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589B1 -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589B1
KR102334589B1 KR1020190141402A KR20190141402A KR102334589B1 KR 102334589 B1 KR102334589 B1 KR 102334589B1 KR 1020190141402 A KR1020190141402 A KR 1020190141402A KR 20190141402 A KR20190141402 A KR 20190141402A KR 102334589 B1 KR102334589 B1 KR 10233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ot
pss
ethylenedioxythiophene
poly
emi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818A (ko
Inventor
김인선
임성택
염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리스
Priority to KR102019014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4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foil, film, plating coating, electro-deposition, vapour-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기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안정적인 EMI 차폐 성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Flexible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기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안정적인 EMI 차폐 성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나노 기술, 정보 기술 및 디스플레이 기술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로 접어 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성을 가진 모바일 정보전자 기기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시대를 실현하는 정보화 기기로써 변형이 자유로우며, 유연하고 가벼우며 휴대가 간편한 플렉시블 정보전자 기기의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편, 정보전자기기는 기본적으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에 대한 차폐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금속층을 이용한 전자파(EMI) 차폐재가 공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는, 스퍼터링이나 증착, 도금에 의해 1~8㎛의 막 두께를 갖는 금속막을 1층 또는 2층 이상 형성한 구성의 전자파 실드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진공 도금법을 이용해 ABS나 PC계의 폴리머 알로이 상의 제1층에 Cu(막 두께0.3~3㎛)를 형성하고, 제2층에 Sn-Cr 또는 Sn-Ni(막 두께0.1~3㎛)를 형성한 구성의 전자파 실드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3에는, 10~60wt%의 복합 금속 산화물 수화물과 40~90wt%의 바인더로 하지층을 형성하고, 하지층의 표면에 Cu및/또는 Ni를 무전해 도금함으로써 형성한 구성의 전자파 실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는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파 차폐재에 관한 것으로서, 반복적인 굴곡/슬라이딩이 일어난 경우에도 장기간의 전자 실드 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파 차폐재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전자파 차폐재는 제1금속층 및 제2금속층이 적층됨과 더불어, 제1금속층과 제2금속층(22)의 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도전성 접착제층을 구비함으로써, 제1금속층, 제1도전성 접착제층, 제2금속층, 제2도전성 접착제층의 4층이 상기 배치 순서로 적층된다. 또한, 전자파 차폐재는 제1도전성 접착제층(11)과 제1금속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체를 보호하기 위해 제1이형시트 및 제2이형시트에 의해 표면이 각각 덮여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금속층의 층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층이 위치함으로써, 금속층끼리가 도전성 접착제층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에 의해 서로 도통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전자파 실드재는 전기적으로 일체화된 복수의 금속층의 도전성에 의해 전자 실드 효과를 갖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큰 굽힘 반경에서 작은 굽힘 반경(1.0mm등)이 이르는 반복적인 굴곡/슬라이딩 동작이 전자파 실드재에 대해 일어난 경우, 응력의 변화에 의한 금속 피로 등에 의해 금속층이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금속층에서 같은 부분에 파괴가 일어날 확률은 낮다. 또한, 금속층의 층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층이 존재함으로써 금속층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금속층이 파괴됐을 때 전자파 실드재의 두께 방향이되는 층 방향으로 파괴가 진행되는 것을 도전성 접착제층을 통해 저지하여, 인접하는 금속층에의 파괴의 영향을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모든 금속층에서 같은 부분에 파괴가 일어날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특허문헌 4는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을 구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4의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은 넓은 범위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전자파 차폐 능력을 보유하지 못하고, 또한, 다수의 굽힘이 발생하는 경우 차폐재 전체면적에서 균일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특허문헌 4는 4개의 복합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약 20마이크로미터 정도로 다소 두껍게 구현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제조공정에서 4개의 복합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복잡함이 있고,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UV경화를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특허문헌1: 일본특개 2004-128158호
(특허문헌 0002) 특허문헌2: 일본특개 2003-112389호
(특허문헌 0003) 특허문헌3: 일본특개 평09-135097호
(특허문헌 0004) 특허문헌4: 한국등록특허 10-1607552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통신기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안정적인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위에 적층되는 제1EMI차폐층; 및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적층되는 제2EMI차폐층;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차폐층은 Ag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파 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1 내지 10 중량%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 80 내지 98중량%의 유기용매, 1 내지 10 중량%의 강자성 금속분말, 0.1 내지 10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UV경화되기 전에,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의 50% 내지 100%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100n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기재 위에 제1EMI차폐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제2EMI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차폐층은 Ag를 포함하고, 상기 제2EMI 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은, 다수의 벤딩이 이루어지더라도 안정적인 EMI 차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은 기존의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과 비교시 간단한 층구조를 가지고 동시에 얇은 두께를 가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은 얇은 전자파차폐층으로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EMI 차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EMI차폐층의 입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차폐필름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차폐 성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차폐필름의 벤딩 후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차폐 성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전체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 위에 적층되는 제1EMI차폐층;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적층되는 제2EMI차폐층; 상기 제2EMI차폐층 위에 적층되는 점착증; 및 상기 점착증 위에 적측되는 라이너층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에서 라이너층을 제거한 후에, 상기 점착층을 EMI차폐를 수행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혹은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EMI차폐층을 전자기기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재의 재질은 다양한 형태의 재질이 가능하다.
상기 제1EMI차폐층은 0.001 내지 0.30 ohm/sq의 표면저항,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ohm/sq의 표면저항을 갖는 금속박막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EMI차폐층은 0.001 내지 0.30 ohm/sq의 표면저항,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ohm/sq의 표면저항을 갖는 금속박막으로서 Ag(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EMI차폐층과 제2차폐층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넓은 범위의 주파수대역에서 EMI차폐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2EMI차폐층은 후술하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UV경화를 이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의 용이성을 도모하면서 동시에 본 발명의 특유의 구성으로써 UV 바인더 매트릭스 상에서 PEDOT:PSS 입자와 강자성 금속입자가 균질하게 분포하는 형태로 제2EMI차폐층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분산액을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도포한 후에, UV경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EMI차폐층을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견고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입자배치 상태에 대서는 도 4가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2EMI차폐층 및 제1EMI차폐층의 구조는 넓은 대역에서 EMI차폐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5G의 높은 주파수의 통신환경에서의 우수한 EMI차폐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EMI차폐층 및 제2EMI차폐층의 내부 입자들이 다수의 벤딩에 의하여 내부 구조에 일부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세부 입자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EMI차폐층은 UV경화를 이용함으로써 500nm 내지 3㎛로 두께로 형성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양호한 플렉서블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벤딩이 되더라도 제1EMI차폐층, 제2EMI차폐층의 Ag, 강자성 금속입자, PEDOT:PSS 금속입자가 상호 연결되어 EMI차폐성능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되고, 이하에서는 PEDOT/PSS 분산액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1 내지 10 중량%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 80 내지 98중량%의 유기용매, 1 내지 10 중량%의 강자성 금속분말, 0.1 내지 10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광개시제는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100g 당 0.03g 내지 0.5g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에 포함된 UV경화성 바인더는 올리고머 바인더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romatic Acrylate Oligomer) 바인더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UV경화성 바인더는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UV경화성 바인더는 분산액 전체 중량의 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UV경화성 바인더가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PEDOT:PSS 및 강자성체의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는 바인더 매트릭스를 구현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높은 점도에 의하여 제조공정이 어려워지고, 강자성체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PEDOT/PSS 분말의 용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분산보조제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보조제는 상기 고체분말 형태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분산을 보조하기 위한 제1 분산보조제; 및 상기 분산액이 코팅되는 경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2 분산보조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분산보조제는 전술한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분산보조제는 아민류(Amine류), 아크릴레이트류(Acrylate류), 및 폴리올류(Polyol류)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산보조제는 카보네이트(carbonate),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테트라메틸렌글리콜(tetrameth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아세톤니트릴(acetonitril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시안화물(ethylene cyanide), 포름산(formic acid),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2,6-디플루오르피리딘(2,6-difluoropyridine), 포름아미드(formamide), 및 N-메틸포름아미드(N-methylformamide) 중 1 이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산보조제는 Tertiary amine계 첨가제를 포함하고, 제2분산보조제는 carbonate계 첨가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아마이드류 용매, 니트로메탄, 케톤류 용매, 알코올류 용매, 아세테이트류 용매, 방향족 용매, 글리콜에테르류 용매, 아크릴레이트 단분자류 용매, 아미드류 용매,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Acrylate oligomer), 우레탄아크릴레이트폴리머(Urethane acrylate polymer)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니트로메탄(Nitromethane), 메틸에틸케톤 (MEK(Methyl ethyl keton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 n-부틸 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톨루엔(Toluene), PGM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HEMA(Hydroxyethyl methacrylate), HEA(Hydroxyethy acrylate),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 amide(DMF)) 중 하나 또는 상기 유기 용매의 혼합용매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PGM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를 이용할 수 있다. PGME의 경우, 보다 균질하게 강자성 금속분말과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유기용매의 선택에 불구하고, PEDOT/PSS 분말물질의 성질상, 완전하게 유기용매에 용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술하는 전단믹서와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교반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외부에서 강한 자기장을 걸어주었을 때 그 자기장의 방향으로 강하게 자화된 뒤 외부 자기장이 사라져도 자화가 남아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분말로서, Fe3O4, Co, Fe2O3, Fe3O4, FeOFe2O3, NiOFe2O3, CuOFe2O3, MgOFe2O3, MnBi, Ni, MnSb, MnOFe2O3, Y3Fe5O12, CrO2, MnAs, Gd, Dy, EuO의 나노파티클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 (Fe3O4)를 포함한다.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의 50% 내지 100%의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함량에서 최적의 강자성을 발휘하고, 이에 따라 우수한 EMI차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만약, 아크릴바인더 중량의 50% 미만인 경우에는 강자성을 발현하기 어렵고, 아크릴바인더 중량의 100% 이상인 경우에는 벤딩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100nm이다. 이와 같이 강자성 금속분말이 나노파티클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EMI차폐층에 구부림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의 전도성 입자들이 연결됨으로써 균질한 EMI차폐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은 티오펜(thiophene)의 구조에 에틸렌디옥시(ethylenedioxy) 그룹을 고리의 형태로 갖고 있으며, 공기나 열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3, 4번 위치에 치환되어 있는 에틸렌디옥시기에 의한 전자공여 효과에 의하여 티오펜보다 낮은 optical 밴드 갭(760nm 내지 780nm 또는 1.6eV 내지 1.7eV)을 갖고 있고, 산화/환원의 전위차에 따라 변색이 가능하며 산화상태에서 흡수 밴드가 적외선 영역에 존재하여 투명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PEDOT/PSS는 고체분말 형태인 것으로, 벨기에의 AGFA사에서 제공하는 pallet(상품명 Orgacon Dry)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UV경화되기 전에,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과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UV 바인더가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0에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첨가제,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바인더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S200에서는 강자성 금속분말을 상기 바인더 용액에 혼합하여 교반을 수행한다.
단계 S300에서는 상기 바인더용액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을 수행한다.
단계 S400에서는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이 혼합된 상기 바인더용액에 대해 고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여 제2 혼합액을 제조하는 고전단믹서단계를 수행한다.
고전단믹서의 일예로서 높은 회전력 등을 이용하여 높은 전단력을 발생시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구성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전단믹서는 공동화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을 보다 보다 균질하게 하여 제2 혼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액에 대하여 상기 고전단믹서는 약 6,000rpm 이상의 회전속도로 1시간 이상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한다. 이때 혼합액의 온도가 10℃를 유지하도록 냉각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400에서는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이 혼합된 상기 바인더용매에 대해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밀은 나노 분산이 가능한 비드밀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비드밀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2 혼합액은 비드에 의하여 보다 균질해지고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비드밀의 일예로서 습식 분산 및 습식 분쇄에 있어서 효율적인 비드, 예를들어 지르코니아 함유비드를 이용하여 대상분체에 대해 충격력을 가함으로써 분쇄 및 분산을 가하고, 따라서 이와 같은 비드밀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2 혼합액은 비드에 의하여 보다 균질해지고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는 그 입경이 50㎛ 내지 200㎛임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20㎛ 범위의 입경을 가지는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밀의 회전체 회전 속도는 주파수 30 내지 60Hz정도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분산액은 10℃ 이하의 냉장 보관 장치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실온 20℃ 이상의 온도에서 장기간 보관 될 경우 PEDOT/PSS의 분산체가 응집현상을 보여, 전도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부호 121로 표시한 부분은 유기용매, 첨가제, UV바인더를 포함하는 용매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2로 표시한 부분은 강자성 금속분말 입자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3으로 표시한 부분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입자에 해당한다.
도 3의 (A)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이 없이,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유기용매, 강자성 금속분말이 혼합된 형태에서 전단믹서 및 비드밀 등으로 교반된 상태에 해당한다. 강자성 금속분말은 서로 응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교반을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바닥에 침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분산액은 UV경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강자성 입자가 균질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국부 영역에서의 EMI차폐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도 3의 (B)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유기용매, 강자성 금속분말이 혼합된 형태에서 전단믹서 및 비드밀 등으로 교반된 상태에 해당한다. 강자성 금속분말은 서로 응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PEDOT:PSS 입자에 결합되어, 균질하게 분포된다. 특히 PEDOT:PSS 는 낮은 비중을 가지고 있기 ‹š문에, 유기용매에서 부유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자성 금속분말 입자가 응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액 상태에서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 분말의 입자가 균질하게 분산되게 되고, 이는 보다 영역적으로 균질한 EMI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EMI차폐층의 입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부호 124로 표시한 부분은 UV바인더에 의하여 형성되는 매트릭스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2로 표시한 부분은 강자성 금속분말 입자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3으로 표시한 부분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입자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EMI차폐층은 UV바인더 물질의 매트릭스 상에서 강자성 분말의 입자 및 PEDOT:PSS 분말의 입자가 서로 비정형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UV경화 아크릴 바인더는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 입자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 분말의 입자들이 균질하게 분포하되, 서로 연결된 구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제2EMI차폐층의 구조에서는 복수의 벤딩이 이루어져서 UV 바인더 매트릭스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강자성금속분말 및 PEDOT:PSS 분말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EMI차폐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EMI차폐층 하부에 Ag를 포함하는 제1EMI차폐층이 구비되어 있고, 제2EMI차폐층의 전도성의 강자성금속분말 및 PEDOT:PSS 분말의 입자가 Ag 입자와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서로 다른 분말을 통하여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EMI 차폐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복수의 벤딩이 이루어지더라도, 전체적으로 입자들 사이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EMI차폐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차폐필름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차폐 성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A.PEDOT:PSS + 금속입자 + 경화형 binder를 포함하는 분산액 제조
1.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바인더는 Sartomer 제품 CN9013 : CN975 = 1:1 혼합물로 17.14g
2. Carbonate 계 첨가제 17.14g
3.Tertiary amine 계 첨가제 4.29g
4.1, 2, 3의 물질과 용매[PGME=Propylene glycol methyl ether=1-methoxy-2-propanol] 1140g을 혼합하고 mechanical stirrer 로 상온, 상압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완전 용해.
5.4의 혼합물에 교반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Fe3O4(금속 입자) [입자 크기 30nm] 17.14g을 혼합하고 추가 교반 1hr 진행
6.5의 혼합물에 PEDOT:PSS 고체 분말(수분함량 <1wt%) 4.29g을 혼합하고 추가 교반 1hr 진행
7. 6의 혼합물을 냉각 장치가 장착된 교반기로 옮기고 고전단 믹서로 1hr 교반.
8.7의 혼합물을 bead mill 장치로 옮기고 1hr 동안 milling 진행
9.PEDOT:PSS + 금속입자 + 경화형 binder 혼합물 100g에 광개시제 Irgacure 500 0.1g Irgacure OXE-01 0.05g을 투입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최종 코팅액 수득.
상기 1 내지 9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분산액은 3주가 지난 후에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B.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의 제조
1.기재로서 PET 125㎛의 표면에 0.05 ohm/sq의 표면 저항을 가지는 Ag 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
2.1의 기재상에 상기 분산액을 Meyer bar coating 기법으로 25㎛(wet thickness)가 되도록 코팅
3.2의 결과물을 convection oven/90℃에서 2분간 열처리
4.3의 결과물을 400mJ/cm2의 광량을 가지는 자외선 조사기에서 4mpm(meter per minute)의 속도로 경화
C.플렉서블 EMI 차폐필름의 특성
1.본 발명의 코팅액을 코팅한 후에도 Ag 박막의 표면 저항인 0.02ohm/sq의 값이 변화하지 않음
2.표면 저항 측정법 : 4-point probe 방식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사의 Loresta-GS, MCP-T700 모델]
3.본 발명에 의한 코팅막(Ag 제외한 제2EMI차폐필름)의 두께는 500nm 미만에 해당함.
D.주파수 대역에서의 EMI차폐능력
1.EMI 차폐 성능 : 200MHz ~ 1GHz의 범위에서 측정
2.측정법 : Rhode & Schwartz사의 Shield Effectiveness Test System. 주파수 분해능 0.1MHz, ASTM D4395-1에 규정한 방법 준수. 측정 안정도 <1dB]
E.실험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ET/Ag/Metal Oxide + PEDOT:PSS 로 표시된 그래프의 경우 전체적인 주파수범위에서 높은 EMI 차폐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ET/Ag/Metal Oxide + PEDOT:PSS 로 표시된 그래프의 경우 특히 1Ghz 이상의 영역에서 높은 EMI 차폐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높은 주파수대역을 요구하는 5G 통신 환경에서 안정적인 EMI차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반면, PET 및 제1EMI차폐층으로 구성된 비교예인 PET/Ag로 표시된 그래프의 경우 일부 주파수 영역(약 620 ~ 750Mhz) 에서는 약간 높은 EMI차폐능을 보여주었지만,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대역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PET/Ag/Metal Oxide + PEDOT:PSS 보다 낮은 EMI 차폐성능을 보여주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EMI차폐필름의 벤딩 후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차폐 성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실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PET/Ag/(Ferrite+PEDOT:PSS+UV binder)의 구조를 가지는 필름에 대하여 반지름 3mm하에서 sliding bending test 1000회 시행하고 200MHz ~ 1GHz 대역에서 차폐율을 측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000회의 밴딩이 이루어지더라도 EMI차폐율이 66~70dB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5의 PET/Ag 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EMI 차폐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측정결과에 대한 변동성이 매우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의 제2EMI차폐층은 금속입자로도 일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나, Fe3O4(Ferrite)와 같은 강자성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보다 나은 EMI차폐성능을 발휘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1EMI차폐층은 극도의 저저항(0.001ohm/sq 내지 0.4ohm/sq, 바람직하게는 0.02ohm/sq)을 보이는 Ag 박막에 해당하고, 제1EMI차폐층과 제2EMI차폐층이 조합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EMI차폐성능 및 벤딩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원 발명에 따른 EMI차폐필름은 전술한 특허문헌 4의 제품(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 제품)과 비교시, 보다 간단한 층구조를 가지고, 또한 두께에 있어서도 일본 제품(특허문헌 4) 보다 얇은 형태를 가지면서,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보다 높은 EMI차폐성능을 가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기재;
    상기 기재 위에 적층되는 제1EMI차폐층; 및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적층되는 제2EMI차폐층;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차폐층은 0.001 내지 0.30 ohm/sq의 표면저항을 갖는 금속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UV경화성 바인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차폐층은 Ag를 포함하고,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1 내지 10 중량%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 80 내지 98중량%의 유기용매, 1 내지 10 중량%의 강자성 금속분말, 0.1 내지 10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고,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UV경화되기 전에,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고정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의 50% 내지 100%의 중량을 가지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은 산화철(II, III)를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100nm인, 전자파 차폐용 필름.
  6. 전자파 차폐용 필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기재 위에 제1EMI차폐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EMI차폐층 위에 제2EMI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차폐층은 Ag를 포함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이 UV경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강자성 금속분말를 포함하고,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1 내지 10 중량%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 1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 80 내지 98중량%의 유기용매, 1 내지 10 중량%의 강자성 금속분말, 0.1 내지 10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고,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은 UV경화되기 전에,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되고,
    상기 제2EMI차폐층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분산액의 자외선경화형 아크릴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강자성 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고정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90141402A 2019-11-07 2019-11-07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KR10233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02A KR102334589B1 (ko) 2019-11-07 2019-11-07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02A KR102334589B1 (ko) 2019-11-07 2019-11-07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818A KR20210055818A (ko) 2021-05-18
KR102334589B1 true KR102334589B1 (ko) 2021-12-07

Family

ID=7615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02A KR102334589B1 (ko) 2019-11-07 2019-11-07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5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5038A (ja) * 2015-05-27 2016-12-28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導電積層体、導電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電磁波シール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351A (ko) * 2017-01-17 2018-07-25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 기반 광대역 전자파 차폐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5038A (ja) * 2015-05-27 2016-12-28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導電積層体、導電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電磁波シールド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818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665B1 (ko) 복합 유전체 재료
CN106928784A (zh) 透明抗静电膜
CN104637570A (zh) 柔性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
CN1653559A (zh) 导电墨水
JP2009059753A (ja) 難燃化ノイズ抑制シート
KR20080082912A (ko) 흑색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용 필터 및 표시 장치
JP6019744B2 (ja) 磁性体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磁性体成形体
CN104485156B (zh) 折射率匹配膜、折射率匹配膜的制作方法及触摸屏
TW201929002A (zh) 複合磁性粉末、磁性樹脂組成物、磁性樹脂糊劑、磁性樹脂粉末、磁性樹脂漿料、磁性樹脂片材、附金屬箔磁性樹脂片材、磁性預浸體及電感零件
KR102063665B1 (ko) 플렉서블 투명전도성 전극구조체
JP2017043749A (ja) 軟磁性粉末組成物及び磁性素子の製造方法
KR102334589B1 (ko)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WO2014098036A1 (ja) 導電性ペースト
JP2002201447A (ja) 磁性体含有接着シート及び磁性体含有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163434A (ja) 加飾シート
CN110446397B (zh) 散热屏蔽膜及其应用
JP2014241353A (ja) 帯域選択透明シールドと、帯域選択透明シールド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表示デバイスと、表示機器
JPS6257297A (ja) 透光性電磁波シ−ルド材
KR20150015204A (ko) 금속분말과 혼합되어 자성시트를 형성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자성시트와 상기 금속분말과 혼합되어 자성시트를 형성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자성시트의 제조방법
JP2000101283A (ja) 電磁波吸収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磁波吸収体
TW202130763A (zh) 接著片及電子零件
JP2011054671A (ja) 複合フィルタ
JP5593848B2 (ja) 透明導電材
KR102322649B1 (ko)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JP2004001249A (ja) 導電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