(101)를 조립한 후 에이징(ag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진동모터(100)를 제작하는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모터(100)의 조립시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고, 생산된 진동모터(100) 중에 불량품이 많이 생기게 되어 제품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진동모터 조립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진동모터의 조립상태가 양호해지도록 그 특성을 처리하는 마무리작업을 자동으로 양호하게 진행함으로써 진동모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립된 다수의 진동모터를 고정하는 파레트와 이 파레트를 작업위치에 이동시키는 이송 레일로 이루어진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과, 상기 파레트의 진동모터를 취출하여 작업용 트레이에 옮겨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레일을 따라 전후진함과 더불어 진동모터를 취출하기 위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와, 상기 작업용 트레이의 진동모터가 트레이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상태에서 진동모터에 전원 3V를 인가해서 3분 동안 에이징 처리하는 에이징 처리부 및, 이 에이징 처리부에서 처리된 진동모터 완제품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에 의하면, 진동모터의 조립상태가 양호해지도록 그 특성을 처리하는 마무리작업을 자동으로 양호하게 진행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진동모터 조립 시 수작업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폰에 설치되는 진동모터의 조립장치로서 조립된 진동모터의 마감처리를 위한 에이징장치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에이징장치는 조립된 다수의 진동모터(1)를 공급하는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과,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이동시키는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와, 이송된 진동모터(1)를 에이징하는 에이징 처리부(30) 및, 완성된 진동모터(1)를 외부로 이송하는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이징장치의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은 조립된 다수의 진동모터(1)를 고정하는 파레트(11)와 이 파레트(11)를 작업위치에 이동시키는 이송 레일(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는 파레트(11)의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작업용 트레이(40)에 옮겨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레일(21)을 따라 전후진함과 더불어 진동모터(1)를 취출하기 위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이징 처리부(30)는 작업용 트레이(40)의 진동모터(1)가 트레이 이송장치(41)를 통해 이송된 상태에서 진동모터(1)에 전원 3V를 인가해서 3분 동안 에이징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는 상기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을 통해 다수의 진동모터(1)를 파레트(11)에 고정한 상태로 작업위치에 공급하고, 이렇게 공급된 진동모터(1)를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를 통해 작업용 트레이(40)로 옮겨 고정하며, 상기 작업용 트레이(40)가 에이징 처리부(30)로 이송되어 에이징 처리부(30) 내부에서 진동모터(1)의 마감처리를 한 후,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41)에 의해 작업용 트레이(40)가 이송되어지면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를 이용하여 에이징처리가 끝난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상기 작업레일(21)을 통해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50)에 옮겨 놓는다.
여기서, 상기 에이징장치를 구성하는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은 파레트(11)와 이송 레일(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레트(11)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에 조립된 진동모터(1)가 삽입고정되며, 이러한 상태로 상기 파레트(11)가 이송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작업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이징장치를 구성하는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를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는 조립된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옮겨주는 것으로,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가 작업레일(21)을 따라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파레트(11)의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작업용 트레이(40)에 옮겨 고정 할 수 있으며, 상기 파레트(11)의 진동모터(1)를 취출하거나 상기 작업용 트레이(40)에 진동모터(1)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는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1)에 에이징 처리를 하는 에이징 처리부(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진동모터(1)를 수용하는 작업용 트레이(40)가 하부의 트레이 이송장치(41)에 의해 상기 에이징 처리부(30)로 공급되고, 상기 에이징 처리부(30)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모터(1)에 전원 3V를 인가해서 3분 동안 에이징 처리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7을 참조로 상기 에이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전 공정에서 조립된 진동모터(1)가 파레트(11)에 의해 이송 레일(12)을 따라 공급되고, 상기 파레트(11)가 작업위치에 멈추면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가 작업레일(21)을 따라 움직이면서 하강하여 진동모터(1)를 취출하며,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가 후진하여 후방의 작업용 트레이(40)에 상기 진동모터(1)를 고정하고, 상기 작업용 트레이(40)가 트레이 이송장치(41)에 의해 상기 에이징 처리부(30)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진동모터(1)는 에이징 처리부(30)에서 에이징처리된 후,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41)에 의해 작업용 트레이(40)가 이송되어지면 상기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를 이용하여 에이징처리가 끝난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상기 작업레일(21)을 통해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50)에 옮겨 놓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에이징장치에 의해 진동모터(1)가 자동으로 에이징처리됨으로써 진동모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에이징 공정을 통하여 진 동모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장치의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장치의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장치의 에이징 처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동모터 10 :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
11 : 파레트 12 : 이송 레일
20 :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 21 : 작업레일
30 : 에이징 처리부 40 : 작업용 트레이
41 : 트레이 이송장치 50 :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

Claims (1)

  1. 조립된 다수의 진동모터(1)를 고정하는 파레트(11)와 이 파레트(11)를 작업위치에 이동시키는 이송 레일(12)로 이루어진 진동모터 조립체 이송수단(10)과,
    상기 파레트(11)의 진동모터(1)를 취출하여 작업용 트레이(40)에 옮겨 고정할 수 있도록 작업레일(21)을 따라 전후진함과 더불어 진동모터(1)를 취출하기 위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모터 이송용 지그(20)와,
    상기 작업용 트레이(40)의 진동모터(1)가 트레이 이송장치(41)를 통해 이송된 상태에서 진동모터(1)에 전원 3V를 인가해서 3분 동안 에이징 처리하는 에이징 처리부(30) 및,
    상기 에이징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진동모터(1) 완제품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모터 이송용 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2020080004081U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200447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81U KR200447767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CNU200920008972XU CN201369638Y (zh) 2008-03-28 2009-03-27 手机用振动马达的老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81U KR200447767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46U KR20090009946U (ko) 2009-10-01
KR200447767Y1 true KR200447767Y1 (ko) 2010-02-19

Family

ID=4148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081U KR200447767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7767Y1 (ko)
CN (1) CN201369638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148B1 (ko) * 2018-09-10 2019-11-27 주식회사 웰큐즈 제빵트레이의 클리닝장치
KR20220089967A (ko) 2020-12-22 2022-06-29 김효중 회전 공유형 화장지 보관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989A (ja)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H11214894A (ja) 1998-01-29 1999-08-06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453735B1 (ko) 2002-06-05 2004-10-20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KR20050052387A (ko) * 2003-11-28 2005-06-02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동모터, 전동모터의 제조방법, 및 전동모터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989A (ja)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H11214894A (ja) 1998-01-29 1999-08-06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453735B1 (ko) 2002-06-05 2004-10-20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자동 실링장치
KR20050052387A (ko) * 2003-11-28 2005-06-02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동모터, 전동모터의 제조방법, 및 전동모터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369638Y (zh) 2009-12-23
KR20090009946U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47C (zh) 自起动无刷电动机
JP2005012987A (ja) 振動モータ
EP1453183A3 (en) Brush holder arrangement of dc motor
JP2008160973A (ja) ロータ及び回転電機
KR200447767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200449073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로딩 및 부착장치
KR200446772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로터 서브 아세이 로딩장치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0446773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상부케이스 로딩 및 로터 서브 아세이조립장치
KR200446771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KR200446769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서브 아세이 로딩장치
CN1316815A (zh) 非圆形扁平电机及其制造方法
KR200446770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본딩장치
KR200449072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및 플렉시블 기판 서브아세이 로딩장치
JP2010200513A (ja) 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30077934A (ko) 코인타입 진동모터
JP2006304491A (j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
KR100957525B1 (ko) 반도체 및 평기판 회전장비용 전원장치
JP2005295789A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用のステータユニット、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用のステ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ータユニットを備える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CN1494197A (zh) 内装驱动电路构件的轴向空隙型无刷电动机
KR102371381B1 (ko) 브러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20110042547A1 (en) Terminal for vibration motor
KR20040093385A (ko) 편평형 모터의 전기자 구조
JP2005253164A (ja) モータ
TW407391B (en) DC fan motor sta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