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795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795B1
KR102332795B1 KR1020190005522A KR20190005522A KR102332795B1 KR 102332795 B1 KR102332795 B1 KR 102332795B1 KR 1020190005522 A KR1020190005522 A KR 1020190005522A KR 20190005522 A KR20190005522 A KR 20190005522A KR 102332795 B1 KR102332795 B1 KR 102332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ternal structur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337A (ko
Inventor
다이고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i) 수지 성형된 저면과 (ii) (a) 상기 저면과 일체로 수지 성형되고 (b)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갖는 프레임;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지지할 수 있는 내부 구조체; 및 상기 내부 구조체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내부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저면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상기 측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위치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및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는 내부 구조체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갖는다. 도 9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레임은, 저면 및 측면(104, 105)을 갖는 하측 프레임(A)과, 상면(102) 및 측면(101, 103)을 갖는 상측 프레임(B)을 포함하며, 상측 및 하측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조립된다.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2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A, B)을 나사 체결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조립하여 전체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이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A, B)의 개구부의 근방에, 저면(또는 상면(102))에 평행하게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107, 108)를 제공하고, 테두리부(107, 108)에 나사 구멍(110)을 제공하여, 나사(106)를 고정에 의해 체결한다. 도 9에서 테두리부(107, 108)가 음영처리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테두리부(107, 108)는 어느 정도의 폭을 필요로 하고, 테두리부(107, 108)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가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i) 수지 성형된 저면과 (ii) (a) 상기 저면과 일체로 수지 성형되고 (b)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갖는 프레임;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지지할 수 있는 내부 구조체; 및
상기 내부 구조체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저면에 고정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내부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저면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상기 측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저부에 내부 구조체 및 프레임이 어떻게 고정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체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좌우 방향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의 내부 구조체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후 방향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체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며, 1개의 분리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는 모노크롬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예로서 설명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자. 그러나, 본 발명은 내부 구조체 및 내부 구조체를 수용하는 저면,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을 포함하는 4면형 프레임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가능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적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리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수는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1개 초과(예를 들어 4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및 상기 장치 모두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장치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의 설명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좌우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원에서, 좌우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으로부터 볼 때의 좌우 방향을 지칭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면에 평행하고 도 1의 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는 것에 유의하자. 전후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면에 평행하고 도 1의 시트면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에서, 시트면의 우측 방향이 전방향에 대응하고, 좌측 방향이 후방향에 대응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의 분리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1)를 포함한다. 분리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1)는,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 및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15)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광체인 감광 드럼(1)을 레이저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18)을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인 기록재(S)(예를 들어 종이 시트, 플라스틱 시트, 및 천 조각)에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1)는 흑색 토너를 수용하고 있다. 기록재(S)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의 개구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급지 수단(13)에 의해 전사 롤러(12)와 감광체인 감광 드럼(1) 사이의 닙부에 보내진다. 감광 드럼(1)에는 광학 유닛(18)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현상 유닛(15)에 의해 정전 잠상은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기록재(S)가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12) 사이의 닙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사 롤러(12)는 기록재(S)를 감광 드럼(1)을 향해서 가압한다. 전사 롤러(12)에는 바이어스 전원에 의해 토너가 대전된 극성과 역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이 기록재(S)의 표면에 전사된다. 전사 롤러(12)와 감광 드럼(1) 사이의 닙부의 하류에는 정착 유닛(14)이 제공되고, 토너상을 담지하는 기록재(S)는 정착 유닛(14)을 통과하고, 거기에서 토너는 가열 및 가압되어 용융되며 기록재(S)에 고정된다. 이 동작 단계를 통해, 감광체를 사용해서 모노크롬 프린트 화상이 기록재(S)의 표면에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외장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외장에 대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전방 및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내부 구조체(20)와, 내부 구조체를 수용하는 프레임(30)을 갖는다. 프레임(30)은, 수지 성형된 저면(31)과 저면(31)과 일체로 수지 형성되고 저면(31)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32)을 가지며, 상측에서 개방된다. 프레임(30)은 소위 수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수지 성형된 저면(31)과 저면(31)과 일체로 수지 성형된 측면(32)이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측면(32)은 내부 구조체(20)를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프레임(30)의 상측의 개구 및 내부 구조체(20)의 상면을 덮도록 제공된 상부 커버(35)와, 상부 커버(35)에 회동 중심을 갖는 피봇식 개방가능 커버(36)를 갖는다.
프레임(30)의 측면(32)의 전방 부분에는 급지구(17)가 제공되어 있고, 급지구(17)의 근방에 회동 중심을 갖는 급지 트레이(25)가 거기에 부착된다. 급지 트레이(25)는 기록재(S)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6)를 갖는다.
도 2b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부 커버(35)는 프레임(30)의 측면(32)의 후방 단부와 결합되고, 내부 구조체(20)의 상부에 나사(34)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개방가능 커버(36)는 상부 커버(35)에 회동 중심을 갖도록 부착되고,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개방가능 커버(3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방가능 커버(3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1)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해 삽입/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가능 커버(36)는 상부 커버(35)에 회동 중심을 갖도록 부착되지만, 개방가능 커버(36)는 내부 구조체(20) 또는 프레임(30)에 회동 중심을 갖도록 부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이와 같이, 상부 커버(35) 및 개방가능 커버(36)는 주로 내부 구조체(20)의 상부를 덮기 위한 부재이며, 예시된 종래의 장치의 경우와 같이 하부 프레임과 조합될 때 장치 전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커버(35) 및 개방가능 커버(36)는 간단한 평면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크기 및 비용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시된 종래의 장치에 비해 유리하다.
프레임과 내부 구조체 사이의 결합
이제,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를 고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저부에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를 전방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프레임(30)은 저면(31)의 근방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내부 구조체(20)를 프레임(30)의 저면(31)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40)를 갖는다. 내부 구조체(20)의 저면(21)에는 프레임(30)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보스(201)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30)의 저면(31)에는 위치결정 보스(201)를 삽입하기 위한 위치결정 보스 구멍(301)이 형성된다. 내부 구조체(20)의 저면(21)이 프레임(30)의 저면(31)에 의해 지지되도록 내부 구조체(20) 및 프레임(30)을 조립할 때에, 내부 구조체(20)의 위치결정 보스(201)와 프레임(30)의 위치결정 보스 구멍(301)이 서로 결합된다. 나사(40)에 의해 프레임(30)의 저면(31)과 내부 구조체(20)의 저면(21)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의 저부에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이 고정된다.
이제,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에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결합에 대해서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를 전후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좌측면에서의 제1 규제부(401) 근방의 B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면에서의 제2 규제부(402) 근방의 C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d는 도 4b에 나타낸 AA 단면을 따라 취한 제1 규제부(40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c에 나타낸 BB 단면을 따라 취한 제2 규제부(40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의 좌우 측면 근방에서 서로 결합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면(31)에 대하여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의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복수의 규제부인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0)은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를 갖는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저면(31)에 평행한 방향의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한 커질 수 있도록, 프레임(30)의 측면(32) 중 좌우 측면 근방에 제공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1은 제1 규제부(401) 또는 제2 규제부(402)의 위치와 프레임(30)의 저면(31)의 위치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며, D2는 제1 규제부(401) 또는 제2 규제부(402)의 위치와 프레임(30)의 측면(32)의 상단(33)의 위치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거리(D2)가 거리(D1)보다 작아지도록 제공된다. 여기에서는 저면, 상단, 및 규제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했지만, 저면의 반대 측의 측면 단부로부터 각 규제부까지의 거리는 저면으로부터 규제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면 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상하 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이란, 프레임(30)의 저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는 것에 유의하자.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시트면의 상하 방향은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시트면의 좌우 방향은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며, 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은 프레임(30)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도 4d 및 도 4e에서는, 시트면의 상하 방향은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시트면의 좌우 방향은 프레임(30)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며, 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은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도 4a에서, 최외측 U자 형상 프레임 부재는 프레임(30)이며, 프레임의 내부의 구조체는 내부 구조체(20)를 구성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제1 접촉부(202) 및 프레임(30)에 제공된 제2 접촉부(30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좌측면의 상부에 제공된 제1 규제부(401)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저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이에 의해, 저면(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된다. 도 4b에서, 참조 번호 210은, 내부 구조체(20)의 구성요소로서, 유저 조작 버튼, 버튼을 조명하는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조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자. 참조 번호 211은 내부 구조체의 일부인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지칭한다. 참조 번호 212는 내부 구조체(20)의 위치결정 및 고정에 관계되는 나사 구멍을 나타내며, 참조 번호 213은 위치결정 보스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14는 내부 구조체의 일부에서 배선을 보유지지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면의 상부에 제공된 제2 규제부(402)에서,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제3 접촉부(203)와 프레임(30)에 제공된 제4 접촉부(303)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제2 규제부(402)는, 오목 형상의 제4 접촉부(303)를 갖고 있으며, 돌기부인 제3 접촉부(203)는 제4 접촉부(303) 내에 끼워맞춰진다. 이에 의해, 저면(31)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된다. 도 4c에서, 참조 번호(215)는 내부 구조체(20)의 구성요소인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자. 참조 번호 216은 화상 형성 유닛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부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17은 감광 드럼(1)의 구동에 관계되는 기어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에서, 내부 구조체(20)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방으로부터 프레임(30)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부(401)의 제1 접촉부(2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저면(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 저면(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제1 규제부(401)의 제2 접촉부(3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직사각형 단면과 제1 접촉부(20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접촉부(302)는 전후 방향으로 제1 접촉부(20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부(202, 30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개의 제2 접촉부(302)가 제공되지만, 1개 초과의 접촉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제2 접촉부(302)의 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규제부(402)의 제3 접촉부(2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제2 규제부(402)의 제4 접촉부(3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 및 제3 접촉부(203)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접촉부(203, 30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개의 제4 접촉부(303)가 제공되지만, 1개 초과의 접촉부가 제공되는 경우 제4 접촉부의 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상기 예 이외의 임의의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 및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3 접촉부(202, 2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4 접촉부(302, 3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접촉부가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접촉부가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부(202, 30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접촉부(203, 303)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면,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4 접촉부의 기능에 대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장치 전체에 대하여 변형을 발생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a에서, 장치의 우측 전방부가 상승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황은, 단차(50)가 존재하는 설치면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설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 후방부가 단차(50)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 전방부를 하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작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도 5a에서와 같이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광학 유닛(18)과 감광 드럼(1)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어긋날 수 있고, 이는 화상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예를 들어 내부 구조체(20)의 우측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내부 구조체(20)의 제3 접촉부(203)가 프레임(30)의 제4 접촉부(303)에 접촉하고, 프레임(30)의 강성에 의해 내부 구조체(20)가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되고, 내부 구조체(20)의 변형이 억제된다. 프레임(30)의 우측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프레임(30)의 강성에 의해 프레임(30)의 제2 접촉부(302)가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제2 접촉부(302)가 내부 구조체(20)의 제1 접촉부(202)와 접촉하여,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프레임(3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 전방부가 상승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설치되는 경우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30) 및 내부 구조체(20)의 우측 전방부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측에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결합에 대해서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측의 중심부 근방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6은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의 후방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내부 구조체(20) 및 프레임(30)은 상부의 일부만이 도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면(31)에 대하여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의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인 제3 규제부(403)를 구비한다. 제3 규제부(403)는, 제3 규제부(403)와 프레임(30)의 측면(32)의 상단(33)(도 4a 참조)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가 제3 규제부(403)와 프레임(30)의 저면(31)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제공된다. 제3 규제부(403)에서,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제5 접촉부(204)와 프레임(30)에 제공된 제6 접촉부(304)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여기에서는, 제5 접촉부(204)는, 내부 구조체(20)의 전방측에 제공된 구멍부이며, 제6 접촉부(304)는 프레임(30)의 전방측에 제공된 돌기부이다. 여기에서는, 구멍부와 돌기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일례로서 예시하지만, 구성요소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여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가 상하 방향의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라면, 결합 구조는 상기 예 이외의 어떠한 구조이어도 된다. 제3 규제부(403)는, 결합 구조에 의해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상하 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한다.
제5 내지 제6 접촉부의 기능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장치 전체에 대하여 변형을 발생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장치의 전방부가 상승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은, 단차(70)가 존재하는 설치면에 화상 형성 장치(10)가 설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중심부가 단차(70)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부를 하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작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도 7a에서와 같이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광학 유닛(18)과 감광 드럼(1)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어긋날 수 있고, 이는 화상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내부 구조체(20)의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내부 구조체(20)의 제5 접촉부(204)가 프레임(30)의 제6 접촉부(304)에 접촉하여,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내부 구조체(20)의 변형이 억제된다. 프레임(30)의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내부 구조체(20)의 제5 접촉부(204)와 프레임(30)의 제6 접촉부(304)가 서로 접촉하여,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3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의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예시로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측 근방에서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의 후방측 근방에 동일한 결합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이에 의해, 프레임(30) 및 내부 구조체(20)의 변형이 억제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0)의 저면(31)에 내부 구조체(20)가 나사(40)에 의해 고정되며, 프레임(30)의 저면(31)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32)에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저면(31)에 수직인 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401, 402, 403)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작용하는 변형을 발생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의 양자 모두의 강성을 이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35)를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높은 강성을 갖는 복수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비용 및 크기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며,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의 좌우를 따라 선형으로 제공되지만, 제3 규제부(403)와 마찬가지로 구멍부와 돌기부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로서 1개의 제3 규제부(403)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중심부에 제공되지만, 규제부는 규정된 간격으로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규제부가 제공되지만, 오직 하나의 규제부가 제공되어도 된다. 규제부는, 프레임(30)에 제공된 접촉부와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접촉부 사이의 결합 구조 또는 프레임(30)에 제공된 돌기부와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구멍부 사이의 결합 구조 이외의 어떠한 구조이어도 된다. 규제부를 형성하는 접촉부는 프레임(30) 및 내부 구조체(20)의 양자 모두에 제공되지만, 접촉부는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0)의 측면(32)은 예시로서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평면과 이들 평면을 원활하게 연결하는 곡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30)이 저면 및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갖고, 상부 개구 이외의 면이 내부 구조체(20)를 둘러싸도록 연결된다면, 프레임(30)은 임의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은 원형 저면과 상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측면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은 저면에 대해 직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프레임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원통의 중심축을 통과하고 저면에 평행한 직선과 측면 사이의 교점 근방에 복수의 규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면에 평행한 방향의 복수의 규제부의 간격은 가능한 한 커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에서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결합 구조에서, 예시로서 내부 구조체(20)의 결합부가 프레임(30)의 결합부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a는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의 전후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좌측면에서의 제1 규제부(401) 근방의 B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우측면에서의 제2 규제부(402) 근방의 C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d는 도 8b의 CC 단면을 따라 취한 제1 규제부(40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e는 도 8c의 DD 단면을 따라 취한 제2 규제부(40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서, 시트면의 상하 방향은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시트면의 좌우 방향은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며, 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은 프레임(30)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도 8d 및 도 8e에서는, 시트면의 상하 방향은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시트면의 좌우 방향은 프레임(30)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며, 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은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도 8a에서, 최외측의 상향 U자 형상 프레임이 프레임(30)이며, 프레임 구조체 내부의 구조체가 내부 구조체(20)를 구성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1은 제1 규제부(401) 또는 제2 규제부(402)의 위치와 프레임(30)의 저면(31)의 위치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D2는 제1 규제부(401) 또는 제2 규제부(402)의 위치와 프레임(30)의 측면(32)의 상단(33)의 위치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거리(D2)가 거리(D1)보다 작아지도록 제공된다. 저면, 상단, 및 규제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했지만, 저면과 반대 측의 측면 단부로부터 각 규제부까지의 거리는 저면으로부터 규제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면 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의 좌측면의 상부에 제공된 제1 규제부(401)에서,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제1 접촉부(202)와 프레임(30)에 제공된 제2 접촉부(30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도 8b의 내부 구조체(2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 210, 211, 212, 214는 도 4b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자.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의 우측면의 상부에 제공된 제2 규제부(402)에서, 내부 구조체(20)에 제공된 제3 접촉부(203)와 프레임(30)에 제공된 제4 접촉부(30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도 8c의 내부 구조체(2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 215, 216, 및 217은 도 4c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자.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부(401)의 제2 접촉부(3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저면(31)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 저면(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제1 규제부(401)의 제1 접촉부(2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 및 제2 접촉부(30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전후 방향으로의 제1 접촉부(202)의 길이는 제2 접촉부(302)의 길이보다 크다.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부(202, 30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개의 제1 접촉부(202)가 예시로서 제공되지만, 접촉부의 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규제부(402)의 제4 접촉부(3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제2 규제부(402)의 제3 접촉부(2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 및 제4 접촉부(303)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도 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접촉부(203, 30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개의 제3 접촉부(203)가 예시로서 제공되지만, 접촉부의 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상기 예 이외의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 및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1개 이상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및 제4 접촉부(302, 3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접촉부(202, 203)는,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접촉부가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1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접촉부가 프레임(30)의 측면(32)을 따라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부(202, 30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접촉부(203, 303)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면,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에서, 프레임(30)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방으로부터 내부 구조체(20)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규제부(402)와 동일한 오목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이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규제부(402)와는 반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접촉부(303)는 하향의 오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접촉부(203)는 아래로부터 오목 구조인 제4 접촉부(303) 안으로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구조체(20)의 우측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는 프레임(30)의 제2 접촉부(302)가 제1 접촉부(202)에 접촉되게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제1 접촉부(202)는 내부 구조체(20)의 강성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에 의해,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구조체(20)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프레임(30)의 우측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제3 접촉부(203)와 제4 접촉부(303)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프레임(30)이 내부 구조체(2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내부 구조체(20)와 프레임(30) 사이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프레임(30)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우측 전방부가 상승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30) 및 내부 구조체(20)의 우측 전방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30)의 저면(31)에 내부 구조체(20)가 나사(40)에 의해 고정되며, 프레임(30)의 저면(31)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면(32)에 저면(31)에 수직인 방향의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부(401, 402)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작용하는 변형을 발생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프레임(30)과 내부 구조체(20)의 양자 모두의 강성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높은 강성을 갖는 복수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 구조체(2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는 비용 및 크기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수지로 성형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i) 저부 및 (ii) 상기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저부와 일체로 형성된 측부를 갖고, 상기 측부는 규제면을 갖는, 프레임; 및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지지할 수 있는 내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체는 피규제면을 갖고,
    상기 측부는 상기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구조체가 나사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고정될 때, 상기 규제면은, 상기 피규제면과 접촉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상기 내부 구조체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규제면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저부로부터의 거리보다 상기 측부의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위치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복수의 규제면 중 하나인,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규제면은 상기 저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 가능 간격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과 상기 측부의 상단 사이의 상기 수직 방향의 거리가, 상기 규제면과 상기 저부 사이의 상기 수직 방향의 거리보다 짧은,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상기 내부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 구조체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감광체를 사용해서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오목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감광체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부착가능 및 분리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측부를 따라 상기 저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며,
    상기 규제면에 접촉함으로써 이동이 규제되는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측부를 따라 상기 저부에 평행한 상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0005522A 2018-01-24 2019-01-16 화상 형성 장치 KR102332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9611A JP7094705B2 (ja) 2018-01-24 2018-01-24 画像形成装置
JPJP-P-2018-009611 2018-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37A KR20190090337A (ko) 2019-08-01
KR102332795B1 true KR102332795B1 (ko) 2021-11-30

Family

ID=6729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22A KR102332795B1 (ko) 2018-01-24 2019-01-1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94417B2 (ko)
JP (1) JP7094705B2 (ko)
KR (1) KR102332795B1 (ko)
CN (2) CN110069002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398B2 (ja) * 1999-07-09 2010-03-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2013246376A (ja) * 2012-05-29 2013-12-0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8062B1 (en) * 1985-12-27 1992-03-11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cartridge unit
JPS6367172A (ja) * 1986-09-09 1988-03-25 Ricoh Co Ltd 静電記録装置
JP3270122B2 (ja) *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00501B2 (ja) * 1993-10-19 2002-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37859B2 (ja) *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11250A (ja) * 1999-10-06 2001-04-20 Canon Inc 電子機器
JP2005055721A (ja) * 2003-08-06 2005-03-03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309036A (ja) * 2004-04-21 2005-11-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768998B2 (ja) * 2004-06-1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229482A (ja) * 2005-02-16 2006-08-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750479B2 (ja) * 2005-06-14 2011-08-1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8020854A (ja) * 2006-07-14 2008-01-31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49659A (ja) * 2006-08-28 2008-03-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055909B2 (ja) * 2006-09-14 2012-10-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101810B1 (ko) * 2007-01-15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9217182A (ja) * 2008-03-12 2009-09-24 Kyocera Mita Corp 車輪支持機構、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0398B2 (ja) * 2009-08-31 2013-10-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68060B2 (ja) * 2009-11-27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40942B2 (ja) * 2010-03-17 2014-03-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84340B2 (ja) * 2011-08-30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9367030B2 (en) * 2012-09-11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ry cam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6020120B2 (ja) 2012-12-14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463109B2 (ja) * 2014-12-0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バー開閉ユニット、筐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63134B2 (ja) * 2015-01-0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の製造方法
US9487022B2 (en) * 2015-02-16 2016-11-08 Zih Corp. Durable mobile pri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398B2 (ja) * 1999-07-09 2010-03-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2013246376A (ja) * 2012-05-29 2013-12-0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24980A1 (en) 2019-07-25
CN110069002B (zh) 2022-10-28
KR20190090337A (ko) 2019-08-01
CN110069002A (zh) 2019-07-30
US10894417B2 (en) 2021-01-19
CN115480469A (zh) 2022-12-16
JP7094705B2 (ja) 2022-07-04
JP2019128439A (ja)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1380A1 (ja) 保持機構
JP2010044363A (ja) 画像形成装置
US9316999B2 (en) Tandem type photosensitiv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2379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04779A1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538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address vibration rigidity of a scanner unit
JP5153222B2 (ja) 画像形成装置
JP7471815B2 (ja) 画像形成装置
US96091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ion to regulate an attitude between two casings when a load is applied
KR10233279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862832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08534B2 (en) Rotor support mechanism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577835B2 (ja) 画像形成装置
US89180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gulating mechanism for positioning exposure mechanism
US118437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8737873B2 (en) Cartridge having peeling member configured to peel off sheet from image carrier
US119991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36365A (ja) 装置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759382B2 (ja) 画像形成装置
JP6961979B2 (ja) 画像形成装置
JP602838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660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10315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