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676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676B1
KR102331676B1 KR1020197022956A KR20197022956A KR102331676B1 KR 102331676 B1 KR102331676 B1 KR 102331676B1 KR 1020197022956 A KR1020197022956 A KR 1020197022956A KR 20197022956 A KR20197022956 A KR 20197022956A KR 102331676 B1 KR102331676 B1 KR 10233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haft
power steering
steering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573A (ko
Inventor
쇼이치 나카무라
겐타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5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23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5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9981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5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4786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3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921A/ko
Publication of KR2019010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Abstract

보닛 내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발밑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 엔진 (6) 과, 그 엔진 (6) 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 (7) 와, 조종 핸들 (15) 의 조타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와, 그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구비되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전동 모터 (62) 의 구동력을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부여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고,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미션 케이스 (7) 의 상부에 지지되고, 보닛 내에는, 엔진 (6), 스티어링 샤프트 (41),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배치되고, 전동 모터 (62) 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엔진 (6) 보다 후방측이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차륜에 조종 핸들의 조타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그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 차량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전동 모터를 구비한 전동식으로 구성되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조타 보조력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부에 조종 핸들이 연결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가, 하방측일수록 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간부에 구비된 구동 기어에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조타 보조력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횡측방으로부터 전동 모터에 의한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고 있고, 전동 모터의 배치 위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후방측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 차량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스티어링 샤프트가 지지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부에 조종 핸들이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간부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배치되고, 스티어링 샤프트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의해 상측 샤프트와 하측 샤프트로 분할되어 있다. 상측 샤프트는, 상측 핸들 포스트 내에 지지되고, 상측 핸들 포스트의 상단부에 조종 핸들이 연결되고, 상측 핸들 포스트의 하단부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하측 샤프트는, 하측 핸들 포스트 내에 지지되고, 하측 핸들 포스트의 상단부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연결되고, 하측 핸들 포스트의 하단부에 미션 케이스의 상부가 연결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75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8725호
상기와 같은 작업 차량에서는, 엔진, 스티어링 샤프트, 파워 스티어링 장치 등의 각종 기기를 보닛 내에 배치하므로, 보닛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각종 기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에서는, 전동 모터가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닛이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후방측으로 뻗어나온 형상이 된다. 따라서, 조종 핸들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발밑까지 보닛이 뻗어나오게 되어, 사용자의 발밑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고,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게 된다.
이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보닛 내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발밑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에 전동 모터 등에서 발생한 열이나 수증기가 모이는 경우가 있고, 그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요컨대,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 전동 모터나 그 밖의 구성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전동 모터 등에서 발생한 열이나 수증기가 케이스 내에 모이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하는 점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가 고온이 되거나,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에 결로수 등의 수분이 모이면, 전동 모터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구성의 복잡화나 부재 점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상측 핸들 포스트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볼트 너트의 체결에 의해 직접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조종 핸들을 조작했을 때에, 조종 핸들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이 상측 핸들 포스트를 통과하여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큰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악영향이 미치게 된다.
최근,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 전동 모터의 구동량을 조타 보조력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부여하는 전동식의 것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전동식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전동 모터 등의 정밀 부품을 구비하므로, 특히,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 구성은, 엔진과, 그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와, 조종 핸들의 조타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그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부여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고,
보닛 내에는, 상기 엔진,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엔진보다 후방측이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전동 모터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엔진보다 후방측이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엔진과 스티어링 샤프트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전동 모터를 배치시킬 수 있고, 보닛 내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닛이,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후방측으로 뻗어나온 형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종 핸들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발밑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 보닛 내에는, 변속 조작에 수반되어 상기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하기 위한 변속 기구를 구비한 변속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변속 케이스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변속 케이스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보닛 내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의 상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전동 모터뿐만 아니라, 변속 케이스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는, 변속 케이스보다 상방측에 배치시켜, 전동 모터와 변속 케이스를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있으므로, 전동 모터와 변속 케이스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전동 모터 및 변속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엔진, 스티어링 샤프트, 파워 스티어링 장치, 변속 케이스의 각각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 구성은, 상기 전동 모터 및 상기 변속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좌우 방향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좌우 방향의 일방측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전동 모터 및 변속 케이스를 합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는, 전동 모터나 변속 케이스 등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그 스페이스를 엔진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할 때의 스페이스나 그 외 각종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 구성은,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플라이휠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부와 상기 플라이휠 커버의 하단부를 지나는 상기 플라이휠의 접선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플라이휠 커버는 플라이휠을 상방측으로부터 덮고 있으므로, 플라이휠 커버에 의해 그것보다 상방측에 대한 오수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전동 모터는, 플라이휠의 외주부와 플라이휠 커버의 하단부를 지나는 플라이휠의 접선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라이휠 커버로 오수의 비산이 방지되고 있는 위치에 전동 모터를 배치할 수 있고, 오수의 비산 등에 의해 전동 모터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 구성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그 내부의 중공 공간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그 내부의 중공 공간과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외부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는, 그 내부의 중공 공간과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지지 부재의 내부의 중공 공간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외부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부 개방부에 의해, 지지 부재의 내부에 방열된 열이나 방출된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지지 부재의 내부의 중공 공간을 이용하면서, 효율적으로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므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 부재의 겸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의 복잡화나 부재 점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개방부로부터 물 등이 침입해도, 그 물이 지지 부재의 내부에 침입하지만, 예를 들어 지지 부재의 상부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배치하는 등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물이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으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대한 물 등의 침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 구성은, 상기 미션 케이스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차륜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와 상기 지지 부재를 접속하는 연통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연통 접속부는, 미션 케이스의 내부와 지지 부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와 지지 부재를 접속하므로, 미션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연통 접속부를 통해 지지 부재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의 내부에 공급된 미션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는, 외부 개방부에 의해 외부에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미션 케이스의 내부가 고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 부재뿐만 아니라, 외부 개방부도 이용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의 외부에 대한 방열 또는 방출, 및 미션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의 외부에 대한 배출의 양자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 구성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외부 개방부로부터 물 등이 침입한 경우에는, 그 물이 지지 부재의 내부에 침입하게 된다. 그래서,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대한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을, 지지 부재에 대한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보다 상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내부에 침입한 물 등이 연통 접속부를 통해 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연통 접속부 및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을 상하 방향에서 조정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부 개방부로부터의 물 등의 침입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 구성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고 전후 방향에서 이간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대한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과 지지 부재에 대한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을,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의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고 전후 방향에서 이간되는 상태로 배치하므로, 전후 방향에서의 지지 부재의 길이를 이용하여,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을 미션 케이스측에 보다 접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을 외부에 의해 접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연통 접속부 및 외부 개방부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 구성은,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도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보다 하방측 부위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방측 지지 부재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조종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보다 상방측 부위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방측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는,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방측 지지 부재는,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하방측 지지 부재와 상방측 지지 부재로 스티어링 샤프트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스티어링 샤프트를 구비할 수 있으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하방측 지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는,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방측 지지 부재에서 전달되는 힘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방측 지지 부재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상방측 지지 부재의 양방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종 핸들을 조작했을 때에, 조종 핸들에 대해 외력이 작용해도, 그 외력이 중간 부재를 통하여 상방측 지지 부재에 전달되고, 상방측 지지 부재에 전달된 외력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하방측 지지 부재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상방측 지지 부재의 양방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 구성은, 상기 상방측 지지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둘러싸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연결되는 지지 기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기대의 상부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측 지지 부재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둘러싸기 위해서 적합한 형상이나 구성을 갖는 부재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 기대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방측 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서 적합한 형상이나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대해 지지 기대를 연결함으로써, 상방측 지지 부재의 지지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상방측 지지 부재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지지도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측 지지 부재를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지지 기대의 별체로 함으로써,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되고, 샤프트측 지지 부재 및 지지 기대의 장착 작업 등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 구성은,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기대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 부재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이외의 부재가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보강 부재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지지 기대를 연결하므로, 샤프트측 지지 부재의 지지를 보강할 수 있으면서, 보강 부재를 지지 부재 이외의 부재 (예를 들어, 전장 (電裝) 부재) 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샤프트측 지지 부재의 지지를 적절히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 구성은,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에는, 조작구를 지지하는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은, 샤프트측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과 샤프트측 지지 부재를 일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방측 지지 부재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에 더하여, 조종 핸들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작구도 함께 일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 지지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종 핸들에 작용하는 외력뿐만 아니라, 조작구에 작용하는 외력도, 상방측 지지 부재를 통해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이앙기의 전체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보닛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이앙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 은 보닛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이앙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보닛의 후부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대시 보드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변속 기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스티어링 계통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7 은 스티어링 계통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은 스티어링 계통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 는 스티어링 계통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작업 차량으로서의 이앙기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와 모종 심기 장치 (3) 가 구비되고, 모종 심기 장치 (3) 가 승강 기구 (4) 를 개재하여 주행 기체 (2) 의 후부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모종 심기 장치 (3) 는, 모종 탑재대 (31) 및 복수의 모종 식부 클로 (32) 를 구비하고 있고, 모종 탑재대 (31) 의 모종을 복수의 모종 식부 클로 (32) 에 의해 포장 (圃場) 에 식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 이앙기 (1) 를 예시했지만, 이앙기 (1) 외에, 트랙터, 콤바인, 토목·건축 작업 장치, 제설차 등, 승용형 작업 차량이 적용 가능하다.
주행 기체 (2)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체 프레임 (5) 이 구비되고, 차체 프레임 (5) 에 각종 기기가 지지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 (5) 에는, 그 전방측에 구동원이 되는 엔진 (6) (도 2 및 도 3 참조) 이 지지되고, 엔진 (6) 보다 후방측에 미션 케이스 (7) 가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전부 (前部) 에는, 엔진 (6) 을 덮는 보닛 (10) 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는, 보닛 (10) 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보닛 (10) 의 내부 및 미션 케이스 (7) 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3 은, 보닛 (10) 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보닛 (10) 의 내부 및 미션 케이스 (7)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미션 케이스 (7) 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기 (HMT : Hydro Mechanical Transmission), 및 HMT 로부터의 동력을 복수 단으로 변속하는 변속 기구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HMT 는, 엔진 (6) 으로부터의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 가능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 (HST : Hydro Static Transmission) 와, 엔진 (6) 으로부터의 동력 및 HST 로부터의 동력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유성 기어 기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 (5) 의 전부에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 (도시 생략) 가 지지되어 있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전륜 (8) 이 장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 (5) 의 후부에는, 리어 액슬 케이스 (도시 생략) 가 지지되어 있고, 리어 액슬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후륜 (9) 이 장착되어 있다.
이앙기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6) 의 동력이 동력 전달 벨트 (22) 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 (7) 에 전달되고,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에 있는 HMT 및 변속 기구 등에 의해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을 자유롭게 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이 좌우의 전륜 (8) 과 좌우의 후륜 (9) 의 각각에 자유롭게 전달될 수 있고, 전륜 (8) 및 후륜 (9) 이 자유롭게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 (5) 의 전부에는, 도 1 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프레임 (11) 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장착 프레임 (11) 에 예비 모종 탑재대 (12) 가 장착되어 있다. 예비 모종 탑재대 (12) 는, 보닛 (10) 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예비 모종이 예비 모종 탑재대 (12) 에 재치 (載置) 되어, 모종 심기 장치 (3) 에 대한 모종 보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 (5) 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운전 조작부 (13) 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 조작부 (13) 의 전방측이고, 보닛 (10) 의 후단부에는, 대시 보드 (14) 가 배치되어 있다. 대시 보드 (14) 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조종 핸들 (15) 이 배치되고, 조종 핸들 (15) 의 후방측에는, 운전 좌석 (16) 이 배치되어 있다. 보닛 (10) 의 좌우 방향의 양측 및 그 후부의 차체 프레임 (5) 상을 덮는 차체 커버 (17) 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조작부 (13) 에는, 주변속 레버 (18), 브레이크 페달 (19) (도 4 참조), 변속 페달 (20) (도 4 참조), 승강 크로스 레버 (21) (도 4 참조) 등의 각종 조작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구에 대해 설명하면, 주변속 레버 (18) 는, 전진, 중립, 후진을 포함하여 주행 기체 (2) 의 주행 속도를 변속 조작하기 위한 레버이다. 브레이크 페달 (19) 은, 전륜 (8) 이나 후륜 (9) 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페달이다. 변속 페달 (20) 은,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하여 주행 기체 (2) 의 주행 속도를 변속 조작하기 위한 페달이다. 승강 크로스 레버 (21) 는, 승강 기구 (4) 에 의해 모종 심기 장치 (3) 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레버이다. 승강 크로스 레버 (21) 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어느 위치에 요동 조작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 에 기초하여, 조종 핸들 (15) 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륜 (8) (차륜) 을 조향 조작하기 위한 스티어링 계통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조종 핸들 (15) 의 중심 부분에 접속되어, 조종 핸들 (15) 의 조타력을 전륜 (8) 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가 구비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그 주위가 지지 부재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도 2, 도 6, 및 도 7 에서는, 덮여 있는 부위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그 상단부가 조종 핸들 (15) 에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하단부가 시일 부재 (42) 를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7) 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미션 케이스 (7) 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상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방측 샤프트 (41a), 중간 샤프트 (41b), 하방측 샤프트 (41c) 의 3 개의 샤프트로 분할되어 있다. 상방측 샤프트 (41a) 는, 상방측일수록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중간 샤프트 (41b) 및 하방측 샤프트 (41c) 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립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방측 샤프트 (41a) 와 중간 샤프트 (41b) 는 이음매 부재 (43) 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중간 샤프트 (41b) 와 하방측 샤프트 (41c) 사이에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종 핸들 (15) 을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타력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전달된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중간부에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구비되어 있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전동 모터 (62) 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 (62) 의 구동력을 조타 보조력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부여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종 핸들 (15) 의 조타력에 더하여,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62) 에 의한 조타 보조력이 부여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는, 조종 핸들 (15) 에 의한 조타력,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의한 조타 보조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게 되고,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회전 구동에 의해 피트먼 아암 (도시 생략) 을 요동 조작하여 우측 및 좌측의 전륜 (8) 을 조향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중간 샤프트 (41b) 와 하방측 샤프트 (41c) 사이에 배치된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와, 전동 모터 (62) 가 구비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 (大徑) 의 원통 부위의 상부에 소경 (小徑) 의 원통 부위를 배치시킨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입력부 (64) 가 배치되고, 그 바닥면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출력부 (65) 가 배치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내에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입력부 (64) 에서 입력된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을 전달하여 출력부 (65) 에 출력하는 축부, 그 축부의 도중부에 배치되는 구동 기어, 토크 센서 등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부 (64) 가 중간 샤프트 (41b) 에 접속되어 있고, 중간 샤프트 (41b) 로부터 입력부 (64) 에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부 (65) 가 조인트 부재 (52) 를 개재하여 하방측 샤프트 (41c) 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부 (65) 로부터 조인트 부재 (52) 를 통하여 하방측 샤프트 (41c) 에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62) 는, 예를 들어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내의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를 구비하고 있고,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내의 구동 기어를 자유롭게 구동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조종 핸들 (15) 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이 중간 샤프트 (41b) 로부터 입력부 (64) 에 입력되면, 그 조타력 (회전 구동력) 에 전동 모터 (62) 에 의한 조타 보조력 (회전 구동력) 을 더한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을 출력부 (65) 로부터 출력하여, 조인트 부재 (52) 를 통하여 하방측 샤프트 (41c) 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 등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방측 지지 부재 (44) 와, 스티어링 샤프트 (41) 가 내부에 배치되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를 지지하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가 구비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및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각각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덮은 상태로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상방측 샤프트 (41a) 및 중간 샤프트 (41b)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보다 상방측 부위) 의 외주부를 덮은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하방측 샤프트 (41c)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보다 하방측 부위) 의 외주부를 덮은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상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방측 샤프트 (41a) 에 상당하는 부위를 덮는 제 1 지지 부재 (46) 와, 이음매 부재 (43) 에 상당하는 부위를 덮는 제 2 지지 부재 (47) 와, 중간 샤프트 (41b) 에 상당하는 부위를 덮는 제 3 지지 부재 (48) 와, 지지 기대 (66) 가 구비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지지 기대 (66) 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 (46) 는, 상방측 샤프트 (41a) 의 둘레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덮는 원통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시 등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상방측 샤프트 (41a)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상방측 샤프트 (41a) 및 부시 등의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종 핸들 (15) 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재 (47) 는, 그 상단부가 제 1 지지 부재 (46) 에 연결되어 있고, 이음매 부재 (43) 의 전방, 상방 및 좌우 방향의 양측을 덮고, 또한 이음매 부재 (43) 의 후방측을 개방하는 コ 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지지 부재 (48) 는, 그 상단부가 제 2 지지 부재 (47) 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샤프트 (41b) 의 좌우 양측을 덮고, 또한 중간 샤프트 (41b) 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개방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를 중공 공간 (45a) 으로 하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공 공간 (45a) 에 하방측 샤프트 (41c) 가 배치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하부에는, 도 6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 (42) 가 배치되어 있고, 하방측 지지 부재 (45) 와 미션 케이스 (7) 사이에 시일 부재 (4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42) 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과 연통하는 부위를 시일함 (막음) 으로써,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을 차단하고 있고,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사이에서의 물이나 작동유 등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도 7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49) 가 구비되어 있다. 플랜지부 (49) 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외경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는, 그 외주부로부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경사상의 리브부 (51) 가 구비되고, 리브부 (51) 의 상단부가 플랜지부 (49) 에 연결되어 있다. 리브부 (51) 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1 쌍 구비되고,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후방측으로도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1 쌍 구비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는, 도 7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상에 재치 지지되어 있다. 플랜지부 (49) 의 중앙측 부위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을 개방하는 개구부 (50)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 (50) 를 상방측으로부터 막은 상태에서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가 배치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에는,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출력부 (65) 가 구비되고, 그 출력부 (65) 가 개구부 (50) 를 통해 중공 공간 (45a) 내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출력부 (65) 와 하방측 샤프트 (41c) 가 조인트 부재 (52) 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출력부 (65) 로부터 출력되는 조타력 (회전 구동력) 이 조인트 부재 (52) 를 통하여 하방측 샤프트 (41c) 에 자유롭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에는 출력부 (65) 의 주위에 개구부 (67) 가 형성되어 있고,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개구부 (67) 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49) 의 개구부 (50) 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이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는, 그 내부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의 중공 공간 (45a) 과 연통하는 상태로 플랜지부 (49) 상에 재치 지지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내부의 중공 공간 (45a) 에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배치시키고, 또한 그 내부의 중공 공간 (45a) 과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로 되어 있다.
전동 모터 (62) 는,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횡측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 (62) 는, 그 내부가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 대해 설명을 추가한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는, 주변속 레버 (18) 나 승강 크로스 레버 (21) 등의 조작구를 지지하는 조작구 지지 구성이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 있어서의 제 2 지지 부재 (47) 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의 좌단부에는, 주변속 레버 (18) 의 레버 가이드 (72) 가 지지되고, 그 레버 가이드 (72) 에 주변속 레버 (18) 가 지지되어 있다.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의 우단부에는, 승강 크로스 레버 (21) (도 4 참조) 나 승강 크로스 레버 (21) 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래킷 (73) 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 (46) 와 제 2 지지 부재 (47) 와 제 3 지지 부재 (48)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서는, 지지 기대 (66) 의 상부에 샤프트측 지지 부재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가 연결 지지되어 있고, 지지 기대 (66) 의 하단부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상부에 연결함으로써, 상방측 지지 부재 (44) 가, 지지 기대 (66) 를 개재하여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를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외주부와 간격을 두고 (접촉하지 않고)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좌우 방향의 양측 및 상방측을 덮고, 또한 전후 방향의 양측을 개방하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좌측을 덮는 좌벽부 (66a),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우측을 덮는 우벽부 (66b),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상부를 덮는 상벽부 (66c) 의 각각에는, 각종 부재를 삽입 통과시켜 각종 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기대 (66) 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와 간섭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그 하단부가 볼트 너트의 체결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폭이 플랜지부 (49) 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기대 (66) 및 플랜지부 (49) 의 네 모퉁이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대한 연결 지지 지점으로 되어 있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배치된 지지 기대 (66) 에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 (46) 와 제 2 지지 부재 (47) 와 제 3 지지 부재 (48) 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샤프트측 지지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제 3 지지 부재 (48) 의 하단부가 지지 기대 (66) 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 3 지지 부재 (48) 와 지지 기대 (66) 의 연결은 볼트 너트의 체결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이로써, 샤프트측 지지 부재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와 지지 기대 (66) 가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지지 부재 (48) 와 지지 기대 (66) 는, 제 3 지지 부재 (48) 및 지지 기대 (66) 의 전후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 3 지지 부재 (48) 의 하단부와 지지 기대 (66) 의 상벽부 (66c) 가 맞닿아 있고, 그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볼트 너트의 체결 지점으로 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좌우 1 쌍의 제 3 지지 부재 (48) 보다 좌우 방향에서 폭넓게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측 지지 부재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기대 (66) 는,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외주부와 간격을 두고 (접촉하지 않고) 덮으므로, 상방측 지지 부재 (44) 는, 지지 기대 (66) 에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연결함으로써, 상방측 지지 부재 (44) 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있어서,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조종 핸들 (15) 을 회전 조작할 때에, 조종 핸들 (15) 에 대해 외력이 발생하면, 상방측 지지 부재 (44) 가, 상방측 샤프트 (41a) 및 부시 등의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조종 핸들 (15) 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외력이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 전달된다.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 전달된 외력은, 지지 기대 (66) 를 통하여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전달되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 핸들 (15) 에 대해 발생하는 외력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는, 레버 가이드 (72) 나 지지 브래킷 (73) 등의 조작구 지지 구성이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작구 (주변속 레버 (18) 나 승강 크로스 레버 (21)) 에 작용하는 외력도, 지지 기대 (66) 를 통하여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전달되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에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 (72) 나 지지 브래킷 (73) 등의 조작구 지지 구성뿐만 아니라,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과 지지 기대 (66) 를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 (74) 이 구비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 (74) 은,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우측에 있어서, 상방측일수록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 (74) 의 하단부가 지지 기대 (66) 의 우벽부 (66b) 에 연결되어 있고, 제 1 지지 부재 (46) 와 제 2 지지 부재 (47) 와 제 3 지지 부재 (48) 의 일체물 (샤프트측 지지 부재) 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의 일부 및 보강 프레임 (74) 에 의해, 제 1 지지 부재 (46) 와 제 2 지지 부재 (47) 와 제 3 지지 부재 (48) 의 일체물 (샤프트측 지지 부재) 과 지지 기대 (66) 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의 일부 및 보강 프레임 (74)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 (74) 은,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과 지지 기대 (66) 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그 중간부에 전장 부재 (75) 가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1) 의 일부 및 보강 프레임 (74) 으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에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이외의 부재인 전장 부재 (75) 가 지지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덮을 뿐만 아니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좌측부에 변속 케이스 (81) 가 연결 지지되어 있다. 변속 케이스 (81) 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할할 수 있는 분할 케이스를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변속 케이스 (81) 에는, 변속 조작에 수반되어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하기 위한 변속 기구 (82) (도 5 참조) 가 수용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 기구 (82)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속 조작축 (83) 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변속 조작축 (83) 에는, 부채꼴 기어 (84) 와 제 1 아암 (85) 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변속 조작축 (83), 부채꼴 기어 (84), 및 제 1 아암 (85) 이 일체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부채꼴 기어 (84) 에 맞물리는 피니언 (86) 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87) (전동 모터) 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 (87) 로 피니언 (86) 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부채꼴 기어 (84) 를 개재하여 변속 조작축 (83) 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아암 (85) 의 선단부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변속 로드 (93) 가 연결되어 있고, 변속 조작축 (83) 의 회전에 의해 변속 로드 (93) 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변속 로드 (93) 의 후단부는, 연계 기구 등을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의 HST 에 있어서의 트러니언축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변속 로드 (93) 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트러니언축을 조작하여 HST 의 사판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고,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 (주행 속도) 을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채꼴 기어 (84) 에는, 원호상의 캠 홈 (88) 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캠 홈 (88)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진 제 2 아암 (89) 이 구비되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가로축 (90) 이 구비되고, 그 가로축 (90) 에 제 2 아암 (89) 의 기단부 및 제 3 아암 (91) 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부채꼴 기어 (84) 가 회전함으로써, 제 2 아암 (89) 의 선단부가 캠 홈 (88) 내를 이동하여 가로축 (90) 이 회전되고, 제 3 아암 (91) 이 요동 조작된다. 제 3 아암 (91) 의 선단부에 와이어 (92) 가 연결되고, 와이어 (92) 의 타단부에 엔진 (6) 의 스로틀 레버가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아암 (91) 의 요동 조작에 따라 스로틀 레버가 연동하여 조작되도록 연계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 (주행 속도) 을 무단계로 변속함으로써, 엔진 (6) 의 엔진 회전 속도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 (13) 에 있어서 대시 보드 (14) 의 우하측에는, 변속 페달 (20) 이 배치되어 있고, 변속 페달 (20) 의 밟기량을 검출하는 포텐셔미터 등 (도시 생략) 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변속 페달 (20) 의 밟기량에 따라, HST 의 사판 각도가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변속 기구 (82) 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 (87) (도 5 참조) 를 회전 구동시키고 있다. 이로써, 변속 기구 (82) 는, 사용자에 의한 변속 페달 (20) 의 밟기 조작에 따라,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 (주행 속도) 을 원하는 변속 상태로 변속하고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가 중공 공간 (45a) 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공 공간 (45a) 을 이용하여,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함과 함께,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 (7) 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를 접속하는 연통 접속부 (100) 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외부 개방부 (101) 가 구비되어 있다. 연통 접속부 (100) 는,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연통 접속하는 미션용 브리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에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외벽부를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외부 개방부 (101) 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접속하는 브리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개방부 (101) 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 접속함으로써,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하기 위한 브리더 파이프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하기 위한 브리더 파이프를 겸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에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외벽부를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외부 개방부 (101) 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주위에 있어서 상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부 개방부 (101) 의 상단부는, 상방측 지지 부재 (44) 의 제 2 지지 부재 (47) 로 전상방측 및 좌우 양측이 덮인 공간에 개방되어 있다.
연통 접속부 (100) 에 의해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가 연통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의 공기를, 일단,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개방부 (101) 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에 공급된 공기를, 최종적으로는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여,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빠져 나가게 할 수 있고,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가 고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내부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과 연통하는 상태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는, 일단,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개방부 (101) 에 의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공 공간 (45a) 에 공급된 열이나 수증기를, 최종적으로는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다. 이로써,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의 열이나 수증기를 외부에 방열 또는 방출할 수 있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가 고온 상태가 되거나,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내부에 결로수 등의 수분이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통 접속부 (100) 및 외부 개방부 (101) 의 양방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우측부에 배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 7 에서는, 연통 접속부 (100) 및 외부 개방부 (101) 를 생략하고 있고,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만 도시하고 있다.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앙부 (도 8 중, C 의 점선) 를 사이에 끼우고 이간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앙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중앙부 및 그것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62) 와 다른 기기의 배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의 전동 모터 (62)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축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횡측방으로부터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므로,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횡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 모터 (6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엔진 (6) 보다 후방측이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 (6) 과 스티어링 샤프트 (41)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전동 모터 (62) 를 배치시키고 있고, 보닛 (10)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엔진 (6), 스티어링 샤프트 (41),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좌측부에 변속 케이스 (81) 가 배치되어 있다. 변속 케이스 (81) 는, HST 의 트러니언축을 조작함으로써, 미션 케이스 (7) 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 (82) (도 5 참조) 를 수용하고 있다. 변속 케이스 (81) 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HST 의 트러니언축도,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변속 케이스 (81) 와 HST 의 트러니언축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변속 케이스 (81) 와 HST 의 트러니언축을 연계하는 변속 로드 (93) 의 길이나 구성 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62) 도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고, 변속 케이스 (81) 와 전동 모터 (62) 를,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좌측에 합하여 배치하고 있다. 전동 모터 (62) 는, 변속 케이스 (81) 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 (62) 와 변속 케이스 (81) 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변속 케이스 (81) 보다 상방측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전동 모터 (62) 의 일부와 변속 케이스 (81) 의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변속 케이스 (81) 와 전동 모터 (62) 를,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좌측에 합하여 배치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우측에는, 전동 모터 (62) 나 변속 케이스 (81) 등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우측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우 방향의 우측에는, 엔진 (6) 의 오일 필터 (25) 나 급유구 (26) 가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우측의 큰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엔진 (6)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6) 의 좌측 단부에는, 플라이휠 (23) 이 배치되어 있고, 그 플라이휠 (23) 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플라이휠 커버 (24) 가 구비되어 있다. 플라이휠 커버 (24) 는, 플라이휠 (23) 의 상방측을 덮을 뿐만 아니라, 플라이휠 (23) 의 후방측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휠 커버 (24) 는, 플라이휠 (23) 의 상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와,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의 후단부로부터 연속하여 플라이휠 (23) 의 후방측까지 하방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구비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플라이휠 커버 (24) 를 구비함으로써, 오수 등의 상방측에 대한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그래서, 전동 모터 (6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 (23) 의 외주부와 플라이휠 커버 (24) 의 하단부를 지나는 플라이휠 (23) 의 접선 (도 2 중, S 의 점선) 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 모터 (62) 를 배치함으로써, 플라이휠 커버 (24) 로 오수의 비산이 방지되고 있는 위치에 전동 모터 (62) 를 배치할 수 있고, 오수의 비산 등에 의해 전동 모터 (62) 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속 케이스 (81) 도, 플라이휠 (23) 의 외주부와 플라이휠 커버 (24) 의 하단부를 지나는 플라이휠 (23) 의 접선 (도 2 중, S 의 점선) 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 (62) 와 변속 케이스 (81) 를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좌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전동 모터 (62) 와 변속 케이스 (81) 를 스티어링 샤프트 (41) 보다 우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전동 모터 (62) 와 변속 케이스 (81) 를 스티어링 샤프트 (41) 에 대해 좌측과 우측으로 분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닛 (10) 내에 변속 케이스 (81) 를 배치하고 있지만, 변속 케이스 (81) 를 생략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상방측 샤프트 (41a) 와 중간 샤프트 (41b) 와 하방측 샤프트 (41c) 의 3 개의 샤프트로 분할하고 있지만, 몇 개의 샤프트로 분할할지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1 개의 샤프트로 스티어링 샤프트 (41) 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스티어링 샤프트 (41) 의 자세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하방측일수록 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립 자세 등, 각종 자세를 적용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미션 케이스 (7) 의 내부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 (7) 와 하방측 지지 부재 (45) 를 접속하는 연통 접속부 (100) 를 구비하고 있지만, 연통 접속부 (100) 를 생략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은,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반대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을,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보다 상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우측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을,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좌측부와 우측부로 분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연통 접속부 (100) 의 접속 지점 (100a) 과 하방측 지지 부재 (45) 에 대한 외부 개방부 (101) 의 접속 지점 (101a) 을,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둘레 방향의 어느 지점에 배치할지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가, 전동 모터 (62) 를 구비한 전동식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 (61) 는, 유압 모터를 구비한 유압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전동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측 지지 부재 (44) 에 있어서,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로 이루어지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지지 기대 (66) 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 1 ∼ 제 3 지지 부재 (46 ∼ 48) 로 이루어지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지지 기대 (66) 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9)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방측 지지 부재 (45) 의 플랜지부 (49) 에 대한 지지 기대 (66) 의 연결 지점은,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이면 되고,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 (63) 의 주위의 어느 지점을 연결 지점으로 할지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차륜에 조종 핸들의 조타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그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비한 각종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1 : 이앙기 (작업 차량)
6 : 엔진
7 : 미션 케이스
8 : 전륜 (차륜)
10 : 보닛
15 : 조종 핸들
23 : 플라이휠
24 : 플라이휠 커버
41 : 스티어링 샤프트
44 : 상방측 지지 부재
45 : 하방측 지지 부재 (지지 부재)
45a : 중공 공간
46 : 제 1 지지 부재 (샤프트측 지지 부재)
47 : 제 2 지지 부재 (샤프트측 지지 부재)
48 : 제 3 지지 부재 (샤프트측 지지 부재)
61 : 파워 스티어링 장치
62 : 전동 모터
66 : 지지 기대
71 :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
75 : 전장 부재 (지지 부재 이외의 부재)
81 : 변속 케이스
82 : 변속 기구
100 : 연통 접속부
100a :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
101 : 외부 개방부
101a :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
C : 측면에서 볼 때의 지지 부재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선
S : 플라이휠의 접선

Claims (12)

  1. 엔진과, 그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와, 조종 핸들의 조타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그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부여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고,
    보닛 내에는, 상기 엔진,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엔진보다 후방측이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 내에는, 변속 조작에 수반되어 상기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하기 위한 변속 기구를 구비한 변속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변속 케이스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변속 케이스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 및 상기 변속 케이스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좌우 방향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플라이휠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부와 상기 플라이휠 커버의 하단부를 지나는 상기 플라이휠의 접선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그 내부의 중공 공간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그 내부의 중공 공간과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외부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차륜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와 상기 지지 부재를 접속하는 연통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통 접속부의 접속 지점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외부 개방부의 접속 지점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고 전후 방향에서 이간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도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보다 하방측 부위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방측 지지 부재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조종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보다 상방측 부위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방측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는,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방측 지지 부재는,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작업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 지지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둘러싸는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상기 하방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연결되는 지지 기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기대의 상부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작업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기대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 부재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이외의 부재가 지지되어 있는, 작업 차량.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측 지지 부재에는, 조작구를 지지하는 조작구용 지지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는, 작업 차량.
KR1020197022956A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KR10233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7592A KR20210144921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5675 2017-09-13
JP2017175674A JP6912331B2 (ja) 2017-09-13 2017-09-13 作業車両
JPJP-P-2017-175674 2017-09-13
JP2017175675A JP6998163B2 (ja) 2017-09-13 2017-09-13 作業車両
JP2017175676A JP6914786B2 (ja) 2017-09-13 2017-09-13 作業車両
JPJP-P-2017-175676 2017-09-13
PCT/JP2018/032861 WO2019054247A1 (ja) 2017-09-13 2018-09-05 作業車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592A Division KR20210144921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73A KR20190104573A (ko) 2019-09-10
KR102331676B1 true KR102331676B1 (ko) 2021-11-25

Family

ID=657233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56A KR102331676B1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KR1020217037592A KR20210144921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KR1020237007216A KR20230037682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592A KR20210144921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KR1020237007216A KR20230037682A (ko) 2017-09-13 2018-09-05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3) KR102331676B1 (ko)
CN (2) CN114802427A (ko)
TW (1) TWI683614B (ko)
WO (1) WO201905424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237A (ja) * 1999-12-06 2001-06-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輛におけ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99251A (ja) * 2000-01-19 2001-07-24 Kubota Corp 作業車の原動部冷却構造
JP2007116918A (ja) * 2005-10-25 2007-05-17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7013688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クボタ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970A (ja) * 1996-09-06 1998-03-24 Kubota Corp 乗用型芝刈機
KR100344896B1 (ko) * 1999-03-25 2002-07-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작업기
JP3895715B2 (ja) * 2003-08-29 2007-03-2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電動モータ
JP4429092B2 (ja) * 2004-06-18 2010-03-10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JP2006205887A (ja) * 2005-01-27 2006-08-10 Showa Corp 電動舵取補助装置の支持構造
JP4520341B2 (ja) * 2005-03-18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を備える不整地走行車両
JP4541991B2 (ja) 2005-08-01 2010-09-08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作業車
JP2007037510A (ja) 2005-08-05 2007-02-15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DE102006021863B4 (de) * 2006-05-09 2009-02-19 Zf Friedrichshafen Ag Gelenk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5829133B2 (ja) * 2012-01-13 2015-12-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ステアリング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05800763U (zh) * 2015-06-25 2016-12-14 井关农机株式会社 车辆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237A (ja) * 1999-12-06 2001-06-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輛におけ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99251A (ja) * 2000-01-19 2001-07-24 Kubota Corp 作業車の原動部冷却構造
JP2007116918A (ja) * 2005-10-25 2007-05-17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7013688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クボタ 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682A (ko) 2023-03-16
TW201919468A (zh) 2019-06-01
CN111094107A (zh) 2020-05-01
KR20190104573A (ko) 2019-09-10
WO2019054247A1 (ja) 2019-03-21
TWI683614B (zh) 2020-02-01
CN111094107B (zh) 2022-06-28
KR20210144921A (ko) 2021-11-30
CN114802427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1283B1 (en) Work vehicle
US9309967B2 (en) Gearshift mechanism and working vehicle
KR102331676B1 (ko) 작업 차량
JP6998163B2 (ja) 作業車両
JP5658019B2 (ja) 農作業用トラクタ
JP3354797B2 (ja) 田植機の機体構造
JP6914786B2 (ja) 作業車両
JP6912331B2 (ja) 作業車両
US9850973B2 (en) Tractor
JP4488518B2 (ja) 乗用型田植機
EP3718808A1 (en) Operation mechanism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JP6858684B2 (ja) 作業車
JP2006340648A (ja) 乗用型田植機
KR20080015785A (ko) 승용형 이앙기
JP6766729B2 (ja) 作業車両
JP5309693B2 (ja) 作業車両の操作装置
JP2016088211A (ja) 作業車両
JP4604542B2 (ja) 施肥田植機
JP2007064394A (ja) 作業車両の変速操作装置
JP2005312340A5 (ko)
JP2010215151A (ja) 乗用型農作業機
JP2009166560A (ja) 作業車両
JP2009234474A (ja) 作業機のステアリン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