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71Y1 -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71Y1
KR200446771Y1 KR20080004078U KR20080004078U KR200446771Y1 KR 200446771 Y1 KR200446771 Y1 KR 200446771Y1 KR 20080004078 U KR20080004078 U KR 20080004078U KR 20080004078 U KR20080004078 U KR 20080004078U KR 200446771 Y1 KR200446771 Y1 KR 200446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vibration motor
assembl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4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943U (ko
Inventor
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20080004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71Y1/ko
Priority to CNU2009200095951U priority patent/CN201369664Y/zh
Publication of KR20090009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마그네트 착자장치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된 원판형의 요크 및 이 요크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취출함과 동시에 요크의 고정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로 이루어진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와,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의 요크에 고정된 마그네트 조립체의 마그네트와 접촉되어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마그네트 자화부 및,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에서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진동모터 조립시 수작업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Figure R2020080004078
휴대폰, 진동모터, 마그네트, 착자장치

Description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A magnetize unit of a vibration motor}
본 고안은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케이스에 조립된 마그네트에 자동으로 자성을 주입함으로써 진동모터 제작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다양한 착신신호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이나 문자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들에게 메시지의 착신을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휴대폰에 탑재되는 착신신호장치로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 등이 있는데,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그 진동원으로 다양한 타입의 진동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터는 휴대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대량생산하여 사용되고 있고, 상기 휴대폰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진동모터의 소형화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기 진동모터의 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모터(100)는 저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01)와, 이 상부케이스(101)의 개구측에 외주연이 끼워 결합하고 그 상면에 플렉시블 기판(FPCB)(102)이 올려지면 플렉시블 기판(102) 위에 마그네트(103)를 접착시키는 접시형의 하부케이스(104)와, 상기 상부케이스(101)와 하부케이스(104)의 중앙에 압입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와셔가 끼워지는 샤프트(107)와, 이 샤프트(107)의 중앙부에 끼워지도록 성형된 로터(108)와, 이 로터(108)에 인서트 사출된 3상 코일(109)들과, 이 코일(109)들의 안쪽 중앙부에 마련된 정류자(110)와, 이 정류자(110)와 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상면에 탄설하는 브러시(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03)는 N극과 S극이 반복되도록 착자되어 상기 코일(109)에 일정 전압이 유기되면 마그네트(103)와의 사이에 자속이 발생하여 상기 로터(108)가 회전을 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진동모터(100)를 생산하기 위한 제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하부케이스(104)에 압입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107)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샤프트(107)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102)을 고정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04)의 본딩을 한 후 상기 마그네트(103)를 공급하여 접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103)를 착자한 다음 상기 샤프트(107)에 와셔를 조립하며, 상기 샤프트(107)에 로터(108)를 조립한 다음, 상기 부품들이 조립된 하부케이스(104)에 상부케이스(101)를 조립한 후 에이징(ag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진동모터(100)를 제작하는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모터(100)의 조립시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고, 생산된 진동모터(100) 중에 불량품이 많이 생기게 되어 제품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진동모터 조립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부케이스에 조립된 마그네트에 자동으로 자성을 주입함으로써 진동모터 제작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된 원판형의 요크 및 이 요크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취출함과 동시에 요크의 고정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로 이루어진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와,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의 요크에 고정된 마그네트 조립체의 마그네트와 접촉되어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마그네트 자화부 및, 이 마그네트 자화부에서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의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를 통해 마그네트 조립체를 공급받는 위치와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에서 마그네트가 자화되는 위치를 왕복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요크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는 쌍으로 이루어져 일측의 지그로 공급되 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취출하여 상기 요크로 이동시키고, 상기 요크에 고정된 마그네트의 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타측의 지그가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를 취출하여 작업용 파레트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에 의하면, 자동으로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진동모터 조립시 수작업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폰에 설치되는 진동모터의 조립장치로서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마그네트 착자장치를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는 크게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 또는 이송하는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와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마그네트 자화부(20)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는 요크(11)와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 및,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 체(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의 요크(11)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고정홀(11a)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의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는 상기 요크(11)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하며, 이와 동시에 마그네트 조립체(1)를 상기 요크(11)의 고정홀(11a)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마그네트 자화부(20)는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의 요크(11)에 고정된 마그네트 조립체(1)의 마그네트와 접촉되어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컨베이어(40)는 자화가 완료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수용하는 작업용 파레트(30)로부터 마그네트 조립체(1)를 공급받아 그 상부의 이송용 파레트(41)로 마그네트 조립체(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이동시키는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와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된 마그네트 조립체(1)의 마그네트에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를 이용하여 자성을 주입한 후 상기 컨베이어(40)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를 구성하는 요크(11)를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요크(11)는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를 통해 마그네트 조립체(1)를 공급받는 위치와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에서 마그네트가 자화되는 위치를 왕복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요크 이송수단(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요크 이송수단(13)이 요크(11)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요크(11)에 고정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의 위치에서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의 위치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요크(11)를 통해 공급되는 하나의 마그네트 조립체(1)에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가 접촉되어 마그네트 조립체(1)의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레일(21)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고,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1)가 공급되면 하강하여 마그네트 조립체(1)의 마그네트와 접촉됨으로써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한 후 다시 상승하여 다음 마그네트 조립체(1)의 공급을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는 쌍으로 이루어져 일측의 지그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하여 상기 요크(11)로 이동시키고, 상기 요크(11)에 고정된 마그네트의 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타측의 지그가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하여 작업용 파레트(30)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는 작업용 레일(12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1)의 취출 및 고정을 위하여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요크(11)는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와 마그네트 자화부(20) 사이를 왕복하게 되며,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는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기 위하여 승하강되고,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를 통해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용 파레트(30)에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상기 컨베이어(40)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진동모터의 마그네트를 자동으로 자화시킴과 아울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진동모터 생산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정확한 자동조립을 통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함으로써 진동모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를 나타낸 전체배치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마그네트 자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착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그네트 조립체 10 :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
11 : 요크 11a : 고정홀
12 :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 12a : 작업용 레일
13 : 요크 이송수단 20 : 마그네트 자화부
21 : 지지레일 30 : 작업용 파레트
40 : 컨베이어 41 : 이송용 파레트

Claims (3)

  1.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고정홀(11a)이 형성된 원판형의 요크(11) 및 이 요크(11)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함과 동시에 요크(11)의 고정홀(11a)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로 이루어진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와,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의 요크(11)에 고정된 마그네트 조립체(1)의 마그네트와 접촉되어 마그네트에 자성을 주입하는 마그네트 자화부(20) 및,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에서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아세이 로딩부(10)의 요크(11)는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를 통해 마그네트 조립체(1)를 공급받는 위치와 상기 마그네트 자화부(20)에서 마그네트가 자화되는 위치를 왕복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요크 이송수단(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이송용 지그(12)는 쌍으로 이루어져 일측의 지그로 공급되는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하여 상기 요크(11)로 이동시키고, 상기 요크(11)에 고정된 마그네트의 자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타측의 지그가 자화된 마그네트 조립체(1)를 취출하여 작업용 파레트(3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KR20080004078U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KR200446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078U KR200446771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CNU2009200095951U CN201369664Y (zh) 2008-03-28 2009-03-26 手机用振动马达的磁铁着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078U KR200446771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43U KR20090009943U (ko) 2009-10-01
KR200446771Y1 true KR200446771Y1 (ko) 2009-12-03

Family

ID=4148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4078U KR200446771Y1 (ko) 2008-03-28 2008-03-28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6771Y1 (ko)
CN (1) CN201369664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21B1 (ko) 2011-07-28 2013-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의 동심조립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741B (zh) * 2012-08-28 2015-07-29 湘潭电机股份有限公司 电机装配的总装线
CN109167493B (zh) * 2016-11-22 2019-10-15 东莞理工学院 一种能够精准充磁的定子磁瓦组装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352A (ja) * 1995-03-01 1996-09-13 Mitsubishi Materials Corp 異方性磁石の脱磁方法および脱磁装置
KR20020003927A (ko) * 2000-06-27 2002-01-16 김종욱 영구자석의 자동 다극 착자장치
JP2003070215A (ja) 2001-08-28 2003-03-07 Sanyo Mach Works Ltd ロータ着磁治具
JP2005137050A (ja) 2003-10-28 2005-05-26 Aisin Aw Co Ltd 着磁装置及び着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352A (ja) * 1995-03-01 1996-09-13 Mitsubishi Materials Corp 異方性磁石の脱磁方法および脱磁装置
KR20020003927A (ko) * 2000-06-27 2002-01-16 김종욱 영구자석의 자동 다극 착자장치
JP2003070215A (ja) 2001-08-28 2003-03-07 Sanyo Mach Works Ltd ロータ着磁治具
JP2005137050A (ja) 2003-10-28 2005-05-26 Aisin Aw Co Ltd 着磁装置及び着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21B1 (ko) 2011-07-28 2013-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의 동심조립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43U (ko) 2009-10-01
CN201369664Y (zh)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4886B (en) Assembling apparatus for motor having permanently magnetized field magnets
CN1077347C (zh) 自起动无刷电动机
KR101157985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200446771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착자장치
CN1747292A (zh) 振动电机和应用此振动电机的便携式终端设备
WO2021000074A1 (zh) 一种振动马达
KR100898017B1 (ko) 리니어 진동 디바이스
KR200449073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로딩 및 부착장치
KR200446772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로터 서브 아세이 로딩장치
KR200446773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상부케이스 로딩 및 로터 서브 아세이조립장치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0446769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서브 아세이 로딩장치
KR200447767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에이징장치
KR200449072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및 플렉시블 기판 서브아세이 로딩장치
KR200446770Y1 (ko) 휴대폰용 진동모터의 본딩장치
JP2010200513A (ja) 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6020379A (ja) 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038939B (zh) 一种永磁交流扁平振动马达及使用方法
US20160233745A1 (en) Motor magnetic component structure and fan motor device thereof
KR20090014521A (ko) 바형 진동 모터와 기판의 설치 구조
JPH0661039A (ja) 磁石取り付け治具
KR200190405Y1 (ko)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KR101340973B1 (ko) 음향변환장치
JP2014121663A (ja) 共振装置、振動装置およびベル鳴動装置
KR101101536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