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81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10B1
KR101101810B1 KR1020070038042A KR20070038042A KR101101810B1 KR 101101810 B1 KR101101810 B1 KR 101101810B1 KR 1020070038042 A KR1020070038042 A KR 1020070038042A KR 20070038042 A KR20070038042 A KR 20070038042A KR 101101810 B1 KR101101810 B1 KR 10110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cartridge
main frame
cover
pressing memb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269A (ko
Inventor
김영민
장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67,813 priority Critical patent/US7912403B2/en
Publication of KR2008006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제1동력전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극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1동력전달부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와; 메인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여, 제1 및 제2동력전달부 사이의 맞물림 및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통전을 안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300 : 메인프레임 31 : 가이드홈
33 : 제1동력전달부 35 : 제1전극
40,330, 430 : 현상카트리지 41 : 결합 가이드돌기
43 : 제2동력전달부 45 : 제2전극
50, 350 : 가압부재 150 : 탄성 플레이트
151, 351 : 설치부 153, 353 : 제1접촉부
155, 355 : 제2접촉부 251 : 규제 플레이트
255 : 탄성부재 310 : 제1커버
320 : 제2커버 335, 435 : 현상롤러
340 : 폐토너통 460 : 감광매체카트리지
331, 461 : 감광매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 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털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조립공수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출 성형되는 메인프레임(1)과, 이 메인프레임(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현상카트리지(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10)는 그 내부에 현상제, 현상롤러, 공급롤러, 규제 블레이드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은 양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레진 프레임으로 제작되거나 혹은 금형제작의 부담을 줄이고 전기적 접점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스방식의 금속프레임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현상카트리지(10)의 내부 구성요소들은 현상 프로세스의 수행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에 설치되는 고전압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과 상기 현상카트리지(10)의 상호 대응 위치에 전극(3)(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10)의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레진이나 금속재로 제작된 메인프레임(1)과, 현상카 트리지(10)를 제작하는 경우, 설계 공차가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과 상기 현상카트리지(10)가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공차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현상카트리지(10)의 장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카트리지(10)가 설계 공차의 최소치로 설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이 설계 공차의 최대치로 설계된 경우, 메인프레임(1)과 현상카트리지(10) 사이의 갭(gap)이 존재하게 되어, 전극(3)(13) 사이의 전기적 통전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카트리지(10)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어 인쇄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상카트리지(10)가 설계 공차의 최대치로 설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이 설계 공차의 최소치로 설계된 경우, 상기 현상카트리지(10)가 정상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 내에 장착되지 못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1)에 대해 부드럽게 장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현상카트리지(10) 내의 기어(15)와 메인프레임(1)에 장착된 기어(5) 사이의 기어물림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현상카트리지(10)의 구동 동작시 현상카트리지(10)가 진동하게 되고, 그 영향으로 지터(jitter)와 같은 화상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적 통전 및 기어 물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동력전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극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 사이의 맞물림 및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통전을 안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되도록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가압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제1커버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제2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일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설치된 제1전극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일 방향으로 시프트시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맞물려 인쇄 동작 수행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 각각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잠재적인 시프트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b는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30)과, 이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40) 및,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압부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기 현상카트리지(40)는 양산성을 높이고, 조립공수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출 형성에 의해 제조되는 몰드 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에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예컨대, 현상카트리지(40)와, 감광매체, 광주사유니트, 전사유니트, 정착유니트 및 급배지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30)에는 장착된 구성요소들에 동력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전원공급원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메인프레임(30)에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33)와, 상기 현상카트리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극(35)이 설치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40)는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양측벽에는 결합 가이드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30)의 내측벽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돌기(41)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카트리지(40)는 그 내부에 현상제, 현상롤러, 공급롤러, 규제 블레이드, 감광매체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 구성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동력전달부(33)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43)와, 상기 제1전극(35)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45)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전극(45)은 상기 메인프레임(30) 내에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장착 완료시, 제1전극(35)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0)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제조 공정 상의 공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35)(45) 사이의 통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는 상기 가압부재(50)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메인프레임(3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33)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43) 사이의 맞물림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전극(35)과 상기 제2전극(45) 사이의 전기적 통전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35)(45)이 상호 통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카트리지(40)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된 탄성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는 설치부(151)와, 상기 가압부재(50)가 상기 현상카트리지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되도록 하는 복수의 접촉부 (예를 들어 제1 및 제2접촉부(153)(155))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151)는 상기 메인프레임(30) 내측에 상기 탄성플레이트(150)를 결합 설치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15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57)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내측벽(30a)에 결합되거나, 접착제, 후크부재 또는 인서트 몰딩 공정 등을 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53)(155)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된다. 즉,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접촉부(153)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선단부(40a) 쪽에 접촉되고, 상기 제2접촉부(155)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후단부(40b) 쪽에 접촉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40)가 틸트(tilt) 즉, 메인프레임(30)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53)(155) 각각의 단부(153a)(155a)는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53)(155)를 통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탄성 가압시, 상기 설치부(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0) 내벽(30a)과 접촉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부(153a)(155a)와 상기 메인프레임(30) 사이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53)(155)가 상기 현상카트리지(40)를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3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특성 상,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 폭(W1)의 공차는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메인프레임을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크다. 이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폭(W2)의 경우도 같다. 한편, 허용 가능한 공차 범위 내에서, 상기 메인프레임(30)의 폭(W1)이 최소가 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폭(W2)이 최대가 되더라도, 상기 메인프레임(30) 내에 상기 현상카트리지(40)가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도록, W1과 W2 값이 설정된다. 즉, 성형 공차를 고려하더라도, W1이 W2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설계공차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탄성플레이트(150)를 상기 메인프레임(30) 내에 장착시, 상기 제1 및 제2전극(35)(45)이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플레이트(1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기 현상카트리지(40) 사이의 공차에 의한 여백은 상기 탄성플레이트(150) 쪽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33)(43) 각각은 상호 소정 기어비로 맞물린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동력전달부(33)(43)의 기어 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동력전달부(33)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43)가 도 4b의 확대도와 같이 어긋나더라도, 원활히 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예로서, 탄성플레이트(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일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모든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b는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30)과, 이 메인프레임(30) 내부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40) 및,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40)의 폭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가압부재(50)를 포 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자세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메인프레임(30)에 탄성적으로 위치 변형가능하게 설치된 규제 플레이트(251)와, 탄성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255)를 포함한다.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규제부(252)(25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규제부(252)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선단부 쪽에 접촉되고, 상기 제2규제부(254)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후단부 쪽에 접촉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3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40)가 틸트 즉, 메인프레임(30)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59)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30)의 내측벽에 결합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5)는 제1 및 제2규제부(252)(254) 각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탄성부재(256)(2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5)는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와 상기 메인프레임(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전극(35)과 상기 제2전극(45)이 상호 통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를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기 현상카트리지(40)의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시, 성형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 및 탄성부재(255)를 통하여 상기 제1전극(35)과 상기 제2전극(45)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통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33)(43)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 2동력전달부(33)(43)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성형 공차에 의하여 제1동력전달부(33)와 제2동력전달부(43)이 폭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동력이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55)로서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와 상기 메인프레임(30)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토오션 스프링,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55)의 개재없이, 상기 규제 플레이트(251)를 탄성 플레이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300)과, 현상카트리지(330) 및,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330)를 현상롤러(335)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33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압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330)는 입사된 광빔에 감응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331)와, 상기 감광매체(331)에 대한 화상형성에 기여하는 현상롤러(335) 및 현상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현상카트리지(330)는 상기 현상롤러(335)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33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7에서 상기 현상롤러(335)를 현상부재의 일 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목적이나 실시방법에 따라 현상벨트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350)에 대향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330)의 일측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폐토너통(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토너통(340)은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폐토너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대한 상기 현상카트리지(330)의 분리없이, 상기 메인프레임(30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현상카트리지(330) 또는 후술하는 감광매체카트리지(도 8의 460)의 착타에 따라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제1 및 제2커버(310)(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310)는 현상카트리지(330)가 장착되는 화살표 C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커버(3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카트리지(330)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제2커버(320)는 상기 메인프레임(300) 내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33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화살표B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상기 제2커버(320)를 개방하면 현상카트리지(330) 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폐토너통(340)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310)(320) 각각은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50)는 상기 현상카트리지(330)를 상기 현상롤러(335)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버(320)에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350)는 상기 제2커버(320)에 결합 설치되는 설치부(351)와, 제1 및 제2접촉 부(353)(355)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351)는 상기 제2커버(320) 내측에 상기 가압부재(350)를 결합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제2커버(320)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접착제, 후크부재 또는 인서트 몰딩 공정 등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353)(355)는 상기 현상카트리지(3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그 각각은 상기 현상카트리지(330) 또는 폐토너통(3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30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330)가 메인프레임(300)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40)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가압부재(도 3의 5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현상카트리지(330)가 제1커버(310)가 개방된 곳을 통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장착되고, 폐토너통(340)이 현상카트리지(330)의 측면에 상기 제2커버(320)가 개방된 곳을 통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장착된 후, 제1 및 제2커버(310)(320)가 닫히면, 상기 제2커버(320)에 형성된 가압부재(350)가 폐토너통(340)을 가압하고, 폐토너통(340)이 가압되면서 이와 연결된 현상카트리지(300)도 가압 된다. 그리하여 메인프레임(300)과 현상카트리지(330)의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시, 성형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가압부재(350)의 반대쪽에 위치한 전극(도 4b의 35, 45 참조)사이에 안정적으로 전기적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가압부재(350)는 앞서 설명된 구성 이외에도 상기 제2커버(3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3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규제 플레이트를 상기 현상카트리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 플레이트는 상기 현상카트리지(33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350)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가압부재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프레임(300)에 상기 제1 및 제2커버(310)(320)가 형성된 구성 및, 폐토너통(340)이 제2커버(32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리형태의 폐토너통이 배제된 구성을 포함하고, 제2커버(320) 내측에 마련된 가압부재(350)가 현상카트리지(330)의 측면을 바로 가압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가압부재(350)는 제2커버(320)와 연동하여 가압 및 해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링크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제2커버를 닫으면 가압위치로 가압부재가 움직이고, 제2커버가 열리면 가압해제위치로 가압부재가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300)과, 현상카트리지(430), 감광매체카트리지(460) 및,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430)를 현상롤러(435)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 여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압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현상카트리지로부터 감광매체를 배제하고, 별도의 감광매체카트리지(460)를 더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재명 및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는 입사광빔에 감응하여 화상형성하는 감광매체(461)와, 상기 감광매체(461)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 블레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의 장착방향은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장착방향과는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장착방향에 수직한 화살표 B방향에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방향인 화살표 C방향에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는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프레임(300) 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감광매체카트리지(460)는 현상카트리지(430) 보다 장수명을 가지므로,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교체주기가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현상카트리지(430)와 감광매체카트리지(460)를 나누어 구성한 경우, 교체주기를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소모품 교체에 따른 낭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방향에서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 제2커버(420)는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320)와 비교하여 더 큰 폭을 가진다.
교체주기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폭방향 움직임에 대한 규제가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의 움직임 규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필요하므로, 상기 현상카트리지(430)의 장착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규제부재(320)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규제부재(320)는 상기 현상카트리지(430)를 규제하는 역할 이외에도,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의 소정 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매체카트리지(460)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300)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메인프레임과 현상카트리지의 제조시 야기될 수 있는 성형 공차에 의한 동력 전달 및 전원 공급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과 현상카트리지의 사출 조건에 따른 치수변형 및 사용조건에 따른 치수변형을 사전에 예측하여 설정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내부 폭을 현상카트리지의 폭에 비하여 항상 크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과 현상카트리지 사이의 여유 공간 미확보로 인하여 강압적으로 장착된 현상카트리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상 상의 지터 문제와 소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를 통하여 현상카트리지와 메인프레임 사이의 전기적 통전 불 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에 있어서, 성형 마진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동력전달부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에서 개폐하는 별도의 커버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사상의 적용이 가능하여 효과적으로 현상카트리지의 가압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동력전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극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 사이의 맞물림 및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통전을 안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극이 상호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위치되도록 상기 규제 플레이트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플레이트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레진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가압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압부재; ; 및
    상기 가압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일측에 구비된 폐토너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입사된 광빔에 감응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입사된 광빔에 감응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소정 방향에서 장착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그 폭방향 움직임이 규제되는 감광매체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제1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제2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커버에 결합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틸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규제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규제 플레이트를 상기 현상카트리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플레이트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폭방향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일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설치된 제1전극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일 방향으로 시프트시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맞물려 인쇄 동작 수행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동력전달부 각각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잠재적인 시프트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착탈시 개방되는 제1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일측에 구비된 폐토너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폐토너통의 착탈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감광매체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착탈시 개방되는 제1커버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감광매체 카트리지를 착탈시 개방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38042A 2007-01-15 2007-04-18 화상형성장치 KR10110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7,813 US7912403B2 (en) 2007-01-15 2007-10-05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rame and press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4353 2007-01-15
KR1020070004353 2007-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269A KR20080067269A (ko) 2008-07-18
KR101101810B1 true KR101101810B1 (ko) 2012-01-05

Family

ID=3982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42A KR101101810B1 (ko) 2007-01-15 2007-04-1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1810B1 (ko)
CN (1) CN1012263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5684B2 (ja) * 2013-03-22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4597737B (zh) * 2013-10-30 2022-03-01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用处理盒
CN206573863U (zh) 2016-09-21 2017-10-20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7094705B2 (ja) * 2018-01-24 202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6657A1 (en) * 2004-02-27 2005-10-13 Kazuosa Kuma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nd image developing with an improvement of toner container holding
US20060210304A1 (en) * 2003-08-29 2006-09-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0304A1 (en) * 2003-08-29 2006-09-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20050226657A1 (en) * 2004-02-27 2005-10-13 Kazuosa Kuma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nd image developing with an improvement of toner container h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269A (ko) 2008-07-18
CN101226359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4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rame and pressing member
KR10045888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JP470183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879954B2 (en) Cartridge with member for fixing a member-to-be-energized
KR10116105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10444696B2 (en) Cartridge having a rotatable guide member
US9008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per dust cleaning unit movably provided on photosensitive member unit
US200700770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Unit and Developing Cartridge
US9188945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00174423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01810B1 (ko) 화상형성장치
US100734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a development unit
CN110720079A (zh)
US2018029278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21632B2 (ja)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84044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US7756445B2 (en) Transfer unit-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US20240061373A1 (en) Cartridge including a memory mount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cartridge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37122B1 (ko)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
KR102323007B1 (ko)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4096979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10069002B (zh) 成像设备
CN210666365U (zh) 一种处理盒
US11454920B2 (en)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toner cartridge to be mounted or detach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